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038A - Air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038A
KR20220022038A KR1020200137414A KR20200137414A KR20220022038A KR 20220022038 A KR20220022038 A KR 20220022038A KR 1020200137414 A KR1020200137414 A KR 1020200137414A KR 20200137414 A KR20200137414 A KR 20200137414A KR 20220022038 A KR20220022038 A KR 20220022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air
unit
air purifi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동진
오용주
김민석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to PCT/KR2021/00175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35004A1/en
Priority to US17/763,853 priority patent/US20220339573A1/en
Priority to CN202180005558.7A priority patent/CN114521224A/en
Publication of KR2022002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0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 to an air cleaner, which can suction external air and purify and sterilize the same and can sterilize a fil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closes an air cleaner comprising: a body forming the exterior; a suction part formed in the body to introduce external air; a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body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art; a fan module provided in the body to form the flow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art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a filter part provided inside the body to filter ou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art; and a light source part provided inside the body to emit ligh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ING APPARATUS}Air purifier {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능 및 공기살균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nd an air sterilizing function.

공기청정기는 외기를 흡입하여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걸러낸 후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상기 공기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 장치 및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An air purifier is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ucks in outside air, filters ou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nd then discharges it.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blower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air purifier and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out dust or bacteria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에는 공기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청정기의 내부에는 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 장치,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has an inlet and an outlet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air. In addition, a blower for circulating air, a filter for filter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inside the air purifier.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공기청정기는 송풍 장치가 구동하면서 발생되는 기류를 통해 상기 흡입구로 외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은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소재의 필터를 거치며 걸러지고, 오염물질들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Looking at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air purifier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air purifier sucks outside air into the suction port through an air flow generated while the blower is driven, and pollutants contained in the sucked air are stored inside the air purifier.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s of various materials provided and the pollutants are filtered ou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공기정화기는 외기를 흡입하여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살균한 후, 배출시키는 장치로써 이해된다.An air purifier is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ucks in outside air, sterilizes the bacteria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nd then discharges it.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살균한다는 점에 있어서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을 필터를 통해 걸러내는 공기청정기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기는 일반적으로 오존, 이온, 자외선, 광촉매 등을 통해 외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살균한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can be distinguished from an air purifier that filters ou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through a filter in that it sterilizes bacteria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The air purifier generally sterilizes the air sucked in from the outside through ozone, ions, ultraviolet rays, photocatalysts, and the like.

근래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고자 각종 필터를 이용한 필터방식이나 이온을 이용한 플라즈마 방식을 통해 공기를 정화시키는 등의 공기정화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supply clean air, an air purifier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s of an air purifier such as purifying air through a filter method using various filters or a plasma method using ions has been proposed.

그러나, 공기의 살균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효성 있는 시간동안 공기의 살균이 지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천천히 이루어져야 하고, 반대로 공기의 흐름이 빨라질수록 살균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르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순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기의 흐름이 빨라질수록 필터링 효과는 증가하고, 공기의 흐름이 느릴수록 필터링 효과는 떨어지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air, since the sterilization of the air must be continued for an effective time, the flow of the air must be made slowly. Conversely, in order to effectively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the filtering effect increases as the air flow increases, and the filtering effect decreases as the air flow decreases.

따라서, 근래 제시되는 공기청정 장치의 경우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물질이나 유해물질의 일부를 제거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일정 부분 살균할 수는 있으나, 공기 중에 함유된 세균을 완전히 살균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an air cleaning device proposed recently, it is possible to remove some of the pollutants or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nd sterilize the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to a certain extent, but there is a limit to completely sterilizing the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There is a situation.

또한 공기의 살균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촉매 물질과 자외선 발생장치가 결합된 공기를 살균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그 예로 선행문헌 제10-0660138호(2006.12.14 등록), 선행문헌 제10-0943328호(2010.02.11. 등록) 등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ir sterilization ability, a device for sterilizing air in which a photocatalytic material and a UV generator are combined has been developed. (Registered on February 11, 2010), etc.

그러나, 상술한 선행문헌들과 근래 제시된 공기 살균장치는 유입된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하여 배출하는 살균장치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부품의 교환, 수리 및 청소가 어려워 사후관리가 불편하다. 그리고, 선행문헌의 구조에 있어서 공기의 정화성능이 떨어지고 공기의 정화를 위한 필터의 살균은 수행할 수 없어 공기의 살균 효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documents and the recently suggested air sterilizer are inconvenient to follow-up management because the replacement, repair, and cleaning of parts is difficult as the sterilizer that sterilizes and deodorizes and discharges the introduced ai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prior literature, th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is inferior and the sterilization of the filter for air purification cannot be performed, so there is a limit in enhancing the air sterilization effect.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흡입된 공기의 살균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필터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of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sterilizing a filter while improving the sterilization ability of inhaled air.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의 살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of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having various structures provided inside the air purifier to improve the sterilization power of inhaled air.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된 살균 모듈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구조의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of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user can easily maintain a sterilization module provided inside the air purifier.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된 살균 모듈의 살균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구조의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of the various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maximizing the sterilization area of a sterilization module provided inside the air purifier.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모듈과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의 내측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Various embodiment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body forming an exterior, a suction unit formed in the body to receive external air, and a discharge unit formed in the body and discharg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A fan module provided inside the body to form a 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unit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a filter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to filte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unit, and inside the body It is provided and provides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상기 바디는, 일면에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팬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디 및 일면에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 및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includes a first body having a discharge part formed on one surface,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an module, and a second body having a suction part formed on one surface, and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part and the light source part can do.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od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흡입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suction part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body, and the filter part may be provided in a position facing the suction part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side the second body.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청정기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bas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to support the air purifier.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를 향해 소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base.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body and provid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may be provided on the base.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바디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돌출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body, and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provided in the protrusion.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서 상기 베이스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include a depression form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oward the base, and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forming the depression.

