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228B1 -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 - Google Patents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228B1
KR102464228B1 KR1020190063150A KR20190063150A KR102464228B1 KR 102464228 B1 KR102464228 B1 KR 102464228B1 KR 1020190063150 A KR1020190063150 A KR 1020190063150A KR 20190063150 A KR20190063150 A KR 20190063150A KR 102464228 B1 KR102464228 B1 KR 10246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point
sales
points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201A (ko
Inventor
오영국
Original Assignee
오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국 filed Critical 오영국
Priority to KR102019006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2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위회원과 하위회원 사이의 분배 격차를 최소화하고, 상위회원에 의한 포인트 독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마케팅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서버에 구비된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회원 단말기를 통해 구매하거나 매장 내의 제품을 구매한 후, 서버에 구매정보를 제공하고 회원번호를 부여받는 회원가입 단계와; 새로운 소비자에게 쇼핑몰의 제품을 소개하여 소비자가 상기 쇼핑몰 또는 매장의 제품을 구매하고 하위의 회원번호를 부여받도록 하는 회원소개 단계와; 하위회원들이 구매한 제품과 회원 자신이 구매한 제품의 가격에 따른 쇼핑몰로부터 포인트를 제공받는 포인트수수 단계와; 한달 동안의 매출액에 따라 제공받은 포인트 중 판매 수수료와 교육 수수료 및 센터 포인트를 공제하고 나머지 포인트를 상위회원에게 올려주는 포인트올림 단계와; 하위회원들로부터 올려진 포인트를 정해진 비율에 따라 상위회원들에게 분배하는 포인트분배 단계와; 상기 포인트올림단계의 2차 기준금액을 기준으로 각 회원의 포인트를 정산하고 세액을 공제하여 실수령액을 결정하는 실수령액을 결정하는 포인트정산 단계;를 포함하고,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이 한 줄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5 DIMENSIONAL MARKETING METHOD OF ONE LINE TYPE}
본 발명은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이 한 줄로 계속 연결되어 연속된 다수의 하위회원의 매출에 따른 올림금액이 매출금액에 포함되고, 총 매출금액 중 일부가 다수의 상위회원에게 올려짐으로써, 상위회원과 하위회원 사이의 분배 격차를 최소화하고, 상위회원에 의한 포인트 독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든 회원들이 자신들의 제품을 온라인 쇼핑몰에 입점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한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케팅(Marketing)이라 함은, 생산자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유통시키는 것과 관련된 모든 경영 활동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판매 행위보다 더 넓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케팅은 그 기능에 따라, 제품 영역, 시장 거래 영역, 판매 영역, 판매 촉진 영역, 종합 조정 영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품 영역에는 신제품 연구 및 개발, 제품의 품질 향상, 새로운 용도의 개발 업무 등이 포함되고, 시장 거래 영역에는 시장 조사, 수요 예측, 판매경로의 개척, 시장별 가격 결정 업무 등이 포함된다.
상기 판매 영역에는 판매원의 관리, 판매활동의 가동, 판매사무의 관리 등의 업무가 포함되고, 판매 촉진 영역에는 광고, 선전, 판매촉진 전략 수립 등의 업무가 포함된다.
상기 종합 조정 영역에는 위 활동 전체에 관련된 정책, 계획 설정, 조직 구성, 예산 관리 등의 업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판매 영역에서 종래의 전통적인 판매 방식은, 생산자가 상품을 생산하고 여러 유통 단계를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이하, '1차원 마케팅'이라 한다).
상기한 판매 방식에 의하면, 생산자에 의해 생산된 상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많은 유통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각 유통 단계를 거칠 때마다 상품의 가격이 점점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1차원 마케팅의 대안으로, 대형의 공장형 마트나 창고형 마트에 대량의 제품을 쌓아놓고 판매하는 방식이 있다(이하, '2차원 마케팅'이라 한다).
