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018B1 -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018B1
KR102464018B1 KR1020220041561A KR20220041561A KR102464018B1 KR 102464018 B1 KR102464018 B1 KR 102464018B1 KR 1020220041561 A KR1020220041561 A KR 1020220041561A KR 20220041561 A KR20220041561 A KR 20220041561A KR 102464018 B1 KR102464018 B1 KR 102464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stribution channel
credit
credits
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황유식
유권일
김병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리워즈
주식회사 그리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리워즈, 주식회사 그리너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리워즈
Priority to KR102022004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탄소중립 제품을 제공하는 유통 채널을 등록하고, 상기 유통 채널과 관련된 운영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탄소감축 사업이 등록됨에 따라 상기 유통 채널에 대한 탄소 크레딧 풀을 생성하고, 상기 유통 채널을 통해 상기 탄소중립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탄소 크레딧 풀에서 차감된 탄소 크레딧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TO PROVIDE distribution channels nET zero services for blockchain-based nET zero practice}
아래의 설명은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탄소 상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기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기체들 가운데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를 온실가스라고 한다. 온실가스로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프레온, 오존 등이 있다. 물론, 자연적인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데에는 수증기가 가장 큰 역할을 맡고 있지만,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 기체로는 이산화탄소가 가장 대표적이다.
지구 온난화는 20세기 후반부터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집중호우, 가뭄, 태풍 등의 이상기후 현상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현재와 같은 오염 수준이 계속된다면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멀지 않은 장래에 인류와 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로 인해,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협조에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수송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국제적인 산업은 물론이고, 대중교통 이용하기나 소등하기 등 일상생활에서도 범용적인 활동 형태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량에 대한 정량 모니터링 기술의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1554호(등록일 2012년 01월 26일)에는 온실가스 감축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유통채널에 탄소중립 실행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개인 및 단체가 탄소중립 소비를 실천할 수 있다.
소비자가 재화와 서비스 등을 구매할 시 해당 제품의 생산활동과 유통 단계에서 배출한 온실가스 총량과 동일한 탄소감축(온실가스 감축)량을 매입하여 상쇄함으로써 탄소중립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자발적 탄소거래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유통채널은 손쉽게 온실가스 감축 상품을 연계할 수 있고, 유통채널의 사업 전략에 따라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상품을 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Net Zero Button)을 인지하기 쉽게 노출함으로써 탄소중립(저탄소) 소비를 확산할 수 있다.
개인과 단체의 탄소중립 소비를 통해 탄소감축 사업으로 자금이 유입됨으로써 탄소감축 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탄소감축 구매량을 기록함으로써 개인과 단체의 탄소발자국 감축량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고, 탄소중립 목표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을 적용하는 제품 및 서비스 판매 기업은 세계적 흐름인 탄소중립 문화 확산 계기를 만들게 되며, ESG 경영을 실천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탄소중립 제품을 제공하는 유통 채널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유통 채널과 관련된 운영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탄소감축 사업이 등록됨에 따라 상기 유통 채널에 대한 탄소 크레딧 풀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유통 채널을 통해 상기 탄소중립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탄소 크레딧 풀에서 차감된 탄소 크레딧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통 채널에서는 상기 탄소중립 제품에 대해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Net Zero Button)이 노출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탄소중립 제품에 대해 사전에 계산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상당하는 탄소 크레딧의 구매가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소 크레딧 풀의 잔여 크레딧이 사전에 정해진 최소 크레딧 볼륨 이하가 되는 경우 또는 상기 탄소 크레딧 풀의 잔여 크레딧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상기 