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855B1 - Robot apparatus for air sterilizing - Google Patents

Robot apparatus for air steriliz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855B1
KR102466855B1 KR1020210028216A KR20210028216A KR102466855B1 KR 102466855 B1 KR102466855 B1 KR 102466855B1 KR 1020210028216 A KR1020210028216 A KR 1020210028216A KR 20210028216 A KR20210028216 A KR 20210028216A KR 102466855 B1 KR102466855 B1 KR 10246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intake
air
unit
robo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4502A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스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스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스푼
Priority to KR102021002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855B1/en
Publication of KR20220124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5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소정의 살균구역 내에서 이동하면서 공기를 살균하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율주행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살균구역 내에서 이동하는 로봇본체; 상기 로봇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로봇본체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로봇본체 주변의 공기를 흡기구로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되,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에 상기 배기구가 형성되는 흡기유닛; 상기 흡기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흡기유닛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배출경로에 광원에 의한 촉매반응을 제공하면서 상기 배출경로의 공기를 살균하고, 광원을 통해 상기 로봇본체 주변을 살균하는 살균유닛; 및 상기 로봇본체와 상기 흡기유닛 및 상기 살균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t relates to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that sterilizes air while moving within a predetermined sterilization zone, comprising: a robot body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and moving within the sterilization zone; While being coupled to the robot body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robot body, the air around the robot body is sucked in through an intake port and discharged through an exhaust port. an intake unit formed; It is coupled to the intake unit to provide a discharge path for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intake unit, sterilizes the air in the discharge path while providing a catalytic reaction by a light source to the discharge path, and sterilizes the air in the discharge path through the light source around the robot body.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robot body, the intake unit, and the sterilization unit.

Description

공기 살균 로봇장치{ROBOT APPARATUS FOR AIR STERILIZING}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ROBOT APPARATUS FOR AIR STERILIZING}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공기 살균 로봇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살균구역 내에서 이동하면서 살균 대상의 주변 공기를 살균하여 제공할 수 있는 공기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relate to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sterilization device that can sterilize and provide surrounding air to a sterilization target while moving within a predetermined sterilization zone.

산업화가 진행되고 이와 더불어 도시화, 인구 밀집 현상이 가속화될수록 인간이 매일 숨 쉬는 데 필요한 공기의 오염 문제는 나날이 심각해 지고 있다 인류가 매일 사용하는 화석연료는 필연적으로 인간에게 해로운 오염 물질을 공기 중에 방출하게 되어 있고 바이러스나 세균 같은 병원성 미세물질 등도 공기 중에 그 농도가 높아져가고 있어 깨끗한 공기를 마시고 싶어하는 인간들의 욕구가 점점 강해지고 있다.As industrialization progresses and urbanization and population density accelerate, the problem of air pollution that humans breathe every day is becoming more and more serious day by day. As the concentration of pathogenic microscopic substance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in the air increases, people's desire to breathe clean air is getting stronger.

특히, 산업체의 창고나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은 업무가 종료된 후 주기적으로 살균작업을 수행해야 한다.In particular, indoor spaces such as industrial warehouses or offices should be periodically sterilized after work is finished.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살균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살균구역을 직접적으로 이동하면서 살균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살균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완전한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erform the sterilization work as described above, the sterilization work is very cumbersome and incomplete because the worker directly moves the sterilization zone while performing the sterilization.

따라서, 최근에는 로봇의 자율주행을 통해 살균구역을 살균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a technology for sterilizing a sterilization zone through autonomous driving of a robot has been proposed.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2489호에 개시된 자외선 살균 이동로봇 장치 및 시스템이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mobile robot device and system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42489.

