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556B1 -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measure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measur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556B1
KR101093556B1 KR1020100037626A KR20100037626A KR101093556B1 KR 101093556 B1 KR101093556 B1 KR 101093556B1 KR 1020100037626 A KR1020100037626 A KR 1020100037626A KR 20100037626 A KR20100037626 A KR 20100037626A KR 101093556 B1 KR101093556 B1 KR 101093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right support
measuring device
sit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6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8052A (en
Inventor
안재홍
곽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세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세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세과학
Priority to KR102010003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556B1/en
Publication of KR2011011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0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5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앉은 자세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앉은 자세에서 어깨의 좌우대칭을 비교하고, 엉덩이의 좌우 밸런스와 어깨 및 척추를 올바르게 맞출 수 있도록 하여, 바르게 앉은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시트몸체와, 상기 시트몸체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촬영하는 카메라몸체와, 상기 시트몸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몸체로 부터 받은 자료에 따라,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는 교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교정부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좌,우측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좌,우측지지프레임과,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이 승 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좌,우측승하강모터와,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몸체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가 구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compare the left and right symmetry of the shoulder in the sitting posture, so that the right and left balance of the hips and the shoulders and spine can be correctly aligned, so that the right sitting posture can be induced. It relates to a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invention,
The seat body to allow the user to sit, the camera body connected to the seat body, photographing the sitting position of the user, and formed from the inside of the seat body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body, It consists of a corrector for correcting the sitting posture, the corrector,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for supporting the user's hips,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and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upport frame,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 to enable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 to move up and down, and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 an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at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

Description

앉은 자세 측정장치{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MEASUREMENT}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MEASUREMENT}

본 발명은 앉은 자세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앉은 자세에서 어깨의 좌우대칭을 비교하고, 엉덩이의 좌우 밸런스와 어깨 및 척추를 올바르게 맞출 수 있도록 하여, 바르게 앉은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compare the left and right symmetry of the shoulder in the sitting posture, so that the right and left balance of the hips and the shoulders and spine can be correctly aligned, so that the right sitting posture can be induced. It relates to a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요통(腰痛)은 현대인에게 있어 잘 알려진 질병중 하나인데 이는 오랜 시간 바르지 못한 자세로 앉아 있거나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는 등의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요통은 대게 척추(脊椎)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로 척추의 휨 손상으로부터 연유되기도 한다.Low back pain is one of the well-known diseases of modern people, and it is often caused by wrong lifestyles such as sitting in an incorrect position for a long time or taking an incorrect position. The back pain is usually associated with spinal flexion damage in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pine.

상기 척추는 인간의 몸체를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근본이기도 하다.The spine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maintaining the human body, which is also essential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있어 바른 자세는 더욱 필요 시 되는 생활습관이면서, 요통 환자에게는 더욱 요구되는 것이 바로 바른 자세이다.For modern people who have a lot of time to sit and live, the right posture is a more necessary lifestyle, and the right posture is more demanding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그러나, 현대인들은 책을 보거나 컴퓨터를 하기 위해 고개를 숙이거나 허리를 앞으로 굽히는 동작이 많고, 더욱이 수험생 등의 경우 공부를 하기 위해 고개를 숙인 자세로 장시간 있는 경우가 많다.However, modern people often bow their heads or bend their backs to read books or play computers, and more often they take their heads for long periods of time to study.

이러한, 나쁜 자세를 반복적으로 취하다 보면 머리는 어깨보다 앞쪽으로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등은 뒤쪽으로 후퇴하여 굽게 되고, 인체 역학적인 상호 보정작용에 의해 배는 머리와 함께 앞으로 이동하게 되어 굽은 형태의 체형으로 바뀌게 된다.Repeatedly taking bad posture, the head protrudes forward than the shoulder, and the back is retracted and bent backwards, and the abdomen moves forward with the head by the ergonomic mutual correction. Will change to

이렇게 되면 목뼈는 일자 목이 되거나 전방으로 만곡 되기 쉽고, 머리는 무게로 인해 어깨선보다 앞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때, 목 뒤의 근육과 양측 어깨의 근육들은 머리가 앞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머리의 무게를 지지해야됨으로써, 근육들은 항상 경직되어 단단하게 뭉치게 된다.This makes it easier for the neckbone to be straight neck or curved forward, and the head moves forward of the shoulder line due to the weight. Muscles are always stiff and tightly packed.

이로 인해, 뒷목이 뻣뻣해지고 긴장성 두통과 함께 어깨 근육이 만질 수 없이 아프고 피로가 쉽게 오게 된다.This causes the back neck to become stiff and tension headaches, and the shoulder muscles become sorely touched and fatigued.