탄소감축 사업을 통해 발행되는 탄소 크레딧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탄소감축 사업을 통해 발행되는 탄소 크레딧을 실시간으로 구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유통 채널의 탄소 크레딧 사용 내역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유통 채널에 해당되는 유통 채널 서버 상의 탄소 크레딧 풀에서 탄소 크레딧이 차감되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유통 채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거래 아이디와 탄소 크레딧 사용 내역을 포함한 거래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된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탄소중립 제품에 대해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Net Zero Button)이 노출되는 유통 채널을 등록하고 상기 유통 채널과 관련된 운영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탄소감축 사업이 등록됨에 따라 생성된 탄소 크레딧 풀을 관리하는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 상기 유통 채널에서 상기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을 통해 상기 탄소중립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탄소 크레딧 풀에서 차감된 탄소 크레딧을 제공하는 크레딧 관리 플랫폼 서버; 및 상기 유통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및 크레딧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상기 유통 채널과 관련된 크레딧 사용 내역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고 관리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통채널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통채널의 탄소 상쇄 풀 선구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통채널의 탄소 배출량 상쇄 절차(자체 탄소 상쇄 풀 방식)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내의 탄소 상쇄 풀 운영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통채널의 탄소 배출량 상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탄소 상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은 상기한 내용의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나타내고 있다.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탄소 상쇄풀의 개념을 적용하여 기존의 유통채널에서 최소한의 작업으로 고객의 제품 구매 전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발생량을 상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유통채널 판매 화면에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을 설치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 제품의 생산 활동과 유통 과정에서 배출한 온실가스를 상쇄함으로써 탄소중립 소비를 가능하게 한다.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을 선택할 경우 해당 제품이 배출한 온실가스에 상당하는 탄소감축량을 구매하여 탄소중립(Net Zero) 제품이 될 수 있다.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을 설치할 수 있는 탄소중립 가능 제품은 공신력 있는 평가자로부터 LCA(전과정평가)를 통해 생산 활동과 유통 과정에서 배출된 온실가스량(탄소 풋프린트)을 측정하여 제시할 수 있는 제품이다. 혹은 유사 제품의 탄소배출량을 보수적 관점에서 평가하여 제시할 수 있는 제품이다. 사업자 판단에 의해 탄소 풋프린트를 제시할 수 있는 제품 중 탄소중립 가능 제품 판매 카테고리를 구성할 수 있으며, 해당 제품 판매 개별적으로도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을 제공할 수 있다.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을 선택할 경우 사전에 계산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상당하는 탄소감축 크레딧을 자발적 탄소거래 시장에서 구매하게 된다. 또는 유통채널이 사전에 대량으로 구매하여 보유하고 있는 탄소감축 크레딧에서 차감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쇄할 수 있다.
탄소감축 크레딧 구매는 소비자의 별도 지출로 제품 가격과 더해져 지불할 수도 있고, 소비자가 유통채널에서 보유하고 있는 고유의 포인트를 활용하여 구매 비용을 지불할 수도 있다.
소비자가 구매한 탄소감축 크레딧은 누적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탄소감축 기여도를 확인할 수 있다. 누적된 탄소감축 기여도(크레딧)에 따라 유통채널에서 저탄소 소비자 등급을 부여받게 되며, 등급에 따라 제품 구매 시 할인이나 포인트 지급 등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개인 및 단체의 저탄소 생활, 저탄소 사업 등 탄소중립 선언에 활용할 수 있다.
탄소감축 크레딧 판매를 통해 획득한 수익은 온실가스 감축 사업에 투자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 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온실가스 감축 문화를 확산하고, 기업들의 탄소감축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다. 크레딧 구매가 자발적 탄소거래 시장에서 이뤄질 경우 글로벌 각지의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사업으로 손쉽게 투자될 수 있고, 대규모 감축 사업 투자로도 연결될 수 있다.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은 온라인 유통몰과 오프라인 유통 시스템 내의 단말기 혹은 서면 질의서, 유튜브나 카카오톡 등 SNS 플랫폼 등 다양한 생산, 유통, 판매 활동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은 Net Zero Button이나 Net Zero, 탄소중립, 저탄소 구매, 중립 실행 등 여러가지 형태 및 문구로 표현되며 온실가스 상쇄 시스템(자발적 탄소거래 시장)과 연동된다.
자발적 탄소거래 시장에 등록되어 있는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 가운데 특정하여 탄소감축 크레딧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는 온실가스 감축 시기나 지역, 평균치를 고려하여 크레딧으로 제공할 수 있다.
