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55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sitting pos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sitting po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558B1
KR102466558B1 KR1020210042463A KR20210042463A KR102466558B1 KR 102466558 B1 KR102466558 B1 KR 102466558B1 KR 1020210042463 A KR1020210042463 A KR 1020210042463A KR 20210042463 A KR20210042463 A KR 20210042463A KR 102466558 B1 KR102466558 B1 KR 102466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pressure sensor
user
seating area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6611A (en
Inventor
지영준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2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558B1/en
Publication of KR2022013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6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는 제1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센서모듈; 제2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센서모듈; 및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 및 제2 압력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되는 압력값 및 기 설정된 임계값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판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대퇴부가 착석되는 영역은,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좌골부가 위치하는 영역은, 복수의 면 중 적어도 두 면에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이 각각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착석영역은, 상기 제1 착석영역의 후방에 위치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posture.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po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disposed in a first seating area; a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sture of the user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a pressure value sensed through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and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 area where the user's femur is seated includes a horizontal surface on which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and an area where the user's seat bone por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is located on at least two of a plurality of surfaces where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Each pressure sensor module includes a protrusion, and the second seating area is located behind the first seating area.

Description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SITTING POSE}Postur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SITTING POSE}

본 발명은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자세를 입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 센서를 배치하여 보다 정확한 자세 측정이 가능한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pos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posture capable of more accurately measuring a posture by arranging a pressure sensor to detect a user's posture three-dimensionally.

잘못된 생활 습관 또는 작업환경 등으로 인해 근육의 기능이 감소하고 관절 주변의 연부 조직이 굳게 되면 관절의 균형 상태가 깨지고 자세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자세 변화는 생체 스트레스로 인한 근골격계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When muscle function decreases due to wrong lifestyle or work environment and soft tissue around joints hardens, the balance of joints is broken and posture changes. Such posture changes cause musculoskeletal pain due to biological stress.

장시간의 공부나 작업에서 대부분의 육체적 피로나 목, 허리 등의 불편함은 잘못된 자세에서 비롯된다. 공부나 작업을 의자에 앉아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바르게 앉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지만 바르게 앉은 방법을 알고 있음에도 자기도 모르게 자세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Most of the physical fatigue or discomfort in the neck and back during long hours of study or work comes from incorrect posture. Considering that most people study or work while sitting on a chair, it is important to get into the habit of sitting properly.

이러한, 잘못된 자세를 예방하기 위하여 의자나 책상 등이 인체공학적으로 만들어지지만 습관적으로 잘못된 자세를 취하는 사람들에게는 아무런 경고 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자세 교정 효과가 반감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se wrong postures, chairs, desks, etc. are made ergonomically, but since no warning can be given to people who habitually take wrong postures, the effect of correcting posture is reduced by half.

또한, 이러한 의자나 책상 등은 사람이 다른 장소로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의 자세 교정에 아무런 영향을 끼칠 수가 없기 때문에 공간상의 제약이 따른다.In addition, when a person moves to another place, such a chair or desk cannot have any effect on the user's posture correction, so space limitations follow.

따라서, 사용자가 깔고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 방석 또는 커버로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압력센서를 평면 및 경사면에 모두 배치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can be manufactured as a chair, cushion, or cover configured for the user to sit on, and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placed on both flat and inclined surfaces in the portion where the user sits so that the user's posture can be more accurately measured. The technology needs to be develop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2957호 (공개일: 2015년 06월 30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72957 (published on June 30, 201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깔고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 방석 또는 커버에 복수개의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를 사용할 시에 가해지는 압력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in a chair, cushion or cover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it on them and obtaining pressure applied when the user uses th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tur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that can more accurately measure a user's posture.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압력센서 중 일부 압력센서는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에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입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posture in which a user's posture can be three-dimensionally sensed by including some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on an inclined surf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는, 제1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센서모듈; 제2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센서모듈; 및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 및 제2 압력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되는 압력값 및 기 설정된 임계값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판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대퇴부가 착석되는 영역은,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좌골(ichium)부가 위치하는 영역은, 복수의 면 중 적어도 두 면에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이 각각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착석영역은, 상기 제1 착석영역의 후방에 위치한다.A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disposed in a first seating area; a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sture of the user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a pressure value sensed through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and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region where the user's thigh is seated includes a horizontal plane on which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and the region where the user's ichium is located in the second seating region is located on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Each of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s includes protrusions, and the second seating area is located behind the first seating area.

또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두면은, 전방을 기준으로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은, 상기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protrusion may include front and rear surfaces relative to the front,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돌출부의 전면 및 후면은, 각각 기 설정된 각도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otruding part may each have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면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은,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다각형의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faces,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faces of the polygon with respect to the fron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자세가 정상 자세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판단된 자세가 상기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termined posture does not correspond to the normal posture,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determined posture corresponds to any one posture among the at least one pre-classified posture, and the determined posture corresponds to the normal postur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guide operation to be corrected.

또한, 상기 기 분류된 자세는, 정상 자세,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앞 또는 뒤로 기울어진 자세,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자세, 골반골을 유지한 상태로 등받이에 기댄 자세, 골반골이 후향 회전하도록 등받이에 기댄 자세 및 다리를 꼬고 있는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classified posture is a normal posture, a posture tilted forward or backwar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a posture tilted to the left or right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a posture leaning on the back while maintaining the pelvic bone, and a pelvic bon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sture leaning on a backrest and a posture in which legs are crossed so as to rotate backward.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자세가 정상 자세에 해당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에, 상기 판단된 자세가 상기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 해당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determined posture is one of the at least one pre-classified posture when the determined postur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in a state where the determined posture does not correspond to the normal posture. You can check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posture of .

