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648B1 - 3gpp2 네트워크에서의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evs) - Google Patents

3gpp2 네트워크에서의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ev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648B1
KR102463648B1 KR1020177030756A KR20177030756A KR102463648B1 KR 102463648 B1 KR102463648 B1 KR 102463648B1 KR 1020177030756 A KR1020177030756 A KR 1020177030756A KR 20177030756 A KR20177030756 A KR 20177030756A KR 102463648 B1 KR102463648 B1 KR 10246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packet
evs
encoded audio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627A (ko
Inventor
루즈베 아타리우스
알리레자 라이언 헤이다리
민 왕
다니엘 제러드 신더
존 월라스 나시엘스키
비베크 라젠드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0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5Correction of errors induced by the transmission channel, if related to the coding algorith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67Audio streaming, i.e. formatting and decoding of an encoded audio signal representation into a data stream for transmission or storage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2Comfort noise or silence co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73Transcoding, i.e. converting between two coded representations avoiding cascaded coding-de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4Variable rate codecs, e.g. for generating different qualities using a scalable representation such as hierarchical encoding or layered 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다양한 양태들에서, 개시물은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획득하는 단계;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소스 포맷을 확립하는 단계; 및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선택된 패턴으로 재포맷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인코딩을 위해 제공하며, 패킷의 용량은 소스 포맷에 기초한다. 그리고, 다양한 양태들에서, 개시물은 패킷과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를 획득하는 단계;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 패킷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을 폐기하는 단계;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디코딩을 위해 제공한다.

Description

3GPP2 네트워크에서의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EVS){ENHANCED VOICE SERVICES (EVS) IN 3GPP2 NETWORK}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이 출원은 2015 년 4 월 29 일에 미국특허청 (USPTO) 에 출원된 가특허출원 제 62/154,559 호, 및 2015 년 9 월 22 일에 미국특허청 (USPTO) 에 출원된 정규특허출원 제 14/861,131 호의 이익 및 이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분야
본 개시물의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고, 특히 3GPP2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 예컨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이 광범위하게 전개된다. 대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가용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중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한다. 그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이다. UTRAN 은 유니버셜 모바일 텔레통신 시스템 (UMTS),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에 의해 지원된 제 3 세대 (3G) 모바일 폰 기술의 부분으로서 정의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이다.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GSM) 기술들에 대한 후임인, UMTS 는 현재, 다양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 예컨대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W-CDMA), 시간 분할-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TD-CDMA), 및 시간 분할-동기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TD-SCDMA) 를 지원한다. UMTS 는 또한 고 품질 오디오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 (EVS) 을 지원한다.
그러한 네트워크의 또 다른 예는 cdma2000 시스템,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3GPP2) 에 의해 지원된 제 3 세대 (3G) 모바일 폰 기술에 기초한다. cdma2000 시스템은 cdma 에 대한 후임이고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해 성장하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모바일 통신들과의 사용자 경험을 발전 및 강화하기 위한 기술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계속 발전하고 있다.
다음은 이러한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물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개시물의 모든 고려되는 피처들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며, 개시물의 모든 양태들의 주요한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도록 의도된 것도 아니고 개시물의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들의 범위를 기술하도록 의도된 것도 아니다. 이것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두로서 본 개시물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일부 개념들을 간략화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인코딩을 위한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획득하는 단계;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소스 포맷을 확립하는 단계; 및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선택된 패턴으로 재포맷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패킷의 용량은 소스 포맷에 기초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로폰, 오디오 플레이어, 트랜스듀서, 또는 스피치 합성기 중 하나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패킷을 변조하여 변조된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 및 변조된 파형을 목적지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오디오 목적지는 오디오 소비자이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디코딩을 위한 방법은, 패킷과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를 획득하는 단계;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 패킷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을 폐기하는 단계;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방법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를 패킷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목적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오디오 목적지는, 스피커, 헤드폰, 레코딩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 중 하나이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인터워킹 (interworking) 을 위한 방법은, 불연속 송신 (DTX) 지원 없이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수신하는 단계; DTX 지원으로 제 2 네트워크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미리 선택된 패턴을 폐기하는 단계로서, 미리 선택된 패턴은 DTX 지원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 선택된 패턴을 폐기하는 단계; 및 패킷을 제 2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인터워킹을 위한 방법은, 불연속 송신 (DTX) 지원으로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수신하는 단계; DTX 지원 없이 제 2 네트워크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선택된 패턴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재포맷하는 단계로서, 미리 선택된 패턴은 DTX 지원에 기초하는,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재포맷하는 단계; 및 패킷을 제 2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인코딩을 위한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획득하는 수단;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소스 포맷을 확립하는 수단; 및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선택된 패턴으로 재포맷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패킷의 용량은 소스 포맷에 기초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장치는 패킷을 변조하여 변조된 파형을 생성하는 수단; 및 변조된 파형을 오디오 목적지에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오디오 목적지는 오디오 소비자이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디코딩을 위한 장치는, 패킷과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를 획득하는 수단;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 패킷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을 폐기하는 수단;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장치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목적지에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오디오 목적지는, 스피커, 헤드폰, 레코딩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 중 하나이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인터워킹을 위한 장치는, 불연속 송신 (DTX) 지원 없이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수신하는 수단; DTX 지원으로 제 2 네트워크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미리 선택된 패턴을 폐기하는 수단으로서, 미리 선택된 패턴은 DTX 지원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 선택된 패턴을 폐기하는 수단; 및 패킷을 제 2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인터워킹을 위한 장치는, 불연속 송신 (DTX) 지원으로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수신하는 수단; DTX 지원 없이 제 2 네트워크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선택된 패턴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재포맷하는 수단으로서, 미리 선택된 패턴은 DTX 지원에 기초하는,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재포맷하는 수단; 및 패킷을 제 2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가능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공유 프로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획득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소스 포맷을 확립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선택된 패턴으로 재포맷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패킷의 용량은 소스 포맷에 기초한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가능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공유 프로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패킷과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를 획득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 패킷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을 폐기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이들 및 다른 양태들은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의 검토 시에 보다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태들, 특성들, 및 실시형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첨부 도면들과 연계한 본 개시물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검토할 시에, 당업자들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본 개시물의 피처들이 하기에서 소정의 실시형태들 및 도면들에 대해 논의될 수도 있으나, 본 개시물의 모든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유리한 피처들 중 하나 이상의 유리한 피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이 소정의 유리한 피처들을 갖는 것으로 논의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피처들 중 하나 이상의 피처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이용될 수도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이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방법 실시형태들로 하기에서 논의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3GPP 및 3GPP2 에 대한 스피치 코덱들의 그래픽 표현이다.
