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224B1 -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 Google Patents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224B1
KR102465224B1 KR1020220062717A KR20220062717A KR102465224B1 KR 102465224 B1 KR102465224 B1 KR 102465224B1 KR 1020220062717 A KR1020220062717 A KR 1020220062717A KR 20220062717 A KR20220062717 A KR 20220062717A KR 102465224 B1 KR102465224 B1 KR 10246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plasma
housing
blowing fa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철
이춘우
서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Priority to KR102022006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4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40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 H05H1/2431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using cylindrical electrodes, e.g. rotary dr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텀블러가 그릴망 상부로 노출된 세척장치를 덮어 커버하도록, 그릴망 상에 안착시키고, 송풍팬, 플라즈마발생기 및 세척장치를 작동시키면, 세척장치의 직수호스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세척장치를 통해 텀블러 내측 상면으로 분사되되, 플라즈마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오존이 송풍팬의 에어유로관 및 세척장치를 통해 텀블러 내주면으로 분사되어, 텀블러의 세척 및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송풍팬 및 세척장치를 통해 텀블러 내주면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텀블러를 세척, 살균 및 건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수를 텀블러 내주면에 분사하면서 세척을 진행하여, 텀블러 내주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플라즈마발생기로 텀블러 내주면에 오존을 공급하여, 오존에 의해 텀블러 내주면의 살균이 진행되어, 텀블러 내주면에 잔여된 세균 박멸과 동시에 텀블러의 청결 상태가 향상되며, 특히, 송풍팬 및 세척장치를 통해 텀블러 내주면으로 공기를 분사하면서, 텀블러 내주면에 잔여된 세척수를 탈락시킴과 동시에 건조 작업을 진행하여, 텀블러의 건조 시간이 단축되고, 송풍팬을 통한 텀블러 건조시간 단축으로, 송풍팬을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수납공간을 덮개커버로 덮어 커버한 상태로, 세척, 살균 및 건조를 진행하여, 수납공간 외부로 세척수, 오존 및 공기가 누출될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Plasma sterilizer for tumbler}
본 발명은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장치의 직수호스를 통해 하우징의 그릴망에 안착된 텀블러 내벽에 세척수 및 플라즈마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포함한 공기를 동시에 분사하여, 텀블러의 세척 및 살균을 동시에 진행한 후, 텀블러 내주면에 공기를 분사하면서 텀블러를 건조시켜, 텀블러를 자동 살균세척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을 가지며, 주로 물, 주스 등 음료와 같은 액체를 저장 또는 마실 때 사용된다.
이러한, 텀블러는 굽과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을 일컫는 것으로 음료를 저장 또는 장시간에 걸쳐 마실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용량을 가지며, 일상생활, 등산, 야영 등 일상생활, 스포츠 및 여가활동에 널리 이용되고 있고, 저장용량과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내경이 좁고 깊이가 깊은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된다.
한편, 이러한 텀블러는 사용자가 섭취하기 위한 음료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잦은 사용으로 인해 위생상태가 중요시되어야 하는 것인바, 제작 마무리 단계에서 충분한 세척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세척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세척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세척기 등을 이용하여 세척을 수행하였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컵 세척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컵을 떠받쳐 지지하는 테이블과, 이 테이블 테두리에서 직립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단 내벽면에 안내홈을 형성한 수직지지부와, 양단이 수직지지부의 안내홈에 결합되어, 상, 하로 승강 작동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서 직립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컵의 외면을 세척하는 외부브러쉬와, 외부브러쉬에 대응하도록 컵 내주면에 밀착되어 컵의 내주면을 세척하는 내부브러쉬와, 구동부와 내부브러쉬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스크류샤프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테이블 상면에 컵을 안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구동부를 하방으로 승강 이동시켜, 이 구동부에 의해 내부세척부의 내부세척몸체가 컵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되, 외부세척부의 외부브러쉬가 컵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부의 회전모터를 구동시켜 스크류샤프트를 회전시키면, 이 회전모터에 연결된 스크류샤프트가 수평지지대를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고, 이때, 스크류샤프트에 연결된 내부세척부 및 구동부의 이동브라켓에 연결된 외부세척부가 스크류샤프트에 의해 일체로 승강 이동된다.