또한,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교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상기 교정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rocessor transmits the correction information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so that correc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confirmed posture to be corrected to a normal posture is output to the terminal of the user by the guide operati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자세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자세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관리되도록, 상기 확인된 자세의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includes an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user's sitting posture, and the processor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onfirmed postur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confirmed posture is managed on the application. can be sent to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o output a guide sound to the user's terminal so that the confirmed posture is corrected to a normal posture through the guide operation.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o output a vibration sound for guiding the corrected posture to a normal posture through the guide operation.

또한, 상기 제2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음향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ound output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and the processor may, by the guide operation, guide the confirmed posture to be corrected to a normal posture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can output

또한, 상기 음향 출력모듈은, 상기 제2 착석영역의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스피커 중 상기 확인된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includes first to fourth speakers disposed in four different directions of the second seating area, and the processor, by the guide operation, selects one of the first to fourth speakers. At least one speak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irection for correcting the confirmed posture to a normal posture may be controlled to output the sound.

또한, 상기 제2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haptic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and the processor outputs a vibration sound for guiding the confirmed posture to be corrected to a normal posture through the haptic module as the guide operation. can do.

또한, 상기 햅틱모듈은, 상기 제2 착석영역의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햅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햅틱부 중 상기 확인된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부가 진동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ptic module includes first to fourth haptic parts disposed in four different directions of the second seating area, and the processor, by the guide operation, selects one of the first to fourth haptic parts. At least one haptic uni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irection for correcting the confirmed posture to a normal posture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 vibration soun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방법은,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면, 복수의 착석영역 중 제1 착석영역에 제1 압력센서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착석영역 중 제2 착석영역에 제2 압력센서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 및 제2 압력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되는 압력값 및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대퇴부가 착석되는 영역은,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좌골(ichium)부가 위치하는 영역은, 복수의 면 중 적어도 두 면에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이 각각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착석영역은, 상기 제1 착석영역의 후방에 위치한다.Meanwhile, a posture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osing a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in a first seating area among a plurality of seating areas when a user's seating is detected; disposing a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in a second seating area among the plurality of seating areas; comparing a pressure value sensed through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determining the posture of the user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wherein an area where the thigh of the user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area includes a horizontal surface on which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An area where the user's ichium is locat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includes protrusions on at least two surfaces of a plurality of surfaces where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s are respectively disposed, and the second seating area includes: It is located behind the first seating area.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깔고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 방석 또는 커버에 복수개의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를 사용할 시에 가해지는 압력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provided in a chair, cushion, or cover configured for a user to sit on, so that the user's posture can be more accurately measured by obtaining the pressure applied when the user uses the sensor.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압력센서 중 일부 압력센서는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에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입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provided on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slope so that the user's posture can be sensed in three dimension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자세 교정 또는 측정을 위한 기존의 제품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에서 경사면에 압력 센서가 배치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에 사용자가 착석했을 시,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를 기반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자세를 구분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oduct form for posture correction or measurement.
2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for measuring a po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ressure sensor is disposed on an inclined surface in a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pressure sensor when a user is seated in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a user's posture for measurement based on a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a pos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you flip a component that is shown in a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 term "unit" or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unit" or "module"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unit" or "module"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unit" o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a “unit” or “module”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fewer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or may be combin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can be further separat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자세 교정 또는 측정을 위한 기존의 제품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방석 형태의 제품들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oduct form for posture correction or measurement, showing cushion-type products.

도 1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교정을 위한 기존의 제품들은 대부분 사용자가 착석했을 시 자세 교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입체적인 구조를 갖는다. 즉, 곡선 또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홀을 형성하는 등의 입체적인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골반골과 요추의 바른 자세를 유도하거나 지지하여 사용자가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a) to (d) of FIG. 1 , most existing products for posture correction hav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induce posture correction when a user is seated. That is, through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such as a curve or an inclination or a hole, the user can maintain the posture by inducing or supporting the correct posture of the pelvic bone and lumbar spine while the user is seated.

그러나, 사용자가 그 구조에 적응하게 되면 바른 자세가 무너질 수밖에 없다. 또한, 사용자가 안좋은 자세로 앉아있음을 자각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신이 어떤 안좋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However, when the user adapts to the structure, the correct posture inevitably collapse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be aware that he or she is sitting in a bad posture, and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maintaining a bad posture.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 및 분석하고, 그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 방석(의자)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smart cushions (chairs) equipped with pressure sensors to detect and analyze the user's posture and transmit the analyzed information to the user's terminal are being released.

그러나 이 또한, 압력센서를 2차원적으로 배열하고 있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확인하거나 무게중심의 이동을 구별하는 정도만 가능할 뿐, 구체적인 자세의 변화에 대해서는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ressure sensors are also arranged two-dimensionally, it is only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user is seated or to distinguish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it is difficult to check specific changes in postur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좌골(ichium)부가 위치하는 영역의 일부 바닥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하고, 그 경사면에 압력센서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까지도 정확하게 구별하여 사용자 자세에 대한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gion where the user's ichium is located has an inclined surface, and a pressure sensor is placed on the inclined surface to accurately distinguish even the movement of the user's center of gravity, thereby enabling mor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user's posture. is to make it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네트워크(1)는 크게 자세 측정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지정)되는 단말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을 스마트폰으로 도시하였으나,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랩탑 등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면 적용 가능하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etwork for measuring a po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etwork 1 for measuring a po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ture measuring device 100 and a user terminal ( 200) are included.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t least one terminal set (designated) by the user. In addition, although the user terminal 200 is illustrated as a smart phone in FIG. 2 , any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on such as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or a laptop can be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를 참조하면, 자세 측정 장치(100)는 센서부(110), 저장부(120), 출력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 및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includes a sensor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nd a power supply unit 160.

센서부(110)는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압력센서로 구성된 제1 압력센서모듈(111)과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압력센서로 구성된 제2 압력센서모듈(112)을 포함한다. 이 복수개의 압력센서들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값을 측정하는데, 각각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압력센서가 각각의 위치에서 그 가해지는 압력값을 측정한다.The sensor unit 110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111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disposed on an area formed on a horizontal surface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112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disposed on an area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measure the pressure value applied by the user, and the pressure sensors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respectively measure the applied pressure value at each position.