상기 제2 바디는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바디의 곡률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2 바디가 형성하는 중공에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filter unit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a curvature of the second body, and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positioned in a hollow formed by the second body.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어 소정길이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광원부의 중심축은 동일할 수 있다.Central axes of the second body, the filter unit, and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the same.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Each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they are not contradictory or exclusive to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공간의 공기청정 및 공기의 살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필터의 전면에 걸쳐 살균모듈에서 발생하는 광을 직접 조사함으로써 공기의 살균 시 공기의 청정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urify the air and sterilize the air in the target space, and by irradiati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sterilization module over the front of the filter directly, the purifying ability of the air is reduced when sterilizing the air.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흡입된 공기의 살균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필터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erilize the filter while improving the sterilization ability of the inhaled ai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된 살균 모듈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enance of the sterilization module provided inside the air purifier is easy, and the filter replacement is eas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된 살균 모듈의 살균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terilization area of the sterilization module provided inside the air purifier.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사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2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결합 및 분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적용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적용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적용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광원부에 의한 필터의 살균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irst body of FIG. 1 .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body of FIG. 1 .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of FIG. 1 .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purifier to which a light source unit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purifier to which a light source unit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purifier to which a light source unit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base of FIG. 9 .
11 is a view showing the sterilization area of the filter by the light source unit of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사도고,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제1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제2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결합 및 분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FIG. 1, and FIG. 4 is a first view of FIG. It is a view showing a body,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body of FIG. 1 ,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of FIG. 1 .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공기청정기(1)는 바디(10,20), 흡입부(23), 토출부(15), 팬 모듈, 필터부(201) 및 광원부(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10 and 20 , a suction unit 23 , a discharge unit 15 , a fan module, a filter unit 201 , and a light source unit 29 . there is.

상기 바디(10,20)는 공기청정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0)는 일면에 토출부(15)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팬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The bodies 10 and 2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air purifier 1 . The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20 . The first body 10 has a discharge part 15 formed on one surface and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an module therein.

상기 제1 바디(10) 및 상기 제2 바디(2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단면이 직사각형 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s an example, the cross-section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or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본 실시예의 제1 바디(10) 및 제2 바디(20)는 모서리 부분이 굴곡진 원통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shape close to a cylindrical shape with curved corners.

상기 흡입부(23)는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와 연통하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토출부(15)는 상기 제1 바디(10)의 내부와 연통하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23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20 , and the discharge unit 15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0 . can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의 토출부(15)는 공기청정기(1)의 상면에 형성되고 흡입부(23)는 공기청정기(1)의 하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부(15)는 제1 바디(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23)는 제2 바디(20)에 형성된다.The discharge part 15 of the air purifier 1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urifier 1 , and the suction part 23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air purifier 1 . That is, the discharge part 1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 and the suction part 23 is formed on the second body 20 .

상술한 구조와 같이 사용자의 실생활 공간에 정화된 공기를 토출함과 동시에 토출되는 공기의 확산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는 공기청정기의 상부 측에 토출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토출구는 공기청정기의 상면에 구비된다.In order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user's real life space as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expand the diffusion area of the discharged ai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purifier. Therefore, the discharge port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urifier.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는 하부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f1)하여 상기 공기청정기(1)의 내부에서 정화한 뒤, 공기청정기(1)의 상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f4)하는 상부 토출 구조의 공기청정기이다.The air purifier 1 of this embodiment sucks external air from the lower part (f1), purifies the inside of the air purifier 1, and then discharges the purified air from the upper part of the air purifier 1 (f4). It is an air purifier with a discharge structure.

상기 제1 바디(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모서리 부분이 굴곡진 원통형에 가까운 형상의 제1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하우징(11)은 제1 바디(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0 may be formed by a first housing 11 having a shape close 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having a curved corner. That is, the first housing 11 may form the overall shape of the first body 10 .

상기 제1 바디(10)는 공기청정기(1)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바디(10)는 제2 바디(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디(10)의 하단은 상기 제2 바디(20)의 상단에 접촉하며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결합은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body 10 is located above the air purifier (1). The first body 10 is located relatively upward compared to the second body 20 ,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1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20 , and the first body 10 . and the second body 20 may be coupled. Of course, the coupling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may be separable.

제1 바디(10)의 상면에는 토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본 실시예의 상기 토출부(15)는 제1 바디(10)의 상면 중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바디(10)의 상면 중 나머지 일부는 디스플레이(14)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토출부(15)는 제1 바디(10)의 상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A discharge part 1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 In more detail, the discharge part 15 of this embodiment may form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 and the display 14 may be provided on the remaining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 Of course, the discharge part 15 may be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

상기 디스플레이(14)는 현재 공기청정기(1)가 구비되어 있는 실내 공간의 공기질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14)는 현재 시간, 공간의 온습도, 공기청정기에 입력된 공기청정모드, 공기청정기의 운행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4)를 통해 사용자는 상술한 요소들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display 14 may display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air purifier 1 is currently installed. Of course, the display 14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tim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pace, the air cleaning mode input to the air purifier, and the operating time of the air purifier. And the user may be able to control the above-mentioned elements through the display 14 .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10)의 상면 중 일부에 디스플레이(14)가 구비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4)는 상기 제1 바디(10)의 상면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15)는 상기 디스플레이(14)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바디(10)의 상면 중 나머지 면적에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토출부(15)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해야 공기청정기(1)를 통해 정화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14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 the display 1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 and the discharge part 15 ) may be formed on the remaining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splay 14 .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air purified through the air purifier 1 and discharged can be increased when the area of the discharge unit 15 is enlarged as much as possible.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면 전부가 토출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는 공기청정기의 측면 중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air purifier may be provided as a discharge unit, and the above-described display may be formed on som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air purifier.