그러면, 내부세척몸체가 컵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컵 내주면을 세척하면서 상방으로 승강 이동됨과 동시에 외부세척부의 외부브러쉬가 컵의 외주면을 세척하면서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어, 컵의 내, 외주면이 동시에 세척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내부세척몸체 및 외부브러쉬가 컵의 내,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컵 내, 외주면을 세척하여, 컵의 내, 외주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외부브러쉬가 컵의 외주면을 따라 상, 하로 단순 이동되어, 외부브러쉬의 미 접촉 부위 발생과 동시에 컵의 외주면 세척력이 현저히 저하되며, 컵 세척후 컵에 물기가 그대로 잔여되어, 물기를 자연 건조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컵을 내, 외부세척부로 닦아내는 단순 세척 방식으로 인해, 컵 내에 세균이 그대로 잔존하되, 특히, 물기를 자연건조 방식으로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컵 내에서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으며, 물기를 자연 건조시키는 시간동안 컵 사용 시간이 지연되어, 컵 사용에 제약이 발생되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71733 KR 10-1192846 KR 10-168517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 공급홀을 형성하고, 상면에 텀블러를 수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수납공간 바닥면에 그릴망을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수납공간 상단에 덮개커버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하우징 내에 그릴망 방향을 향해 수평된 에어유로관을 형성한 송풍팬을 설치하고, 송풍팬 직 상방에 오존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발생기를 형성하며, 하우징의 에어유로관에 상단이 그릴망을 통과하여 수납공간 내에 위치되되, 그 내부에 직수호스를 형성한 세척장치를 연결하고, 하우징 외벽면에 송풍팬, 플라즈마발생기 및 세척장치와 연결된 제어기를 설치하여, 텀블러를 수납공간으로 진입시켜, 텀블러가 그릴망 상부로 노출된 세척장치를 덮어 커버하도록, 그릴망 상에 안착시키고, 제어기로 송풍팬, 플라즈마발생기 및 세척장치를 작동시키면, 세척장치의 직수호스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세척장치를 통해 텀블러 내측 상면으로 분사되되, 플라즈마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오존이 송풍팬의 에어유로관 및 세척장치를 통해 텀블러 내주면으로 분사되어, 텀블러의 세척 및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이어서, 텀블러 내주면에 잔여된 물기가 건조되도록, 송풍팬 및 세척장치를 통해 텀블러 내주면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텀블러를 세척, 살균 및 건조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는, 중공형상으로, 일 측면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공급홀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홀과 반대되는 타측 상면에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텀블러가 수용되도록 허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 바닥면에 텀블러가 떠받쳐 지도록 하여, 상기 텀블러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를 하방으로 통과시키는 그릴망을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을 개방 또는 커버하는 덮개커버;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외면에 상기 그릴망 방향을 향해 수평되게 형성된 에어유로관을 형성하며, 상기 공급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유로관 방향으로 배출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 직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오존을 발생시켜 상기 송풍팬으로 오존을 공급하는 플라즈마발생기;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송풍팬의 에어유로관과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그릴망을 통과하여 상기 수납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직립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직수호스를 형성하여, 공기 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장치; 상기 하우징 외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 플라즈마발생기 및 세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 플라즈마발생기 및 세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급홀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흡입필터; 및 상기 수납공간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치를 덮어 커버하도록 상기 그릴망 상면에 안착되는 텀블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로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송풍팬이 설치된 공간과 상기 세척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구획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되어, 상기 그릴망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낙하되는 세척수가 상기 송풍팬이 설치된 공간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칸막이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그릴망과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 바닥면에 상기 그릴망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는 세척수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밸브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상기 에어유로관 말단에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직립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 상기 직수호스가 삽입되도록 허용하며, 상면에 상기 직수호스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노즐을 형성하며,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로관과 연통되어 사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을 형성한 유로관체; 및 상기 하우징 내측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직수호스와 연결되고, 개폐작동되어 상기 직수호스로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혹은 세척수 공급을 차단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에어유로관 외면에 상기 세척장치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내로 저하되도록 하는 감압밸브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상기 플라즈마발생기는 중공형태이며 일정 길이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 제1전극; 상기 제1전극을 감싸는 원통형의 유전체; 상기 유전체를 나선형태로 감싸는 제2전극;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되어 플라즈마발생 전원을 공급하는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 상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전체와 제2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연면방전에 의해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상기 플라즈마발생기의 제1전극은 유전체의 의해 밀봉상태로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상기 플라즈마발생기의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유전체에 의해 분리되고 유전체장벽효과에 