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269B1 -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269B1
KR102465269B1 KR1020200080690A KR20200080690A KR102465269B1 KR 102465269 B1 KR102465269 B1 KR 102465269B1 KR 1020200080690 A KR1020200080690 A KR 1020200080690A KR 20200080690 A KR20200080690 A KR 20200080690A KR 102465269 B1 KR102465269 B1 KR 102465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roove
magnet
block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182A (ko
Inventor
신태원
Original Assignee
신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원 filed Critical 신태원
Priority to KR102020008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2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07C2009/00952Electronic keys comprising a mechanical key within their housing, e.g. extractable or retractable emergency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는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되 하부케이스 버튼부재의 버튼부가 노출되고, 내부에 전장부품이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의 형상이 차량의 모델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키에 대응되는 차종이 어떤 차종인지 쉽게 인식이 가능하여 여러대의 차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거나, 주차관리 시 손쉽게 대응되는 차량의 키를 찾을 수 있는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FOB KEY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는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되 하부케이스 버튼부재의 버튼부가 노출되고, 내부에 전장부품이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의 형상이 차량의 모델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키에 대응되는 차종이 어떤 차종인지 쉽게 인식이 가능하여 여러대의 차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거나, 주차관리 시 손쉽게 대응되는 차량의 키를 찾을 수 있는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록 장치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록(lock) 또는 언록(unlock)하거나 포브 키(FOB key) 등과 같은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 록 장치가 언록 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을 잡아당기면, 그 도어 핸들에 연결된 로드 또는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래치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포브 키를 휴대한 상태에서 도어 외부의 별도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도어 핸들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도어의 록 상태를 자동 해제시키는 전자식 도어 록 장치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브 키는 차량의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키 유닛과 무선통신을 통해 정당한 사용자임을 인증한 후, 차량의 시동 및 각종 기능 동작부의 작동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식 도어 록 장치라 하더라도, 장치 자체의 고장이나 포브 키의 방전, 또는 차량의 메인 배터리의 방전 등으로 전자식 도어 록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비상 시의 경우에는 별도의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포브 키는 비상 시 수동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비상 키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의 도어에는 사용자가 비상 키를 사용하여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키 조작에 연동하는 수동식 도어 록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있다. 도어 록 어셈블리는 도어 핸들의 측방에 위치되어 키 홀에 비상 키를 삽입하여 키 조작하는 것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2042029호 "차량의 포브 키"(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록특허 제10-1994176호 "차량용 포브키"(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특허 제10-1502942호 "차량의 포브 키"(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 등록특허 제10-1542000호 "자동차용 스마트키"(이하 '종래기술4'라 함.)를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종래기술1은 ⅰ)복수 개의 조작 버튼이 구비된 바디와, ⅱ)차량 도어에 장착된 수동식 도어 록의 키 실린더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키 플레이트부와, 키 플레이트부와 연결되는 헤드부를 가지며, 바디의 삽입 홈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비상키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비상키 어셈블리는 키 플레이트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며 삽입 홈의 내벽에 선택적으로 후크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헤드부를 원터치 버튼 식으로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출몰시키며 바디에 대한 후크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2는 내부 공간에 택트 스위치와 전장 부품이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택트 스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는 버튼과, 버튼을 택트 스위치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버튼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포트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3은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치 공간이 형성된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조작 버튼이 상기 설치 공간 내부로 푸싱되도록 설치되는 상부 커버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전부를 덮는 러버 패드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작 버튼에 의한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홀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한 상기 제1전기적 신호의 발생시 차량에 설치된 각종 기능 동작부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됨으로써, 기존 방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의 의도치 않는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4는 일측에 스마트키 작동버튼이 유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작동 버튼홀이 형성되고, 상부 면에는 스위치 패드가 고정 결합되는 스위치 패드 결합부와 상태 표시창이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상태 표시창 장착홀이 구비되는 스마트키 상부 커버;와 스마트키 상부 커버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되, 일측에는 키 블레이드 작동홈이 구비되고, 상부 면에 제1안테나가 고정되는 제1안테나 장착부와 제2안테나가 고정되는 제2안테나 장착부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배터리 장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리모컨 키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스마트키 하부 커버;와 스마트키 하부 커버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며, 스마트키 하부 커버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장착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배터리 장착부 결합홈이 상부에 구비되는 스마트키 배터리 커버;와 일측에 구비되는 키 블레이드가 스마트키 상부 커버와 스마트키 배터리 커버 내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키 블레이드 작동부가 하부 커버의 키 블레이드 작동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 블레이드 어셈블리;와 스마트키 상부 커버와 스마트키 하부 커버 및 스마트키 배터리 커버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마트키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을 살펴보면, 외관 케이스의 형상에 큰 차이가 없으며,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제조사별 모델에 따라 차이가 있어, 구체적인 차종을 확인할 수 없다.