도 2 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 (EVS) 에 대해 4 개의 지원된 대역폭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3 은 EVS 에 대한 뮤직 성능의 예들을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4 는 13.2 kbps 의 EVS 초 광대역 (SWB) 채널 어웨어 모드 (ch-aw 모드) 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 는 3 개의 예의 코덱들에 대한 상이한 에러 시나리오들의 DMOS (degradation mean opinion score) 의 예들을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6a 는 cdma2000 1x 에 대한 F-FCH (Forward Fundamental Channel) 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b 는 cdma2000 1x 에 대한 R-FCH (Reverse Fundamental Channel) 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 은 코덱 모드 구조들의 EVRC 패밀리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 는 서비스 옵션 73 인코딩 레이트 제어 파라미터들을 나타내는 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a 는 코덱 프레임들의 기존 강화된 가변 레이트 코덱 (EVRC) 패밀리에 제로 패딩된 EVS 5.9 프레임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b 는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워킹의 제 1 예를 도시한다.
도 9c 는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워킹의 제 2 예를 도시한다.
도 10 은 본 개시물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비-네이티브 EVS 시스템에서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인코딩 호환성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 은 본 개시물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비-네이티브 EVS 시스템에서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디코딩 호환성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 는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과 계위적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3 은 EVS 및 cdma2000 1x 어드밴스드 레이트 보코더 양자 모두에 대한 평균 레이트 기여도들의 일 예의 비교를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14 는 다른 보코더들과 비교한 EVS-WB 5.9 스피치 품질의 일 예를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15 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장치를 위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6a 는 3GPP 에 기초한 텔레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6b 는 3GPP2 에 기초한 텔레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7 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18 은 사용자 및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19 는 텔레통신 시스템에서 UE 와 통신하는 기지국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0 은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프로세싱 회로를 채용하는 장치를 위한 하드웨어 구현의 간략화된 예를 도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하기에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된 것이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구성들만을 나타내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이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나타낸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송신기에서의 스피치 코더 및 수신기에서의 스피치 디코더는 스피치 신호의 효율적인 디지털 표현을 제공한다. 효율은 비트 레이트, 즉 MOS (mean opinion score) 에 대한 스피치 신호를 나타내는데 사용된, 단위 시간 당 비트들의 평균 수에 관련된다. 다양한 예들에서, MOS 는 훈련된 청취자들의 그룹에 의해 레이팅되는 바와 같은 인코딩된 스피치 신호의 양해도 (intelligibility) 의 측정이다.
도 1 은 3GPP 및 3GPP2 에 대한 스피치 코덱들 (100) 의 그래픽 표현이다. 도 1 은 3GPP 에 대한 그리고 3GPP2 에 대한 스피치 코덱들의 평가를 도시한다. 3GPP 스피치 코덱들의 평가는 적응형 멀티-레이트 (AMR) 에서 적응형 멀티-레이트 광대역 (AMR-WB) 으로 그리고 EVS (4 개의 지원된 대역폭들을 가짐) 로 진화되고 있다. 3GPP2 스피치 코덱들의 진화는 강화된 가변 레이트 코덱 B (EVRC-B) 에서 강화된 가변 레이트 코덱-광대역 (EVRC-WB) 으로 그리고 강화된 가변 레이트 코덱-협대역-광대역 (EVRC-NW) 으로 진화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EVS 는 3GPP 에 대한 스피치 코덱들에 포함되지만 3GPP2 에 대한 스피치 코덱들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2 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 (EVS) 에 대해 4 개의 지원된 대역폭들 (200) 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2 에는 EVS 에서 4 개의 모드들에 대해 20 kHZ 까지 오디오 주파수 범위에 걸쳐 지원된 대역폭들이 나타나 있다. 도 2 에 도시된 4 개의 지원된 대역폭들은, 협대역 (NB), 광대역 (WB), 초 광대역 (SWB) 및 전체 대역 (FB) 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NB 는 음성을 지원하고, WB 는 고 선명도 (HD) 음성을 지원하고, SWB 는 (HD 음성을 포함한) 음성 및 뮤직을 지원하며, FB 는 (HD 음성을 포함한) 음성 및 고 선명도 (HD) 뮤직을 지원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EVS 는 다음의 속성들을 갖는 넓은 범위의 오디오 주파수들을 지원한다: a) 낮은 범위 주파수들은 자연스러움 및 청취 안락성을 개선할 수도 있음; b) 중간 범위 주파수들은 음성 명확성 및 양해도를 개선할 수도 있음; 및 c) 높은 범위 주파수들은 존재감을 개선하고 우수한 뮤직 품질에 기여할 수도 있다.
표 1 은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비트레이트들 및 지원된 대역폭들의 예들을 예시한다.
Figure 112017105432164-pct00001
EVS 비트레이트들은, 소스 압축 또는 소스 코딩 후인, 소스 비트레이트들이다. EVS 비트레이트들은 단위가 초 당 킬로비트 (kbps) 이다. 표 1 에서 각각의 EVS 비트레이트는 대응하는 지원된 대역폭들에 매핑되며, 여기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NB 는 협대역이고, WB 는 광대역이고, SWB 는 초 광대역이며, FB 는 전체 대역이다. 각각의 비트레이트는 그 지원된 대역폭으로서 NB 를 포함하지 않는 채널 어웨어 옵션을 갖는 비트레이트 13.2 kbps 를 제외하고 지원된 대역폭으로의 그 매핑에서 고유하다. 다양한 예들에서, 표 1 에 예시된 모든 비트레이트들은 불연속 송신 (DTX) 을 지원한다.