저장부(120)는 센서부(110)에 포함된 복수개의 압력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각각의 압력값들을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20)는 그 저장된 압력값들을 일정 주기로 삭제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stores pressure values measured through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120 may delete or update the stored pressure values at regular intervals.

출력부(130)는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음향 출력모듈(131) 및 햅틱 모듈(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모듈(131) 및 햅틱 모듈(132) 각각은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음향 출력모듈(131)은 제1 내지 제4 스피커를 구비하되 그 4개의 스피커가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되고, 햅틱 모듈(132) 또한 제1 내지 제4 햅틱부를 구비하되 그 4개의 햅틱부가 서로 다른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hearing or touch, and may include a sound output module 131 and a haptic module 132. To this end, each of the sound output module 131 and the haptic module 132 may be disposed in four different directions. That is, the sound output module 131 includes first to fourth speakers, and the four speakers ar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haptic module 132 also includes first to fourth haptic units, and the four haptic The parts may b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출력부(130)는 사용자의 자세를 가이드하거나 잘못된 자세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알리기 위해, 음향 출력모듈(131)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거나 햅틱 모듈(132)을 통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모듈(131)의 제1 내지 제4 스피커 중 사용자의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방향 쪽에 위치하는 스피커가 그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거나, 햅틱 모듈(132)의 제1 내지 제4 햅틱부 중 사용자의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방향 쪽에 위치하는 햅틱부가 그 촉각 효과를 출력한다.Specifically, the output unit 130 outputs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131 or the user can feel it through the haptic module 132 in order to guide the user's posture or alert the user to an incorrect posture. It generates and outputs various tactile effects. For example, among the first to fourth speakers of the sound output module 131, speakers positio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posture is corrected to a normal posture output the sound, or the first to fourth speakers of the haptic module 132 output the sound. Among the fourth haptic units, a haptic unit located in a direction for correcting the user's posture to a normal posture outputs a tactile effect.

여기서, 햅틱 모듈(132)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음향 출력모듈(131)에서 출력하는 음향과 햅틱 모듈(1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프로세서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특히, 햅틱 모듈(132)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Her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32 may be vibration. The strength and pattern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module 131 and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haptic module 132 may be controlled by a user's selection or a processor setting. In particular, the haptic module 132 may synthesize and output different vibrations or sequentially output them.

햅틱 모듈(132)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32 generates vibrations caused by stimuli such as an array of pins that move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tacted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a nozzle or suction port, rubbing against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an electrode, and electrostatic force. It is possible to generate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effects and effects by reproducing cool and warm sensations using elements capable of absorbing heat or generating heat.

그러나, 이는 하나의 일 예 일뿐,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나 광 출력부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교정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However, this is just one example, and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output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or a light output unit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correction information that guides the user to maintain the user's posture correctly. have.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may be used to suppor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이 통신부(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자세 측정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wireless area networks. At this time,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local are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프로세서(150)는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가 정상 자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 자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자세를 기 분류된 자세 중 어떤 자세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여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processor 1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posture is a normal posture based on the pressure value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posture is not a normal posture, the posture is determined as one of the pre-classified postures. It checks whether it corresponds to and performs a guiding operation to be corrected in a normal posture.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의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교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이 그 교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01)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음향 출력부(203)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도록 한다. 또는,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이 사용자 단말(200)의 음향 출력부(203)에 의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이 사용자 단말(200)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50 transmits correc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user's posture to be corrected to a normal posture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so that the user terminal 200 displays the correction information. Display through the unit 201 or output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03.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5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to output a sound guiding the user's posture to be corrected to a normal postur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03 of the user terminal 200, or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vibration sound for guiding the posture of the user to be corrected to a normal postur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

한편,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의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교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지 않고, 출력부(130)를 통해 직접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모듈(131)를 통해 사용자의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을 출력하거나, 햅틱 모듈(132)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을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50 may directly output correc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user's posture to be corrected to a normal posture through the output unit 130 without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sound for guiding the user's posture to be corrected to the normal posture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131, or vibration sound for guiding the user's posture to be corrected to the normal posture is output through the haptic module 132. can

전원공급부(16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자세 측정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6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이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6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50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 The power supply unit 16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디스플레이부(201) 및 음향 출력부(203)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display unit 201 and a sound output unit 203 .

디스플레이부(20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단말(2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2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user.

이 디스플레이부(201)에는 자세 측정 장치(100)로부터 교정 정보가 수신되면, 그 교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한다.When corr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100, the display unit 201 displays the correc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it.

음향 출력부(203)는 자세 측정 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거나,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미도시)로부터 제어 신호가 전달되면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가이드 하는 음향을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or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processor (not shown)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sound output unit 203 emits at least one sound for guiding the user to correct the posture. output through the speaker.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내부에 햅틱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자세 측정 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거나,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가 전달되면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가이드 하는 촉각 효과를 적어도 하나의 햅틱부를 통해 출력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has a haptic unit (not shown) therein, and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100 or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rocessor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s posture is corrected. A tactile effect for guiding the display is output through at least one haptic unit.

