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486B1 -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486B1
KR102373486B1 KR1020210104508A KR20210104508A KR102373486B1 KR 102373486 B1 KR102373486 B1 KR 102373486B1 KR 1020210104508 A KR1020210104508 A KR 1020210104508A KR 20210104508 A KR20210104508 A KR 20210104508A KR 102373486 B1 KR102373486 B1 KR 102373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d
list
search
user
sear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지
문준영
레이 왕
징 루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486B1/ko
Priority to PCT/KR2021/011031 priority patent/WO2023017886A1/ko
Priority to TW110136809A priority patent/TW202307694A/zh
Priority to US17/562,646 priority patent/US20230040687A1/en
Priority to KR1020220028866A priority patent/KR20230022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7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using item spec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가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경우,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1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나타내기 위한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2브랜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제2브랜드의 제2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3영역을 포함하는 제2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PROVIDING BRAND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의 개시는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로부터 브랜드 정보 및/또는 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상품에 대한 상기 브랜드 정보와 연관된 다른 브랜드들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 인터넷 기술 및 온라인 결제 기술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 거래 및 온라인 쇼핑 산업의 규모가 활발하게 확장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쉽게 쇼핑할 수 있고, 수많은 상품을 비교할 수 있다는 온라인 쇼핑의 장점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온라인 쇼핑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창업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브랜드는 수요자들이 상품을 고르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 수요자들은 브랜드에 의해 상품을 구매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관련하여 선행 특허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200112090 (2020.09.03) 가 있다.
본 실시 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아이템의 관련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은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로부터 브랜드 정보 및/또는 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상품에 대한 상기 브랜드 정보와 연관된 다른 브랜드들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가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경우,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1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나타내기 위한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2브랜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제2브랜드의 제2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3영역을 포함하는 제2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다른 이용자들이 검색한 브랜드들의 검색 빈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특정 주기 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제1시간 구간 내 각 이용자가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시각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시각들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들을 확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시간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시간 구간 내 상기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들의 검색 빈도를 확인하는 단계; 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제1시간 구간은 현재 시각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전부터 상기 현재 시각까지의 시간 구간을 나타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시간 구간은 상기 제1시간 구간 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상기 이용자들의 연령 및 상기 이용자들의 성별 별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제1브랜드와 다른 브랜드들과 관련된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은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제1브랜드와 다른 브랜드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순서로 표시할 수 있고, 우선 순위는 상기 다른 브랜드들에 대한 아이템들의 판매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제1브랜드와 다른 제2브랜드에 대한 아이템들을 검색하는 요청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브랜드에 대한 아이템들을 제1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은 상기 제1페이지에 포함된 제2인터페이스 에 의해 제1페이지에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와 연관된 브랜드의 목록을 관리 및 업데이트하고 이들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선호하는 브랜드를 추가 이용자의 입력 절차 없이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와 연관된 브랜드를 관리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이용자들의 니즈와 유행 및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용자의 니즈와 유행에 빠른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기간 및 제2기간을 설정하여 이용자들의 검색량을 브랜드 별로 파악함으로써 구매하려는 이용자들의 니즈와 수요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고, 브랜드 간의 연관 관계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우선 순위에 따라 서비스의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아이템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함으로써 이용자들로부터 다른 브랜드의 구매의 유도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정보 및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정보, 아이템에 대한 정보 및 아이템들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생성 및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상품 상세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생성, 업데이트 및 우선순위 결정을 수행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병렬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는 도시된 구성요소들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트랜시버(120), 및 메모리(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피드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들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상품은 특정 아이템을 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와 관련된 서비스에서 아이템을 