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020B1 -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020B1
KR102467020B1 KR1020210024196A KR20210024196A KR102467020B1 KR 102467020 B1 KR102467020 B1 KR 102467020B1 KR 1020210024196 A KR1020210024196 A KR 1020210024196A KR 20210024196 A KR20210024196 A KR 20210024196A KR 102467020 B1 KR102467020 B1 KR 102467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er
flange
coupling
tail
pull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289A (ko
Inventor
박종덕
박혁순
이기영
신민석
김연우
Original Assignee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to KR1020210024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02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2Guides for slid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4Jacks with screw and nut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을 이송하는 공기부양 컨베이어벨트 및 롤러의 손상을 점검하거나 부착된 케이크의 조기발견을 위해 컨베이어벨트를 저속 고토크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지면에서 이동가능한 거치대(100)와, 거치대(100)에 거치된 상태로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를 감속시키는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200)와, 감속기(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구동부(300)와, 감속기(200)를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의 태일롤러(2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400)를 포함하고, 거치대(100)는 감속기(200)가 고정되는 거치판(110)과, 거치판(110)에 연결되는 거치다리(120)와, 거치다리(120)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130)과, 베이스프레임(130)에 설치된 상태로 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140)와, 베이스프레임(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강되면 지면에 고정되어 바퀴(140)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승되면 지면에서 이격되어 바퀴(140)의 이동을 허용하는 앵커부(1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for inspection of air-floating conveyor belts}
본 발명은 석탄을 이송하는 공기부양 컨베이어벨트 및 롤러의 손상을 점검하거나 부착된 케이크의 조기발견을 위해 컨베이어벨트를 저속 고토크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부양 컨베이어벨트는 복수의 노즐이 설치된 에어덕트 상부에 이송벨트를 위치시키고, 노즐에서 배출되는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이송벨트를 부양시킨 상태로 운반물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 이다. 이러한,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는 이송벨트의 미끄럼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석탄이송을 위한 통상의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는 구동부인 헤드롤러가 전동기에 연결되어 벨트를 구동하는 방식이므로, 벨트컨베이어의 표면상태 등의 점검을 위해 벨트컨베이어를 저속구동하기 위해서는 인버터를 추가하는 개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인버터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구동부 측의 전면적인 변경이 요구되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10-1322636호(2013.10.18.)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석탄을 이송하는 공기부양 컨베이어벨트 및 롤러의 손상을 점검하거나 부착된 케이크의 조기발견을 위해 컨베이어벨트를 저속 고토크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는, 지면에서 이동가능한 거치대(100)와, 거치대(100)에 거치된 상태로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를 감속시키는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200)와, 감속기(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구동부(300)와, 감속기(200)를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의 태일롤러(2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400)를 포함하고, 거치대(100)는 감속기(200)가 고정되는 거치판(110)과, 거치판(110)에 연결되는 거치다리(120)와, 거치다리(120)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130)과, 베이스프레임(130)에 설치된 상태로 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140)와, 베이스프레임(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강되면 지면에 고정되어 바퀴(140)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승되면 지면에서 이격되어 바퀴(140)의 이동을 허용하는 앵커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연결부재(400)는 태일롤러(20)에 연결되는 롤러연결부(410)와, 감속기(200)에 연결되는 감속기연결부(420)와, 롤러연결부(410) 및 감속기연결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진동감소 및 얼라인먼트를 보정하는 디스크커풀링(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롤러연결부(410)는 