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259B1 -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259B1
KR102467259B1 KR1020150053896A KR20150053896A KR102467259B1 KR 102467259 B1 KR102467259 B1 KR 102467259B1 KR 1020150053896 A KR1020150053896 A KR 1020150053896A KR 20150053896 A KR20150053896 A KR 20150053896A KR 102467259 B1 KR102467259 B1 KR 102467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ssembly
lens
lenses
lens barre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626A (ko
Inventor
이창배
김수정
박환수
조기윤
조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259B1/ko
Priority to US15/098,407 priority patent/US20160306132A1/en
Publication of KR2016012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7/004Manual alignment, e.g. micromanipul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with movable len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at close distan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촬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렌즈 경통에 있어서, 제1 렌즈들이 장착되는 제1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렌즈들과 광축 정렬되는 제2 렌즈들이 장착되는 제2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렌즈들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렌즈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전자기력에 의해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렌즈 경통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LENS BARREL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렌즈 경통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는 렌즈 경통에 관한 것이다.
렌즈 경통은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에 장착되며, 피사체의 이미지를 유도하여 결상시키기 위한 렌즈들과, 이러한 렌즈들을 수용하는 렌즈 어셈블리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렌즈 경통은 카메라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촬영되는 피사체의 범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렌즈 어셈블리들이 광축방향을 따라 구동됨에 따라, 렌즈들이 피사체의 배율을 조정하는 줌 동작과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렌즈들은 유리(glass)로 제작된 것과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성능을 최우선으로 하는 렌즈에는 유리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플라스틱 렌즈는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으며 낮은 가격에 재작하기도 쉬워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소재의 렌즈는 유리 렌즈와 비교해 투과율과 굴절률이 낮으나, 최근에 플라스틱 재질의 개량이 진행되면서 유리의 성능에 근접하고 있다.
렌즈 경통의 소형화 및 제조비 절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를 경통 렌즈에 적용할 경우, 렌즈들을 경통 렌즈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광축을 일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형화된 렌즈 경통에 장착된 렌즈들의 줌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광축을 일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수의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여 렌즈 경통을 소형화하면서 다수의 렌즈들의 광축을 일치시키는 렌즈 경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수의 렌즈들의 광축이 일치되면서 렌즈 경통 내에서 렌즈들이 줌 동작을 수행되는 렌즈 경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촬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렌즈 경통에 있어서,
제1 렌즈들이 장착되는 제1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렌즈들과 광축 정렬되는 제2 렌즈들이 장착되는 제2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렌즈들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렌즈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전자기력에 의해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제2 렌즈에 대해 제1 렌즈의 상대적인 위치를 전자기력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렌즈 경통의 크기를 줄여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상대적인 위치를 전자기력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2 렌즈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와 제2 렌즈 어셈블리가 광축 방향으로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에 안내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에 제1 렌즈들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2 렌즈 어셈블리에 제1 렌즈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에 정렬 장치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렬 장치의 암이 제2 렌즈 어셈블리의 제1 개구를 따라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2 렌즈 어셈블리에 회로부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2 렌즈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와 제2 렌즈 어셈블리가 광축 방향으로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100)은 제1 렌즈 어셈블리(101), 제2 렌즈 어셈블리(103), 회로부(108), 커버 마운트(107)를 포함하며, 촬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는 카메라,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는 제1 렌즈(102)들이 장착되는 렌즈 고정부(111) 및 상기 제1 렌즈(102)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링(121)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02)들은 유리(glass) 또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렌즈 고정부(111)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 고정부(111)의 내경은 상기 제1 렌즈(102)들의 외경과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링(121)들의 외경은 상기 제1 렌즈(102)의 외경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02)들은 상기 제1 링(121)들과 함께 상기 렌즈 고정부(111) 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121)들이 상기 제1 렌즈(102)들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 렌즈(102)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링(121)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고정부(111)은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렌즈 고정부(111)에 장착된 상기 제1 렌즈(102)들은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 내에서 광축(O)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에는 제2 렌즈(104)들이 장착되는 홀(10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03a)의 내경은 상기 제2 렌즈(104)의 외경과 대응되어 상기 제2 렌즈(104)들이 상기 홀(103a)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04)들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는 상기 제2 렌즈(104)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링(14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04)들은 상기 제2 링(141)과 함께 상기 홀(103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는 상기 제1 렌즈(102)들과 상기 제2 렌즈(104)들이 광축(O)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에는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의 일부분,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에 대면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안착부(10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는 상기 안착부(103b)에 안착된 후,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 고정부(111)에 장착된 상기 제1 렌즈(102)들은 상기 광축(O)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2 렌즈(104)들과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하게 됨에 따라, 상기 렌즈 경통의 초점 조절 기능과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로부(108)는 