상기 2차원 마케팅 방식에 의하면, 중간 유통 단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을 구입할 수가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이러한 공장형 마트의 매출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에 있다.
상기 전자 상거래는, 판매자가 인터넷에 의해 접속되는 서버에 쇼핑몰(Shopping mall)을 개설하고, 구매자는 인터넷을 통해 판매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이하 '3차원 마케팅'이라 한다).
상기한 전자 상거래는, 판매자가 실제 매장을 운영하기 위한 제반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상거래 방식은,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구매 심리 자극을 통한 매출 증대의 목적으로 구매자에게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 보너스 포인트가 있으며, 이는 마일리지(Mileage), 적립금, 리워드(Reward)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이렇게 제공되는 보너스 포인트는 추후 상품 또는 현금으로 교환되는데, 이를 통상 캐시백(Cashback)이라 부른다.
즉 상기 3차원 마케팅 방식은, 소비자가 지불한 비용의 일부를 소비자에게 일부 되돌려 준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3차원 마케팅 방식에서 나아가, 소비자가 구매한 비용 전체에 대해 포인트를 보너스 수익으로 되돌려 주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이하, '4차원 마케팅'이라 한다).
그러나 상기 4차원 마케팅 방식은, 회사의 이익 창출이 보장되지 않으면 실제로 운용하기가 어렵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 마케팅(Networking Marketing)이라 함은, 제품을 사용해 본 소비자가 그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하여 스스로의 의사로 판매원이 되어 주위 사람들에게 제품을 권하도록 하고, 새로 형성된 소비자가 다시 판매원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계속 반복함으로써, 제품의 판매 범위가 점점 넓어지도록 한 연쇄 소개 판매를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마케팅의 성공은 판매와 조직의 양축에 기초하고 있는데, 그 핵심은 보상플랜(Compensation Plan)에 있다.
상기 보상플랜은, 네트워크 마케팅에서 판매원에게 후원수당을 얼마나 어떻게 지급할 것인지 등의 기준을 정하는 것으로, 판매를 촉진하고 조직을 확산시키는 주요 원동력이 된다.
그런데 종래의 네트워크 마케팅 방식은,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이 피라미드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 조직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위회원이 후원수당과 같은 판매 포인트를 독식하게 된다는 비판이 있다.
즉 상위회원들의 성공이 하위회원들의 희생하에서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가입된 회원의 활동에 의하여 가입유치 또는 판매가 발생하면 순서에 의하여 계층적인 배열을 작성하여 정렬하고, 매 가입유치 또는 판매실적이 발생할 때마다 설정된 기본 포인트가 주어지고, 퍼 레벨에서 지정된 임계값에 도달되면 정렬된 이전의 모든 계층적 배열에 대하여 설정된 레벨 포인트가 주어지며, 퍼 레벨로 정해진 횟수가 반복될 때마다 그 이전의 모든 계층적 배열의 요소에 대하여 레벨 포인트가 주어지고, 또한 네트워크 마케팅 사업자에 의하여 정해진 일정기간 동안 퍼 타깃에서 지정된 임계값에 도달되면 정렬된 이전의 모든 계층적 배열의 요소에 대하여 타깃 포인트가 주어지며, 퍼 타깃으로 정해진 횟수가 반복될 때마다 그 이전의 모든 계층적 배열의 요소에 대하여 타깃 포인트가 주어지도록 구성되어 회원에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보상플랜의 설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방식의 단순함으로 인해 조직확산에 강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마케팅 보상플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네트워킹으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로부터 접속이 이루어지면 동작이 시작되고, 신입회원의 주소를 입력받아서 신입회원이 입력한 주소를 검색하여 신입회원에게 지역코드를 부여함과 동시에 신입회원에게 지역 그룹을 설정하고, 신입회원으로부터 추천인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추천인 입력이 없는 경우에 신입회원이 속한 지역의 최상위 회원을 추천인으로 선정하고, 신입회원이 속한 지역과 추천인이 속한 지역을 비교 확인하여 신입회원이 속한 지역과 추천인이 속한 지역이 동일한 경우에 추천인의 후원회원 인원수가 적으면 추천인을 후원인으로 선정하고, 신입회원이 속한 지역과 추천인이 속한 지역이 서로 다르거나 신입회원이 속한 지역과 추천인이 속한 지역이 동일하더라도 추천인의 후원회원 인원수가 일정수 이상인 경우에는 지역그룹의 상위 회원을 후원인으로 선정하는 