한편,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200)은 프로세서(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자세 측정 장치(100)로부터 교정 정보 또는 제어 신호가 전달되면 이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부(201)가 교정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고, 음향 출력부(203) 또는 햅틱부(미도시)가 각각 음향 또는 촉각 효과를 출력하도록 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user terminal 200 further includes a processor (not shown), and when calibration information or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the processor calibrate the display unit 201.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sound output unit 203 or the haptic unit (not shown) outputs sound or tactile effects,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에서 경사면에 압력 센서가 배치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posture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ressure sensor is disposed on an inclined surface in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석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커버 형태로 구성되거나 의자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자세 측정 장치(100)가 방석 또는 커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이를 바닥이나 의자에서 올려놓고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의자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에 자세 측정 장치(100)가 형성되도록 한다.However, although it is shown in the form of a cush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ver or integrally provided with a chair. When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ushion or cover, the user may use it by placing it on the floor or a chair, or when i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hair,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is placed on a portion where the user sits. ) is form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100)는 도 3에 표시된 점선을 기준으로 크게 제1 착석영역(10) 및 제2 착석영역(20)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착석영역(10)은 사용자의 대퇴부가 위치하는 영역이고, 제2 착석영역(20)은 사용자의 좌골부가 위치하는 영역이다. 즉, 제1 착석영역(10)은 자세 측정 장치(100)의 전방 영역이고, 제2 착석영역(20)은 자세 측정 장치(100)의 후방 영역이다.Referring to FIG. 3 ,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first seating area 10 and a second seating area 20 based on the dotted line shown in FIG. 3. , At this time, the first seating area 10 is an area where the user's thigh is located, and the second seating area 20 is an area where the user's seat bone is located. That is, the first seating area 10 is a front area of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100 , and the second seating area 20 is a rear area of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100 .

이 자세 측정 장치(100)의 전체 면적, 두 착석영역의 면적 비율 등은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나이, 체형에 따라 그 면적 정도와 두 착석영역에 배치된 압력센서들 간의 거리 등이 달라질 수 있다.The total area of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and the area ratio of the two seating areas are not limited, and the area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ure sensors disposed in the two seating area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age and body shape. .

이 제1 착석영역(10) 및 제2 착석영역(20)에 각각 제1 압력센서모듈(111) 및 제2 압력센서모듈(112)이 배치되는데, 제1 압력센서모듈(111)은 사용자의 대퇴부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을 측정하고, 제2 압력센서모듈(112)은 사용자의 좌골부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을 측정한다.A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111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112 are disposed in the first seating area 10 and the second seating area 20, respectivel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thigh part is measured,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112 measures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s seat bone part.

이 제1 압력센서모듈(111)은 제1 착석영역(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좌측 대퇴부가 위치하는 영역 및 우측 대퇴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압력센서가 하나씩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착석영역(10)에서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영역은 경사가 없는 평면으로 형성된다.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111 may include a pair of pressure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of the first seating area 10 . Specifically, one pressure sensor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an area where the user's left thigh is located and an area where the right thigh is located. At this time, the area where the pressure sensor is disposed in the first seating area 10 is formed as a plane without an inclination.

이 제2 압력센서모듈(112) 또한 제2 착석영역(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20) 상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압력센서(1121, 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는 기 설정된 각도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면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압력센서모듈(112)은 전방을 기준으로 그 다각형의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 중 두개 이상의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좌측 좌골부가 위치하는 영역 및 우측 좌골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제1 돌출부(121) 및 제2 돌출부(122)가 각각 형성되고, 제1 돌출부(121) 및 제2 돌출부(122)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면 중 일부 면에 압력센서가 각각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은 제1 돌출부(121)의 전면(121a) 및 후면(121b)에 복수개의 압력센서(1121a, 1121b)가 각각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제2 돌출부(122)의 전면 및 후면에 복수개의 압력센서(1122a, 1122b)가 각각 배치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112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1121 and 1122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protrusions 120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of the second seating area 20. have. At this time, the protruding part 120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faces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112 has two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faces of the polygon based on the front. It can be arranged on each of the above faces. Specifically, the first protrusion 121 and the second protrusion 122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user's left seat bone part is located and the area where the right seat bone part is located, and the first protrusion 121 and the second protrusion part 122 Pressure sensor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some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respectively formed on the surface. 2 and 3 show that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1121a and 1121b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121a and 121b of the first protrusion 121, and similarly,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1121a and 1121b are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cond protrusion 122, respectively. An example in which the two pressure sensors 1122a and 1122b are respectively disposed is shown.

그러나, 제1 돌출부(121) 및 제2 돌출부(122)는 각각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형성되는 경사면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돌출부라 하더라도 다각형의 형상에 따라 각 면의 경사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경사도는 자세 측정 장치(10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수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각 경사면에 배치되는 압력센서의 개수와, 복수개의 압력센서를 배치하는 배치 구조는 한정하지 않는다. 즉, 그 복수개의 압력센서의 배치 구조는 경사면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며, 전후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그 경사면은 사용자가 이질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쿠션감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first protrusion 121 and the second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and may have different inclined surfaces. In addition, even in the same protrusion, the inclination of each surfac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olygon.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and the numerical value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e number of pressure sensors disposed on each inclined surface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not limited. That i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nclined surface, and may be arran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or left-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feeling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a sense of heterogeneity or discomfort.

한편, 사용자가 좌골부 및 대퇴부가 위치되어야 하는 부분에 근접하여 착석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압력센서가 부착되는 부분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해당 부분을 입체적 또는 시각적으로 드러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골부 및 대퇴부가 위치되어야 하는 부분이 좌골부와 대퇴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가이드하도록 할 수도 있고, 좌골부 및 대퇴부가 위치되어야 하는 부분이 구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으로 그 영역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duce the user to sit close to the portion where the ischium and femur are to be located, the portion to which the pressure sensor is attached may be displayed in a three-dimensional or visually revealing manner so as to easily recognize the portion. For example, the part where the seat bone part and the thigh part should be locate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eat bone part and the thigh part to guide the user's posture, or at least so that the part where the seat bone part and the thigh part should be located can be distinguished. It is also possible to mark the area with one or more color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에 사용자가 착석했을 시,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pressure sensor when a user is seated in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a) 및 (c)는 사용자가 바른(최적)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제1 상황)에서 제1 착석영역(10)의 수평면 및 제2 착석영역(20)의 경사면에 각각 배치된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나타내고, (b) 및 (d)는 사용자가 골반골을 후향 회전한 상태의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제2 상황)에서 제1 착석영역(10)의 수평면 및 제2 착석영역(20)의 경사면에 각각 배치된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나타낸다.Specifically, (a) and (c) are respectively applied to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area 1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area 20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maintains an upright (optimal) posture (first situation). (b) and (d) show changes in pressure applied to the placed pressure sensor, and (b) and (d) show the values of the first seating area 10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maintains a posture in which the pelvic bone is rotated backward (second situation). Pressure changes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horizontal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area 20 are shown.