태일롤러(20)에 접촉되는 태일플랜지(411)와, 태일플랜지(411)를 태일롤러(20)에 체결시키는 태일체결부(412)와, 태일플랜지(411)에서 돌출되어 디스크커풀링(430)의 일단에 키결합되는 태일플랜지축(413)을 포함하고, 감속기연결부(420)는 감속기(200)에 연결되는 감속기플랜지(421)와, 감속기플랜지(421)를 감속기(200)에 체결시키는 감속기체결부(422)와, 감속기플랜지(421)에서 돌출되어 디스크커풀링(430)의 타단에 키결합되는 감속기플랜지축(423)을 포함하고, 디스크커풀링(430)은 양단에 커풀링플랜지(432)가 형성되는 커풀링몸체(431)와, 일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연결되는 일단플랜지(433), 일단플랜지(433)를 일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체결시키는 일단체결부(439), 일단플랜지(433)에서 돌출되면서 내부공간이 끝단으로 개방되어 롤러연결부(410)의 태일플랜지축(413)이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일단플랜지축(434)으로 이루어지는 일단커플링(435)과, 타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연결되는 타단플랜지(436), 타단플랜지(436)를 타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체결시키는 타단체결부(440), 일단플랜지(433)에서 돌출되면서 내부공간이 끝단으로 개방되어 감속기연결부(420)의 감속기플랜지축(423)이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타단플랜지축(437)으로 이루어지는 타단커플링(4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거치대(100)에 구비된 상태로 감속기(200)를 승강시키는 감속기높이 조절부(500)를 포함하고, 감속기높이 조절부(500)는 거치판(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감속기(200)가 설치되는 승강판(510)과, 승강판(510)에 사방으로 분산되면서 관통되게 설치되는 4개의 너트부(520)와, 너트부(520)들마다 하부에 위치되면서 거치판(110)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하부풀리(530)와, 하부풀리(530)들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4개의 상부풀리(540)와, 상부풀리(540)들의 상부에 각각의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너트부(520)에 나사결합되는 4개의 나사축(550)과, 하부풀리(530)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다른 하부풀리(530)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중간하부풀리(560)와, 중간하부풀리(560)들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중간상부풀리(570)와, 양단이 서로 인접하는 하부풀리(530)들에 감기거나 하부풀리(530) 및 중간하부풀리(560)에 감기는 3개의 하부벨트(580)와, 양단이 서로 인접하는 상부풀리(540)들에 감기거나 상부풀리(540) 및 중간상부풀리(570)에 감기는 3개의 상부벨트(590)와, 어느 하나의 중간상부풀리(570)를 회전시키는 풀리회전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풀리회전부(600)는 중간상부풀리(570)에 고정되는 수직베벨기어(610)와, 수직베벨기어(610)에 교합되는 수평베벨기어(620)와, 수평베벨기어(62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석탄을 이송하는 공기부양 컨베이어벨트 및 롤러의 손상을 점검하거나 부착된 케이크의 조기발견을 위해 컨베이어벨트를 저속 고토크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부상 컨베이어 벨트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대에 감속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감속기높이 조절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감속기높이 조절부에 의해 승강판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감속기높이 조절부에 의해 승강판이 상승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는, 지면에서 이동가능한 거치대(100)와, 거치대(100)에 거치된 상태로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를 감속시키는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200)와, 감속기(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구동부(300)와, 감속기(200)를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의 태일롤러(2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400)를 포함한다.
먼저,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는 전동기에 의해 회전되는 헤드롤러(10)와, 헤드롤러(1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는 태일롤러(20)와, 헤드롤러(10) 및 태일롤러(20)에 감겨져서 석탄을 이송시키는 벨트(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는 전동기가 작동되어서 헤드롤러(10)를 회전시키면 벨트(30)가 회전되면서 석탄을 이송하게 된다.
거치대(100)는 감속기(200)가 고정되는 거치판(110)과, 거치판(110)에 연결되는 거치다리(120)와, 거치다리(120)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130)과, 베이스프레임(130)에 설치된 상태로 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140)와, 베이스프레임(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강되면 지면에 고정되어 바퀴(140)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승되면 지면에서 이격되어 바퀴(140)의 이동을 허용하는 앵커부(150)를 포함한다.
거치판(110)은 감속기(200)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거치다리(120)에 의해 거치판(110)에 거치된 감속기(200)가 태일롤러(20)에 근접되는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30)의 상부에 거치다리(120)들이 분산되게 고정되고 베이스프레임(130)의 하부에 바퀴(140) 및 앵커부(150)가 분산되게 고정된다.
