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906B1 -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 Google Patents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906B1
KR102465906B1 KR1020170156562A KR20170156562A KR102465906B1 KR 102465906 B1 KR102465906 B1 KR 102465906B1 KR 1020170156562 A KR1020170156562 A KR 1020170156562A KR 20170156562 A KR20170156562 A KR 20170156562A KR 102465906 B1 KR102465906 B1 KR 102465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range
speed
gea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035A (ko
Inventor
윤영민
김우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6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9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16H2061/161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by checking feasibility of shifts, i.e. determine if requested shift can be successfully completed and post shift values are in an acceptable r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16H2061/163Holding the gear for delaying gear shifts under unfavorable conditions, e.g. during corn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16H2061/185Means, e.g. catches or interlocks, for preventing unintended shift into reverse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은 제어부가 변속레버의 위치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는 변속확인단계; 상기 변속확인단계 수행결과,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차속을 설정차속영역과 비교하는 차속비교단계; 상기 차속비교단계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내에 포함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고속단기어를 체결하고, 설정시간 후 R단기어를 체결하는 제1제어단계; 및 상기 차속비교단계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R단기어를 체결하는 제2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SHIFTING CONTROL METHOD FOR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VEHICLE}
본 발명은 후진동기장치에 속도동기기구가 설치되지 않은 AMT 차량에서 R단 기어 체결시 소음이나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막는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AMT(Automated Manual Transmission)는 수동변속기에 클러치/기어 액추에이터를 장착하여 그 기능을 자동화한 변속기로써, 자동변속기와 수동변속기의 특성을 모두 가진다.
일반적으로 저가 차량에 적용되는 AMT는 개발 시 상품성보다는 기능 작동에 초점을 두고 개발이 이루어진다. 특히, 후진기어를 체결하기 위해 수동변속기에 적용되는 후진 동기 장치를 원가절감을 위해 변형하여 AMT에 적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후진 동기 장치에서 허브, 슬리브를 제외한 싱크로나이저 키, 싱크로나이저 링 등의 속도 동기 부품들을 삭제함으로써, 간단하게 차량이 정차한 상황에서만 슬리브를 클러치기어에 치합시켜 후진단 기어를 체결시키도록 제작된다.
하지만, 이러한 후진 동기 기구가 AMT 제품에 적용되면, 전진으로 차량이 이동을 하고 있는 도중에 R단 기어를 체결할 시 속도 동기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어가 삽입되어 슬리브와 클러치기어가 소음을 동반한 마모를 일으키면서 체결된다.
이러한 현상은 클러치기어의 치마모 등의 내구성에 치명적이며, 차량의 상품성에도 매우 불리하여 제어적으로 그 기능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10-2005-0053181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후진동기장치에서 속도동기기구가 없을 경우에, D단 → R단으로 러치 변속이 발생하면 선택적으로 고속단기어를 체결한 후 R단기어를 체결함으로써, 차속이 높은 상황에서 속도 동기 없이 R단기어가 체결되면서 후진동기장치 또는 R단기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은 제어부가 변속레버의 위치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는 변속확인단계; 상기 변속확인단계 수행결과,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차속을 설정차속영역과 비교하는 차속비교단계; 상기 차속비교단계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내에 포함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고속단기어를 체결하고, 설정시간 후 R단기어를 체결하는 제1제어단계; 및 상기 차속비교단계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R단기어를 체결하는 제2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속비교단계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가 고속단기어를 체결하여 차속을 신속하게 저감시키는 제3제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속비교단계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클러치 회전속도를 기준회전속도와 비교하는 클러치속도비교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치속도비교단계 수행결과, 클러치 회전속도가 설정회전속도 이하이면 상기 제2제어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치속도비교단계 수행결과, 클러치 회전속도가 기준회전속도보다 크면 상기 제1제어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에 따르면, 후진동기장치에 속도동기기구가 없더라도, D→R단으로 러치 변속이 발생하면 선택적으로 고속단기어를 체결한 후 R단기어를 체결함으로써, 차속이 높은 상황에서 속도 동기 없이 R단기어가 체결되면서 후진동기장치 또는 R단기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MT 차량의 파워트레인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MT 차량의 파워트레인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AMT 차량은 엔진, 클러치(CL), 변속기 기어박스, 차동기어, 구동륜 순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는 클러치액추에이터(CA)를 제어하여 클러치(CL)의 체결/해제 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기어액추에이터(GA)를 제어하여 변속기 기어박스 내부의 동기장치들을 동작시킴으로써 차량이 요구하는 기어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이다.