이 경우, 소유한 자동차의 종류가 많거나, 주차를 맡겼을 때, 차종에 맞는 차키를 찾기가 어려우며 이를 위하여 견출지 등을 통해 차량번호를 적고 있으나, 견출지를 떼어냈을 때 끈끈이가 묻을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동일한 제조사의 경우에는 동일한 형태의 외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키가 섞여 있으면 일일이 버튼을 눌러 차종을 확인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용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구비되는 버튼부재 및 전장부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형상이 차량 모델과 동일한 외관을 갖도록 이루어져 차 키를 보고 어떤 차종의 키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된 포브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용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상키를 통하여 배터리 방전 등의 작동 오류가 발생할 경우, 수동으로 차를 열거나 시동을 켤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비상키를 케이스의 뒷번호판으로 구성하여 케이스 외부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포브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수용부에 내장되는 기판과 버튼부재 사이에 이너커버 및 연질커버를 더 구비하여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브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브키 어셈블리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로 노출되는 복수의 버튼부가 형성된 버튼부재;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며 버튼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입력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장부품;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는 차량 모델과 동일한 외관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브키 어셈블리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하부에 노출되는 버튼부재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형상이 차량 모델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키를 보고 손쉽게 키에 맞는 차량을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비상키를 보관함에 있어 케이스의 뒷번호판을 꺼내면 비상키가 케이스 내부에서 꺼내질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고, 비상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이너커버 및 연질커버를 더 구비하여 전장부품에 이물질이나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앞번호판 또는 뒷번호판 또는 이들 모두가 차량의 실제 번호와 동일하게 구비됨에 따라 같은 차종에서도 키에 맞는 차량을 손쉽게 특정할 수 있어 일일이 번호를 누를 필요가 없으며,
상기 케이스의 일부인 바퀴가 상기 하부케이스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키를 바닥에 놓았을 때 버튼부재가 임의로 눌리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모델형 케이스(10)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A)는 케이스(10), 버튼부재(20), 전장부품(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로 차량의 전자식 도어 록 장치를 록 또는 언록 시키거나 차량의 시동을 온 또는 오프하는 포브키에 관한 것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각종 부품을 내장하기 위한 수용부(14)를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1) 및 하부케이스(12)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10)의 외형을 대응되는 차량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상부케이스(11)는 바디(111), 바퀴(112), 미러(113), 번호판(114), 보닛(115) 등 차량의 외관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12)는 상기 상부케이스(11)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4)를 폐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후술하는 배터리(33)를 교체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억지끼움방식, 후크 결합 및 후술하는 탈착블록유닛 등 다양한 결합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상부 및 하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2 및 도4의 분해사시도를 기준으로 하부와 상부를 정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상부케이스(11)가 차량 모델의 외관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다는 의미는, 차량의 바디 프레임의 형상이 상기 상부케이스(11)의 형상과 동일하여 상기 상부케이스(11)를 보았을 때 차량의 모델을 특정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차량의 기본 프레임에 추가되는 튜닝파츠, 즉 그릴, 바디킷, 휠, 라이트, 머플러 등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되어 제작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 때 이러한 파츠들은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외관 중 차량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쉽게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2)에는 복수의 버튼공(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12)의 상면, 즉 상기 수용부(14) 내에 위치하는 면의 버튼공(121) 테두리에는 플랜지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안착홈(123)의 양측에는 걸림홈(125)이 더 구비되어 후술하는 버튼부재(20)가 흔들림 없이 고정 및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2) 상부에는 복수의 버튼부재(20)가 구비되는데, 상기 버튼부재(20)의 수는 일반적으로 도어락, 언락, 경보, 트렁크로 총 4개로 이루어지나, 차량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4개의 버튼부재(20)와 이 버튼부재(20)와 동일한 형상의 라이트닝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 버튼부재(20)는 상기 버튼공(121)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버튼공(12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1)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안착홈(123)에 