동작과정이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서버와, 회원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신입 회원이 가입하는 경우에 신입회원 가입에 기여한 추천인에게 이익을 분배함과 동시에, 추천인과는 별도로 신입회원이 가입한 지역의 후원인에게도 이익을 분배하여 주고, 기타 다양한 분배방식을 도입하여 적용함으로써 전체 회원들에게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안에 상대적으로 많은 소득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마케팅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사용자 추천에 의한 마케팅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 제 1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추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추천 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구매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사용자에 의한 상기 상품의 구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가 완료되면,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소정의 리워드(reward)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추천에 의한 마케팅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제 1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임의의 상품과 관련된 광고 정보를 기초로 광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컨텐츠를 시청한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제 1 사용자가 보유한 포인트로부터 소정의 포인트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상품,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평가 항목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대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상품,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평가 항목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대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광고 컨텐츠를 시청한 소비자의 광고 컨텐츠에 대한 평가에 따라 소비자에게 차등한 포인트를 제공하여함으로써, 상품 정보의 공유 및 상품 판매를 증대시킬 수 있는, 포인트 지급을 통한 마케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KR 10-2004-0022794 A KR 10-2005-0024876 A KR 10-2015-0067885 A KR 10-2015-0102811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한 1차원 내지 4차원 마케팅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의 마케팅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에게 그가 구매한 금액 이상의 보너스 수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이 한줄로 계속 연결되어 연속된 다수의 하위회원의 매출에 따른 올림금액이 매출금액에 포함되고, 총 매출금액 중 일부가 다수의 상위회원에게 올려짐으로써, 상위회원과 하위회원 사이의 분배 격차를 최소화하고, 상위회원에 의한 포인트 독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버에 구비된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회원 단말기를 통해 구매하거나 매장 내의 제품을 구매한 후 서버에 구매정보를 제공한 후 회원번호를 부여받는 회원가입 단계와; 새로운 소비자에게 쇼핑몰의 제품을 소개하여 소비자가 상기 쇼핑몰 또는 매장의 제품을 구매하고 하위의 회원번호를 부여받도록 하는 회원소개 단계와; 하위회원들이 구매한 제품과 회원 자신이 구매한 제품의 가격에 따른 쇼핑몰로부터 포인트를 제공받는 포인트수수 단계와; 한달 동안의 매출액에 따라 제공받은 포인트 중 판매 수수료와 교육 수수료 및 센터 포인트를 공제하고 나머지 포인트를 상위회원에게 올려주는 포인트올림 단계와; 하위회원들로부터 올려진 포인트를 정해진 비율에 따라 상위회원들에게 분배하는 포인트분배 단계와; 상기 포인트올림단계의 2차 기준금액을 기준으로 각 회원의 포인트를 정산하고 세액을 공제하여 실수령액을 결정하는 실수령액을 결정하는 포인트정산 단계;를 포함하고,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이 한 줄로 연속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인트올림 단계는, 각 회원이 한달동안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포인트가 일정 이상으로 누적된 경우에만 판매 수수료와 교육 수수료 및 센터 포인트를 공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모든 