후술할 조절부에 전달하는 전류 또는 제어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회로부(108)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 마운트(107)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제2 렌즈 어셈블리(101, 103)와 상기 회로부(108)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마운트(107)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와 함께 상기 제1, 제2 렌즈 어셈블리(101, 103)와 상기 회로부(108)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에 안내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에 제1 렌즈들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101)는 렌즈 모듈(113), 하우징(115) 및 안내부(1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113)은 상기 제1 렌즈(102)들이 장착된 상기 렌즈 고정부(111)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고정부(111)의 외경은 상기 렌즈 모듈(113)의 내경에 대응되어 상기 렌즈 고정부(111)가 상기 렌즈 모듈(113)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5)은 상기 렌즈 모듈(113)을 상기 광축(O, 도 5)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제1 렌즈(102)들이 상기 하우징(115)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5)의 일측은 제1 개구(115a)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개구(115a)를 통해 상기 렌즈 모듈(113)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115)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17)는 상기 하우징(115)의 제1 개구(115a)에 결합되며, 상기 안내부(117)의 일면은 상기 렌즈 모듈(113)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부(117)가 상기 제1 개구(115a)를 통해 삽입되어 움직이게 되면, 상기 렌즈 모듈(113)이 상기 안내부(117)와 함께 상기 하우징(115) 내에서 움직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모듈(113)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113)에 장착된 제1 렌즈(102)들의 기울기,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15)의 바닥에 대한 상기 제1 렌즈(102)들의 기울기가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104)들에 대한 상기 제1 렌즈(102)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은 상기 제2 렌즈(104)들에 대해 상기 광축(O, 도 5)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렌즈(102)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06)는 상기 렌즈 모듈(100)의 외벽에 장착되는 자석(163) 및 상기 안내부(117)에 장착되는 코일(16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일(161)은 전류를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코일(161)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은 상기 자석(163)에 영향을 주어 상기 자석(163)이 장착된 렌즈 모듈(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일(161)에 제1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렌즈 모듈(100)은 상기 제1 전류에 의해 발생된 제1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5) 내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코일(161)에 상기 제2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렌즈 모듈(100)은 상기 제2 전류에 의해 발생된 제2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5)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161)의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100)은 상기 하우징(115)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여 상기 제1 렌즈(102)들과 상기 제2 렌즈(104)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2 렌즈 어셈블리에 제1 렌즈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1 렌즈 어셈블리에 정렬 장치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렬 장치의 암이 제2 렌즈 어셈블리의 제1 개구를 따라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에 대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 상에 안착시킨 후,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와 볼트 결합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와 볼트 결합 과정에서, 상기 제1 렌즈(102, 도 5)들은 상기 제2 렌즈(104, 도 5)들과 다른 광축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02, 도 5)들과 상기 제2 렌즈(104, 도 5)들의 광축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정렬 장치(200)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에 대해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의 위치를 조정,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정렬 장치(200)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가 안착되는 안착면(203)과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를 잡는(holding) 암(20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에 형성되는 제2 개구(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131)는 정렬 장치(200)의 암(201)이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가 안착된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는 상기 정렬 장치(200)의 안착면(203) 상에 배치시킨 후,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정렬 장치(200)의 암(201)은 상기 제2 개구(131)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의 안내부(113, 도 7)의 외벽(163, 도 7)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의 외벽(163, 도 7)은 가이드 홀(165)들이 구비되며, 상기 정렬 장치의 암(201)에는 상기 가이드 홀(165, 도 7)에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홀(165)들은 상기 정렬 장치(200)가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를 잡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정렬 장치의 암(201)은 공기 배출을 통해 상기 안내부의 외벽(163, 도 7)과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정렬 장치의 암(201)은 상기 안내부(113, 도 7)를 잡은 상태로, 상/하/좌/우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렌즈(102, 도 5)들의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제1 렌즈(102, 도 5)들의 광축(O, 도 5)과 상기 제2 렌즈(104, 도 5)들의 광축(O, 도 5)을 일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를 볼트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렌즈(102, 도 5)들은 상기 제2 렌즈(104, 도 5)들과 다른 광축에 배치되면, 상기 정렬 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부(113, 도 7)의 위치를 변경한 후, 다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를 볼트 결합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볼트 결합과 상기 안내부(101)의 위치 조절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상기 제1 렌즈(102, 도 5)들의 광축(O, 도 5)과 상기 제2 렌즈(104, 도 5)들의 광축(O, 도 5)을 일치되면, 상기 안내부(113, 도 7)과 상기 하우징(115, 도 7) 사이에 접착제를 투여하여 상기 안내부(113, 도 7)가 상기 하우징(115, 도 7)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의 제2 렌즈 어셈블리에 회로부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렌즈 경통은 회로부(108), 제3 개구(133) 및 연결부(181, 183, 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부(108)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의 일면(134),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가 상기 커버 마운트(107)를 향하는 내면(134) 상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회로부(108)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의 일면(134)의 반대면인 타면(136)에 배치되는 것에 비해 렌즈 경통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회로부(108)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의 내에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0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부(108)는 상기 조절부(106, 도 8)를 구동시켜, 상기 제2 렌즈(104, 도 5)에 대한 상기 제1 렌즈(102, 도 