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823B1 - 덕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덕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823B1
KR102463823B1 KR1020160063746A KR20160063746A KR102463823B1 KR 102463823 B1 KR102463823 B1 KR 102463823B1 KR 1020160063746 A KR1020160063746 A KR 1020160063746A KR 20160063746 A KR20160063746 A KR 20160063746A KR 102463823 B1 KR102463823 B1 KR 10246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air
duct
air outlet
panel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632A (ko
Inventor
석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to KR102016006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82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2Outlet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된 외기를 공급 받도록 외기유입구를 형성하고 송풍팬을 통해 고내(庫內)로 외기를 송풍하기 위해 복수 개의 외기토출구를 갖는 덕트, 및 외기토출구 각각에 고르게 외기의 토출량을 안내하도록 덕트 내측에 구비되는 외기토출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덕트의 상부측으로 유입된 열교환된 외기를 높이차를 갖고 배치된 외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양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고내 전체에 걸쳐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여 냉동 또는 냉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덕트 어셈블리{DUCT ASSEMBLY}
본 발명은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의 상부측으로 유입된 열교환된 외기를 높이차를 갖고 배치된 외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양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고내 전체에 걸쳐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여 냉동 또는 냉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이나 식품의 저장기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신선도를 더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음식물이나 식품이 저장되는 내부를 저온상태로 유지한다.
최근에는 식생활이 개선되고 다양해지면서 보다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냉장고가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로는 곡물을 보관하기 위한 곡물 냉장고, 와인과 같은 술을 보관하기 위한 술 저장고, 김치나 야채 등을 보관하기 위한 김치냉장고 등이 있다.
한편, 통상의 냉장고는 음식물이나 과일 등과 같은 식품이 저장되는 본체와, 이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덕트를 포함하며, 냉기덕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의 작동을 통해 본체의 고내로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는 본체의 고내로 냉기가 공급될 때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냉기의 편차가 매우 커 고내의 냉장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05007호(공개일:1996년02월23일)에는 "냉장고 냉장실 냉기덕트 조립체"가 개시되고,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7421호(등록일:2000년10월09일)에는 "냉장고의 냉기유통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덕트의 상부측으로 유입된 열교환된 외기를 높이차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외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양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고내 전체에 걸쳐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덕트의 내측에 위치한 외기토출구 방향으로 외기가 설정량만큼 토출되도록 유도하고자 하는 덕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는: 열교환된 외기를 공급 받도록 외기유입구를 형성하고, 송풍팬을 통해 고내(庫內)로 외기를 송풍하기 위해 복수 개의 외기토출구를 갖는 덕트; 및 상기 외기토출구 각각에 고르게 외기의 토출량을 안내하도록 상기 덕트 내측에 구비되는 외기토출안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는, 상기 외기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외기유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장착하는 제 1패널; 및 상기 제 1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제 1패널과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외기토출구를 형성하는 제 2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덕트의 내부 상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기토출구는, 상기 덕트의 중간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중간외기토출구; 및 상기 덕트의 하측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하부외기토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는, 특정한 외기토출구로 외기의 송풍량을 확보하기 위해 가이드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은 높이 차이를 갖는 복수 개의 외기토출구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기 외기토출안내부재는 낙하하는 외기를 상기 외기토출구에 고르게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외기토출안내부재는, 상기 가이드채널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부; 송풍되는 외기를 대응되는 외기토출구로 유동 안내하기 위해 상기 돌부의 송풍 측에서 상향 경사진 제 1경사면; 상기 제 1경사면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유동되는 외기의 일부를 다른 외기토출구 측으로 방향 전환 안내하기 위한 방향전환안내부; 및 상기 방향전환안내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른 외기토출구 측으로 송풍되는 외기를 위해 송풍 공간을 확장하는 제 2경사면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는 종래 기술과 달리 덕트의 상부측으로 유입된 열교환된 외기를 높이차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외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양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고내 전체에 걸쳐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덕트의 내측에 위치한 외기토출구 방향으로 외기가 설정량만큼 토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 또는 냉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100)는 덕트(200) 및 외기토출안내부재(4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100)는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의 본체(10)에 적용할 수 있다. 편의상, 하기에서는 에어컨디셔너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0)에 덕트 어셈블리(10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열교환된 외기가 덕트(20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열교환된 외기가 외부에서 냉기를 최대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교환기와 덕트(200)는 근접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본체(10) 내부에서 열교환기는 레이아웃(lay-out)상 덕트(200)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덕트(200)는 열교환된 외기를 공급 받도록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기 측으로 외기유입구(220)를 형성한다. 이때, 외기유입구(220)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덕트(200)는 송풍팬(210)을 통해 본체(10)의 고내(庫內,12)로 외기를 송풍하기 위해 복수 개의 외기토출구(230,240,250)를 구비한다.