유통채널은 자발적 탄소거래 시장을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를 손쉽게 유통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고, 저탄소(탄소중립) 제품을 진열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 문화를 확산하고, 저탄소 제품을 원하는 소지자의 방문을 유도하며, ESG 경영을 실천할 수 있게 된다.
소비자는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 혹은 저탄소(탄소중립) 카테고리를 인지함으로써 탄소중립 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탄소감축 크레딧을 관리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탄소감축 의식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기업과 사회에 온실가스 감축을 요구함으로써 탄소중립 시대를 앞당길 수 있다.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을 실행하면 유통채널을 통해 자발적 탄소거래 시장으로 온실가스 감축 구매 정보가 이전되며, 사전에 유통채널과 협의한 탄소감축 풀에서 크레딧을 차감하고, 구매자에게 제공된다. 혹은 유통채널과 협의한 탄소감축 풀을 유통채널이 일괄 구매한 이후 자체 크레딧 차감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상쇄한다. 탄소감축 풀의 이동과 구매 이력, 크레딧 차감 등은 블록체인으로 관리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 정보와 구매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구매자가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을 실행하면 구매 비용은 유통채널로 유입되며, 유통채널은 탄소감축 크레딧 매입 비용을 자발적 탄소거래 시장에 지불한다. 혹은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 실행 시 구매 비용이 자발적 탄소거래 시장으로 바로 지불하게 할 수 있다. 유통채널이 탄소감축 풀을 사전에 일괄 구매할 시에는 유통채널이 자발적 탄소거래 시장에 일괄 매입 비용을 지불하게 되며, 추후 구매자가 버튼(101) 실행 시 크레딧을 지급한 대가로 구매자로부터 비용을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비자 단말(201)은 유통채널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단말로,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을 통해서 탄소 중립 소비를 실행할 수 있다.
유통채널 서버(202)는 소비자의 구매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온/오프라인 서비스 운영 서버를 의미한다.
유통채널 관리자 단말(203)은 유통채널에서 사용할 크레딧 풀 구매하고 및 잔여 크레딧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운영자 단말(204)는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운영자 단말로써 유통채널 정보 관리, 크레딧 구매 요청 처리 등을 담당한다.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 크레딧 관리 플랫폼 서버(220), 및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는 유통채널의 마스터 정보를 관리하고, 유통채널의 탄소 크레딧 풀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크레딧 관리 플랫폼 서버(220)는 유통채널에서 소비자가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을 통해서 소비한 크레딧 사용 내역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서버 역할을 한다.
크레딧 관리 플랫폼 서버(220)는 유통채널에서 소비된 크레딧 사용 내역을 전달받아 처리하는 유통채널 요청 처리부, 및 요청받은 크레딧 사용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결과를 유통채널 서버(202)로 전달하고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230)에서 후속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레딧 사용 내역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230)는 크레딧 관리 플랫폼 서버(220)에서 전달 받은 유통채널의 크레딧 사용 내역을 블록체인상에 기록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230)는 유통채널별로 유통채널 정보, 크레딧 할당량, 크레딧 출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부, 및 유통채널의 크레딧 사용 내역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크레딧 사용 내역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딧 사용 내역 처리에 있어 블록체인 특성상 실시간 처리 능력이 떨어지므로 스케줄링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탄소감축 사업 관리 서버(205)는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기반으로 수행된 감축사업의 탄소 크레딧을 관리하는 플랫폼으로, 온실가스 감축사업 등록, 탄소 크레딧 인증 및 발행을 담당하는 시스템에 해당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통채널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터넷 쇼핑몰과 같은 유통채널은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탄소 상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유통채널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301).
유통채널 정보는 유통채널 명, 유통채널 고유번호, 유통채널 서버 대표 IP(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와 통신에 필요), 블록체인(스마트 컨트랙트) 정보, 등록 일자 등으로 구성되며,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에서 생성된다(S302).
유통채널 정보에 대한 블록체인 정보는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230)를 통해서 스마트 컨트랙트 형태로 생성되고 유통채널에서 탄소 상쇄 풀을 구매할 경우 특정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통해 발행된 탄소 크레딧 정보와 연결되게 된다(S303).
