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210B1 - 트로카 조립체 - Google Patents

트로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210B1
KR102464210B1 KR1020200060681A KR20200060681A KR102464210B1 KR 102464210 B1 KR102464210 B1 KR 102464210B1 KR 1020200060681 A KR1020200060681 A KR 1020200060681A KR 20200060681 A KR20200060681 A KR 20200060681A KR 102464210 B1 KR102464210 B1 KR 10246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surgical tool
trocar assembly
head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001A (ko
KR102464210B9 (ko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주)휴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톰 filed Critical (주)휴톰
Priority to KR1020200060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21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210B1/ko
Publication of KR10246421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21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39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with means acting on inner surface of valve or seal for expanding or protecting, e.g. inner pivoting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트로카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트로카 조립체는 수술 도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헤드와 연통되고, 상기 수술 도구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헤드에 설치되고, 상기 수술 도구가 억지 끼움으로 밀착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탄성편을 갖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술 도구가 억지 끼움으로 밀착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탄성편을 갖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로카 조립체{TROCAR ASSEMBLY}
본 발명은 수술 도구를 2점 지지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개복수술과는 달리 피부의 절개부분을 최소부위로 하고,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 복강경 수술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복강경 수술은 트로카(투관침, trocar)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부로 통하는 관을 만들고 겸자, 핸드-헬드 의료기구, 내시경 등의 수술 도구를 복강 내의 수술 부위에 진입시킴으로써 복강의 수술부위를 관찰하면서 시행하는 수술 방식으로서, 담낭절제술, 담도 결석 제거술, 충수 돌기 절제술 외 외과 전반의 영역으로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트로카는 복강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기구를 말하며, 트로카는 환자의 배꼽 또는 피부 절개창을 통해 신체 내부로 삽입 고정되고,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신체의 내부에 줄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실리콘 등의 연질 재료로 형성되는 슬리브와, 슬리브를 관통하여 복강경 수술용 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환자의 피부를 절개하는 투관침으로 구성된다.
슬리브에는 본체가 결합되어 겸자 등의 수술 도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본체 및 슬리브를 일체로 구현하고 이러한 본체 및 슬리브를 따라 투관침을 삽입하여 구멍을 낸 후 투관침을 제거하고 복강경 수술을 진행하거나 슬리브 내부에 블레이드를 마련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구멍을 내고 복강경 수술을 진행하는 트로카가 개발된 바 있다.
투관침 시스템은 체벽(body wall)을 가로질러 체강(body cavity)내에서 최소 침습 수술을 가능하게 하는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특별히 투관침들이 복강내에서 도구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복벽을 가로질러 작업 채널(working channel)을 제공하는 복부 수술에 적용된다.
복벽 내부 제 위치의 트로카를 통하여 다양한 크기의 수술 도구들이 한번에 하나씩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술 도구들은 그 직경이 다양한데, 일 예로 5mm 내지 12mm의 크기로 사용된다. 그런데, 상대적으로 해당 트로카보다 작은 직경의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트로카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해 주입 가스가 누출되는 문제가 따른다.