이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가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경우,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1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나타내기 위한 제2영역 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2브랜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제2브랜드의 제2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3영역을 포함하는 제2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트랜시버(1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제1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트랜시버(120)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 또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다른 장치로 송신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소정의 저장 공간에 구현된 구성으로,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이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필드 또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가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데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의 실행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130)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정보 및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검색 결과 페이지(200)의 예시를 나타낸다. 검색 결과 페이지(200)는 서비스의 이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아이템을 검색한 결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일 수 있다. 검색 결과 페이지(200)는 서비스의 이용자가 검색 결과에 노출된 아이템 리스트 중 원하는 아이템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 결과 페이지(200)는 이하에서 제1페이지(200)로 호칭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페이지(200)는 서비스의 이용자 아이템을 검색하기 위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서비스의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에 포함된 브랜드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의 목록을 표시하는 제1영역(201), 서비스의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 결과의 아이템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제2영역(2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를 분석한다.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명칭, 아이템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신발, 세탁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검색어는 이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아이템의 브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검색어는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수신한 검색어를 기반으로 관련된 브랜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 전반에서 전자 장치는 검색어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를 서비스 이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아이템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검색어로부터 이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아이템의 브랜드인 제1브랜드(예를 들어, 도 2의 'XXX')를 확인한다. 전자 장치는 제1브랜드를 포함하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들)를 확인한다. 전자 장치는 확인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브랜드(들)을 실시예들에 따른 제1영역(201)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제1브랜드를 포함하는 리스트로, 제1브랜드와 연관된 브랜드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 한편, 제1브랜드를 포함하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하나일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브랜드와 연관된 아이템 카테고리가 하나가 아닌 복수 개일 경우(즉, 제1브랜드가 신발, 가방, 의류에 대한 출처표시일 경우), 아이템 별로 연관 브랜드 리스트가 복수 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이용자가 함께 검색하는 아이템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제1브랜드와 연관된 다른 브랜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브랜드에 대한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신발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제1브랜드와 연관된 브랜드들을 포함하는 제1연관 브랜드 리스트, 가방 카테고리와 관련하여 제1브랜드와 연관된 브랜드들을 포함하는 제2연관 브랜드 리스트 등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제1브랜드에 대한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모든 아이템 카테고리를 포함하여 연관된 브랜드(들)을 포함하도록 하나의 리스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브랜드에 대한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신발 카테고리, 가방 카테고리, 의류 카테고리 등과 모두 관련하여 제1브랜드와 연관된 브랜드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리스트일 수 있다.
한편, 제1브랜드를 포함하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서비스의 이용자의 분류 별로 별도로 관리 및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서비스의 이용자의 연령 별로 별도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전자 장치는 연령 별로 다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브랜드를 포함하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20대의 서비스 이용자들의 검색 이력 또는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리스트 내 브랜드(들)을 추가 또는 삭제하도록 업데이트되는 제1연관 브랜드 리스트, 30대의 서비스 이용자들의 검색 이력 또는 구매 이력에 기초하여 리스트 내 브랜드(들)을 추가 또는 삭제하도록 업데이트되는 제2연관 브랜드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서비스의 이용자의 성별로 별도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전자 장치는 성별로 다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서비스의 이용자들(또는 특정 집단의 서비스의 이용자들)의 검색 이력, 검색의 빈도수, 검색 시각 및 검색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영역(201)은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1브랜드와 연관된 브랜드들을 포함하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의 목록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영역(201)은 연관 브랜드 리스트 내의 각 브랜드마다 세부 인터페이스(201a)를 포함할 수 있다. 세부 인터페이스(201a)는 해당 브랜드로 전자 장치가 검색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202)에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의 이용자가 제1영역(201)에 표시된 제2브랜드에 대한 세부 인터페이스(201a)를 클릭하면 전자 장치는 제2브랜드를 검색어로 포함하여 복수의 아이템들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제2영역(202)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202)은 서비스의 이용자가 검색한 결과에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표시한다. 