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240B1 -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240B1
KR102464240B1 KR1020210131542A KR20210131542A KR102464240B1 KR 102464240 B1 KR102464240 B1 KR 102464240B1 KR 1020210131542 A KR1020210131542 A KR 1020210131542A KR 20210131542 A KR20210131542 A KR 20210131542A KR 102464240 B1 KR102464240 B1 KR 102464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tem
brand
product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138A (ko
Inventor
문준영
김향은
박윤미
박진형
박정수
조남균
최하영
박지은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24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한 상품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가 브랜드 정보가 추가로 제공되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이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상기 상품의 정보에서 확인된 상기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되는 로고 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제1 영역에 상기 확인된 로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상품의 브랜드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RODUCT BRAND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본 개시는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상점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온라인 상점에서 구매 가능한 상품 중에서는 패션 상품과 같이, 특정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가 분명한 상품이 존재한다. 그런데 온라인 상점의 관리자와 개별 상품의 판매자가 상이한 경우, 온라인 상점에서는 판매자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에 기초한 정보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온라인 상점의 웹 페이지 상에서 해당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찾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선행문헌 :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05766
한편, 선행문헌은 각각의 사용자가 모두 브랜드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브랜드에 대한 영향력이 사용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각각의 사용자 모두가 브랜드에 관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으로, 온라인 상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이 특정 브랜드의 상품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브랜드의 로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개시되지 않은 바, 온라인 상점에서 상품의 브랜드 정보에 대한 가시성을 높여주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한 상품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가 브랜드 정보가 추가로 제공되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품이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상기 상품의 정보에서 확인된 상기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되는 로고 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제1 영역에 상기 확인된 로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상품의 브랜드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랜드 정보는 상기 상품의 브랜드명 및 상기 상품의 브랜드와 동일한 브랜드의 상품 세트의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라,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한 상품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가 브랜드 정보가 추가로 제공되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상품이 상기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상기 상품의 정보에서 확인된 상기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되는 로고 컨텐츠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제1 영역에 상기 확인된 로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상품의 브랜드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상품에 대한 페이지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브랜드 정보는 상기 상품의 브랜드명 및 상기 상품의 브랜드와 동일한 브랜드의 상품 세트의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적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온라인 상점 시스템에서 구매 가능한 상품 중에서 특정 상품의 브랜드 정보가 확인된 경우, 해당 상품의 브랜드와 매핑된 로고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브랜드의 상품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브랜드로 확인된 상품들의 구매가 가능하도록, 특정 브랜드 상품에 관한 정보를 별도의 페이지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해당 브랜드의 상품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의 쇼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점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상세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브랜드의 상품이 소개된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상품의 브랜드명 및 검색된 로고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상세 페이지에서 유사 상품의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 페이지에서 적용 가능한 필터링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관련 페이지에서 특정 브랜드의 상품이 소개된 페이지의 퀵 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점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상점 시스템(1)은 전자 장치(10), 사용자 단말(20) 및 판매자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 및 단말(20, 30)은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는 온라인 상점 시스템(1)을 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30)을 통해 판매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는 상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관련 페이지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온라인 상점에 접속하면 전자 장치(10)에 의해 제공된, 온라인 상점에서 구매 가능한 상품을 확인할 수 있고, 일부 상품들을 선택하여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특정 상품을 검색하거나 특정 상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한 경우, 해당 상품이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테고리는 로고 컨텐츠 등의 브랜드 정보가 제공되는 카테고리로 정의될 수 있고, 일부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가 큰 카테고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테고리는 패션의류/잡화일 수 있으나, 제1 카테고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해당 상품이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판매자 단말(30)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이 특정 브랜드의 상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상품이 특정 브랜드의 상품인 경우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에 확인된 로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브랜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온라인 상점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는 온라인 상점을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20)에게 제공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상품 정보를 업로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판매자 단말(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판매자 단말(30)을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대신, 온라인 상점을 위한 플랫폼에서 판매자가 상품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온라인 상점을 운용하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상세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일 상세 페이지(Single Detail Page, SDP)는 상품 상세 페이지의 일 예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단일 상세 페이지(210)는 상품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220), 상품의 브랜드 정보가 표시되는 제2 영역(230) 및 상품 정보가 표시되는 제3 영역(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230)에 표시된 상품의 브랜드 정보는 해당 브랜드의 로고 컨텐츠(231), 브랜드명(232) 및 해당 브랜드의 상품이 소개된 페이지의 링크(2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 영역(240)에 표시된 상품 정보는 상품명(241), 상품 가격 및 상품에 대한 후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제1 영역(220)에 표시되는 상품의 이미지, 제3 영역(240)에 표시되는 상품명 및 가격 정보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영역의 브랜드명(232) 및 로고 컨텐츠(231)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에 의해 검색된 것일 수 있다.
