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579B1 -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579B1
KR102465579B1 KR1020200144852A KR20200144852A KR102465579B1 KR 102465579 B1 KR102465579 B1 KR 102465579B1 KR 1020200144852 A KR1020200144852 A KR 1020200144852A KR 20200144852 A KR20200144852 A KR 20200144852A KR 102465579 B1 KR102465579 B1 KR 10246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load
tool
measured
deriving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051A (ko
Inventor
송기형
최영재
이동윤
박경희
강구선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4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5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53Cutting or drilling too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02Control of the test
    • G01N2203/0212Theories, calculations
    • G01N2203/0218Calculations based on experimental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7Parameter measured for estimating the property
    • G01N2203/0682Spatial dimension, e.g. length, area, ang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7Parameter measured for estimating the property
    • G01N2203/0688Time or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은, 기 설정된 가상모델을 통해 미사용 상태의 공구를 이용한 가공에서 도출되는 초기절삭부하와 마모길이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절삭부하를 각각 도출하여 공구의 사용한계에 대응하는 임계절삭부하를 도출하는 제1과정, 상기 공구의 가공작업을 수행 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공구에 작용하는 측정절삭부하를 도출하고, 상기 임계절삭부하와 상기 측정절삭부하를 비교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측정절삭부하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상기 임계절삭부하보다 크게 측정되는 경우 상기 공구의 상태가 임계값 이상으로 마모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3과정을 포함한다.
.

Description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Wear Rate Measuring Method of Tool}
본 발명은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정된 임계절삭부하를 기준으로, 공구의 작업 시 측정되는 측정절삭부하를 통해 공구의 마모를 예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체 여부를 지정하여 가공 품질을 극대화하기 위한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은 일반적으로 테일러 곡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1900년대 초반에 미국의 엔지니어 F.W. Taylor에 의해 고안된 방법으로서, 늘어난 절삭 깊이가 공구 수명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빨라진 이송 속도가 더 영향을 미치며, 공구 수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높은 절삭 속도라는 것을 기반으로 한 측정방법이다.
이와 같은 테일러 곡선을 이용한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은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이 모델은 여러 요인이 추가되었음에도 한번에 하나씩 절삭 조건을 바꾸는 상황에서 정확성이 가장 높으며, 여러 조건을 동시에 변경하면 일정하지 못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테일러 곡선을 통한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은 가공 과정 중 실시간으로 공구 마모도를 예측하거나 모니터링을 통한 공구 마모도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4034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실시간으로 공구의 마모에 의해 작용되는 측정절살력을 도출하고 기 설절된 임계절삭부하와 비교하여 공구가 임계값 이상 마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가공 품질을 극대화하기 위한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은, 기 설정된 가상모델을 통해 미사용 상태의 공구를 이용한 가공에서 도출되는 초기절삭부하와 마모길이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절삭부하를 각각 도출하여 공구의 사용한계에 대응하는 임계절삭부하를 도출하는 제1과정, 상기 공구의 가공작업을 수행 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공구에 작용하는 측정절삭부하를 도출하고, 상기 임계절삭부하와 상기 측정절삭부하를 비교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측정절삭부하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상기 임계절삭부하보다 크게 측정되는 경우 상기 공구의 상태가 임계값 이상으로 마모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3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과정은 미사용상태의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 시 측정되는 절삭부하를 통해 상기 초기절삭부하를 도출하는 (a)단계, 상기 공구의 마모길이에 따라 측정되는 부하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상기 가변절삭부하를 도출하는 (b)단계 및 상기 초기절삭부하와 상기 가변절삭부하를 이용하여 공구의 사용한계에 대한 상태판단 기준값인 임계절삭부하를 도출하는 (c)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절삭부하는 