앵커부(150)는 베이스프레임(130)을 상하로 관통하여서 지면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샤프트와, 베이스프레임(130)을 측방으로 관통하여서 샤프트의 관통홀에 결합되는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핀이 샤프트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면 샤프트의 상승되어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고, 샤프트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핀이 샤프트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면 샤프트의 하강되어 지면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거치대(100)를 태일롤러(20)까지 이동시킨 후에 앵커부(150)를 작동시켜서 거치대(10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거치대(100)에 거치된 감속기(200)를 연결부재(400)를 이용하여 태일롤러(20)에 연결시킬 수 있다.
감속기(200)는 톱니바퀴식이나 유체식 또는 마찰식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감속기구동부(300)에 의해 구동되면 태일롤러(20)를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감속기구동부(300)는 감속기(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는 감속기(200)의 외부에 고정되고 모터축이 감속기(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기어들에서 구동기어에 연결된다. 즉, 모터가 모터축을 회전시키면 기어들이 회전되면서 태일롤러(20)를 저속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연결부재(400)는 태일롤러(20)에 연결되는 롤러연결부(410)와, 감속기(200)에 연결되는 감속기연결부(420)와, 롤러연결부(410) 및 감속기연결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진동감소 및 얼라인먼트를 보정하는 디스크커풀링(430)을 포함한다.
롤러연결부(410)는 태일롤러(20)에 접촉되는 태일플랜지(411)와, 태일플랜지(411)를 태일롤러(20)에 체결시키는 태일체결부(412)와, 태일플랜지(411)에서 돌출되어 디스크커풀링(430)의 일단에 키결합되는 태일플랜지축(413)을 포함한다.
감속기연결부(420)는 감속기(200)에 연결되는 감속기플랜지(421)와, 감속기플랜지(421)를 감속기(200)에 체결시키는 감속기체결부(422)와, 감속기플랜지(421)에서 돌출되어 디스크커풀링(430)의 타단에 키결합되는 감속기플랜지축(423)을 포함한다.
디스크커풀링(430)은 양단에 커풀링플랜지(432)가 형성되는 커풀링몸체(431)와, 일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연결되는 일단플랜지(433), 일단플랜지(433)를 일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체결시키는 일단체결부(439), 일단플랜지(433)에서 돌출되면서 내부공간이 끝단으로 개방되어 롤러연결부(410)의 태일플랜지축(413)이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일단플랜지축(434)으로 이루어지는 일단커플링(435)과, 타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연결되는 타단플랜지(436), 타단플랜지(436)를 타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체결시키는 타단체결부(440), 일단플랜지(433)에서 돌출되면서 내부공간이 끝단으로 개방되어 감속기연결부(420)의 감속기플랜지축(423)이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타단플랜지축(437)으로 이루어지는 타단커플링(438)을 포함한다.
여기서, 태일롤러(20)가 회전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이 디스크커풀링(430)에 의해 감소되므로 전체적인 구조의 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어서 진동에 의한 부품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감속기(200), 연결부재(400) 및 태일롤러(20)의 연결상태가 정확하게 일직선을 이루지 않아도 디스크커풀링(430)에 의해 얼라인먼트가 보정될 수 있어서, 감속기(200)가 태일롤러(20)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태일롤러(20)를 저속 고토크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저속으로 회전되는 태일롤러(20) 및 벨트(3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손상된 부분의 유무를 확인하면서 표면에 눌러 붙은 케이크도 확인할 수 있어서, 이에 대해 조취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치대(100)에 구비된 상태로 감속기(200)를 승강시키는 감속기높이 조절부(500)를 포함한다.