만약,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 중 상품명에 브랜드명이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는 상품명에 기재된 브랜드명을 제외시킨 후, 상품명의 나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 중 상품명(241)이 "A 브랜드 화이트 운동화 AA-XXX"인 경우, 이를 그대로 표시하면 제2 영역(230)의 브랜드명(232) 정보가 중복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A 브랜드 화이트 운동화 AA-XXX"에서 "A 브랜드"를 제외시킨 나머지 정보 "화이트 운동화 AA-XXX"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방법은 동일한 정보의 중복 표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 중 상품명(241)에 포함된 브랜드 정보와 제2 영역(230)에 표시된 브랜드명(232)이 서로 다른 언어로 기재된 것이라 하더라도, 상품명에 기재된 브랜드명을 제외시킨 후, 상품명의 나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 중 상품명(241)이 "A brand 화이트 운동화 AA-XXX"인 경우에도, "A brand"를 제외시킨 나머지 정보인 "화이트 운동화 AA-XXX"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 장치가 정품 인증이 완료된 상품에 대해서만 제2 영역(230)에 브랜드 정보를 표시한다면, 사용자는 제2 영역(230)을 통해 용이하게 해당 상품이 브랜드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방법은 제1 영역(220)에 표시된 상품의 이미지에서 로고 컨텐츠를 인식한 후, 인식된 로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일 영역을 크로핑(cropping)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이미지를 제1 영역(2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방법은 신발 상품에 관한 이미지에서, A 브랜드의 로고를 포함하는 일 영역(225)을 인식한 후, 일 영역(225)을 새로운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20)에 관한 슬라이딩 입력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검색 결과 페이지(Search Result Page, SRP)는 상품 검색 페이지의 일 예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검색 결과 페이지(300)는 검색어 입력 영역(310), 검색어와 관련된 키워드가 표시된 제4 영역(320) 및 상품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제5 영역(340, 3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 페이지(300)는 상품 검색 결과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어 입력 영역(310)에 "A 브랜드 신발"이 입력된 경우, 전자 장치는 신발과 관련된 키워드(여성 신상, 여성, 여성 런닝화, 남성 런닝화 등)를 제4 영역(3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A 브랜드 신발의 검색 결과,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이 검색될 수 있다. 이때, 제1 상품 및 제2 상품에 대한 브랜드 확인 결과에 따라 상품에 대한 정보가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랜드 확인이 완료되지 않은 제1 상품의 경우, 제1 상품의 정보는 제5 영역의 좌측 영역(340)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랜드 확인이 완료된 제2 상품의 경우, 제2 상품의 정보는 제5 영역의 우측 영역(350)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 영역의 우측 영역(350)은 제2 상품의 브랜드 정보 표시 영역(3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품의 브랜드 정보 표시 영역(351)은 브랜드명 및 해당 브랜드의 로고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브랜드 확인이 완료된 상품에 관한 정보로 구성된 브랜드 샵 페이지 링크(브랜드 정보 표시 영역(351)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랜드 확인 절차는 판매자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판매자가 해당 브랜드의 상품을 공식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자인지 판단을 수행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품 관련 페이지의 구성은 일 예시일 뿐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내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브랜드의 상품이 소개된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브랜드 샵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브랜드 샵 페이지는 해당 브랜드의 상품인 것으로 확인이 완료된 상품들에 관한 정보로 구성된 페이지를 의미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브랜드 샵 페이지(400)는 검색어 입력 영역(410), 카테고리 표시 영역(420) 및 상품 정보 표시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브랜드 샵에서 제공되는 상품에 따라, 카테고리 표시 