여기서, 후진동기장치(SR)는 허브와 슬리브로 구성되어, 슬리브가 R단 클러치기어에 치합되면서 차량이 후진 변속단으로 주행되도록 동작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다만, 상기 후진동기장치(SR)에는 슬리브와 R단 클러치기어 사이의 속도차를 줄이는 싱크로나이저 키나 싱크로나이저 링 등과 같은 속도동기구조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속도동기구조가 적용되지 않은 후진동기장치(SR)는 원가를 저감하는데 효과적이다.
다만, 속도동기구조가 적용되지 않은 후진동기장치(SR)가 설치된 AMT 차량에 있어서, 차량 전진주행 중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R레인지로 전환하여 D→R단 러치 주행이 발생하면, 후진동기장치(SR)에 속도동기구조가 없기 때문에 슬리브와 R단 클러치기어는 서로 속도차이가 있는 상태로 치합이 시도되어, 체결시 과도한 소음과 마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리브 및 클러치기어에 치마모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D→R단 러치 주행이 발생할 경우에 후진동기장치(SR)에서의 소음 발생이나 마모를 저감하면서 R단 변속을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은 제어부(1)가 변속레버의 위치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는 변속확인단계(S10); 상기 변속확인단계(S10) 수행결과,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어부(1)가 차속을 설정차속영역과 비교하는 차속비교단계(S20); 상기 차속비교단계(S20)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내에 포함될 경우, 상기 제어부(1)가 고속단기어를 체결하고, 설정시간 후 R단기어를 체결하는 제1제어단계(S40); 및 상기 차속비교단계(S20)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1)가 R단기어를 체결하는 제2제어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 일차적으로 운전자에 의해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됨으로써, 후진주행이 요구되는지 확인한다(S10).
만약 후진주행 요구가 확인될 경우, 상기 제어부(1)는 현재 차량이 전진주행하는데 후진변속이 요구되는 러치(Lurch) 주행 상황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현재 차량의 차속을 확인한다(S20). 이때, 차속과 설정차속영역을 비교하는데, 상기 설정차속영역은 차량이 전진주행하고 있는 상황인지 판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설정되는 차속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설정차속영역은 차량에 따라 다수의 실험을 통해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된 상황에서,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미만이라면, 차량이 정차 중인 상황에서 R단 변속이 요구된다고 판단하여 R단기어를 체결한다. 즉, 차량이 정차 중이라면 후진동기장치(SR)의 슬리브와 R단 클러치기어의 회전이 정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R단기어 체결을 실시하더라도 속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소음이나 마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정차속영역의 최소값은 차량이 정차 중인지 판별할 수 있는 정도의 차속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된 상황에서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내에 포함된다면, 상기 제어부(1)는 차량 전진주행 중 R단 변속이 요구되는 상황이라 판단하여, 전진 고속변속단을 먼저 체결함으로써 차속 및 후진동기장치(SR)의 회전속도를 최대한 저감시킨 다음, 일정시간 후에 R단기어를 체결함으로써, 전진주행 중 R단 기어 체결로 인해 소음이나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속변속단은 변속기가 구현할 수 있는 전진변속단 중에 가장 높은 변속단으로 설정될 수도 있은데, 이는 차속을 신속하게 저감시키기 위함이다. 하지만, 다른 전진변속단을 체결하더라도 차속 저감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고속변속단을 전진변속단 중 가장 높은 변속단으로 한정하여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차속비교단계(S20)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1)가 고속단기어를 체결하여 차속을 신속하게 저감시키는 제3제어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속비교단계(S20)를 통해서 차속을 설정차속영역과 비교하는데, 차속이 설정차속영역보다도 클 정도로 지나치게 높다면, 고속단기어를 체결한 다음 설정시간이 지난 후 R단기어를 체결하더라도, 후진동기장치(SR)에 잔존하는 회전력에 의해 R단 클러치기어와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속이 설정차속영역보다 크다면, 차속이 과도하게 높은 상황이라 판단하여 R단 변속을 보류하고, 차속을 낮추기 위해 고속단기어 체결만을 실시한다. 이후, 차속이 설정차속영역에 포함되면 R단 기어 체결을 시도하는 제1제어단계(S40)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차속비교단계(S20)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1)가 클러치 회전속도를 기준회전속도와 비교하는 클러치속도비교단계(S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는 상기 클러치속도비교단계(S30) 수행결과, 클러치 회전속도가 설정회전속도 이하이면 상기 제2제어단계(S50)를 실시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1)는 상기 클러치속도비교단계(S30) 수행결과, 클러치 회전속도가 기준회전속도보다 크면 상기 제1제어단계(S40)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미만으로 차량이 정차중인 상황이더라도, 차량이 클러치 터치포인트 확인을 위해 클러치(2)를 일정량 슬립시키면, 엔진 동력이 변속기 입력축으로 전달되면서 R단기어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때, 후진변속을 위해 후진동기장치(SR)를 R단기어에 치합시키면, 후진동기장치(SR)와 R단 클러치기어 사이의 속도차이로 인해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는 클러치 회전속도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이 클러치 터치포인트를 학습하고 있는 상황인지 판단하고, 클러치 터치 포인트 학습이 진행된다면 설정시간 후에 R단기어를 체결하는 제1제어단계(S40)를 수행하고, 클러치 터치 포인트 학습이 없다면 변속시간을 저감하기 위해 바로 R단기어를 체결하는 제2제어단계(S50)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에 따르면, 후진동기장치에 속도동기기구가 없더라도, D→R단으로 러치 변속이 발생하면 선택적으로 고속단기어를 체결한 후 R단기어를 체결함으로써, 차속이 높은 상황에서 속도 동기 없이 R단기어가 체결되면서 후진동기장치 또는 R단기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제어부