또한, 복강경 수술 시 영상에 의존하여 진행되는 수술이며, 수술 중 체강 외부의 수술 도구의 동작과는 달리 상기 간극에 의해 상기 수술 도구의 체강 내부의 움직임과 불일치가 발생하게 되어 그 동작이 사용자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 위험이 따른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1464호, 2015.11.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술 도구가 트로카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는 수술 도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헤드와 연통되고, 상기 수술 도구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헤드에 설치되고, 상기 수술 도구가 억지 끼움으로 밀착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탄성편을 갖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술 도구가 억지 끼움으로 밀착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탄성편을 갖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지름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고정 바디, 상기 고정 바디의 축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지름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고정 바디를 중심으로 축 방향을 따른 상기 걸림돌기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걸림돌기는 상기 헤드의 개구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걸림돌기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관 코킹 가공됨으로써 상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고정 바디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복수개로 분할 되도록 방사형으로 절개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수술 도구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탄성편의 단부로부터 축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절곡부가 마주보는 각각의 면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소경부를 형성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소경부의 내경은 적어도 5mm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트로카 조립체를 통해 삽입된 복수개의 수술 도구들이 각각의 트로카 조립체에 설치된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에 의해 각각의 수술 도구들의 길이 방향을 따른 2점 지지 방식으로 지지됨으로써 수술 도구 간의 움직임에 의한 각각의 단부의 이동량이 각각의 트로카 조립체에 의해 정확하게 일치되므로 수술 도구 간의 이동량 오차에 의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영상 정보에 의존하여 수술하는 과정에서 복강 외부에서 움직이는 수술 도구의 복강 외부에서의 이동량 대비 복강 내부에서 움직이는 수술 도구의 단부 이동량이 일치하므로 수술 도구의 복강 외부의 움직임 대비 영상 정보에 나타나는 수술 도구의 복강 내부의 움직임이 일치하여 정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트로카 조립체를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수술 도구가 삽입되는 경우에도 제1 고정 부재와 제2 고정 부재에 의해 2중적으로 기밀성이 확보되므로 상기와 같이 작은 직경을 갖는 수술 도구의 외주면과 상기 트로카 조립체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복강에 주입된 가스가 복강 내부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가 복강경 수술을 위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의 제1 고정 부재 또는 제2 고정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종방향을 따라 일부 절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가 복강경 수술을 위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는 환자(P)의 복강경 수술을 위하여 복수개의 트로카 조립체(100)가 수술 부위를 향하는 위치에서 체벽을 관통함으로써 복강(C)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수술 도구(T)가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수술을 위하여, 각각의 트로카 조립체(100)는 수술의 목표 영역들에 대한 최적의 시각화, 액세스를 제공하고 수술 결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트로카 조립체(100)를 통하여 다양한 수술 도구(T)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술 도구(T)는 일 예로, 10mm 내지 12mm의 샤프트 직경을 요구하였던 다양한 수술 도구들은 최근 5mm 또는 미만의 직경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수술 도구들은 겸자, 전기메스, 지혈 봉합 기구, 영상 촬영 내시경 등 수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도구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학 및 디지털 카메라 및 시스템이 일 예로, 5mm 크기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는 헤드(110), 본체(120), 제1 고정 부재(130) 및 제2 고정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10)는 다양한 수술 도구(T)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직경을 갖는 개구부일 수 있다.
본체(120)는 헤드(110)와 연통되고, 환자(P)의 복강(C) 내에서 수술 도구(T)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중앙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120)는 약 5-13mm의 내경을 가질 수 있고, 후술하는 제1 고정 부재(130) 및 제2 고정 부재(140)는 13mm 또는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소경부(132a, 142a)는 수술 도구들을 지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5mm의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110)에 형성된 중공의 단면적은 본체(120)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본체(120)가 분리형인 경우, 본체(120)의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후술하는 제1 고정 부재(13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 고정 부재(130)에 의해 헤드(110)의 중공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헤드(110)의 내부에는 제1 고정 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30)는 본체(1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지름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고정 바디(131), 고정 바디(131)의 축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고, 본체(120)의 지름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133) 및 고정 바디(131)를 중심으로 축 방향을 따른 걸림돌기(133)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편(13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33)는 제1 고정 부재(130)의 고정 바디(131)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걸림돌기(133)가 헤드(110)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고정 부재(130)의 탄성편(132)은 헤드(110)를 통해 삽입된 수술 도구(T)가 억지 끼움으로 밀착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조립체의 제1 고정 부재 또는 제2 고정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종방향을 따라 일부 절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정 부재(130)의 탄성편(132)은 제1 고정 부재(130)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복수개로 분할 되도록 방사형으로 절개되고, 헤드(110)의 개구부(111)를 통해 삽입되는 수술 도구(T)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탄성편(132)이 2개 또는 3개로 형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보다 원형에 가까워지는 소경부(132a)가 형성될 수 있지만 가공비를 고려하여 최적의 개수로 설계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30) 및 탄성편(132)은 이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동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종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고정 