선행기술은 로봇을 주행시키면서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perform sterilization using ultraviolet rays while driving the robot.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만을 수행할 뿐, 살균 구역의 공기를 살균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only performs sterilization using ultraviolet rays and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sterilize the air in the sterilization zone.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been required.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로봇본체의 자율주행을 통해 살균대상 주변의 공기를 살균하여 제공하는 동시에 살균대상을 광원으로 살균할 수 있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that can sterilize and provide air around a sterilization target through autonomous driving of the robot body and at the same time sterilize the sterilization target with a light source.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살균램프에 의한 직접적인 살균과 함께 살균램프의 광원을 통한 광촉매반응을 통해 살균대상 주변의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Specifically, the objec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s to provide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capable of sterilizing air around a sterilization target through direct sterilization by a sterilization lamp and a photocatalytic reaction through a light source of the sterilization lamp. to be.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공기를 유입하여 살균한 후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배출함으로써 살균구역의 바닥 쪽의 공기를 유입하여 살균한 후 상부로 배출함으로써 살균구역의 바닥 쪽으로 가라앉은 오염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y introducing air at a relatively low height to sterilize and then discharging it at a relatively high height, the air at the bottom of the sterilization zone is introduced, steriliz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top of the sterilization zone. Its object is to provide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capable of sterilizing polluted air that has sunk toward the bottom.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살균구역의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capable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n the process of sucking air in a sterilization zone.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광촉매필터부와 살균램프를 견고하고 심플한 구조로 지지할 수 있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a photocatalyst filter unit and a sterilization lamp in a robust and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살균유닛의 작동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s to provide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e of a sterilization uni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공기 살균 로봇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살균구역 내에서 이동하면서 공기를 살균하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에 있어서, 자율주행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살균구역 내에서 이동하는 로봇본체; 상기 로봇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로봇본체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로봇본체 주변의 공기를 흡기구로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되,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에 상기 배기구가 형성되는 흡기유닛; 상기 흡기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흡기유닛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배출경로에 광원에 의한 촉매반응을 제공하면서 상기 배출경로의 공기를 살균하고, 광원을 통해 상기 로봇본체 주변을 살균하는 살균유닛; 및 상기 로봇본체와 상기 흡기유닛 및 상기 살균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that sterilizes air while moving within a predetermined sterilization zone is formed to be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A robot body moving within the sterilization zone; While being coupled to the robot body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robot body, the air around the robot body is sucked in through an intake port and discharged through an exhaust port. an intake unit formed; It is coupled to the intake unit to provide a discharge path for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intake unit, sterilizes the air in the discharge path while providing a catalytic reaction by a light source to the discharge path, and sterilizes the air in the discharge path through the light source around the robot body.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robot body, the intake unit, and the sterilization unit.

또한, 상기 흡기유닛은,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 및In addition, the intake unit may include an intake fan that provides suction force while being operated by a power source; and

상기 로봇본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흡기팬을 수용하고, 상기 흡기팬의 외곽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면서 상기 흡기팬의 상부에 상기 배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흡기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배출하며, 상기 배기구의 외곽을 따라 상기 살균유닛이 설치되는 흡기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ake fan is accommodated in a state installed in the robot body, and at least one intake por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intake fan, and the exhaust por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ake fan to discharge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to the exhaust port. It may include an intake housing in which the sterilization unit is install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exhaust port.

또한, 상기 흡기하우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기팬을 원통의 중심에 수용하고, 상기 흡기구가 상기 흡기팬의 외곽을 따라 방사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배기구가 상기 흡기팬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ake housing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accommodate the intake fan at the center of the cylinder, the intake vents are formed in a radial shape along the outer edge of the intake fan to suck ai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xhaust vents are located above the intake fan. It is formed in and can discharge air in a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흡기유닛은, 상기 흡기구에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흡기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ak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take filt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take por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또한, 상기 살균유닛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하단부가 상기 흡기유닛의 상기 배기구에 연결되면서 수직방향의 상기 배출경로를 형성하고, 다공을 가지면서 광원에 의해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는 소재로 형성되는 광촉매필터부; 상기 광촉매필터부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광촉매필터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길이방향의 하단부 빛 상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소켓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광촉매필터부 및 상기 로봇본체의 주변에 광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램프; 및 상기 광촉매필터부 및 상기 살균램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un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lower end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of the intake unit to form the discharge pa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a material that has pores and causes a photocatalytic reaction by a light source. a photocatalytic filter unit formed; The photocatalyst filter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hotocatalyst filter,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hotocatalyst filter, and is operated by power supplied through sockets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o maintain the photocatalyst filter unit and the robot body. At least one germicidal lamp providing a light source to the surroundings; and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and the germicidal lamp.

또한, 상기 광촉매필터부는, 망구조를 갖는 유리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살균램프의 광원에 의한 촉매반응을 통해 공기를 살균하는 메쉬필터; 및 원통형의 골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쉬필터를 원통형으로 지지하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may include a mesh filter formed of glass fibers having a net structure and sterilizing air through a catalytic reaction by a light source of the germicidal lamp; and a filter frame formed in a cylindrical frame shape to support the mesh filter in a cylindrical shape.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원통형의 골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광촉매필터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광촉매필터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살균램프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기 소켓을 지지하는 지지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support frame form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frame and accommodating the photocatalyst filter unit therein and supporting the photocatalyst filter unit; and a support rim formed in a ring shape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socke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germicidal lamp.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림을 커버하는 림커버; 및 상기 림커버와 상기 흡기유닛을 연결하면서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rim cover covering the support rim; and a reinforcing frame connecting the rim cover and the intake unit and reinforcing a supporting forc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본체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구역 내에 위치하는 살균대상으로 상기 로봇본체를 접근시킨 후 상기 흡기유닛 및 상기 살균유닛을 설정된 작동시간동안 작동시키되, 상기 로봇본체와 상기 살균대상의 거리와 상기 살균유닛에서 제공되는 광원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bot body to bring the robot body close to the sterilization target located in the sterilization zone, and then operates the intake unit and the sterilization unit for a set operating time, the robot body and the sterilization target. The operation time may be set based on the distance of and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provided from the sterilization unit.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로봇본체의 자율주행을 통해 살균대상 주변의 공기를 살균하여 제공하는 동시에 살균대상을 광원으로 살균할 수 있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capable of sterilizing and providing air around a sterilization target through autonomous driving of the robot body and sterilizing the sterilization target with a light source can be presented.