영역(420)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품 정보 표시 영역(430)에서 제공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의 순서는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품 정보 표시 영역(4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상품을 먼저 표시할 수 있고 인기가 많은 상품을 먼저 표시할 수 있으며, 상품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상품의 브랜드명 및 검색된 로고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의 제2 영역(230) 및 도 3의 브랜드 정보 표시 영역(351)에 표시된 내용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도 2의 제2 영역(230) 및 도 3의 브랜드 정보 표시 영역(351)은 제7 영역(500)과 유사하게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7 영역(500)은 브랜드명 및 브랜드명에 매핑된 로고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510)외에도, 상품에 관한 후기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제7 영역(500)은 도 2의 제2 영역(230)에 포함된 해당 브랜드의 상품이 소개된 페이지의 링크(233)를 대체하여, ">"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브랜드의 상품이 소개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관련 페이지에서 유사 상품의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품 관련 페이지 상에 해당 상품과 유사한 상품에 관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상품과 유사한 상품은 해당 상품과 동일한 브랜드의 동일 품목의 상품, 해당 상품과 동일한 브랜드의 상이한 품목의 상품 및 상이한 브랜드의 동일 품목의 상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품 관련 페이지를 하단으로 스크롤링하는 경우 도 6에 개시된 추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600)은 해당 상품을 검색하거나 해당 상품의 상품 상세 정보를 확인한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상품과 함께 확인한 상품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610)과 전자 장치에 의해 확인된, 해당 상품과 함께 비교하면 좋을 상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6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 페이지에서 적용 가능한 필터링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품 검색 페이지에서 상품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적용 가능한 필터링 항목은 브랜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상품 검색 결과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330)이 클릭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과 같이 필터링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필터링 항목 중, 사이즈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는 상품 검색 결과 중에서 선택된 사이즈의 상품에 관한 정보만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링 항목은 브랜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브랜드 정보로 필터링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브랜드의 상품으로 확인이 완료된 상품을 필터링된 결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필터링 항목 중에서 "A 브랜드"(710)를 선택할 수 있고, 전자 장치는 상품 검색 결과 중에서 "A 브랜드"의 상품인 것으로 확인된 상품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방법 및 전자 장치를 통해, 해당 브랜드의 상품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는 쉽게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관련 페이지에서 특정 브랜드의 상품이 소개된 페이지의 퀵 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품 관련 페이지에서 특정 브랜드의 상품이 소개된 페이지의 퀵 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는 상품 상세 페이지 및 검색 결과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품과 관련된 브랜드샵에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에 관한 정보 중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품 관련 페이지를 하단으로 스크롤링하는 경우 도 8에 개시된 브랜드 샵의 퀵 뷰(800)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2의 해당 브랜드의 상품이 소개된 페이지의 링크(233)를 선택함으로써 도 4의 브랜드 샵 페이지(400)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품 관련 페이지를 하단으로 스크롤링함으로써 브랜드 샵의 퀵 뷰(800)를 확인할 수 있다.