부재(130) 또는 탄성편(132)의 각각의 재질은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또는 다양한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30)는 각각의 탄성편(132)의 단부로부터 축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절곡부(132b)가 마주보는 각각의 면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소경부(132a)를 형성하도록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소경부(132a)는 각각의 절곡부(132b)에서 만곡 형성되는 곡률의 가상의 연장선을 따라 원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소경부(132a)는 수술 도구(T)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수술 도구(T)의 둘레를 지지할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수술 도구(T)의 외표면 형상은 다양하므로 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제1 고정 부재(130)의 소경부(132a)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수술 도구(T)가 롤링(rolling)또는 회전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형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 부재(130)로부터 본체(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본체(120)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2 고정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140)는 환자 신체의 복강(C)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부재(140)는 헤드(110)를 통과하여 삽입되는 수술 도구(T)의 삽입이 원활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제2 고정 부재(14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고정 부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고정 부재(130)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고정 부재(130)는 환자(P)의 복강(C) 외측에 위치하는 반면, 제2 고정 부재(140)는 환자(P)의 복강(C)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 고정 부재(130)는 상대적으로 강성인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 고정 부재(140)는 제1 고정 부재(130)의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인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고정 부재(140)는 제2 고정 부재(140)의 걸림돌기(143)가 본체(12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본체(120)의 외주면에 관 코킹 가공됨으로써 본체(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관 코킹 공정을 통해 제2 고정 부재(140)의 걸림돌기(143)의 본체(1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에 가공홈(121)이 형성되므로 걸림돌기(143)가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 고정 부재(140)는 본체(120)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기 위하여 관 코킹 공정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제2 고정 부재(140)가 본체(120)에 접착, 억지 끼움 또는 그 외의 다른 방법으로도 고정될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적용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제2 고정 부재(140)가 본체(120)의 단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나사결합, 후크결합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고정 부재(140)는 수술 도구(T)의 삽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2 고정 부재(140)의 절곡부(142b)가 소경부(142a)를 유지함으로써, 수술 도구(T)의 외표면을 지지하도록 대략 원형 또는 다각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제2 고정 부재(140)는 제1 고정 부재(13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편(1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 부재(130) 및 제2 고정 부재(140)의 탄성편(132, 142)의 탄성 왕복운동에 의해 제1 고정 부재(130)와 제2 고정 부재(140)의 단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소경부(132a, 142a)의 단면적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면의 면적 변화는 헤드(110) 및 본체(120) 사이에 형성된 중공에 노출됨으로써 실질적으로는 중공의 면적을 증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120) 내부에 삽입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수술 도구(T)에 대하여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로카 조립체(100)를 통해 삽입된 복수개의 수술 도구(T)들이 각각의 트로카 조립체(100)에 설치된 제1 고정 부재(130) 및 제2 고정 부재(140)에 의해 각각의 수술 도구(T)들의 길이 방향을 따른 2점 지지 방식으로 지지됨으로써 수술 도구(T) 간의 움직임에 의한 각각의 단부의 이동량이 각각의 트로카 조립체(100)에 의해 정확하게 일치되므로 수술 도구(T) 간의 이동량 오차에 의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영상 정보에 의존하여 수술하는 과정에서 복강(C) 외부에서 움직이는 수술 도구(T)의 복강(C) 외부에서의 이동량 대비 복강(C) 내부에서 움직이는 수술 도구(T)의 단부 이동량이 일치하므로 수술 도구(T)의 복강(C) 외부의 움직임 대비 영상 정보에 나타나는 수술 도구(T)의 복강(C) 내부의 움직임이 일치하여 정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트로카 조립체(100)를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수술 도구(T)가 삽입되는 경우에도 제1 고정 부재(130)와 제2 고정 부재(140)에 의해 2중적으로 기밀성이 확보되므로 상기와 같이 작은 직경을 갖는 수술 도구의 외주면과 상기 트로카 조립체(100)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복강(C)에 주입된 가스가 복강(C) 내부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트로카 조립체
110: 헤드
120: 본체
130: 제1 고정 부재
140: 제2 고정 부재

Claims (8)

  1. 수술 도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헤드와 연통되고, 상기 수술 도구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헤드에 설치되고, 상기 수술 도구가 억지 끼움으로 밀착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탄성편을 갖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술 도구가 억지 끼움으로 밀착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탄성편을 갖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지름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고정 바디;
    상기 고정 바디의 축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지름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
    상기 고정 바디를 중심으로 축 방향을 따른 상기 걸림돌기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편; 및
    상기 각각의 탄성편의 단부로부터 축중심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트로카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걸림돌기는 상기 헤드의 개구부에 고정되는, 트로카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걸림돌기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관 코킹 가공됨으로써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트로카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고정 바디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복수개로 분할 되도록 방사형으로 절개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수술 도구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트로카 조립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절곡부가 마주보는 각각의 면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소경부를 형성하도록 만곡되는, 트로카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의 내경은 적어도 5mm보다 작게 형성되는, 트로카 조립체.