구체적으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살균유닛이 흡기유닛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면서 배출경로에 광원을 제공하므로 광원에 의한 살균대상의 직접적인 살균과 함께 살균대상 주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살균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since the sterilization unit provides a light source to the discharge path while providing a discharge path for the intake unit, the sterilization target is directly sterilized by the light source and the air around the sterilization target is discharged.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that can be discharged in a sterilized state in the process can be presented.

특히,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흡기유닛의 흡기구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구비되어 공기를 수평상태로 흡입하고, 배기구가 흡기구보다 높은 높이에 구비되어 공기를 수직상태로 배출하므로 살균구역의 바닥 쪽으로 가라앉은 오염공기를 원활하게 살균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the intake port of the intake unit is provided at a relatively low height to suck in air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exhaust port is provid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intake port to discharge air in a vertical state, so sterilization is performed. Contaminated air that has settled toward the bottom of the zone can be smoothly sterilized and provided.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흡기유닛의 흡기구에 프리필터로 구성되는 흡기필터가 마련되므로 흡기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이 필터링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since the intake filter composed of a pre-filter is provided in the intake port of the intake uni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can be filtered.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살균유닛을 구성하는 광촉매필터부와 살균램프가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림에 의해 지지되므로 별도의 지지대 없이도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since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and the sterilizing lamp constituting the sterilization unit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rim constituting the support member, they can be firmly installed without a separate support.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제어부가 살균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살균대상과의 거리 및 광원의 세기를 기반으로 제어하므로 살균이 과도하거나 모자라지 않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sin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sterilization target and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steriliz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without excessive or insufficient.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able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o which the disclosed embodiments belong. will be understandabl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의 흡기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의 흡기유닛 및 살균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의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ake unit of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configurations of an intake unit and a sterilization unit of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member of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following embodiments belong are omitted. And,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tervening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의 흡기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의 흡기유닛 및 살균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의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ake unit of the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S. 3 and 4 are one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ake unit and sterilization unit of the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of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10)는 산업체의 창고나 사무실 등과 같은 살균구역 내에서 이동하면서 공기를 살균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본체(100), 흡기유닛(200), 살균유닛(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sterilizes air while moving in a sterilization area such as a warehouse or office of an industrial enterprise, and includes a robot body 100 and an intake unit as shown in FIGS. 1 and 6 2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rilization unit 300 and a control unit 400.

상기 로봇본체(100)는 자율주행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살균구역 내에서 이동하면서 후술되는 흡기유닛(200) 및 살균유닛(300)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robot body 100 is formed to be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and is a component that moves an intake unit 200 and a steriliza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moving within a sterilization zone.

이러한 로봇본체(100)는 하부에 마련된 바퀴(110)의 구동을 통해 주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제어에 의한 주행이나 미리 설정된 주행프로그램을 통해 작동하면서 살균구역을 주행할 수 있다.The robot body 100 can travel by driving the wheels 110 provided at the lower part, and can travel in the sterilization area while driving under user control or operating through a preset driving program.

예를 들어, 로봇본체(100)는 하우징의 외부에 감지센서 또는 뎁스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감지센서를 통해 살균구역을 감지하면서 주행하면서 뎁스카메라를 통해 살균대상과의 거리를 감지하면서 주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bot body 100 may have a detection sensor or a depth camera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and travel while detecting the sterilization area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while detecting the distance to the sterilization target through the depth camera. can

또한, 로봇본체(100)는 살균구역에 마련되는 주행라인을 감지센서로 감지하면서 주행라인을 따라 주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obot body 100 may travel along the travel line while detecting the travel line provided in the sterilization area with a sensor.

이외에도, 로봇본체(100)는 소정의 구역을 주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body 100 may be applied to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travel in a predetermined area.

상기 흡기유닛(200)은 로봇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로 로봇본체(100)와 함께 이동하면서 로봇본체(100) 주변의 공기를 흡기구(200a)로 흡입하여 배기구(200b)로 배출함으로써 배출과정에서 후술되는 살균유닛(300)에 의한 공기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intake unit 200 sucks air around the robot body 100 through the intake port 200a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exhaust port 200b while moving along with the robot body 100 while being coupled to the robot body 100. It is a component that allows sterilization of air by the steriliza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process.

