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837B1 -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증대된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증대된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837B1
KR102467837B1 KR1020220015803A KR20220015803A KR102467837B1 KR 102467837 B1 KR102467837 B1 KR 102467837B1 KR 1020220015803 A KR1020220015803 A KR 1020220015803A KR 20220015803 A KR20220015803 A KR 20220015803A KR 102467837 B1 KR102467837 B1 KR 102467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sh
isothiocyanate
extract
content
sulfora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윤정한
양희
이태경
허지현
김나라
이지윤
이승수
권해성
이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밥스누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밥스누,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밥스누
Priority to KR102022001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6Cyanate or isocyanate esters; Thiocyanate or isothiocyanate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abet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설포라핀의 함량을 증대시킨 무순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을 통하여 수득한 설포라핀의 함량이 증대된 무순 추출물, 및 상기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의 방법은 최적의 제조방법 및 제조공정을 통하여 무순으로부터 설포라핀을 포함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다량 함유하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한 추출방법보다 설포라핀을 포함한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되어 있으므로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식물 및 사료 첨가제 조성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증대된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comprising radish sprouts extract including increased isothiocyan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을 증대시킨 무순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을 통하여 수득한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된 무순 추출물, 및 상기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십자화과 식물은 외부의 위해(곤충, 박테리아, 곰팡이 등)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분비한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는 우수한 생리활성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십자화과 식물은 글루코시놀레이트-미로시나아제 시스템이라 불리는 기작으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생산한다. 미로시나아제는 글루코시놀레이트를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전환하는 효소로 미로신 세포의 액포에서 발견된다. 조직 내에서 미로시나아제는 글루코시놀레이트와 분리되어 있으나, 세포 손상과 같은 외부자극에 의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전환 반응이 시작된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량 감소로 인해 현재 비만 인구 비율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비만과 과체중은 세계적으로 만연하고 있어서 조사 대상으로 한 국가(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일본)의 인구 중 적어도 20%가, 또 많은 곳에서는 최대 45%가 과체중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은 그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고지혈증, 당뇨, 지방간 등의 대사성 질환을 유발하는 주된 원인이 되기 때문에 체중을 조절하는 것 이 건강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비만 치료제들은 소화계 또는 신경계에 작용을 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어 여러 부작용들이 보고되어 있으므로, 천연물에서 유래된 활성성분으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다량의 설포라핀을 포함하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무순으로부터 수득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중에 있으나,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일 양상은 추출물 내 설포라핀을 포함하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된 무순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설포라핀을 포함하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된 무순 추출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무 종자를 물에 침지하여 무순으로 재배하는 단계; 재배한 무순을 수확하여 항온수조에서 30분 내지 7시간동안 보관하고 무순을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물 내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된 무순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전체가 참고로 통합된다.
본 명세서 내에서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는 설포라핀(sulforaphene), 라파자틴(Raphasatin,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 및 이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순은 새싹채소의 한 가지로, 무의 싹을 말하며 '무순'이라고도 한다. 상기 무순은 무종자로부터 12시간을 주기로 암반응과 명반응을 재배하여 재배한 무의 싹을 의미한다. 상기 무순은 예를 들면 홍빛무, 적무A2, 아시아진빨순이랑, 가이와레, 댄디 및 적양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품종일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적양무 품종의 무순일 수 있다.