삽입되어 버튼부재(20)가 버튼공(121)을 관통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1)에는 걸림날개(22)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림날개(22)가 걸림홈(125)에 끼워짐으로서 버튼부재(20)를 누를 때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눌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라이트닝버튼은 버튼 동작 시 상부케이스의 라이트, 사이드미러, 후미등 등이 발광하도록 하는 하여, 어두운 곳에서 후레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으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버튼부재(20)의 상면에는 원형의 눌림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버튼부재(20)를 누를 때 후술하는 기판(31)의 입력부(311)가 정확하게 눌리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4)에는 전장부품(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전장부품(30)은 입력부(311)가 형성된 기판(31)과 상기 기판(3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기판(31)은 PCB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부에 입력부(311)가 형성되어, 상기 입력부(311)를 누르면 원하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기판(31) 상부에는 배터리안착부(313)가 형성되어 배터리(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판(31)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송수신부 및 발광부재가 구비되어 입력부(311)가 눌리면 전파를 통하여 차량을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발광부재는 버튼부재(20)를 누룰 때 마다 동작하도록 하여 버튼부재(20)의 작동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차량 형태의 상부케이스(11) 중 라이트를 통하여 빛이 발광 될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입력부(311)는 차량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수 만큼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입력부(311)의 위치는 상기 버튼부재(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다시 상기 전장부품(30)과 상기 버튼부재(20) 사이에는 버튼부재(20)의 누름 동작이 상기 입력부(311)를 정확하게 누르도록 하며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너커버(40) 및 연질커버(5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기판(31) 하부에는 이너커버(40)가 상기 기판(31)을 상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이 이너커버(40) 하부에 상기 버튼부재(20)와 연동 가능한 연질커버(5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먼저 상기 이너커버(40)는 상기 입력부(311)가 노출될 수 있는 복수의 노출공(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에는 상기 기판(31)의 테두리를 감쌀 수 있도록 상향 절곡된 테두리부(42)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이너커버(40) 상부에 상기 기판(31)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질커버(50)는 상부에 안착홈(51)이 형성된 형성되도록 외벽부(52)가 형성되어, 상기 이너커버(40) 및 기판(31)이 상기 안착부에 내장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질커버(50)는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연질커버(50)의 하부에는 상기 입력부(3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탄성돌기(5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탄성돌기(53)의 단부가 상기 버튼부재(20)의 눌림홈(23)에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버튼부재(20)를 누르면 상기 탄성돌기(53)가 눌려지게 되고, 상기 탄성돌기(53)의 상부면이 눌려 상기 이너커버(40)의 노출공(41)을 통하여 돌출된 입력부(311)를 가압하여 입력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1)는 차량 모델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케이스(11)에 구비되는 바퀴(112)의 단부가 상기 버튼부재(20)보다 하부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키 어셈블리(A)를 바닥에 놓아도 바퀴(112)가 먼저 바닥에 닿기 때문에 상기 버튼부재(20)가 잘못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FOB 키는 배터리(33)의 방전 또는 기판(31)의 오류 등에 따라 작동이 불가한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키(60)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케이스(11)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상키(60)를 상기 상부케이스(11)에 구비되는 뒷번호판(114)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뒷번호판(114)을 상부케이스(11)로부터 꺼냈을 때 비상키(60)가 상부케이스(11)로부터 꺼내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상부케이스(11)의 내측, 즉 수용부(14)에는 상기 비상키(60)가 내장될 수 있는 보관부재(14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보관부재(141)의 일측은 상기 뒷번호판(114)의 위치하고, 상기 비상키(60)의 단부가 뒷번호판(114)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비상키(60)는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비상키(60)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11) 중 앞번호판(114) 또는 뒷번호판(114) 또는 이들 모두는 실제 차량번호를 스티커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부가 형성되어 대응되는 차량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를 결합시킴에 있어 탈착블록유닛을 도입하여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배터리(33) 교체 등을 할 때에는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탈착블록유닛은 상기 하부케이스(12) 일측에 구비되며 끼움홈부(B21)가 형성된 하부블록(B2)과, 상기 상부케이스(11)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부(B21)에 인입되는 회전바(B13)를 구비한 상부블록(B1) 및 상기 하부블록(B2)에 구비되어 하부블록에 인입된 