감속기높이 조절부(500)는 거치판(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감속기(200)가 설치되는 승강판(510)과, 승강판(510)에 사방으로 분산되면서 관통되게 설치되는 4개의 너트부(520)와, 너트부(520)들마다 하부에 위치되면서 거치판(110)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하부풀리(530)와, 하부풀리(530)들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4개의 상부풀리(540)와, 상부풀리(540)들의 상부에 각각의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너트부(520)에 나사결합되는 4개의 나사축(550)과, 하부풀리(530)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다른 하부풀리(530)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중간하부풀리(560)와, 중간하부풀리(560)들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중간상부풀리(570)와, 양단이 서로 인접하는 하부풀리(530)들에 감기거나 하부풀리(530) 및 중간하부풀리(560)에 감기는 3개의 하부벨트(580)와, 양단이 서로 인접하는 상부풀리(540)들에 감기거나 상부풀리(540) 및 중간상부풀리(570)에 감기는 3개의 상부벨트(590)와, 어느 하나의 중간상부풀리(570)를 회전시키는 풀리회전부(600)를 포함한다.
승강판(510)의 하부에는 지지샤프트(511)가 형성되어 승강판(510)이 하강되면 지지샤프트(511)의 끝단이 거치판(110)의 상부에 지지되어 승강판(510)이 지지샤프트(511)에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샤프트(511)는 풀리들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거치판(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풀리들이 승강판(510)의 하부에 간섭됨이 방지될 수 있다.
첫 번째 하부벨트(580)는 중간하부풀리(560) 및 인접하는 하부풀리(530)에 감기고, 첫 번째 상부벨트(590)는 첫 번째 하부벨트(580)가 감긴 하부풀리(5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풀리(540) 및 인접하는 상부풀리(540)에 감기고, 두 번째 하부벨트(580)는 첫 번째 상부벨트(590)가 감긴 상부풀리(540)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풀리(530) 및 인접하는 중간하부풀리(560)에 감기고, 두 번째 상부벨트(590)는 두 번째 하부벨트(580)가 감긴 중간하부풀리(560)의 상부에 고정되는 중간상부풀리(570) 및 인접하는 상부풀리(540)에 감기고, 세 번째 하부벨트(580)는 두 번째 상부벨트(590)가 감긴 상부풀리(540)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풀리(530) 및 인접하는 하부풀리(530)에 감기고, 세 번째 상부벨트(590)는 세 번째 하부벨트(580)가 감긴 하부풀리(53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풀리(540) 및 인접하는 중간상부풀리(570)에 감긴다.
따라서, 풀리회전부(600)가 하나의 중간상부풀리(570)를 회전시키면 전체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너트부(520)들에 나사결합된 나사축(550)들이 동시에 회전되므로 승강판(510)이 감속기(20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풀리회전부(600)는 중간상부풀리(570)에 고정되는 수직베벨기어(610)와, 수직베벨기어(610)에 교합되는 수평베벨기어(620)와, 수평베벨기어(62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630)를 포함한다.
