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585B1 - 타륜형 부두 - Google Patents

타륜형 부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585B1
KR102466585B1 KR1020200085024A KR20200085024A KR102466585B1 KR 102466585 B1 KR102466585 B1 KR 102466585B1 KR 1020200085024 A KR1020200085024 A KR 1020200085024A KR 20200085024 A KR20200085024 A KR 20200085024A KR 102466585 B1 KR102466585 B1 KR 102466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
mooring
pillar
floating bod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968A (ko
Inventor
정창현
Original Assignee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5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4Moor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륜(Steering Wheel) 형상의 부두 구조물(100)을 형성하고, 부두 구조물(10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조석(潮汐)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부유체(300)가 구비되어 있는 계류시설을 설치하여 선박을 주차 형태로 계류할 수 있도록 하고, 태풍과 같이 파도가 심한 기상 상태에서도 부두 구조물의 내측으로 안전한 부두시설이 유지될 수 있는 타륜형 부두에 관한 것으로, 타륜 형상를 갖는 부두 구조물(100);과 상기 부두 구조물(10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다수의 선박 계류 시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선박 계류 시설은 해저에 고정된 계류용 기둥(200); 및 상기 계류용 기둥(2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부유체(300, 300a, 300b)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체(300, 300a, 300b)는 조석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계류용 기둥(200)에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타륜형 부두{Steering Wheel Type Wharf}
본 발명은 타륜형 부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륜(Steering Wheel) 형상의 부두 구조물을 형성하고, 부두 구조물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조석(潮汐)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부유체가 구비되어 있는 계류시설을 설치하여 선박을 주차 형태로 계류할 수 있도록 하고, 태풍과 같이 파도가 심한 기상 상태에서도 부두 구조물의 내측으로 안전한 부두시설이 유지될 수 있는 타륜형 부두에 관한 것이다.
기존 부두에서 어선 등의 선박을 계류할 때 선박들이 접촉되는 형태로 나란히 계류하거나, 선미에 닻을 투하하고 선수를 계류삭으로 잡아 계류하는 형태이다.
하지만, 이는 선박간 충돌 발생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하여 선주들 사이의 분쟁의 여지가 있을 뿐 아니라, 긴급하게 출항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다른 선박들과 묶여 있어 출항이 지연되거나 닻의 회수로 인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태풍이 발생했을 때에는 태풍의 접근으로 인하여 풍향이 변화될 때 선박들을 부두의 반대편으로 이동시켜 계류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할 뿐 아니라, 큰 파도가 발생하는 상태에서 선박들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사고의 위험 가능성도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시킬 수 있는 부두 시설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들이 있었고, 그 한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KR 20-0367328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선박의 접안 부두시설(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있다.
종래기술은 선박(S)과 선박(S)간의 접촉사고를 방지하고 선적이나 하역작업 및 선객의 승하선이 용이하며 횡접안 부두시설과 같이 선박(S)의 선수 및 선미에서 계류삭(H)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선박(S)을 계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기 위한 선박의 접안 부두시설에 관한 것으로, 선박(S)의 선수 외곽모양인 삼각형 형태의 홈부(1)를 부두(W)에 다수개 형성하고, 한 쌍의 상기 홈부(1) 사이에는 돌출부(2)를 형성하여 선박(S)이 상기 돌출부(2)를 중심으로 양 옆에 부두(W)와 종방향으로 접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박의 접안 부두시설은 선박(S)이 접안할 수 있는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반원호 형태의 부두(W)가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나타난 선박의 접안 부두시설은 독립적으로 선박을 계류할 수는 있지만, 계류할 수 있는 선박의 수가 많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태풍 등으로 인한 큰 파도가 발생할 경우에는 이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KR 20-03673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부두의 형태를 타륜 형태로 구성하고, 내측 뿐 아니라 외측에도 독립적으로 선박을 계류시킬 수 있고, 태풍 등과 같이 큰 바람이 발생할 경우에는 외측의 선박 및 외측의 계류시설 중의 부유체를 타륜형 부두의 내측 또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켜 선박의 피해 및 부두 시설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타륜형 부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륜형 부두는, 타륜 형상를 갖는 부두 구조물(100);과 상기 부두 구조물(10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다수의 선박 계류 시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선박 계류 시설은 해저에 고정된 계류용 기둥(200); 및 상기 계류용 기둥(2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부유체(300, 300a, 300b)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체(300, 300a, 300b)는 조석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계류용 기둥(2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선박 계류 시설에 구비된 계류용 기둥(200)은 적어도 2 개가 서로 이격 설치되어, 연결되는 각 부유체(300, 300a, 300b)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타륜 형상의 부두 구조물(100)은 선박(S)이 부두 