브랜드 샵의 퀵 뷰(800) 상에 제공된 상품에 관한 정보는, 도 4의 브랜드 샵 페이지(400) 상에 제공된 상품에 관한 정보에 비해 간략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랜드 샵의 퀵 뷰(800)는 상품에 관한 이미지(810)만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미지(810)에 관한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한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브랜드 샵의 퀵 뷰(800)의 형식은 도 8에 제한되지 않으며, 브랜드 샵 페이지(400)에 비해 해당 브랜드의 상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퀵 뷰 형식으로 제공되는 상품의 목록은 상품 관련 페이지에서 검색된 상품의 종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품 관련 페이지에서 A 브랜드의 신발을 검색한 경우, 퀵 뷰 형식으로 제공되는 상품에서 상품의 목록에 표시되는 상품은 A 브랜드의 다른 신발들일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910에서, 본 개시의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한 상품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920에서, 본 개시의 방법은 상품의 카테고리가 브랜드 정보가 추가로 제공되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930에서, 본 개시의 방법은 상품이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상품의 정보에서 확인된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되는 로고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랜드 정보와 매핑되는 로고 컨텐츠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일반 아이콘(generic icon)을 브랜드 정보와 매핑되는 로고 컨텐츠로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940에서, 본 개시의 방법은 요청에 대응하여, 제1 영역에 확인된 로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품의 브랜드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에 대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랜드 정보는 상품의 브랜드명 및 상품의 브랜드와 동일한 브랜드의 상품 세트의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품 정보는 상품의 판매자로부터 수신된 상품에 관한 정보 및 상품에 관한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940은 브랜드 정보에 상품의 브랜드명이 포함되는 경우, 상품에 대한 페이지의 제2 영역에 상품의 명칭에 포함된 브랜드명을 제외하고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랜드 정보에 포함된 브랜드명은 제1 언어로 기재된 것이고, 상품의 명칭에 포함된 상품의 브랜드명은 제2 언어로 기재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방법은 상품에 대한 페이지에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중에서, 상품의 브랜드와 유사한 브랜드의 상품에 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정보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품에 대한 페이지의 종류는 상품의 상세 페이지 및 상품과 관련된 검색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940는 상품에 대한 페이지가 상품과 관련된 검색 페이지인 경우, 상품의 검색 페이지와 관련된 검색어에 기초하여 상품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품의 검색 결과에 제공되는 브랜드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에 따라 상품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된 결과는 브랜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에 대한 페이지가 상품과 관련된 검색 페이지이고, 검색 페이지와 관련된 검색어에 상품의 명칭 및 상품의 브랜드명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단계 S920은 검색어에 기초하여 상품의 카테고리가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품에 대한 페이지가 상품의 상세 페이지인 경우, 단계 S920은 상품의 판매자로부터 획득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의 카테고리가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방법은 브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의 브랜드와 동일한 브랜드의 상품이 소개된 페이지의 퀵 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940은 상품에 대한 페이지가 상품의 상세 페이지인 경우, 상품의 정보에서 확인된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상품의 로고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이미지 내의 상품의 로고를 포함하는 일 영역을 크롭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이미지를 상품의 상세 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010에서, 본 개시의 방법은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품 정보에 상품의 브랜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상점에 상품이 등록될 때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품의 브랜드명이 입력되면,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해당 판매자가 해당 브랜드의 상품을 판매할 정식 권한이 있는 자인지를 증명하는 서류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품 정보에 상품의 브랜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계 S1020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종료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본 개시의 방법은 상품 정보를 통해 확인된 브랜드 정보와 매핑되는 로고 컨텐츠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1020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9의 단계 S930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1030에서, 본 개시의 방법은 상품 정보에 포함된 브랜드 정보와 매핑된 로고 컨텐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매핑된 로고 컨텐츠가 있다면 단계 S1040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050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040에서, 본 개시의 방법은 상품의 브랜드와 매핑된 로고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1050에서, 본 개시의 방법은 본 개시의 방법은 일반 아이콘(generic icon)을 매핑된 로고 컨텐츠로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아이콘은 상품 및 브랜드 정보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되는 아이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품의 확인된 브랜드 정보와 매핑되는 로고 컨텐츠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상품 관련 페이지에 제공될 로고 컨텐츠로서 특정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해당 상품의 브랜드의 로고 컨텐츠가 없을 뿐, 해당 브랜드의 상품으로 확인된 상품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1060에서, 본 개시의 방법은 확인된 로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품의 브랜드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에 