특히, 덕트(200)는 열교환된 외기를 외기유입구(220) 측으로 안정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외기유입구(220) 측에 송풍팬(2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210)은 덕트(20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다. 물론, 송풍팬(2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덕트(200) 내부에 작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덕트(200)는 송풍팬(210)의 유지 보수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덕트(200)는 제 1패널(202) 및 제 2패널(204)을 포함한다.
제 1패널(202)은 상측에 외기유입구(220)를 형성하고, 외기유입구(220)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도록 송풍팬(210)을 작동 가능하게 장착한다. 물론, 제 1패널(202)은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이때, 제 1패널(202)은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2패널(204)은 제 1패널(202)의 개방측을 막도록 제 1패널(202)에 결합된다. 아울러, 제 2패널(204)은 복수 개의 외기토출구(230,240,250)를 형성한다.
특히, 제 1패널(202)과 제 2패널(204)이 조립되면, 제 1패널(202)과 제 2패널(204) 사이에는 외기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내부공간(206)이 형성된다. 물론, 제 1패널(202)과 제 2패널(204)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고, 제 2패널(20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외기토출구(230,240,250)는 덕트(200)의 제 2패널(204)에 높이차를 두고 배치된다. 이는, 하나의 고내(12)에 고르게 열교환된 외기가 분출되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고내(12) 각각에 고르게 열교환된 외기가 분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편의상, 외기토출구(230,240,250)는 하나의 고내(12)에 고르게 분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한다.
상세히, 외기토출구(230,240,250)는 상부외기토출구(230), 중간외기토출구(240) 및 하부외기토출구(250)를 포함한다.
상부외기토출구(230)는 덕트(200), 특히 제 2패널(204)의 상측에 하나 이상 형성된다. 편의상, 상부외기토출구(230)는 제 2패널(204)의 상측에 2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중간외기토출구(240)는 제 2패널(204)의 상하 방향으로 대략 중앙 부위에 하나 이상 형성된다. 편의상, 중간외기토출구(240)는 제 2패널(204)의 중간 부위에 2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하부외기토출구(250)는 제 2패널(204)의 상하 방향으로 하측에 하나 이상 형성된다. 편의상, 하부외기토출구(250)는 제 2패널(204)의 하측에 2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상부외기토출구(230), 중간외기토출구(240) 및 하부외기토출구(250)는 각각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열교환된 외기는 송풍팬(210)에 의해 외기유입구(220)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유동 궤적을 형성한다.
그래서, 열교환된 외기는 일부가 상부외기토출구(230)로 토출되고, 나머지가 덕트(200)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 강제 유동된다.
이로 인해, 열교환된 외기 중, 중간외기토출구(240)로 토출되는 양이 상부외기토출구(230)와 하부외기토출구(250)로 토출되는 양보다 현저히 적게 된다.
그래서, 고내(12)는 상하 방향으로 냉기 온도차가 크게 됨으로써, 냉장 또는 냉동 효율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덕트(200)는 외기토출구(230,240,250) 각각에 고르게 외기의 토출량을 안내하도록 내측에 외기토출안내부재(400)를 구비한다.
특히, 외기토출안내부재(400)는 상대적으로 외기의 토출량이 적은 외기토출구(240) 즉, 중간외기토출구(240) 측으로 토출되는 외기의 양을 충분히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외기토출안내부재(400)는 덕트(200)의 내부 상측에서 하부외기토출구(250) 측으로 강제 이송(낙하)되는 외기의 일부를 중간외기토출구(240) 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상부외기토출구(230)와 중간외기토출구(240) 및 하부외기토출구(250) 측으로 토출되는 외기의 양에 대한 편차가 줄어들게 된다.