내측(11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출입구(1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입구(140) 양측에는 개폐 가능한 수문(15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300,300a, 300b)는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의 내측에 형성되며 기둥 출입구(321)를 포함하는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 및 상기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공 개폐 부재(330, 370, 38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공 개폐 부재(330)는 가변형 연결공 개폐 부재이며, 상기 가변형 연결공 개폐 부재는,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공 개폐용 튜브(331); 및 상기 연결공 개폐용 튜브(331)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뺄 수 있는 펌프(34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에는 상기 펌프(3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태양광 패널(35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공 개폐용 튜브(331)에는 공기가 빠졌을 때, 상기 연결공 개폐용 튜브(331)가 수축될 수 있도록 스프링(33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공 개폐 부재(370, 380)는 양측에 결합날개(371, 38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유체 몸체(310a, 310b)에는 상기 각 결합날개(371, 381)와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13a, 31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용 날개(371, 381)와 상기 결합홈(313a, 313b)는 체결부재(372, 382)를 통해 체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공 개폐 부재(370, 380)는 양측 결합단부에는 경사부(372, 382)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a, 310b)에는 상기 각 결합날개(371, 381)와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13a, 313b)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륜형 부두는 선박을 독립적으로 계류할 수 있으므로, 선박 간의 충돌 등으로 인한 분쟁의 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출입항시 소요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는, 어촌 환경 친화적이며 원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파도의 충격력을 현저히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는 내측 뿐만 아니라, 외측에도 계류시설이 구비되어 있어, 기존의 직선 형태의 부두보다 현저히 많은 수의 선박을 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에서는 출입구에 수문이 구비되어 있어, 태풍 등과 같이 큰 바람이 발생할 경우에는 모든 선박을 타륜형 부두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수문을 닫아서 부두구조물의 내측은 태풍 등으로부터 안전한 부두시설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태풍 등의 바람의 영향으로부터 계류 선박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에서는 계류시설의 부유체가 분리 가능하므로, 태풍 등의 큰 바람이 접근할 때에 특히 외측의 부유체를 분리하여 내측 또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켜 부두의 파손 특히 계류시설의 파손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나타난 원호형 접안 부두시설.
도 2는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의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의 제1 실시예.
도 5는 계류시설에서 분리되는 본 발명의 부유체의 제1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의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의 제3 실시예.
도 8은 태풍이 접근해 올 때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의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의 일 실시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의 A-A 단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의 제1 실시예가 계류시설에 계류된 상태 및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과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계류시설에 구비된 부유체의 제2, 제3 실시예이며, 도 8은 태풍이 접근해 올 때은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의 상태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는, 타륜 형상를 갖는 부두 구조물(100); 및 상기 부두 구조물(10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선박 계류 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부두 구조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대략 원형에 가까운 타륜 형상을 갖고 있다.
이처럼 부두 구조물(100)이 타륜 형상을 갖게 됨에 따라 부두 구조물(100)의 내측도 바다이고, 외측도 바다가 된다.
따라서, 부두 구조물(100)의 내측과 외측 모두 선박(S)의 운항이 가능하고, 이는 계류도 가능하게 된다.
부두 구조물(10)의 내측에서도 선박(S)을 계류시키고, 출항을 하기 위해서는 구조물 내측의 선박(S)이 쉽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야 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의 중앙 부근을 선박(S)의 선회장(130)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타륜 형상의 부두 구조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이 운항할 수 있는 출입구(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출입구(140)가 부두 구조물(100)의 중앙 부분에 헝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두의 조건에 맞게 적합한 부분에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수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출입구(140)에는 수문(15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출입구(140)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수문(150)은 선박(S)과 출입구(140)의 충돌을 방지하는 펜더로 사용될 수 있고, 태풍 등과 같은 큰 바람이 접근할 때에는 수문(150)을 닫아서 부두 구조물(100)의 내측을 외측과 차단시켜 강한 파도의 영향을 방지하는 부두시설을 유지할 수 있다.