대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자 장치(1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memory)(1110) 및 프로세서(processor)(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전자 장치(1100)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메모리(1110)는 전자 장치(11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1110)는 전자 장치(1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10)는 프로세서(1120)의 동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instruction)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10)는 전자 장치(1100)에 의해 구동될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1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0)는 전자 장치(1100)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0)는 메모리(1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한 상품을 확인하고, 상품의 카테고리가 브랜드 정보가 추가로 제공되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품이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상품의 정보에서 확인된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되는 로고 컨텐츠를 확인하고, 요청에 대응하여 제1 영역에 확인된 로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품의 브랜드 정보가 표시되는 상품에 대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브랜드 정보는 상품의 브랜드명 및 상품의 브랜드와 동일한 브랜드의 상품 세트의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정보는 상품의 판매자로부터 수신된 상품에 관한 정보 및 상품에 관한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로고 컨텐츠를 확인하는 것은 브랜드 정보와 매핑되는 로고 컨텐츠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일반 아이콘(generic icon)을 브랜드 정보와 매핑되는 로고 컨텐츠로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품에 대한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은 브랜드 정보에 상품의 브랜드명이 포함되는 경우, 상품에 대한 페이지의 제2 영역에 상품의 명칭에 포함된 브랜드명을 제외하고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랜드 정보에 포함된 브랜드명은 제1 언어로 기재된 것이고, 상품의 명칭에 포함된 상품의 브랜드명은 제2 언어로 기재된 것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20)는 상품에 대한 페이지에 제1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중에서, 상품의 브랜드와 유사한 브랜드의 상품에 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정보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품에 대한 페이지의 종류는 상품의 상세 페이지 및 상품과 관련된 검색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에 대한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은 상품에 대한 페이지가 상품과 관련된 검색 페이지인 경우, 상품의 검색 페이지와 관련된 검색어에 기초하여 상품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상품의 검색 결과에 제공되는 브랜드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에 따라 상품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된 결과는 브랜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품에 대한 페이지가 상품과 관련된 검색 페이지이고, 검색 페이지와 관련된 검색어에 상품의 명칭 및 상품의 브랜드명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검색어에 기초하여 상품의 카테고리가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품에 대한 페이지가 상품의 상세 페이지인 경우,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품의 판매자로부터 획득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의 카테고리가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20)는 브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의 브랜드와 동일한 브랜드의 상품이 소개된 페이지의 퀵 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품에 대한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은, 상품에 대한 페이지가 상품의 상세 페이지인 경우, 상품의 정보에서 확인된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상품의 로고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미지 내의 상품의 로고를 포함하는 일 영역을 크롭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상품의 상세 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파이썬(python),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7)

  1. 전자 장치에서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이 브랜드 정보가 제공되는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이 상기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제1브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한 로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브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이미지 내 로고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로고가 포함되도록 상기 확인한 이미지의 영역을 크롭(crop)하여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로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로고 정보를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페이지는 상기 제1브랜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브랜드 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브랜드 명칭 또는 상기 아이템의 브랜드와 동일한 브랜드의 아이템 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제2페이지의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랜드 정보에 매핑된 상기 로고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로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일반 아이콘(generic icon)을 상기 브랜드 정보에 매핑된 로고 정보로 확인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랜드 정보에 상기 아이템의 브랜드 명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명칭 내에 포함된 상기 브랜드 명칭을 제외한 제1명칭을 표시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랜드 정보 내 포함된 상기 브랜드 명칭은 제1언어로 제공되고,