(a) 내지 (b)를 참조하면, 제1 상황이나 제2 상황에서는 제1 착석영역(10)의 제1 압력센서모듈(111) 및 제2 압력센서모듈(112)에 각각 배치된 압력센서들 간 압력값은 그 차이가 크지 않다. 즉, 제1 착석영역(10)의 수평면에 배치된 압력센서만으로는 사용자의 미세한 자세 변화를 감지 또는 측정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골반골 후향 및 요추 후만과 같은 자세는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안좋은 척추 자세 중 하나인데, 이러한 자세에 대해서는 감지 또는 측정이 어렵다.Referring to (a) to (b), in the first situation or the second situation, the pressure sensors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11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112 of the first seating area 10.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values is not large. That is, it is difficult to detect or measure minute changes in the user's posture only with the pressure sensor dispos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area 10 . For example, postures such as pelvic bone retroversion and lumbar kyphosis are among the most common poor spinal postures, which are difficult to detect or measure.

(a) 내지 (c)를 참조하면, 제1 상황에서 제1 착석영역(10)의 수평면에 배치된 압력센서와 제2 착석영역(20)의 경사면에 배치된 압력센서 간 압력값 또한 그 차이가 크지 않다. 즉,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전방 영역인 제1 착석영역(10)와 후방 영역인 제2 착석영역(20)에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가 유사하다. Referring to (a) to (c), in the first situation, the pressure values between the pressure sensor dispos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area 10 and the pressure sensor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area 20 are also different. is not big That is, when the user maintains an upright posture, the degree of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seating area 10, which is the front area, and the second seating area 20, which is the rear area, are similar.

또한, (c) 및 (d)를 참조하면, 제1 상황 및 제2 상황에서 제2 착석영역(20)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두 개의 압력센서 간 압력값의 차이가 확연하게 달라진다. Also, referring to (c) and (d), the difference in pressure values between the two pressure sensors dispos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second seating area 20 in the first situation and the second situation is clearly different.

한편, (b) 및 (d)를 참조하면, 제2 상황으로 사용자의 자세가 동일하지만, 제1 영역(10)의 수평면에 배치된 압력센서와 제2 착석영역(20)의 경사면에 배치된 압력센서 간 압력값의 차이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사용자의 자세라 하더라도 압력센서가 어떻게 배치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그 압력값을 보다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b) and (d), in the second situation, the user's posture is the same, but the pressure sensor dispos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first area 1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area 20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pressure values between the pressure sensors is large. That is, even in the same posture of the user, the pressure value can be more sensitively measured depending on how the pressure sensor is arrang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를 기반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자세를 구분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a user's posture for measurement based on a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100)를 통해 획득한 압력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판단)하는데, 이를 위해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를 분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세 별 임계 범위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user's posture is measured (determined) based on the pressure value obtained through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user's postur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set value. can be classified. To this end, threshold ranges for each posture may be set differently.

(a) 내지 (h)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 별로 압력값에 대한 임계 범위(임계치)를 각각 설정하여 기저장하고, 자세 측정 장치(100)에 의해 압력값이 측정되면 그 기저장된 임계 범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a) 내지 (h)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한다.A critical range (threshold) for the pressure value for each posture of the user according to (a) to (h) is set and previously stored, and when the pressure value is measured by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100,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critical range The user's posture is determined as one of (a) to (h).

이와 같이 사용자의 자세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determine the user's posture, the following <Equation 1> may be used.

Figure 112021038208682-pat00001
Figure 112021038208682-pat00001

여기서, RBF 및 RBB는 각각 제2 압력센서모듈(1121) 중 압력센서들(1121a, 1121b)을 통해 측정된 압력값을 나타내고, LBF 및 LBB는 각각 제2 압력센서모듈(1121) 중 압력센서들(1122a, 1122b)을 통해 측정된 압력값을 나타내며, RF 및 LF는 각각 제1 압력센서모듈(111) 중 좌측에 배치된 압력센서(1111)와 우측에 배치된 압력센서(1112)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을 나타낸다. 또한, sum_t는 압력센서들(1121a, 1121b)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들의 평균값, 압력센서들(1122a, 1122b)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들의 평균값, 제1 압력센서모듈(111)의 압력센서들(1111, 1112)를 통해 각각 측정된 압력값을 모두 합한 값을 나타낸다.Here, RBF and RBB represent pressure values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s 1121a and 1121b of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1121, respectively, and LBF and LBB represent pressure sensors of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1121, respectively. Indicates pressure values measured through (1122a, 1122b), and RF and LF are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1111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 pressure sensor 1112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111, respectively. indicates the pressure value. In addition, sum_t is the average value of the pressure values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s 1121a and 1121b, the average value of the pressure values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s 1122a and 1122b, and the pressure sensors of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111 It represents the sum of all pressure values measured through (1111, 1112).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자세 측정 장치(100)는 압력센서들을 통해 획득한 압력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하기와 같이 8개의 자세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각 자세를 구분하는 임계치(threshold)(th0~th7))가 설정되며, 그 임계치를 이용하여 자세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와 같다.As an example,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user's posture as one of eight postures based on pressure values obtained through pressure sensors. At this time, a threshold (th0 to th7) for classifying each posture is set, and details of determining the posture using the threshold are as follows.

(a) 자세 - 기준 자세(a) Posture - Reference posture

SP_ON AND {RBB/RB < th1 OR LBB/LB < th1}SP_ON AND {RBB/RB < th1 OR LBB/LB < th1}

(b) 자세 - 둔부가 앞으로 빠진 상태에서 등받이에 기댄 자세(b) Posture - leaning on the back with the hips forward.