선박 계류시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륜형 부두 구조물(100)의 내, 외측에 다수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기존의 부두보다 많은 거의 2배에 가까운 선박 계류시설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선박 계류시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두 구조물(100)에 근접하여 방사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선박(S)들을 각 계류시설에서 독립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박 계류시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각 계류시설의 간격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계류시설에 일측에만 선박(S)을 계류시킬 수도 있고, 양측에 각각 1척의 선박(S)을 계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각 계류시설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을 계류하는 부유체(300, 300a, 300b) 및 상기 부유체(300, 300a, 300b)를 계류하는 계류용 기둥(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류용 기둥(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두 구조물(100)과 마찬가지로 해저면(3)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이며, 상기 부유체(300, 300a, 300b)는 내측에 형성된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을 계류용 기둥(200)에 연결하여 계류시킬 수 있다.
각 계류시설에서 계류용 기둥(200)은 적어도 2 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계류용 기둥(200)에 계류되는 각 부유체(300, 300a, 300b)는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일정한 방향, 예를 들명 방사상의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부유체(300, 300a, 300b)는 계류용 기둥(200)과 부유체(300, 300a, 300b)의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은 갖고 있으므로, 조석에 따라 해수면의 높이가 변하면,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 계류된 선박(S)을 조석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각 부유체(300, 300a, 300b)는 내부에 형성된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에 계류용 기둥(200)이 끼워진 형태가 되도록 하여 각 부유체(300, 300a, 300b)를 계류시킬 수 있으므로, 부유체(300, 300a, 300b)를 계류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단순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각 부유체(300, 300a, 300b)는 선박을 계류할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고, 해상에 떠 있으므로, 각 부유체(300, 300a, 300b)를 들어서 기둥(200)에 끼울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각 부유체(300, 300a, 300b)를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 나타난 각 부유체(300, 300a, 300b)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와,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의 내측에 형성되며 기둥 출입구(321)를 포함하는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 및 상기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공 개폐 부재(330, 370, 380)를 포함하고 있다.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는 각 부유체(300, 300a, 300b)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성요소로써, 목재, 폴리머 또는 금속 등과 같이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구조도 재료에 따라 중실 또는 중공형의 구조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어 부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에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과 계류삭 등으로 연결할 수 있는 선박 연결구(311, 311a, 311b)가 다수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부두 구조물(100)과 계류삭 등으로 연결할 수 있는 부두 구조물 연결구(312, 312a, 312b) 등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은 도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계류용 기둥(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장공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계류용 기둥(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은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는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는 도 4,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에 연결공 개폐 부재(330, 370, 380)을 결합하여 막을 수 있다. 즉, 상기 계류용 기둥(200)을 상기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를 상기 연결공 개폐 부재(330, 370, 380)로 막아서 상기 부유체(300,300a, 300b)가 상기 계류용 기둥(20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와 연결공 개폐 부재(330, 370, 380)가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부유체(300, 300a, 300b)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도 4,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의 선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면의 길이가 부두 구조물(100) 방향을 향하는 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면 충분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부유체(300, 300a, 300b)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300)의 제1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 형상의 기둥 연결공(320)이 형성되어 있고, 기둥 출입구(321)은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부력부재(310)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갖고, 내부에 장공 형상의 기둥 연결공(3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난 상기 기둥 연결공(320)의 기둥 출입구(321)를 개폐하는 연결공 개폐 부재(330)는 가변형 연결공 개폐 부재(330)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가변형 연결공 개폐 부재(330)는 연결공 개폐용 튜브(331)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튜브는 자체 부력을 갖고 있으므로, 연결공 개폐 부재(330)로도 적합하다.
연결공 개폐용 튜브(331)에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331)가 팽창된 상태이므로, 기둥 출입구(321)를 막고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기둥 연결공(320)에 계류용 기둥(200)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부유체(300)는 계류용 기둥(200)에 계류된 상태가 유지될 것이다.
연결공 개폐용 튜브(331)에서 공기를 제거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331) 내의 공기가 빠져서 튜브(331)에 의해 막혀 있던 기둥 출입구(321)가 개방되므로, 부유체(300)는 계류용 기둥(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331)의 외경을 따라 스프링(332)를 설치하여 공기를 제거한 경우에 공기가 빠진 튜브(331)가 길이가 상기 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수축되게 하여 부유체(300)가 기둥(200)으로부터 분리될 때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연결공 개폐용 튜브(331)가 마주 보는 상태의 2개의 튜브(331)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기둥 출입구(321)을 개방하거나 막을 수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직물이나 직물 및 금속을 포함하는 내구성이 좋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보다 적합할 것이다.