또한, 일자로 된 목뼈(경추) 또는 전방으로 만곡된 목뼈 부위에 무게가 가중되어 목 디스크가 목뼈에서 이탈되어 목 디스크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eight is added to the neck (cervical spine) or the curved portion of the anterior curve of the neck so that the neck disk is separated from the neck bone causing the neck disk disease.

또한, 등이 후방으로 굽게 되어 굽어진 등의 척추는 관절을 뒤로 물러나가게 하기 때문에 척추(상부흉추)는 좌우로 어긋나거나 기울어지기 쉽고, 상대적으로 요추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요추 전만을 가중시켜 상체의 체중이 하부 요추에 쏠리게 되어 허리 디스크와 추간공(뼈 사이 공간)이 좁아져 척추신경을 압박하여 허리 디스크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ack is bent backwards and the spine of the bent back to back joints, so the vertebrae (upper thoracic vertebrae) are easily shifted from side to side or inclined. The weight is directed to the lower lumbar spine and the lumbar disc and intervertebral cavity (space between bones) are narrowed, compressing the spinal nerve and causing lumbar disc disease.

이와 같이 나쁜 자세는 크고 작은 척추에 대한 혹사와 함께 나쁜 자세로 인한 중력이 집중되어 이로 인해 척추의 정상 만곡이 이루어지지 않아 척추의 마디마디가 제 위치를 찾지 못하고 이탈하여 척추질환을 포함한 근육, 인대, 디스크, 연골, 및 관절, 뼈 주위의 혈액순환, 중추 및 말초신경, 자율신경과 모든 기관들에게까지 악영향을 주게 된다.As such, the bad posture causes the gravity of the bad posture to be concentrated along with the overuse of the large and small vertebrae, resulting in normal curvature of the spine. Discs, cartilage and joints, blood circulation around bones, central and peripheral nerves, autonomic nerves and all organs are adversely affected.

이러한, 나쁜 자세로 인해 다양한 질병이 발생 되는데 대표적으로 목, 어깨 근육의 긴장 및 통증, 만성피로, 목디스크, 허리 디스크, 척추측만증(脊椎側彎症:척추가 옆으로 심하게 굽은 증상. 통증은 없고 서서히 진행되는데, 내장 압박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장애를 일으키는 것),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ese bad postures cause a variety of diseases, including neck and shoulder muscle tension and pain, chronic fatigue, neck discs, lumbar discs, scoliosis (脊椎 側彎 症: severely curved to the side of the spine. It progresses slowly, causing various disorders, including visceral pressure) and decreased concentration.

서술한 바와 같이 증상이 발생 된 후에는 척추교정치료를 반복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치료를 하거나 심한 경우는 수술을 통해 치료를 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소모와 일상생활을 하는데에 있어 불편함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symptom occurs, spinal correction treatment must be repeatedly and continuously or severe cases must be treated through surgery, which causes unnecessary time consumption and inconvenience in daily life. there was.

또한, 장시간 나쁜 자세를 유지함으로 인해 발생 되는 목, 어깨 근육의 긴장 및 통증과 만성피로, 목디스크, 허리 디스크, 척추측만증 등은 완치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자율신경과 모든 기관들에 지속적으로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ension and pain in the neck and shoulder muscles and chronic fatigue caused by maintaining a bad posture for a long time, neck disk, lumbar disc, scoliosis, etc. are not completely cured and adversely affect the autonomic nerve and all organs continuously There was a problem giving.

그리고, 나쁜 자세가 장시간 지속 된 결과, 목과 어깨, 척추 등에 무리가 발생 되어 불가피하게 치료를 하게 되면, 그로 인해 많은 비용이 발생 되는 경제적 문제점이 있었다.
And, as a bad posture lasted for a long time, the neck and shoulders, spine, etc. are inevitable if the treatment is inevitable, there was a large economic cost caused by i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는, 의자 등에 오래 앉아 생활하는 현대인들이 바르지 않은 자세를 갖다보면 다양한 질병을 얻게 되는데, 이러한 질병의 치료로 인해 불필요한 시간소모가 발생 되거나, 일상생활을 하는데에 있어서 불편함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dern people living on a chair, etc. for a long time get a wrong posture, various diseases are obtained due to the treatment of such diseases, unnecessary time is consumed or inconvenience in daily lif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bins.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는, 평소의 나쁜 자세로 인해 목, 어깨 근육의 긴장 및 통증, 만성피로, 목디스크, 허리 디스크, 척추측만증 등이 발생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tting postur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ension and pain in the neck, shoulder muscles, chronic fatigue, neck disc, lumbar disc, scoliosis, etc. due to the usual bad postur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easur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는, 평소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바르지 못한 자세 때문에 발생 되는 질병 등을 치료하거나 수술하면서 발생 되는 경제적 비용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Sit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in the usual,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to prevent the consumption of economic costs incurred during the treatment or surgery caused by incorrect posture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상기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invention,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시트몸체와, 상기 시트몸체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촬영하는 카메라몸체와, 상기 시트몸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몸체로 부터 받은 자료에 따라,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는 교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교정부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좌,우측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좌,우측지지프레임과,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이 승 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좌,우측승하강모터와,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몸체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가 구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at body to allow the user to sit, the camera body connected to the seat body, photographing the sitting position of the user, and formed from the inside of the seat body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body, It consists of a corrector for correcting the sitting posture, the corrector,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for supporting the user's hips,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and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upport frame,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 to enable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 to move up and down, and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 an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at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