한편, 덕트(200)는 특정한 외기토출구(240,250)로 토출되는 외기의 송풍량을 확보하기 위해 가이드채널(30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2패널(204)은 덕트(200)의 내부 상측으로 하측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 중간외기토출구(240)와 하부외기토출구(250) 측으로 외기를 집중시키기 위해 가이드채널(300)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채널(300)은 송풍팬(210)에 의해 내부공간(206)에서 유동되는 외기에 방향성을 부여하여 중간외기토출구(240)와 하부외기토출구(250) 측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중간외기토출구(240)와 하부외기토출구(250) 측으로 송풍되는 외기의 양이 상부외기토출구(230)로 토출되는 외기의 양보다 훨씬 많게 된다.
물론, 가이드채널(30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외기토출안내부재(400)에 의해, 중간외기토출구(240)와 하부외기토출구(250) 측으로 송풍되는 외기의 양이 균일하거나 편차를 줄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내부공간(206)에서 상부외기토출구(230)와 중간외기토출구(240)와 하부외기토출구(250) 측으로 유동되는 열교환된 외기의 양은 비슷하거나 편차를 줄이게 된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채널(300)은 높이 차이를 갖는 복수 개의 외기토출구(240,250)에 걸쳐서 배치되고, 외기토출안내부재(400)는 낙하하는 외기를 외기토출구(240,250)에 고르게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외기토출안내부재(400)는 돌부(410), 제 1경사면(420), 방향전환안내부(430) 및 제 2경사면(440)을 포함한다.
돌부(410)는 가이드채널(300) 내측에서 제 1패널(202)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부(410)는 중간외기토출구(240)의 직전 또는 중간외기토출구(240)에 대응되도록 가이드채널(300)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1경사면(420)은 송풍되는 외기를 대응되는 중간외기토출구(240)로 유동 안내하기 위해 돌부(410)의 송풍 측에서 점차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부공간(206)의 상측에서 가이드채널(300)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송풍되는 외기는 제 1경사면(420)을 지나면서 일부가 안정적으로 중간외기토출구(240)로 토출 안내된다. 물론, 제 1경사면(420)의 경사각도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방향전환안내부(430)는 제 1경사면(420)에서 절곡되게 연장된다. 즉, 방향전환안내부(430)는 돌부(410)의 편평한 상측면일 수 있다. 이때, 방향전환안내부(430)는 대응되는 중간외기토출구(240) 측으로 유동되지 않는 외기를 하부외기토출구(250) 측으로 안정적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방향전환안내부(4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 2경사면(440)은 방향전환안내부(430)에서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돌부(410)에 형성되어 다른 외기토출구(250) 즉, 하부외기토출구(250) 측으로 송풍되는 외기를 위해 송풍 공간을 확장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 인해, 제 2경사면(440)을 지나는 외기는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송풍 공간으로 인해 송풍 속도가 저하됨으로써, 외기는 안정적으로 하부외기토출구(250) 측으로 토출 안내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경사면(440)을 통해 외기의 송풍 공간이 확대됨에 따라, 외기의 송풍 소음도 줄일 수 있다.