한편, 도 4, 5에 도시된 부유체(300)에서는 상기 튜브(331)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펌프(34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340)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350)을 추가로 구비하여 자체 발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300)에는 펌프(3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300a)의 제2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공 형상의 하나의 기둥 연결용(320a)과 하나의 기둥 출입구(3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결공 개폐 부재(37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2에 나타난 상기 연결공 개폐 부재(370)는 부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결합 날개(37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 날개(37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공 개폐 부재(370)의 높이의 중간 위치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부력부재(300a)에는 상기 연결공 개폐 부재(370)의 결합 날개(371)가 결합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결합홈(31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체결 볼트 등과 같은 통상의 체결부재(373)로 체결되어 있을 수 있고, 모터(미도시) 등과 같이 구동원을 구비하고, 모터 등으로부터 구동되는 체결부재(373)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용 개폐 부재(370)는 체결부재(373)를 제거한 후에, 메인 부력부재(310a)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런데, 연결용 개폐 부재(370)는 대부분의 경우에 해상에서 분리시켜야 하므로, 특히 기상 상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연결용 개폐 부재(370)를 메인 부력부재(310a)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결용 개폐 부재(370)의 결합단부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출입구 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부(372)를 형성하여 분리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할 때 연결용 개폐 부재(370)가 보다 쉽게 메인 부력부재(310a)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사부(373)를 형성함으로써, 체결부재(373)을 제거한 후에, 사람이 직접 분리하거나, 부유체(300a)를 이동시키면서 기둥(200)이 연결용 개폐 부재(370)에 충격을 가여 분리시킬 때 보다 쉽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연결용 개폐 부재(370)는 메인 부력부재(310a)가 연결용 줄 또는 끝(미도시)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다시 기둥에 계류시킬 때 재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7에는 부유체(300b)에 기둥 연결공(320b)이 기둥(200)의 갯수 만큼 형성되어 있는 제3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200)이 두 개인 경우에는 기둥 연결공(320b)이 두 개 형성되어 있고, 이 때 기둥 연결공(320b)은 거의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연결용 개폐 부재(380)도 두 개가 구비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난 연결용 개폐 부재(380)는 도 6에 나타난 연결용 개폐 부재(3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결합 날개(380) 및 체결부재(383)를 포함하고 있고, 메인 부력부재(310b)에도 상기 결합 날개(380)에 상응하는 결합홈(31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연결용 개폐 부재(380)는 결합단부에 경사부(38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한 경우 경사부(383)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부유체(300, 300a, 300b)를 기둥(200)에 계류하고자 할 때에는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를 개방한 상태에서 부유체(300, 300a, 300b)를 선박(S) 등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가 기둥(2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기둥(200)이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에 위치하도록 한 후, 각 연결용 개폐 부재(330, 370, 380)로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를 막아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반대로, 같은 부유체(300, 300a, 300b)를 기둥(200)에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각 부유체(300, 300a, 300b)를 선박(S) 등과 연결한 후에, 각 연결용 개폐 부재(330, 370, 380)가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를 개방하거나, 체결부재(373, 383)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상기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가 차례로 기둥(200)을 지나가도록 하여 부유체(300, 300a, 300b)를 기둥(200)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타륜형 부두에서는 태풍 예보 등이 있는 경우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두 구조물(100)의 외측에 계류된 선박(S) 및 외측의 부유체(300, 300a, 300b)를 구조물 내측으로 이동시킨 후 부두 출입구(140)의 수문(150)을 닫아서 선박(S)과 계류시설의 부유체(300, 300a, 300b)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해수 2: 해수면 3: 해저면
100: 부두 구조물 110: 부두 내측 120: 부두 외측
130: 선회장 140: 출입구 150: 수문
200: 계류용 기둥 300, 300a, 300b: 부유체
310, 310a, 310b: 메인 부력부재 311, 311a, 311b: 선박 연결구
312: 부두 구조물 연결구 313a, 313b: 결합홈
320, 320a, 320b: 기둥 연결공
321, 321a, 321b: 기둥 출입구
330: 가변형 입구 개폐 부재 331: 입구 개폐용 튜브
332: 스프링 340: 펌퍼 350: 태양열 패널
370, 380: 입구 개폐 부재 371, 381: 결합날개
372, 382: 경사부 373, 383: 체결부재

Claims (6)

