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862B1 -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862B1
KR102464862B1 KR1020210026559A KR20210026559A KR102464862B1 KR 102464862 B1 KR102464862 B1 KR 102464862B1 KR 1020210026559 A KR1020210026559 A KR 1020210026559A KR 20210026559 A KR20210026559 A KR 20210026559A KR 102464862 B1 KR102464862 B1 KR 102464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ordinate
editing
video cont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217A (ko
Inventor
장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씨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씨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씨엘
Priority to KR102021002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8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홈쇼핑, 온라인 쇼핑, 광고 컨텐츠 등 시청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송출되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가격 표시, 판매 조건 등의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에 있어서 동일한 영상을 활용하되 가격이나 판매 조건 등이 변경되는 경우에, 원본 영상을 그대로 활용하고 해당 영역만을 원하는 내용으로 간단하게 변경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정보 제공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다른 내용으로 편집할 수 있되, 편집 유저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어, 편집 유저가 영상 편집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도 편리하게 원본 영상에서 특정 정보만이 변경된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편집 대상이 되는 영상 컨텐츠가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수단으로부터 타임 라인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어느 한 프레임 이미지인 제1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 중 어느 한 객체인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제1 객체 및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편집 대상 선택 단계;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미리 수신한 제1 객체에 오버레이할 이미지인 제2 객체의 형태를 제1 객체의 형태와 매칭되도록 보정하여 제3 객체를 생성하는 대체 이미지 생성 단계; 및 편집 대상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 상의 제1 객체에 제3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영상 컨텐츠의 편집을 완료하는 영상 편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EDITING OF OBJECTS IN VIDEO CONTENTS}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의 일 영역을 구성하는 객체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대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홈쇼핑, 온라인 쇼핑, 광고 컨텐츠 등 시청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송출되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가격 표시, 판매 조건 등의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에 있어서 동일한 영상을 활용하되 가격이나 판매 조건 등이 변경되는 경우에, 원본 영상을 그대로 활용하고 해당 영역만을 원하는 내용으로 간단하게 변경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홈쇼핑, 온라인 쇼핑, 광고 컨텐츠 등은, TV 또는 온라인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고 컨텐츠를 통해서 사용자들이 정보를 제공받아, 제공받은 정보에 따라서 물품을 구매하거나, 물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추후의 물품의 구매 등에 사용하는 컨텐츠 특성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IPTV나 온라인 플랫폼의 성장에 따라서 상술한 컨텐츠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거나, 시청자들의 물품 구매 등의 편의성에 따라서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을 위한 다양한 영상 컨텐츠는, 광고 영상 등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과, 해당 물품에 대한 판매 조건 등을 포함하는 영상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기존의 영상 컨텐츠는, 판매 조건 등이 판매 시점, 대상, 이벤트 등에 따라서 변경되는 경우, 해당 영상 컨텐츠를 전문가가 직접 편집하여 수정할 정보의 영상을 편집한 영상 컨텐츠를 별도 생성하여 제공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지나친 시간 소요와, 인건비의 소비에 따라서 비효율적인 방식이라는 문제가 존재하여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490506호 등에서는, 편집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특정 프레임을 대체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원본 동영상 컨텐츠에 적용하여 편집된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즉 재생 시 출력되면서 동영상으로 인지되도록 하는 프레임 이미지 전체를 특정 프레임 이미지들로 대체하는 기술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동일한 물품에 대한 판매 조건이나 일부 내용이 변경된 영상 컨텐츠, 즉 프레임 이미지 내에서 특정 영역을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는 기술은 전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시청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 컨텐츠에 있어서 프레임 대체가 아닌,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정보 제공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다른 내용으로 편집할 수 있되, 편집 유저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어, 편집 유저가 영상 편집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도 편리하게 원본 영상에서 특정 정보만이 변경된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 등 실시간 송출 방식의 컨텐츠에 있어서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 변경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영상 컨텐츠의 편집 기술을 제공하여, 방송 컨텐츠의 편집 및 송출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편집 대상이 되는 영상 컨텐츠가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수단으로부터 타임 라인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어느 한 프레임 이미지인 제1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 중 어느 한 객체인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편집 대상 선택 단계;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미리 수신한 상기 제1 객체에 오버레이할 이미지인 제2 객체의 형태를 상기 제1 객체의 형태와 매칭되도록 보정하여 제3 객체를 생성하는 대체 이미지 생성 단계; 및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 상의 제1 객체에 상기 제3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의 편집을 완료하는 영상 편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는,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제1 이미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픽셀들 중 어느 한 픽셀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이미지의 어느 한 점을 원점으로 하고 픽셀 증가값을 단위 좌표 수치로 하는 제1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픽셀의 좌표인 제1 좌표를 인식하는 선택 포인트 좌표 인식 단계; 기설정된 경계선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들 각각의 경계선에 포함된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좌표 그룹인 객체별 좌표 그룹을 인식하는 객체 