상기 무순은 무 종자를 물에 침지하여 모판에 뿌린 이후 재배 시간이 예를 들면, 24시간 내지 120 시간, 48시간 내지 120시간, 48시간 내지 108시간, 48시간 내지 96시간, 48시간 내지 84시간, 48시간 내지 72시간, 또는 48시간 내지 60시간동안 재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항온 수조에서 보관하는 단계는 무순에 존재하는 미로시나아제(mysorinase) 효소가 글루코시놀레이트를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전환할 수 있도록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항온 수조에서 보관하는 단계에서는 재배된 무순에 증류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온수조는 예를 들면 10℃ 내지 45℃, 15℃ 내지 45℃, 20℃ 내지 45℃, 20℃ 내지 35℃, 20℃ 내지 35℃, 25 ± 1℃ 또는 25℃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항온 수조에서 보관하는 단계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면 0.5mM 내지 3mM, 0.5 mM 내지 2 mM, 0.5 mM 내지 1.5 mM, 또는 0.5mM 내지 1 mM 의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하는 단계는 보조인자 중 하나인 산화아연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을 포함하지 않는 것은 본 명세서 내에서 예를 들면 1 mM, 0.5 mM, 0.1 mM, 0.01 mM이하 또는 0.001 mM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추출 용매는 친수성 용매 (hydrophilic solvent)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4의 하나 이상의 -OH기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이소부탄올, tert-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무순의 추출용매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추출용매 중 에탄올의 포함 비율은 예를 들면, 0.01 내지 15% (v/v)의 에탄올, 0.1% (v/v) 내지 15% (v/v), 0.1% (v/v) 내지 10% (v/v), 0.1% (v/v) 내지 8% (v/v), 0.1% (v/v) 내지 5% (v/v), 0% (v/v) 내지 5% (v/v) 의 에탄올 또는 5% (v/v)의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에서 에탄올의 포함 비율이 0% (v/v)인 것은 물만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은 무순을 교반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순은 건조되거나 세척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예를 들면, 10℃ 내지 40℃, 15℃ 내지 35℃, 17℃ 내지 25℃ 또는 20℃ 내지 3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추출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예를 들면 1 내지 10시간, 2 내지 9시간, 2 내지 5 시간, 또는 2 내지 4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무순의 1 내지 15배, 예를 들면, 5 내지 13배, 5 내지 11배, 8 내지 15배, 8 내지 13배, 8 내지 11배, 또는 9 내지 11배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1 내지 4회, 1 내지 3회, 2 내지 5회, 또는 2 내지 4회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얻어진 조추출물은 여과, 농축 및 건조될 수 있다.
일 양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된 무순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설포라핀을 포함하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추출물 전체 고형분 1g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최소 35mg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일 양상의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추출방법보다 설포라핀을 포함하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추출물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전체 고형분 1g 중량을 기준으로 35mg 내지 45 mg의 설포라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순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의 의미도 포함한다. 즉, 무순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무순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조추출물에 대하여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을 분리한 것을 말한다. 상기 분리는 유기 용매를 사용한 분리,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여과일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HPLC,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일 양상은 상기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식품적으로, 또는 의약외품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사증후군은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간질환, 과인슐린혈증, 과혈당증, 1형 및 2형 당뇨병, 인슐린 내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혈증, 발기부전, 심혈관계 질환 및 허혈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간질환은 알코올성 및 비알콜성 간의 지질대사 이상으로 인한 지방간, 간염 및 간경화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은 무순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즉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및 이들 성분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또는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해 기술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정맥내, 피하, 복강 내, 흡입 또는 국소적용과 같이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됨으로서 경감된 질병 상태에 대한 치료에 충분한 일 양상에 따른 치료용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용 물질의 효과적인 양은 특정 화합물, 질병 상태 및 그의 심각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 형태, 건강 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을 기준으로 할 때, 0.0001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mg/kg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개체'란 대사증후군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쥐(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치료" 또는 "치료하는" 또는 "완화하는" 또는 "개선하는"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이들 용어는 치료 이익 및/또는 예방 이익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유리한 또는 요망되는 결과를 수득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치료 이익은 치료 하의 하나 이상의 질병, 질환 또는 증상의 임의의 치료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또는 그에 대한 효과를 의미한다. 예방 이익에 있어서, 조성물은 특정 질병, 질환 또는 증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대상체에게 또는 질병, 질환 또는 증상이 아직 나타나지 않을지라도, 질병의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증상을 보고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용어 "유효량" 또는 "치료적 유효량"은 유리한 또는 요망되는 결과를 야기하기에 충분한 작용제의 양을 지칭한다.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되는 대상체 및 병태, 대상체의 체중 및 연령, 병태의 중증도, 투여 방식 등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어는 본원에 기술된 영상화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한 검출을 위한 이미지를 제공할 용량에 적용된다. 특정 용량은 선택된 특정 작용제, 뒤따르는 투여 요법, 그것이 다른 화합물과 병용하여 투여되는지 여부, 투여 시기, 영상화되는 조직 및 그것을 운반하는 신체 전달 시스템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이고,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캔디,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 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아이스크림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 비타민 복합제, 알코올 음료,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할 수 있는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무순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무순 추출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상기 무순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1중량 내지 15중량부, 1중량 내지 10중량부, 1중량 내지 5중량부, 또는 0.1중량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셀룰로즈,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상기 무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없이 다른 성분들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일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도, 일 양상에 따른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외에도, 일 양상에 따른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콜로이드 현탁액, 분말, 식염수, 지질, 리포좀, 미소구체(microspheres) 또는 나노 구형입자일 수 있다. 이들은 운반 수단과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관련될 수 있고, 지질, 리포좀, 미세입자, 금, 나노입자, 폴리머, 축합 반응제, 다당류, 폴리아미노산, 덴드리머, 사포닌, 흡착 증진 물질 또는 지방산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운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체 내 운반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분말 또는 과립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사료 첨가제는 통상의 사료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통상의 사료 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 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 보충제, 소화 및 흡수 향상제, 성장 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탑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의 경구 제형으로 용이하게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콩 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 첨가제는 정제, 캡슐제, 산제, 트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 첨가제는 젤라틴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나 현탁액,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제형일 수 있다.