의해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상기 플라즈마발생기의 상기 제1전극, 상기 제2전극, 상기 유전체 및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는 일체화되어 모듈형태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상기 플라즈마발생기의 상기 제2전극의 피치는 3mm 내지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수를 텀블러 내주면에 분사하면서 세척을 진행하여, 텀블러 내주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플라즈마발생기로 텀블러 내주면에 오존을 공급하여, 이 오존에 의해 텀블러 내주면의 살균이 진행되어, 텀블러 내주면에 잔여된 세균 박멸과 동시에 텀블러의 청결 상태가 향상되며, 특히, 송풍팬 및 세척장치를 통해 텀블러 내주면으로 공기를 분사하면서, 텀블러 내주면에 잔여된 세척수를 탈락시킴과 동시에 건조 작업을 진행하여, 텀블러의 건조 시간이 단축되고, 송풍팬을 통한 텀블러 건조시간 단축으로, 송풍팬을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수납공간을 덮개커버로 덮어 커버한 상태로, 세척, 살균 및 건조를 진행하여, 수납공간 외부로 세척수, 오존 및 공기가 누출될 우려가 없고, 제어기가 송풍팬, 플라즈마발생기 및 세척장치가 자동 제어하면서, 세척, 살균 및 건조 작업을 진행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전극과 제2전극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제1전극과 제2전극간의 정전용량을 증가시키고 결국 제1전극과 제2전극간의 저장되는 에너지를 크게 함으로써 플라즈마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를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로 텀블러를 세척 및 살균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로 텀블러를 건조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중공형상으로, 일 측면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공급홀(101)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홀(101)과 반대되는 타측 상면에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텀블러(T)가 수용되도록 허용하는 수납공간(102)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102) 바닥면에 텀블러(T)가 떠받쳐 지도록 하여, 상기 텀블러(T)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를 하방으로 통과시키는 그릴망(103)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송풍팬(300), 플라즈마발생기(400) 및 세척장치(500)가 설치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저면을 통해 상기 세척장치(500) 내로 상기 직수호스(501)가 삽입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공급홀(101)은 상기 송풍팬(300)에 의해 흡입압력을 형성하여, 주변의 외부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공급홀(101)은 상기 하우징(100) 내벽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공급홀(101)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홀(10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흡입필터(104)를 형성한다.
상기 흡입필터(104)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오염된 외부공기를 정화한다.
상기 흡입필터(104)는 상기 공급홀(101)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공간(102)은 상기 덮개커버(200)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텀블러(T)가 수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수납공간(102)은 그 내부 공간에 상기 세척장치(500)의 상단이 위치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그릴망(103)은 벌집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텀블러(T)를 떠받친 상태로, 상기 텀블러(T) 내주면을 따라 흘러 내리거나 혹은 상기 텀블러(T) 내주면에서 낙하되는 세척수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낙하되도록, 세척수를 하방으로 그대로 통과시킨다.
상기 그릴망(103)은 상기 세척장치(500)를 통과시켜, 상기 세척장치(500)가 상기 그릴망(103)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수납공간(102)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치(500)를 덮어 커버하도록 상기 그릴망(103) 상면에 안착되는 텀블러(T)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600)로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105)를 더 형성한다.
상기 감지센서(105)는 상기 세척장치(500)를 덮어 커버하는 상기 텀블러(ㅆ)의 갯수에 비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그릴망(103)에 안착되는 각각의 상기 텀블러(T)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105)는 상기 텀블러(T) 외주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되, 상기 텀블러(T)에 반사되는 빛을 전달받아, 상기 그릴망(103)에 안착된 상기 텀블러(T)의 유, 무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105)는 실시간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텀블러(T)의 유, 무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에 상기 송풍팬(300)이 설치된 공간과 상기 세척장치(500)가 설치된 공간을 구획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되어, 상기 그릴망(103)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낙하되는 세척수가 상기 송풍팬(300)이 설치된 공간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칸막이(106)를 더 형성한다.
상기 방수칸막이(106)는 상기 세척장치(500)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 바닥면의 세척수가 상기 송풍팬(300)이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으로 흘러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방수칸막이(106)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구획 밀폐하도록, 그 외면에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방수커버(미부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그릴망(103)과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100) 바닥면에 상기 그릴망(103)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는 세척수를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밸브(107)를 더 형성한다.
상기 드레인밸브(107)는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세척장치(500)가 설치된 내부공간 내의 세척수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덮개커버(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2)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2)을 개방 또는 커버한다.
상기 덮개커버(200)는 일 측면에 파지 가능한 손잡이(미부호)를 형성한다.
상기 덮개커버(200)는 상기 수납공간(102) 상단을 기준으로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2)이 노출되도록 개방된다.
상기 덮개커버(200)는 상기 수납공간(102)을 개방하여, 상기 수납공간(102)으로 텀블러(T) 진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덮개커버(200)는 외부에서 상기 수납공간(102) 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300)은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고, 외면에 상기 그릴망(103) 방향을 향해 수평되게 형성된 에어유로관(301)을 형성하며, 상기 공급홀(10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유로관(301) 방향으로 배출한다.
