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209A - 상품 브랜딩을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품 브랜딩을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209A
KR20140096209A KR1020130008432A KR20130008432A KR20140096209A KR 20140096209 A KR20140096209 A KR 20140096209A KR 1020130008432 A KR1020130008432 A KR 1020130008432A KR 20130008432 A KR20130008432 A KR 20130008432A KR 20140096209 A KR20140096209 A KR 20140096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information
branding
product
belo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8109B1 (ko
Inventor
홍재영
김학순
강미리
김정우
베상준
심준혁
Original Assignee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1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06Q30/0258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상품 브랜딩을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품 서비스 방법은,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질의에 대응되는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속 카테고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브랜딩(branding)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브랜딩 정보는 상기 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소속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복수의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브랜딩을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ERVICE METHOD AND SERVICE SYSTEM FOR MERCHANDISE BRAND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품 리스팅 상에서 상품 기반의 고유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상품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의 대중화와 더불어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한 상품 및 재화 서비스의 유통 판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쇼핑몰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각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사용자의 접근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몰인몰(mall in mall) 방식으로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몰인몰 방식은 소정의 중개 쇼핑몰을 통해 사용자가 각 인터넷 쇼핑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60008호(등록일 2004년 11월 25일)에는 상품 등록자, 상기 상품 등록자가 등록하는 상품, 및 상기 등록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와 관련된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온라인 쇼핑 검색 서비스는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검색 목록(search listing)을 제공하게 되며, 이때 서비스 페이지 상에 구현된 시각적인 요인이 사용자의 구매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품 리스팅 상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상품을 보여주기 위한 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컬렉션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상품 리스팅 상에서 상품 기반의 고유한 특성(unique feature)을 제공할 수 있는 상품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품 검색 결과를 통해 브랜드 정체성(brand identity)을 표현할 수 있는 상품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서비스 운영자가 능동적으로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상품의 전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상품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서비스 방법은,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질의에 대응되는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속 카테고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브랜딩(branding)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브랜딩 정보는 상기 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소속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복수의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선택된 대상 카테고리를 상기 소속 카테고리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단계는, 대상 카테고리 별로 적어도 하나의 연관 키워드를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상기 연관 키워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상 카테고리를 상기 소속 카테고리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최상위 카테고리인 대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대상 카테고리 내에서 상기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품 서비스 방법은, 상기 상품 정보가 등록된 광고주 각각에 대하여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최상위 카테고리인 대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대상 카테고리 별로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순위 정보에 따라 자동 선정된 상품 이미지, 및 상기 광고주에 의해 선택 또는 입력된 상품 이미지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이미지의 배치 타입인 뷰 모드(view mode)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의 타입에 따라 상기 브랜딩 정보의 소재 개수 및 소재 별 배치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질의의 타입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대상 카테고리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로 구분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리스팅 페이지(search listing page) 상에 상기 브랜딩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브랜딩 정보의 소재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영역, 상기 소재 목록에서 특정 소재를 선택하기 위한 소재 선택 UI(user interface), 및 상기 소재 선택 UI를 통해 선택된 소재의 브랜딩 정보를 표시하는 뷰 모드 영역을 포함한 브랜딩 영역을 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질의에 대응되는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소속 카테고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브랜딩 정보는 상기 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소속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복수의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복수의 이미지가 주는 룩앤필(look and feel) 및 텍스트(text) 영역을 통해 기존 상품 리스팅 상에서 볼 수 없었던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리스팅 상에서 상품 기반의 