일 양상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침주,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포유류, 및 가금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포유류로서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 동물, 및 실험용 설치 동물뿐만 아니라, 애완 동물(예: 개, 고양이) 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금류로서 닭, 칠면조,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배합 방법은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동물사료에 건조 중량 기준으로 1kg 당 약 0.001g 내지 500g, 바람직하기로는 10g 내지 100g의 양으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료 혼합물을 완전히 혼합한 후, 매쉬로 공급하거나, 추가가공 공정을 통하여 팰렛화, 팽창화, 압출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일 양상의 방법은 최적의 제조방법 및 제조공정을 통하여 무순으로부터 설포라핀을 포함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다량 함유하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한 추출방법보다 설포라핀을 포함한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되어 있으므로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식물 및 사료 첨가제 조성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순 품종(홍빛무, 적무A2, 아시아진빨순이랑, 가이와레, 댄디 및 적양무)에 따른 무순 내 포함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중 설포라핀의 함량을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재배시간(0 내지 120시간)에 따른 적양무순 내 이소티오시아네이트중 설포라핀의 의 함량을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미로시나아제 반응시간(0,1,2,4 및 6시간)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설포라핀)의 함량을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미로시나아제의 반응온도(25℃, 35℃, 45℃ 및 55℃)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설포라핀)의 함량을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미로시나아제의 보조인자인 아스코르브산의 농도(0 mM, 0.5 mM, 1 mM, 5 mM 및 10mM)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설포라핀)의 함량을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미로시나아제의 보조인자인 산화아연의 농도(0 mM, 0.1 mM, 0.5 mM, 1 mM, 5 mM 및 10mM)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설포라핀)의 함량을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추출용매에 포함된 에탄올의 비율에 따른 무종자(무씨앗) 및 무순 추출물에서의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중 설포라핀의 함량을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종자에 따른 무순 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중 설포라핀의 함량의 확인
종자에 따른 무순 내 설포라핀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6품종의 무순으로부터 설포라핀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홍빛무, 적무A2, 아시아진빨순이랑, 가이와레, 댄디 및 적양무인 6품종의 무순 종자를 농우바이오 및 아시아종묘로부터 구입하고 이를 소독 후 물에 침지하여 모판에 골고루 뿌렸다. 이후 12시간 주기로 형광등(광)을 조사하여 12시간 주기의 명반응과 암반응 조건에서 물마름 현상이 없도록 충분히 급수하여 총 5일(120시간)동안 재배 후 수확하였다. 수확한 무순을 -80℃에서 보관 후 동결 건조하여 분쇄하였고, 분쇄물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추출 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 취했다. 상등액에 다이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첨가하여, 액체-액체 추출법(liquid-liquid extraction : LLE)으로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만들어진 추출액에 무수 황산 나트륨(anhydrous sodium sulfate)를 첨가하여 잔류하는 물을 모두 제거 후 스피드배큠으로 유기용매를 모두 증발시켰다. 이후 분석용 샘플을 재용해하여 필터로 여과 후, 종자 별 설포라핀 함량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로 분석하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건조중량 당 설포라핀은 홍빛무순에서 1.79 mg/g, 적무A2순에서 0.96 mg/g, 아시아진빨순이랑순에서 1.70 mg/g, 가이와레순에서 1.87 mg/g, 댄디순에서 3.37 mg/g 및 적양무순에서 5.26mg/g으로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적양무순에서 가장 높은 설포라핀의 함량을 확인하여, 적양무순에서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이후 실시예에서는 적양무순으로부터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추출하였다.