상기 송풍팬(300)은 상기 하우징(10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홀(101) 주변에 흡입압력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송풍팬(300)은 상면으로 상기 하우징(100) 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에어유로관(301) 방향으로 배출한다.
상기 송풍팬(300)은 상기 하우징(10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세척장치(500)를 통해 상기 텀블러(T) 내주면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혹은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흡입하여, 상기 세척장치(500)를 통해 상기 텀블러(T) 내주면으로 오존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한다.
상기 송풍팬(300)은 상기 에어유로관(301)을 통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세척장치(500)의 유로관체(510) 내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송풍팬(300)은 상기 제어기(600)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 작동된다.
상기 송풍팬(300)은 상기 에어유로관(301) 외면에 상기 세척장치(500)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내로 저하되도록 하는 감압밸브(302)를 더 형성한다.
상기 감압밸브(302)는 상기 에어유로관(301) 내로 공급되는 공기 압력이 정해진 공기의 압력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우, 상기 에어유로관(301)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세척장치(500)의 유로관체(510) 내로 정해진 압력을 갖는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감압밸브(302)는 상기 에어유로관(301) 내로 공급되는 공기 압력에 따라 자동 개폐 작동되어, 상기 세척장치(500)의 유로관체(510) 내로 정해진 압력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플라즈마발생기(400)는 상기 송풍팬(300) 직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오존을 발생시켜 상기 송풍팬(300)으로 오존을 공급한다.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는 상기 송풍팬(300) 방향을 향하도록 하방으로 오존을 발생시켜, 이 오존이 상기 송풍팬(300) 내로 공급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는 고전압기(미부호)에 의해 작동되어 오존을 발생시킨다.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는 상기 제어기(60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기(600)의 신호를 입력받아 작동된다.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형태이며 일정 길이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 제1전극(410), 유전체(420), 제2전극(430),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440) 및 플라즈마제어부(450)로 구성되어 유전체(420)와 제2전극(4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연면방전에 의해 플라즈마를 생성한다.
이렇게 물체의 표면을 따라 발생하는 방전을 연면방전(surface discharge)이라 하고, 연면방전이 일어나면, 전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상기 유전체(420) 상부의 표면에 있는 공기와 빠른 속도로 충돌하여 전리시킴으로써 플라즈마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440)는 고전압, 고주파수의 파워를 발생시킨다.
상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44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시 전원을 직류로 전환하고 직류전원을 고주파, 고전압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전압 4.5KV ~ 12KV, 주파수 20KHz ~ 40KHz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제어부(450)은 플라즈마 발생시간, 주기, 강도 등을 제어하여 플라즈마 활성종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410)은 전극 봉 형태이며, 중공형태를 구성일 수 있고, 이러한 중공형태를 취하는 것은 제1전극(410)에는 고주파의 전원이 인가되므로 제1전극(410)에 흐르는 전류는 제1전극의 표면 부근만을 흐르는 현상 즉 표피효과(skin effect)가 발생하여 제1전극의 중심부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제1전극(410)은 실시예에서 직경을 2mm 정도로 하여 제1전극의 표피 면적을 크게 하여 표피효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공형태를 취하는 것이다.
상기 유전체(420)는 상기 제1전극(410)을 감싸는 역할을 하여 상기 제2전극(430)과의 유전체 장벽방전을 유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전체(420)은 중공 형태의 원통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전극(410)과의 유격을 최소화 하여 상기 제1전극(41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 유리관은 외경 4mm, 내경은 2.2mm , 길이는 70mm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430)은 상기 유전체(420) 외부에 접촉되면서 나선형태로 감겨진 전극이다.
상기 제2전극(430)을 나선형태로 한 것은 상기 제1전극(410)과 반대 전극으로서 그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전극(410)과 상기 제2전극(430)은 상기 유전체(420)을 매개로 일종의 콘덴서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데 상기 제1전극(410)과 상기 제2전극(430)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상기 제1전극(410)과 상기 제2전극(430) 간의 정전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결국 제1전극과 제2전극간의 저장되는 에너지를 크게 함으로써 플라즈마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전극(430)은 나선형태 상기 유전체(420)의 길이 70mm에 대해 30회를 감았지만 20회 내지 50회를 감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직경은 0.25mm의 니켈선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전극(430)은 별도의 절연물을 이용하여 보호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전극(410), 제2전극(430) 및 유전체(420) 구성에 의해 상기 유전체(420)과 상기 제2전극(4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연면방전에 의해 플라즈마가 생성된다.