고유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특화된 UI의 별도 컬렉션을 구성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시각적 요소를 통해 브랜딩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 광고 플랫폼, 퍼블리셔 및 사용자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 리스팅 상에서 광고주의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상품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의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의 브랜딩 정보를 노출하는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 리스팅 상에서 광고주의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상품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 광고 플랫폼, 퍼블리셔 및 사용자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광고주(110), 광고 플랫폼(120), 퍼블리셔(130) 및 사용자(140)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광고주(110)와 사용자(140)는 실질적으로는 광고주(110)나 사용자(140)가 이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광고주(110)가 이용하는 단말기, 광고 플랫폼(120), 퍼블리셔(130) 및 사용자(140)가 이용하는 단말기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20)은 광고주(110)의 광고에 대한 입찰, 광고와 검색어간의 매칭, 광고나 광고주의 정렬, 퍼블리셔(130)로의 광고 제공, 광고의 노출에 따른 과금 및 퍼블리셔(130)로의 광고 수익 배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20)의 일반적인 기술적 사항들, 즉,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검색 광고 및/또는 배너 광고 플랫폼에 관한 사항들과 같이 종래기술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퍼블리셔"라는 용어는 "사이트"와 같이 매체를 의미하는 용어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사이트라는 용어를 사용한 설명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과 같이, 일반적인 PC의 웹 사이트 접속이 아닌 환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역으로, "사이트"라는 용어는 퍼블리싱 사이트 또는 상술한 퍼블리셔라는 용어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사이트는 퍼블리셔(130)에 나타난 개별 퍼블리셔들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사이트"라는 용어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모든 종류의 웹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하나의 웹페이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퍼블리셔"라는 용어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의 "노출"은 사이트(퍼블리셔)를 통해 그 광고주와 연관된 텍스트, 이미지, 소리, 동영상, 하이퍼링크 등의 홍보성 컨텐츠가 해당 사이트의 방문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광고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사이트 방문자)가 제공된 텍스트, 이미지 등의 홍보성 컨텐츠에 대해 마우스 클릭, 스크린 터치 등의 반응을 보임으로써, 광고주가 홍보성 컨텐츠의 전달을 통해 달성하고자 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가 유도한 상황은 일례로, 광고주와 연관된 페이지를 광고를 선택한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에게 자신의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고, 사이트를 통해 사이트가 포함하는 페이지들을 제공하거나 입력되는 검색어를 통해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리셔(130)는 광고 플랫폼(120)으로 페이지들을 통해 노출하기 위한 광고들을 전달받아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가 입력한 검색어를 광고 플랫폼(120)으로 전달할 수 있고, 광고 플랫폼(120)으로부터 검색어에 대한 광고를 전달받아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가 광고를 직접 제공 받는 경로(화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온라인 환경에서 광고들은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플랫폼(12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광고 플랫폼들(제1 광고 플랫폼, 제2 광고 플랫폼, ···) 각각은 퍼블리셔(130)가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들(제1 퍼블리셔, 제2 퍼블리셔, ···)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퍼블리셔를 통해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들 각각은 사용자(140)에게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를 통해 상술한 광고의 노출을 포함하여 통합검색, 키워드 검색, 쇼핑몰 중개, 블로그 서비스 등과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퍼블리셔(130)는 광고 플랫폼(120)에서 제공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주체일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140)는 퍼블리셔(130)의 페이지 뷰를 통해 퍼블리셔(130) 상에 노출된 광고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쇼핑을 위한 상품 검색 모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따라 노출되는 카테고리 단위의 몰(mall) 별 상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 리스팅 상에서 광고주의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상품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서비스 시스템(200)은 기존 상품 리스팅 상에서 볼 수 없었던 광고주의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특화된 영역(이하, '브랜딩 영역'이라 칭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대하여 해당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이미지를 중심으로 소재를 구성하여 브랜딩 영역에 노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품 서비스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록부(210), 판단부(220), 및 제공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등록부(210)는 광고주의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등록 및 유지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정보는 상품 이미지, 상품 가격, 상품 설명, 링크 정보, 광고주 정보, 카테고리 등 상품과 관련되어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모든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품 등록 시 해당 상품이 속하는 카테고리가 광고주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테고리'는 광고주의 상품을 동일 또는 유사한 성질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단위로서, 예를 들어 서비스 운영자에 의해 표 1과 같은 뎁스(depth)의 카테고리가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등록부(210)는 카테고리 단위 별로 적어도 하나의 연관 키워드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예로, 등록부(210)는 카테고리 별 키워드 연관 관계를 정의한 사전을 유지하는 것으로, 표 2와 같이 최상위 카테고리인 대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대상 카테고리인 중분류와 소분류 단위로 연관 키워드를 각각 등록할 수 있다. 상기한 카테고리 별 키워드 연관 관계를 기반으로 카테고리 단위의 상품 리스팅을 집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서술하기로 한다.