좌표 인식 단계; 및 인식된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객체별 좌표 그룹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좌표가 내부 영역에 포함되는 좌표 그룹에 대응되는 객체를 식별 시, 식별된 객체를 제1 객체로 결정하는 제1 객체 결정 단계;에 따라서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객체 좌표 인식 단계는, 상기 경계선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식별된 경계선들 중 연속된 경계선이 폐루프를 이루는 경우, 폐루프를 이루는 경계선 및 경계선 내부의 공간에 대응되는 영역을 객체로서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는, 객체들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통해 도출되는 함수로서, 각 포인트의 배열 순서에 따른 인접 포인트간의 좌표 변경 관계를 나타내는 좌표 함수들 중, 상기 제1 이미지에서 결정된 상기 제1 객체의 좌표 함수인 제1 함수를 도출하는 제1 함수 도출 단계; 모든 프레임 이미지마다 식별된 객체들의 좌표 함수들 중 서로 좌표가 다르더라도 상기 제1 함수와 동일한 좌표 함수를 갖는 객체들을 상기 제1 객체로 인식하는 동일 객체 인식 단계; 및 상기 동일 객체 인식 단계에 의하여 인식된 제1 객체를 포함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상기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로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입력 수단으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타임 라인에 포함된 다수의 타임값 중 어느 한 타임값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타임 라인에 따라서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서 설정된 타임값들 중,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타임값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체 이미지 생성 단계는, 제1 객체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 중 가장 좌측의 포인트를 원점으로 하고, 픽셀 증가값을 단위 좌표 수치로 하는 제2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제1 객체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결정하는 제1 좌표 결정 단계; 상기 제1 객체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객체의 중심 포인트의 좌표를 도출하는 객체 중심 좌표 결정 단계; 상기 제1 객체의 중심 포인트의 좌표와 상기 제2 객체의 중심 포인트의 좌표를 일치시키고, 상기 제2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상기 제2 객체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결정하는 제2 좌표 결정 단계; 및 상기 제2 객체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이, 상기 제1 객체의 경계선 및 그 내부의 포인트들의 좌표값에 포함되되 상기 제2 객체의 크기가 가장 크도록, 상기 제2 객체의 크기를 변환시킴으로써 생성된 객체를 상기 제3 객체로 생성하는 제3 객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객체 생성 단계는, 상기 제2 객체의 크기를 변환시킴으로써 생성된 객체의 배경 색상을 상기 제1 객체의 배경 색상과 일치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제3 객체의 생성을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편집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실시간 송출되는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인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스트리밍 시점에 자동으로 상기 제1 객체에 상기 제3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편집 완료된 영상 컨텐츠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편집 대상이 되는 영상 컨텐츠가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수단으로부터 타임 라인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어느 한 프레임 이미지인 제1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 중 어느 한 객체인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편집 대상 선택부;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미리 수신한 상기 제1 객체에 오버레이할 이미지인 제2 객체의 형태를 상기 제1 객체의 형태와 매칭되도록 보정하여 제3 객체를 생성하는 대체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편집 대상 선택부에서 선택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 상의 제1 객체에 상기 제3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의 편집을 완료하는 영상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컨텐츠에 있어서 특정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구획되는 객체 영역인 제1 객체를 프레임 이미지별로 인식한 뒤, 이에 대한 선택 입력과 함께 이를 대체할 제2 객체를 제1 객체에 완전히 정합되도록 보정하여 제3 객체를 생성한 뒤, 제3 객체를 제1 객체가 표시되는 영역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객체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선택할 필요 없이, 제1 객체 내의 특정 포인트만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영상 컨텐츠 내에서 제1 객체를 식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3 객체의 생성 및 오버레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저들은 매우 편리하게 특정 정보가 변경된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여, 편집 유저가 영상 편집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도, 원본 영상에서 특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편의성 증가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방식에 의하면 영상 컨텐츠의 정보 변경에 의한 편집이 실시간으로 가능해져, 특히 쇼핑몰 등에서 특정 영상에 표시되는 판매 가격 등만을 변경하는 경우에 최적화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제1 객체가 결정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에서 제1 객체를 식별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타임 라인에 따라서 제1 이미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이미지가 선택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제3 객체가 생성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영상 컨텐츠가 편집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제1 객체가 결정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에서 제1 객체를 식별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타임 라인에 따라서 제1 이미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이미지가 선택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제3 객체가 생성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영상 컨텐츠가 편집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선택적으로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은, 후술하는 도 1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할 컴퓨팅 장치의 일종으로서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고, 그에 따라서 유저 단말의 각 세부 기능에 따른 구성이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로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각 세부 기능에 따른 구성 및 유저 단말에 포함된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장치에 각 세부 기능에 따른 구성이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먼저 유저 단말이 편집 대상이 되는 영상 컨텐츠가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수단으로부터 타임 라인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어느 한 프레임 이미지인 제1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 중 어느 한 객체인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제1 객체 및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편집 대상 선택 단계(S10)를 수행한다.
