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147B1 -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 - Google Patents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147B1
KR102465147B1 KR1020220030462A KR20220030462A KR102465147B1 KR 102465147 B1 KR102465147 B1 KR 102465147B1 KR 1020220030462 A KR1020220030462 A KR 1020220030462A KR 20220030462 A KR20220030462 A KR 20220030462A KR 102465147 B1 KR102465147 B1 KR 10246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pace
frame
openi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인우
서양길
유희찬
채규태
김은향
김은주
남민석
박정수
허석천
남한나
Original Assignee
씨아이더블유하이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아이더블유하이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아이더블유하이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3Drawer slides being extractable on two or more sides of the cabi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브랜드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인출망 수납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및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Withdrawal network tool structure compatible with each brand}
본 발명은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브랜드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를 비롯한 수납가구에는 수납을 위한 수단으로서 선반이나 인출망 등(이하, 수납가구용 인출망이라 함)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수납가구용 인출망은 주로 싱크대 등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주 사용하는 도마나 양념통, 그릇 등을 보관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납가구용 인출망은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해 프레임에 장착되며 프레임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결합되어 프레임이 슬라이딩 인입/인출됨으로써 인출망이 원활하게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납가구용 인출망은 단순히 슬라이딩 레일과 프레임을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인출망의 인입 시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거나 완전히 인입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출망의 언더레일의 경우 업체별 선호 레일 브랜드가 다르기 때문에 레일별 규격이 상이하고, 인출망의 인입시 충격에 의한 소음발생 및 완전히 인입되지 않는 현상 발생하였고, 종래 가구의 인출망에 바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9213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020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수의 브랜드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는, 인출망 수납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및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바디;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레일 안착홈;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레일 안착홈;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레일 안착홈; 및 상기 제3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4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4 레일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바디;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바디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5 레일 안착홈;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바디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6 레일 안착홈;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바디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7 레일 안착홈; 및 상기 제3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4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바디의 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8 레일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반부는, 상측에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물건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측벽;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물건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벽과 대향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는, 상기 선반부에 설치되며,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선반부의 내측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구분 공간으로 분리시켜 주는 구분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분 수납부는, 상기 선반부의 내측 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선반부의 내측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수납 박스; 상기 수납 박스의 내측 공간을 다수 개의 구분 공간으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 박스의 내측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 지르면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납 박스의 내측 공간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구분 수납 벽체; 상기 구분 수납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각 구분 공간의 상측 마다 설치되어 상기 구분 수납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각 구분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 개의 수납 개폐부; 및 상기 수납 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개폐부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개폐부는,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연질의 박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분 수납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구분 공간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며, 상기 구분 공간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중단에 수납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폐 덮개;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권취 롤러; 및 각각의 일단이 상기 수납 개구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다수 개의 권취 롤러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타단이 상기 다수 개의 권취 롤러로 권취됨에 따라 상기 수납 개구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넓어지도록 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다수 개의 권취 롤러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상기 수납 개구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좁아지도록 하는 다수 개의 개폐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권취 롤러는,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개폐 구동부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면서 상기 구동 기어의 중단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개폐 와이어의 타단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함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개폐 와이어의 타단을 권취 또는 권출시켜 주는 권취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며, 내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상기 다수 개의 권취 롤러가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권취 롤러를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동 벨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상방으로 노출되며, 사용자가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구동 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동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개구부는,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향면을 따라 연질의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는, 상기 구동 레버가 노출 및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권취 롤러는, 상기 구분 공간의 각 코너에 대응하는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기존 좌우 형태인 인출망의 고정문제를 센터형 설계로 단점 극복할 수 있고, 제품 자체 부착되어 장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설계를 통해 기존 제품의 좌우에 부착되는 레일의 공간(Dead Space)활용 가능하고, 용접 최소화, 사출을 활용한 공정과정 축소 내구성 및 녹 발생 단점 극복할 수 있으며, 구조의 간소화로 인한 제품의 상품성 증가시킬 수 있고, 각기 다른 브랜드별 레일규격 호환 가능, 레일별 금형제작비용 감소, 제품경쟁력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전면 피스결착형 설계, 언더레일에 필요한 부품인 캐쳐를 생략, 원가 절감 및 공간 창출 효과를 제공하고, 조립 및 구조의 간소화로 생산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출망의 인입시 부드러운 작동감과 소음발생 방지를 구현하고, 센터형 설계로 인해 인출망이 완전히 인입되어 소비자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선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내지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선반부의 체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구분 수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수납 개폐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2의 권취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8의 개폐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10)는, 프레임부(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부(2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인출망 수납 공간(S)의 형상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
선반부(200)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도 2는 도 1의 제1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110a)은, 제1 프레임 바디(111), 제1 레일 안착홈(112), 제2 레일 안착홈(113), 제3 레일 안착홈(114), 및 제4 레일 안착홈(115)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 바디(111)는, 인출망 수납 공간(S)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레일 안착홈(112)은, 인출망 수납 공간(S)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바디(11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다.