상기 제1 하우징(11)의 일측면에는 버튼(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13)은 상기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결합 및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상기 버튼(13)을 눌러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10)를 제2 바디(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A button 13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11 . The button 13 may perform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 For example, the user may press the button 13 to separate the first body 10 from the second body 20 while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 .

본 실시예의 흡입부(24)는 상기 제2 바디(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모서리 부분이 굴곡진 원통형에 가까운 형상의 제2 하우징(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하우징(21)은 상기 제2 바디(2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The suction part 24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by a second housing 21 having a shape close to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second body 20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has a curved edge. That is, the second housing 21 may form the overall shape of the second body 20 .

상기 흡입부(23)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흡입부(23)는 공기의 흡입량을 높이기 위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량을 높이기 위해 상기 흡입부(23)는 제2 바디(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23)는 복수개의 통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은 제2 하우징(21)의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part 23 is a part into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e suction part 23 is preferably formed in a large area in order to increase the intake amount of air. Accordingly, in order to increase the intake amount of air, the suction part 23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20 . The suction part 2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the through-holes may be formed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second housing 21 .

본 실시예의 흡입부(23)는 상기 제2 바디(2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360도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전방향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정화장치는 설치되는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고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모든 방향에서 흡입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2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at a 360-degree front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 to suck in externally polluted air in all directions. Accordingly, the air purifier can suck in polluted external air from all directions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installed.

상기 제2 바디(20)의 하측에는 베이스(2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5)는 공기청정기(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5)의 하단에는 지지부재(251)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써, 상기 지지부재(251)는 바퀴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공기청정기(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함과 동시에 공기청정기(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A base 25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20 . The base 25 may support the air purifier 1 from the ground. A support member 251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ase 25 . As an example, the support member 25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heel to support the air purifier 1 from the ground and facilitate movement of the air purifier 1 at the same time.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내부 구성 및 공기청정기(1)를 통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ier 1 and the flow of air through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제2 바디(20)의 내부에는 필터부(201)와 광원부(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01)는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부(23)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흡입부(23)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A filter unit 201 and a light source unit 29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body 20 . The filter unit 20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suction unit 2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ction unit 23 inside the second body 20 .

상기 필터부(201)부는 상기 제2 바디(20)가 원통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제2 바디(20)의 내둘레를 따라 필터(2021)가 구비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201)의 필터(2021)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201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filter 2021 is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20 as the second body 2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ccordingly, the filter 2021 of the filter unit 201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필터부(201)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형성하며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거르는 필터(2013)와 상기 필터(2013)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2013)의 형상을 고정하는 필터 프레임(2011) 및 상기 필터 프레임(2011)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0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20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filter 2013 and the filter 2013 that forms at least one layer and filter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change the shape of the filter 2013. It may include a fixed filter frame 2011 and a protrusion 2015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filter frame 2011 .

상기 필터(2013)는 유입된 외기를 효과적으로 거르기 위한 다양한 소재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2013)는 상기 제2 하우징(21)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필터부재가 겹겹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재 중 상기 광원부(29)와 마주보는 면에는 광촉매가 도포될 수 있다.The filter 2013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ffectively filtering the introduced outdoor air. The filter 2013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in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21 . In this case, a photocatalyst may be applied to a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facing the light source unit 29 .

상기 광촉매는 상기 광원부(29)에서 조사하는 빛에 반응하는 다양한 물질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촉매는 광에너지를 받아들여 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로써 산화티타늄(TiO3) 등이 채택될 수 있다.The photocatalyst may be defined as a variety of materials that respond to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9. More specifically, the photocatalyst is a material that promotes a chemical reaction by receiving light energy, such as titanium oxide (TiO3). can

상기 광촉매는 광원부(29)가 조사하는 빛에 의해 화학반응을 일으켜 상기 필터(2013)를 거친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The photocatalyst may cause a chemical reaction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9 to decompos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2013 .

상기 돌출부(2015)는 필터 프레임(2011)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필터부(201)가 제2 하우징(21)에 삽입되어 결합될 경우 상기 필터부(20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21)의 상면에는 상기 돌출부(2015)에 맞물리는 함몰부(261)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201)가 상기 제2 하우징(21)에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2015)는 상기 함몰부(261)에 끼워진다.The protrusion part 2015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side of the filter frame 2011 so that when the filter part 20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21 , the position of the filter part 201 may be fixed. More specifically, a depression 261 engaged with the projection 201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1, and when the filter unit 20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21, the projection ( 2015) is fitted into the depression 261 .

한편, 사용자는 제2 바디(20)로부터 필터부(201)를 들어올려 분리시킬 수 이도록 상기 필터 프레임(2011)의 상부 둘레에는 라벨형태의 분리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의 일측은 제2 바디(20)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분리부재의 타측은 제2 바디(20)의 상부로부터 개방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a label-type separation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round the upper periphery of the filter frame 2011 so that the user can lift and separate the filter unit 201 from the second body 20 . One side of the separation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 , and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ion member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 toward the open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분리부재의 일부는 필터부(201)가 하부 바디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01)를 들어올릴 경우 힘이 일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리부재는 제1 바디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a portion of the separation membe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filter unit 201 is inserted into the lower body. In order to prevent the force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when the filter unit 201 is lifted, the separation member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irs around the open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to face each other.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2 바디(20)의 빈 공간에 삽입된 필터를 교체 또는 세척 상의 이유로 제2 바디(2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 분리부재를 잡아 들어올림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filter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of the second body 2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20 for replacement or cleaning reasons, it can be performed by lifting the separating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can

상기 제2 하우징(21)의 상면에는 제2 접촉면(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면(26)은 제1 바디(10)가 제2 바디(20)에 결합될 시 상기 제1 하우징(11)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A second contact surface 2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1 . The second contact surface 26 may contact the end of the first housing 11 when the first body 10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 .