5)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133)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03)의 전/후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181, 183, 185)는 상기 제3 개구(133)를 통해 후술할 전자 장치(300, 도 15)와 상기 회로부(108)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부(181), 제2 연결부(185) 및 연결라인(18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81)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의 일면(134) 상에 배치된 상기 회로부(108)에 접속하고, 상기 제2 연결부(185)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의 타면(136)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라인(183)는 상기 제3 개구(133)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연결부(181)와 상기 제2 연결부(18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로부(108)를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의 일면(134) 상에 배치하더라도 상기 제3 개구를 경유하는 상기 연결부(181, 183, 185)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의 타면(136)에 대면되는 전자 장치(300, 도 15)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단말,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서버 등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또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동 또는 셀룰러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소지역 통신망(Small Area Network: SAN)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예시로 하여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3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싱(3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300)의 측면에는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디엠비 안테나(331), 이어폰 연결잭(332), 마이크(333), 볼륨 증가 버튼(334), 볼륨 감소 버튼(3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00)의 하단 측면에는 입력 장치(예: 디지털 펜)가 수납되는 입력 장치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300)의 후면에는 카메라(311), 상기 렌즈 경통(100)과 결합되는 결합부(313) 및 상기 렌즈 경통(10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단자(3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13)는 슬릿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 경통(10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경통(100)의 일부분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313)의 내측으로 휘어져 삽입된 후 상기 결합부(313)에 구속됨에 따라, 상기 렌즈 경통(100)이 상기 케이싱(301)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렌즈 경통(100)의 일부분은 상기 결합부(313)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렌즈 경통(100)이 상기 케이싱(301)에서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315)는 상기 케이싱(301)의 외측면, 예를 들면, 상기 케이싱(301)에 배치되는 카메라(311)와 나란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315)는 씨-클립(C-clip) 등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315)는 상기 제3 연결부(185)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전자 장치(300)로부터 전류 또는 제어신호를 상기 회로부(108, 도 14)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촬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렌즈 경통에 있어서, 제1 렌즈들이 장착되는 제1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렌즈들과 광축 정렬되는 제2 렌즈들이 장착되는 제2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렌즈들에 대해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렌즈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렌즈들이 장착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며, 일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제1 개구에 결합되는 안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렌즈 모듈의 외벽에 장착되는 자석 및 상기 안내부에 장착되는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자석과 상기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정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에 대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위치가 조정,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는 가이드 홀과 가이드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홀 또는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정렬 장치가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를 잡는(holding)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부를 구동시키는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은,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에 형성되는 제3 개구 및 상기 제3 개구를 통해 전자 장치와 상기 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 내에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렌즈 경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경통이 상기 케이싱에 착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외측면에 배치된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렌즈 경통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렌즈 경통 101: 제1 렌즈 어셈블리
102: 제1 렌즈들 103: 제2 렌즈 어셈블리
104: 제2 렌즈들 106: 조절부
107: 커버 마운트 108: 회로부
200: 정렬 장치 300: 전자 장치

Claims (11)

  1. 촬상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 렌즈 경통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광축을 가지도록 제1 렌즈들이 장착되는 제1 렌즈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1 렌즈들이 장착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며 일측에 제1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에 결합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제1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렌즈들과 광축 정렬되는 제2 렌즈들이 장착되는 제2 렌즈 어셈블리;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렌즈들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렌즈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전자기력에 의해 조절하는 조절부로서, 상기 렌즈 모듈의 외벽에 장착되는 자석, 및 상기 안내부에 장착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과 상기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렌즈 모듈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절부; 및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정렬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에 대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위치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에 대한 위치가 조정 가능하고,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 내에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와 나란하게 배치된 회로부; 및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에 형성되는 제3 개구; 및
    상기 제3 개구를 통해 전자 장치와 상기 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렌즈 경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는 가이드 홀과 가이드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홀 또는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정렬 장치가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를 잡는(holding) 위치를 안내하는 렌즈 경통.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 및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경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경통이 상기 케이싱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렌즈 경통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자 장치.