실시예 2. 재배시간에 따른 적양무순 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중 설포라핀의 함량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확인한 설포라핀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적양무순에서 최적 재배시간을 통한 설포라핀의 함량 증진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형광등을 조사하여 12시간 주기로 암반응과 명반응을 제공하여 재배하였다. 12시간을 주기로 무순을 수확하여 -80℃에서 보관 후 동시에 동결건조하여 분쇄하였고, 재배 시간 이외 재배방법 및 분석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12시간마다 수확하여 0 내지 120 시간의 재배시간에 따른 적양무순 내 설포라핀의 함량을 확인하고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재배에 시간에 따른 설포라핀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각각 건조 중량당 설포라핀은 0시간에서 4.79 mg/g, 12시간에서 4.09 mg/g, 24시간에서 6.49 mg/g, 36시간에서 3.35 mg/g, 48시간에서 6.38 mg/g, 60시간에서 9.46 mg/g, 72시간에서 7.29 mg/g, 84시간에서 9.01 mg/g, 96시간에서 8.47 mg/g, 108시간에서 8.69 mg/g, 120시간에서 6.85mg/g mg/g 임을 확인하였다. 재배 후 48시간 이후부터는 설포라핀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이중 48 내지 84시간에서 설포라핀은 최대로 관찰되었으며, 24시간을 기준으로 96시간까지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48 내지 84시간에서 설포라핀의 함량이 최대로 관찰되므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역시 최대로 관찰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미로시나아제 반응시간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의 확인
십자화과 식물이 방어수단으로 분비하는 이소티오시이아네이트(isothiocyanate)는 식물체내에서는 글루코시놀레이트로 존재해 있다가 가수조건 상태에서 미로시나아제 효소에 의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루코시놀레이트로부터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의 최대 전환을 위해서는 미로시나아제가 주요한 역할을 하며, 이 효소의 활성은 온도, pH, 보조인자(cofactor), 금속이온(metal ion)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으로의 최대 전환을 위한 최적 반응 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무순 원물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미로시나아제의 효소 반응을 위한 최적 온도로 알려진 35℃ 오븐에서 0,1,2,4 및 6시간동안 보관하였다. 정해진 시간이 된 샘플은 -80℃에서 보관 후 동시에 해동하여 다이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액체-액체 추출법(liquid-liquid extraction : LLE)으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추출액에 무수 황산 나트륨(anhydrous sodium sulfate)를 첨가하여 잔류하는 물을 모두 제거 후 스피드배큠으로 유기용매를 모두 증발시켰다. 이후 분석용 샘플을 재용해하여 필터로 여과 후, 분석용 샘플은 재용해한 후 고리응축 분석(Cyclocondensation assay)을 통하여 총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미로시나아제 최적 활성 온도로 알려진 35℃ 의 수용액에서 반응 시간에 따른 무순 내 존재하는 총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총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은 수용액 상태에서 반응시작 후 1시간까지 점차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는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반응 온도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의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반응시간 1시간부터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의 전환이 최대가 되는 것을 고려하여, 수용액 상태에서 2시간동안 25 내지 55℃온도 조건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글루코시놀레이트로부터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의 최대 전환을 위한 반응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 무순 원물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각각 25℃, 35℃, 45℃, 55℃로 설정된 항온수조에 보관하여 미로시나아제 효소 전환 반응을 유도하였다. 이후 미로시나아제 반응 종료를 위하여 황산 나트륨를 첨가한 후 -80℃에서 보관하였고, 반응 온도에 따른 무순 내 존재하는 총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반응 조건 및 분석 조건은 반응 온도를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도 4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25℃에서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최대로 확인되었으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감소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보조인자인 아스코르브산의 농도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의 확인
미로시나아제의 보조인자로 알려진 아스코르브산의 첨가 농도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글루코시놀레이트로부터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의 최대 전환을 위한 보조인자로서 최적 아스코르브산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순 원물을 증류수와 혼합 후 각 샘플에 아스코르브산을 0 mM, 0.5 mM, 1 mM, 5 mM 및 10mM로 첨가하고 오븐에 보관하여 전환반응을 유도하였다. 이후 미로시나아제 반응 종료를 위하여 황산 나트륨를 첨가한 후 -80℃에서 보관하였고, 아스코르브산의 첨가 농도에 따른 무순 내 존재하는 총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반응 조건 및 분석 조건은 아스코르브산의 첨가 농도를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도 5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수용액상태에서 무순 내 글루코시놀레이트로부터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의 전환 반응은 첨가된 아스코르브산의 농도가 0mM에서 7.63 mg/g, 0.5mM에서 7.77 mg/g, 1mM에서 8.34 mg/g, 5mM에서 6.83 mg/g, 10mM에서 6.33 mg/g임을 확인하였다. 첨가된 아스코르브산의 농도가 0.5mM 내지 1mM 인 경우에는 농도 비례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함량의 증가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1mM 이상에서는 포함된 무순 내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스코르브산의 첨가농도가 0.5mM 내지 3mM인 경우 무순 내 포함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최대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보조인자인 산화아연의 농도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의 확인