유통채널 정보가 생성되면 운영자 단말(204)은 유통채널 관리자 단말(203)을 통해 생성 내역과 함께 탄소 상쇄 풀 구매 및 크레딧 사용 내역 전송 시에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에서 유통채널 서버(202)의 통신 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보안 자격 증명 정보를 유통채널 서버(202)에 전달하여 등록이 이루어지고 이후에 유통채널 서버(202)와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의 통신에 이용된다(S304 내지 S305).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통채널의 탄소 상쇄 풀 선구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유통채널에서 소비자 구매를 통해서 차감될 탄소 크레딧을 미리 구매하여 유통채널 서버(202) 내에 풀로 구성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통채널 관리자 단말(203)에서 탄소 상쇄 풀 구매요청을 보내면(S401) 유통채널 서버(202)를 거쳐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로 전달된다(S402).
구매 요청 정보에는 유통채널에서 필요한 크레딧 양(톤 단위)과 요청 사항 등이 포함된다. 요청 사항에는 유통채널에서 원하는 탄소감축 사업의 종류나 기타 요청 사항이 포함될 수 있으며, 탄소감축 사업으로는 E-Mobility 사업, 신재생에너지 사업(태양광, 풍력 등), 온실가스 흡수 사업(산림, 토양, 친환경농업 등), 온실가스 제거 사업(CCUS,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활용 기술) 등이 있다.
운영자 단말(204)에서는 탄소감축 사업 관리 서버(205)를 통해서 활성화되어 있는 사업과 발행된 크레딧을 확인하여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등록하면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에 유통채널의 탄소 상쇄 풀 마스터 정보가 생성(갱신)되고 이 정보는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230)를 통해서 블록체인에도 반영이 되고 유통채널 서버(202)로 전송된다(S403 내지 S408). 탄소 상쇄 풀 마스터 정보는 유통채널 명, 유통채널 고유 ID, 탄소 상쇄 풀 명, 탄소 상쇄 풀 고유 ID 값, 잔여 크레딧, 크레딧 갱신내역 등으로 구성된다.
유통채널 서버(202)는 탄소 상쇄 풀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적으로 탄소 상쇄 풀을 생성 혹은 갱신한다(S409). 각각의 탄소 상쇄 풀은 내부적으로 고유의 ID를 값을 가지며 이 정보는 탄소 크레딧을 충전하거나 사용하여 차감할 때 기준이 되는 값이 된다.
탄소 상쇄 풀 생성이 완료되면 운영자 단말(204)에서는 탄소감축 사업 관리 서버(205)를 통해서 탄소 상쇄 풀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탄소감축 사업의 크레딧 사용 내역을 업데이트(차감)하여 관리한다(S41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통채널의 탄소 배출량 상쇄 절차(자체 탄소 상쇄 풀 방식)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유통채널에서 소비자가 탄소감축 크레딧 구매 시에 유통채널 자체 탄소 상쇄 풀을 이용하여 크레딧을 구매하는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소비자 단말(201)에서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 실행을 통해 탄소감축을 위한 크레딧 구매 요청을 하게 되면 유통채널 서버(202)의 탄소 상쇄 풀에서 크레딧 차감이 되고 해당 소비자는 구매 제품에 대한 탄소배출량이 상쇄된 제품 구매로 탄소중립 소비를 실천하게 된다(S501 내지 S503).
유통채널 서버(202)는 소비자의 구매가 완료된 후에 해당 구매의 거래 ID와 크레딧 사용 내역을 포함한 거래 정보를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를 거쳐서 크레딧 관리 플랫폼 서버(220)로 전송한다(S504 내지 S505). 크레딧 관리 서버(220)에서는 사용된 크레딧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한다(S506).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230)에서는 크레딧 관리 플랫폼 서버(220)의 크레딧 차감 내역이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신규 차감 내역이 존재하면 해당 내용을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호출하여 신규 트랜잭션으로 기록하게 된다(S507 내지 S508).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230)는 기록이 완료되면 완료 여부를 크레딧 관리 플랫폼 서버(220)와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에 알리고 최종적으로 유통채널 서버(202)에 처리 완료 내역을 전송하여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 되면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된다(S509 내지 S510).