세척장치(500)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송풍팬(300)의 에어유로관(301)과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그릴망(103)을 통과하여 상기 수납공간(102) 내에 위치되도록 직립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직수호스(501)를 형성하여, 공기 또는 세척수를 분사한다.
상기 세척장치(500)는 상기 그릴망(103) 상면에 안착되는 텀블러(T) 내에 위치되어, 상기 텀블러(T) 내주면으로 세척수 및 공기를 분사한다.
상기 세척장치(500)는 상기 송풍팬(300)의 에어유로관(301)으로 부터 오존이 포함된 공기 또는 순수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텀블러(T) 내주면으로 분사한다.
상기 세척장치(500)로 공급되는 순수공기는 상기 송풍팬(300)으로 흡입되는 상기 하우징(100) 내의 공기를 일컫는다.
상기 세척장치(500)는 상기 직수호스(501)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텀블러(T) 내측 상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상기 세척장치(500)는 상기 텀블러(T) 내측 상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텀블러(T) 내주면을 세척한다.
상기 세척장치(500)는 상기 텀블러(T) 내주면 방향으로 오존이 포함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텀블러(T) 내주면으로 분사되는 오존에 의해 상기 텀블러(T)가 살균되도록 한다.
상기 세척장치(500)는 상기 텀블러(T) 내주면 방향으로 정해진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텀블러(T) 내주면에 잔여된 세척수를 이탈시키면서 상기 텀블러(T)를 건조한다.
상기 세척장치(500)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상기 에어유로관(301) 말단에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직립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 상기 직수호스(501)가 삽입되도록 허용하며, 상면에 상기 직수호스(501)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노즐(511)을 형성하며,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로관(301)과 연통되어 사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512)을 형성한 유로관체(510) 및 상기 하우징(100) 내측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직수호스(501)와 연결되고, 개폐작동되어 상기 직수호스(501)로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혹은 세척수 공급을 차단하는 개폐밸브(520)로 구성된다.
상기 유로관체(510)는 상기 에어유로관(301) 말단에서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텀블러(T)를 세척, 살균 및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관체(510)의 세척수노즐(511)은 상기 유로관체(510) 상면에서 상기 텀블러(T) 내측 상면 방향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수가 상기 텀블러(T) 내주면을 타고 흘러 내려가면서, 상기 텀블러(T) 내주면이 세척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노즐(512)은 상기 유로관체(510) 내로 공급되는 오존이 포함된 공기 또는 순수공기가 상기 텀블러(T) 내주면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텀블러(T) 내주면이 살균되거나 혹은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노즐(512)은 상기 세척수노즐(511)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동안 오존이 포함된 공기를 분사하여 살균을 진행하거나 혹은 상기 세척수노즐(511)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순수공기를 분사하여 건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520)는 상기 제어기(60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600) 신호를 입력받아 개폐작동되면서, 상기 직수호스(501)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허용하거나 혹은 상기 직수호스(501)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어기(600)는 상기 하우징(100) 외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300), 플라즈마발생기(400) 및 세척장치(500)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300), 플라즈마발생기(400) 및 세척장치(5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6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송풍팬(300)의 구동여부, 플라즈마발생기(400)의 구동여부 및 상기 세척장치(500)의 개폐밸브(520) 구동 여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하우징(100)의 감지센서(105)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송풍팬(300), 플라즈마발생기(400) 및 세척장치(500)를 작동시키면서, 상기 텀블러(T)의 세척, 살균 및 건조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세척장치(500)를 제어하여, 상기 텀블러(T)에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 및 송풍팬(300)을 동시에 작동시켜, 상기 텀블러(T)에 오존이 포함된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세척장치(500), 플라즈마발생기(400) 및 송풍팬(30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세척장치(500)를 제어하여, 세척수의 분사를 차단하고, 상기 텀블러(T)에 순수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송풍팬(300)을 작동시켜, 상기 텀블러(T)를 건조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2))을 밀폐하고 있는 덮개커버(200)의 손잡이(미부호)를 파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덮개커버(200)를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덮개커버(200)에 의해 밀폐된 수납공간(102)이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세척하고자 하는 텀블러(T)의 개구된 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뒤집고, 그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2) 내로 상기 텀블러(T)를 진입시켜, 상기 텀블러(T)의 개구된 부분이 상기 세척장치(500) 상부로 진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텀블러(T) 내로 상기 세척장치(500) 상부가 진입되면서, 상기 텀블러(T)에 의해 상기 세척장치(500) 상부가 덮어지고, 이때, 상기 텀블러(T)의 하단이 상기 그릴망(103)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텀블러(T)가 상기 수납공간(102) 내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장치(500)의 유로관체(510) 상단은 상기 그릴망(103)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수납공간(102) 