이러한 흡기유닛(200)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흡기구(200a)가 형성되고, 흡기구(200a)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에 배기구(200b)가 형성됨으로써 살균구역의 바닥면 쪽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In this intake unit 200, the intake port 200a is formed at a relatively low height, and the exhaust port 200b is formed at a relatively higher height than the intake port 200a to suck air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rilization zone to the top. can be ejected.

구체적으로, 흡기유닛(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팬(210) 및 흡기하우징(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ake unit 200 may include an intake fan 210 and an intake housing 220 as shown in FIGS. 1 and 2 .

상기 흡기팬(210)은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한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The intake fan 21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suction power while operating by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

이러한 흡기팬(210)은 팬모터(211) 및 복수의 안정기(212)와 함께 모터브래킷(213)을 통해 흡기하우징(2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팬모터(211)에 의해 회전하면서 로봇본체(100) 주변의 공기를 흡기구(200a)로 강제 유입하여 배기구(200b)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intake fan 210 may be installed in the intake housing 220 through the motor bracket 213 together with the fan motor 211 and the plurality of ballasts 212, and rotated by the fan motor 211 to the robot body ( 100) Surrounding air may be forcibly introduced into the intake port 200a and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200b.

여기서, 흡기팬(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팬으로 구성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수직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Here, the intake fan 210 is composed of a centrifugal fan, as shown in FIG. 2, so that air can be sucked i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discharg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흡기하우징(220)은 로봇본체(100)에 설치된 상태로 흡기팬(21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면서 공기의 흡기구(200a) 및 배기구(200b)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221) 및 하우징커버(222)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It may be composed of the housing body 221 and the housing cover 222 as well.

구체적으로, 하우징본체(221)는 하우징커버(222)와 함께 함체형을 이루면서 흡기팬(210)을 수용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21a)을 통해 로봇본체(1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흡기팬(210)의 외곽에 적어도 하나의 흡기구(200a)를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using body 221 accommodates the intake fan 210 while forming an enclosure together with the housing cover 222, and as shown in FIG. 2, the upper surface of the robot body 100 through the bottom plate 221a. , and at least one intake port 200a may be formed outside the intake fan 210 .

또한, 하우징커버(222)는 하우징본체(221)의 상부에 결합되어 흡기팬(210)의 상부에 배기구(200b)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배기구(200b)의 외곽을 따라 후술되는 살균유닛(300)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cover 22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221 to form an exhaust port 200b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ake fan 210, and a sterilization unit 300 described lat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haust port 200b can be installed.

즉, 흡기하우징(220)은 흡기구(200a)가 배기구(200b)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살균구역의 바닥면 쪽에 가라앉은 오염공기를 흡입한 후, 상부의 배기구(200b)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That is, in the intake housing 220, the intake port 200a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exhaust port 200b, so that contaminated air that has sett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rilization zone can be sucked in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exhaust port 200b. .

여기서, 흡기하우징(220)은 원통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흡기팬(210)을 원통의 중심부에 수용할 수 있다.Here, the intake housing 2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intake fan 210 can be accommodated in the center of the cylinder.

이 경우, 흡기구(200a)는 복수를 이루면서 흡기팬(210)의 외곽을 따라 방사형태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흡입할 수 있으며, 배기구(200b)는 흡기팬(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inlet ports 200a are formed radially along the outer edge of the intake fan 210 to suck ai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xhaust outlet 200b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ake fan 210 to be vertical. direction can be emitted.

즉, 흡기하우징(220)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흡기구(200a)를 통해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흡입한 후,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배기구(200b)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intake housing 220 may intake air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intake port 200a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and discharge it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exhaust port 200b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여기서, 흡기구(200a)는 도 2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하우징(220)의 중심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에 흡기필터(230)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intake port 200a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center of the intake housing 220, as shown in FIG. 2, and the intake filter 2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end. .

상기 흡기필터(230)는 흡기구(200a)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통상의 프리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흡기구(200a)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air intake filter 230 is a componen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200a, and may be composed of a conventional pre-filter,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intake port 200a. .

상기 살균유닛(300)은 흡기유닛(200)의 배기구(200b)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면서 광원에 의한 촉매반응을 통해 배출경로의 공기를 살균하는 동시에 광원을 통해 로봇본체(100) 주변의 공기를 직접적으로 살균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terilization unit 300 forms a discharge path for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200b of the intake unit 200, sterilizes the air in the discharge path through a catalytic reaction by a light source, and at the same time cleans the robot body 100 through a light source. It is a component that directly sterilizes the surrounding air.