처리 완료 내역에는 해당 구매 내역을 기록한 블록체인 트랜잭션 해시 값이 포함되어 있어서 향후에도 크레딧 차감 내역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내의 탄소 상쇄 풀 운영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유통채널에서 소비자 구매를 통해서 차감될 탄소 크레딧을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내에 풀로 구성하여 운영하는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유통채널 관리자 단말(203)에서 탄소 상쇄 풀 생성 요청을 운영자 단말(204)로 보내고 운영자가 생성 요청 정보에 따라서 탄소감축 사업 관리 서버(205)를 통해서 활성화되어 있는 사업과 발행된 잔여 크레딧을 확인하여 프로젝트를 선정 후 등록하게 되면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에 유통채널의 탄소 상쇄 풀이 생성되고 이 정보는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230)를 통해서 블록체인에도 반영이 된다(S601 내지 S605).
탄소 상쇄 풀은 유통채널 명, 유통채널 고유 ID, 탄소 상쇄 풀 명, 탄소 상쇄 풀 고유 ID 값, 잔여 크레딧, 크레딧 갱신내역, 최소 크레딧 볼륨 값, 자동 갱신 모드 등의 정보로 구성된다.
유통채널의 생성 요청 정보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유통채널의 탄소 상쇄 풀 선구매 절차에서의 상쇄 풀 구매요청 정보와 동일하다.
생성된 탄소 상쇄 풀의 자동 갱신 모드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유통채널 관리자 단말(203)에서 탄소 상쇄 풀 갱신 요청을 통해서 신규 탄소 크레딧이 충전된다(S602 내지 S605).
자동 갱신 모드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소 상쇄 풀의 최소 크레딧 볼륨 값 이하로 잔여 크레딧 수가 내려갈 경우 자동으로 탄소감축 사업 관리 서버(205)와 통신하여 부족한 크레딧 양만큼 충전이 이루어진다(S606 내지 S607).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통채널의 탄소 배출량 상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유통채널에서 소비자가 탄소감축 크레딧 구매 시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크레딧을 구매하는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201)을 통해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101)을 이용하여 탄소감축을 위한 크레딧 구매 요청을 하게 되면 유통채널 서버(202)를 통해서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에 기 생성되어 있는 탄소 상쇄 풀을 통해서 크레딧 구매 및 차감이 이루어지고 완료 신호를 유통채널 소비로 회신하면 소비자는 구매 제품에 대한 탄소배출량이 상쇄된 제품 구매로 탄소중립 소비를 실천하게 된다(S701 내지 S706).
이때,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의 탄소 상쇄풀은 자동 갱신 모드가 온되어 있는 경우 사전에 정의된 최소 크레딧 볼륨을 항상 유지하게 되고 차감이 발생되는 경우 차감된 양 만큼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채워 놓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는 탄소 상쇄풀에서 사용된 크레딧 내역을 크레딧 관리 플랫폼 서버(220)로 전송되고 사용된 크레딧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게 된다(S707 내지 S708).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230)에서는 크레딧 차감 내역이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신규 차감 내역이 존재하면 해당 내용을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호출하여 신규 트랜잭션으로 기록하게 된다(S709 내지 S710).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230)는 기록이 완료되면 완료 여부를 크레딧 관리 플랫폼 서버(220)와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210)에 알리고 최종적으로 유통채널 서버(202)에 처리 완료 내역을 전송하여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 되면 구매 프로세스가 완료된다(S711 내지 S712).