제2영역(202)은 각 아이템에 대한 이미지 또는 비디오, 아이템의 명칭, 아이템의 리뷰 정보, 아이템의 가격 정보, 아이템의 배송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용자가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을 요청하였으나, 전자 장치가 검색어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이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 결과가 없는 경우, 실시예들에 다른 전자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 내의 브랜드(들)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202)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 경우, 연관 브랜드 리스트 내의 브랜드들 중 판매량이 가장 높은 브랜드 또는 검색량이 가장 높은 브랜드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브랜드에 대한 아이템들을 제2영역(20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이용자로부터 획득한 검색어를 기반으로 검색된 아이템 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템을 기반으로 검색어에 대응하는 브랜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신발'을 검색어로 입력하여, 이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표시하고, 아이템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브랜드들을 확인하고, 가장 많은 브랜드를 신발에 대응하는 브랜드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이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를 기반으로 유사한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구매한 브랜드를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브랜드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와 연관된 브랜드의 목록을 관리 및 업데이트하고 이들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선호하는 브랜드를 추가 이용자의 입력 절차 없이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와 연관된 브랜드를 관리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이용자들의 니즈와 유행 및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용자의 니즈와 유행에 빠른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정보, 아이템에 대한 정보 및 아이템들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는 도 1 내지 도 2의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검색 결과 페이지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검색 결과 페이지는 도 1 내지 도 2의 제1페이지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페이지는 서비스의 이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 인터페이스(301), 서비스의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따라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제2영역(3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페이지는 서비스의 이용자가 검색 결과에 포함된 아이템들 중 일부 아이템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아이템 특성을 선택하기 위한 필터 인터페이스(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의 이용자가 필터 인터페이스(303)를 클릭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의 이용자가 아이템을 필터링하기 위한 특성(들)을 선택하기 위한 제2페이지(304)를 이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제2페이지(304)는 예를 들어, 이용자의 필터 인터페이스(303)의 클릭에 대응하여 화면의 일 면 또는 일 방향에서 슬라이스(slide)하여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페이지(304)는 검색 결과에 나타난 복수의 아이템들을 브랜드 별로 필터링하기 위한 제3영역(305), 검색 결과에 나타난 복수의 아이템들을 아이템의 특성(예를 들어, 신발 아이템의 경우 신발 사이즈 등)에 따라 필터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역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3영역(305)는, 검색 결과에 나타난 아이템들의 브랜드들을 전부 또는 일부 표시할 수 있다. 제3영역(305)는 검색 결과에 나타난 각 아이템의 브랜드를 서비스의 이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세부 인터페이스(들)(30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305)는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에 포함된 제1브랜드를 포함하는 제1브랜드에 대한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브랜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이용자의 검색어로부터 제1브랜드를 추출한다. 전자 장치는 제1브랜드를 포함하는 제1브랜드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확인한다.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예를 들어, 도 2에서 설명한 연관 브랜드 리스트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이용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이용자의 성별, 이용자의 연령 등)에 기반하여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브랜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연관 브랜드 리스트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선택된 또는 확인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제1브랜드와 다른 브랜드(들)을 제3영역(305)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선택된 또는 확인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다른 브랜드(들) 별로 세부 인터페이스(305a)를 생성하여 제3영역(305)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생성 및 업데이트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로부터 제1브랜드를 확인하고, 제1브랜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관 브랜드 리스트들을 관리, 저장 및 업데이트한다.
전자 장치는 저장하고 있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들을 특정 주기 (예를 들어, 1일, 1시간 등)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검색한 검색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의 이용자들 중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표본 이용자들을 추출한다. 표본 이용자들은 예를 들어, 서비스의 이용자들 전부일 수도 있고, 서비스의 이용자들 중 연령이 20대인 서비스의 이용자들일 수도 있고, 성별이 남성인 서비스의 이용자들일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표본 이용자들이 선택된 경우, 각 이용자 별로 제1브랜드를 검색한 시점과 비슷한 시기에 검색된 다른 브랜드들을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업데이트 시점(현재 시점)으로부터 특정 기간 이전까지의 기간(제1기간, 401)을 설정한다. 제1기간(401)은 아이템의 카테고리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용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선택된 표본 이용자들의 유형 (예를 들어, 성별, 연령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제1기간(401)은 예를 들어, 1달일 수도 있고, 1주일일 수도 있고, 1일일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각 이용자 별로 제1기간(401) 내에서 제1브랜드를 검색한 검색 시점(400)들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각 이용자 별로 확인된 검색 시점(400)들로부터 특정 기간 이전 또는 이후의 시각 이내(즉, 제2기간(402) 이내)에, 해당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들)을 확인한다. 제2기간(402)은 각 검색 시점(400)으로부터 특정 기간 이전 또는 이후의 시각 이내의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제2기간(402)는 각 이용자 별로 다르게 존재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각 이용자 별 검색 시점(400)들로부터 제2기간(402)를 도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1이용자는가 제1기간(401) 이내에 제1브랜드를 검색한 검색 시점(400)들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검색 시점(400)들로부터 도출되는 제2기간(402) 내 제1이용자가 검색한 다른 브랜드(들)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각 이용자 별로 제2기간(402) 내에 확인된 브랜드(들)의 검색 빈도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각 이용자 별로 제2기간(402) 내에 확인된 브랜드(들)의 검색 빈도 수를 확인하여, 특정 빈도 수 또는 특정 빈도율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를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 저장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 내 브랜드(들)을 확인하고,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제2기간(402) 내에 확인된 브랜드(들)의 검색 빈도 수에 의해 새로 도출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새로 도출된 연관 브랜드들 중 기 저장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브랜드(들)을 기 저장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a)는 제1브랜드에 대하여 전자 장치가 제1기간(401) 및 제2기간(402)을 이용하여 제1브랜드에 대한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시킬 다른 브랜드(들)을 확인하는 구간(403)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현재로부터 제1기간(401)을 설정하고, 각 이용자 별로 제1기간(401) 내 제1브랜드 검색 시점(400)들을 확인한 후, 검색 시점(400) 및 제1기간(401)으로부터 제2기간(402)를 도출한다. 