상기 제2 접촉면(26)은 상기 제2 바디(20)의 상단 둘레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면(26)의 내둘레는 상기 필터부(201)의 외둘레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201)가 상기 제2 하우징(21)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 밀폐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바디(20) 내부 밀폐율이 증가됨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 면적을 확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cond contact surface 26 may be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upper periphery of the second body 20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26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unit 201 . Accordingly, when the filter unit 20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21 , the internal sealing rate of the second body 20 may be increased. Of course, as the sealing rate inside the second body 20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the air cleaning area of the air purifier can be enlarged.

제1 바디(10)의 내부에는 팬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23)로부터 상기 토출부(15)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A fan module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body 10 to form a flow of air flowing from the suction unit 23 to the discharge unit 15 .

상기 팬 모듈은 회전축을 형성하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101), 상기 구동부(10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상기 구동부(101)와 상기 팬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흡입부(23)와 토출부(1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23)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15)로 안내하는 쉬라우드(10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n module includes a driving unit 101 that forms a rotating shaft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a fan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01 and rotates based on the rotating shaft to form the air flow, the driving unit 101 and the A shroud 103 that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an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unit 23 and the discharge unit 15 to guide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23 to the discharge unit 15 . may include

상기 팬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0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쉬라우드는 관통부(109)에 대응되는 팬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fan may include a hub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unit and a plurality of blades 105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hub. In addition, the shroud may be formed with a fan inlet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portion 109 .

상기 허브는 송풍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이동경로를 변경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쉬라우드(103)의 하단의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The hub may include a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blower motor is inserted, and a guide part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oupling hole to change a movement path of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The guide part may be defined as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shroud 103 .

즉, 상기 흡입부(23)에서 유입된 외기는 공기청정기(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청정기(1)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팬 모듈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퍼지며 토출부(15)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일예로써 상기 팬은 사류형 팬이 채택될 수 있다.That is,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part 23 move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air purifier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purifier 1, and spreads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fan module, and the discharge part 15 can be moved to Accordingly,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n may be a four-flow fan.

보다 자세하게 제1 바디(10)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공기는 팬 흡입구를 통해 모터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공기청정기(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경로가 모터의 측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하부가 관통된 원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관통된 부분으로 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부의 관통된 부분은 상기 결합공으로 정의될 수 있다.Looking at the flow of air inside the first body 10 in more detail, the air move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air purifier 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through the fan inlet, and the movement path through the guide part. can be ch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otor. Therefore, the guide part may be provided in a conical shape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penetrated,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may be inserted into the part through which the guide part penetrates, so that the penetrating part of the guide part may be defined as the coupling hole.

상기 제1 하우징(11)의 하부에는 제1 연결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7)는 상기 제1 바디(10)가 상기 제2 바디(20)에 결합될 시, 상기 제2 하우징(2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연결부(27)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7)와 제2 연결부(27)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 바디(10)는 상기 제2 바디(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A first connection part 17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 . When the first body 10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20 , the first connection part 17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27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21 . there is. As the first connection part 1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7 are connected, the first body 10 may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body 20 .

한편 상기 제1 하우징(21)의 하부 내측에는 관통부(10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09)는 제2 바디(20)의 흡입부(23)로 유입된 외기가 제1 바디(10)로 이동하는 유로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부(109)를 통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연통될 수 있다.Meanwhile, a through portion 109 may be form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irst housing 21 . The through part 109 may form a part of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art 23 of the second body 20 moves to the first body 10 . That is,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09 .

그리고 제1 하우징(11)의 하부면은 상기 관통부(109)의 둘레를 따라 제1 접촉면(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면(19)은 제2 하우징(21)의 상부면 또는 필터 프레임(2011)과 접촉하는 면으로써, 상기 제1 접촉면(19)에 의해 상기 제1 바디(10)를 제2 바디(20)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할 시 제1 바디(1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ntact surface 19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portion 109 . The first contact surface 19 is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1 or the filter frame 2011, and the first body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by the first contact surface 19. 20) when combined or separated from the rigidity of the first body 10 can be maintained.

또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될 시 공기청정기(1) 내부에서 형성되는 유로 외의 불필요한 부분을 차폐함으로써 공기청정기(1) 내부의 밀폐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re combine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ncrease the sealing rate inside the air purifier 1 by blocking unnecessary parts other than th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air purifier 1 . .

한편 상기 제1 바디(10)와 상기 제2 바디(20)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2 바디(10)는 상기 제1 바디(20)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addition, the second body 10 may be provided to be compatible with the first body 20 .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외기를 흡입하는 양이 달리 설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공기청정기의 흡입량을 제어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필터가 수용되는 제2 바디(20)가 제1 바디(10)에 교체,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 하드웨어적으로 공기청정기의 물리적인 흡입량의 조절이 가능하다.It is effective to set the amount of outdoor air intak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pace where the air purifier is installed. Of course, this can control the intake amount of the air purifier by software, but if the second body 20 in which the filter is accommodated is provided in the first body 10 to be interchangeable and compatible, as in this embodiment, the air purifier can be replaced by hardwa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physical suction of the purifier.