수직베벨기어(610) 및 수평베벨기어(620)에 의해 회전구동부(630)의 회전력이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되면서 전달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630)는 'S'형태로 절곡되어 끝단이 수평베벨기어(620)에 연결되는 샤프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구동부(630)인 샤프트는 거치판(110)에 형성된 브래킷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구동부(630)인 샤프트를 회전시켜서 수평베벨기어(6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구동부(630)는 수평베벨기어(620)에 모터축이 연결되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구동부(630)에 의해 수평베벨기어(620)가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판(5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승강판(510)에 거치된 감속기(200)의 높이를 태일롤러(20)의 높이에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감속기(200) 및 태일롤러(20)의 얼라인먼트가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석탄을 이송하는 공기부양 컨베이어벨트 및 롤러의 손상을 점검하거나 부착된 케이크의 조기발견을 위해 컨베이어벨트를 저속 고토크로 회전시킬 수 있어서, 해당 분야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헤드롤러 20 : 태일롤러
30 : 벨트
100 : 거치대 110 : 거치판
120 : 거치다리 130 : 베이스프레임
140 : 바퀴 150 : 앵커부
200 : 감속기 300 : 감속기구동부
400 : 연결부재 410 : 롤러연결부
411 : 태일플랜지 412 : 태일체결부
413 : 태일플랜지축 420 : 감속기연결부
421 : 감속기플랜지 422 : 감속기체결부
423 : 감속기플랜지축 430 : 디스크커풀링
431 : 커풀링몸체 432 : 커풀링플랜지
433 : 일단플랜지 434 : 일단플랜지축
435 : 일단커플링 436 : 타단플랜지
437 : 타단플랜지축 438 : 타단커플링
500 : 감속기높이 조절부 510 : 승강판
520 : 너트부 530 : 하부풀리
540 : 상부풀리 550 : 나사축
560 : 중간하부풀리 570 : 중간상부풀리
580 : 하부벨트 590 : 상부벨트
600 : 풀리회전부 610 : 수직베벨기어
620 : 수평베벨기어 630 : 회전구동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지면에서 이동가능한 거치대(100)와,
    거치대(100)에 거치된 상태로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를 감속시키는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200)와,
    감속기(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구동부(300)와,
    감속기(200)를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의 태일롤러(2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400)를 포함하고,
    거치대(100)는
    감속기(200)가 고정되는 거치판(110)과,
    거치판(110)에 연결되는 거치다리(120)와,
    거치다리(120)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130)과,
    베이스프레임(130)에 설치된 상태로 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140)와,
    베이스프레임(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강되면 지면에 고정되어 바퀴(140)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승되면 지면에서 이격되어 바퀴(140)의 이동을 허용하는 앵커부(150)를 포함하고,
    연결부재(400)는
    태일롤러(20)에 연결되는 롤러연결부(410)와,
    감속기(200)에 연결되는 감속기연결부(420)와,
    롤러연결부(410) 및 감속기연결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진동감소 및 얼라인먼트를 보정하는 디스크커풀링(430)을 포함하고,
    롤러연결부(410)는
    태일롤러(20)에 접촉되는 태일플랜지(411)와,
    태일플랜지(411)를 태일롤러(20)에 체결시키는 태일체결부(412)와,
    태일플랜지(411)에서 돌출되어 디스크커풀링(430)의 일단에 키결합되는 태일플랜지축(413)을 포함하고,
    감속기연결부(420)는
    감속기(200)에 연결되는 감속기플랜지(421)와,
    감속기플랜지(421)를 감속기(200)에 체결시키는 감속기체결부(422)와,
    감속기플랜지(421)에서 돌출되어 디스크커풀링(430)의 타단에 키결합되는 감속기플랜지축(423)을 포함하고,
    디스크커풀링(430)은
    양단에 커풀링플랜지(432)가 형성되는 커풀링몸체(431)와,
    일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연결되는 일단플랜지(433), 일단플랜지(433)를 일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체결시키는 일단체결부(439), 일단플랜지(433)에서 돌출되면서 내부공간이 끝단으로 개방되어 롤러연결부(410)의 태일플랜지축(413)이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일단플랜지축(434)으로 이루어지는 일단커플링(435)과,
    타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연결되는 타단플랜지(436), 타단플랜지(436)를 타단의 커풀링플랜지(432)에 체결시키는 타단체결부(440), 일단플랜지(433)에서 돌출되면서 내부공간이 끝단으로 개방되어 감속기연결부(420)의 감속기플랜지축(423)이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타단플랜지축(437)으로 이루어지는 타단커플링(4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4. 지면에서 이동가능한 거치대(100)와,
    거치대(100)에 거치된 상태로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를 감속시키는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200)와,