여기서, 제2기간(402)는 제1기간(401)에 포함된다. 전자 장치는 제2기간(402)을 도출하면 제2기간(402) 내에서 해당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들)을 확인 및 집계(403)한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제1브랜드를 검색한 시점(400)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전 또는 이후에 해당하는 시점 이내에 제2기간(402)을 산정할 수도 있지만, 제2기간(402)은 제1기간(401)의 범위 내에서 도출(403)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와 연관된 브랜드를 관리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이용자들의 니즈와 유행 및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용자의 니즈와 유행에 빠른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기간 및 제2기간을 설정하여 이용자들의 검색량을 브랜드 별로 파악함으로써 구매하려는 이용자들의 니즈와 수요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고, 브랜드 간의 연관 관계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상세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상세 페이지(500)를 나타낸다. 아이템 상세 페이지는 예를 들어 제3페이지(500)로 호칭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3페이지(50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제2영역(202, 302)에 표시된 각 아이템을 이용자가 클릭함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3페이지(500)는 예를 들어, 아이템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페이지(500)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이미지 또는 비디오, 아이템의 리뷰 정보, 아이템의 브랜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페이지(500)는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하기 인터페이스, 아이템을 장바구니 리스트에 보관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페이지(500)는 해당 아이템의 브랜드에 대한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제4영역(501) 및 해당 아이템의 브랜드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5영역(50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영역(501)은 해당 아이템의 브랜드를 포함하는 다른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제5영역(502)는 해당 아이템의 브랜드를 포함하는, 해당 브랜드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의 목록을 표시한다. 제5영역(502)에 포함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또는 생성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제5영역(502)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 내에 포함된 브랜드(들) 별로 구성된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이용자가 클릭 시 해당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브랜드를 검색어로 검색되는 결과를 표시하는 제1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생성, 업데이트 및 우선순위 결정을 수행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생성 및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제1페이지 내지 제3페이지에 표시하는 과정에서, 브랜드들을 표시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600은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600)를 나타내며,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에 포함된 제1브랜드(600a)는 'XXX'라고 가정한다. 제1브랜드(600a)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600)를 참조하면,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YYY', 'ZZZ' 등 복수 개의 브랜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관 브랜드 리스트(60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동작(들)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및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확인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600) 내에서, 제1브랜드(600a)를 제외한 나머지 브랜드들을 우선순위(priority)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우선순위 순서대로 정렬된 다른 브랜드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브랜드(600b)들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선택한 일부 또는 전부의 브랜드(600b)를 이용자의 단말 장치에 렌더링되는 제1페이지 내지 제3페이지의 영역들(602)(예를 들어, 도 2의 제1영역(201), 도 3의 제3영역(305), 도 5의 제5영역(502) 등)에 순서대로 또는 무작위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우선순위는 제1브랜드(600a)와의 연관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는 각 이용자가 제1브랜드(600a)를 검색한 시점으로부터 도출된 특정 기간(예를 들어, 도 4의 제2기간) 이내 점색된 브랜드들의 검색 빈도 수 (또는 검색 빈도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각 이용자 별로 제2기간 내에 다수 검색된 브랜드는 제1브랜드와 연관성이 높으므로 해당 브랜드는 우선 순위가 높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우선 순위에 따라 서비스의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아이템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함으로써 이용자들로부터 다른 브랜드의 구매의 유도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는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내에 포함되며,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은 도 7의 700 단계 내지 70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700 단계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검색어는, 이용자가 구매하기 원하는 아이템의 카테고리, 아이템의 명칭, 아이템의 브랜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701 단계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검색어가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경우,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제1브랜드를 검색한 다른 이용자들이 검색한 브랜드들의 검색 빈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특정 주기 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제1시간 구간 내 각 이용자가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시각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시각들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들을 확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시간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시간 구간 내 상기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들의 검색 빈도를 확인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생성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상기 이용자들의 연령 및 이용자들의 성별 별로 다르게 생성될 수도 있고, 다르게 저장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시간 구간은 현재 시각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전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시간 구간을 나타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2시간 구간은 제1시간 구간 내 포함될 수 있다.