공구의 절삭부하와 마모길이 간의 관계식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절삭부하의 증가에 따라 마모길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부하와 마모길이 간의 관계식은 상기 공구의 절삭부하-시간의 그래프와, 상기 공구의 마모길이-시간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1차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은, 가공 과정 중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공구의 측정절삭부하를 기 설정된 임계절삭부하와 비교하여 사용중인 공구가 임계값 이상으로 마모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결과를 즉시 반영함에 따라 가공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운영이 가능한 기술로서 실제 사용현장에서 공구의 마모정도가 입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절삭품질을 유지가 가능해 품질관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에서 공구의 절삭부하-시간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에서 공구의 마모길이-시간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과 도 2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공구의 절삭부하와 마모길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의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가상을 모델을 이용하여 공구의 사용한계에 대응하는 임계절삭부하를 도출하는 제1과정, 실제 공구의 가공을 통해 측정되는 측정절삭부하를 도출하는 제2과정이 독립적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임계절삭부하와 측정절삭부하의 비교를 통해 공구의 교체 유무를 판단하는 제3과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공구마모도의 측정을 위해서는 공구의 사용 시 부하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서 절삭부하를 도출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공구의 마모길이와 절삭부하의 시간에 따른 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1차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먼저 상기 제1과정은 미사용상태의 공구에 작용하는 절삭부하를 통해 초기절삭부하를 도출하는 (a)단계, 공구의 마모길이에 따라 측정되는 절삭부하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가변절삭부하를 도출하는 (b)단계 및 초기절삭부하와 가변절삭부하를 이용하여 공구의 사용한계에 대한 기준값인 임계절삭부하를 도출하는 (c)단계를 포함한다.
(a)단계에서는 기 설정된 가상모듈을 통해 미사용 공구의 사용 시 작용하는 절삭부하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초기절삭부하를 도출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모델은 상기 공구의 종류나 형상, 가공대상물의 종류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최초 공구의 사용 시 작용하는 절삭부하를 수집하여 초기가공부하를 도출한다(S120).
이때, 상기 초기절삭부하의 도출 이전에 기 설정된 상기 가상모델에서 상기 공구의 초기 값이나 가공조건 등을 설정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한다(S110).
한편, 가변절삭부하를 도출하는 (b)단계를 살펴보면, 공구의 마모길이에 따라 측정되는 절삭부하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가변절삭부하를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가변절삭부하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공구의 마모된 길이와 이에 따라 측정되는 절삭부하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구의 마모된 길이에 따라 절삭부하 역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기 설정된 공구의 수명식을 이용하여 도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예로 공구의 마모길이-시간에 관한 그래프로써, 공구의 사용에 따라 마모길이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의 절삭부하-시간에 관한 그래프로써, 공구의 사용에 따라 절삭부하 역시 점차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의 그래프를 비교하여 살펴본 바, 절삭부하-마모길이가 각각 사용에 따라 유사한 형태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그래프의 1차선형회기 분석을 동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부하와 마모길이간의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공구의 수명식을 이용하여 공구의 절삭부하와 마모길이간의 관계식을 도출하며 이를 통해 공구의 마모길이 증가에 따라 절삭부하가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구의 절삭부하와 마모길이간의 관계식은 아래와 같으며, 마모길이의 증가에 따라 절삭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K값의 경우 절삭부하와 마모길이의 증가에 대한 상수 값이며, 이는 공구의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Figure 112020116922344-pat00001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단계에서 가변절삭부하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단계와 (b)단계를 통해 각각 초기절삭부하와 가변절삭부하를 도출한 후 이들을 이용하여 공기의 사용한계에 대한 기준값인 임계절삭부하를 도출하는 (c)단계를 진행한다(S130).
구체적으로 임계절삭부하는 상기 초기절삭부하와 가변절삭부하의 값을 합한 값이며, 가변절삭부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여 공구의 마모길이가 증가하는 경우 가공 품질이 저하되는 상태에서의 절삭부하값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임계절삭부하는 아래의 수식에 대응하여 도출할 수 있으며, Fsim값의 경우 초기절삭부하에 해당하다.