처리 완료 내역에는 해당 구매 내역을 기록한 블록체인 트랜잭션 해시 값이 포함되어 있어서 향후에도 크레딧 차감 내역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8과 같이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8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이외에도 소비자 단말(201), 유통채널 서버(202), 유통채널 관리자 단말(203), 운영자 단말(204), 탄소감축 사업 관리 서버(205) 또한 컴퓨터 시스템(8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80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메모리(810), 프로세서(820), 통신 인터페이스(8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8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8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시스템(8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8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8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8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830)를 통해 메모리(8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86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시스템(800)의 메모리(8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8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830)에 의해 프로세서(8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20)는 메모리(8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30)는 네트워크(860)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800)이 다른 장치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시스템(800)의 프로세서(820)가 메모리(8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8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86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860)를 거쳐 컴퓨터 시스템(800)의 통신 인터페이스(830)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800)으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820)나 메모리(8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시스템(80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86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유선/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86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86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40)는 입출력 장치(8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카메라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8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850)는 컴퓨터 시스템(80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시스템(800)은 도 8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80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8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각종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유통 채널에 탄소중립 실행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개인 및 단체가 탄소중립 소비를 실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탄소중립 제품을 제공하는 유통 채널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유통 채널과 관련된 운영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탄소감축 사업이 등록됨에 따라 상기 유통 채널에 대한 탄소 크레딧 풀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유통 채널을 통해 상기 탄소중립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탄소 크레딧 풀에서 차감된 탄소 크레딧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유통 채널에 해당되는 유통 채널 서버 상의 탄소 크레딧 풀에서 탄소 크레딧이 차감되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유통 채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거래 아이디와 탄소 크레딧 사용 내역을 포함한 거래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 크레딧 풀은 상기 유통 채널의 ID, 상기 탄소 크레딧 풀의 ID, 잔여 크레딧, 최소 크레딧 볼륨, 및 자동 갱신 모드의 설정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자동 갱신 모드가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상기 유통 채널과 관련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탄소감축 사업을 통해 발행되는 탄소 크레딧을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갱신 모드가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탄소 크레딧 풀의 잔여 크레딧이 사전에 정해진 최소 크레딧 볼륨 이하가 되는 경우 또는 상기 탄소 크레딧 풀의 잔여 크레딧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상기 탄소감축 사업을 통해 발행되는 탄소 크레딧을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유통 채널에서는 상기 탄소중립 제품에 대해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Net Zero Button)이 노출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탄소중립 제품에 대해 사전에 계산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상당하는 탄소 크레딧의 구매가 처리되고,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탄소 크레딧은 누적되어 관리되고 상기 유통 채널에서 상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누적된 탄소 크레딧에 따라 소비자 등급이 부여되고 상기 소비자 등급에 따른 혜택이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탄소감축 사업을 통해 발행되는 탄소 크레딧을 실시간으로 구매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의해, 상기 유통 채널의 탄소 크레딧 사용 내역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삭제
  7.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된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탄소중립 제품에 대해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Net Zero Button)이 노출되는 유통 채널을 등록하고 상기 유통 채널과 관련된 운영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탄소감축 사업이 등록됨에 따라 생성된 탄소 크레딧 풀을 관리하는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
    상기 유통 채널에서 상기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을 통해 상기 탄소중립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탄소 크레딧 풀에서 차감된 탄소 크레딧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유통 채널에 해당되는 유통 채널 서버 상의 탄소 크레딧 풀에서 탄소 크레딧이 차감되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유통 채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거래 아이디와 탄소 크레딧 사용 내역을 포함한 거래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하는 크레딧 관리 플랫폼 서버; 및