이어서, 상기 좌측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우측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좌측승하강모터와 우측승하강모터가 각각 별도로 구비된 채로, 구동되어, 상기 좌측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우측지지플레이트가 상호 별도로 유동 된다.Subsequently, the left support plate and the right support plate are driven while separately provided with the left lift motor and the right lift motor, so that the left support plate and the right support plate flow separately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는, 다수개의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의 유동에 따라, 경사각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the inclination angle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plurality of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더불어, 상기 카메라몸체는, 사용자의 자세를 파악가능하도록 세로로 줄이 형성된 세로줄눈금이 구비된 눈금렌즈를 포함하여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amera body is formed to include a graduation lens having a vertical stripe is formed in a vertical row so as to determine the posture of the user.

이어서, 상기 눈금렌즈는, 사용자의 자세를 파악가능하도록 가로로 줄이 형성된 가로줄눈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Subsequently, the graduation lens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stripe that is horizontally formed so that the user's posture can be grasped.

한편, 상기 카메라몸체는, 자세교정자의 앉은 상태 측면을 촬영하도록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mera body is arranged to photograph the sitting side of the posture corrector.

이어서, 상기 카메라몸체는, 자세교정자가 앉아있는 상태에서 등과 엉덩이 부위를 촬영하도록 배치된다.Subsequently, the camera body is arranged to photograph the back and the buttocks while the posture corrector is sitting.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의 승 하강을 제어하고,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의 경사각을 제어한다.
Final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controls the lifting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and controls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는, 집안이나 사무실 및 학교 등에서 장기간에 걸쳐 바르지 못한 앉은 자세를 유지해온 사람에게 흔하게 발생 되는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여, 이러한 질병의 치료로 인해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가능하고, 불편함이 없는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그 사용상에 효과가 있다.The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unnecessary occurrence of time due to the treatment of such a disease by preventing a disease commonly occurring in a person who has maintained a poor sitting posture for a long time in a house, an office, a school, or the like. It is effective in the use which can prevent, and maintain daily life without inconvenience.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는,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자신의 앉은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어, 간편하게 자신의 앉은 자세를 바르게 잡을 수 있는 그 사용상의 또 다른 효과가 있다.The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rrect one's sitting posture easily and at low cost, and there is another effect on its use which can easily grasp his sitting posture easily.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는, 바르지 못한 앉은 자세로 인해 발생 될 수 있는, 목, 어깨 근육의 긴장 및 통증, 만성피로, 목디스크, 허리 디스크, 척추측만증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그로 인한 치료 및 수술을 하면서 발생 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The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occurrence of tension and pain in the neck and shoulder muscles, chronic fatigue, neck disc, lumbar disc, scoliosis, etc., which may be caused by an incorrect sitting posture, There is an economic effect that can reduce the costs incurred during treatment and surgery.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의 요부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다.
도 9는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 측정장치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tting pos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sitting pos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sitting pos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itting pos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itting pos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ain portion of the sitting pos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still another main portion of the sitting pos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DETAILED DESCRIP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rang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aspects, and length,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사용자의 앉은 상태를 촬영하여,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의 올바른 앉은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앉은 자세 측정장치[특히, 카메라몸체(200) 및 교정부(300)]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 example of a sitting posture measur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sitting state of a user and allowing a user to sit in a correct posture i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orrects a correct sitting posture of a human bod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particularly, the camera body 200 and the correction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ame throughout the technical field.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앉은 자세 측정장치의 사시도 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앉은 자세 측정장치는, 시트몸체(100), 카메라몸체(200) 및 교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eating postur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ody 100, a camera body 200, and a correction unit 3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시트몸체(100)는 사용자가 상면에 앉은 상태로 몸이 지지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몸체(200)는, 상기 시트몸체(100) 상면에 앉은 상태로 있는 사용자의 측면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eat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to support the body in a user sitting on the upper surface, the camera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It performs a function of photographing the side of the user in a state sit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몸체(200)는, 상기 시트몸체(100) 상면에 앉은 상태로 있는 사용자의 머리의 배면과 목, 어깨, 등, 엉덩이부위 즉, 사용자의 배면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 가능하다.Subsequently, the camera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hotographs the back of the user's head and neck, shoulders, back, hips, ie, the back of the user, which is sit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body 100. To perform the function.