BR_ON AND {(RB+LB) / sum_t} <th2BR_ON AND {(RB+LB) / sum_t} <th2

(c) 자세 - 등이 구부러진 자세(c) Posture - the back is bent

SP_ON AND {RBB/RB > th3 OR LBB/LB > th3}SP_ON AND {RBB/RB > th3 OR LBB/LB > th3}

(d) 자세 - 우측으로 기울어진 자세(d) Posture - tilted to the right

(RB + RF) / sum_t > th4 (RB + RF) / sum_t > th4

(e) 자세 - 좌측으로 기울어진 자세(e) Posture - leaning to the left

(LB + LF) / sum_t > th4(LB + LF) / sum_t > th4

(f) 자세 - 전방으로 상체가 기울어진 자세(f) Posture - Forward tilt of the upper body

RBF / RB > th5 OR LBF/LF > th5RBF / RB > th5 OR LBF/LF > th5

(g) 자세 - 골반골을 유지한 상태로 등받이에 기댄 자세(g) Posture - Reclining on the back with the pelvic bones maintained.

{BR_ON AND RBF/RB > th6 } OR {BR_ON AND LBF/LB > th6 }{BR_ON AND RBF/RB > th6 } OR {BR_ON AND LBF/LB > th6 }

(h) 자세 - 골반골이 후향 회전하도록 등받이에 기댄 자세(h) Posture - Reclining on the back with the pelvic bone rotated posteriorly.

{BR_ON AND RBB/RB > th7 } OR {BR_ON AND LBB/LB > th7}{BR_ON AND RBB/RB > th7 } OR {BR_ON AND LBB/LB > th7}

여기서, BR_ON은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댄 상태이고, BR_OFF는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BR_ON은 sum_t / sum_t0 < th0 에 해당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으며, sum_t0는 (a) 자세에서의 sum_t이다. 또한, (a) 자세 및 (c) 자세는 조건 논리상 (b), (d)~(h)가 아닌 상태에서 의도된 위치에 등을 기대지 않고 앉은 상태로서 이를 SP_ON라 칭하였으며, SP_ON = NOT ((b) + (d) + (e) + (f) + (g) + (h))와 같이 표기한다.Here, BR_ON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user leans against the backrest, and BR_OFF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lean against the backrest. At this time, BR_ON can be determined as a case corresponding to sum_t / sum_t0 < th0, and sum_t0 is sum_t in the posture (a). In addition, (a) posture and (c) posture were referred to as SP_ON as a state of sitting without leaning back on the intended position in a state other than (b), (d) ~ (h) in terms of conditional logic, and SP_ON = NOT It is expressed as ((b) + (d) + (e) + (f) + (g) + (h)).

한편, (a)만을 기준 자세라 지칭하였으나, 설정되는 기준 자세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이 기준 자세는 자세를 측정한 결과값에 따라 알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준 자세를 제외한 모든 자세에서 알림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only (a) is referred to as the standard posture, a plurality of standard postures may be set. can be output.

도 6에 도시된 사용자의 자세는 일 예 일뿐이며, 배치되는 압력센서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그 자세가 더 세분화되어 좁은 범위로 구분될 수도 있고, 넓은 범위로 구분될 수도 있다. 즉, 자세 측정 장치(100)에서 판단할 수 있는 자세는 (a) 내지 (h)로만 한정되지 않는다.The posture of the user shown in FIG. 6 is only an example, and the posture may be further subdivided and divided into a narrow range or a wide range according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pressure sensors disposed thereon. That is, the postures that can be determined by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100 are not limited to (a) to (h).

도 7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100)를 기반으로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ture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method for measuring a posture based on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자세 측정 장치(100)의 압력센서들(1121a, 1121b, 1122a, 1122b)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의 압력값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면(S301), 각 압력센서들을 통해 측정된 압력값들을 획득한다(S303). 사용자가 착석한 이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의 값이 변하는 것을 감지할 때마다 전체 압력센서들에 대한 압력값들을 측정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압력값들을 측정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데, 이때 그 주기는 초 단위가 될 수도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7 , when a user's seating is detected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pressure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pressure sensors 1121a, 1121b, 1122a, and 1122b of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S301), Pressure values measured through each pressure sensor are acquired (S303). After the user is seated, it may be set to measure the pressure values of all pressure sensors whenever a change in the value of at least one pressure sensor is detected, or it may be set to measure the pressure values at each preset period. The period may be in units of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S303 단계를 통해 획득한 압력값들을 이용하여 기저장된 임계 범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고(S305), 그 판단된 자세가 정상 자세(기준 자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07).The user's posture is determined based on the pre-stored critical range using the pressure values acquired through step S303 (S305),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determined posture is a normal posture (standard posture) (S307).

만약, S307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그 판단된 자세가 정상 자세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S303 단계 이후 단계들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If,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307, if the determined posture is confirmed as a normal posture, steps after step S303 are repeatedly performed.

한편, 그 판단된 자세가 정상 자세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기 분류된 자세 중 어느 자세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고(S309), 확인된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그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S311). 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etermined posture is not the normal posture, it is checked which posture corresponds to which of the previously classified postures (S309), and the operation of guiding the posture to be corrected to the normal posture according to the checked posture of the user. is performed (S311).

S311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200)로 그 자세가 정상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 하는 교정 정보 또는, 음향이나 촉각 효과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자세 측정 장치(100)에 구비된 출력부(130)를 통해 음향이나 촉각 효과가 직접 출력되도록 한다.In step S311, correc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posture to be corrected to the normal posture or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sound or tactile effec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or an output unit provided in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0 ( 130) to directly output sound or tactile effects.

한편, S311 단계 이후에도 사용자가 계속해서 착석하고 있는 상태라면, S303 단계 내지 311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Meanwhile, if the user continues to be seated after step S311, steps S303 to 311 are repeatedly performed.