제2 레일 안착홈(113)은,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인출망 수납 공간(S)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바디(111)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다.
제3 레일 안착홈(114)은, 인출망 수납 공간(S)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바디(11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다.
제4 레일 안착홈(115)은, 제3 레일과 대향하면서 인출망 수납 공간(S)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4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바디(111)의 부 타측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110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망 수납 공간(S)의 전단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인출망 수납 공간(S)의 전단 입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상의 전단 덮개(P)가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2 프레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레임(120a)은, 제2 프레임 바디(121), 제5 레일 안착홈(122), 제6 레일 안착홈(123), 제7 레일 안착홈(124) 및 제8 레일 안착홈(125)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 바디(121)는, 인출망 수납 공간(S)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제5 레일 안착홈(122)은, 인출망 수납 공간(S)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 바디(12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다.
제6 레일 안착홈(123)은,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인출망 수납 공간(S)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 바디(121)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다.
제7 레일 안착홈(124)은, 인출망 수납 공간(S)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 바디(12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다.
제8 레일 안착홈(125)은, 제3 레일과 대향하면서 인출망 수납 공간(S)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4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 바디(121)의 부 타측에 형성된다.
도 4는 도 1의 선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200a)는, 베이스 플레이트(210), 제1 측벽(220) 및 제2 측벽(23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상측에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측벽(22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안착되어 있는 물건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된다.
제2 측벽(23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안착되어 있는 물건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측벽(220)과 대향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20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200a-1, 200a-2)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110a),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레임(120a)과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200a)의 결합된 인출망은, 기존 좌우 형태인 인출망의 고정문제를 센터형 설계로 단점 극복할 수 있고, 제품 자체 부착되어 장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설계를 통해 기존 제품의 좌우에 부착되는 레일의 공간(Dead Space)활용 가능하고, 용접 최소화, 사출을 활용한 공정과정 축소 내구성 및 녹 발생 단점 극복할 수 있으며, 구조의 간소화로 인한 제품의 상품성 증가시킬 수 있고, 각기 다른 브랜드별 레일규격 호환 가능, 레일별 금형제작비용 감소, 제품경쟁력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전면 피스결착형 설계, 언더레일에 필요한 부품인 캐쳐를 생략, 원가 절감 및 공간 창출 효과를 제공하고, 조립 및 구조의 간소화로 생산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출망의 인입시 부드러운 작동감과 소음발생 방지를 구현하고, 센터형 설계로 인해 인출망이 완전히 인입되어 소비자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20)는, 프레임부(100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부(200a)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분 수납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부(100a)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부(200a)는, 도 2 내지 도 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구분 수납부(300)는, 선반부(200)에 설치되며,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200a)의 내측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구분 공간으로 분리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20)는,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200a)의 내측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구분 공간으로 분리시켜 줌으로써 인출망 툴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구분 수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구분 수납부(300)는, 수납 박스(310), 구분 수납 벽체(320), 다수 개의 수납 개폐부(330) 및 개폐 구동부(340)를 포함한다.
수납 박스(310)는, 선반부(200a)의 내측 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선반부(200a)의 내측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구분 수납 벽체(320)는, 수납 박스(310)의 내측 공간을 다수 개의 구분 공간으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수납 박스(310)의 내측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 지르면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납 박스(310)의 내측 공간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수납 개폐부(330)는, 구분 수납 벽체(320)에 의해 형성되는 각 구분 공간의 상측 마다 설치되어 구분 수납 벽체(320)에 의해 형성되는 각 구분 공간을 개폐한다.