본 발명세서 유저 단말은 유저로서 영상 컨텐츠를 편집하는 권한이 있거나 편집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유저가 본 발명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송출에 있어서, 방송사 또는 영상 컨텐츠의 송출 플랫폼 업체의 의뢰를 받아 영상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영상 컨텐츠의 편집을 담당하는 유저가 본 발명에서의 유저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개인 영상 컨텐츠 공유 플랫폼 등의 경우, 해당 영상 컨텐츠의 제작 및/또는 편집이 가능한 것으로 권한이 설정된 모든 유저가 본 발명에서의 유저에 해당할 수 있다.
유저 단말은 본 발명에 대한 모든 설명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단말로서, 유저 단말에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이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설치 및 실행되거나,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접속 가능한 웹페이지나 기타 온라인 네트워크 주소를 통한 원격의 서버에 접속하는 등의 기능 수행이 감지되는 경우,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유저 단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이 수행됨은 유저 단말에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실질적인 편집이 이루어진 후 이를 영상 컨텐츠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거나 외부에서 접속 및 이용 가능하도록 업로드하는 관리 단말 등에 전송하거나, 유저 단말에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실질적인 편집이 아니라 각 기능을 상술한 관리 단말에서 수행하도록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타임 라인은 기본적으로 영상 컨텐츠의 재생에 의하여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 이미지가 출력 수단에 출력됨으로써, 유저는 움직이는 영상이 출력되는 것으로 인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각 프레임 이미지에 설정된 출력 시점을 의미한다. 타임 라인은 재생 시작 시점을 0으로 하고 각 프레임 이미지의 프출력 순서 및 영상의 FPS(Frames Per Second)에 따라서 각 프레임 이미지마다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유저 단말 등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로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모든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정보의 출력 및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술한 프로그램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나, 웹 접속을 통해서 이용 가능한 편집 인터페이스 상에 타임 라인이 출력될 때에는, 상술한 상세 타임 라인이 출력되거나, 일반적인 시간 표시 방법에 따라서 정보가 출력되고, 특정 시간 선택 시 해당 시간에 대응되는 타임 라인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가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컨텐츠는 광고, 홈쇼핑, 온라인 쇼핑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정해진 규격 또는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제작되는 모든 재생 시 움직이는 영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영상 컨텐츠는 AV(Audio Video) 신호를 포함하되, 본 발명에서는 영상에 대한 편집을 핵심적 기술 요소로 하고 있으므로, 주로 비디오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영상 컨텐츠에는 타임 라인에 따라서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가 포함되어, 해당 프레임 이미지가 출력 수단에 의하여 출력되는 경우 잔상 효과에 의하여 사람에게는 마치 움직이는 영상이 출력되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S10 단계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저의 선택 입력에 따라서 해당 프레임 이미지 중 어느 한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서 선택하게 되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 중 어느 한 객체를 제1 객체로 선택하게 된다.
이후 단말은, 제1 객체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뿐 아니라, 제1 객체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는 모든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제1 객체가 가격 표시 데이터가 포함된 영역에 대응되는 객체인 경우, 가격 표시 데이터는 영상 컨텐츠 내의 다수의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연속된 일정 구간의 타임 라인에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 상에 포함될 것이기 때문에서 기인한다. 즉 제1 객체를 제1 객체와 다른 정보를 갖는 다른 객체로 변환함으로써 매우 편리한 방식으로 원본 영상 컨텐츠를 그대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면서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가격 표시 데이터가 포함된 영역 등 편집/대체 대상이 되는 제1 객체는 타임 라인에 따라서 출력이 될수도 되지 않을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연속되거나 불연속됨에 제한을 두지 않고, 제1 객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모든 프레임 이미지를 S10 단계에 의하여 선택하는 것이다.