따라서 공기청정기는 상대적인 높이차이에 따른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로 구비되어 2개의 바디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필터, 광원부가 수용되는 제2 바디(10)가 제1 바디(10)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the air purifi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according to the relative height difference, and the two bodies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second body ( 10) may be provided to be compatible with the first body 10 .

그리고 제2 바디(20)의 공기청정 용량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팬 회전수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2 바디(20)의 공기정화 용량이 클수록 공기청정기의 공기 정화 범위는 넓어지기 때문에 팬 회전수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fan rotation speed of the air purifier may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air purifying capacity of the second body 20 . This is because the larger the air purification capacity of the second body 20, the wider the air purification range of the air purifier, so that the fan rotation speed is preferably increased.

상기 팬 회전수의 자동 설정의 일 예로써, 상기 제2 바디(20)의 용량은 각각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바디(10)에 입력되어 있는 고유의 값에 따라 제1 연결부(17)와 제2 연결부(27)의 접속을 통해 상기 제1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As an example of the automatic setting of the fan rotation speed, the capacity of the second body 20 may be changed with the first connection unit 17 and There will b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fan module provided in the first body 10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7 .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는 하부 둘레에서 외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토출하는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팬 모듈의 작동 시 형성되는 기류에 의해 외기는 흡입부(23)를 통해 제2 바디(20)의 내부로 유입(f1)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ier 1 of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in from the lower periphery and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More specifically,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body 20 through the suction unit 23 by the airflow form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an module (f1).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필터부(201)에 의해 오염물질이 걸러지고, 필터부(201)의 내측공간(S3)에서 상기 광원부(29)에 의해 오염물질의 살균이 이루어진다.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body 20 is filtered out of contaminants by the filter unit 201 , and the contaminants are sterilized by the light source unit 29 in the inner space S3 of the filter unit 201 . this is done

상기 필터부(201) 및 광원부(29)를 거친 공기는 제2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바디(10)측으로 상승(f2)된다. 그리고 사류형 팬 모터에 의해 모터의 축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쉬라우드(103)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쉬라우드(103)와 팬 모듈의 사이 공간(S2)을 따라 이동(f3)된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201 and the light source unit 29 rises (f2) toward the first body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 Then, the fan motor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tor and is guid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hroud 103 to move (f3) along the space S2 between the shroud 103 and the fan module.

그리고 팬 모듈과 토출부(15) 사이 공간(S1)으로 이동되어 토출부(15)를 통해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Then, it is moved to the space S1 between the fan module and the discharge unit 15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 through the discharge unit 15 .

베이스(25)는 제2 바디(20)의 하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공기청정기(1)는 상기 베이스(25)로부터 제2 바디(20), 제1 바디(10) 순으로 적층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25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 . Accordingly, the air purifier 1 may be formed by stacking and bonding from the base 25 to the second body 20 and the first body 10 in this order.

상기 베이스(25)는 돌출부(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25 may include a protrusion 28 .

상기 돌출부(28)는 상기 베이스(25)에서 제1 바디(1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28)는 상기 베이스(25)에서 돌출되어 소정 높이를 형성한다.The protrusion 28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ase 25 toward the first body 10 . That is, the protrusion 28 protrudes from the base 25 to form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베이스(25)와 상기 제2 바디(20)가 결합될 시, 상기 돌출부(28)는 필터부(201)의 내측 공간(S3)에 위치된다. 상기 돌출부(28)는 상기 필터부(201)의 하단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01)가 원통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28)는 상기 필터부(201)의 내둘레면에 대응되는 둘레를 형성하며 베이스(25)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base 25 and the second body 20 are coupled, the protrusion 28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S3 of the filter unit 201 . The protrusion 28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201 . More specifically, as the filter unit 20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protrusion 28 may protrude from the base 25 while forming a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unit 201 .

상술한 돌출부(28)의 구조에 의해 상기 제2 바디(20)가 상기 베이스(25)에 결합될 시 상기 필터부(201) 및 제2 바디(20)의 축방향 이동을 고정할 수 있다.The axial movement of the filter unit 201 and the second body 20 can be fixed when the second body 20 is coupled to the base 25 by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28 .

광원부(29)는 제2 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필터부(201)의 내측면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29)는 제1 바디(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25)를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29)는 상기 제1 바디(10)의 하부에서부터 상기 베이스(25)의 상단면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29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body 20 to radiate ligh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201 . The light source unit 29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1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base 25 . The light source unit 29 may exten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to a position close to the top surface of the base 25 .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광원부(29)는 소정길이를 형성하는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29)가 제2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기둥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필터부(201)의 내면에 빛을 고르게 조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light source unit 29 of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ing a predetermined length. As the light source unit 29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 , light can be evenly irradia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201 .

상기 광원부(29)는 필터부(201)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제2 바디(20), 필터부(201) 및 광원부(29)가 원통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광원부(29)는 제2 바디(20) 및 필터부(201)와 중심축을 공유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29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lter unit 201 . As the second body 20, the filter unit 201, and the light source unit 29 of this embodiment ar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light source unit 29 shares a central axis with the second body 20 and the filter unit 201. may be provided at the location.

본 실시예의 상기 광원부(29)는 제1 바디(10), 제2 바디(20) 및 베이스(25)가 결합될 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29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receive power when the first body 10 , the second body 20 and the base 25 are combined.