포인트를 직상위회원에게 올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쇼핑몰 또는 매장에서의 매출액 중 50%를 회원에게 포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인트올림 단계는, 각 회원이 자신의 연속된 하위회원 100명으로부터 올라온 올림금액과 회원 자신의 매출액을 합한 금액의 50%를 1차 기준금액으로 한 후, 1차 기준금액의 50%를 1차 올림금액으로 하여 연속된 상위회원 100명에게 분할하여 올려주고, 1차 기준금액에 직급별 지급비율을 곱한 금액을 2차 기준금액으로 한 후, 2차 기준금액의 50%를 2차 올림금액으로 하여 연속된 상위회원 100명에게 분할하여 올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인트정산 단계에서는, 각 회원들의 2차 기준금액에 직급별 지급비율을 곱하여 산정한 기본포인트와, 기본포인트와 직급별 지급비율을 곱해 산정한 소개포인트를 합산하고, 이 합산포인트에 직급별 직급포인트 지급비율을 곱한 직급포인트를 더해 최종포인트를 산정한 후, 세액을 공제하여 실수령액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각 회원들에 대하여 회원 자신의 매출액과 연속된 하위회원 100명의 매출액을 합한 금액에 따른 총매출액을 기준으로, 회원등급을 LPP, LPP 골드, 해피너, 체험방, 소호점, 지점, 판매대리점, 종합대리점으로 구분하고, 각 직급에 따라 지급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체험방 이상의 직급자들에게 전세계 매출 금액의 3%를 매출공유포인트로서 직급별 공유포인트 지급비율에 따라 분배한 후, 각 직급자에게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의 쇼핑몰은, 자사 제품을 판매함과 아울러 개별 회원이 제조 및 판매하는 제품을 등록할 경우, 이를 함께 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에 의하면, 소비자에게 그가 구매한 금액 이상의 보너스 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이 한줄로 연속 연결되어 연속된 다수의 하위회원의 매출에 따른 올림금액이 매출금액에 포함되고, 총 매출금액 중 일부가 다수의 상위회원에게 올려짐으로써, 상위회원과 하위회원 사이의 분배 격차가 최소화되고, 상위회원에 의한 포인트 독식이 방지되어 하위회원의 불만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개별 회원이 검증된 제품을 서버에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으므로, 서버 운영사와 개별 회원이 서로 윈-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100명 정도의 연속된 하위회원들의 매출에 따른 올림금액이 총매출액에 포함되고, 총매출액의 일부가 연속된 상위회원 100명에게 올려지게 되므로, 하위회원들의 매출금액이 상위회원들에게 고르게 분배되어 상하위 회원 사이의 분배 격차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줄 타입 마케팅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줄 타입 마케팅 방법에서 회원간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줄 타입 마케팅 방법에서 포인트올림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줄 타입 마케팅 방법에서 포인트분배 단계의 소개포인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줄 타입 마케팅 방법에서 포인트분배 단계의 직급포인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외줄 타입 마케팅 방법에서 매출공유포인트의 분배비율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외줄 타입의 마케팅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1차원 내지 4차원 마케팅과 구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방법을 5차원 마케팅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은,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가입 단계; 회원소개 단계; 포인트수수 단계; 포인트올림 단계; 포인트분배 단계; 및 포인트정산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이 한 줄로 연속하여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의 쇼핑몰은, 자사 제품을 판매함과 아울러 개별 회원이 제조 및 판매하는 제품을 등록할 경우, 이를 함께 판매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별 회원에 의한 제품은, 제품명과, 용도, 각종 인증이나 허가 사항, 가격, 매월 생산능력 등을 고려한 후, 각각에 대하여 점수를 부여하여 총 80점 이상인 경우에만 쇼핑몰에 입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원가입 단계는, 서버에 구비된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회원 단말기를 통해 구매하거나, 매장 내의 제품을 구매한 후 서버에 구매정보를 제공한 후 회원번호를 부여받는 단계로서, 최초 구매시 회원번호를 부여받음으로써 회원으로 가입된다.
이때, 제품을 소개한 기존 회원이 있는 경우에는 그 회원의 하위회원으로 등록된다.