상기의 교정부(300)는, 상기 시트몸체(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이 바르게 세워진 채로, 사용자가 상기 시트몸체(100) 상부에 앉아 있을 수 있도록 자세를 교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correction unit 300 is formed from the inside of the seat body 100 to the outside, the function of correcting the posture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seat body 100, while the user's back is standing upright Will perform.

도3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앉은 자세 측정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3 to 6 are each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상기 교정부(300)의 구성과 그에 따른 작동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Here,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alibration unit 300 and its operation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s 3 to 6,

상기 교정부(300)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와,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과,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이 승 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와,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몸체(100)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가 구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유닛(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rrector 30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that support the hips of the user, and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that support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330, 340)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 (330, 340) is connected to the lower, the left, right support frame (330, 340)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left and right lifting motor (350, 360) ) And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and at the same time, are formed outside the seat body 100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Unit 370 is configured.

결과적으로, 판 형태로 형성된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는, 사용자의 양측 어깨와 엉덩이가 비대칭이라는 가정하에, 사용자의 엉덩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밀착 지지 된 채로, 상기 좌측지지플레이트(310)와 우측지지플레이트(320)가 별도로 승강 및 하강 되면서, 비대칭 부위를 상호 대칭되도록 조절하게 된다.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formed in a plate shape are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ips of the user under the assumption that both shoulders and hips of the user are asymmetric. 310 and the right support plate 320 is separately lifted and lowered, thereby adjusting the asymmetrical parts to be mutually symmetrical.

이어서,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는, 경사면을 갖 을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 신체의 비대칭 부위를 대칭 되도록 바로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since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are movable to have an inclined surface,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can more effectively correct the asymmetric part of the user's body to be symmetrical.

여기서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가 승 하강 및 경사면을 갖게 되는 것은,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 및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에 연결된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Here,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have a lowering and inclined surface,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와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 및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의 연결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 보면,Looking 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and the left and right lift motors 350 and 360 in more detail,

상기 좌측지지플레이트(310) 하부에 수직 봉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상기 좌측지지프레임(330)이 형성되고, 우측지지플레이트(320) 하부에 수직 봉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상기 우측지지프레임(340)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e left support frame 330 formed in the form of a vertical rod under the left support plate 310 is formed, a plurality of the right support frame 340 formed in the form of a vertical rod under the right support plate 320 is Is formed.

그리고, 상기 좌측지지프레임(330) 하부에는, 다수개의 상기 좌측지지프레임(33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좌측지지프레임(330) 일측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좌측지지프레임(330)이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하는 좌측승하강모터(350)가 구비된다.The left support frame 33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at least one left support frame 330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the left support frames 330, and the left support frame 330 is lifted and lowered under the left support frame 330. The left raising and lowering motor 350 is provided.

마찬가지로, 상기 우측지지프레임(340) 하부에는, 다수개의 상기 우측지지프레임(34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우측지지프레임(340) 일측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우측지지프레임(340)이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하는 우측승하강모터(360)가 구비된다.
Similarly, a lower portion of the right support frame 340 is connected to one or more sides of the right support frame 340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ight support frames 340, and at the same time, the right support frame 340 is lifted and lowered. The right raising and lowering motor 360 is provided.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와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의 일부는,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가 구동됨으로 인해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된 좌,우측렉기어(332, 342)로 맞물려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to 6 again, a part of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ing frames 330 and 340 are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are engaged with the left and right leg gears 332 and 342 which are allowed to be lifted or lowered due to being driven.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의 일부에는 렉(RACK)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에는 기어(GEAR)가 구비되어, 렉기어(RACK GEAR)로써 상호 맞물려 구동된다.More specifically, a rack (RACK) is formed on a part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340), and the gear (GEAR)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360), It is driven in engagement with (RACK GEAR).