  1. 타륜 형상를 갖는 부두 구조물(100);과 상기 부두 구조물(10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다수의 선박 계류 시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선박 계류 시설은 해저에 고정된 계류용 기둥(200); 및 상기 계류용 기둥(2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부유체(300, 300a, 300b)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체(300, 300a, 300b)는 조석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계류용 기둥(20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륜형 부두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300,300a, 300b)는,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 상기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의 일측에 형성된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 및 상기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 310a, 310b)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공 개폐 부재(330, 370, 380)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용 기둥(200)이 상기 기둥 연결공(320, 320a, 320b)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기둥 출입구(321, 321a, 321b)를 상기 연결공 개폐 부재(330, 370, 380)로 막아서 상기 부유체(300,300a, 300b)가 상기 계류용 기둥(2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륜형 부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선박 계류 시설에 구비된 계류용 기둥(200)은 적어도 2 개가 서로 이격 설치되어, 연결되는 각 부유체(300, 300a, 300b)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륜형 부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륜 형상의 부두 구조물(100)은 선박(S)이 부두 내측(11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출입구(1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입구(140) 양측에는 개폐 가능한 수문(1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륜형 부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 개폐 부재(330)는 연결공 개폐용 튜브(331)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300)에는 상기 연결공 개폐용 튜브(331)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펌프(34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륜형 부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 개폐 부재(370, 380)는 양측에 결합날개(371, 38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a, 310b)에는 상기 각 결합날개(371, 381)와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13a, 31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날개(371, 381)와 상기 결합홈(313a, 313b)는 체결부재(372, 382)를 통해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륜형 부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 개폐 부재(370, 380)는 양측 결합단부에는 경사부(372, 382)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부력부재(310a, 310b)에는 상기 각 결합날개(371, 381)와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13a, 313b)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륜형 부두.
KR1020200085024A 2020-07-09 2020-07-09 타륜형 부두 KR102466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024A KR102466585B1 (ko) 2020-07-09 2020-07-09 타륜형 부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024A KR102466585B1 (ko) 2020-07-09 2020-07-09 타륜형 부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968A KR20220006968A (ko) 2022-01-18
KR102466585B1 true KR102466585B1 (ko) 2022-11-11

Family

ID=8005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024A KR102466585B1 (ko) 2020-07-09 2020-07-09 타륜형 부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58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328Y1 (ko) 2004-08-10 2004-11-11 원 회 양 선박의 접안 부두시설
KR101399936B1 (ko) * 2012-06-29 2014-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가이드
KR20160137194A (ko) * 2015-05-22 2016-1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부유식 항만
KR20180101893A (ko) * 2017-03-06 2018-09-14 윤택영 고강도 콘크리트 폰툰을 포함한 선박 계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968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130B1 (ko)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US8662000B2 (en) Stable offshore floating depot
JP5563103B2 (ja) ムーンプールにおける流動抵抗を軽減するための装置
US9180941B1 (en) Method using a floatable offshore depot
EP3261918B1 (en) Method using a floatable offshore depot
US7182034B2 (en) Offshore floating dock
NZ534886A (en) Swing mooring pontoon
US9567044B2 (en) Semisubmersible with tunnel structure
KR102466585B1 (ko) 타륜형 부두
PL210192B1 (pl) Statek ratowniczy przeznaczony do niesienia pomocy statkom, sposób niesienia pomocy zagrożonym statkom oraz zastosowanie statku ratowniczego
US8056491B2 (en) Berthing system and structure for use therein
CN104908892A (zh) 一种应急连岸通道快速搭建装置
GB2063182A (en) Offshore harbours
CN102963509A (zh) 30万干船坞并联建造船只出坞的牵引方法
US2976694A (en) Boat beacher and launcher
CN115465415B (zh) 一种海洋浮式结构物过浅航道迁移方法
JP5748865B2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
JP3028597U (ja) 離岸式船舶係留ライン
RU2183172C2 (ru) Мелкосидящий толкаемый состав
JPS61294012A (ja) 係船装置
KR20090045748A (ko) 해상 운송수단용 접안 슬라이더
JPWO2013084545A1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および浮体式風力発電装置の係留方法
FR2652333A1 (fr) Navire ou voilier de forme circulaire.
KR20160144616A (ko) 전시용 선박의 정박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