이를 위해, 사용자는 이 사용자 단말에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도 있고, 웹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알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o this end, the user may install a separate program or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and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by accessing a web page.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자세 측정 장치
10: 제1 착석영역 20: 제2 착석영역
110: 센서부 111: 제1 압력센서모듈
112: 제2 압력센서모듈 120: 저장부
130: 출력부 131: 음향 출력모듈
132: 햅틱 모듈 140: 통신부
150: 프로세서 160: 전원공급부
200: 사용자 단말 201 : 디스플레이부
203: 음향 출력부
1111, 1112, 1121a, 1121b, 1122a, 1122b : 압력센서
100: posture measurement device
10: first seating area 20: second seating area
110: sensor unit 111: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112: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120: storage unit
130: output unit 131: sound output module
132: haptic module 140: communication unit
150: processor 160: power supply
200: user terminal 201: display unit
203: sound output unit
1111, 1112, 1121a, 1121b, 1122a, 1122b: pressure sensor

Claims (32)

복수의 착석영역을 포함한 자세 측정 장치에 있어서,
제1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센서모듈;
제2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센서모듈; 및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 및 제2 압력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되는 압력값 및 기 설정된 임계값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대퇴부가 착석되는 영역은,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좌골(ichium)부가 위치하는 영역은, 복수의 면 중 적어도 두 면에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이 각각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착석영역은, 상기 제1 착석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자세 측정 장치.
In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seating areas,
a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disposed in the first seating area;
a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and
A processor for determining a user's posture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pressure value sensed through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and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 area where the user's thigh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area includes a horizontal surface on which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An area where the user's ichium is locat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includes protrusions on at least two surfaces of a plurality of surfaces on which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s are disposed, respectively;
The second seating area is positioned behind the first seat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두면은, 전방을 기준으로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은, 상기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protrusion include front and rear surfaces based on the front,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전면 및 후면은, 각각 기 설정된 각도의 경사면을 가지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otruding portion each have an inclined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posture measuremen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면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은,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다각형의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 각각에 배치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faces,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on each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polygon with respect to the fro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준 자세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f the determined posture does not correspond to the standard posture, a guide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posture corresponds to one of at least one pre-classified posture and guiding the determined posture to be corrected to the reference posture. To perform, posture measurement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는, 기준 자세,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앞 또는 뒤로 기울어진 자세,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자세, 골반골을 유지한 상태로 등받이에 기댄 자세 및 골반골이 후향 회전하도록 등받이에 기댄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at least one pre-classified posture includes a reference posture, a posture tilted forward or backward over a predetermined angle, a posture tilted to the left or right above a predetermined angle, a posture leaning against a backrest while maintaining a pelvic bone, and a pelvic bone. A posture measurement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osture of leaning against a backrest such that the posture is rotated backwar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준 자세에 해당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에, 상기 판단된 자세가 상기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processor,
In a state where the determined posture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ference posture, when the determined postur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rmined posture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at least one grouped posture. , posture measurement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교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인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상기 교정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5,
It further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he processor,
By the guide operation, the posture measurement device transmits the corr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correc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corrected posture to be corrected to the reference posture is output to the user terminal, which is the terminal of the user.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자세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자세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관리되도록, 상기 확인된 자세의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user's sitting posture,
the processor,
The posture measur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postur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confirmed posture is managed on the applicatio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rocessor,
According to the guide operation,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guide sound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confirmed posture is corrected to a reference postur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rocessor,
According to the guide operation,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vibration sound for guiding the confirmed posture to be corrected to a reference postur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음향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5,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ound output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the processor,
According to the guide operation, a sound for guiding the corrected posture to a reference posture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모듈은, 상기 제2 착석영역의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스피커 중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sound output module includes first to fourth speakers respectively disposed in four different directions of the second seating area;
the processor,
By the guide operation, at least one speak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irection for correcting the checked posture to a reference posture among the first to fourth speakers is controlled to output the soun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을 출력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5,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haptic module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the processor,
According to the guide operation, a vibration sound for guiding the corrected posture through the haptic module to a reference posture is output.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모듈은, 상기 제2 착석영역의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햅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햅틱부 중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부가 진동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haptic module includes first to fourth haptic units respectively disposed in four different directions of the second seating area;
the processor,
By the guide operation, at least one haptic uni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irection for correcting the checked posture to a reference posture among the first to fourth haptic units is controlled to output a vibration s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석영역에서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영역과 상기 제2 착석영역에서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영역을 입체적 또는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착석위치를 가이드하는, 자세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Posture measurement that guides the user's seating position by three-dimensionally or visually displaying an area where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in the first seating area and an area where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Device.
복수의 착석영역을 포함한 자세 측정 장치의 자체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착석영역 중 제1 착석영역에 제1 압력센서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착석영역 중 제2 착석영역에 제2 압력센서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 및 제2 압력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되는 압력값 및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대퇴부가 착석되는 영역은,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좌골(ichium)부가 위치하는 영역은, 복수의 면 중 적어도 두 면에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이 각각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착석영역은, 상기 제1 착석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자세 측정 방법.
In the self-calibration method of a posture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seating areas,
disposing a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in a first seating area among the plurality of seating areas;
disposing a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in a second seating area among the plurality of seating areas;
comparing a pressure value sensed through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Including; determining the user's postur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 area where the user's thigh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area includes a horizontal surface on which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An area where the user's ichium is locat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includes protrusions on at least two surfaces of a plurality of surfaces on which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s are disposed, respectively;
The second seating area is located behind the first seating area.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두면은, 전방을 기준으로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은, 상기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7,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protrusion include front and rear surfaces based on the front,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전면 및 후면은, 각각 기 설정된 각도의 경사면을 가지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8,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otruding part each have an inclined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면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은,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다각형의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 각각에 배치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9,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faces,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on each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polygon with respect to the fron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준 자세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7,
if the determined posture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ference posture, confirming whether the determined posture corresponds to any one of at least one pre-classified posture; and
Performing a guide operation for guiding the confirmed posture to be corrected to a reference posture; further comprising a posture measuring metho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는, 기준 자세,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앞 또는 뒤로 기울어진 자세,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자세, 골반골을 유지한 상태로 등받이에 기댄 자세 및 골반골이 후향 회전하도록 등받이에 기댄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21,
The at least one pre-classified posture includes a reference posture, a posture tilted forward or backward over a predetermined angle, a posture tilted to the left or right above a predetermined angle, a posture leaning against a backrest while maintaining a pelvic bone, and a pelvic bone. A posture measurement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osture leaning against a backrest such that the back rotates backwar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준 자세에 해당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에, 상기 판단된 자세가 상기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21,
The determining step is
In a state where the determined posture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ference posture, when the determined postur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rmined posture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at least one grouped posture. How to measure postur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교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인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상기 교정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21,
The above steps are
As the guide operation, the corr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so that the correction information for guiding the confirmed posture to be corrected to the reference posture is output to the user terminal, which is the terminal of the use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자세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자세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관리되도록, 상기 확인된 자세의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더 전송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24,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user's sitting posture,
The above steps are
and furthe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confirmed postur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o that the confirmed posture is managed on the application.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더 전송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24,
The above steps are
According to the guide operation,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guide sound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confirmed posture is corrected to a reference posture is further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더 전송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24,
The above steps are
As the guide operation,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vibration sound for guiding the confirmed posture to be corrected to a reference posture is further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석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모듈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음향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21,
Disposing at least one sound output module in the second seating area;
The above steps are
According to the guide operation, a sound for guiding the corrected posture to a reference posture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모듈은, 상기 제2 착석영역의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스피커 중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28,
The sound output module includes first to fourth speakers respectively disposed in four different directions of the second seating area;
The above steps are
By the guide operation, at least one speaker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irection for correcting the checked posture to a reference posture among the first to fourth speakers is controlled to output the soun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석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햅틱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을 출력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21,
Disposing at least one haptic module in the second seating area;
The above steps are
As the guide operation, a vibration sound for guiding the corrected posture through the haptic module to a reference posture is output.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모듈은, 상기 제2 착석영역의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햅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햅틱부 중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부가 진동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자세 측정 방법.
31. The method of claim 30,
The haptic module includes first to fourth haptic units respectively disposed in four different directions of the second seating area;
The above steps are
According to the guide operation, at least one haptic uni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irection in which the checked posture is corrected to a reference posture among the first to fourth haptic units is controlled to output a vibration soun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석영역에서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영역과 상기 제2 착석영역에서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영역을 입체적 또는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착석위치를 가이드하는, 자세 측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7,
Posture measurement that guides the user's seating position by three-dimensionally or visually displaying an area where the first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in the first seating area and an area where the second pressure sensor module is disposed in the second seating area Way.
KR1020210042463A 2021-04-01 2021-04-01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sitting pose KR1024665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463A KR102466558B1 (en) 2021-04-01 2021-04-01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sitting po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463A KR102466558B1 (en) 2021-04-01 2021-04-01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sitting po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611A KR20220136611A (en) 2022-10-11
KR102466558B1 true KR102466558B1 (en) 2022-11-11

