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572B1 - 초음파 융착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572B1
KR102468572B1 KR1020210021096A KR20210021096A KR102468572B1 KR 102468572 B1 KR102468572 B1 KR 102468572B1 KR 1020210021096 A KR1020210021096 A KR 1020210021096A KR 20210021096 A KR20210021096 A KR 20210021096A KR 102468572 B1 KR102468572 B1 KR 102468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upport
moving
cylinder
tool h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577A (ko
Inventor
염봄식
Original Assignee
염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봄식 filed Critical 염봄식
Priority to KR1020210021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5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3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차전지의 분리막(세라믹)과 분리막 보호필름(PET)을 접함하기 위한 것으로서, 국소 부분뿐만 아니라 직선 부분을 용이하게 융착할 수 있으며, 피가공물과 점 또는 일정 길이의 선만이 접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에 의한 진동과 그에 따른 마찰열의 발생 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피가공물이 연질의 재질이더라도 피가공물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융착할 수 있는 초음파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가공물이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융착하는 융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융착장치{ultrasonic fu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초음파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차전지의 분리막(세라믹)과 분리막 보호필름(PET)을 접함하기 위한 것으로서, 국소 부분뿐만 아니라 직선 부분을 용이하게 융착할 수 있으며, 피가공물과 점 또는 일정 길이의 선만이 접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에 의한 진동과 그에 따른 마찰열의 발생 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피가공물이 연질의 재질이더라도 피가공물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융착할 수 있는 초음파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를 상호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기는 플라스틱이나 비닐 및 얇은 금속판 등을 상호 융착하게 된다.
이러한 초음파 융착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1)을 겹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대(2)와, 지지대(2)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대(2)에 올려진 피가공물(1)을 가압하는 혼(3)과, 상기 혼(3)에 연결되며 도시안된 제네레이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혼(3)을 진동시켜 혼(3)이 길이방향으로 고속으로 신축되도록 하는 진동장치(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혼(3)은 도시안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진동장치(4)에 의해 진동될 경우 점선과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고속으로 반복 신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2)에 피가공물(1)을 겹쳐 올려놓고 혼(3)을 하강시켜 피가공물(1)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진동장치(4)로 혼(3)을 진동시키면, 상기 혼(3)이 길이방향으로 고속으로 신축되면서 피가공물(1)을 전후방으로 진동시키고, 이에 따라 피가공물의 면이 상호 마찰되어 열과 피가공물(1)의 확산 현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초음파 융착기는 다른 종류의 융착기에 비해 에너지사용량이 적고 국소부위에만 열을 발생시켜 열에 의한 피가공물(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들어 다양한 분야에 점차 널리 사용되어가고 있다.
이때, 상기 혼(3)은 전후방으로 길이가 긴 금속제 환봉의 선단부 상하면을 평면으로 연삭하여 기단부의 체적이 선단부의 체적에 비해 커지도록 가공하여, 상기 진동장치(4)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혼(3)의 기단부를 통해 선단부로 전달되면서 증폭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혼(3)의 기단부로 입력된 진동이 선단부로 전달되면서 기단부와 선단부의 체적비에 따라 증폭되는 것은 널리 알려진 현상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전술한 통상의 초음파 융착장치는 국소부위에 대하여 융착을 진행하게 되는데, 융착할 부분이 국소부위가 아니라 일정 길이의 선일 경우에는 초음파 융착장치를 사용하여 융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33407(2020.03.30.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가공물이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초음파 융착을 위한 융착부가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국소 부분뿐만 아니라 일정 길이의 직선 부분까지 신속하게 융착할 수 있는 초음파 융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음파 융착을 위한 융착부를 구성하는 공구혼의 하단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구혼의 하단은 점 또는 일정 길이의 선만이 피가공물과 접하도록하여 초음파에 의한 진동과 그에 따른 마찰열의 발생 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때, 피가공물이 비닐 등과 같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피가공물의 손상없이 이동할 수 있어 직선구간을 안정적으로 융착할 수 있는 초음파 융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가공물이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융착하는 융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융착부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 변환기와, 상기 초음파 변환기의 하부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융착하는 공구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구혼의 하단은 상기 피가공물과 점 또는 선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융착부는 상기 지지대를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융착부는 피가공물의 직선 부분을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구혼의 하단은 이동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 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지지대와 융착부 사이에는 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평 지지대의 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 플레이트와, 상기 실린더 플레이트의 전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전부에 설치되어 승하강 하는 승강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평 지지대에는 상기 이동부를 좌우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 제어부 및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구혼이 피가공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에 따라 설정된 속도로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융착부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 변환기와, 상기 초음파 변환기의 하부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융착하는 공구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피가공물의 하부에 상기 공구혼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롤러 형상의 고정지그가 구비되며, 상기 공구혼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때, 상기 고정지그도 같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피가공물이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초음파 융착을 위한 융착부가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국소 부분뿐만 아니라 일정 길이의 직선 부분까지 신속하게 융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초음파 융착을 위한 융착부를 구성하는 공구혼의 하단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구혼의 하단은 점 또는 일정 길이의 선만이 피가공물과 접하도록하여 초음파에 의한 진동과 그에 따른 마찰열의 발생 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때, 피가공물이 비닐 등과 같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피가공물의 손상없이 이동할 수 있어 직선구간을 안정적으로 융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음파 융착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이동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이동부의 상하부 고정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공구혼과 피가공물의 접하는 