이때. 편집 인터페이스의 기능에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S10 단계에서는, 특정 타임 라인 구간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타임 라인 구간에 대한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타임 라인 상의 제1 객체를 포함하는 모든 프레임 이미지만을 S10 단계에서 선택하여 타임 라인에 따라서 정보들을 서로 다르게 편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S20 및 S30 단계로서 제1 객체를 다른 제3 객체로 대체하는 기능이 S10 단계에서 특정 타임 라인 구간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3 객체를 이용하여 동일한 제1 객체에 타임 라인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3 객체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S10 단계에 의하여 제1 객체 및 제1 이미지를 포함하여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가 선택되면, 유저 단말은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미리 수신한 제1 객체에 오버레이할 이미지인 제2 객체의 형태를 제1 객체의 형태와 매칭되도록 보정하여 제3 객체를 생성하는 대체 이미지 생성 단계(S2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2 객체는, 제1 객체를 대체하기 위해서 유저 단말 또는 기타 외부 단말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객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물품의 판매 영상 컨텐츠에 있어서, 제1 객체가 물품의 일반 판매 가격인 경우, 제2 객체는 예를 들어 해당 영상 컨텐츠를 그대로 사용하되, 물품의 판매 가격을 할인 가격으로 하기 위해서 가격 정보가 변동된 내용을 포함하는 이미지 객체를 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기존의 발명에서는 제2 객체를 제1 객체에 정확하게 매칭하여 보정하기 위해서, 유저 단말이 일일이 해당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고 그 프레임 이미지를 확인한 뒤 제2 객체의 크기를 편집한 뒤, 제1 객체에 직접 오버레이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전문적인 영상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야 하는 동시에 영상 편집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만 편집이 가능했던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기능에 의하여, 제2 객체를 선택하기만 하면, 제1 객체에 자동으로 그 크기 및 위치가 매칭되도록 하여, 별도의 전문적인 영상 편집 프로그램 및 이에 대한 이용 지식이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정보로 특정 정보를 대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오버레이(Overlay)는 특정 영상 컨텐츠에 다른 영상 컨텐츠를 덮도록 편집하여 영상 컨텐츠의 일 부분은 다른 정보로 대체하는 편집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객체의 형태를 제1 객체의 형태와 매칭되도록 보정함은, 제1 객체와 제2 객체가 완전히 동일한 외형을 가질 때, 그 크기가 동일하도록 제2 객체의 크기를 보정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객체와 제2 객체가 동일한 가로세로 비율의 사각형인 경우, 제2 객체의 크기를 제1 객체의 크기와 동일하게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객체와 제2 객체가 다른 외형을 갖는 경우, 제2 객체의 크기만을 보정하여 최대한 제1 객체에 매칭되도록 하거나, 제2 객체의 크기 및 비율 자체를 보정하여 제1 객체와 완전히 매칭되도록 보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객체를 보정하여 생성된 제3 객체를 이용하여, 선택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 상의 제1 객체에 제3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영상 컨텐츠의 편집을 완료하는 영상 편집 단계(S30)가 수행된다.
이때, 영상 컨텐츠가 저장 후 이용자 계정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재생되도록 구현되는 경우, S30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영상 컨텐츠가 편집된 상태로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된 상태에서 이용자 단말로 전송되거나, 스트리밍되어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컨텐츠가 일정한 시점에 실시간으로 브로드캐스팅(송출)되는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인 경우, S30 단계 역시 실시간으로 구현되어, 방송 컨텐츠를 관리하는 주체에서는 원본 영상 컨텐츠만을 관리하고, 유저 단말로부터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 관리 단말(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송출 단말) 등에서 영상 컨텐츠의 스트리밍 시점에 자동으로 제1 객체에 상기 제3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편집 완료된 영상 컨텐츠가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스트리밍 시점에 스트리밍 데이터(SD1)가 브로드캐스팅 될 때, 실시간으로 제1 객체(O1)이 실시간 삽입되는 제3 객체(O3)으로 대체되도록 오버레이되어 송출되는 것이다. 이때 S20 단계 등은 미리 수행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제1 객체를 일일이 범위 선택할 필요 없이 영상 컨텐츠를 이루는 프레임 이미지 중 어느 한 영역에 대한 단순한 선택만을 통해서 제1 객체 자체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그 객체의 경계선을 따라 범위 선택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2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에 있어서 S11 내지 S13 단계의 수행을 통해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구현할 수 있다.
먼저 입력 수단으로부터 제1 이미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픽셀들 중 어느 한 픽셀(P)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제1 이미지의 어느 한 점을 원점(O)으로 하고 픽셀 증가값을 단위 좌표 수치로 하는 제1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픽셀의 좌표인 제1 좌표(x1, y1)를 인식하는 선택 포인트 좌표 인식 단계(S11)를 수행한다.
제1 좌표 설정 기준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이미지가 직사각 이미지인 경우, 가장 좌 하단의 픽셀 포인트를 원점(O)으로 하고 제1 이미지의 가로를 x축으로, 세로를 y축으로 하는 직교 좌표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선택 입력, 예를 들어 마우스 포인터 또는 터치 입력 등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입력에 대응되는 픽셀(P)의 좌표를 제1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인식함으로써 제1 좌표(x1, y1)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기설정된 경계선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CO1, CO2, CO3)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들 각각의 경계선에 포함된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좌표 그룹인 객체별 좌표 그룹(GO1, GO2, GO3)을 인식하는 객체 좌표 인식 단계(S12)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경계선 식별 알고리즘이란, 영상 분석 기술 중 하나로서, 영상 내에서 객체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공지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인접된 픽셀 사이의 색상 변화율을 이용하여 경계선을 인식하는 알고리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객체를 식별하는 것은 특정한 객체로 인정될 수 있도록 경계선으로서 외형이 구분되는 픽셀 그룹을 어느 한 객체로 식별하는 것이다. 또한 객체별 좌표 그룹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객체의 외형을 이루는 경계선에 포함된 포인트(픽셀)들의 모든 좌표값 및 각 픽셀과 인접된 픽셀 사이의 좌표값 관계에 대한 데이터셋(Data Set)을 의미한다.