미로시나아제의 보조인자로 알려진 산화아연(zinc oxide)의 첨가 농도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글루코시놀레이트로부터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의 최대 전환을 위한 보조인자로서 최적 산화아연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순 원물을 증류수와 혼합 후 각 샘플에 산화아연을 0 mM, 0.1 mM, 0.5 mM, 1 mM, 5 mM 및 10mM로 첨가하고 오븐에 보관하여 전환반응을 유도하였다. 이후 미로시나아제 반응 종료를 위하여 황산 나트륨를 첨가한 후 -80℃에서 보관하였고, 산화아연의 첨가 농도에 따른 무순 내 존재하는 총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반응 조건 및 분석 조건은 산화아연의 첨가 농도를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도 6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수용액상태에서 무순 내 글루코시놀레이트로부터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의 전환 반응은 첨가된 산화아연의 농도가 초기 낮은 농도에서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하였으며, 이후 1mM 이상에서는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무순 내 글루코시놀레이트로부터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의 전환 반응은 첨가된 산화아연의 농도에 따라서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추출물의 제조 시 포함된 에탄올의 비율에 따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중 설포라핀의 함량 변화
무순 추출물의 제조 시 사용한 에탄올의 비율에 따라 포함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진될 수 있는지를 설포라핀의 함량 변화를 통하여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적양무 종자(무 씨앗)와 무순을 -80℃에서 보관 후 동결건조하여 분쇄하였다. 각 분쇄 샘플들을 0, 5, 10, 20, 30 및 50%(v/v)의 에탄올로 추출하였고, 각 추출물을 -80℃에서 보관 후 동결 건조하여 에탄올 비율별 무종자 및 무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각 추출물을 증류수에 녹인 후 다이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액체-액체 추출법(liquid-liquid extraction : LLE)으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추출액에 무수 황산 나트륨(anhydrous sodium sulfate)를 첨가하여 잔류하는 물을 모두 제거 후 스피드배큠으로 유기용매를 모두 증발시켰다. 이후 분석용 샘플을 재용해하여 필터로 여과 후, 분석용 샘플은 설포라핀 함량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로 분석하고 이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무 종자의 경우 포함된 설포라핀(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각각 0% (v/v), 5% (v/v), 10% (v/v), 20% (v/v), 30% (v/v) 및 50% (v/v) 에탄올에서 순서대로 건조 추출물 대비 8.58 mg/g, 29.93 mg/g, 34.98 mg/g, 32.06 mg/g, 24.87 mg/g, 4.84 mg/g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무 종자 추출물의 경우는 10%(v/v) 내지 20%(v/v)의 에탄올에서 포함된 설포라핀의 함량이 최대인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무순의 경우 포함된 설포라핀(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은 각각 0% (v/v), 5% (v/v), 10% (v/v), 20% (v/v), 30% (v/v) 및 50% (v/v) 에탄올에서 순서대로 건조 추출물 대비 42.12 mg/g, 43.89 mg/g, 40.43 mg/g, 35.13 mg/g, 24.22 mg/g 및 8.82 mg/g 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무종자와 달리 무순은 0%(v/v) 내지 5%(v/v) 에탄올을 포함하는 추출용액으로 추출된 경우에도 설포라핀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내지 10%(v/v)의 에탄올이 포함된 추출용액에서 설포라핀의 함량이 최대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에탄올의 농도가 10%(v/v)보다 증가하는 경우에는 설포라핀의 함량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 종자와 무순에 각각 설포라핀의 함량이 가장 높게 관찰된 최적의 에탄올을 포함한 추출용액을 적용하여 설포라핀을 추출 후 함량을 비교한 결과, 무 종자 추출물 내 설포라핀 함량의 최대값보다 최적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재배한 무순 추출물 내 설포라핀 함량의 최대값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추출공정에 있어서 무 종자와 무순은 물 및 에탄올에 대한 서로 다른 반응이 나타나므로, 무순 내 포함된 설포라핀의 함량을 최대로 증진시키기 위하여는 최적의 에탄올 함량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며, 각 최적의 추출조건을 적용하였을 때 무순 추출물 내에는 무 종자 추출물보다 설포라핀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역시 다량으로 함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특허는 서울대학교 교내과제번호 0534-20200063의 결과물으로, 설포라핀 고함유 내복자 소재의 체지방 감소 건강기능식품 원료허가를 위한 공동연구 및 내복자 유래 소재(무순) 맞춤 최적 추출/재배 연구 (교내과제번호 0534-20200063)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민간지원사업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 과제고유번호 : 교내과제번호 0534-20200063
- 부처명 : 주식회사 밥스누
- 연구관리전문기관 : 주식회사 밥스누
- 연구사업명 : 민간지원사업
- 연구과제명 : 설포라핀 고함유 내복자 소재의 체지방 감소 건강기능식품 원료허가를 위한 공동연구 및 내복자 유래 소재(무순) 맞춤 최적 추출/재배 연구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연구기간 : 2020.11.01 - 2022.04.30

Claims (12)

  1. 무 종자를 물에 침지하여 무순으로 재배하는 단계; 및