702 단계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검색어에 대응하는 제1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나타내기 위한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검색어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제1영역에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제1브랜드와 다른 브랜드들과 관련된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제1브랜드와 다른 브랜드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순서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들에 따른 우선 순위는 도 6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브랜드들에 대한 검색 빈도 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은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제1브랜드와 다른 제2브랜드에 대한 아이템들을 검색하는 요청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브랜드에 대한 아이템들을 제1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은 상기 제1페이지에 포함된 제2인터페이스에 의해 제1페이지에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703 단계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2브랜드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제2브랜드의 제2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3영역을 포함하는 제2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이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2)

  1. 전자 장치에서 검색어와 관련된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가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경우,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들을 나타내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브랜드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제1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1영역 및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나타내기 위한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제1브랜드와 다른 제2브랜드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브랜드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제2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2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다른 이용자들을 확인하고, 각 이용자가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 영역 내에서 검색한 검색어들을 확인하고, 각 이용자가 검색한 상기 검색어들 중 특정 빈도율 이상인 검색어들과 관련된 연관 브랜드들을 추가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연관 브랜드들은 상기 다른 이용자들의 검색 빈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순서로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되는,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특정 주기마다 업데이트되는,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특정 주기마다 도출되는 제2연관 브랜드 리스트 및 기 저장된 제1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1연관 브랜드 리스트 내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를 추가 또는 삭제함으로써 업데이트되는,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제1시간 구간 내 각 이용자가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시각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시각들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들을 확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시간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시간 구간 내 상기 이용자가 검색한 브랜드들의 검색 빈도를 확인하는 단계; 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 구간은 현재 시각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전부터 상기 현재 시각까지의 시간 구간을 나타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시간 구간은 상기 제1시간 구간 내 포함되는,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상기 이용자들의 연령 및 상기 이용자들의 성별에 기초하여 가변적으로 생성되는,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제1브랜드와 다른 브랜드들과 관련된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제1브랜드와 다른 제2브랜드에 대한 아이템들을 검색하는 요청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2브랜드에 대한 아이템들을 제1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페이지에 포함된 제2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제1페이지에 표시될지 여부가 결정되는,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11. 아이템 브랜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어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어가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경우,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를 나타내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확인하고, 및 상기 제1브랜드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제1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1영역 및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나타내기 위한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고, 및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제1브랜드와 다른 제2브랜드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브랜드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제2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2페이지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다른 이용자들을 확인하고, 각 이용자가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 영역 내에서 검색한 검색어들을 확인하고, 각 이용자가 검색한 상기 검색어들 중 특정 빈도율 이상인 검색어들과 관련된 연관 브랜드들을 추가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연관 브랜드들은 상기 다른 이용자들의 검색 빈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순서로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되는,
    전자 장치.