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유로관체(510) 상단이 상기 텀블러(T) 내로 진입되어 상기 텀블러(T)에 의해 덮여지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덮개커버(200)의 손잡이(미부호)를 파지하여, 상기 덮개커버(20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덮개커버(200)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102)이 밀폐되어, 상기 수납공간(102) 내에 상기 텀블러(T)가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커버(2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커버(200)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102) 내의 텀블러(T)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수납공간(102)에 형성된 감지센서(105)가 상기 그릴망(103) 상면에 안착된 텀블러(T)를 감지하여, 상기 텀블러(T)의 유, 무를 확인하되, 이때, 상기 텀블러(T)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기(600)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수납공간(102) 내의 텀블러(T) 유, 무를 알리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105)는 상기 텀블러(T) 외주면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되, 이때, 상기 텀블러(T) 외주면에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수납공간(102) 내의 텀블러(T) 유, 무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기(600)가 상기 세척장치(500)의 개폐밸브(520)를 개방하여, 상기 직수호스(501)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면, 상기 직수호스(501)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유로관체(510)의 세척수노즐(511)을 통해 상기 유로관체(510) 상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유로관체(510) 상부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기 텀블러(T) 내측 상면에 충돌된 후, 상기 텀블러(T) 내주면을 따라 흘러 내려가면서 상기 텀블러(T) 내주면을 세척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텀블러(T) 내주면을 따라 흘러 내려가는 세척수 및 상기 텀블러(T) 내에서 하방으로 낙하되는 세척수는 상기 그릴망(103)을 그대로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로 낙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에 체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장치(500)가 설치된 하우징(100) 내부 공간과 상기 송풍팬(300)이 설치된 하우징(100) 내부 공간은 상기 방수칸막이(106)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그릴망(103)을 통해 낙하되는 세척수는 상기 세척장치(500)가 설치된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체류되어, 상기 방수칸막이(106)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상기 송풍팬(300)이 설치된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세척수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텀블러(T) 내로 정해진 시간 동안 세척수가 분사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기(600)가 상기 송풍팬(300) 및 플라즈마발생기(400)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이때, 상기 송풍팬(300)이 상기 하우징(10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유로관(301)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300)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공급홀(101)에 흡입압력이 형성되고, 이때, 상기 공급홀(101)에 설치된 흡입필터(104)로 외부공기가 통과되면서, 이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또는 이물질이 걸러져, 정화된 외부공기가 상기 공급홀(10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300)을 통해 상기 에어유로관(301)으로 연속 공급되고, 특히,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에서 발생되는 오존은 상기 송풍팬(300)을 통해 상기 에어유로관(301)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에어유로관(301)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오존이 포함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플라즈마발생기(400)는 상기 유전체(420)와 상기 제2전극(4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연면방전에 의해 플라즈마를 생성한다.
즉, 전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상기 유전체(420) 상부의 표면에 있는 공기와 빠른 속도로 충돌하여 전리시키는 연면방전 방식에 의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후, 상기 에어유로관(301)을 통과하는 오존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세척장치(500)의 유로관체(510)를 통해 상방으로 승강 이동된 후, 상기 유로관체(510)에 형성된 에어노즐(512)을 통해 상기 텀블러(T) 내주면 방향으로 분사된다.
그러면, 상기 텀블러(T) 내주면 방향으로 분사되는 오존이 상기 텀블러(T)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살균 작용을 일으키고, 이후, 상기 텀블러(T) 내주면을 타고 흐르는 세척수 및 텀블러(T) 하방으로 낙하되는 세척수는 상기 그릴망(102)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측공간으로 낙하된다.
여기서,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는 상기 텀블러(T) 내로 정해진 시간 동안 세척수가 분사된 시점에서, 오존을 발생시켜 상기 세척수 분사 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오존을 상기 텀블러(T) 내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세척장치(500)의 개폐밸브(520) 및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 작동을 동시에 정지시켜, 상기 직수호스(501)로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에서 발생되는 오존 발생을 정지시켜, 상기 텀블러(T) 내로 세척수 및 오존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300)을 연속 구동시켜, 상기 송풍팬(300)으로 공기를 연속 공급하게 되면, 상기 에어유로관(301)을 통해 상기 유로관체(510)로 순수 공기가 공급되고, 이때, 상기 유로관체(510)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에어노즐(512)을 통해 상기 텀블러(T) 내주면 방향으로 분사되면서, 상기 텀블러(T) 내주면에 잔여된 세척부를 탈락시킴과 동시에 상기 텀블러(T)를 건조한다.