    감속기(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구동부(300)와,
    감속기(200)를 공기부양 벨트컨베이어의 태일롤러(2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400)와,
    거치대(100)에 구비된 상태로 감속기(200)를 승강시키는 감속기높이 조절부(500)를 포함하고,
    거치대(100)는
    감속기(200)가 고정되는 거치판(110)과,
    거치판(110)에 연결되는 거치다리(120)와,
    거치다리(120)들의 하부에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130)과,
    베이스프레임(130)에 설치된 상태로 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140)와,
    베이스프레임(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강되면 지면에 고정되어 바퀴(140)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승되면 지면에서 이격되어 바퀴(140)의 이동을 허용하는 앵커부(150)를 포함하고,
    감속기높이 조절부(500)는
    거치판(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감속기(200)가 설치되는 승강판(510)과,
    승강판(510)에 사방으로 분산되면서 관통되게 설치되는 4개의 너트부(520)와,
    너트부(520)들마다 하부에 위치되면서 거치판(110)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하부풀리(530)와,
    하부풀리(530)들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4개의 상부풀리(540)와,
    상부풀리(540)들의 상부에 각각의 하단이 고정된 상태로 너트부(520)에 나사결합되는 4개의 나사축(550)과,
    하부풀리(530)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다른 하부풀리(530)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중간하부풀리(560)와,
    중간하부풀리(560)들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중간상부풀리(570)와,
    양단이 서로 인접하는 하부풀리(530)들에 감기거나 하부풀리(530) 및 중간하부풀리(560)에 감기는 3개의 하부벨트(580)와,
    양단이 서로 인접하는 상부풀리(540)들에 감기거나 상부풀리(540) 및 중간상부풀리(570)에 감기는 3개의 상부벨트(590)와,
    어느 하나의 중간상부풀리(570)를 회전시키는 풀리회전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풀리회전부(600)는
    중간상부풀리(570)에 고정되는 수직베벨기어(610)와,
    수직베벨기어(610)에 교합되는 수평베벨기어(620)와,
    수평베벨기어(62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KR1020210024196A 2021-02-23 2021-02-23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KR102467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196A KR102467020B1 (ko) 2021-02-23 2021-02-23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196A KR102467020B1 (ko) 2021-02-23 2021-02-23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289A KR20220120289A (ko) 2022-08-30
KR102467020B1 true KR102467020B1 (ko) 2022-11-16

Family

ID=8311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196A KR102467020B1 (ko) 2021-02-23 2021-02-23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0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232B1 (ko) * 1994-12-29 1999-02-18 한승준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KR101609449B1 (ko) * 2014-05-05 2016-04-05 김윤호 공급장치
KR20170140967A (ko) * 2016-06-14 2017-12-2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리프터
KR20190029010A (ko) * 2017-09-11 2019-03-20 (주)세아이에프 엔진 분해 및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289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1963A (en) Vertical lift unit
KR102163333B1 (ko) 적층시트 이송장치
KR20060048163A (ko) 천정주행차
WO2018034105A1 (ja) 昇降装置
KR102467020B1 (ko)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JP5314748B2 (ja) 昇降装置
JP7176726B2 (ja) ローリング機構付き搬送装置
JP3163138U (ja) 昇降機能付搬送装置
KR20100035460A (ko) 반전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
KR200453283Y1 (ko) 농업용 적재함 이송 컨베이어
CN219448347U (zh) 一种滚筒传输线的转向机构
JP7045193B2 (ja) 昇降搬送装置
JP2712983B2 (ja) 昇降搬送装置のカウンターウエイト装置
CN114368631A (zh) 一种印刷品前序一体化定位输送装置
JP4289200B2 (ja) 搬送設備
CN113651107A (zh) 一种平板玻璃平堆装置
JP2903983B2 (ja) コンベヤ装置
CN218114276U (zh) 玻璃输送装置
CN115448028A (zh) 玻璃输送装置
CN219729659U (zh) 一种双层双工位升降机
KR100287506B1 (ko) 파레트식어큐물레이트스토크콘베이어
CN220077692U (zh) 一种具有旋转调整功能的传输带
CN215247525U (zh) 平衡流动与升降联动机构
CN219950363U (zh) 一种地牛提升机
US5358074A (en) Motor drive mounting for elevator le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