여기서, 렉기어(RACK GEAR)란, 곧고 평평한 막대기에 톱니를 붙인 것으로, 기어와 맞물려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데 쓰이는 렉(RACK)과, 톱니바퀴의 조합에 따라 속도나 방향을 바꾸는 장치인 기어(GEAR)가 상호 맞물려, 구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렉기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rack gear is a gear attached to a straight and flat bar. The gear is a device that changes the speed or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rack and the gear used to change the rotational motion to linear motion by engaging the gear. The gears GEA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re driven. Since the lag gear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어서,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 다른 일부의 상부에는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의 하부에서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 상부가 유동 가능하도록 된 좌,우측회동편(334, 344)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이 일정거리 승강 된 후 더 이상 승강 되지 않도록 하는 좌,우측정지턱(336, 346)이 구비된다.Subsequently,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may be disposed above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at a lower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 The right pivot piece 334, 344 is provided, the lower left and right support frame (330, 340) is provided with a left, right measuring jaw (336, 346) so that it is no longer elevated after a certain distance ascension do.

그리고, 상기 시트몸체(100) 내부의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 하부에는, 상기 좌,우측렉기어(332, 342)와 좌,우측정지턱(336, 346)을 감싸도록 박스형태로 형성된 보조체(30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in the seat body 100 are surrounded by boxes to surround the left and right leg gears 332 and 342 and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jaws 336 and 346. The auxiliary body 305 formed in the shape is further included.

결과적으로,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가 구동되면,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와 상기 좌,우측렉기어(332, 342)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의 일부가 승강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are driven,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and the left and right rack gears 332 and 3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me of the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are lifted.

이때,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은 승강하다가,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상기 좌,우측정지턱(336, 346)이 상기 보조체(305)에서 이탈되지 못함으로써 정지되고,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와 연결된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은 지속적으로 승강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 상부에 형성된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는 경사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are moved up and down, and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thresholds 336 and 346 formed on oth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are the auxiliary bodies 305. ) Is stopped by not being separated,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are continuously lifted, and thus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340 may form an inclination angle.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는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공지된 장치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하는 전동기(electric motor: 모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서보모터(servomotor)일 수도 있다.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may use a known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may be electric motors (electric motors) that convert electric energy into rotational energy. Preferably it may be a servomotor (servomotor) capable of controlling the ang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어유닛(370)은,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의 승 하강을 제어하고,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의 경사각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thereby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Then,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are controlled.

상기 제어유닛(370)은, 상기 시트몸체(10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control unit 370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formed inside the seat body 100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from the outside. It is formed to be.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유닛(370)은, 제어유닛(370)의 전원을 켜고 끄는 전원버튼(372)과, 구동된 후 동작을 멈춘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와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을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를 재구동시켜 사용자가 기 설정해놓은 원점 위치로 유동 되도록 하는 원점운전버튼(373)과, 좌측에 구비된 좌측승하강모터(35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좌운전버튼(374)과, 우측에 구비된 우측승하강모터(36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우운전버튼(376)과,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운전버튼(378)을 포함한다.12, the control unit 370, the power button 372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of the control unit 370,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320) and left, A home driving button 373 for driving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to the right support frame 330 and 340 to be moved to the home position preset by the user, and the left lift provided on the left side. The left driving button 374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motor 350 to be driven, the right driving button 376 for controlling the right lowering motor 360 provided on the right side, and the left and right lowering motor 350 , 360 includes a simultaneous operation button 378 for controlling to be driven at the same time.

상기에 언급된 버튼들의 배열은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기능버튼 또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The arrangement of the above-mentioned buttons can be changed to various positions, it is natural that the function button can also be variously modified.

상기 시트몸체(100) 외부에 구비된 상기 제어유닛(370)을 통해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와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 및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이 작동되도록 하여, 앉은 자세를 교정하려는 사용자의 엉덩이, 양측 어깨, 척추의 대칭을 원활하게 조절하게 된다.The left and right elevating motors 350 and 360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through the control unit 370 provided outside the seat body 100. 340 to operate, it is to smoothly adjust the symmetry of the hips, both shoulders, spine of the user to correct the sitting position.

이상에서 설명된 제어유닛(370)는,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와 연결된 채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은, 교류전류를 인가받아 그 교류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어유닛(370)에 전기적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described above is form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raising and lowering motors 350 and 360, and the left and right raising and lowering motors 350 and 360 are supplied with an alternating current and applied to the alternating current. As a matter of course, the electric signal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370 according to this structure.

특히, 상기 제어유닛(370)과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는, 상호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유닛(370)으로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를 원거리 제어 가능할 수 있는데, 이는 원거리 무선 송수신 제어장치 또한 공지된 기술로써,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370 and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are provided with mutual radio transceivers, and the control unit 370 controls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Remote control may be possible, which is a well-known technique for remot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의 경사각은, 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 ° to 30 °.

그리고,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의 승 하강 거리는, 1㎜ 내지 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fting lowering distance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is preferably 1 mm to 200 mm.