  12.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가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경우, 상기 제1브랜드와 연관된 연관 브랜드를 나타내는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브랜드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제1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1영역 및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를 나타내기 위한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제1브랜드와 다른 제2브랜드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브랜드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제2아이템 리스트를 나타내는 제2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는,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다른 이용자들을 확인하고, 각 이용자가 상기 제1브랜드를 검색한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 영역 내에서 검색한 검색어들을 확인하고, 각 이용자가 검색한 상기 검색어들 중 특정 빈도율 이상인 검색어들과 관련된 연관 브랜드들을 추가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연관 브랜드 리스트에 포함된 연관 브랜드들은 상기 다른 이용자들의 검색 빈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순서로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0104508A 2021-08-09 2021-08-09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3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508A KR102373486B1 (ko) 2021-08-09 2021-08-09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21/011031 WO2023017886A1 (ko) 2021-08-09 2021-08-19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TW110136809A TW202307694A (zh) 2021-08-09 2021-10-04 用於提供品牌資訊之方法及其設備
US17/562,646 US20230040687A1 (en) 2021-08-09 2021-12-27 Method for Providing Brand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220028866A KR20230022785A (ko) 2021-08-09 2022-03-07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508A KR102373486B1 (ko) 2021-08-09 2021-08-09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866A Division KR20230022785A (ko) 2021-08-09 2022-03-07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486B1 true KR102373486B1 (ko) 2022-03-14

Family

ID=808239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508A KR102373486B1 (ko) 2021-08-09 2021-08-09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20028866A KR20230022785A (ko) 2021-08-09 2022-03-07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866A KR20230022785A (ko) 2021-08-09 2022-03-07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40687A1 (ko)
KR (2) KR102373486B1 (ko)
TW (1) TW202307694A (ko)
WO (1) WO202301788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209A (ko) * 2013-01-25 2014-08-05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상품 브랜딩을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11225A (ko) * 2013-03-08 2014-09-18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전자상거래 추천 분석 시스템 및 추천 분석 방법
KR20190114703A (ko) * 2018-03-29 2019-10-10 네이버 주식회사 상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20200139561A (ko) *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마카롱소프트 복수 온라인 쇼핑몰 상품 등록을 위한 상품정보 가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2162B1 (en) * 2010-02-02 2017-12-12 Amazon Technologies, Inc. Navigating a taxonomy using search queries
US9996626B1 (en) * 2011-10-26 2018-06-12 Richrelevance, Inc. Selection of content item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search results
US9875497B1 (en) * 2012-08-06 2018-01-23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brand information via an offering service
KR101735013B1 (ko) * 2015-07-28 2017-05-12 쿠팡 주식회사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970769B2 (en) * 2017-03-02 2021-04-06 Overstock.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website searching with user pathing
US11215500B2 (en) * 2019-06-01 2022-01-04 Apple Inc. Environmental and aggregate acoustic dosimetry
US11216500B1 (en) * 2019-06-27 2022-01-04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sioning mailbox views
CN111177551B (zh) * 2019-12-27 2021-04-1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确定搜索结果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20220067052A1 (en) * 2020-09-01 2022-03-03 Roblox Corporation Providing dynamically customized rankings of game items
US20230010334A1 (en) * 2021-07-08 2023-01-12 The Literal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search engine access point enhanced for retailer brand suggested listing navigation
JP2023019743A (ja) * 2021-07-29 2023-02-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209A (ko) * 2013-01-25 2014-08-05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상품 브랜딩을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11225A (ko) * 2013-03-08 2014-09-18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전자상거래 추천 분석 시스템 및 추천 분석 방법
KR20190114703A (ko) * 2018-03-29 2019-10-10 네이버 주식회사 상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20200139561A (ko) *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마카롱소프트 복수 온라인 쇼핑몰 상품 등록을 위한 상품정보 가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7886A1 (ko) 2023-02-16
TW202307694A (zh) 2023-02-16
KR20230022785A (ko) 2023-02-16
US20230040687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82350A1 (en) Generating display information using a dynamically selected strategy
US9076179B2 (en) Recommendation system with user interface for exposing downstream effects of paricular rating actions
US201400675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products and services
US11734736B2 (en) Building containers of uncategorized items
US9727906B1 (en) Generating item clusters based on aggregated search history data
WO2013161105A1 (ja) タグ管理装置、タグ管理方法、タグ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180068370A1 (en) Product part picture picker
TW202236180A (zh) 提供產品品牌資訊之方法及其電子設備
US20220358555A1 (en) Method for Providing Item Information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US20140136364A1 (en) Configuring and displaying interaction information within user interfaces
KR20140073256A (ko)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4274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73486B1 (ko)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3659B1 (ko)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11295364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tching products across merchants and updating registries based on other users' actions
US9652792B1 (en) Dynamically generating resource tracking codes
KR20170013715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22655B1 (ko) 검색어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TWI841179B (zh) 用於提供搜尋關鍵字資訊之方法及其設備
TW202316352A (zh) 管理物品捆绑資訊之方法及其設備
KR20230138728A (ko) 아이템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57866A (ko) 아이템 피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