Family

ID=8359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463A KR102466558B1 (en) 2021-04-01 2021-04-01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sitting po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55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2785A (en) 2012-08-24 2014-03-13 Shinichi Makise Lumbago alleviation device
JP2016002439A (en) 2014-06-16 2016-01-12 木夢株式会社 Zen chai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556B1 (en) * 2010-04-22 2011-12-13 주식회사 자세과학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measurement
KR20150072957A (en) 2013-12-20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easuring posture, terminal thereof, and system thereof
KR20170047160A (en) * 2015-10-22 2017-05-04 곽정오 Posture correction module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KR20170112058A (en) * 2016-03-30 2017-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analyzing posture of user
KR20180092456A (en) * 2017-02-09 2018-08-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Good posture inducement system based posture measurement information using pressure sensors
KR102082510B1 (en) * 2017-11-23 2020-02-2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sitting posture providing feedb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2785A (en) 2012-08-24 2014-03-13 Shinichi Makise Lumbago alleviation device
JP2016002439A (en) 2014-06-16 2016-01-12 木夢株式会社 Zen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611A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9668B2 (en) Occupant and fidget detection of a seat assembly
US201700204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ser posture
Jeong et al. Developing and evaluating a mixed sensor smart chair system for real-time posture classification: Combining pressure and distance sensors
KR101183580B1 (en) Wearable posture correction equipment linking with smart apparatus
KR101547653B1 (en) Posture correction system using comparison analysis about pressure distribution chart
US20110275939A1 (en) Ergonomic Sensor Pad with Feedback to User and Method of Use
KR101842067B1 (en) Posture Control System using Smart Fabric
KR20110049941A (en) Chair for correcting posture and cushion for the same
KR1020825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sitting posture providing feedback
KR20170047160A (en) Posture correction module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KR20110089646A (en) Functional chair
KR20170050173A (en) On-Chair Posture Control System with Flexible Pressure Mapping Sensor and method at the same
KR1024665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sitting pose
KR20160069699A (en) Chair for mainitaing correct posture
EP3452803B1 (en) Mattress indentat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WO2019208764A1 (en) Ecu device, vehicle seat, system for estimating lower limb length of seated person, and attachment structure for sitting height detection sensor
KR101712279B1 (en) Posture correction apparatus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KR20170078481A (en) Posture Sensing and correcting System
KR101622480B1 (en) Sitting mat type posture correction system
KR20170069822A (en) health care chair structure
JP7416371B2 (en) Sitting posture determination device, chair, sitting postur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JP7197805B2 (en) Chair and posture judgment method
JP7274165B2 (en) Sitting Posture Determining Device, Chair, Sitting Posture Determining Method, and Program
NL2015283B1 (en) Device for detecting the weight distribution of a load, in particular of a person.
KR20200059722A (en) Condition analysis system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distribution chart of air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