한편, 상기 에어유로관(301)을 통해 공급되는 오존이 포함된 공기 또는 순수공기의 압력이 정해진 공기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상기 감압밸브(302)가 자동 개방되면서, 오존이 포함된 공기 또는 순수공기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세척장치(500)의 유로관체(510) 내로 정해진 압력을 갖는 공기가 공급되고, 이에따라, 상기 에어노즐(512)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텀블러(T)가 상기 수납공간(102) 내에서 들썩 거리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혹은 상기 텀블러(T)가 과도한 공기 압력에 의해 뒤집어 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텀블러(T) 내부공간으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텀블러(T)가 건조되면, 상기 제어기(600)가 상기 송풍팬(300)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텀블러(T)의 세척, 살균 및 건조 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상기 덮개커버(200)의 손잡이(미부호)를 파지하여, 상기 덮개커버(200)를 개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102)에 수용된 텀블러(T)를 파지하여, 상기 수납공간(102)에서 텀블러(T)를 회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릴망(103)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낙하되는 세척수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드레인밸브(107)를 개방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 체류된 세척수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세척수가 체류되는 것이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텀블러(T)를 수납공간(102)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송풍팬(300), 플라즈마발생기(400) 및 세척장치(500)를 이용하여, 텀블러(T)에 세척수, 오존 및 공기를 분사하면서, 텀블러(T)를 세척, 살균 및 건조하는 구조는, 세척수를 텀블러(T) 내주면에 분사하면서 세척을 진행하여, 텀블러(T) 내주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플라즈마발생기(400)로 텀블러(T) 내주면에 오존을 공급하여, 이 오존에 의해 텀블러(T) 내주면의 살균이 진행되어, 텀블러(T) 내주면에 잔여된 세균 박멸과 동시에 텀블러(T)의 청결 상태가 향상되며, 특히, 송풍팬(300) 및 세척장치(500)를 통해 텀블러(T) 내주면으로 공기를 분사하면서, 텀블러(T) 내주면에 잔여된 세척수를 탈락시킴과 동시에 건조 작업을 진행하여, 텀블러(T)의 건조 시간이 단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하우징 101 : 공급홀
102 : 수납공간 103 : 그릴망
104 : 흡입필터 105 : 감지센서
106 : 방수칸막이 107 : 드레인밸브
200 : 덮개커버 300 : 송풍팬
301 : 에어유로관 302 : 감압밸브
400 : 플라즈마발생기 410 : 제1전극
420 : 유전체 430 : 제2전극
440 :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 450 : 플라즈마제어부
500 : 세척장치 501 : 직수호스
510 : 유로관체 511 : 세척수노즐
512 : 에어노즐 520 : 개폐밸브
600 : 제어기 T : 텀블러

Claims (11)

  1. 중공형상으로, 일 측면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공급홀(101)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홀(101)과 반대되는 타측 상면에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텀블러(T)가 수용되도록 허용하는 수납공간(102)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102) 바닥면에 텀블러(T)가 떠받쳐 지도록 하여, 상기 텀블러(T)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를 하방으로 통과시키는 그릴망(103)을 형성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2)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2)을 개방 또는 커버하는 덮개커버(200);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고, 외면에 상기 그릴망(103) 방향을 향해 수평되게 형성된 에어유로관(301)을 형성하며, 상기 공급홀(10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유로관(301) 방향으로 배출하는 송풍팬(300);
    상기 송풍팬(300) 직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오존을 발생시켜 상기 송풍팬(300)으로 오존을 공급하는 플라즈마발생기(400);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송풍팬(300)의 에어유로관(301)과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그릴망(103)을 통과하여 상기 수납공간(102) 내에 위치되도록 직립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직수호스(501)를 형성하여, 공기 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장치(500);
    상기 하우징(100) 외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300), 플라즈마발생기(400) 및 세척장치(500)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300), 플라즈마발생기(400) 및 세척장치(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6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공급홀(101)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홀(10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흡입필터(104); 및
    상기 수납공간(102)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치(500)를 덮어 커버하도록 상기 그릴망(103) 상면에 안착되는 텀블러(T)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600)로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10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에 상기 송풍팬(300)이 설치된 공간과 상기 세척장치(500)가 설치된 공간을 구획하도록 직립되게 설치되어, 상기 그릴망(103)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낙하되는 세척수가 상기 송풍팬(300)이 설치된 공간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칸막이(106)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그릴망(103)과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100) 바닥면에 상기 그릴망(103)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는 세척수를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밸브(107)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500)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상기 에어유로관(301) 말단에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직립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 상기 직수호스(501)가 삽입되도록 허용하며, 상면에 상기 직수호스(501)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노즐(511)을 형성하며,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로관(301)과 연통되어 사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512)을 형성한 유로관체(510); 및
