KR102469032B1 -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 Google Patents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032B1
KR102469032B1 KR1020160102012A KR20160102012A KR102469032B1 KR 102469032 B1 KR102469032 B1 KR 102469032B1 KR 1020160102012 A KR1020160102012 A KR 1020160102012A KR 20160102012 A KR20160102012 A KR 20160102012A KR 102469032 B1 KR102469032 B1 KR 10246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jig structure
shaft
install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729A (ko
Inventor
류상우
장인영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2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0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2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for lock parts held in place before or during mounting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설치할 때 간편하게 사용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핸들 샤프트나 다른 구동축이 축에서 틀어져 작동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도어 본체를 사이에 두고 전후면에 각각 고정 브라켓을 통해 고정된 도어락의 설치시, 내측 본체와 외측 본체의 설치 위치를 정렬시키는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양면 중 어느 한 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면에는 내부로 관통되어 내/외측 본체 중 하나의 핸들 샤프트가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된 축 장착부; 및 상기 몸체부의 말단에는 상기 내/외측 본체 중 하나의 키축이 관통되는 키축 홈이 형성된 하부 포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JIG ASSEMBLY FOR INSTALLING DOORLOCK}
본 발명은 지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락 설치할 때 사용되는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종래부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만 출입을 허용하는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홍채인식, 지문인식, 음성인식 등의 바이오기술 또는 무선통신과 같은 첨단기술을 접목시켜 보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를 갖는 도어락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계식 도어락의 설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정 브라켓을 제거한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도어락의 설치 시에는, 도 2와 같이 도어 본체(10)에 원형의 관통공(11,13)과 장공의 설치공(12,14)이 타공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고정 브라켓(30)을 본체(10)의 양측면에 고정볼트(B1,B2)를 통해 각각 고정시킨다. 이어 내측 본체(20)와 외측 본체(40)를 서로 체결하는데 이때 핸들 샤프트(15)와 노부 장착부(22)로 관통하여 연결되는 노브 구동축(미도시)를 맞춰 양측의 본체(20,40)을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설치자는 내측본체(20)의 핸들 샤프트(15)를 외측본체(40)의 장착부(41)에 맞춰 설치한다. 그러나 이때 설치시 여유롭게 형성된 제1 설치공(14)에서 핸들 샤프트(15)시 기울어진 상태로 외측본체(40)의 장착부(41)에 연결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설치 공차에 의해 핸들부(21)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고 작동시 부하가 발생되어 원활한 구동을 방해하고, 경우에 따라 내구성을 영향을 끼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핸들 샤프트(15)의 연결 이외에 다른 노부 구동축과 키축의 연결시에도 동일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개공보 제2009-0005901호(공개일: 2009.06.1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도어락 설치할 때 간편하게 사용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핸들 샤프트나 다른 구동축이 축에서 틀어져 작동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고정 브라켓을 통해 내측 본체와 외측 본체를 도어 본체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내측 본체와 상기 외측 본체의 설치 위치를 정렬시키는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양면 중 어느 한 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면에는 내부로 관통되어 내/외측 본체 중 하나의 핸들 샤프트가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된 축 장착부; 및 상기 몸체부의 말단에 형성된 하부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포스트에는 상기 내/외측 본체 중 하나의 키축이 관통되는 키축 홈이 형성된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키축홈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중앙의 가장자리 양측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핸들 샤프트가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공에 끼워 맞춤되기 충분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 설치시 내/외측 본체의 핸들 샤프트나 키축이 틀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정밀한 설치가 가능하여 누구라도 용이하게 도어락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2는 도 1에서 고정 브라켓을 제거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어 본체(10)의 전후면에 각각 내측본체(50)와 외측 본체(6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도어락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어 본체(10)의 전면에는 고정브라켓(70)이 장착된다. 이때 고정브라켓(70)은 상하단에 형성된 슬릿공(73,74)에 고정볼트(B1,B2)가 체결되어 도어 본체(10)에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외측 본체(60)도 고정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도어 본체(10)의 뒷면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측 본체(60)가 먼저 설치된 상태로 설명하면 외측 본체(60)가 도어 본체(10)에 고정되면 도어 본체(10)를 관통하여 핸들 샤프트(71)와 키축(61)이 돌출된다.
한편 핸들 샤프트(71)와 키축(72)은 고정 브라켓(70)의 삽입공(75)과 관통공(도면부호 미부여)을 통해 도어 본체(10)의 내측으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지그 구조체(80)의 양단에 핸들 샤프트(71)와 키축(72)이 삽입관통하고, 이 상태로 지그 구조체(80)가 고정 브라켓(70)에 장착된다. 이후 내측 본체(50)를 고정 브라켓(70)에 체결하는 것으로 도어락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그 구조체(80)는 핸들 샤프트(71)와 키축(72)이 각각 관통되도록 장착된다. 이에 따라 핸들 샤프트(71)와 키축(72)의 설치 위치를 일정하게 안내함으로써, 이들 핸들 샤프트(71)와 키축(72)이 축방향에서 기울어져 잘못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지그 구조체(80)는 선단에 축장착부(83)가 형성되는데, 이 축장착부(83)에는 선단의 일측면에 핸들 샤프트(71)가 관통되는 장착공(h1)이 형성되고, 선단의 타측면에 고정 브라켓(70)의 삽입공(75)에 끼워맞춤되는 삽입부(81)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지그 구조체(80)의 말단에는 키축홈(h2)이 형성된 하부 포스트(82)가 제공된다. 이때 키축홈(h2)은 대략 'I'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키축(72)이 장착되기 위해서는 키축(72)의 일자형태로 회전된 위치에서 키축홈(h2)에 삽입관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도어락 설치시 노브부(52)의 회전 시작 위치를 키축(72)이 일자형태를 취하는 위치로 정렬시키는 것으로, 설치시 키축홈(h2)에 키축(72)을 삽입시키는 것으로 키축(72)을 자동 정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지그 구조체(80)의 중심에는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5)이 형성된다. 이 장공(85)은 설치시 고정 볼트 등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하로 약간씩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그 구조체(80)의 몸체부(87)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가이드살(84)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살(84)은 지그 구조체(80)의 장착시 고정 브라켓(70)에 삽입되는 것으로 지그 구조체(80)이 고정 브라켓(70)에서 유동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 5와 같이 하부 포스트(82)의 상부에는 단턱(86)이 형성되어 삽입부(81)와 하부 포스트(82)의 삽입깊이가 비슷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어락 설치시 내/외측 본체(50,60)의 핸들 샤프트(71)나 키축(72)이 틀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시 핸들부(51)나 노브부(52)에 회전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작동시 마찰부하에 의한 손상이나 고장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치시 지그 구조체를 통해 설치 공차를 줄이기 위한 숙련도 없이도 간편하게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도어 본체
50: 내측 본체
60: 외측 본체
80: 지그 구조체
81: 삽입부
82: 하부 포스트
83: 축 장착부
84: 가이드 살
85: 장공
86: 단턱
87: 몸체부