KR1020200060681A 2020-05-21 2020-05-21 트로카 조립체 KR10246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681A KR102464210B1 (ko) 2020-05-21 2020-05-21 트로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681A KR102464210B1 (ko) 2020-05-21 2020-05-21 트로카 조립체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01A KR20210144001A (ko) 2021-11-30
KR102464210B1 true KR102464210B1 (ko) 2022-11-08
KR102464210B9 KR102464210B9 (ko) 2022-12-27

Family

ID=7872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681A KR102464210B1 (ko) 2020-05-21 2020-05-21 트로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2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0375A1 (en) * 2007-07-23 2009-01-2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
US20090234293A1 (en) 2008-03-14 2009-09-17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Instrument seal
JP2010269141A (ja) 2009-05-21 2010-12-02 Tyco Healthcare Group Lp 中央シールを有するアクセス用シース
KR101525126B1 (ko) 2013-12-10 2015-06-02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 조립체
KR102025897B1 (ko) * 2018-03-21 2019-09-27 주식회사 메덴 복강경용 투관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970B1 (ko) * 2011-10-21 2013-10-18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 헤드 어셈블리
KR101585569B1 (ko) 2014-05-14 2016-01-15 정창욱 트로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0375A1 (en) * 2007-07-23 2009-01-2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
US20090234293A1 (en) 2008-03-14 2009-09-17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Instrument seal
JP2010269141A (ja) 2009-05-21 2010-12-02 Tyco Healthcare Group Lp 中央シールを有するアクセス用シース
KR101525126B1 (ko) 2013-12-10 2015-06-02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 조립체
KR102025897B1 (ko) * 2018-03-21 2019-09-27 주식회사 메덴 복강경용 투관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01A (ko) 2021-11-30
KR102464210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6164A1 (en) Devices for and methods of performing minimally-invasive surgical procedures through a single incision
JP5682968B2 (ja) 器具アクセス装置
CA2540999C (en) Surgical hand access apparatus
EP1702574B1 (en) Surgical portal with enhanced retention capabilities
US20090131751A1 (en) Anal surgical instrument guides
US20150327848A1 (en) Integral foam port
EP2337508B1 (en) Devices for performing minimally-invasive surgical procedures through a single incision
US20080277853A1 (en) Clip for coupling a surgical tool and scope
KR20060069322A (ko) 투관침 밀봉 조립체
US20050119685A1 (en) Expandible surgical access device
US10786280B2 (en) Trocar
CA2632369A1 (en) Access apparatus with shallow zero closure valve
EP2233094A2 (en) Surgical access assembly including shield member
EP2289439A2 (en) Surgical portal apparatus including gear and lookout assembly
KR102464210B1 (ko) 트로카 조립체
JP2010240426A (ja) 拡大可能なカニューレを有する外科手術用ポータル装置
JP2006150132A (ja) 医療用処理器具の挿入ポート
JP2001025469A (ja) トロッカー外套管装置
JP7464923B2 (ja) 処置具挿入補助具
TWI531350B (zh) 醫療用處置用具
CA2696485A1 (en) Access port including centering feature
US20200268412A1 (en) Access assembly including flexible cannu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