SR: 후진동기장치
CL: 클러치
CA: 클러치 액추에이터
GA: 기어 액추에이터
S10: 변속확인단계
S20: 차속비교단계
S30: 클러치속도비교단계
S40: 제1제어단계
S50: 제2제어단계
S60: 제3제어단계

Claims (4)

  1. 제어부가 변속레버의 위치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는 변속확인단계;
    상기 변속확인단계 수행결과,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차속을 설정차속영역과 비교하는 차속비교단계;
    상기 차속비교단계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내에 포함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고속단기어를 체결하고, 설정시간 후 R단기어를 체결하는 제1제어단계;
    상기 차속비교단계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R단기어를 체결하는 제2제어단계; 및
    상기 차속비교단계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클러치 회전속도를 기준회전속도와 비교하는 클러치속도비교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치속도비교단계 수행결과, 클러치 회전속도가 설정회전속도 이하이면 상기 제2제어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속비교단계 수행결과, 차속이 설정차속영역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가 고속단기어를 체결하여 차속을 신속하게 저감시키는 제3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러치속도비교단계 수행결과, 클러치 회전속도가 기준회전속도보다 크면 상기 제1제어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KR1020170156562A 2017-11-22 2017-11-22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KR102465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562A KR102465906B1 (ko) 2017-11-22 2017-11-22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562A KR102465906B1 (ko) 2017-11-22 2017-11-22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035A KR20190059035A (ko) 2019-05-30
KR102465906B1 true KR102465906B1 (ko) 2022-11-11

Family

ID=6667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562A KR102465906B1 (ko) 2017-11-22 2017-11-22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9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9075A (ja) * 2015-06-24 2017-0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26A (ja) * 1991-06-27 1993-01-19 Toyota Motor Corp 車両用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20050053181A (ko) 2003-12-02 2005-06-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경사로 밀림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9075A (ja) * 2015-06-24 2017-0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035A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5623B1 (en) Vehicle shift control apparatus
JP6256408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5928443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256534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EP2256359A1 (en) Accel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 dual-clutch transmission
KR101806666B1 (ko)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JP6176197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2476379B1 (ko) Dct 차량의 가속 제어 방법
US10030765B2 (en) Pre-remedial fault control in a transmission
KR102465906B1 (ko) Am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JP7099410B2 (ja) 同期噛合機構の制御装置
JP2016070444A (ja) デュアルクラッチ式変速機の制御装置
KR20150024212A (ko) Dct 차량의 변속제어 방법
JP2016002950A (ja) 車両の動力伝達制御装置
JP6248654B2 (ja) クラッチ圧制御装置
CN110803155A (zh) 具有双离合变速器的混合动力车辆的换挡控制方法
US20120312653A1 (en)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of vehicle
KR101327109B1 (ko) 댐퍼 클러치의 이상 작동 시 변속 제어 방법
CN106555875B (zh) 用于控制车辆变速器的方法
KR101694019B1 (ko) Dct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KR102441574B1 (ko) Dct 차량의 고장 시 변속 제어 방법
JP6314676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KR101698761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19322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20180055943A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