Figure pat00002
특히, 등록부(210)는 상품 정보를 등록한 광고주 각각에 대하여 브랜딩 영역에 노출하고자 하는 브랜딩 정보를 등록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브랜딩 정보'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를 통해 광고주가 운영하는 몰(mall)을 브랜딩 하기 위한 룩북(look book) 형태의 서비스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브랜딩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 이미지, 및 몰 이름이나 광고 멘트 등 몰과 관련된 텍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브랜딩 정보는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집행되는 것으로, 카테고리 단위 별로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으로 소재가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등록부(210)는 상품 정보에 대한 최상위 카테고리인 대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대상 카테고리인 중분류와 소분류 단위로 광고주의 브랜딩 정보를 각각 등록할 수 있다.
도 3은 광고주의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랜딩 정보 입력 화면은 새로운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거나 기 등록된 브랜딩 정보를 수정하고자 하는 환경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당 소재를 노출할 대상 회차를 선택하기 위한 노출 회차 선택 메뉴(301)와, 대상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카테고리 선택 메뉴(302)와, 해당 소재에 대한 배치 타입인 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뷰 모드 선택 메뉴(3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정 건의 경우 화면 상단에 해당 건의 등록 번호와 카테고리 등 간략 정보(304)를 노출할 수 있으며, 신규 등록 건의 경우에는 해당 영역을 노출하지 않는다. 또한, 노출 회차 선택 메뉴(301), 카테고리 선택 메뉴(302), 및 뷰 모드 선택 메뉴(303)에는 수정 건의 경우 사전에 설정된 정보가 노출되거나 메뉴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노출될 수 있으며, 신규 등록 건의 경우 디폴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 선택 메뉴(302) 실행 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단위로 해당 카테고리 및 하위 카테고리를 조회하여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 조회 레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랜딩 정보의 소재를 노출하기 위한 뷰 모드에 대하여 여러 가지 타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뷰 모드 선택 메뉴(303)에서는 소재를 구성하는 상품 이미지의 개수나 배치 형태에 따라 썸네일형, 타워형, 모자이크형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뷰 모드 선택 메뉴(303)를 통해 한 가지 뷰 모드를 선택 시 해당 뷰 모드에 대한 편집 레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뷰 모드의 편집 레이어를 도시한 예시 화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집 레이어에는 상품 이미지를 지정하기 위한 상품 지정 메뉴(401)와, 몰 명이나 광고 멘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메뉴(402)가 필수 항목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광고주는 각 영역의 상품 지정 메뉴(401)를 이용하여 전시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할 수 있으며, 텍스트 입력 메뉴(402)를 통해 몰의 메인 타이틀과 서브 타이틀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이미지의 경우 기본적으로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품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광고주의 접속 단말에 저장된 로컬 이미지를 불러와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주가 별도로 상품을 등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품 기본 이미지가 자동 선정되어 등록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뷰 모드의 편집 레이어에서는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순위 정보(예컨대, 인기도순, 신상품순 등)에 따라 상품을 자동 추천하기 위한 상품 추천 메뉴(40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브랜딩 정보에 대한 컨텐츠 구성에 공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자동 추천 기능을 구현한 것이다. 예컨대, 광고주가 상품 추천 메뉴(403)를 통해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상품을 인기도 순으로 불러오는 경우 해당 순위에 따른 상품 이미지가 주목도가 높은 공간 순으로 자동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과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주가 자신의 몰에 대한 브랜딩 정보를 카테고리 단위로 등록하되, 상품 정보에 대한 순위 정보에 따라 자동 선정된 상품 이미지, 광고주가 직접 선택 또는 입력한 상품 이미지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소재를 등록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서, 판단부(220)는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대응되는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카테고리 단위의 상품 리스팅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대하여 해당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카테고리 선택 또는 키워드 입력이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해당될 수 있다. 판단부(220)는 상품 정보에 대한 최상위 카테고리인 대분류를 제외한 대상 카테고리, 즉 중분류 단위와 소분류 단위 내에서 질의에 해당되는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판단부(220)는 시스템에 정의된 카테고리 박스에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카테고리가 직접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대상 카테고리를 해당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판단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연관 키워드(이때, 동의어와 유의어를 포함)를 판단한 후, 연관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상 카테고리를 해당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220)는 기 등록된 카테고리-키워드 연관 관계 정의 사전(예컨대, 표 2)을 참조하여 사용자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할 수 있다.