회전바(B13)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블록(B1)의 회전바(B13)가 상기 끼움홈부(B21)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끼움홈부(B21)의 상부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하부블록(B2)과 상부블록(B1)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도4a 및 도4b의 [A] 내지 [D]는 상부블록(B1)과 하부블록(B2)의 결합 순서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면을 살펴보면 상부블록(B1)은 상기 상부케이스(11)에 구비되는 상부바디(B11)와, 상기 상부바디(B11)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삽입돌기(B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돌기(B12) 단부에 후술하는 회전바(B1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기 삽입돌기(B12)는 서로 이격된 돌기가 한 쌍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이 돌기 단부를 연결하는 회전축봉(B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회전축봉(B15)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하부블록(B2)은 상기 하부케이스(1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인입되는 끼움홈부(B21)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하부블록(B2) 상부에 연통되어 상기 회전바(B13) 및 삽입돌기(B12)가 삽입되는 삽입홈(B212)과, 상기 삽입홈(B212)에 연통되며 상기 하부블록(B2) 내부에서 일정 공간을 갖는 회전유도홈(B211)과, 상기 회전유도홈(B211) 상부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도수단(B3)은 상기 하부블록(B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인입홈(B213)의 일단에 인근 배열되는 제1마그넷(B31)과, 회전유도홈(B211)의 하부 일단에 인접배열되는 제2마그넷(B32),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을 회전시키며 상기 하부블록(B2) 상부에 돌출되는 제1푸쉬바(B36), 상기 회전바(B13)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과 상기 회전축봉(B15)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B13)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B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마그넷(B31)은 인입홈(B213) 단부에 위치하는 S극과 상기 S극 하부에 구비되는 N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회전유도홈(B211) 일단 하부에 위치하는 N극과 그 하부에 구비되는 S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제1 및 제2 마그넷의 대향면에 N극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유도홈(B211)에 삽입되면,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과 제2자석(B35)의 N극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삽입돌기(B12)로부터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이 상기 제1자석(B34)의 N극을 인력에 의해 끌어당겨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인입홈(B213)에 인입되어 상기 상부블록(B1)과 하부블록(B2)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먼저 하부블록(B2)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부블록(B2)은 하부케이스(12)에 구비되는 블록형 하부블록(B2)로, 끼움홈부(B21)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끼움홈부(B21)는 회전유도홈(B211), 삽입홈(B212) 및 인입홈(B2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도홈(B211)은 일정 공간을 갖도록 상기 하부블록(B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유도홈(B211)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바디(B11) 상부에 노출되는 삽입홈(B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B2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유도홈(B211) 일측 상부에 연장되는 인입홈(B2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B212) 하부 양측에는 상기 회전바(B13)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허용홈이 더 형성되게 된다.
상기 회전바(B13)에는 상기 회전바(B1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홀(B131)이 구비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홀(B131)에 상기 회전축봉(B15)이 끼워져 회전축봉(B15)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하여 삽입돌기(B12)와 직교하게 되면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유도수단(B3)은 제1마그넷(B31), 제2마그넷(B32), 제1푸쉬바(B36), 제1자석(B34), 제2자석(B3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먼저 제1마그넷(B31)은 S극과 N극이 상하로 구비된 마그넷으로 상기 인입홈(B213) 단부에 S극이 인접배열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마그넷(B32)은 N극과 S극이 상하로 구비된 마그넷으로 상기 회전유도홈(B211) 하부 일측에 N극이 인접배열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마그넷(B31)과 제2마그넷(B32)에는 제1축봉(B311)과 제2축봉(B3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푸쉬바(B36)는 상기 하부블록(B2) 일측에 상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바로,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블록(B2)에는 제1푸쉬홈(B22)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제1푸쉬바(B36)의 하부에는 스프링(B363)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푸쉬바(B36)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 때 상기 제1푸쉬바(B36)의 외면에는 제1톱니부(B361)와 제2톱니부(B36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톱니부(B361)는 제1축봉(B311)과 톱니결합되고, 제2톱니부(B362)는 제2축봉(B321)과 톱니결합되어 상기 제1푸쉬바(B36)를 누르면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이 상기 제1축봉(B311) 및 제2축봉(B321)을 회전축으로 각각 회전하여 극성의 위치가 바꿔질 수 있다.