특히, 가이드채널(300)은 제 2경사면(440)을 통해 하향 유동되는 외기의 운동성(방향성)을 저하시키기 위해 하부외기토출구(250)를 상부외기토출구(230)나 중간외기토출구(240)보다 전측으로 소정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경사면(420)과 제 2경사면(440)은 곡면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00: 덕트 어셈블리
200: 덕트 202: 제 1패널
204: 제 2패널 210: 송풍팬
220: 외기유입구 230: 상부외기토출구
240: 중간외기토출구 250: 하부외기토출구
300: 가이드채널 400: 외기토출안내부재
410: 돌부 420: 제 1경사면
430: 방향전환안내부 440: 제 2경사면

Claims (6)

  1. 열교환된 외기를 공급 받도록 외기유입구를 형성하고, 송풍팬을 통해 고내(庫內)로 외기를 송풍하기 위해 복수 개의 외기토출구를 갖는 덕트; 및
    상기 외기토출구 각각에 고르게 외기의 토출량을 안내하도록 상기 덕트 내측에 구비되는 외기토출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복수 개의 상기 외기토출구 중 특정한 외기토출구로 외기의 송풍량을 확보하기 위해 가이드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외기토출안내부재는, 상기 가이드채널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부;
    송풍되는 외기를 대응되는 외기토출구로 유동 안내하기 위해 상기 돌부의 송풍 측에서 상향 경사진 제 1경사면; 및
    상기 제 1경사면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유동되는 외기의 일부를 다른 외기토출구 측으로 방향 전환 안내하기 위한 방향전환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외기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외기유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송풍팬을 장착하는 제 1패널; 및
    상기 제 1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제 1패널과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외기토출구를 형성하는 제 2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덕트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기토출구는, 상기 덕트의 중간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중간외기토출구; 및
    상기 덕트의 하측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하부외기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어셈블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채널은 높이 차이를 갖는 복수 개의 외기토출구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기 외기토출안내부재는 낙하하는 외기를 복수 개의 상기 외기토출구에 고르게 토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어셈블리.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토출안내부재는, 상기 방향전환안내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른 외기토출구 측으로 송풍되는 외기를 위해 송풍 공간을 확장하는 제 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어셈블리.
KR1020160063746A 2016-05-24 2016-05-24 덕트 어셈블리 KR10246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746A KR102463823B1 (ko) 2016-05-24 2016-05-24 덕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746A KR102463823B1 (ko) 2016-05-24 2016-05-24 덕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632A KR20170132632A (ko) 2017-12-04
KR102463823B1 true KR102463823B1 (ko) 2022-11-07

Family

ID=6092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746A KR102463823B1 (ko) 2016-05-24 2016-05-24 덕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9618A (zh) * 2019-02-26 2020-09-0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变温室内部回风的冰箱
CN111721051A (zh) * 2019-03-21 2020-09-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风道组件及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421Y1 (ko) 1999-01-20 200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유통구조
JP2013100973A (ja) 2011-11-10 2013-05-23 Panasonic Corp 冷蔵庫
JP2013160462A (ja) 2012-02-07 2013-08-19 Panasonic Corp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8775A (ko) * 2004-12-17 2006-06-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냉기 공급량 조절 레버
KR20160023124A (ko) * 2014-08-21 2016-03-0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 제어방법 및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421Y1 (ko) 1999-01-20 200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유통구조
JP2013100973A (ja) 2011-11-10 2013-05-23 Panasonic Corp 冷蔵庫
JP2013160462A (ja) 2012-02-07 2013-08-19 Panasonic Corp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632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488B1 (ko) 냉장고
KR920004982Y1 (ko)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 공급장치
CN109869968B (zh) 一种具有风道结构的冰箱
KR102412189B1 (ko) 냉장고
WO2017032148A1 (zh) 冰箱
WO2017032150A1 (zh) 冰箱
US9857121B2 (en) Ice maker of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05157318A (zh) 冰箱变温室冷气供给装置及方法
CN111609606B (zh) 一种具有双送风风机的冰箱及其送风控制方法
WO2013069254A1 (ja) 冷蔵庫
WO2019001552A1 (zh) 冷藏冷冻装置
JP4960399B2 (ja) 冷蔵庫
KR102463823B1 (ko) 덕트 어셈블리
WO2019129242A1 (zh) 冰箱
CN104422232A (zh) 冰箱
KR20070031721A (ko) 냉장고
CN210141733U (zh) 第一蒸发器位于冷冻内胆顶壁与冷冻室之间的冰箱
KR101637353B1 (ko) 냉장고
KR20170132631A (ko) 냉장고용 덕트 어셈블리
JP5895145B2 (ja) 冷蔵庫
US11946685B2 (en) Refrigerator
US20220275992A1 (en) Refrigerator
EP4006458B1 (en) Refrigerator with obliquely arranged evaporator
CN111609608B (zh) 一种具有双送风风机的冰箱
KR102348017B1 (ko) 과냉각 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