부분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공구혼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공구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공구혼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이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이동부의 상하부 고정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공구혼과 피가공물의 접하는 부분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공구혼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공구혼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융착장치의 공구혼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초음파 융착장치, 특히 2차전지의 분리막(세라믹)과 분리막 보호필름(PET)을 접합하기 위한 초음파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피가공물(600)이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200)와 상기 지지대(200)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600)을 융착하는 융착부(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 전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홈(110)에는 바 형상의 고정지그(1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피가공물(600)을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융착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210)와 상기 수직 지지대(2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 지지대(2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융착부(500)는 상기 수평 지지대(220)를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초음파 융착장치는 융착부(500)가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국소 부분뿐만 아니라 일정 길이의 직선 부분도 신속하게 융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 지지대(220)와 융착부(500) 사이에는 이동부(4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수평 지지대(220)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융착부(500)를 승하강 시킬 수 있어 피가공물(600)의 설정된 부분만을 융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수평 지지대(220)의 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222)을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 플레이트(410)와 상기 실린더 플레이트(410)의 전부에 설치되는 실린더(420)와 상기 실린더(420)의 전부에 설치되어 승하강 하는 승강 몸체(4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 몸체(430)의 전부에 상기 융착부(500)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400)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거나, 상기 승강 몸체(43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몸체(430)의 하단에는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절곡부(432)가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420)의 로드(42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실린더(420)의 제어에 의해 승강 몸체(43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420)의 전면 일측 상부에는 상부 고정 지지턱(424)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강 몸체(430)의 후면 일측에는 상부 이동 지지턱(434)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고정 지지턱(424)의 하부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승강 몸체(430)가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420)의 전면 타측 하부에는 하부 고정 지지턱(426)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강 몸체(430)의 후면 타측에는 하부 이동 지지턱(436)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고정 지지턱(426)의 상부에 접하게 됨으로써, 승강 몸체(430)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420)의 전면 중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제1승강가이드(428)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몸체(430)의 후면 중심부에는 상기 제1승강가이드(428)가 삽입되는 제2승강가이드(438)가 형성되어 승강 몸체(430)가 상하 이동시에 흔들리지 않고 정확한 위치로 승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고정 지지턱(424)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위치 조절부재(460)가 나사 결합되는데, 상기 위치 조절부재(46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승강 몸체(430)의 상방 이동 한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이동 지지턱(436)에는 상하 관통하도록 위치 조절부재(460)가 나사 결합되는데, 상기 위치 조절부재(46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승강 몸체(430)의 하방 이동한계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 조절부재(460)에 의해 승강 몸체(430)의 하방 이동 한계를 조절함으로써, 융착부(500)의 하단이 피가공물(600)과 접하는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융착부(500)가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압력의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피가공물(600)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상기 위치 조절부재(460)를 조절하여 융착부(500)가 하부로 덜 이동하도록 하여 피가공물(600)이 과도하게 가압되지 않도록 하여 피가공물(60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며, 피가공물(600)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는 상기 위치 조절부재(460)를 조절하여 융착부(500)가 하부로 더 이동하도록 하여 피가공물(600)을 너무 약하게 가압하여 초음파 융착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조절부재(4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슬리브(462)와 상기 슬리브(462)의 내측에 하단이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쿠션(46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46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46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돌출 정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쿠션(464)이 상기 상부 고정 지지턱(424) 또는 하부 이동 지지턱(436)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 한계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쿠션(464)의 하단에는 탄성부재(466)가 형성되어 접촉시의 충격을 해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42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센서홈(472)이 형성되는데, 상기 센서홈(472)의 내측에는 자기 저항식의 근접센서(470)가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근접센서(470)는 실린더(420)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하는 로드(422, 피스톤)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어 제어장치에서 로드(422)의 이동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융착부(500)는 상기 이동부(400)를 구성하는 승강 몸체(430)의 전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융착 브라켓(450)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융착부(500)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 변환기(510)와 상기 초음파 변환기(510)의 하부에 구비되어 피가공물(600)과 접촉한 상태로 융착하는 공구혼(5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구혼(520)이 초음파 변환기(510)의 하부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융착 브라켓(450)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융착 몸체(530)의 상부에 상기 초음파 변환기(510)가 설치되고, 상기 융착 몸체(530)의 하부에 상기 공구혼(520)을 착탈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공구혼(520)의 하단은 도 6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가이드(220)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연약한 재질의 피가공물(600)의 상부를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이동하더라도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공구혼(520)에 의해 피가공물(6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구혼(520)의 하단은 상기 피가공물(600)과 점 또는 선으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초음파에 의한 열의 발생 효율을 높이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피가공물(600)을 융착할 수 있게 된다.