제공부(230)는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대하여 소속 카테고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공부(230)는 쇼핑을 위한 상품 검색 리스팅을 제공하는 것으로, 카테고리 단위를 기반으로 몰 별 상품 서비스를 집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랜딩 정보는 광고주의 운영에 의해 컨텐츠가 구성되나,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 상품으로 소재가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해당 카테고리 관련 질의 결과로 노출되는 것이므로 검색 및 카테고리 리스팅의 서비스 품질을 저해하지 않는다.
도 5는 사용자에 의해 대상 카테고리가 선택되는 경우의 질의 결과 화면(5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사용자로부터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의 질의 결과 화면(600)을 도시한 것이다. 일 예로, 제공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카테고리가 직접 선택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대상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카테고리 박스(510)를 노출할 수 있으며, 해당 질의에 따른 검색 결과로서 카테고리 단위의 몰 별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브랜딩 영역(520)과, 로직 기반의 상품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리스팅 영역(530)을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공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카테고리와 관련된 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천 키워드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추천 키워드 영역(610)과, 추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추천 상품 영역(620)을 노출할 수 있으며, 해당 키워드 검색 결과로서 카테고리 단위의 몰 별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브랜딩 영역(630)과, 로직 기반의 상품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리스팅 영역(640)을 노출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서는 브랜딩 영역(520)(630)이 상품 리스팅 영역(530)(640)의 상단에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페이지의 구성에 따라 브랜딩 영역(520)(630)의 노출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제공부(230)는 질의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대상 카테고리인지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인지에 따라 브랜딩 영역에 노출하고자 하는 소재의 개수 및 소재 별 배치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브랜딩 영역의 소재 개수 및 소재 별 배치 순서는 상품의 시장 흐름이나 각 몰의 신청 순서 등을 고려하여 서비스 운영자에 의해 직접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카테고리 선택에 따른 질의인 경우 서비스 운영자에 의해 해당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에 소재 노출을 신청한 광고주 중 5개의 몰을 선정하고 선정된 몰 리스트의 배치 순서를 각 몰의 신청 순서로 지정할 수 있다. 즉, 5개의 몰 중 해당 노출 회차에 가장 먼저 소재를 등록한 광고주의 브랜딩 정보를 첫 번째 소재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키워드 입력에 따른 질의인 경우 해당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에 소재 노출을 신청한 모든 광고주의 브랜딩 정보를 소재로 하고 해당 리스트의 배치 순서를 랜덤으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카테고리 관련 질의의 타입을 고려하여 브랜딩 영역에 노출하고자 하는 소재의 개수 및 소재 별 배치 순서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브랜딩 영역의 노출 소재 선정에 서비스 운영자가 직접 참여함으로써 로직 기반의 리스팅 외에 서비스 운영자가 능동적으로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상품의 전시 영역을 마련할 수 있으며, 질의 타입에 따른 서비스 결과를 구분하여 제공함으로써 카테고리 단위의 상품 검색 모델에 질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카테고리 단위의 몰 별 상품을 소재로 하는 브랜딩 영역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공부(230)는 서비스 페이지 상에 카테고리 관련 질의 결과로서 브랜딩 영역을 노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랜딩 영역(700)은 브랜딩 정보의 소재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영역(710)과, 목록 표시 영역(710)에서 선택된 소재의 브랜딩 정보를 표시하는 뷰 모드 영역(7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목록 표시 영역(710)에는 소재 목록에 포함된 각 몰 별로 썸네일, 몰 이름, 광고 멘트 등이 간략히 표시될 수 있으며, 소재 목록에서 특정 소재를 선택하기 위한 소재 선택 UI(user interface)가 활성화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목록 표시 영역(810)의 몰 리스트에서 소정 몰(801)에 마우스 오버 시 해당 몰을 상단의 뷰 모드 영역(820)에 소재가 표시된 몰과 동일하게 하이라이트 효과를 적용할 수 있으며, 해당 몰(801)에 마우스 오버된 텍스트 영역의 전체 텍스트를 툴팁(tooltip)으로 노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목록 표시 영역(810)의 몰 리스트에서 소정 몰(801)을 클릭 시 해당 몰(801)의 썸네일과 텍스트 영역에 하이라이트 표시되며 동시에 상단의 뷰 모드 영역(820)에는 새로 선택된 몰의 소재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기존에 선택된 몰은 하이라이트 표시가 해제되고 목록 표시 영역(810) 상의 리스트 번호는 현재 선택된 몰의 번호를 보여줄 수 있다.