예컨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 320)의 경사각은 1° 내지 30°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와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의 연결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For example,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1 ° to 30 °, and according to a user's needs,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are provided. And by adjust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left, right lifting motor (350, 360), it can be variously selected.

이러한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과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의 상호 연결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과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의 상호 연결은, 벨트와 풀리, 기어와 체인 등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에 의해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 340)이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는 다양한 입체적 형상 및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and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may be variously selected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interconnection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330 and 340 and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belt and a pulley, a gear and a chain, By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the left and right supporting frames 330 and 340 are configured to have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and structures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몸체(100) 및 카메라몸체(200)는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로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The seat body 100 and the camera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또한,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횡 방향과 종 방향의 눈금을 통해, 자세를 교정하는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지를 가늠하게 되는데, 이러한 횡, 종 방향의 눈금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추후 도 9 내지 도 11 이하를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scales shown in FIGS. 7 and 8 determine whether the user correcting the posture maintains the correct postur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scales will be provided later. 9 to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몸체(200)에 대한 실시 도면이다.7 and 8 is an embodiment of the camera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몸체(200)는, 상기 카메라몸체(200) 하부에서 상기 카메라몸체(200)를 지지하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봉 형태의 수직봉(230)과, 상기 수직봉(230) 하부에 일단이 연결형성되고, 타 단이 상기 시트몸체(100)에 고정되는 수평봉(2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7 and 8, the camera body 200 includes a rod-shaped vertical rod 230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upporting the camera body 200 under the camera body 200 and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rod 230,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rod 220 is fixed to the seat body (100).

또한, 상기 수평봉(220)은, 상기 카메라몸체(200)가 사용자의 측면방향을 촬영할 경우, 상기 시트몸체(100)의 제1연결홈(110)에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몸체(200)가 사용자의 배면방향을 촬영할 경우, 상기 시트몸체(100)의 제2연결홈(120)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ar 220, when the camera body 200 is photographed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10 of the seat body 100, the camera body 200 is the user When photographing the back direction of th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20 of the seat body (100).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몸체(100)는, 상기 수평봉(220)이 상기 시트몸체(100)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1연결홈(110)과, 상기 수평봉(220)이 상기 시트몸체(100)의 배면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2연결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a result, the seat body 100,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10 for connecting the horizontal rod 220 to the side of the seat body 100, and the horizontal rod 220 is the seat body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connecting groove 120 to be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상기 수평봉(220)과 상기 제1,2연결홈(110, 120)의 상호 결합방식은 공지된 장치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상호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호 억지 끼움 결합으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The mutual coupling method of the horizontal bar 22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grooves 110 and 120 may use a known device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the horizontal rod 22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grooves 110 and 120 may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by coupling a bolt and a nut. It may be easily used by mutual interference fittin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몸체(200)는, 사용자 자세의 상태를 파악가능하도록 세로로 줄이 형성된 세로줄눈금(212)이 구비된 눈금렌즈(21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9 and 10, the camera body 200 is formed to include a graduation lens 210 having a vertical strip scale 212 formed in a vertical row so as to grasp the state of the user's posture.

이어서, 상기 눈금렌즈(210)는, 사용자 자세의 상태를 파악가능하도록 가로로 줄이 형성된 가로줄눈금(214)을 더 포함한다.Subsequently, the graduation lens 210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stripe scale 214 formed horizontally so that the state of the user's posture can be grasped.

여기서, 상기 세로줄눈금(212)과 가로줄눈금(214)이 구비된 상기 눈금렌즈(210)는, 상기 카메라몸체(200)의 일면에 억지 끼움 결합하여 탈착 사용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볼트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하여 탈착 사용가능하다.Here, the graduated lens 210 provided with the vertical scale 212 and the horizontal scale 214 can be detachably used by fitting to one surface of the camera body 200, preferably, the bolt coupling It can be used to remove and combine firmly.

특히, 상기 세로줄눈금(212)과 가로줄눈금(214)은 동시사용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In particular, it is natural that the vertical scale 212 and the horizontal scale 214 can be used simultaneously.

이러한 상기 눈금렌즈(210)는, 상기 카메라몸체(200)가 앉은 자세 교정자를 촬영시, 촬영되는 영상에 상기 눈금렌즈(210)의 눈금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몸체(200)에 결합 된다.The graduation lens 210 is coupled to the camera body 200 so that the graduation of the graduation lens 210 appears in the photographed image when the posture corrector sitting on the camera body 200 is photographed.