즉, 초음파 융착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변환기(510)에 의해 생성된 진동은 상기 공구혼(600)을 통하여 피가공물(600)에 전달되어 피가공물(600)의 접합부위에 열을 발생시켜 융착하게 되는데, 상기 공구혼(60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진동이 전달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의 체적비에 따라 진동이 증폭되게 된다.
그래서, 종래의 초음파 융착장치는 공구혼(520)과 피가공물(600)이 접하는 부분이 모두 면으로 접하도록 형성되고, 본 발명에서는 공구혼(520)과 피가공물(600)의 접하는 부분을 점 또는 선으로 한정하여 접하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종래의 기술보다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체적비를 크게 하여 증폭효율을 높여주게 됨으로써, 보다 적은 에너지로 융착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어 열발생 효율을 높이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 지지대(220)에는 이동 제어부(300)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400)를 좌우 이동시키는데, 상기 이동 제어부(300)는 상기 수평 지지대(2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320)와 상기 구동 모터(32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풀리(미도시)와 상기 수평 지지대(22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종동 풀리(미도시)와 상기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이동 벨트(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 벨트(330)의 양단부는 상기 실린더 플레이트(410)의 양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20)의 제어에 의해 실린더 플레이트(410)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제어부(300) 및 이동부(400)의 실린더(42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장치는 지지대(2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외측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실린더(420)를 제어하여 공구혼(520)이 피가공물(600)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수평 지지대(220)를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에는 각 피가공물(600)의 재질에 따라 이동하는 속도가 설정되어 있어, 피가공물(600)의 재질에 따라 설정된 속도로 이동시켜 안정적으로 피가공물(600)을 융착시키게 된다.
즉, 피가공물(600)의 두께나 재질에 따라 공구혼(520)에서 가해지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융착되는 시간이 달라지기 때문에 설정된 최적의 속도로 이동하도로록하여 피가공물(600)을 안정적으로 융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00) 및 이동 제어부(300)는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융착부(600)를 좌우 이동시키거나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지지대(200)를 따라 융착부(500)를 구성하는 공구혼(520')이 좌우로 이동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피가공물(6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피가공물(6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지그(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그(120')는 상기 공구혼(5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그 형상은 롤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융착을 위하여 상기 공구혼(520')과 고정지그(120')의 사이에 피가공물(600)이 위치할 때, 롤러 형상의 상기 고정지그(120')에 의해 융착이 발생하는 부분은 롤러 형상의 고정지그(120')의 상부와 피가공물(600)이 접하는 짧은 선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구혼(520')이 피가공물(600)을 융착하기 위하여 좌우로 이동할 때, 상기 고정지그(120')도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여 피가공물(6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피가공물(600)의 폭을 직선으로 융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구혼(520')의 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그(120')를 회전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음파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차전지의 분리막(세라믹)과 분리막 보호필름(PET)을 접함하기 위한 것으로서, 국소 부분뿐만 아니라 직선 부분을 용이하게 융착할 수 있으며, 피가공물과 점 또는 일정 길이의 선만이 접하도록 함으로써, 초음파에 의한 진동과 그에 따른 마찰열의 발생 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피가공물이 연질의 재질이더라도 피가공물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융착할 수 있는 초음파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지그홈
120 : 고정지그 200 : 지지대
210 : 수직 지지대 220 : 수평 지지대
300 : 이동 제어부 320 : 구동모터
330 : 이동 벨트 400 : 이동부
410 : 실린더 플레이트 420 : 실린더
430 : 승강 몸체 450 : 융착 브라켓
460 : 위치 조절부재
500 : 융착부 510 : 초음파 변환기
520 : 공구혼 530 : 융착 몸체
600 : 피가공물

Claims (8)

  1. 피가공물이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융착하는 융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융착부는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 변환기와, 상기 초음파 변환기의 하부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융착하는 공구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피가공물의 하부에 상기 공구혼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롤러 형상의 고정지그가 구비되며, 상기 공구혼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때, 상기 고정지그도 같이 이동하고,