제공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몰의 상품을 소재로 한 뷰 모드 영역을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제공부(230)는 브랜딩 정보에 대하여 광고주 별로 사전에 등록된 뷰 모드로 소재를 노출할 수 있으며, 각 광고주 별로 다른 타입의 뷰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공부(230)는 광고주가 뷰 모드를 썸네일형으로 설정한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상품 이미지(901)와 1개의 텍스트 박스(902)를 포함하는 뷰 모드 영역(920)을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공부(230)는 광고주가 뷰 모드를 타워형으로 설정한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상품 이미지(1001)와 1개의 텍스트 박스(1002)를 포함하는 뷰 모드 영역(1020)을 노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공부(230)는 광고주가 뷰 모드를 모자이크형으로 설정한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상품 이미지(1101)와 1개의 텍스트 박스(1102)를 포함하는 뷰 모드 영역(1120)을 노출하거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9개의 상품 이미지(1201)와 1개의 텍스트 박스(1202)를 포함하는 뷰 모드 영역(1220)을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이미지(901)(1001)(1101)(1201) 각각에는 해당 순번에 기 등록된 상품의 이미지를 노출할 수 있으며 텍스트 박스(902)(1002)(1102)(1202)에는 해당 몰의 이름이나 광고 멘트 등의 텍스트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이미지 및 텍스트 박스에 대한 마우스 오버나 클릭 시 해당 몰이나 상품에 대한 인터랙션(예컨대, 상품 정보 툴팁 노출, 하이라이트/언더라인 효과 적용, 몰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로의 이동, 몰 사이트의 상품 페이지로의 이동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제공부(230)는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대하여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하는 특화된 전시 영역인 브랜딩 영역을 통해 해당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이미지로 조합된 룩북 형태의 소재를 각 몰 별로 노출함으로써 단순 로직의 상품 리스팅 상에서 볼 수 없었던 몰 별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한 브랜딩 영역의 뷰 모드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배치 타입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재의 구성이나 서비스 운영 등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상품 서비스 시스템(100)에서는 카테고리 단위의 몰 별 상품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광고주의 브랜딩 정보와 관련된 대상 관리, 입찰 관리, 신청 관리, 노출 관리, 검수/선정, 리포팅, 과금 관리 등을 위하여 추가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 리스팅 상에서 광고주의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상품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서비스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상품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1310)에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광고주의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등록할 수 있다. 광고주는 상품 정보 등록 시 시스템에 정의된 카테고리 박스에서 해당 상품이 속하는 카테고리(예컨대, 여성의류(대분류)>원피스(중분류)>미니원피스(소분류))를 지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카테고리 단위 별로 적어도 하나의 연관 키워드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카테고리 별 키워드 연관 관계를 정의한 사전을 유지하는 것으로, 최상위 카테고리인 대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대상 카테고리인 중분류와 소분류 단위로 연관 키워드를 각각 등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상품 정보를 등록한 광고주 각각에 대하여 브랜딩 영역에 노출하고자 하는 브랜딩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브랜딩 정보는 이미지 기반의 컨텐츠를 통해 광고주가 운영하는 몰을 브랜딩 하기 위한 룩북 형태의 서비스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품 이미지, 및 몰 이름이나 광고 멘트 등 몰과 관련된 텍스트 등이 조합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브랜딩 정보는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집행되는 것으로, 카테고리 단위 별로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으로 소재가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상품 정보에 대한 최상위 카테고리인 대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대상 카테고리인 중분류와 소분류 단위로 광고주의 브랜딩 정보를 각각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상품 정보에 대한 순위 정보에 따라 자동 선정된 상품 이미지, 및 상기 운영자에 의해 선택 또는 입력된 상품 이미지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브랜딩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브랜딩 정보에 대하여 상품 이미지의 배치 타입인 뷰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각 광고주 별로 다른 타입의 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1320)에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대응되는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카테고리 단위의 상품 리스팅을 제공하기 위하여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대하여 해당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상품 