도 2 는 EVS 에 대한 상이한 비트 레이트 모드들 및 대역폭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표에 제시된 비트 레이트들은 단위가 초 당 킬로비트 (kbps) 이다. 표 2 에 표시된 바와 같이, 13.2 kbps WB 및 SWB 모드들은 또한 에러 리질리언시 (resiliency) 를 제공할 수도 있는 채널 어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7105432164-pct00002
(1) 13.2 kbps WB 및 SWB 모드는 또한 우수한 노력 채널 음성 서비스들에 대해 우세한 에러 리질리언시를 제공하는 채널 어웨어 모드를 포함한다.
도 3 은 EVS 에 대한 뮤직 성능들의 예들을 도시하는 차트 (300) 이다. 도 3 의 차트에서, 상이한 타입들의 코덱들은 수평 축 상에 열거되고 수직 축 상에는 MOS (mean opinion source) 에 관하여 플로팅된다. 가변 비트 레이트 (VBR) 및 7.01 kbps 송신 레이트를 갖는 EVS-NB 5.9 및 가변 비트 레이트 (VBR) 및 7.53 kbps 송신 레이트를 갖는 EVS-WB 5.9 의 예들에서, VBR 모드가 스피치 콘텐트에 대해 5.9 kbps 의 평균 비트 레이트를 달성하는 동안, 뮤직 콘텐트에 대한 비트 레이트는 5.9 와 8 kbps 사이에서 변화할 수도 있다. 도 3 에 제시된 예들은, 유사한 비트 레이트들로 AMR 을 통해 EVS 뮤직 성능에 대한 품질 개선이 있을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도 3 에 제시된 예들은, 13.2 kbps 의 EVS 가 2 배의 비트 레이트로 AMR-WB 를 통해 우수한 뮤직 성능을 가질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도 3 에 제시된 예들은 13.2 kbps 에서 EVS 가 23.85 비트 레이트로 AMR-모드를 통해 우수한 뮤직 품질을 가질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도 4 는 13.2 kbps 에서 EVS 초 광대역 (SWB) 채널 어웨어 모드 (ch-aw 모드) 의 일 예 (400) 를 도시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소스는 일정한 비트 레이트 스트림에서 가변 레이트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중요 (critical) 프레임의 부분 카피가 에러 리질리언스를 개선하기 위해 부가될 수도 있다. 이것은 "n" 을 프레임 n+2 에 부가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도 5 는 3 개의 예의 코덱들에 대해 상이한 에러 시나리오들에 대한 DMOS (degradation mean opinion score) 의 예들을 도시하는 차트 (500) 이다. 상이한 에러 시나리오들은 0 % 부터 9.4% 범위의 상이한 프레임 에러 레이트들에 대응한다. 도 5 에 나타낸 3 개의 예의 코덱들은, AMR-WB (23.85 kbps); EVS-SWB (13.2 kbps) 비-ch-aw; 및 EVS-SWB (13.2 kbps) ch-aw 이다. 도시된 예들은 비-ch-aw 모드와 비교할 때 ch-aw 모드에서 클린 채널 품질이 보존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6% 프레임 에러 레이트 (FER) 의 EVS SWB ch-aw 모드는 무손실 하에서 23.85 kbps 의 AMR-WB 과 동일한 DMOS 을 갖는다. 예를 들어, EVS SWB ch-aw 모드는 6% 프레임 에러 레이트 (FER) 하에서 23.85 kbps 의 AMR-WB 를 통해 0.9 의 DMOS (degradation mean opinion score) 개선을 갖는다.
표 3 은 EVS 비트 레이트들 및 용량 고려사항들의 진화를 나타내는 예들을 예시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EVS 가 기존 AMR/AMR-WB LTE 전송 블록들을 활용할 때 (있는 경우) 단지 최소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들만이 필요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7105432164-pct00003
도 6a 는 순방향 방향에서 (즉, 기지국에서 사용자 장비로) 정보 페이로드를 전송하는 cdma2000 1x 에 대한 F-FCH (Forward Fundamental Channel) 의 일 예 (600) 를 도시한다. 도 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R/F 는 예약된/플래그 비트들이고; F 는 프레임 품질 표시자 (예를 들어,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CRC)) 이며; 그리고 T 는 인코더 테일 비트들이다. 정보 페이로드는 "정보 비트들" 로 라벨링된 필드에서 반송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F-FCH 는 무선 구성 (RC)(1 내지 9, 11 및 12)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열거된 RC들 모두는 20 ms 의 프레임 지속기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RC (3 내지 9) 는 또한 5 ms 의 프레임 지속기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구성은 프레임 지속기간 및 데이터 레이트가 주어지면, 프레임 내에서 비트들의 할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b 는 역방향 방향 (즉,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 에서 정보 페이로드를 전송하는 cdma2000 1x 에 대한 R-FCH (Reverse Fundamental Channel) 의 일 예 (650) 를 도시한다. 도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R/E 는 예약된/소거 표시자 비트들이고; F 는 프레임 품질 표시자 (예를 들어,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CRC)) 이며; 그리고 T 는 인코더 테일 비트들이다. 정보 페이로드는 "정보 비트들" 로 라벨링된 필드에서 반송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R-FCH 는 무선 구성 (RC)(1 내지 6 및 8)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열거된 RC들 모두는 20 ms 의 프레임 지속기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RC (3 내지 6) 은 또한 5 ms 의 프레임 지속기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구성은 프레임 지속기간 및 데이터 레이트가 주어지면, 프레임 내에서 비트들의 할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 은 모드 구조들 (700) 의 강화된 가변 레이트 코덱 (EVRC) 패밀리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서비스 옵션 (SO) 협상을 통한 보코더 하드 핸드오프들은 EVRC 와 EVRC-WB 사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서비스 옵션 제어 메시지 (SOCM) 협상을 통한 보코더 프레임 양해도는 EVRC-WB 와 EVRC-NW 사이에서 가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NW 는 결합된 협대역 (NB) 및 광대역 (WB) 코덱을 나타낸다. 또한, 도 7 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COP 는 용량 동작 포인트를 나타낸다.