이후 인식된 제1 좌표(x1, y1)와 객체별 좌표 그룹(GO1, GO2, GO3)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제1 좌표(x1, y1)가 내부 영역에 포함되는 좌표 그룹(GO3)에 대응되는 객체(CO3)를 식별 시, 식별된 객체(CO3)를 제1 객체(O1)로 결정하는 제1 객체 결정 단계(S13)가 수행되어 제1 객체(O1)에 대한 선택 입력의 수신이 완료된다.
즉 좌표 그룹을 이용하면 특정 객체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의 모든 좌표값과 그 좌표값들의 포인트, 즉 픽셀 사이의 연관 관계의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좌표 그룹 내부 영역의 모든 포인트의 좌표(GI)가 도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좌표와 도출된 모든 포인트의 좌표 중 어느 하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함수(P(x1, y1)⊂(GOn(xa, ya) or GI(xb, yb))를 통해 제1 좌표(x1, y1)가 특정 좌표 그룹의 내부 영역(GI3)에 포함되어, 어떤 객체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유저들은 특정 포인트에 대한 선택 입력만을 수행하게 되면, 자동으로 해당 포인트에 위치된 객체를 식별할 수 있으며, 해당 식별된 객체를 편집(대체) 대상이 되는 제1 객체로서 선택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경계선을 그리거나 찾으면서 선택할 필요가 없는 편의성 증가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도면에 있어서, S12 단계의 수행 시, 객체(CO1, CO2, CO3)를 식별하는 데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객체(CO1, CO2, CO3)가 특정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에 따라서 객체(CO1, CO2, CO3)는 경계선이 특정 외형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사각 영역 등이 될 수 있다. 즉, 객체(CO1, CO2, CO3)로서 식별되는 것들 것 주로 그 경계선이 폐쇄되어 특정 영역을 이루는 것들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를 위해서 S12 단계는, 경계선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식별된 경계선들 중 연속된 경계선이 폐루프를 이루는 경우, 폐루프를 이루는 경계선 및 경계선 내부의 공간에 대응되는 영역을 객체(CO1, CO2, CO3)로서 식별하고, 그렇지 않은 경계선(NO)을 갖는 대상은 객체로서 식별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이미지의 품질이나 상태에 따라서 제1 객체의 미세한 이동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제1 객체들의 좌표 그룹이 서로 다르게 표시됨으로써 프레임 이미지들 사이에서 서로 다른 객체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3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유저 단말은 S1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S14 내지 S16 단계의 수행을 통해서 동일한 제1 객체(O11, O12, O13)를 포함하는 모든 프레임 이미지(FI1, FI2, FI3)를 선택하게 된다.
먼저 객체들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GO11)의 좌표값을 통해 도출되는 함수로서, 각 포인트의 배열 순서에 따른 인접 포인트간의 좌표 변경 관계를 나타내는 좌표 함수들 중, 제1 이미지(FI1)에서 결정된 제1 객체(O11)의 좌표 함수인 제1 함수(F(GO11))를 도출하는 제1 함수 도출 단계(S14)를 수행한다. 좌표 함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된 포인트 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함수로서, 그 함수값에 따라서 포인트를 좌표에 적용 시 해당 객체가 구현되는 함수를 의미한다.
이후, 모든 프레임 이미지마다 식별된 객체들의 좌표 함수들 중 서로 좌표가 다르더라도 제1 함수 F(GO11)와 동일한 좌표 함수(F(GO12), F(GO13))를 갖는 객체(O12, O13)들을 제1 객체(O11, O12, O13)로 인식하는 프로세스(IF(F(GO11)=F(GO12)=F(GO13), THEN(O11=O12=O13))를 진행하는 동일 객체 인식 단계(S15)를 수행하고, S15 단계에 의하여 인식된 제1 객체(O11, O12, O13)를 포함하는 프레임 이미지(FI1, FI2, FI3)를 제1 객체(O11, O12, O13)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FI1, FI2, FI3)로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 단계(S16)를 수행하여 제1 객체(O11, O12, O13)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프레임 이미지마다 미세하게 객체 삽입 상의 오류 또는 이미지의 이동에 따라서 제1 객체가 이동하더라도 이와 관계없이 제1 객체를 모든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편집 인터페이스를 이용 시 특정 객체를 제1 객체로 선택하기 위한 제1 이미지의 선택 시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 S10 단계의 구현 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단말은 제1 이미지(f1)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입력 수단으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타임 라인에 포함된 다수의 타임값 중 어느 한 타임값(t1)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타임 라인에 따라서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서 설정된 타임값들 중,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타임값(t1)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f1)를 제1 이미지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타임 라인별로 모든 프레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프레임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직접 선택하는 방식으로 제1 이미지의 선택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유저에 대한 정보 제공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기능에 의하여 제1 객체를 포함하는 모든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면, 편집 인터페이스 상에는, 선택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가 존재하는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인 타임 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내지 t2 사이의 모든 프레임(f1 ~ f2) 사이에 제1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유저가 t1 또는 f1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행하게 되면, S10 단계에 의하여 f1 내지 f2 사이의 모든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게 될 것이며, 해당 정보를 출력하여 유저가 자신이 선택하여 대체 대상이 되는 제1 객체가 어느 프레임에 포함된 것인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S20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제2 객체의 형태를 제1 객체로 보정하여 제3 객체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 4, 도 9 및 도 10 등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유저 단말은 먼저 제1 객체(O1)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 중 가장 좌측의 포인트를 원점으로 하고, 픽셀 증가값을 단위 좌표 수치로 하는 제2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제1 객체(O1)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GO1)을 결정하는 제1 좌표 결정 단계(S21)를 수행한다. 