상기 제1자석(B34) 및 제2자석(B35)은 상기 회전바(B13)에 양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 N극을 띄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회전바(B13)가 삽입돌기(B12)와 나란할 때를 기준으로 상부 단부에 제1자석(B34)이 구비되고 하부 단부에 제2자석(B3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봉(B15)에는 탄성체(B16)를 더 구비하여 상기 회전바(B13)의 회전운동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탄성체(B16)는 일정 사점을 통과하면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체(B16)로 한정한다.
나아가 상기 탄성체(B16)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봉(B15)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바(B13), 보다 정확하게는 슬라이딩홀(B131)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바(B13)에 탄성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바(B13)가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도 탄성력을 부여함에 있어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4a의 [A]와 [B] 및 도4b의 [C]와 [D]를 통하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A]는 상부블록(B1)의 삽입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B]도면과 함께 상부블록(B1)을 삽입하면 상기 삽입돌기(B12) 및 회전바(B13)가 상기 삽입홈(B212)을 통해 인입되어 상기 회전바(B13)가 상기 회전유도홈(B211)의 일측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마그넷(B32)의 N극이 상기 제2자석(B35)에 N극에 인접배열되어 둘 사이의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회전축봉(B15)을 회전축으로 회전하게 되며, 척력에 의해 회전하다가 상기 탄성체(B16)의 사점을 넘으면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C]와 같은 상태로 상기 삽입돌기(B12)와 직교하게 된다. 이 때 제2푸쉬바(B37)를 밀면서 회전하게 되며, 제2푸쉬바(B37)는 상기 회전유도홈(B211)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블록(B2)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푸쉬바(B37)가 [C]와 같이 상승하면 별도의 걸림돌기 등에 의해 외력 없이는 원위치 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제2푸쉬홈(B23)이 하부블록(B2) 타측에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다시 [C]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1마그넷(B31)의 S극과 제1자석(B34)의 N극이 가까워지고, 이들의 인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좌측으로 [D]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부블록(B1)과 하부블록(B2)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부블록(B1)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푸쉬바(B36)를 누르게 되는데, 제1푸쉬바(B36)를 누르면 상기 제1마그넷(B31) 및 제2마그넷(B32)이 회전하여 제1자석(B34)과 제1마그넷(B31)의 N극이 인접배열되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B13)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하게 되며, 이 때 보조푸쉬바를 누르면 상기 회전바(B13)의 단부를 하강시키고, 상기 탄성체(B16)의 사점이 지나가고 상기 제2마그넷(B32)이 S극과 제2자석(B35) 사이의 인력에 의해(상기 제1푸쉬바(B36)를 누른 상태이다.) 상기 회전바(B13)는 [B]와 같이 원위치 되며, 원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블록(B1)을 위로 분리시키면 자연스럽게 상기 상부블록(B1)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결합시에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키 어셈블리
10 : 케이스 11 : 상부케이스
111 : 바디 112 : 바퀴
113 : 미러 114 : 번호판
115 : 본닛 12 : 하부케이스
121 : 버튼공 123 : 플랜지안착홈
125 : 걸림홈 14 : 수용부
141 : 보관부재
20 : 버튼부재 21 : 플랜지부
22 : 걸림날개 23 : 눌림홈
30 : 전장부품 31 : 기판
311 : 입력부 313 : 배터리안착부
33 : 배터리
40 : 이너커버 41 : 노출공
42 : 테두리부
50 : 연질커버 51 : 안착홈
52 : 외벽부 53 : 탄성돌기
60 : 비상키 BU : 탈착블록유닛

Claims (4)

  1.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로 노출되는 복수의 버튼부재;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며 버튼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입력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장부품;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는 차량 모델과 동일한 외관을 갖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을 위하여 하부블록, 상부블록, 그리고 회전유도수단을 포함하는 탈착블록유닛을 더 구비하되,
    상기 하부블록은 하부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며 끼움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블록은 상부케이스에 구비되며 끼움홈부에 인입되는 회전바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유도수단은 하부블록에 구비되어 하부블록에 인입된 회전바를 회전시키고, 상기 상부블록의 회전바가 끼움홈부 내에서 회전하여 끼움홈부의 상부 내벽면을 지지하여 하부블록과 상부블록을 고정하고,
    상기 상부블록은 상부케이스에 구비된 상부바디와, 이 상부바디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삽입돌기를 갖고, 이 삽입돌기 단부에 회전바가 회전축봉을 통하여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하부블록의 끼움홈부은 삽입돌기 및 회전바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이 삽입홈과 연통된 회전유도홈과, 이 회전유도홈 상부 일측에 연통되고 삽입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인입홈을 갖고,