    상기 아이템의 명칭 내 포함된 상기 아이템의 브랜드 명칭은 제2언어로 제공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페이지에 상기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중에서, 상기 아이템의 브랜드와 관련된 브랜드들의 아이템들을 나타내는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페이지는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페이지 또는 상기 아이템과 관련된 검색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인,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페이지가 상기 아이템과 관련된 검색 페이지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의 검색과 관련된 검색어에 기초하여 아이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 검색 결과에 제공되는 상기 제1브랜드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아이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된 결과는 상기 제1브랜드 정보에 대응하는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페이지가 상기 아이템과 관련된 검색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의 검색과 관련된 검색어에 상기 아이템의 명칭 및 상기 아이템의 브랜드 명칭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카테고리가 상기 제1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페이지가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페이지인 경우, 상기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판매자로부터 획득한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카테고리가 상기 제1카테고리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브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브랜드와 동일한 브랜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페이지의 퀵 뷰(quick view)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1페이지가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페이지인 경우, 상기 아이템 정보에서 확인된 상기 아이템의 제1브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이미지들 중 상기 아이템의 로고를 포함하는 상기 아이템의 이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상기 아이템의 이미지 내의 상기 아이템의 로고를 포함하는 상기 영역을 크롭하여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인증 정보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아이템의 판매자가 공식 판매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16.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확인하고, 상기 아이템이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아이템이 브랜드 정보가 제공되는 상기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제1브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한 로고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브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이미지 내 로고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로고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확인한 이미지의 영역을 크롭(crop)하여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로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로고 정보를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이 브랜드 정보가 제공되는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에 상기 제1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에 대한 제1브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한 로고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브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이미지 내 로고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로고가 포함되도록 상기 확인한 이미지의 영역을 크롭(crop)하여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로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로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0131542A 2021-03-04 2021-10-05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464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542A KR102464240B1 (ko) 2021-03-04 2021-10-05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919A KR102311544B1 (ko) 2021-03-04 2021-03-04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0210131542A KR102464240B1 (ko) 2021-03-04 2021-10-05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919A Division KR102311544B1 (ko) 2021-03-04 2021-03-04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138A KR20220125138A (ko) 2022-09-14
KR102464240B1 true KR102464240B1 (ko) 2022-11-07

Family

ID=781507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919A KR102311544B1 (ko) 2021-03-04 2021-03-04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0210131542A KR102464240B1 (ko) 2021-03-04 2021-10-05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919A KR102311544B1 (ko) 2021-03-04 2021-03-04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295365B1 (ko)
JP (1) JP2022135853A (ko)
KR (2) KR102311544B1 (ko)
TW (1) TW202236180A (ko)
WO (1) WO2022186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857B1 (ko) * 2021-11-17 2022-11-04 박순무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온라인 라이브 커머스를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66020B1 (ko) * 2022-04-14 2022-11-10 주식회사 에루샤 인공지능 기반 명품 정보 및 셀러의 자동 매칭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09173A (ko) * 2022-07-13 2024-01-22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0917A2 (en) * 2000-05-24 2001-11-29 Espotting (Uk) Limited Search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searching
US20150154608A9 (en) * 2001-08-31 2015-06-04 Carfa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using Selected Vehicles Having a Clean Title History
US20060036510A1 (en) * 2003-06-02 2006-02-16 W.W. Grainger, Inc.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a customer to additional purchasing opportunities
US20080167127A1 (en) * 2007-01-05 2008-07-10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ion of Media on Gaming Consoles