상기 광원부(29)에서 발생되는 빛은 광촉매 필터층 전체에 닿을 수 있도록 360도로 조사된다. 상기 광원부(29)은 램프,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29)는 일반 광촉매인 경우 자외선 램프 또는 자외선 LED로 구성되고, 가시 광촉매인 경우 자외선 램프, 자외선LED, 고휘도 램프, 고휘도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201)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광촉매 필터층은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으로 작용되는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레탄폼과 같은 메쉬 구조의 지지체 위에 광촉매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9 is irradiated 360 degrees so as to reach the entire photocatalytic filter layer. The light source unit 29 may be composed of a lamp, an LED, or the like. In the case of a general photocatalyst, the light source unit 29 may be composed of an ultraviolet lamp or an ultraviolet LED, and in the case of a visible photocatalyst, it may be composed of an ultraviolet lamp, an ultraviolet LED, a high-brightness lamp, or a high-brightness LED. In addition, the photocatalyst filter layer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201 may be formed by applying a photocatalyst on a support having a mesh structure such as urethane foam in order to minimize a portion acting as a resistance to the flow of incoming air.

공기청정기는 여러 번의 순환 과정에서 먼지를 제거하며, 공기살균은 유효성 있는 시간동안 공기의 살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때문에 공기청정능력 확보를 위해 공기가 빠른 기류를 형성하는 경우 살균 능력이 크게 떨어진다.An air purifier removes dust in several cycles of circulation, and air sterilization should be performed for an effective period of time. For this reason, when the air forms a fast airflow to secure the air cleaning ability, the sterilization ability is greatly reduced.

상술한 이유로 공기 청정기에서 공기 살균을 하기 위해서는 공기청정 능력을 줄여주더라도 공기가 천천히 흘러가게 하거나, 살균력이 매우 센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광원부(29)가 필터 내부 공간(S3)의 중심에 위치되어 필터부(201)의 내측면에 직접 빛을 조사함으로써 살균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팬 모터의 출력을 유지하면서 살균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the above reasons, in order to sterilize the air in the air purifier, even if the air purifying ability is reduced, the air must flow slowly or a method having a very strong sterilization power must be us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light source unit 29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lter inner space S3 to directly irradiate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201 with light to improve sterilization power, thereby maintaining the sterilization ability while maintaining the output of the fan motor. This deterioration can be prevented.

덧붙여, 상기 광원부(29)는 제1 바디(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 바디(10)를 제2 바디(20)로부터 분리할 시 제1 바디(10)와 함께 제2 바디(20)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구조로써, 사용자가 직접 광원부(29)에 접촉하지 않고서도 제2 바디(2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unit 29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0 to separate the first body 10 from the second body 20 together with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 As the structure is lifted from the , it is possible to separate from the second body 20 without the user directly touching the light source 29 , thereby minimiz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easy maintenanc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적용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이다.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purifier to which a light source unit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광원부(29a)는 제1 바디(10)의 하측에 결합되되, 제1 바디(10)의 하측에서 베이스(25)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구조에 의할 경우 광원부의 유지보수 효율이 증가된다.Referring to FIG. 7 , the light source part 29a of this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10 , and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ase 25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10 .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tenance efficiency of the light source unit is increased.

왜냐하면 광원부를 유지관리를 위해 제1 바디(10)를 제2 바디(20)와 분리시켜 들어올릴 경우 광원부의 연장된 길이만큼 제1 바디(10)를 제2 바디(20)로부터 들어올려야만 하기 때문이다.Because when lifting the first body 10 by separating it from the second body 20 for maintenance of the light source unit, the first body 10 must be lifted from the second body 20 by the extended length of the light source unit. Because.

다만, 본 실시예의 광원부(29a) 구조에 의하면, 앞서 설명된 광원부(29)의 구조에 비해 필터부의 내측면에 빛을 고르게 전달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광원부(29a)는 제2 바디(20)의 공기청정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필터부의 높이가 낮을 경우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unit 29a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ifficult to evenly transmit ligh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compared to the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unit 29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light source part 29a of this embodiment is advantageously applied when the height of the filter part is low because the air cleaning area of the second body 20 is relatively small.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적용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이다.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purifier to which a light source unit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와 도 8(b)는 광원부는 필터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돌출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하 도 8(a)의 광원부(291b, 292b)를 기준으로 설명한다.8(a) and 8(b), the light source un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lter unit and dispos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Hereinafter, the light source units 291b and 292b of FIG. 8A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본 실시예의 광원부(291b, 292b)는 제1 광원부(291b) 및 제2 광원부(292b)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광원부는 제2 하우징의 내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s 291b and 292b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unit 291b and a second light source unit 292b, and each light source uni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each other inside the second housing.

본 실시예의 상기 제1 광원부(291b)는 필터부의 내측면 중 일부에 빛을 조사하며, 상기 제2 광원부(292b)는 상기 필터부의 내측면 중 나머지 일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The first light source unit 291b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rradiate light to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unit 292b may radiate light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적용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광원부에 의한 필터의 살균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ir purifier to which the light source unit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base of FIG. 9,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sterilization area of the filter by the light source unit of FIG. .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본 실시예의 베이스(32)는 돌출부(38) 및 필터 지지면(321)을 형성한다. 상기 필터 지지면(321)은 필터부의 하부에 접촉하며 필터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지지면(321)은 필터부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32 of this embodiment forms a projection 38 and a filter support surface 321 . The filter support surface 321 may be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unit to support the filter. Accordingly, the filter support surface 32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unit.