    상기 융착부는 상기 지지대를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융착부는 피가공물의 직선 부분을 융착하며, 상기 공구혼의 하단은 이동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 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지지대와 융착부 사이에는 이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 지지대에는 상기 이동부를 좌우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 제어부 및 상기 이동부를 구성하는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구혼이 피가공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피가공물에 따라 설정된 속도로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수평 지지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풀리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이동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 벨트의 양단부는 상기 이동부의 양측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평 지지대의 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 플레이트와, 상기 실린더 플레이트의 전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전부에 설치되어 승하강 하는 승강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 몸체의 하단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전면 일측 상부에는 상부 고정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몸체의 후면 일측에는 상기 상부 고정 지지턱의 하부에 접하는 상부 이동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의 전면 타측 하부에는 하부 고정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몸체의 후면 타측에는 상기 하부 고정 지지턱의 상부에 접하는 하부 이동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 지지턱과 상기 하부 이동 지지턱에는 상하 관통하도록 위치 조절부재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승강 몸체의 상하 이동 한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21096A 2021-02-17 2021-02-17 초음파 융착장치 KR102468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096A KR102468572B1 (ko) 2021-02-17 2021-02-17 초음파 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096A KR102468572B1 (ko) 2021-02-17 2021-02-17 초음파 융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577A KR20220117577A (ko) 2022-08-24
KR102468572B1 true KR102468572B1 (ko) 2022-11-18

Family

ID=8311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096A KR102468572B1 (ko) 2021-02-17 2021-02-17 초음파 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5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1490A (ja) * 1998-11-04 2000-05-23 Nippon Jido Seiki Kk フィルム溶着装置
JP2010284860A (ja) * 2009-06-11 2010-12-24 Fujifilm Corp ポリマーフィルムの延伸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7184C2 (en) * 2009-08-07 2011-02-08 Beiler Beheer Bv Method for interconnecting overlapping webs by means of ultrasonic welding.
KR20200030850A (ko) * 2018-09-13 2020-03-23 승산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의 흡음재 부착장치
KR20200033407A (ko)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서연이화 초음파 융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1490A (ja) * 1998-11-04 2000-05-23 Nippon Jido Seiki Kk フィルム溶着装置
JP2010284860A (ja) * 2009-06-11 2010-12-24 Fujifilm Corp ポリマーフィルムの延伸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577A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158B2 (en) Ultrasonic press using servo motor with integrated linear actuator
JP3963918B2 (ja) 超音波溶着装置
US8052816B2 (en) Ultrasonic press using servo motor with delayed motion
ES2706196T3 (es) Sistema y método de soldadura por ultrasonidos mediante servomotor con movimiento retardado
JP5806113B2 (ja) ファイバレーザを備えたレーザ溶接工具
WO1997017159B1 (en) Laser butt-welding apparatus including edge gauging device
EP2106899B1 (en) Ultrasonic press using servo motor and delayed motion technique
JP6349502B2 (ja) 接合装置
JP2011529401A5 (ko)
KR102539529B1 (ko) 컴플라이언스 탄성 부재 및 무게 보상 탄성 부재를 구비한 서보 탄성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갖춘 공작물 처리 장치
WO2020102428A1 (en) Automated ultrasonic press systems and methods for welding physically variant components
US5667130A (en) Ultrasonic wir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CN112272610A (zh) 用于基于预定焊接强度与熔化层厚度间的相关性来确定与预定焊接强度相关联的熔化层厚度的方法
KR102468572B1 (ko) 초음파 융착장치
US3917146A (en) Portable vibratory welding apparatus
KR20200059246A (ko) 초음파 용접 장치에 용접 금속을 위치시키기 위한 방법 및 초음파 용접 장치
JP5879582B2 (ja) 超音波振動接合装置、及び超音波振動溶着装置
CN108015404B (zh) 超声波焊接机构
JP7141306B2 (ja) 接合装置
JP4190682B2 (ja) 超音波加工装置
JP7340244B2 (ja) 処理装置
JP2012024771A (ja) 超音波振動接合装置および超音波振動接合方法
KR900015894A (ko) 잉크리본의 초음파 용접방법 및 장치
TWI785293B (zh) 拉鏈的下止形成裝置和下止形成方法
KR20220108666A (ko) 자동조심형 초음파 융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