    무순을 수확하여 항온수조에서 30분 내지 7시간동안 보관하고 무순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물 내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된 무순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에탄올은 0.1%(v/v) 내지 5 %(v/v)의 에탄올인 것인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순은 적양무순인 것인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순은 48 내지 96시간 동안 재배된 것인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온수조는 20℃ 내지 45℃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인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관하는 단계는 무순에 추가적으로 0.5mM 내지 3mM의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8. 청구항 1 내지 4 및 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된 무순 추출물.
  9. 청구항 8의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대사증후군은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간질환, 과인슐린혈증, 과혈당증 및 2형 당뇨병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8의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청구항 8의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0220015803A 2022-02-07 2022-02-07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증대된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7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803A KR102467837B1 (ko) 2022-02-07 2022-02-07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증대된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803A KR102467837B1 (ko) 2022-02-07 2022-02-07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증대된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837B1 true KR102467837B1 (ko) 2022-11-21

Family

ID=8423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803A KR102467837B1 (ko) 2022-02-07 2022-02-07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증대된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8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929A (ko) * 2008-02-09 2008-02-28 주식회사 유니바이오 브로컬리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KR101907179B1 (ko) * 2017-04-28 2018-10-1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포라핀을 다량 함유하는 무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무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중, 혈당조절용 및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약품 조성물, 동물용 의약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929A (ko) * 2008-02-09 2008-02-28 주식회사 유니바이오 브로컬리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KR101907179B1 (ko) * 2017-04-28 2018-10-1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포라핀을 다량 함유하는 무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무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중, 혈당조절용 및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약품 조성물, 동물용 의약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10005294A (ko) 글루타티온 생산 촉진제, 글루타티온의 결핍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치료제, 음식품 및 사료
CN111902049A (zh) 宿醉解酒功能优异并且预防酒精所致肝损伤的健康饮料组成物
TWI239245B (en) Medical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for a disease requiring enhancement of nerve growth factor production for treatment or prevention
KR20190088424A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강화 또는 근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72979B1 (ko) 갈색거저리 단백질 및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또는 근위축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2467837B1 (ko)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증대된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208813A (zh) 一种具有保健作用的减肥消脂片及其制备方法
JP2003252775A (ja) Nk細胞活性化剤
KR102042352B1 (ko) 땅콩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강화 또는 근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01159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26523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조절 및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첨가물
JPWO2008123417A1 (ja) 抗疲労剤
TWI294284B (ko)
KR20220006486A (ko) 설포라핀이 증대된 내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2255B1 (ko) 목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50085215A (ko) 흑마늘 및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2711B1 (ko)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 촉진용 조성물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81855B1 (ko) 최소배지를 이용한 스피루리나 속 조류의 생산방법
KR102166046B1 (ko)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026857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