Figure 112020116922344-pat00002
상기 수식에 대응하여 공구의 마모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가변절삭부하가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최종 절삭부하가 함께 증가한다. 이때, 공구의 마모길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마모되어 가공품질이 저하되는 시점에서의 가변절삭부하 값을 측정하여 해당 값에 대응하는 F값을 도출 함으로써 임계절삭부하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임계절삭부하는 공구의 사용한계에 대한 상태판단 기준값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과정에서의 실제 공구의 절삭부하값과 비교하여 공구의 교체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과정은 상기 (a)단계~ 상기 (c)단계를 거치며 공구의 상태 판단을 위한 기준값인 상기 임계절삭부하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측정절삭부하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한편, 제2과정은 상술한 제1과정과 독립적으로 진행되며, 공구를 통해 실제 가공대상물을 가공하고, 가공 시 공구에 작용하는 절삭부하를 측정하여 측정절삭부하를 도출한다(S140). 구체적으로 측정절삭부하는 초기상태의 공구가 사용될 수도 있고 이미 사용된 적이 있는 공구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공구의 사용과 함께 지속적으로 절삭부하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되는 측정절삭부하는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절삭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공구의 마모길이가 증가하여 가공대상물의 가공품질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측정절삭부하는 상기 제1과정에서 도출된 임계절삭부하와 비교하는 제3과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과정은 상기 임계절삭부하를 기준값으로 하여 상기 측정절삭부하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한다(S150).
여기서 도 4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계절삭부하보다 상기 측정절삭부하가 상대적으로 크게 측정되는 경우 공구의 상태가 임계값 이상으로 마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구를 사용불가로 분류하여 사용을 중지한다(S160).
이에 반하여, 상기 측정절삭부하가 상기 임계절삭부하보다 상재적으로 작게 측정되는 경우 공구의 상태가 사용 가능한 것으로 분류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S170)
여기서, 상기 제2과정에서 측정되는 상기 측정절삭부하는 상기 공구의 사용 시 센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측정하며, 실제 측정 시 상기 측정절삭부하가 증가하는 상태로 측정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제2과정에서 측정되는 상기 측정절삭부하의 증가형태가 가 상기 제1과정에서 도출된 가변절삭부하와 비교하여 일정 수준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공구 또는 가공대상물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추가적으로 가공대상물의 가공을 중지하는 과정에 더 추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측정절삭부하를 지속적으로 측정 시 일정 수준 이내에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변절삭부하와의 오차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변동하는 경우 가공대상물이 올바르게 가공되지 않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구의 마모도 측정방법은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 시 지속적으로 가공절삭부하를 측정하고, 가상모델을 통해 도출된 임계절삭부하와 비교하여 일정 수준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공구가 사용 불가능한 수준으로 마모된 것으로 판단하여 가공의 중단 및 교체를 통해 가공대상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공 과정 중 실시간으로 공구의 마모를 예측할 수 있으며, 가공절삭부하의 측정결과를 즉시 반영함에 따라 가공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S110: 가상모델을 이용한 초기 가공부하 도출단계
S120: 실제 작업을 이용한 가공부하 도출단계

Claims (4)

  1. 기 설정된 가상모델을 통해 미사용 상태의 공구를 이용한 가공에서 도출되는 초기절삭부하와 마모길이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절삭부하를 각각 도출하여 공구의 사용한계에 대응하는 임계절삭부하를 도출하는 제1과정;
    상기 공구의 가공작업을 수행 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공구에 작용하는 측정절삭부하를 도출하고, 상기 임계절삭부하와 상기 측정절삭부하를 비교하는 제2과정; 및
    상기 측정절삭부하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상기 임계절삭부하보다 크게 측정되는 경우 상기 공구의 상태가 임계값 이상으로 마모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과정은,
    미사용상태의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 시 측정되는 절삭부하를 통해 상기 초기절삭부하를 도출하는 (a)단계, 상기 공구의 마모길이에 따라 측정되는 부하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상기 가변절삭부하를 도출하는 (b)단계 및 상기 초기절삭부하와 상기 가변절삭부하를 이용하여 공구의 사용한계에 대한 상태판단 기준값인 임계절삭부하를 도출하는 (c)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절삭부하는,