구체적으로, 살균유닛(3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필터부(310), 살균램프(320) 및 지지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erilization unit 300 may include a photocatalyst filter unit 310, a sterilization lamp 320, and a support member 330 as shown in FIGS. 3 and 4 .

상기 광촉매필터부(310)는 전술한 흡기유닛(200)의 배출경로를 형성하면서 살균램프(320)의 광원에 의해 광촉매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배출경로의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is a component for sterilizing air in the discharge path by causing a photocatalytic reaction by the light source of the germicidal lamp 320 while forming the discharge path of the above-described intake unit 200.

이러한 광촉매필터부(310)는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단부가 흡기유닛(200)의 배기구(200b)에 연결됨으로써 수직방향의 배출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아동을 가지면서 광원에 의해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is formed in a long cylindrical shape, and its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200b of the intake unit 200 to form a vertical discharge path, and a photocatalytic reaction is caused by a light source while holding a child. material can be formed.

구체적으로, 광촉매필터부(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필터(311) 및 필터프레임(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may include a mesh filter 311 and a filter frame 312 as shown in FIG. 3 .

상기 메쉬필터(311)는 망구조를 갖는 유리섬유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필터프레임(312)의 외주면에 감긴 상태로 결합되면서 필터프레임(312)과 함께 원통형을 형성함으로써 흡기유닛(100)의 배출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mesh filter 311 is formed of glass fiber having a mesh structure, and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ilter frame 312 to be described later in a wound state, forming a cylindrical shape together with the filter frame 312 to form a discharge passage of the intake unit 100. can form

이러한 메쉬필터(311)는 망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다공이 형성되어 다공을 통해 공기를 여과할 수 있으며, 이산화타이타늄과 같은 광촉매제가 코팅되어 살균램프(320)의 광원에 의한 광촉매반응을 통해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The mesh filter 311 is formed in a network structure so that pores are formed to filter air through the pores, and a photocatalyst such as titanium dioxide is coated to sterilize air through a photocatalytic reaction by the light source of the sterilizing lamp 320. can do.

상기 필터프레임(312)은 메쉬필터(311)를 원통형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filter frame 312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mesh filter 311 in a cylindrical shape.

이러한 필터프레임(312)은 한 쌍의 링프레임(312a)과, 링프레임(312a)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312b)로 구성되어 원통형의 골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frame 312 may include a pair of ring frames 312a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bars 312b connecting the ring frames 312a to have a cylindrical frame shape.

여기서, 필터프레임(312)은 연결바(312b)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도시된 결합돌기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되어 메쉬필터(311)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메쉬필터(311)를 원통형으로 고정할 수 있다.Here, the filter frame 312 can fix the mesh filter 311 in a cylindrical shape by protru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ar 312b and being inserted into the mesh filter 311. have.

상기 살균램프(320)는 광촉매필터부(310)에 광원을 제공하여 메쉬필터(311)의 광촉매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배출경로의 공기를 살균하는 동시에 로봇본체(100)의 주변에 광원을 제공하여 로봇본체(100)의 주변 공기를 직접적으로 살균하는 구성요소이다.The germicidal lamp 320 provides a light source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to induce a photocatalytic reaction of the mesh filter 311 to sterilize the air in the discharge path,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light source to the periphery of the robot body 100 to make the robot It is a component that directly sterilizes the surrounding air of the main body 100.

이러한 살균램프(320)는 광촉매필터부(31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UVC램프로 구성되어 고정의 대역폭의 광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소켓(321)에 결합되어 후술되는 제어부(400)에 의한 전원공급에 의해 작동하면서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germicidal lamp 320 is composed of a UVC lamp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and can provide a light source of a fixed bandwidth, and is coupled to sockets 321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source while operating by power supply by the control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살균램프(320)는 복수를 이루면서 광촉매필터부(310)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germicidal lamps 320 may be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while forming a plurality.

상기 지지부재(330)는 전술한 광촉매필터부(310)와 살균램프(32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support member 330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and the germicidal lamp 320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지지부재(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31) 및 지지림(3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330 may include a support frame 331 and a support rim 332 as shown in FIG. 4 .

상기 지지프레임(331)은 전술한 광촉매필터부(310)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광촉매필터부(31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upport frame 331 is a component that supports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while accommodating the aforementioned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therein.

이러한 지지프레임(331)은 전술한 필터프레임(312)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통형의 골조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광촉매필터부(31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3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frame shape having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filter frame 312 described above, so that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can be accommodated therein.