Claims (4)

  1. 복수의 고정 브라켓을 통해 내측 본체와 외측 본체를 도어 본체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내측 본체와 상기 외측 본체의 설치 위치를 정렬시키는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양면 중 어느 한 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면에는 내부로 관통되어 내/외측 본체 중 하나의 핸들 샤프트가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된 축 장착부; 및
    상기 몸체부의 말단에 형성된 하부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포스트에는 상기 내/외측 본체 중 하나의 키축이 관통되는 키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축홈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중앙의 가장자리 양측에서 전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핸들 샤프트가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공에 끼워맞춤되기 충분한 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KR1020160102012A 2016-08-10 2016-08-10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KR10246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12A KR102469032B1 (ko) 2016-08-10 2016-08-10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012A KR102469032B1 (ko) 2016-08-10 2016-08-10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29A KR20180017729A (ko) 2018-02-21
KR102469032B1 true KR102469032B1 (ko) 2022-11-21

Family

ID=6152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012A KR102469032B1 (ko) 2016-08-10 2016-08-10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478B1 (ko) 2018-12-25 2023-08-08 주식회사 아이레보 데드볼트와 실린더락의 설치를 위한 얼라이먼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01Y1 (ko) 2005-06-15 2005-09-02 김명균 도어록의 설치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01Y1 (ko) 2005-06-15 2005-09-02 김명균 도어록의 설치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29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607Y1 (ko) 회동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KR102469032B1 (ko) 도어락 설치용 지그 구조체
KR101257796B1 (ko) 모빌랙
CN101586422B (zh) 一种冰箱锁
KR20190002968A (ko)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선택 설치형 연동장치
EP1881140B1 (en) Door and window bolt
KR101640580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KR102339023B1 (ko) 도어용 힌지 구조
KR200470825Y1 (ko) 도어락의 노브 축 연결 구조체
KR200490103Y1 (ko) 도어락 본체의 설치 조립체
KR200371848Y1 (ko) 도어용 피봇힌지
CN112292496A (zh) 用于门或窗的锁的手动控制装置
KR200421490Y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200494599Y1 (ko) 원터치식 호차용 결합장치
KR102346114B1 (ko) 도어락 손잡이의 장착구조체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200002193U (ko) 도어락
KR200419669Y1 (ko) 도어용 레버록
KR100513557B1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글라스용 홀더
CN107476681B (zh) 汽车门锁用辅助装配固定装置
US212636A (en) Improvement in locks
KR200168314Y1 (ko) 도어록 잠금편 보강장치
KR200451391Y1 (ko) 도어락의 회동구 조립체
KR100528596B1 (ko) 연료주입구 도어의 조립 규제용 가이드 구조
KR200479644Y1 (ko)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 구조체
CN115680378A (zh) 一种把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