    상기 하우징(100) 내측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직수호스(501)와 연결되고, 개폐작동되어 상기 직수호스(501)로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혹은 세척수 공급을 차단하는 개폐밸브(5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300)은,
    상기 에어유로관(301) 외면에 상기 세척장치(500)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내로 저하되도록 하는 감압밸브(302)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는
    중공형태이며 일정 길이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 제1전극(410);
    상기 제1전극(410)을 감싸는 원통형의 유전체(420);
    상기 유전체(420)을 나선형태로 감싸는 제2전극(430);
    상기 제1전극(410) 및 상기 제2전극(430)에 연결되어 플라즈마발생 전원을 공급하는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440);
    상기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440)을 제어하는 플라즈마제어부(450)을 포함하여,
    상기 유전체(420)과 제2전극(4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연면방전에 의해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는
    상기 제1전극(410)은 상기 유전체(420)의 의해 밀봉상태로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는
    상기 제1전극(410) 및 상기 제2전극(430)은 상기 유전체(420)에 의해 분리되고 유전체장벽효과에 의해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는
    상기 제1전극(410), 상기 제2전극(430), 상기 유전체(420) 및 플라즈마 전원 발생부(440)은 일체화되어 모듈형태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발생기(400)는
    상기 제2전극(430)의 피치는 3mm 내지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KR1020220062717A 2022-05-23 2022-05-23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KR10246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717A KR102465224B1 (ko) 2022-05-23 2022-05-23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717A KR102465224B1 (ko) 2022-05-23 2022-05-23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224B1 true KR102465224B1 (ko) 2022-11-11

Family

ID=8404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717A KR102465224B1 (ko) 2022-05-23 2022-05-23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2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209A (ja) * 2003-10-15 2005-05-12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KR101192846B1 (ko) 2010-12-30 2012-10-26 브이케이테크(주) 공기살균기
KR200471733Y1 (ko) 2013-02-15 2014-03-1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컵 세척기
KR20160116178A (ko) * 2015-03-26 2016-10-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제거용 유전체 장벽 플라즈마 반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방법
KR101685170B1 (ko) 2016-05-27 2016-12-09 혜인씨티(주) 공기살균기
KR101970520B1 (ko) * 2018-12-10 2019-04-19 김훈 텀블러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209A (ja) * 2003-10-15 2005-05-12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KR101192846B1 (ko) 2010-12-30 2012-10-26 브이케이테크(주) 공기살균기
KR200471733Y1 (ko) 2013-02-15 2014-03-1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컵 세척기
KR20160116178A (ko) * 2015-03-26 2016-10-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제거용 유전체 장벽 플라즈마 반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방법
KR101685170B1 (ko) 2016-05-27 2016-12-09 혜인씨티(주) 공기살균기
KR101970520B1 (ko) * 2018-12-10 2019-04-19 김훈 텀블러 세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655B1 (ko) Dsa전극을 이용한 개인용 컵 자동 살균세척장치
CN101375775B (zh) 洗菜机
US8519357B2 (en) Cleaning apparatus for sanitizing furnishings
JP2002085036A (ja) 洗浄機
KR101214594B1 (ko) 컵 세척 기능이 구비된 냉온수기
KR20110038366A (ko)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CN107242842B (zh) 一种智能清理设备及其方法
KR102659836B1 (ko)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기
KR102465224B1 (ko) 텀블러용 플라즈마 살균세척기
KR20170021016A (ko) 비데장치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20060028459A (ko) 골프 클럽의 세척 및 살균장치
CN109464100A (zh) 具有臭氧消毒功能的旋臂式砧板清洗机
CN109174881B (zh) 一种医疗设备清洗消毒装置
JP2005192728A (ja) 食器洗い機
JP2020188739A (ja) 作物洗浄機
KR200446830Y1 (ko) 싱크대 살균기
CN211244690U (zh) 一种新生儿科用奶瓶消毒箱
KR20160149949A (ko) 수압을 이용한 틀니 세척기
CN209863714U (zh) 一种带有消毒功能的洗碗机
KR102553271B1 (ko) 칫솔 세척 살균기
CN2565455Y (zh) 多功能浴室消毒保洁柜
KR20090107104A (ko) 치과용 바 세척 및 살균기
KR200363483Y1 (ko) 컵 세척장치
KR200379422Y1 (ko) 초음파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