KR1020150053896A 2015-04-16 2015-04-16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467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96A KR102467259B1 (ko) 2015-04-16 2015-04-16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15/098,407 US20160306132A1 (en) 2015-04-16 2016-04-14 Lens barre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96A KR102467259B1 (ko) 2015-04-16 2015-04-16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626A KR20160123626A (ko) 2016-10-26
KR102467259B1 true KR102467259B1 (ko) 2022-11-16

Family

ID=5712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896A KR102467259B1 (ko) 2015-04-16 2015-04-16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306132A1 (ko)
KR (1) KR102467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56962A (zh) * 2017-01-05 2017-04-05 武汉微梦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镜头快换的拍摄架及摄影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2727B2 (ja) 1995-09-22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2010224526A (ja) * 2009-02-27 2010-10-07 Panasonic Corp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1209642A (ja) 2010-03-30 2011-10-20 Hoya Corp デジタルカメラのモータ配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452A (ja) * 2005-04-22 2006-11-02 Canon Inc 光学機器
JP2007163594A (ja) * 2005-12-09 2007-06-28 Canon Inc 光学機器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07163595A (ja) * 2005-12-09 2007-06-28 Canon Inc 光学機器
JP2009222899A (ja) * 2008-03-14 2009-10-01 Canon Inc 像振れ補正装置
KR101599544B1 (ko) * 2008-12-24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5436014B2 (ja) * 2009-04-13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
US8807847B2 (en) * 2011-02-09 2014-08-19 Panasonic Corporatio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6391433B2 (ja) * 2013-12-17 2018-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部材を光路から退避可能な光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2727B2 (ja) 1995-09-22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2010224526A (ja) * 2009-02-27 2010-10-07 Panasonic Corp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1209642A (ja) 2010-03-30 2011-10-20 Hoya Corp デジタルカメラのモータ配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626A (ko) 2016-10-26
US20160306132A1 (en)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7603B2 (en) Camera module
US10634867B2 (en) Camera module
US11796891B2 (en) Optical driving mechanism
CN109218576B (zh) 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便携式电子装置
US20160178924A1 (en) Camera module
US7450834B2 (en)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CN109274877B (zh) 成像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KR101751132B1 (ko) 카메라 모듈
US9813628B2 (en)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185060B1 (ko) 카메라 모듈
US20160299349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791274B2 (en) Camera module capable of wide-angle shooting normal-angle shooting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60170170A1 (en) Camera module
TWI660229B (zh) 鏡頭驅動模組、攝影系統與手機裝置
KR20150113675A (ko) 듀얼 카메라 모듈
WO2007018085A1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組立方法
US20160377827A1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TWI706215B (zh) 鏡片組驅動裝置、攝影模組與電子裝置
JP2007178541A (ja) 撮像レンズ構成体、光学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並びにこれらの組込み、製造方法
JP2008107616A (ja) 撮像レンズ、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端末
CN105049556A (zh) 移动终端
KR102163005B1 (ko) 렌즈구동모터
KR20150006785A (ko) 카메라 모듈
US7663817B1 (en) Optical system with plano convex lens
US7660056B1 (en) Lens barr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