여기서, 수납 개폐부(3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분 수납 벽체(320)에 의해 형성되는 각 구분 공간의 상측을 덮고 밀폐시키거나,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분 수납 벽체(320)에 의해 형성되는 각 구분 공간의 상측을 개방시켜 줄 수 있다.
개폐 구동부(340)는, 수납 박스(310)에 설치되어 수납 개폐부(33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수납 개폐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수납 개폐부(330)는, 개폐 덮개(331), 다수 개의 권취 롤러(332-1 내지 332-4) 및 다수 개의 개폐 와이어(333-1 내지 333-4)를 포함한다.
개폐 덮개(331)는,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연질의 박막으로 형성되어 구분 수납 벽체(320)에 의해 형성되는 구분 공간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며, 구분 공간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중단에 수납 개구부(331a)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납 개구부(331a)는,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향면을 따라 연질의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권취 롤러(332)는, 수납 박스(310)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어, 개폐 와이어(333)의 타단을 권취 또는 권출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권취 롤러(332)는, 구분 공간의 각 코너에 대응하는 수납 박스(310)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 와이어(333)는, 각각의 일단이 수납 개구부(331a)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각각의 타단이 다수 개의 권취 롤러(332-1 내지 332-4)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타단이 다수 개의 권취 롤러(332-1 내지 332-4)로 권취됨에 따라 수납 개구부(331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넓어지도록 하고 각각의 타단이 다수 개의 권취 롤러(332-1 내지 332-4)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수납 개구부(331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좁아지도록 한다.
도 13은 도 12의 권취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권취 롤러(332)는, 구동 기어(3321) 및 권취축(3322)을 포함한다.
구동 기어(3321)는, 수납 박스(310)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며, 개폐 구동부(340), 즉 구동 벨트(341)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권취축(332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권취축(3322)은, 구동 기어(3321)의 회전축을 형성하면서 구동 기어(3321)의 중단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개폐 와이어(333)의 타단이 설치되어 구동 기어(332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함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개폐 와이어(333)의 타단을 권취 또는 권출시켜 준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8의 개폐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개폐 구동부(340)는, 구동 벨트(341) 및 구동 레버(342)를 포함한다.
구동 벨트(341)는, 수납 박스(310)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며, 내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다수 개의 권취 롤러(332-1 내지 332-4)가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수납 박스(310)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다수 개의 권취 롤러(332-1 내지 332-4)를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구동 레버(342)는, 구동 벨트(341)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어 수납 박스(310)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상방으로 노출되며, 사용자가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구동 벨트(34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수납 박스(310)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는, 구동 레버(342)가 노출 및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342a)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
100, 100a: 프레임부
200, 200a: 선반부
300: 구분 수납부

Claims (5)

  1. 인출망 수납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각기 다른 브랜드별 레일규격에 호환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프레임부; 및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부에 설치되며,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선반부의 내측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구분 공간으로 분리시켜 주는 구분 수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분 수납부는,
    상기 선반부의 내측 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선반부의 내측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수납 박스;
    상기 수납 박스의 내측 공간을 다수 개의 구분 공간으로 구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 박스의 내측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 지르면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납 박스의 내측 공간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구분 수납 벽체;
    상기 구분 수납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각 구분 공간의 상측 마다 설치되어 상기 구분 수납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각 구분 공간을 개폐하는 다수 개의 수납 개폐부; 및
    상기 수납 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개폐부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개폐부는,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연질의 박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분 수납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구분 공간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며, 상기 구분 공간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중단에 수납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폐 덮개;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권취 롤러; 및