제2 좌표 설정 기준 및 이에 의한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의 좌표값을 결정하는 것은 상술한 제1 좌표 설정 기준 및 좌표 그룹의 도출과 설정 기준이 되는 이미지가 제1 이미지와 제1 객체(O1)로 다를 뿐, 그 설정 기준 및 좌표 결정 프로세스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제1 객체(O1)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GO1)을 이용하여 제1 객체(O1)의 중심 포인트(PO1)의 좌표를 도출하는 객체 중심 좌표 결정 단계(S22)를 수행한다. 제1 객체(O1)의 중심 포인트(PO1)의 좌표는, 각 경계선을 이루는 좌표값(GO1)들의 평균값을 통해서 도출될 수 있으며, 객체들이 사각형 등의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구획되는 영역인 경우, 좌표값(GO1)들의 평균값 도출을 통해서 편리하게 도출될 수 있음이 기인한다.
이후 제1 객체(O1)의 중심 포인트(PO1)의 좌표와 제2 객체(O2)의 중심 포인트의 좌표를 일치시키고, 제2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제2 객체(O2)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GO21)을 결정하는 제2 좌표 결정 단계(S23)를 수행한다. 즉, 제2 객체(O2)를 제1 객체(O1)와 그 중심(PO1)을 일치시키고, 제1 객체(O1)를 기준으로 설정된 좌표계에 적용하고 제1 객체(O1)에 제2 객체(O2)를 가상으로 오버레이하는 것이다.
이후, 제2 객체(O2)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GO21)이, 제1 객체(O1)의 경계선 및 그 내부의 포인트들의 좌표값(GO1)에 포함되되 제2 객체(O2)의 크기가 가장 크도록, 제2 객체(O2)의 크기를 변환시킴으로써 생성된 객체를 제3 객체(O3)로 생성하는 제3 객체 생성 단계(S24)를 수행한다.
즉 제2 객체(O2)의 크기를 점차 확장시키거나 줄이는 방식으로 제2 객체(O2)의 크기를 변경시키면서, 제1 객체(O1)와 그 출력 영역이 거의 동일해지도록 하는 S24 단계의 프로세스를 통해서, 완벽하게 제1 객체(O1)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3 객체(O3)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S24 단계가 수행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의 예와 같이 제1 객체(O1) 및 제2 객체(O2)의 형태가 동일한 예에서는 완전히 형태 및 크기가 제1 객체(O1)와 동일한 제3 객체(O3)가 생성될 것이며, 도 10와 같이 제1 객체(O1)와 제2 객체(O2)의 형태가 다른 예에서는, 제1 객체(O1)의 출력 이미지를 넘어가지 않고, 가장 크게 포함될 수 있는 좌표값(GO31)을 갖는 제3 객체(O3)가 생성되어, 이미지 편집의 오류를 방지하는 동시에 제1 객체(O1)와 제2 객체(O2)를 일부러 동일하게 제작하지 않아도 정확하게 제1 객체(O1)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제3 객체 생성 단계(S24)에 있어서 상술한 예들 중, 제1 객체(O1)와 제2 객체(O2)의 형태가 서로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객체(O1)와 제2 객체(O2)의 색상이 다른 경우, 제3 객체(O3)가 생성된 후 제1 객체(O1)에 오버레이하게 되면, 그 색상 경계선에 의하여 편집이 매우 부자연스러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4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유저 단말은 제2 객체(O2)의 크기를 변환시킴으로써 생성된 객체의 배경 색상(C1)을 제1 객체(O1)의 배경 색상(C1)과 일치하도록 변환하여 제3 객체(O3)의 생성을 완료할 수 있다. 배경과 객체의 구분을 위한 알고리즘은 공지된 배경 추출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배경의 색상은 픽셀 분석을 통해서 도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순히 편집할 정보의 생성만을 통해서도, 그 정보가 정확하게 프레임 이미지 상의 편집 대상에 매칭되어 편집이 완료되어, 유저가 편집을 위한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도 편리하게 영상 컨텐츠를 실시간 편집할 수 있는 동시에, 매우 적은 용량으로 다양한 정보를 갖는 영상 컨텐츠를 생성 및 배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송 컨텐츠 등 실시간 편집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도 매우 효율적으로 편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내용들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장치(10, 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함)는, 편집 대상 선택부(11), 대체 이미지 생성부(12) 및 영상 편집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 또는 관리 단말 중 어느 하나 그 자체 또는 해당 단말에 포함된 기능적 구분에 따른 하드웨어적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편집 대상 선택부(11)는 편집 대상이 되는 영상 컨텐츠(100)가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수단으로부터 타임 라인(t)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101, 102) 중 어느 한 프레임 이미지인 제1 이미지(102)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제1 이미지(102)에 포함된 객체들 중 어느 한 객체인 제1 객체(O1, 103)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제1 객체(103) 및 제1 객체(103)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설명에서 도 1의 S10과 도 2 및 3의 S11 내지 S16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대체 이미지 생성부(12)는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미리 수신한 제1 객체(O1)에 오버레이할 이미지인 제2 객체의 형태를 상기 제1 객체의 형태와 매칭되도록 보정하여 제3 객체(O3)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S20 및 도 4의 S21 내지 S2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영상 편집부(13)는 편집 대상 선택부에서 선택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 상의 제1 객체(103)에 제3 객체(O3)를 오버레이하여, 영상 컨텐츠의 편집을 완료함으로써 제3 객체(113)가 제1 객체 대신 출력되는 프레임 이미지(112)로 구성된 편집된 영상 