본 실시예의 광원부(39)는 베이스(32)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32)는 돌출부(38)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38)는 상기 베이스(32)에서 제1 바디(1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38)는 상기 베이스(32)에서 돌출되어 소정 높이를 형성한다.The light source unit 39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on the base 32 . More specifically, the base 32 includes a protrusion 38 , and the protrusion 38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ase 32 toward the first body 10 . That is, the protrusion 38 protrudes from the base 32 to form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베이스(32)와 상기 제2 바디(20)가 결합될 시, 상기 돌출부(38)는 필터부(201)의 내측 공간(S3)에 위치된다. 상기 돌출부(38)는 상기 필터부(201)의 하단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01)가 원통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38)는 상기 필터부(201)의 내둘레면에 대응되는 둘레를 형성하며 베이스(32)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base 32 and the second body 20 are coupled, the protrusion 38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S3 of the filter unit 201 . The protrusion 38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filter unit 201 . More specifically, as the filter unit 20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protrusion 38 may protrude from the base 32 while forming a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unit 201 .

상술한 돌출부(38)의 구조에 의해 상기 제2 바디(20)가 상기 베이스(32)에 결합될 시 상기 필터부(201) 및 제2 바디(20)의 축방향 이동을 고정할 수 있다.The axial movement of the filter unit 201 and the second body 20 can be fixed when the second body 20 is coupled to the base 32 by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38 .

상기 돌출부(38)는 상면에 함몰부(38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86)는 상기 돌출부(38)의 상면에서 상기 베이스(32)를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A depression 38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8 . The recessed part 386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toward the base 32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8 .

상기 광원부(39)는 상기 함몰부(386)를 형성하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86)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돌출부(38)의 상면에서 돌출부(38)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part 39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forming the depression part 386 . A side surface of the depression 386 may be inclined. The inclination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8 toward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38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부(386)는 제1 면(381), 제2 면(382), 제3 면(383) 및 제4 면(3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381)은 상기 베이스(32)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면(381)이 형성하는 높이는 상기 함몰부(386)가 베이스(32)로부터 돌출된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epression 386 may include a first surface 381 , a second surface 382 , a third surface 383 , and a fourth surface 384 . The first surface 381 may be defined as a surfac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ase 32 . That is, the height formed by the first surface 381 may correspond to the height at which the depression 386 protrudes from the base 32 .

상기 제2 면(382)은 상기 제1 면(381)으로부터 상기 돌출부(38)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면(382)은 상기 함몰부(386)의 선단면에 대응될 수 있다.The second surface 382 may be defined as a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381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sion 38 decreases. That is, the second surface 382 may correspond to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depression 386 .

상기 제3 면(383)은 상기 제2 면(382)으로부터 베이스(32)를 향해 경사지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면(383)이 형성하는 경사는 상기 제2 면(382)으로부터 함몰부(386)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The third surface 383 may be defined as a surface inclined toward the base 32 from the second surface 382 . In this embodiment, the inclination formed by the third surface 383 refers to a direction from the second surface 382 toward the center of the depression 386 .

상기 제4 면(384)은 상기 함몰부(386)의 함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면(383)은 제4 면(38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The fourth surface 384 may refer to a depressed surface of the depression 386 . Accordingly, the third surface 383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ourth surface 384 .

상기 광원부(39)는 상기 제3 면(383)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제3 면(383)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3 면(383)에 광원부(39)가 구비될 경우 필터부의 내측면을 향해 직접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light source unit 39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third surface 383 because the third surface 383 is formed to be inclined. When the light source unit 39 is provided on the third surface 383, the filter unit This is because light can be irradiated directly toward the inner surfac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의 내측면을 향해 직접적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광원부(39)가 경사면에 배치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와 같이 광원부(39)가 제3 면(383)에 구비될 경우 빛이 차단되는 구조적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directly irradiate ligh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e light source unit 39 must be disposed on an inclined surface, and when the light source unit 39 is provided on the third surface 383 as in this embodiment This is because structural factors that block light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광원부(39)는 상기 제3 면(383)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39 may be provided on the third surface 383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본 실시예의 광원부(39)는 제1 광원부재(391), 제2 광원부재(392), 제3 광원부재(393) 및 제4 광원부재(3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광원부재는 90도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39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member 391 , a second light source member 392 , a third light source member 393 , and a fourth light source member 394 . Each of the light source members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with a 90 degree interval.

상술한 광원부재의 배치에 의해 제1 광원부재(391)는 원통형 필터의 내부면 중 25%의 면적을 커버하고, 제2 광원부재(392)는 원통형 필터의 내부면 중 25%의 면적을 커버하고, 제3 광원부재(393)는 원통형 필터의 내부면 중 25%의 면적을 커버하고 제4 광원부재(394)는 원통형 필터의 내부면 중 25%의 면적을 커버하여 결과적으로 필터부 내측면에 고르게 빛을 조사함과 동시에 직접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광원부에 의한 살균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By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source member described above, the first light source member 391 covers an area of 25%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and the second light source member 392 covers an area of 25%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and the third light source member 393 covers an area of 25%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and the fourth light source member 394 covers an area of 25%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filter, resulting in an inn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ect by the light source by irradiating the light evenly and directly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각각의 광원부재에 의해 조사되는 영역 중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중첩되는 영역이 넓어질수록 광원부에 의한 살균효과가 증가하는 것은 자명하다.In addition, an overlapping area may occur among the areas irradiated by the respective light source members, and it is obvious that the sterilization effect by the light source unit increases as the overlapping area becomes wider.

한편, 상기 광원부(39)가 상기 베이스(32)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32)와 연결되는 전선으로부터 외부전력을 직접 공급받아 광원부(39)의 효율이 증가한다.On the other hand, as the light source unit 39 is provided on the base 32 , the efficiency of the light source unit 39 is increased by directly receiving external power from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base 32 .