표 4 는 F-FCH (Forward Fundamental Channel) 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및 각각의 무선 구성에 대한 프레임 당 비트들의 수를 나타낸다. 표 4 는 데이터 레이트 및 RC 의 각각의 엔트리에 대한 F-FCH 에 대해 프레임 당 비트들의 할당을 나타낸다. 할당들은, 데이터 레이트 및 RC 의 각각의 엔트리에 대한 프레임 당 총 비트들에 부가하는, a) 예약된/플래그, b) 정보 페이로드, c) 프레임 품질 표시자 및 d) 인코더 테일에 대한 프레임 당 비트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레이트는 단위가 초 당 비트 (bps) 이다. 데이터 레이트 컬럼 내에서 괄호 내의 용어들은 프레임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각의 로우 엔트리에 대하여, 데이터 레이트 (bps 단위) 및 프레임 지속기간 (밀리초 (ms) 에서 초로 변환됨) 의 곱은 그 로우 엔트리에서 프레임 당 총 비트들과 동일하다.
Figure 112017105432164-pct00004
표 5 는 R-FCH (Reverse Fundamental Channel) 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및 각각의 무선 구성에 대한 프레임 당 비트들의 수를 나타낸다. 표 5 는 데이터 레이트 및 RC 의 각각의 엔트리에 대한 R-FCH 에 대해 프레임 당 비트들의 할당을 나타낸다. 할당들은, 데이터 레이트 및 RC 의 각각의 엔트리에 대한 프레임 당 총 비트들에 부가하는, a) 예약된/소거 표시자, b) 정보 페이로드, c) 프레임 품질 표시자 및 d) 인코더 테일에 대한 프레임 당 비트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레이트는 단위가 초 당 비트 (bps) 이다. 데이터 레이트 컬럼 내에서 괄호 내의 용어들은 프레임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각의 로우 엔트리에 대하여, 데이터 레이트 (bps 단위) 및 프레임 지속기간 (밀로 초 (ms) 에서 초로 변환됨) 의 곱은 그 로우 엔트리에서 프레임 당 총 비트들과 동일하다.
Figure 112017105432164-pct00005
도 8a, 도 8b 및 도 8c 는 서비스 옵션 73 인코딩 레이트 제어 파라미터들을 나타내는 표 800 의 일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서비스 옵션 73 은 EVRC 코덱들, 예를 들어 EVRC-NW 코덱의 패밀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표는 다양한 인코더 동작 포인트들에 대한 채널 인코딩 레이트들 및 소스 인코딩 레이트들 양자 모두를 나타낸다.
다양한 예들에서, EVS 이익들은 강화된 에러 리질리언스, 우수한 용량 및/또는 우세한 품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현저할 수도 있는, 데이터 손실에 대한 개선된 강건성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EVS 코덱은 지연 지터 조건들 하에서 테스팅되는 설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특성들은 에러 리질리언스를 강화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EVS 넓은 범위 비트레이트들은 다음과 같을 수도 있다: 9.6 - 128 kbps 범위의 초 광대역 (SWB); 5.9 - 128 kbps 범위의 광역 (WB) 및 5.9 - 24.4 kbps 범위의 협대역 (NB). 다양한 예들에서, SWB 모드는 50 Hz 내지 16 KHz 의 오디오 주파수 범위를 포함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EVS 의 우세한 품질은 AMR/AMR-WB 보다 우수한 품질의 NB 모드 및 WB 모드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다양한 예들에서, EVS 는 SWB 뮤직에 대한 엔터테인먼트 품질을 허용한다. 우수한 용량에 관하여, SWB 는 예를 들어, 13.2 kbps 에 있을 수도 있고 WB 는 5.9 kbps 에서 시작한다.
도 9a 는 코덱 프레임들 또는 패킷들의 기존 강화된 가변 레이트 코덱 (EVRC) 패밀리에 제로 패딩된 EVS 5.9 프레임들의 일 예 (900) 를 도시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코덱 프레임들 또는 패킷들의 기존 EVRC 패밀리에 제로 패딩된 EVS 5.9 프레임들을 가지면 일 시스템으로부터 또 다른 시스템으로 인터워킹할 때 최소 네트워크 업데이트들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롱-텀 에볼루션 (LTE) 네트워크로부터 cdma2000 1x 네트워크로 인터워킹할 때, 불연속 송신 (DTX) 가 LTE 네트워크 상에서는 지원되지만 cdma2000 1x 회로-교환형 (CS) 네트워크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경우, MGW-IWF (Media Gateway-Interworking Function) 는 LTE 로부터 cdma2000 1x CS 로의 인터워킹 시 널 (null) 프레임들을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예를 들어, 음성) 에 부가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MGW-IWF 는 cdma2000 1x CS 로부터 LTE 로 인터워킹할 때 널 프레임들을 폐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DTX 가 양자의 네트워크들 (예들 들어, LTE 및 cdma2000 1x CS) 모두에 지원되는 경우, MGW-IWM 에 의해 어떠한 액션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EVS 은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이다. 도 9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EVSOn1x 는 CDMA2000 1x 상의 EVS 이다.
도 9b 는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워킹의 제 1 예 (920) 를 도시한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인터워킹 네트워크들은 블록 (9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연속 송신 (DTX) 지원 없이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블록 (922) 에서, 상호작용은 DTX 지원으로 제 2 네트워크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미리 선택된 패턴을 폐기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고, 미리 선택된 패턴은 DTX 에 기초한다. 그리고, 블록 (923) 에서, 상호작용은 패킷을 제 2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네트워크는 cdma2000 1x CS 네트워크이고 제 2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이다.
도 9c 는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워킹의 제 2 예 (930) 를 도시한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인터워킹 네트워크들은 블록 (93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연속 송신 (DTX) 지원으로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블록 (932) 에서, 상호작용은 DTX 지원 없이 제 2 네트워크에 대해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선택된 패턴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재포맷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고, 미리 선택된 패턴은 DTX 지원에 기초한다. 그리고, 블록 (933) 에서, 상호작용은 패킷을 제 2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이고 제 2 네트워크는 cdma2000 1x CS 네트워크이다.
도 10 은 본 개시물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비-네이티브 EVS 시스템에서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1000) 이다.
블록 (1010) 에서, 오디오 소스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오디오 소스는 마이크로폰, 오디오 플레이어, 트랜스듀서 또는 스피치 합성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마이크로폰, 오디오 플레이어, 트랜스듀서, 또는 스피치 합성기는 사용자 장비 내의 컴포넌트들이다.