이에 따라, 광촉매필터부(310)를 구성하는 메쉬필터(311)는 필터프레임(312)과 함께 지지프레임(33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됨으로써 필터프레임(312)에서 분리될 경우에도 원통형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sh filter 311 constitut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is supported together with the filter frame 312 in a state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 frame 331, so that it has a cylindrical shape even when separated from the filter frame 312. can keep

상기 지지림(332)은 전술한 살균램프(32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환형을 이루는 판으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331)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rim 332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above-described germicidal lamp 320, and may be formed of an annular plate and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331.

이러한 지지림(332)은 살균램프(320)의 상단부에 마련된 소켓(321)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살균램프(320)를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rim 332 may support the germicidal lamp 320 while being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ocket 321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germicidal lamp 320 .

한편, 지지부재(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커버(333) 및 보강프레임(33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member 330 may further include a rim cover 333 and a reinforcing frame 334 as shown in FIG. 5 .

상기 림커버(333)는 지지림(332)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지지림(332)을 커버할 수 있다.The rim cover 333 may cover the support rim 332 by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rim 332 .

상기 보강프레임(334)은 지지프레임(331)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림커버(333)와 흡기유닛(200)의 흡기하우징(220)에 결합되어 림커버(333)와 흡기하우징(220)을 연결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frame 334 is a component for reinforc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upport frame 331, and is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im cover 333 and the intake unit 200. It is coupled to the intake housing 220 so that the rim cover 333 and the intake housing 220 may be connected.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331)은 지지림(332)에 일착된 림커버(333)가 보강프레임(334)에 의해 흡기하우징(220)에 연결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살균램프(320)와 광촉매필터부(310)를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support frame 331, the rim cover 333 attached to the support rim 332 is connected to the intake housing 220 by the reinforcing frame 334, so that the sterilization lamp 320 and the sterilizing lamp 320 are firmly fixed.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may be supported.

상기 제어부(400)는 로봇본체(100)와 흡기유닛(200)를 구성하는 흡기팬(210) 및 살균유닛(300)을 구성하는 살균램프(3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ntrol unit 400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take fan 210 constituting the robot body 100 and the intake unit 200 and the germicidal lamp 320 constituting the sterilization unit 300.

이러한 제어부(400)는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로봇본체(1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별도의 서버에 구비되어 로봇본체(1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400 may be configured as a processor and built into the robot body 100, and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server and connected to the robot body 100 wirelessly.

제어부(400)는 로봇본체(100)를 제어하면서 로봇본체(100)를 살균구역에서 이동시켜 살균대상에 접근시킬 수 있으며, 흡기팬(210) 및 살균램프(320)를 설정된 작동시간동안 작동시키면서 로봇본체(100) 주변이나 살균대상을 살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move the robot body 100 in the sterilization zone while controlling the robot body 100 to approach the sterilization target, and operate the intake fan 210 and the sterilization lamp 320 for a set operating time to allow the robot body 100 to move.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100 or the sterilization target can be sterilized.

여기서, 제어부(400)는 흡기팬(210) 및 살균램프(320)의 작동시간을 제어함에 있어서, 살균대상과의 거리 및 살균램프(320)에 의한 광원의 세기를 기반으로 흡기팬(210) 및 살균램프(320)의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Here, in controll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intake fan 210 and the sterilization lamp 320,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intake fan 210 and the sterilization lamp 320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sterilization target and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by the sterilization lamp 320. The operation time of the lamp 320 can be controlled.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살균대상과의 거리가 가깝거나 광원의 세기가 강할수록 흡기팬(210) 및 살균램프(320)의 작동시간을 반비례하여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00 may control the operation time of the intake fan 210 and the sterilization lamp 320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closer the distance to the sterilization target or the stronger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10)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로봇본체(1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살균구역을 이동하면서 감지센서나 뎁스카메라를 통해 살균대상을 감지하여 살균대상에 접근할 수 있다.The robot body 100 may approach the sterilization target by detecting the sterilization target through a sensor or a depth camera while moving in the sterilization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0 .

흡기유닛(200)은 로봇본체(100)가 살균대상에 접근이 완료된 후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하는 흡기팬(210)을 통해 살균대상 주변의 공기를 흡기구(200a)로 흡입하여 배기구(200b)로 배출한다.After the robot body 100 approaches the sterilization target, the intake unit 200 sucks the air around the sterilization target through the intake port 200a through the intake fan 210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400 to discharge the exhaust port 200b. emit with

이때, 흡기유닛(200)은 흡기구(200a)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살균대상 주변의 바닥면에 가라앉은 오염공기를 흡입한 후,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배기구(200b)로 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ake unit 200 has an intake port 200a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to suck in contaminated air that has settled on the floor around the sterilization target, and then an exhaust port formed vertically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 200b).

살균유닛(300)은 배기구(200b)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광촉매필터부(310)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하는 살균램프(320)를 통해 광원을 제공한다.The sterilization unit 300 provides a light source through the sterilization lamp 320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400 while guiding the polluted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200b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이에 따라, 광촉매필터부(310)는 광원에 의해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면서 배기구(200b)에서 배출된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can steriliz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200b while causing a photocatalytic reaction by the light source.