컨텐츠(110)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1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2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2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2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편집 대상이 되는 영상 컨텐츠가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수단으로부터 타임 라인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어느 한 프레임 이미지인 제1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 중 어느 한 객체인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편집 대상 선택 단계;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미리 수신한 상기 제1 객체에 오버레이할 이미지인 제2 객체의 형태를 상기 제1 객체의 형태와 매칭되도록 보정하여 제3 객체를 생성하는 대체 이미지 생성 단계; 및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 상의 제1 객체에 상기 제3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의 편집을 완료하는 영상 편집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는,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제1 이미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픽셀들 중 어느 한 픽셀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이미지의 어느 한 점을 원점으로 하고 픽셀 증가값을 단위 좌표 수치로 하는 제1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픽셀의 좌표인 제1 좌표를 인식하는 선택 포인트 좌표 인식 단계;
    기설정된 경계선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들 각각의 경계선에 포함된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좌표 그룹인 객체별 좌표 그룹을 인식하는 객체 좌표 인식 단계; 및
    인식된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객체별 좌표 그룹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좌표가 내부 영역에 포함되는 좌표 그룹에 대응되는 객체를 식별 시, 식별된 객체를 제1 객체로 결정하는 제1 객체 결정 단계;에 따라서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좌표 인식 단계는,
    상기 경계선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식별된 경계선들 중 연속된 경계선이 폐루프를 이루는 경우, 폐루프를 이루는 경계선 및 경계선 내부의 공간에 대응되는 영역을 객체로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는,
    객체들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통해 도출되는 함수로서, 각 포인트의 배열 순서에 따른 인접 포인트간의 좌표 변경 관계를 나타내는 좌표 함수들 중, 상기 제1 이미지에서 결정된 상기 제1 객체의 좌표 함수인 제1 함수를 도출하는 제1 함수 도출 단계;
    모든 프레임 이미지마다 식별된 객체들의 좌표 함수들 중 서로 좌표가 다르더라도 상기 제1 함수와 동일한 좌표 함수를 갖는 객체들을 상기 제1 객체로 인식하는 동일 객체 인식 단계; 및
    상기 동일 객체 인식 단계에 의하여 인식된 제1 객체를 포함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상기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로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입력 수단으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타임 라인에 포함된 다수의 타임값 중 어느 한 타임값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타임 라인에 따라서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서 설정된 타임값들 중,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타임값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이미지 생성 단계는,
    제1 객체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 중 가장 좌측의 포인트를 원점으로 하고, 픽셀 증가값을 단위 좌표 수치로 하는 제2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제1 객체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결정하는 제1 좌표 결정 단계;
    상기 제1 객체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객체의 중심 포인트의 좌표를 도출하는 객체 중심 좌표 결정 단계;
    상기 제1 객체의 중심 포인트의 좌표와 상기 제2 객체의 중심 포인트의 좌표를 일치시키고, 상기 제2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상기 제2 객체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결정하는 제2 좌표 결정 단계; 및
    상기 제2 객체의 경계선을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값이, 상기 제1 객체의 경계선 및 그 내부의 포인트들의 좌표값에 포함되되 상기 제2 객체의 크기가 가장 크도록, 상기 제2 객체의 크기를 변환시킴으로써 생성된 객체를 상기 제3 객체로 생성하는 제3 객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객체 생성 단계는,
    상기 제2 객체의 크기를 변환시킴으로써 생성된 객체의 배경 색상을 상기 제1 객체의 배경 색상과 일치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제3 객체의 생성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편집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실시간 송출되는 방송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인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스트리밍 시점에 자동으로 상기 제1 객체에 상기 제3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편집 완료된 영상 컨텐츠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편집 대상이 되는 영상 컨텐츠가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수단으로부터 타임 라인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어느 한 프레임 이미지인 제1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 중 어느 한 객체인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편집 대상 선택부;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미리 수신한 상기 제1 객체에 오버레이할 이미지인 제2 객체의 형태를 상기 제1 객체의 형태와 매칭되도록 보정하여 제3 객체를 생성하는 대체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편집 대상 선택부에서 선택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 상의 제1 객체에 상기 제3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의 편집을 완료하는 영상 편집부;를 포함하되,