블록 (1020) 에서, 인코더는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획득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20 kHz 까지 (즉, 0 kHz 내지 20 kHz) 의 오디오 주파수 범위를 통해, 다음의 대역폭들 (즉, 지원된 대역폭): 협대역 (NB); 광대역 (WB), 초 광대역 (SWB) 및 전체 대역 (FB) 중 하나에서 지원된다. 유사하게,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20 kHz 까지 (즉, 0 kHz 내지 20 kHz) 의 오디오 주파수 범위를 통해, 다음의 대역폭들 (즉, 지원된 대역폭): 협대역 (NB); 광대역 (WB), 초 광대역 (SWB) 및 전체 대역 (FB) 중 하나에서 지원된다. 다양한 예들에서, 비트레이트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비트레이트이다. 비트레이트는 지원된 대역폭들 중 하나에 매핑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인코더는 인코더 및 디코더를 포함하는 코덱의 부분일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오디오 신호는 스피치 신호 또는 뮤직 신호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인코더는 소스 인코더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인코더는 디지털 스피치 인코더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인코더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 (EVS) 과 연관된 표준들에 따라 오디오 신호들을 인코딩하는 EVS 인코더이다. 예를 들어, 비트레이트는 소스 인코딩 레이트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비트레이트들은 지원된 대역폭들 중 하나에 매핑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표준들에 따라 연관된 EVS 비트 레이트로 비트들의 포맷된 그룹일 수도 있는 EVS 패킷이다.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채널 어웨어 모드, 예를 들어 13.2 kbps 의 EVS 초 광대역 (SWB) 채널 어웨어 모드 (ch-aw 모드) 일 수도 있다. 즉,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다음 중 하나 일 수도 있다: 5.9 kbps 의 인코딩된 음성 서비스 (EVS) 소스 제어형 가변 비트 레이트 (SC-VBR), 13.2 kbps 의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초 광대역 (SWB) 채널 어웨어 모드 (ch-aw 모드) 또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패킷.
블록 (1030) 에서, 제어기는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소스 포맷을 확립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소스 포맷은 예를 들어, cdma2000 1x 에 대한 무선 구성 (RC) 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어기는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대해 RC 또는 소스 포맷을 확립하는 것은 무선 구성 (RC) 또는 소스 포맷과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를 확립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구성은 순방향 에러 보정 (FEC) 파라미터들, 변조 파라미터들 및 확산 인자들을 포함하는, 채널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한 물리 채널 구성일 수도 있다.
특정 소스 포맷들 또는 RC들과 연관된 다양한 데이터 레이트들은, 예를 들어 F-FCH 또는 R-FCH 에 대하여 각각 표 4 및 표 5 에서 알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레이트는 채널 인코딩 레이트일 수도 있다.
블록 (1040) 에서, 프레이머는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재포맷하고, 패킷의 용량은 소스 포맷 (또는 무선 구성 (RC)) 에 기초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패킷은 비트들의 포맷된 그룹 내에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들의 포맷된 그룹이다. 즉, 비트들의 포맷된 그룹은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또한 다른 보조 비트들 (예를 들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만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그 자체를 포함하지 않는 오버헤드 비트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050) 에서, 변조기는 패킷을 변조하여 변조된 파형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변조기는 비트들의 포맷된 그룹 (즉, 패킷) 을 취하고 비트들의 포맷된 그룹을 변조 규칙 (미리 결정될 수도 있음) 에 따라 변조된 파형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변조 규칙은 제로 비트를 변조된 파형의 제 1 페이즈 상태로 변환하고 1 비트를 변조된 파형의 제 2 페이즈 상태로 변환할 수도 있다. 페이즈 상태는 변조된 파형의 이산 페이즈 오프셋 (예를 들어, 0 도 또는 180 도) 이다.
블록 (1060) 에서, 송신기는 변조된 파형을 오디오 목적지로 송신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오디오 목적지는 오디오 소비자, 예컨대 스피커, 헤드폰, 레코딩 디바이스,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 등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안테나는 변조된 파형을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안테나는 변조된 파형을 송신하기 위해 송신기와 함께 작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선택된 패턴들은 하나 이상의 제로-충진 비트들, 또는 하나 이상의 1-충진 비트들일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미리 선택된 패턴들은 비트들의 임의의 그룹들의 패턴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미리 선택된 패턴들은 비트들의 임의의 그룹의 패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패킷은 추가된 비트들, 예를 들어 예약된 비트들, 플래그 비트들, 소거 비트들, 또는 프레임 품질 표시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프레임 품질 표시자는 비트들의 프레임의 무결성을 표시하는 비트들의 그룹이다. 예를 들어, 프레임 품질 표시자는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CRC) 일 수도 있다. 패킷은 추가된 비트들, 예를 들어 인코더 테일 비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8.5 kbps 의 완전 레이트 코딩에 의한 cdma2000 레이트 세트 1 (RS 1) 에 대하여 F-FCH 에 대한 RC3 (9.6 kbps) 및 R-FCH 에 대한 RC3 (9.6 kbps) 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EVS 광대역 모드들 5.9 kbps, 7.2 kbps, 8.0 kbps 및 2.8 kbps 는 RS 1 및 RC 3 을 갖는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로 재포맷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패킷은 불연속 송신 (DTX) 을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DTX 동안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널 프레임들로 재포맷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변조된 파형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는 DTX 없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 또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와 협상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패킷은 cdma2000 1x 채널과 호환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패킷은 3GPP2 표준들에 따라 임의의 채널과 호환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킷은 4G-LTE 채널, 3G-WCDMA, WLAN (예를 들어, WiFi) 채널 또는 브로드밴드 고정형 네트워크 채널과 호환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킷은 강화된 가변 레이트 코덱 (EVRC) 모드 구조와 호환가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DRX 가 3GPP LTE 네트워크 상에서 지원될 때, 게이트웨이 및/또는 MSC 는 널/블랭크 프레임들을 부가/제거할 수도 있다. 널/블랭크 프레임들은 제로-패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 예컨대 게이트웨이 및/또는 MSC 는 DTX 기능성과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널 또는 블랭크 프레임들을 부가 또는 제거할 수도 있다. 널 또는 블랭크 프레임들은 부가 노이즈 삽입을 회피하기 위해 제로 이외의 값들을 가질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기지국은 DTX 기능성과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널 또는 블랭크 프레임들을 부가 또는 제거할 수도 있다.