그렇기 때문에, 상기 눈금렌즈(210)는, 상기 카메라몸체(200)의 촬영하는 부위에 구비된 채로, 상기 가로줄눈금(212)과 세로줄눈금(214)을 통해, 앉은 자세 교정자의 양측 어깨선과 목선 및 엉덩이의 좌우 대칭을 견고하게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graduated lens 210 is provided at the portion of the camera body 200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horizontal scale 212 and the vertical scale 214, both shoulder lines and neck lines of the sitting posture corrector and It can firmly grasp the symmetry of the hips.

이때, 상기 눈금렌즈(210)의 가로줄눈금(212)와 세로줄눈금(214)을 통해 파악된 앉은 자세 교정자의 양측 어깨선과 목선 및 엉덩이가 좌우 비대칭일 경우, 상기 제어유닛(370)을 통해 좌,우측승하강모터(350, 360)이 구동되도록 하여, 앉은 자세 교정자의 교정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both the shoulder line and the neck line and the hip of the sitting posture corrector identified through the horizontal line scale 212 and the vertical line scale 214 of the graduation lens 210 are asymmetric,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control unit 370, By allowing the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to be driven, the correct posture of the sitting posture corrector may be corrected.

다음으로, 상기 눈금렌즈(210)의 세로줄눈금(212)과 가로줄눈금(214) 간격은, 1㎜ 내지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scale 212 and the horizontal scale 214 of the graduation lens 210 is preferably 1 mm to 20 mm.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몸체(200)는, 상기 눈금렌즈(210)가 거치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몸체(200)에 연결 형성된 거치편(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1, the camera body 200 further includes a mounting piece 250 connected to the camera body 200 to allow the graduation lens 210 to be mounted thereon.

이러한 상기 거치편(250)은, 상기 눈금렌즈(210)가 상기 카메라몸체(200)의 촬영하는 부위에서 이격 된 채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상기 가로줄눈금(212)와 세로줄눈금(214)의 용이한 교체의 기능을 수행 가능하게 된다.The mounting piece 250 performs the function of allowing the graduation lens 2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hotographing portion of the camera body 200, while the horizontal scale 212 and the vertical scale (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easy replacement of 214).

또한, 상기 거치편(250)은, 상기 눈금렌즈(210)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핀(252)과, 상기 눈금렌즈(210)가 결합 되는 홈(2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mounting piece 25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ressing pin 252 for pressing and fixing the graduation lens 210 and the groove 254 to which the graduation lens 210 is coupled.

이어서, 상기 눈금렌즈(210)와 상기 거치편(250)의 상호 결합방식은, 상기 눈금렌즈(210)가 상기 거치편(250)에 구비된 홈(254)에 끼움 결합 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편(250)에 구비된 가압핀(252)에 의해 상기 눈금렌즈(210)가 가압 된 채로, 견고하게 고정결합된다.
Subsequently, the coupling method of the graduation lens 210 and the mounting piece 250 may be u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graduation lens 210 is fitted into the groove 254 provided in the mounting piece 250. Preferably, the graduation lens 210 is firmly fix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pressing pin 252 provided on the mounting piece 250.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say.

100 : 시트몸체 110 : 제1연결홈
120 : 제2연결홈
200 : 카메라몸체 210 : 눈금렌즈
212 : 세로줄눈금 214 : 가로줄눈금
220 : 수평봉 230 : 수직봉
250 : 거치편 252 : 가압핀
254 : 홈
300 : 교정부 305 : 보조체
310, 320 : 좌,우측지지플레이트 330, 340 : 좌,우측지지프레임
332, 342 : 좌,우측렉기어 334, 344 : 좌,우측회동편
336, 346 : 좌,우측정지턱 350, 360 : 좌,우측승하강모터
370 : 제어유닛 372 : 전원버튼
373 : 원점운전버튼 374 : 좌운전버튼
376 : 우운전버튼 378 : 동시운전버튼
100: seat body 110: first connection groove
120: second connecting groove
200: camera body 210: graduation lens
212 vertical scale 214 horizontal scale
220: horizontal bar 230: vertical bar
250: mounting plate 252: pressure pin
254: home
300: correction unit 305: auxiliary body
310, 320: left and right support plate 330, 340: left and right support frame
332, 342: left and right rack gears 334, 344: left and right turning
336, 346: left and right measuring jaws 350, 360: left and right lifting motor
370: control unit 372: power button
373: Origin operation button 374: Left operation button
376: Right operation button 378: Simultaneous operation button