상기 회원소개 단계는, 기존 회원이 새로운 소비자에게 쇼핑몰의 제품을 소개하여 소비자가 상기 쇼핑몰 또는 매장의 제품을 구매하고 하위의 회원번호를 부여받도록 하는 단계로서, 새로운 회원이 생길 때마다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포인트수수 단계는, 하위회원들이 구매한 제품과 회원 자신이 구매한 제품의 가격에 따른 쇼핑몰로부터 포인트를 제공받는 단계로서, 대체적으로 구매금액의 50%를 포인트로 제공받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는, 각 회원들에 대하여 회원 자신의 매출액과 연속된 하위회원 100명의 매출액을 합한 금액에 따른 총매출액을 기준으로, 회원등급을 LPP, LPP 골드, 해피너, 체험방, 소호점, 지점, 판매대리점, 종합대리점으로 구분하고, 각 직급에 따라 지급비율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총매출액(부가세 제외)이 150만원 이상이면 LPP, 1000만원 이상이면 LPP 골드, 2000만원 이상이면 해피너, 5000만원 이상이면 체험방, 8000만원 이상이면 소호점, 1억 이상이면 지점, 2억원 이상이면 판매대리점, 6억 이상이면 종합대리점으로 하여, 총매출액에 따라 직급이 결정되도록 한다.
이때 종합대리점의 경우에는, 서버가 설치된 본사에서 직접 임명한다.
그리고 각 직급에 따른 지급비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P의 경우는 17.5%, LPP 골드의 경우 20%, 해피너의 경우는 22.5%, 체험방 이상의 직급은 25%로 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올림 단계는, 한달 동안의 매출액에 따라 제공받은 포인트 중 일부, 즉 판매 수수료와 교육 수수료 및 센터 포인트 등을 공제하고 나머지 포인트를 상위회원에게 올려주는 단계이다.
여기서 각 회원이 한달동안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포인트가 일정 이상으로 누적된 경우에만 판매 수수료와 교육 수수료 및 센터 포인트를 공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모든 포인트를 직상위회원에게 올려주게 된다.
즉, 한달 동안의 매출액에 따른 포인트가 50만 이상인 경우에만 포인트를 공제하여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렇지 않으면 모든 포인트를 직상위회원에게 올려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인트올림 단계에서는, 각 회원이 자신의 연속된 하위회원 100명으로부터 올라온 올림금액과 회원 자신의 매출액을 합한 금액의 50%를 1차 기준금액으로 한 후, 1차 기준금액의 50%를 1차 올림금액으로 하여 연속된 상위회원 100명에게 분할하여 올려주고, 1차 기준금액의 17.5%를 2차 기준금액으로 한 후, 2차 기준금액의 50%를 2차 올림금액으로 하여 연속된 상위회원 100명에게 분할하여 올려주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직급이 LPP인 회원의 총매출액이 200만원인 경우, 매출액의 50%인 100만원이 1차 기준금액이 되고, 상기 1차 기준금액의 50%인 50만원을 1차 올림포인트로 연속된 상위회원 100명에게 5000원씩 올려주며, 1차 기준금액에 대한 LPP의 직급별 분배비율인 17.5%인 175000원이 2차 기준금액이 되고, 2차 기준금액의 50%인 87500원을 2차 올림금액으로 하여, 연속된 상위회원 100명에게 875원씩 올려주게 된다.
따라서, 해당회원의 직상위회원은, 실제 총매출액이 동일하더라도 1차 올림금액 5000원과 2차 올림금액 875원이 더해진 200만 5875을 총매출액으로 하여, 1차 올림금액 및 2차 올림금액을 계산하게 된다.
상기 포인트분배 단계는, 하위회원들로부터 올려진 포인트를 정해진 비율에 따라 상위회원들에게 분배하는 단계로서, 상기 1차 올림금액과 2차 올림금액이 연속된 상위회원 100명에게 균등하게 분배된다.