패킷의 용량은 패킷에서 얼마나 많은 정보 비트들 (예를 들어, 오버헤드 비트들을 포함하지 않음) 이 이용가능한지에 의해 측정된다. 다양한 예들에서, 프레이머는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그것은 소스 포맷 또는 무선 구성 (RC) 을 확립하는 동일한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유닛일 수도 있고 또는 아닐 수도 있다.
도 11 은 본 개시물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비-네이티브 EVS 시스템에서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디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1100) 이다. 블록 (1110) 에서, 수신기는 신호를 수신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신호는 오디오 송신기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블록 (1120) 에서, 복조기는 수신된 신호를 패킷으로 변환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패킷은 비트들의 포맷된 그룹 내에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들의 포맷된 그룹이다. 즉, 비트들의 포맷된 그룹은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또한 다른 보조 비트들 (예를 들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만,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오버헤드 비트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조기는 비트들의 수신된 신호의 연속적인 부분들에 대한 판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비트들의 포맷된 그룹을 결정한다 (즉, 수신된 신호를 패킷으로 변환한다).
블록 (1130) 에서, 프로세서는 패킷과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를 획득한다. 패킷은 추가된 비트들, 예를 들어 예약된 비트들, 플래그 비트들, 소거 비트들 또는 프레임 품질 표시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프레임 품질 표시자는 비트들의 프레임의 무결성을 표시하는 비트들의 그룹이다. 예를 들어, 프레임 품질 표시자는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CRC) 일 수도 있다. 패킷은 추가된 비트들, 예를 들어 인코더 테일 비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패킷은 cdma2000 1x 채널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패킷은 3GPP2 표준들에 따른 임의의 채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킷은 4G-LTE 채널, 3G-WCDMA 채널, WLAN (예를 들어, WiFi) 채널 또는 브로드밴드 고정 네트워크 채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킷은 강화된 가변 레이트 코덱 (EVRC) 모드 구조일 수도 있다.
블록 (1140) 에서, 디프레이머는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 패킷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을 폐기한다. 예를 들어, 미리 선택된 패턴들은 하나 이상의 제로-충진 비트 또는 하나 이상의 1-충진 비트일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미리 선택된 패턴들은 비트들의 임의의 그룹들의 패턴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미리 선택된 패턴들은 비트들의 임의의 그룹의 패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패킷이다. 예를 들어,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채널 어웨어 모드, 예를 들어 13.2 kbps 의 EVS 초 광대역 (SWB) 채널 어웨어 모드 (ch-aw 모드) 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데이터 레이트는 채널 인코딩 레이트일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패킷의 용량은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무선 구성 (RC) 또는 소스 포맷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무선 구성은 순방향 에러 보정 (FEC) 파라미터들, 변조 파라미터들 및 확산 인자들을 포함하는, 채널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한 물리 채널 구성일 수도 있다.
패킷의 용량은 패킷에서 얼마나 많은 정보 비트들 (예를 들어, 오버헤드 비트들을 포함하지 않음) 이 이용가능한지에 의해 측정된다. 다양한 예들에서, 폐기되는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의 양은 소스 포맷 또는 무선 구성 (RC) 에 기초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디프레이머는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디프레이머는 수신기에 커플링될 수도 있고 수신기의 부분이거나 수신기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블록 (1150) 에서, 디코더는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디코더는 디코더 및 인코더를 포함하는 코덱의 부분일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스피치 신호 또는 뮤직 신호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디코더는 소스 디코더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디코더는 디지털 스피치 디코더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디코더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와 연관된 표준들에 따라 오디오 신호들을 디코딩하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디코더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패킷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20 kHz 까지 (즉, 0 kHz 내지 20 kHz) 의 오디오 주파수 범위를 통해, 다음의 대역폭들 (즉, 지원된 대역폭): 협대역 (NB); 광대역 (WB), 초 광대역 (SWB) 및 전체 대역 중 하나에서 지원된다. 유사하게,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20 kHz 까지 (즉, 0 kHz 내지 20 kHz) 의 오디오 주파수 범위를 통해, 다음의 대역폭들 (즉, 지원된 대역폭): 협대역 (NB); 광대역 (WB), 초 광대역 (SWB) 및 전체 대역 중 하나에서 지원된다.
다양한 예들에서, 비트레이트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비트레이트이다. 비트레이트는 지원된 대역폭들 중 하나에 매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트레이트는 소스 인코딩 레이트일 수도 있다. 복수의 비트레이트들은 지원된 대역폭들 중 하나에 매핑될 수도 있다.
블록 (1160) 에서, 디코더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목적지에 전송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오디오 목적지는 오디오 소비자, 예컨대 스피커, 헤드폰, 레코딩 디바이스, 디지털 저장 디바이스, 트랜스듀서 등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6b 에 도시된 3GPP2 에 기초한 예시의 텔레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음의 인터페이스들이 수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VS 를 위한 서비스 옵션은 UE (1650) 와 BTS (1662)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부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SC (1664) 와 MSC (1672) 사이의 인터페이스 (또한 A2 인터페이스로서도 알려짐) 는 EVS 를 지원하기 위해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A2 인터페이스는 MSC (1672) 의 스위치 컴포넌트와 BSC (1664) 의 선택 분포 유닛 (SDU) 사이에서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에 대해 64 kbps 비제한 디지털 정보 (UDI) 또는 64/56 kbps 펄스 코드 변조 (PCM) 정보 (예를 들어, 회로 배향된 음성) 를 반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SC (1664) 와 PDSN (1676) 사이의 인터페이스 (또한 A2p 인터페이스로서도 알려짐) 는 EVS 를 지원하기 위해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BSC (1664) 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EVS 를 지원하기 위해 업데이트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PDSN (1676) 내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PDSN (1676)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A2p 인터페이스는 패킷-기반 사용자 트래픽 세션들에 대해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A2p 인터페이스는 BSC (1664) 와 PDSN (1676) 사이 (또는 BSC (1664) 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사이) 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IP) 패킷들을 통해 음성 정보를 반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합법적 인터셉트 절차들이 EVS 와 호환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도 12 는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갖는 이종 네트워크 아키텍처 (1200) 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4G-LTE, 3G (WCDMA 및 cdma2000), WLAN (예를 들어, WiFi) 및 브로드밴드 고정 네트워크를 통해 EVS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본 개시물에 따른 이러한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의 사용은 네트워크 간 콜들에 걸쳐 트랜스코딩을 제거할 수도 있다.