    절삭부하-마모길이가 각각 사용에 따라 유사한 형태로 증가하는 것에 기반하여 공구의 절삭부하-시간의 그래프와, 공구의 마모길이-시간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1차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공구의 절삭부하와 마모길이 간의 관계식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절삭부하의 증가에 따라 마모길이가 증가하며, 공구의 조건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하는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44852A 2020-11-03 2020-11-03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 KR10246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852A KR102465579B1 (ko) 2020-11-03 2020-11-03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852A KR102465579B1 (ko) 2020-11-03 2020-11-03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051A KR20220060051A (ko) 2022-05-11
KR102465579B1 true KR102465579B1 (ko) 2022-11-14

Family

ID=8160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852A KR102465579B1 (ko) 2020-11-03 2020-11-03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5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5963A1 (en) 2014-08-15 2016-02-18 Baron Investments Llc Data collection, transfer and feedback in working tools
KR101648393B1 (ko) 2015-06-16 2016-08-1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고유진동수를 이용한 절삭공구의 내부 결함 자동 검출 장치
JP2017103358A (ja) 2015-12-02 2017-06-08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研削工具の砥面検査装置、検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2752A (ja) * 1983-06-14 1984-12-27 Sumitomo Electric Ind Ltd 切削工具異常検出方法
JPS6085854A (ja) * 1983-10-18 1985-05-15 Komatsu Ltd 多刃工具の異常検出方法
JP2564189B2 (ja) * 1989-07-21 1996-12-18 栃木県 機械工具の寿命判定方法
KR20100034177A (ko) * 2008-09-23 2010-04-01 신진 엠.티.테크 주식회사 절삭공구의 길이 및 직경 측정방법과 절삭공구의 길이 및 직경 측정장치.
CN112005091B (zh) 2018-04-08 2023-08-11 鲁姆斯有限公司 用于对光学材料的样品进行光学测试的设备和方法、以及操作性地连接至该设备的控制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5963A1 (en) 2014-08-15 2016-02-18 Baron Investments Llc Data collection, transfer and feedback in working tools
KR101648393B1 (ko) 2015-06-16 2016-08-1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고유진동수를 이용한 절삭공구의 내부 결함 자동 검출 장치
JP2017103358A (ja) 2015-12-02 2017-06-08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研削工具の砥面検査装置、検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밀링가공 시 절삭력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 백승엽 등, 대한기계학회논문집, 41(5), 353-359, 2017.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051A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08216B (zh) 一种大坝安全监测数据智能预警方法
Salonitis et al. Reliability assessment of cutting tool life based on surrogate approximation methods
US10222782B2 (en) Parameter-based controller for managing tool life considering change in machining conditions
CN110908334B (zh) 刀具磨耗监控方法
WO2000012260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donnees d'usure d'outillage, d'estimation de degre d'usure d'outillage, et de decision d'utilisation d'outillage
CN106774160B (zh) 推荐维护通知系统
Wang et al. A new approach for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a cutting tool
Wiklund Bayesian and regression approaches to on‐line prediction of residual tool life
CN103419071A (zh) 一种能够提高刀具切削寿命的方法
KR102465579B1 (ko) 공구 마모도 측정방법
KR101945131B1 (ko) 비정규분포 공정에서의 극소불량률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5125480A (ja) 工具寿命の診断機能を有する切削加工方法
CN116307938B (zh) 一种加工中心进给系统健康状态评估方法
SE514309C2 (sv) Förfarande för att bestämma ytstruktur
CN108115206B (zh) 利用切削刀具对工件进行加工的方法、控制装置和系统
US11079741B2 (en) Numerical controller
US4854161A (en) Method for diagnosing cutting tool dullness
CN107679330B (zh) 一种tbm刀盘系统破岩性能损耗程度的实时评价方法
KR20200043619A (ko) Cnc공작기계 가공시 공구의 총가공부하량 산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공구교환시점의 결정방법
JP7458065B2 (ja) 機械要素間の接触状態モニタ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060011492A1 (en) Method for machining workpieces using a machining process in particular an electrochemical machining process
KR20240081717A (ko)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공구 마모상태 예지 보전 및 공구 수명 예측방법
Su Remaining Useful Life Prediction of Cutting Tool Based on Monotonic Feature Selection and Floating Weighted Regression
Natarajan et al. A decision fusion algorithm for tool condition monitoring in drilling using Hidden Markov Model (HMM)
KR20220157168A (ko) 인공지능 기반 절삭공구 마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