    상기 유통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및 크레딧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상기 유통 채널과 관련된 크레딧 사용 내역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고 관리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 크레딧 풀은 상기 유통 채널의 ID, 상기 탄소 크레딧 풀의 ID, 잔여 크레딧, 최소 크레딧 볼륨, 및 자동 갱신 모드의 설정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유통채널 관리 플랫폼 서버는,
    자동 갱신 모드가 오프(off)로 설정된 경우 상기 유통 채널과 관련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탄소감축 사업을 통해 발행되는 탄소 크레딧을 충전하고,
    상기 자동 갱신 모드가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탄소 크레딧 풀의 잔여 크레딧이 사전에 정해진 최소 크레딧 볼륨 이하가 되는 경우 또는 상기 탄소 크레딧 풀의 잔여 크레딧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상기 탄소감축 사업을 통해 발행되는 탄소 크레딧을 충전하고,
    상기 유통 채널에서는 상기 탄소중립 제품에 대해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Net Zero Button)이 노출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탄소배출량 상쇄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탄소중립 제품에 대해 사전에 계산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상당하는 탄소 크레딧의 구매가 처리되고,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탄소 크레딧은 누적되어 관리되고 상기 유통 채널에서 상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누적된 탄소 크레딧에 따라 소비자 등급이 부여되고 상기 소비자 등급에 따른 혜택이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41561A 2022-04-04 2022-04-04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64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561A KR102464018B1 (ko) 2022-04-04 2022-04-04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561A KR102464018B1 (ko) 2022-04-04 2022-04-04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018B1 true KR102464018B1 (ko) 2022-11-09

Family

ID=8404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561A KR102464018B1 (ko) 2022-04-04 2022-04-04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0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377B1 (ko) 2023-09-20 2023-12-27 주식회사 내일의쓰임 탄소저감활동 인증 기반의 리워드 제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17375B1 (ko) 2023-09-18 2023-12-27 주식회사 내일의쓰임 탄소배출량 기반의 탄소상쇄인증 및 탄소상쇄프로젝트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5027A (ja) * 2002-07-20 2006-02-09 シカゴ クライメイト エクスチェンジ,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排出量削減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154618A (ko) * 2020-06-12 2021-12-21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 배출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24553A (ko) * 2019-06-14 2022-03-03 뉴라이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격리된 탄소를 구비한 물질들에 대한 탄소 배출권의 블록체인 추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5027A (ja) * 2002-07-20 2006-02-09 シカゴ クライメイト エクスチェンジ,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排出量削減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20024553A (ko) * 2019-06-14 2022-03-03 뉴라이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격리된 탄소를 구비한 물질들에 대한 탄소 배출권의 블록체인 추적
KR20210154618A (ko) * 2020-06-12 2021-12-21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탄소 배출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375B1 (ko) 2023-09-18 2023-12-27 주식회사 내일의쓰임 탄소배출량 기반의 탄소상쇄인증 및 탄소상쇄프로젝트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17377B1 (ko) 2023-09-20 2023-12-27 주식회사 내일의쓰임 탄소저감활동 인증 기반의 리워드 제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41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energy network
US115013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energy settlements, network-based messaging, and applications supporting the same on a blockchain platform
US117561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energy settlements, network-based messaging, and software applications for electric power grids, microgrids, grid elements, and/or electric power networks
US10762564B2 (en) Autonomous peer-to-peer energy networks operating on a blockchain
KR101645689B1 (ko) 스마트 전력수요자원 네모모델링데이터 시뮬레이션 모듈을 통한 전력수요관리사업 프로젝트 경제성 분석장치 및 방법
KR102464018B1 (ko)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유통채널 탄소 상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900126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architecture for an internet-based marketplace
US8478684B2 (en) Fuel offering and purchase management system
US8121931B2 (en) Fuel offering and purchase management system
US10796254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optimal outage coordination in energy delivery systems
CN106796527A (zh) 基于价格和性能优化云服务的选择的系统和方法
CN104094301A (zh) 用于具有实时购买支持的移动商务的方法和系统
CN103765463A (zh) 有效地处理大量复杂的小值的金融交易的方法和系统
KR102331039B1 (ko) 블록체인 기반 제로-카본 실적 거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0210922B (zh) 信息展示资源分配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90591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08960604B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系统及装置
JP6833213B2 (ja) 商取引管理装置、商取引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7054694A1 (zh) 分散式多点营销网络
KR102550960B1 (ko) Nft 기반의 탄소중립 문화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476440B1 (ko) 블록체인 기반 탄소중립 기술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16582A (ko) 오프라인 스토어에서의 결제 데이터를 이용한 타겟팅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2606786B1 (ko) 에너지 공유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US20230186350A1 (en) Timepost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via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networks
RU130727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создания структуры и размещения рекламных кампа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