도 13 은 EVS 및 cdma2000 1x 어드밴스드 레이트 보코더 양자에 대한 평균 레이트 기여도의 일 예의 비교를 도시하는 차트 (1300) 이다. 비교는 데이터 없음, 묵음 삽입 디스크립터 (SID) 프레임들, 포인트 대 포인트 프로토콜 (PPP) 프레임들, 노이즈 여기 선형 예측 (NELP) 프레임들, 대수 (algebraic) 코드 여기 선형 예측 (ACELP)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트래픽의 믹스를 사용한다.
도 14 는 다른 보코더들과 비교한 EVS-WB 5.9 스피치 품질의 일 예를 도시하는 차트 (1400) 이다. 차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NB 는 협대역을 나타내고 WB 는 광대역을 나타낸다. 수평 축 상의 코덱들의 상이한 타입들 (예를 들어, AMR, EVRC 등) 은 음성 품질 및 활성 스피치 평균 비트 레이트에 관하여 수직 축 상에 그래핑된다.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품질은 DMOS (degradation mean opinion score) 로 제시되고 활성 스피치 평균 비트 레이트는 초당 킬로비트 (kbps) 로 제시된다. 통상적으로, DMOS 의 상위 값은 1.0 부터 5.0 까지의 스케일로 우수한 주관적 음성 품질을 표시한다. 도 14 의 차트에 제시된 예들에 있어서, EVS-NB 5.9 는 품질 손실 없이 우수한 용량 (즉, 낮은 평균 비트 레이트) 및 용량 손실 없이 우수한 품질 (즉, 높은 DMOS) 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4 의 차트에 제시된 예들에서, EVS-WB 5.9 는 AMR-WB 12.65 의 절반 비트 레이트로 고 선명도 (HD) 음성 품질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4 의 차트에 제시된 예들에 있어서, EVS 5.9 는 최소 네트워크 용량 손실로 코덱 프레임 구조의 기존 EVRC 패밀리를 통해 적합할 수도 있다.
도 15 는 프로세싱 시스템 (1514) 를 채용하는 장치 (1500) 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514) 은 일반적으로 버스 (1502)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1502) 는 프로세싱 시스템 (1514) 및 전체 설계 제약들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하는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502) 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 (1504) 로 나타내어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일반적으로 메모리 (1505) 로 나타내어진 메모리, 및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06) 로 나타내어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1502) 는 또한, 다른 회로들, 예컨대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조절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어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버스 인터페이스 (1508) 는 버스 (1502) 와 트랜시버 (151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 (1510) 는 송신 매체를 통해 여러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의 성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1512)(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5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06)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한, 일반적인 프로세싱 및 버스 (1502) 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 (15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 (1514) 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해 아래에 기재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506) 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1504)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개시물 전체에 걸쳐 제시되는 여러 개념들은 다양한 텔레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6a 는 3GPP 에 기초한 텔레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예시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도 16a 에 도시된 본 개시물의 양태들은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채용하는 UMTS 시스템 (1600) 을 참조하여 제시된다. UMTS 네트워크는 3 개의 상호작용 도메인들: 코어 네트워크 (CN)(1604),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UTRAN)(1602), 및 사용자 장비 (UE)(1610) 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UTRAN (1602) 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UTRAN (1602) 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1606) 와 같은 개별 RNC 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 (RNS)(1607) 와 같은, 복수의 RNS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UTRAN (1602) 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RNC들 (1606) 및 RNS들 (1607) 에 부가하여 임의의 수의 RNC들 (1606) 및 RNS들 (1607) 을 포함할 수도 있다. RNC (1606) 는 특히 RNS (1607) 내에서 무선 리소스들을 할당, 재구성, 및 해제 (releasing) 하는 것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RNC (1606) 는 임의의 적절한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직접 물리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TRAN (1202) 에서 다른 RNC들 (미도시) 에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UE (1610) 와 노드 B (1608) 사이의 통신은 물리 (PHY) 계층 및 매체 액세스 제어 (MA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도 있다. 추가로, 개별 노드 B (1608) 에 의한 UE (1610) 와 RNC (1606) 사이의 통신은 무선 리소스 제어 (RR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도 있다. 예시의 사양에 있어서, PHY 계층은 계층 1 로 고려될 수도 있고; MAC 계층은 계층 2 로 고려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RRC 계층은 계층 3 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RNS (1607) 에 의해 커버된 지리적 영역은 다수의 셀들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무선 트랜시버 장치들이 각각의 셀을 서빙한다. 무선 트랜시버 장치는 일반적으로 UMTS 어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노드 B 로서 지칭되지만, 또한 기지국 (BS),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BTS),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부, 기본 서비스 세트 (BSS), 확장형 서비스 세트 (ESS), 액세스 포인트 (AP), 또는 기타 다른 적합한 용어로서 당업자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명료화를 위해, 3 개의 노드 B들 (1608) 이 각각의 RNS (1607) 에 나타나 있지만, RNS들 (1607) 은 임의의 수의 무선 노드 B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노드 B들 (1608) 은 임의의 수의 모바일 장치들에 대한 CN (1604) 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한다. UMTS 시스템에서, UE (1610) 는,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 (USIM)(1611)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 목적으로, 하나의 UE (1610) 가 다수의 노드 B들 (1608) 과 통신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순방향 링크로도 또한 지칭되는 DL 은 노드 B (1608) 로부터 UE (1610) 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로도 또한 지칭되는 UL 은 UE (1601) 로부터 노드 B (1608) 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CN (1604) 는 UTRAN (1602) 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CN (1604) 는 GSM 코어 네트워크이다. 하지만, 당업자는 이 개시물 전체에 걸쳐 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RAN 또는 다른 적절한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되어, GSM 네트워크들 이외의 CN들의 타입들로의 액세스들을 UE들에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N 네트워크 (1604) 는 회로 교환형 (CS) 도메인 및 패킷 교환형 (PS) 도메인을 포함한다. 회로 교환형 엘리먼트들의 일부는 모바일 서비스 교환 센터 (MSC),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VLR) 및 게이트웨이 MSC 이다. 패킷 교환형 엘리먼트들은 서빙 GPRS 지원 노드 (SGSN)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 (GGSN) 을 포함한다. EIR, HLR, VLR, 및 AuC 와 같은 일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회로 교환형 및 패킷 교환형 도메인들의 양자에 의해 공유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CN (1604) 는 MSC (1612) 및 GMSC (1614) 로 회로 교환형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부 어플리케이션들에서, GMSC (1614) 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MGW)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RNC (1606) 와 같은, 하나 이상의 RNC들은 MSC (1612) 에 접속될 수도 있다. MSC (1612) 는 콜 셋업, 콜 라우팅, 및 UE 이동성 기능들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MSC (1612) 는 또한, UE 가 MSC (1612) 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지속기간 동안 가입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VLR 을 포함한다. GMSC (1614) 는 회로 교환형 네트워크 (1616) 에 액세스하기 위해 UE 에 대해 MSC (1612) 를 통해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GMSC (1614) 는 특정 사용자가 가입했던 서비스들의 상세들을 반영하는 데이터와 같은, 가입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HLR)(1615) 를 포함한다. HLR 은 또한 가입자 특정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 센터 (AuC) 와 연관된다. 콜이 특정 UE 에 대해 수신될 때, GMSC (1614) 는 UE 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HLR (1615) 에게 질의하고 그 위치를 서빙하는 특정 MSC 에게 그 콜을 포워드한다.