Claims (8)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시트몸체(100)와;
상기 시트몸체(10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촬영하는 카메라몸체(200); 및
상기 시트몸체(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몸체(200)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라,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는 교정부(300);를 구비한 앉은 자세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30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좌측지지프레임(330)과, 상기 좌측지지프레임(330)의 하부에서 승 하강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좌측승하강모터(350)를 구비한 좌측지지플레이트(310)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우측지지프레임(340)과, 상기 우측지지프레임(340)의 하부에서 승 하강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우측승하강모터(360)를 구비한 우측지지플레이트(320); 및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36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좌,우측승하강모터(350,360)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유닛(370);으로 이루어져, 상기 좌측지지플레이트(310)와 우측지지플레이트(320)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
Seat body 100 to allow the user to sit;
A camera body 200 connected to the seat body 100 to photograph a sitting posture of a user; And
In the sea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having a; is formed from the inside of the seat body 100 to the outside, the correction unit 300 for correcting the sitting postur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body 200,
The calibration unit 300,
A left support plate 310 having a plurality of left support frames 330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eft raising and lowering motor 350 connected to the lowering of the left supporting frame 330 to enable lowering; ;
A right support plate 320 having a plurality of right support frames 340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right raising / lowering motor 360 that is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at a lower portion of the right supporting frame 340; And
The control unit 370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raising and lowering motors 350 and 360; and consists of the left support plate 310 and the right support plate 320. Seated posture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driven separatel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320)는,
다수개의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340)의 유동에 따라, 경사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310 and 320,
Sitting position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plurality of left, right support frames (330, 34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몸체(200)는,
사용자의 자세를 파악가능하도록 세로로 줄이 형성된 세로줄눈금(212)이 구비된 눈금렌즈(21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body 200,
Sitting position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aduated lens 210 is provided with a vertical stripe scale (212) is formed vertically to determine the posture of the us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렌즈(210)는,
사용자의 자세를 파악가능하도록 가로로 줄이 형성된 가로줄눈금(214)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raduation lens 210,
Sit posture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line scale 214, the horizontal line is formed so as to grasp the user's pos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몸체(200)는,
자세교정자의 앉은 상태 측면을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body 200,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photograph the sitting state side of the posture corr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몸체(200)는,
자세교정자가 앉아있는 상태에서 등과 엉덩이 부위를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body 200,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ture corrector is arranged to photograph the back and hips while sitt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370)은,
상기 좌,우측승하강모터(350,36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좌,우측지지프레임(330,340)의 승 하강을 제어하고, 상기 좌,우측지지플레이트(310,320)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은 자세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370,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lifting motors 350 and 360, the rising and lowering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ing frames 330 and 340 is controlled, and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ing plates 310 and 320 are controlled. Sitting posture measuring device.
KR1020100037626A 2010-04-22 2010-04-22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measurement KR1010935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626A KR101093556B1 (en) 2010-04-22 2010-04-22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measur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626A KR101093556B1 (en) 2010-04-22 2010-04-22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measur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052A KR20110118052A (en) 2011-10-28
KR101093556B1 true KR101093556B1 (en) 2011-12-13

Family

ID=4503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626A KR101093556B1 (en) 2010-04-22 2010-04-22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measur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5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20A (en) 2017-08-17 2019-02-27 문진아 Posture correction module and method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558B1 (en) * 2021-04-01 2022-11-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sitting po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20A (en) 2017-08-17 2019-02-27 문진아 Posture correction module and method linked to terminal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052A (en)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384B1 (en) The backbone correction wheel back device
KR101173164B1 (en) Cervical vertebrae tow and cure device
CN109259914A (en) A kind of spinal surgery apparatus for correcting
KR101760727B1 (en) Mattress assembly for bed with spinal correcting function
CN110840156A (en) Intelligent mattress
CN101637417B (en) Prone type cervical correcting device
CN104053423B (en) Child Seat Device For A Child And Stroller
KR101093556B1 (en) Apparatus for posture correction measurement
CN103598961A (en) Simulate intelligent electric massage chair for spine health-care and treatment
KR101323176B1 (en) Fitness apparatus for correcting backbone
CN202459134U (en) Bed for aligning spinal column
KR101093555B1 (en)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CN204542487U (en) A kind of vertebra adjusting device
KR100749454B1 (en) A reforming unit of backbone and neck disk
CN208693705U (en) A kind of lumbar puncture bed of adjustable lumbar vertebrae camber
KR20110065645A (en) Correction equipment for spinal and skeleton
US7041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umbosacral area
CN209966688U (en) Scoliosis correction device
CN208974238U (en) A kind of cervical vertebra corrector
CN107157226A (en) A kind of bionical rib airbag pillow
CN209269132U (en) Ergonomics mattress
KR101102894B1 (en) Correction chair for spinal and skeleton
CN210355326U (en) Portable spinal surgery position frame
KR1003733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ment of lumbosacral area
CN204542753U (en) A kind for the treatment of of vertebral bodies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