    상기 편집 대상 선택부는,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제1 이미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픽셀들 중 어느 한 픽셀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이미지의 어느 한 점을 원점으로 하고 픽셀 증가값을 단위 좌표 수치로 하는 제1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픽셀의 좌표인 제1 좌표를 인식하고,
    기설정된 경계선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들 각각의 경계선에 포함된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좌표 그룹인 객체별 좌표 그룹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객체별 좌표 그룹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좌표가 내부 영역에 포함되는 좌표 그룹에 대응되는 객체를 식별 시, 식별된 객체를 제1 객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객체 편집 장치.
  10.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편집 대상이 되는 영상 컨텐츠가 설정된 상태에서, 입력 수단으로부터 타임 라인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어느 한 프레임 이미지인 제1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 중 어느 한 객체인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1 객체가 포함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편집 대상 선택 단계;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미리 수신한 상기 제1 객체에 오버레이할 이미지인 제2 객체의 형태를 상기 제1 객체의 형태와 매칭되도록 보정하여 제3 객체를 생성하는 대체 이미지 생성 단계; 및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모든 프레임 이미지 상의 제1 객체에 상기 제3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의 편집을 완료하는 영상 편집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편집 대상 선택 단계는,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제1 이미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픽셀들 중 어느 한 픽셀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이미지의 어느 한 점을 원점으로 하고 픽셀 증가값을 단위 좌표 수치로 하는 제1 좌표 설정 기준에 따라서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픽셀의 좌표인 제1 좌표를 인식하는 선택 포인트 좌표 인식 단계;
    기설정된 경계선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다수의 객체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들 각각의 경계선에 포함된 포인트들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좌표 그룹인 객체별 좌표 그룹을 인식하는 객체 좌표 인식 단계; 및
    인식된 상기 제1 좌표와 상기 객체별 좌표 그룹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좌표가 내부 영역에 포함되는 좌표 그룹에 대응되는 객체를 식별 시, 식별된 객체를 제1 객체로 결정하는 제1 객체 결정 단계;에 따라서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10026559A 2021-02-26 2021-02-26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464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559A KR102464862B1 (ko) 2021-02-26 2021-02-26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559A KR102464862B1 (ko) 2021-02-26 2021-02-26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217A KR20220122217A (ko) 2022-09-02
KR102464862B1 true KR102464862B1 (ko) 2022-11-09

Family

ID=8328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559A KR102464862B1 (ko) 2021-02-26 2021-02-26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8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129B1 (ko) * 2012-05-17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니지 콘텐츠 생성 방법
KR102274723B1 (ko) * 2019-01-02 2021-07-08 주식회사 케이티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편집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217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0145A1 (en) System and method to identify an item depicted when media content is displayed
US9542060B1 (en) User interface for access of content
CN102547479B (zh) 媒体元数据的生成与供应
US10726443B2 (en) Deep product placement
US891797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relevant supplemental content to a user device
US8595773B1 (en) Intelligent TV shopping system and method
CN102860028B (zh) 内容重放装置、控制信息提供服务器以及内容重放系统
US20160345039A1 (en) Proximity dependent media playback
US20140215512A1 (en) Comment-provided video generating apparatus and comment-provided video generating method
CN111510753B (zh) 显示设备
CN102231851B (zh) 可扩展视频插入控制
US20240153179A1 (en) Systems and method for dynamic insertion of advertisements
CN103535028A (zh) 用于提供与显示的内容相关的附加内容的方法和系统
KR20120105346A (ko)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201300368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209658A (ja) 表示出力装置、表示出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110761A1 (en) Finding the space spanned by user profiles from binary feedback
CN105074613A (zh) 用于内容发现的方法和系统
CN112004131A (zh) 一种显示系统
CN108605150A (zh) 具有基于内容特性的触发特征的计算系统
KR20130128566A (ko) 사이니지 콘텐츠 생성 방법
US2015008224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2464862B1 (ko) 영상 컨텐츠의 객체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9009768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요약 영상 생성 방법
US20190220870A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public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