정보에 대한 최상위 카테고리인 대분류를 제외한 대상 카테고리, 즉 중분류 단위와 소분류 단위 내에서 질의에 해당되는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시스템에 정의된 카테고리 박스에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카테고리가 직접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대상 카테고리를 해당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기 등록된 카테고리-키워드 연관 관계 정의 사전(예컨대, 표 2)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연관 키워드를 판단한 후, 연관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상 카테고리를 해당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1330)에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대하여 소속 카테고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브랜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쇼핑을 위한 상품 검색 리스팅을 제공하는 것으로, 카테고리 단위를 기반으로 몰 별 상품 서비스를 집행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리스팅 페이지 상에 카테고리 단위의 몰 별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브랜딩 영역을 노출하되, 브랜딩 영역을 로직 기반의 상품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리스팅과 함께 노출할 수 있다. 이때, 브랜딩 영역에는 브랜딩 정보의 소재 목록(예컨대, 몰 리스트)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영역과, 소재 목록에서 특정 소재를 선택하기 위한 소재 선택 UI와, 소재 선택 UI를 통해 선택된 소재의 브랜딩 정보를 표시하는 뷰 모드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질의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대상 카테고리인지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인지에 따라 브랜딩 영역에 노출하고자 하는 소재의 개수 및 소재 별 배치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브랜딩 영역에 노출되는 소재 개수 및 소재 별 배치 순서는 상품의 시장 흐름이나 각 몰의 신청 순서 등을 고려하여 서비스 운영자에 의해 직접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은 카테고리 관련 질의에 대하여 특화된 질의 결과 전시 영역인 브랜딩 영역을 통해 해당 질의의 소속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 이미지로 조합된 룩북 형태의 소재를 각 몰 별로 노출할 수 있다.
상기한 상품 서비스 방법은 도 2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한 상품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이나 기능을 바탕으로 각 과정의 수행 순서가 변경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리스팅 상에서 상품 기반의 고유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특화된 UI의 별도 컬렉션을 구성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시각적 요소를 통해 브랜딩을 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상품 서비스 시스템
210: 등록부
220: 판단부
230: 제공부

Claims (22)

  1.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질의에 대응되는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속 카테고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브랜딩(branding)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브랜딩 정보는 상기 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소속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복수의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선택된 대상 카테고리를 상기 소속 카테고리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단계는,
    대상 카테고리 별로 적어도 하나의 연관 키워드를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상기 연관 키워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상 카테고리를 상기 소속 카테고리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최상위 카테고리인 대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대상 카테고리 내에서 상기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가 등록된 광고주 각각에 대하여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최상위 카테고리인 대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대상 카테고리 별로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순위 정보에 따라 자동 선정된 상품 이미지, 및 상기 광고주에 의해 선택 또는 입력된 상품 이미지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이미지의 배치 타입인 뷰 모드(view mode)를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의 타입에 따라 상기 브랜딩 정보의 소재 개수 및 소재 별 배치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의 타입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대상 카테고리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로 구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리스팅 페이지(search listing page) 상에 상기 브랜딩 정보를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브랜딩 정보의 소재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영역, 상기 소재 목록에서 특정 소재를 선택하기 위한 소재 선택 UI(user interface), 및 상기 소재 선택 UI를 통해 선택된 소재의 브랜딩 정보를 표시하는 뷰 모드 영역을 포함한 브랜딩 영역을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방법.