    상기 회전유도수단은 인입홈의 일단에 배열된 제1마그넷과, 회전유도홈의 하부 일단에 인접 배열된 제2마그넷과 ,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넷을 회전시키며 하부블록 상부에 돌출되는 제1푸쉬바와, 상기 회전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자석과, 회전축봉에 구비되어 회전바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마그넷은 인입홈 단부에 위치하는 S극과 이 S극 하부에 배열된 N극을 갖고, 상기 제2마그넷은 회전유도홈 일단 하부에 위치하는 N극과 그 하부에 열된 S극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자석은 제1 및 제2 마그넷의 대향면에 N극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바가 회전유도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2마그넷의 N극과 제2자석의 N극이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바가 회전축봉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삽입돌기로부터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제1마그넷의 S극이 상기 제1자석의 N극을 인력에 의해 끌어당겨 상기 회전바가 상기 인입홈에 인입되어 상기 상부블록과 하부블록(B2)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브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델과 동일한 외관을 갖는 케이스의 뒷번호판은
    상기 수용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상키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브키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버튼부재 사이에는 상기 기판을 덮는 이너커버와, 상기 이너커버가 수용되는 연질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브키 어셈블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는
    상기 수용부로 인입되는 비상키가 내장되는 보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브키 어셈블리.
KR1020200080690A 2020-07-01 2020-07-01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 KR102465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690A KR102465269B1 (ko) 2020-07-01 2020-07-01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690A KR102465269B1 (ko) 2020-07-01 2020-07-01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182A KR20220003182A (ko) 2022-01-10
KR102465269B1 true KR102465269B1 (ko) 2022-11-10

Family

ID=7934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690A KR102465269B1 (ko) 2020-07-01 2020-07-01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2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99Y1 (ko) * 2013-05-20 2015-01-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스마트키
KR200482489Y1 (ko) * 2015-07-16 2017-02-13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포브 키
KR101912693B1 (ko) * 2015-12-21 201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 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99Y1 (ko) * 2013-05-20 2015-01-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스마트키
KR200482489Y1 (ko) * 2015-07-16 2017-02-13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포브 키
KR101912693B1 (ko) * 2015-12-21 201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 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182A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3252B2 (en) Wireless lockset with touch activation
JP6270240B2 (ja) 携帯型無線キー
US11450158B2 (en) Touch isolated electronic lock
KR101028455B1 (ko) 차량용 시동버튼장치
US10753127B2 (en) Door handle module
JP2004312621A (ja) 携帯型送信機
KR102465269B1 (ko) 차량 모델형 케이스를 구비한 포브키 어셈블리
US11879274B2 (en) Lock assembly for a bicycle
JP5027056B2 (ja) 電子キー
CN101189402B (zh) 电子锁系统
CN205778022U (zh) 智能电子锁及旅行箱
CN202831836U (zh) 车用智能钥匙的备用机械钥匙紧固装置
CN108708630B (zh) 智能锁驱动器的安装方法及智能锁驱动器的安装结构
CN103429835B (zh) 具有可缩回插件的钥匙以及相关的插件伸出模块
JP2015129388A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CN106050012A (zh) 一种电气柜门锁
KR102474427B1 (ko) 차량용 수납형 키 유닛
JP2009057800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CN219220063U (zh) 一种具有快速解锁功能的电子锁
JP2009235683A (ja) 解錠キー
KR200490322Y1 (ko) 자동차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CN213489913U (zh) 操控扶手、座椅以及电控车辆
CN107630601B (zh) 智能电子锁及旅行箱
TWI639527B (zh) 可遙控開啟鎖孔之機動車輛電門開關裝置
JP2020041351A (ja) 携帯型キ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