따라서, 각 회원들은 자신의 연속되 하위회원 100명으로부터 각각 1차 올림금액과 2차올림금액을 분배받게 된다.
상기 포인트 정산단계는, 포인트올림단계의 2차 기준금액을 기준으로 각 회원의 포인트를 정산하고 세액을 공제하여 실수령액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각 회원들의 2차 기준금액에 직급별 지급비율을 곱하여 산정한 기본포인트와, 기본포인트와 직급별 지급비율을 곱해 산정한 소개포인트를 합산하고, 이 합산포인트에 직급별 직급포인트 지급비율을 곱한 직급포인트를 더해 최종포인트를 산정한 후, 세액을 공제하여 실수령액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직급별 직급포인트 지급비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P 및 LPP 골드 직급은 2.5%, 해피너 직급은 5%, 체험방 이상의 직급은 15%로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소개포인트는,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의 기본포인트 중 낮은 포인트에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의 직급 중 낮은 직급의 직급별 지급비율을 곱하는 방식으로 산정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체험방 이상의 직급자들에게 전세계 매출 금액의 3%를 매출공유포인트로서 직급별 공유포인트 지급비율에 따라 분배한 후, 각 직급자에게 균등하게 분배한다.
이때, 직급별 공유포인트 지급비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험방은 0.9%, 소호점은 0.7%, 지점은 0.6%, 판매대리점은 0.5%, 종합대리점은 0.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세계의 총 매출금액이 100억원인 경우를 기준으로 직급별 공유포인트를 계산하여 보면, 전체 매출공유포인트 3억원 중 0.9%에 해당하는 9000만원이 대략 100명의 체험방 직급자에게 각각 90만 포인트씩 분배되고, 0.7%에 해당하는 7000만원은 대략 70명의 소호점 직급자에게 100만 포인트씩 분배되며, 0.6%에 해당하는 6000만원은 대략 50명의 지점 직급자에게 120만 포인트씩 분배되고, 0.5%에 해당하는 5000만원은 대략 30명의 판매대리점 직급자에게 166만 6666 포인트씩 분배되며, 0.3%에 해당하는 나머지 3000만원은 대략 10명의 종합대리점 직급자에게 300만 포인트씩 분배된다.
이에 따라 소호점 이상의 고위 직급자들에게 충분한 보상이 주어지게 되므로 판매 의욕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방법에 의하면, 상위회원과 하위회원 사이의 분배 격차를 최소화할 수가 있고, 특히 상위회원에 의한 포인트 독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하위회원의 불만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또한 모든 개별 회원이 검증된 제품을 스스로 서버에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으므로, 서버 운영사와 개별 회원이 서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8)

  1. 서버에 구비된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회원 단말기를 통해 구매하거나 매장 내의 제품을 구매한 후, 서버에 구매정보를 제공하고 회원번호를 부여받는 회원가입 단계와;
    새로운 소비자에게 쇼핑몰의 제품을 소개하여 소비자가 상기 쇼핑몰 또는 매장의 제품을 구매하고 하위의 회원번호를 부여받도록 하는 회원소개 단계와;
    하위회원들이 구매한 제품과 회원 자신이 구매한 제품의 가격에 따른 쇼핑몰로부터 포인트를 제공받는 포인트수수 단계와;
    한달 동안의 매출액에 따라 제공받은 포인트 중 판매 수수료와 교육 수수료 및 센터 포인트를 공제하고 나머지 포인트를 상위회원에게 올려주는 포인트올림 단계와;
    하위회원들로부터 올려진 포인트를 정해진 비율에 따라 상위회원들에게 분배하는 포인트분배 단계와;
    상기 포인트올림단계의 2차 기준금액을 기준으로 각 회원의 포인트를 정산하고 세액을 공제하여 실수령액을 결정하는 포인트정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가입 단계는,
    서버에 구비된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회원 단말기를 통해 구매하거나, 매장 내의 제품을 구매한 후 서버에 구매정보를 제공한 후 회원번호를 부여받는 단계로서, 최초 구매시 회원번호를 부여받음으로써 회원으로 가입되고, 제품을 소개한 기존 회원이 있는 경우에는 그 회원의 하위회원으로 등록되며,
    상기 회원소개 단계는,
    기존 회원이 새로운 소비자에게 쇼핑몰의 제품을 소개하여 소비자가 상기 쇼핑몰 또는 매장의 제품을 구매하고 하위의 회원번호를 부여받도록 하는 단계로서, 새로운 회원이 생길 때마다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포인트수수 단계는,
    하위회원들이 구매한 제품과 회원 자신이 구매한 제품의 가격에 따른 쇼핑몰로부터 포인트를 제공받는 단계로서,