또한, 살균램프(320)는 광촉매필터부(310)의 바깥쪽으로 광원을 제공함으로써 살균대상 주변의 공기를 직접적으로 살균한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lamp 320 directly sterilizes the air around the sterilization target by providing a light source to the outside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310 .

제어부(400)는 살균대상과의 거리나 살균램프(320)의 세기를 감지하여 흡기팬(210) 및 살균램프(320)를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시킨 후, 로봇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move the robot body 100 after operating the suction fan 210 and the sterilizing lamp 320 for a set time by detecting the distance to the sterilization target or the intensity of the sterilizing lamp 320.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 로봇장치(10)에 의하면, 살균유닛(300)이 흡기유닛(200)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면서 배출경로에 광원을 제공하므로 광원에 의한 살균대상의 직접적인 살균과 함께 살균대상 주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살균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since the sterilization unit 300 provides a discharge path of the intake unit 200 and provides a light source to the discharge path, the sterilization target by the light source Along with the direct sterilization of the sterilization target, the air around the sterilization target can be discharged in a sterilized state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

10 : 공기 살균 로봇장치
100 : 로봇본체
200 : 흡기유닛
220a : 흡기구
220b : 배기구
210 : 흡기팬
220 : 흡기하우징
230 : 흡기필터
300 : 살균유닛
310 : 광촉매필터부
311 : 메쉬필터
312 : 필터프레임
320 : 살균램프
321 : 소켓
330 : 지지부재
331 : 지지프레임
332 : 지지림
333 : 림커버
334 : 보강프레임
400 : 제어부
10: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100: robot body
200: intake unit
220a: intake port
220b: exhaust port
210: intake fan
220: intake housing
230: intake filter
300: sterilization unit
310: photocatalyst filter unit
311: mesh filter
312: filter frame
320: germicidal lamp
321: socket
330: support member
331: support frame
332: support rim
333: rim cover
334: reinforcement frame
400: control unit

Claims (9)

소정의 살균구역 내에서 이동하면서 공기를 살균하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에 있어서,
자율주행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살균구역 내에서 이동하는 로봇본체;
상기 로봇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로봇본체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로봇본체 주변의 공기를 흡기구로 흡입하여 배기구로 배출하되,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에 상기 배기구가 형성되는 흡기유닛;
상기 흡기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흡기유닛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배출경로에 광원에 의한 촉매반응을 제공하면서 상기 배출경로의 공기를 살균하고, 광원을 통해 상기 로봇본체 주변을 살균하는 살균유닛; 및
상기 로봇본체와 상기 흡기유닛 및 상기 살균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유닛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하단부가 상기 흡기유닛의 상기 배기구에 연결되면서 수직방향의 상기 배출경로를 형성하고, 다공을 가지면서 광원에 의해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는 소재로 형성되는 광촉매필터부;
상기 광촉매필터부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광촉매필터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길이방향의 하단부 빛 상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소켓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광촉매필터부 및 상기 로봇본체의 주변에 광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램프; 및
상기 광촉매필터부 및 상기 살균램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원통형의 골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광촉매필터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광촉매필터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살균램프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기 소켓을 지지하는 지지림을 포함하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
In the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for sterilizing air while moving within a predetermined sterilization zone,
a robot body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and moving within the sterilization zone;
While being coupled to the robot body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robot body, air around the robot body is sucked in through an intake port and discharged through an exhaust port. an intake unit formed;
It is coupled to the intake unit to provide a discharge path for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intake unit, sterilizes the air in the discharge path while providing a catalytic reaction by a light source to the discharge path, and sterilizes the air in the discharge path through the light source around the robot body.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body, the intake unit, and the sterilization unit,
The sterilization unit,
A photocatalytic filter uni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lower ends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of the intake unit to form the discharge pa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pores and formed of a material that causes a photocatalytic reaction by a light source;
The photocatalyst filter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hotocatalyst filter,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hotocatalyst filter, and is operated by power supplied through sockets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o maintain the photocatalyst filter unit and the robot body. At least one germicidal lamp providing a light source to the surroundings; and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and the germicidal lamp,
The support member is
a support frame form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frame and accommodating the photocatalyst filter unit therein and supporting the photocatalyst filter unit; and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comprising a support rim formed in a ring shape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ing the socke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terilization lam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닛은,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 및
상기 로봇본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흡기팬을 수용하고, 상기 흡기팬의 외곽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흡기구가 형성되면서 상기 흡기팬의 상부에 상기 배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흡기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배출하며, 상기 배기구의 외곽을 따라 상기 살균유닛이 설치되는 흡기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take unit is
An intake fan that provides suction power while being operated by a power source; and
The intake fan is accommodated in a state installed in the robot body, and at least one intake por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intake fan, and the exhaust por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ake fan to discharge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to the exhaust port.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comprising an intake housing in which the sterilization unit is install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exhaust po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하우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기팬을 원통의 중심에 수용하고, 상기 흡기구가 상기 흡기팬의 외곽을 따라 방사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배기구가 상기 흡기팬의 상부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intake housing,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accommodate the intake fan at the center of the cylinder, the intake vents are formed radially along the outer edge of the intake fan to suck in ai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xhaust vents are formed on the top of the intake fan to direct air in a vertical direction. Discharging,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닛은,
상기 흡기구에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흡기필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intake unit is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ntake filt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take por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필터부는,
망구조를 갖는 유리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살균램프의 광원에 의한 촉매반응을 통해 공기를 살균하는 메쉬필터; 및
원통형의 골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쉬필터를 원통형으로 지지하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catalytic filter unit,
a mesh filter formed of glass fibers having a network structure and sterilizing air through a catalytic reaction by a light source of the sterilizing lamp; and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comprising a filter frame formed in a cylindrical frame shape to support the mesh filter in a cylindrical shap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림을 커버하는 림커버; 및
상기 림커버와 상기 흡기유닛을 연결하면서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mber is
a rim cover covering the support rim; and
The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frame connecting the rim cover and the intake unit while reinforcing a supporting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본체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구역 내에 위치하는 살균대상으로 상기 로봇본체를 접근시킨 후 상기 흡기유닛 및 상기 살균유닛을 설정된 작동시간동안 작동시키되, 상기 로봇본체와 상기 살균대상의 거리와 상기 살균유닛에서 제공되는 광원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공기 살균 로봇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fter controlling the robot body to approach the robot body to the sterilization target located in the sterilization zone, the intake unit and the sterilization unit are operated for a set operating tim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obot body and the sterilization target and the sterilization unit An air sterilization robot device for setting the operation time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provided from.
KR1020210028216A 2021-03-03 2021-03-03 Robot apparatus for air sterilizing KR1024668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216A KR102466855B1 (en) 2021-03-03 2021-03-03 Robot apparatus for air steriliz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216A KR102466855B1 (en) 2021-03-03 2021-03-03 Robot apparatus for air steriliz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502A KR20220124502A (en) 2022-09-14
KR102466855B1 true KR102466855B1 (en) 2022-11-16