  13.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질의에 대응되는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소속 카테고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랜딩 정보는 상기 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소속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복수의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선택된 대상 카테고리를 상기 소속 카테고리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대상 카테고리 별로 적어도 하나의 연관 키워드를 등록하고,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와 매칭되는 상기 연관 키워드를 판단한 후, 상기 연관 키워드에 대응되는 대상 카테고리를 상기 소속 카테고리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상품 정보가 등록된 광고주 각각에 대하여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최상위 카테고리인 대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대상 카테고리 별로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순위 정보에 따라 자동 선정된 상품 이미지, 및 상기 광고주에 의해 선택 또는 입력된 상품 이미지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조합하여 상기 브랜딩 정보를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상품 이미지의 배치 타입인 뷰 모드를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시스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질의의 타입에 따라 상기 브랜딩 정보의 소재 개수 및 소재 별 배치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시스템.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질의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리스팅 페이지 상에 상기 브랜딩 정보를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서비스 시스템.
  22. 컴퓨터 시스템이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품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상품 정보를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질의에 대응되는 소속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속 카테고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브랜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브랜딩 정보는 상기 상품 정보 중에서 상기 소속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복수의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30008432A 2013-01-25 2013-01-25 상품 브랜딩을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518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32A KR101518109B1 (ko) 2013-01-25 2013-01-25 상품 브랜딩을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32A KR101518109B1 (ko) 2013-01-25 2013-01-25 상품 브랜딩을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209A true KR20140096209A (ko) 2014-08-05
KR101518109B1 KR101518109B1 (ko) 2015-05-07

Family

ID=5174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432A KR101518109B1 (ko) 2013-01-25 2013-01-25 상품 브랜딩을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1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55B1 (ko) * 2015-02-27 2016-07-27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44438B1 (ko) * 2021-03-05 2021-12-29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373486B1 (ko) * 2021-08-09 2022-03-14 쿠팡 주식회사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980A (ko) * 2022-06-22 2023-12-29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621514B1 (ko) * 2023-05-17 2024-01-10 주식회사 아이지넷 보험상품 약관 키워드 분석 및 이를 활용한 보험상품 분석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55B1 (ko) * 2015-02-27 2016-07-27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44438B1 (ko) * 2021-03-05 2021-12-29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WO2022186416A1 (ko) * 2021-03-05 2022-09-09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373486B1 (ko) * 2021-08-09 2022-03-14 쿠팡 주식회사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23017886A1 (ko) * 2021-08-09 2023-02-16 쿠팡 주식회사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109B1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0415B2 (ja) ドキュメントデータ表示処理方法、ドキュメントデータ表示処理システム及びドキュメントデータ表示処理用の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ム
US20130054335A1 (en) Mobile platform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deals
JP2018198079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エンジンのユーザにコンテンツを方向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2499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warding users to merchant websites
US20120260158A1 (en) Enhanced World Wide Web-Based Communications
US20190384616A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changing mobile commerce elements within native application instantly without code build
US10169374B2 (en) Image searches using image frame context
KR101518109B1 (ko) 상품 브랜딩을 위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10218376A (ja) ユーザ関心ジャンル分析システム
US9652543B2 (en) Task-oriented presentation of auxiliary content to increase user interaction performance
CN111444405A (zh) 用于搜索中的用户交互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KR20170067976A (ko) 쇼핑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037540B1 (ja) 検索システム、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76095B1 (ko) 컴포넌트 단위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123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cing and Presenting Advertisements
KR10176436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60048875A1 (en) Entity based search advertising within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US8725558B1 (en) Intra-site product advertising system
KR102059480B1 (ko) 사용자의 매체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30079255A (ko) 스마트온 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모바일 브로슈어 저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10628848B2 (en) Entity sponsorship within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Gold The digital advertising guide
Herrera-Collins et al. The Effect of Shop Design, Digital Signage and Digital Spirit on the Online Shopping Experience of Retail Businesses
KR102002615B1 (ko) 사용자의 매체를 통해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US20230377029A1 (en) Short-form video usage within a frame widget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