    각각의 일단이 상기 수납 개구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다수 개의 권취 롤러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타단이 상기 다수 개의 권취 롤러로 권취됨에 따라 상기 수납 개구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넓어지도록 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다수 개의 권취 롤러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상기 수납 개구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좁아지도록 하는 다수 개의 개폐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 롤러는,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개폐 구동부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면서 상기 구동 기어의 중단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개폐 와이어의 타단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함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개폐 와이어의 타단을 권취 또는 권출시켜 주는 권취축;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구동부는,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며, 내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상기 다수 개의 권취 롤러가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내측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권취 롤러를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동 벨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박스를 형성하고 있는 벽체의 상방으로 노출되며, 사용자가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구동 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동 레버;를 포함하는,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바디;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레일 안착홈;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레일 안착홈;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레일 안착홈; 및
    상기 제3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4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4 레일 안착홈;을 포함하는,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바디;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바디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5 레일 안착홈;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바디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6 레일 안착홈;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바디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7 레일 안착홈; 및
    상기 제3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인출망 수납 공간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4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프레임 바디의 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8 레일 안착홈;을 포함하는,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상측에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물건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측벽;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물건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벽과 대향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
  5. 삭제
KR1020220030462A 2022-02-10 2022-03-11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 KR10246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20A KR102454614B1 (ko) 2022-03-11 2022-03-16 수납 가구의 공간활용성을 높인 센터형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7342 2022-02-10
KR1020220017342 2022-02-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420A Division KR102454614B1 (ko) 2022-03-11 2022-03-16 수납 가구의 공간활용성을 높인 센터형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147B1 true KR102465147B1 (ko) 2022-11-09

Family

ID=8404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462A KR102465147B1 (ko) 2022-02-10 2022-03-11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1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6546U (ko) * 1984-10-05 1986-05-07
JPS62157484U (ko) * 1986-03-31 1987-10-06
JPS6317641U (ko) * 1986-07-18 1988-02-05
JPH0618520Y2 (ja) * 1987-11-14 1994-05-18 松下電工株式会社 収納装置
KR200310203Y1 (ko) 2003-01-07 2003-04-10 홍원방 정수기와 살균기가 구비된 싱크대
KR200329213Y1 (ko) 2003-07-05 2003-10-08 명진실업 주식회사 싱크대용 빨래망 및 그 보관장치
KR200343445Y1 (ko) * 2003-11-24 2004-03-02 명진실업 주식회사 수납장 서랍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6546U (ko) * 1984-10-05 1986-05-07
JPS62157484U (ko) * 1986-03-31 1987-10-06
JPS6317641U (ko) * 1986-07-18 1988-02-05
JPH0618520Y2 (ja) * 1987-11-14 1994-05-18 松下電工株式会社 収納装置
KR200310203Y1 (ko) 2003-01-07 2003-04-10 홍원방 정수기와 살균기가 구비된 싱크대
KR200329213Y1 (ko) 2003-07-05 2003-10-08 명진실업 주식회사 싱크대용 빨래망 및 그 보관장치
KR200343445Y1 (ko) * 2003-11-24 2004-03-02 명진실업 주식회사 수납장 서랍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074B1 (ko) 수납용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9074810B2 (en) Refrigerator
US10495373B2 (en) Refrigerator
US20090200903A1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CN103420036B (zh) 冰箱
US20050168115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US11371771B2 (en)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shelf arrangement
US6619767B2 (en) Display with pivotal doors having mating door sections
KR102465147B1 (ko) 브랜드별 호환이 가능한 인출망 툴 구조
KR102454614B1 (ko) 수납 가구의 공간활용성을 높인 센터형 인출장치
CN1211627C (zh) 冰箱
US6238030B1 (en) Hollow-door closet
US7281634B2 (en) Side slider for storing or organizing objects
JPH0690831A (ja) 家 具
US11709016B2 (en) Support assembly for an appliance
CN106427801B (zh) 车内储物系统
KR200365672Y1 (ko) 사무가구용 서랍
KR200448081Y1 (ko) 인출망 수납장
KR101331715B1 (ko) 수납공간의 활용이 용이한 수납가구
KR101836341B1 (ko) 블라인드 개폐구조를 갖는 옷장
JP2021029644A (ja) キャスター付きワゴン
JP7062220B2 (ja) 収納家具
US20020008449A1 (en) Hollow door closet, method of making, and kit for making, including a rigid foam backing
KR20210055926A (ko) 다면 방향을 갖는 서랍장
CN105258442B (zh) 滑轨系统及具有该滑轨系统的冰箱搁物盒组件和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