Family

ID=8327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216A KR102466855B1 (en) 2021-03-03 2021-03-03 Robot apparatus for air steriliz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85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265B1 (en) * 2007-03-21 2008-03-13 (주) 쓰리샤인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with plasma lamp
KR101705582B1 (en) * 2014-12-17 2017-02-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hotocatalyst filter unit and air purification apparatus
JP6776236B2 (en) * 2014-11-28 2020-10-28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265B1 (en) * 2007-03-21 2008-03-13 (주) 쓰리샤인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with plasma lamp
JP6776236B2 (en) * 2014-11-28 2020-10-28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Air cleaner
KR101705582B1 (en) * 2014-12-17 2017-02-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hotocatalyst filter unit and air purific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502A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5237B2 (en) Fluid sterilization system
US9764054B2 (en) Air-surface disinfection system, unit and method
KR101515786B1 (en) Photocatalyst sterilization module for air cleaner with function for concentrating and diffusing of uv rays
US20220339573A1 (en) Air cleaner
RU2767873C2 (en) Fluid processing device
KR102242187B1 (en) Indoor surface and airborne disinfection apparatus
KR20180065164A (en) Multiplex air cleaner
JP2018525067A (en) Sterilization apparatus having a configuration for selectively performing different disinfection modes inside and outside the apparatus
KR20190024390A (en) Air purifier using ceramic filter and photocatalyst
US20170003015A1 (en) Airflow-channeling surgical light system and method
US11555604B2 (en) Airflow-channeling surgical light system and method
US20220125967A1 (en) Indoor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uv-c led
KR20190000715A (en) Removable sterilization system
KR20180068690A (en) Apparatus for conditioning air
KR20160027891A (en) Deodorizer
KR20160001543A (en) Air purifier
KR200490315Y1 (en) Portable air cleaner
KR102466855B1 (en) Robot apparatus for air sterilizing
KR102283005B1 (en) Uv sterilization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air circulation
US20240017195A1 (en) Air purifier
TWM557809U (en) Air filter and filter cartridge
KR101192846B1 (en) Air sterilizer
KR20170055689A (en) Air sterilizer-cleaner
KR20220022038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521268B1 (en) Complex air purifying apparatus having microbicidal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