    상기 포인트수수 단계에서 서버는, 각 회원들에 대하여 회원 자신의 매출액과 연속된 하위회원 100명의 매출액을 합한 금액에 따른 총매출액을 기준으로, 회원등급을 LPP, LPP 골드, 해피너, 체험방, 소호점, 지점, 판매대리점, 종합대리점으로 구분하고, 각 직급에 따라 지급비율을 결정하며,
    상기 각 직급에 따른 지급비율은, LPP의 경우는 17.5%, LPP 골드의 경우 20%, 해피너의 경우는 22.5%, 체험방 이상의 직급은 25%로 하고,
    상기 포인트올림 단계는,
    각 회원이 한달동안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포인트가 일정 이상으로 누적된 경우에만 일정 비율의 포인트를 공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모든 포인트를 직상위회원에게 올려주며,
    상기 포인트올림 단계는,
    각 회원이 자신의 연속된 하위회원 100명으로부터 올라온 올림금액과 회원 자신의 매출액을 합한 금액의 50%를 1차 기준금액으로 한 후 1차 기준금액의 50%를 1차 올림금액으로 하여 연속된 상위회원 100명에게 분할하여 올려주고, 1차 기준금액에 직급별 지급비율을 곱한 금액을 2차 기준금액으로 한 후 2차 기준금액의 50%를 2차 올림금액으로 하여 연속된 상위회원 100명에게 분할하여 올려주며,
    상기 포인트분배 단계는,
    하위회원들로부터 올려진 포인트를 정해진 비율에 따라 상위회원들에게 분배하는 단계로서, 상기 1차 올림금액과 2차 올림금액이 연속된 상위회원 100명에게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각 회원들은 자신의 연속된 하위회원 100명으로부터 각각 1차 올림금액과 2차 올림금액을 분배받도록 하며,
    상기 포인트정산 단계는,
    각 회원들의 2차 기준금액에 직급별 지급비율을 곱하여 산정한 기본포인트와, 기본포인트와 직급별 지급비율을 곱해 산정한 소개포인트를 합산하고, 이 합산포인트에 직급별 직급포인트 지급비율을 곱한 직급포인트를 더해 최종포인트를 산정한 후 세액을 공제하여 실수령액을 결정하며,
    상기 직급별 직급포인트 지급비율은, LPP 및 LPP 골드 직급은 2.5%, 해피너 직급은 5%, 체험방 이상의 직급은 15%로 하고,
    상기 소개포인트는,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의 기본포인트 중 낮은 포인트에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의 직급 중 낮은 직급의 직급별 지급비율을 곱하는 방식으로 산정하고,
    상기 포인트 정산단계에서 서버는,
    각 회원들에 대하여 회원 자신의 매출액과 연속된 하위회원 100명의 매출액을 합한 금액에 따른 총매출액을 기준으로 회원등급을 LPP, LPP 골드, 해피너, 체험방, 소호점, 지점, 판매대리점, 종합대리점으로 구분하고, 각 직급에 따라 지급비율을 결정하며,
    상기 포인트 정산단계에서 서버는,
    체험방 이상의 직급자들에게 전세계 매출 금액의 3%를 매출공유포인트로서 직급별 공유포인트 지급비율에 따라 분배한 후, 각 직급자에게 균등하게 분배하고,
    직급별 공유포인트 지급비율은, 체험방은 0.9%, 소호점은 0.7%, 지점은 0.6%, 판매대리점은 0.5%, 종합대리점은 0.3%로 하며,
    상기 서버의 쇼핑몰은,
    자사 제품을 판매함과 아울러 개별 회원이 제조 및 판매하는 제품을 등록할 경우, 이를 함께 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위회원과 하위회원이 한 줄로 연속하여 연결되고,
    상기 서버는, 쇼핑몰 또는 매장에서의 매출액 중 50%를 회원에게 포인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63150A 2019-05-29 2019-05-29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 KR102464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50A KR102464228B1 (ko) 2019-05-29 2019-05-29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50A KR102464228B1 (ko) 2019-05-29 2019-05-29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01A KR20200137201A (ko) 2020-12-09
KR102464228B1 true KR102464228B1 (ko) 2022-11-08

Family

ID=7378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150A KR102464228B1 (ko) 2019-05-29 2019-05-29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2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276B1 (ko) * 2018-07-04 2019-01-22 전지훈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549A (ko) * 2001-07-09 2003-01-23 (주)위너스 유통업체의 고객관리방법
KR20040022794A (ko) 2002-09-07 2004-03-18 김준연 네트워크 마케팅 보상플랜