또한, 광원부(39)의 관리 시 위해 제2 바디를 상기 베이스(32)로부터 분리시킨 후 베이스(32)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광원부(39)를 조작할 수 있어 광원부(39)의 관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manage the light source unit 39, after separating the second body from the base 32, the light source unit 39 can be operated while the base 32 is suppor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management of the light source unit 39 is easy. Easy.

한편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IoT 모듈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모듈을 통해 Io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IoT 모듈은 가정 내에 존재하는 기존 제품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of this embodiment is attached with a detachable IoT module, so that an IoT environment can be built through the module. The IoT module is a module that allows a user to control an existing product existing in the home as desired.

IoT 시스템은,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내에 상기 공간의 외기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다수의 가전기기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외기의 상태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서 조작될 수 있는 다양한 가전제품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전기기의 일 예로써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가 적용될 수 있다.The IoT system may be installed in a space in which a user lives, and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capable of changing the state of external air in the space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Of course, the home appliance may include various home appliances that can be manipulated in the space by a user as well as changing the state of the outdoor air. As an example of the home appliance, the air purifier of this embodiment may be applied.

상기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의 무선통신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ooth), ZigBee, Wifi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전력선통신 및 무선 전력통신 등 다양한 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home appliance and the terminal is very diverse. For example, Bluetooth, ZigBee, Wifi, etc. are the most used, and various standards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may be u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공기청정기 10: 제1 바디
11: 제1 하우징 13: 버튼
14: 디스플레이 15: 토출부
17: 제1 연결부 19: 제1 접촉면
20: 제2 바디 21: 제2 하우징
23: 흡입부 25,32: 베이스
26: 제2 접촉면 261: 함몰부
27: 제2 연결부
28, 38: 돌출부 321: 필터 지지면
381: 제1 면 382: 제2 면
383: 제3 면 384: 제4 면
386: 함몰부 29,39: 광원부
251: 지지부재
101: 구동부 103: 쉬라우드
105: 블레이드 109: 관통부
201: 필터부 2011: 필터 프레임
2013: 필터 2015: 돌출부
1: air purifier 10: first body
11: first housing 13: button
14: display 15: discharge unit
17: first connection portion 19: first contact surface
20: second body 21: second housing
23: suction unit 25, 32: base
26: second contact surface 261: depression
27: second connection part
28, 38: protrusion 321: filter support surface
381: first side 382: second side
383: third side 384: fourth side
386: recessed portion 29, 39: light source portion
251: support member
101: driving unit 103: shroud
105: blade 109: penetrating portion
201: filter unit 2011: filter frame
2013: filter 2015: overhang

Claims (13)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모듈;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의 내측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a body forming an appearance;
a suction unit formed on the body and into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 discharge unit formed on the body and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is discharged;
a fan module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configured to form a 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unit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a filter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to filte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unit; and
and a light source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일면에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팬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디; 및
일면에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 및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s
a first body having a discharge part formed on one surface and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an module; and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a second body having a suction unit formed on one surface and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unit and the light sourc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body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흡입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uction part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body, and the filt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side the second body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suction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기청정기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base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to support the air purifi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를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ight source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bas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ight source unit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body,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provid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ight source unit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bas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바디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base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body, and the light source unit is provided in the protrus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서 상기 베이스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trusion includes a depression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oward the base,
The light source unit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side forming the depres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바디의 곡률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2 바디가 형성하는 중공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body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filter un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second body, and the light source unit is located in a hollow formed by the second bod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어 소정길이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ght source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광원부의 중심축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ody, the filter unit and the light source unit is the same.
KR1020200137414A 2020-08-13 2020-10-22 Air cleaning apparatus KR20220022038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1750 WO2022035004A1 (en) 2020-08-13 2021-02-09 Air purifier
US17/763,853 US20220339573A1 (en) 2020-08-13 2021-02-09 Air cleaner
CN202180005558.7A CN114521224A (en) 2020-08-13 2021-02-09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1514 2020-08-13
KR1020200101514 2020-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038A true KR20220022038A (en) 2022-02-23

Family

ID=8049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414A KR20220022038A (en) 2020-08-13 2020-10-22 Air clea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03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790A1 (en) * 2022-07-14 2024-01-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ortable air purifier for providing sterilizing and deodorizing fun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790A1 (en) * 2022-07-14 2024-01-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ortable air purifier for providing sterilizing and deodorizing fun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9573A1 (en) Air cleaner
KR102031698B1 (en)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KR101515786B1 (en) Photocatalyst sterilization module for air cleaner with function for concentrating and diffusing of uv rays
RU2767873C2 (en) Fluid processing device
KR102132859B1 (en) Portable air purifier
KR102219356B1 (en) Air Cleaner Comprising Ultraviolet Air Sterilizer
KR20160015084A (en) Air purifier
CN103836430B (en) Illuminator
KR20190024390A (en) Air purifier using ceramic filter and photocatalyst
KR200495463Y1 (en) Flow path structure of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KR102446938B1 (en) Multiple complex sterilization type air sterilizer
KR102293117B1 (en) Air purifier
KR200490315Y1 (en) Portable air cleaner
KR20220022038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160001542A (en) Air purifier
KR100543330B1 (en) Air purifier having deodorizing filter
KR20110096258A (en) Aircleaner
KR20220053721A (en) Air cleaning apparatus
JPH11104225A (en) Air cleaner
KR20240068430A (en) Air cleaning apparatus
JP6637090B2 (en) Air purification module
KR200330036Y1 (en) Air cleaner
KR102521268B1 (en) Complex air purifying apparatus having microbicidal function
JP2005342142A (en) Air purifier and air conditioner using it
KR200353621Y1 (en) Air sterilization means possessing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