KR100957438B1 (ko) 2008-02-29 2010-05-11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브랜드 검색 가격 결정 방법 및 시스템
US9886713B2 (en) * 2008-03-19 2018-02-06 Ashdan Llc Enhanced shopping and merchandising methodology
US9443209B2 (en) * 2009-04-30 2016-09-13 Paypal, Inc. Recommendations based on branding
KR100963996B1 (ko) * 2009-06-29 2010-06-15 주식회사 모임 감성에 기반한 개인별 제품 추천 장치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EP2533141A1 (en) * 2011-06-07 2012-12-12 Amadeus S.A.S. A person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AU2013204921A1 (en) * 2012-05-31 2013-12-19 Astaricks Group Pty Ltd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WO2014018809A1 (en) * 2012-07-25 2014-01-30 OnRamp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erification of seller authorization and product authentication
US8867841B2 (en) * 2012-08-08 2014-10-21 Google Inc. Intelligent cropping of images based on multiple interacting variables
US10394816B2 (en) * 2012-12-27 2019-08-27 Google Llc Detecting product lines within product search queries
KR20150005766A (ko) 2013-07-04 2015-01-15 주식회사 브랜덤 브랜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브랜드 컨텐츠 제공 시스템
US9563343B2 (en) * 2014-05-29 2017-02-07 Abl Ip Holding Llc Lighting product catalog application with embedded linkage to lighting design tool
KR20160087091A (ko) * 2015-01-13 2016-07-21 안성국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
KR101692482B1 (ko) * 2015-05-08 2017-01-03 주식회사 인라이플 모바일 단말기의 광고방법, 그 방법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프로그램 분배 서버
US20170076327A1 (en) * 2015-09-11 2017-03-16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providing advertisements for comparison
KR20170109159A (ko) 2016-03-18 2017-09-2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상품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157408B2 (en) * 2016-07-29 2018-12-18 Customer Focus Software Limited Method, systems, and devices for integrated product and electronic image fulfillment from database
US20190149725A1 (en) * 2017-09-06 2019-05-16 Trax Technologies Solutions Pte Ltd. Using augmented reality for image capturing a retail unit
US11429645B2 (en) * 2018-03-14 2022-08-30 Ebay Inc. Multiple taxonomy based searching and categorization
US10237610B1 (en) 2018-03-30 2019-03-19 Alphonso Inc. Automated identification of product or brand-related metadata candidates for a commercial using persistence of product or brand-related text or objects in video frames of the commercial
KR20200017306A (ko) * 2018-08-08 2020-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102023629B1 (ko) 2019-01-23 2019-09-20 더워터멜론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브랜드 로고 검색 시스템
KR102225729B1 (ko) * 2019-06-04 2021-03-10 주식회사 마카롱소프트 복수 온라인 쇼핑몰 상품 등록을 위한 상품정보 가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14468A (ko) * 2019-07-30 2021-02-09 김도현 쇼핑벨 - 바코드인식 기능, 제품 검색과 제품 추천 기능, qr코드 생성 및 결제 기능, 진동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한 쇼핑 서비스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544B1 (ko) 2021-10-13
WO2022186418A1 (ko) 2022-09-09
US20220284497A1 (en) 2022-09-08
JP2022135853A (ja) 2022-09-15
TW202236180A (zh) 2022-09-16
US11295365B1 (en) 2022-04-05
KR20220125138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240B1 (ko) 상품의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878392B2 (en) Control and access of digital files for three dimensional model printing
US10832300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reducing counterfeits online
US11429260B2 (en) Personalized curation and customized social interaction
JP2017511525A (ja) 通信セッションの状態の保存
JP6185216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363310A (zh) 跨不同站点采用数据
KR20190020785A (ko) 결과 피드백을 이용하는 검색 시스템
US9984403B2 (en) Electronic shopping car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11379900B1 (en) Electronic apparatus, manufactur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US20140214591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a product display in a business
JP201600945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44371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60085332A (ko) 디지털 콘텐츠 리스팅의 제공 기법
JP2022145367A (ja) アイテムに関連した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電子装置
AU202028104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345986B1 (ko)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373486B1 (ko)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240037625A1 (en) Anomaly detection and subsegment analysis
US20150339751A1 (en) Dynamic pricing model
KR20150144924A (ko) 이동단말에서의 여성용, 남성용 아이콘을 이용한 남녀 구분 검색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US20160267131A1 (en) Search system, search criteria sett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search criteria sett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70101964A (ko) 간략화된 오버레이 광고
KR2024001484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20220125666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