KR100612769B1 (ko) 2003-09-05 2006-08-17 주식회사 건통지포트 네트워크 마케팅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67885A (ko) 2013-12-10 2015-06-19 김성미 사용자 추천에 의한 마케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13002B1 (ko) 2014-02-28 2016-04-18 김대령 포인트 지급을 통한 마케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70783A (ko) * 2016-06-03 2017-06-22 채승화 프로슈머마케팅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276B1 (ko) * 2018-07-04 2019-01-22 전지훈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01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036B2 (en) Computer web-based auction platform
KR10140434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가격 책정 시스템
KR101194531B1 (ko) 큐알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추첨식 현금 보상형 상품판매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판매 서비스 방법
US200402255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multi-tiered, e-commerce extranet for a community of businesses
US20020161625A1 (en) Online media planning system
US8606675B1 (en) Method of networking marketing
CA2665871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a loyalty engine for automated cause management
US20090319372A1 (en) Quality-based online advertisement trading system
CN111667300A (zh) 基于区块链智能合约的广告自动化交易与投放方法及系统
Milgrom Auction market design: Recent innovations
EP4165578A1 (en) Using a product or service as the start of an mlm tree
Wu Matching value and market design in online advertising networks: An empirical analysis
KR101520434B1 (ko) 추천 판매에 따른 보너스 정산 방법
Sharanlou et al. Determining the price and refund of products in a supply chain with quality and advertising costs in a fuzzy environment
CN101180644A (zh) 通过网络提供队列消息的装置和方法
Sudirjo et al. THE EFFECT OF BRAND AWARENESS AND ELECTRONIC SERVICE QUALITY ON LOYALTY OF E-COMMERCE CUSTOMERS
US20080313041A1 (en) Multi level marketing for businesses and consumers
KR102464228B1 (ko) 외줄 타입의 5차원 마케팅 방법
Kindu et al. Auctioning approaches for ecosystem services–Evidence and applications
KR20210087665A (ko) 넷코디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판매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20130332300A1 (en) Auction System and Method
KR2014010844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의 상품 가격 할인 시스템
KR100364671B1 (ko) 웹페이지상에서 가상사회를 건설하는 방법
JP2002342554A (ja) 商品開発管理方法及び管理サーバ
KR20030068701A (ko) 상거래를 통한 입금액 투자 유치 및 수익배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08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112

Effective date: 2021052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1004065;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3100000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617

Effective date: 2022102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