CN (1604) 은 또한 서빙 GPRS 지원 노드 (SGSN)(1618)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 (GGSN)(1620) 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를 나타내는 GPRS 는 표준 회로 교환형 데이터 서비스들로 이용가능한 것들 보다 더 높은 속도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GGSN (1620) 은 패킷 기반 네트워크 (1622) 에 UTRAN (1602) 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패킷 기반 네트워크 (1622) 는 인터넷,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패킷 기판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GGSN (1620) 의 주요 기능은 UE들 (1610) 에 패킷 기반 네트워크 접속을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는 회로 교환형 도메인에서 MSC (1612) 가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패킷 기반 도메인에서의 기능들을 주로 수행하는, SGSN (1618) 을 통해 UE들 (1610) 과 GGSN (1620) 사이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UMTS 에 대한 에어 인터페이스는 확산 스펙트럼 다이렉트-시퀀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DS-CDMA) 시스템을 활용할 수도 있다. 확산 스펙트럼 DS-CDMA 는 칩들로 불리는 의사랜덤 비트들의 시퀀스에 의한 승산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확산한다. UMTS 에 대한 "광대역"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는 그러한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기술 그리고 부가적으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FDD) 를 위한 콜들에 기초한다. FDD 는 노드 B (1608) 와 UE (1610) 사이의 UL 및 DL 에 대해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한다. DS-CDMA 를 활용하고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TDD) 을 사용하는 UMTS 에 대한 또 다른 에어 인터페이스는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이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예들이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도 있더라도, 아래에 놓인 원리들은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동등하게 적용가능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16b 는 cdma2000 인터페이스를 채용하는 3GPP2 에 기초한 텔레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1640) 이다. 3GPP2 네트워크는 3 개의 상호작용 도메인들: 사용자 장비 (UE)(1650)(이동국 (MS) 으로도 또한 칭할 수도 있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1660), 및 코어 네트워크 (CN)(167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RAN (1660) 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한 다양한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RAN (1660) 은 개별 기지국 제어기 (BSC)(1664) 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복수의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BTS)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코어 네트워크 (CN)(1670) 는 RAN (1660) 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한다. CN (1670) 은 회로-교환형 (CS) 도메인 및 패킷-교환형 (PS) 도메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회로-교환형 엘리먼트들의 일부는 공중 교환형 텔레포니 네트워크 (PSTN)(1680) 에 접속하기 위한 모바일 스위칭 센터 (MSC)(1672) 및 인터넷 (1690) 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워킹 기능 (IWF)(1674) 이다. 패킷-교환형 엘리먼트들은 인터넷 (1690) 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1676) 및 홈 에이전트 (HA)(167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인증, 인가 및 어카운팅 (AAA) 기능 (미도시) 이 다양한 보안 및 행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 (CN)(1670) 에 포함될 수도 있다.
UE 의 예들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폰, 랩탑,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 는 모바일 장치로서 보통 지칭되지만,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단말기,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전문용어로서 당업자에 의해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7 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17 을 참조하면, UTRAN 또는 RAN 아키텍처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1700) 가 도시되어 있다.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각각이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셀들 (1702, 1704, 및 1706) 을 포함한 다중 셀룰러 영역들 (셀들) 을 포함한다. 다중 섹터들은 각각의 안테나가 셀의 일부에서 UE들과 통신하는 것을 담당하는 안테나들의 그룹들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셀 (1702) 에서, 안테나 그룹들 (1712, 1714, 및 1716) 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할 수도 있다. 셀 (1704) 에서, 안테나 그룹들 (1718, 1720, 및 1722) 는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 (1706) 에서, 안테나 그룹들 (1724, 1726, 및 1728) 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들 (1702, 1704 및 1706) 은 몇몇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각각의 셀 (1702, 1704, 또는 1706) 의 하나 이상의 셀들과 통신할 수도 있는, 사용자 장비 또는 UE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들 (1730 및 1732) 은 기지국 (1742) 과 통신할 수도 있고, UE들 (1734 및 1736) 은 기지국 (1744) 과 통신할 수도 있으며, UE들 (1738 및 1740) 은 기지국 (1746) 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지는 기지국에 대한 참조들은 도 16a 의 노드 B (1608) 및/또는 도 16b 의 BTS (166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각의 기지국 (1742, 1744, 1746) 은 개별 셀들 (1702, 1704, 및 1706) 에서 모든 UE들 (1730, 1732, 1734, 1736, 1738, 1740) 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 (도 16a, 도 16b 참조) 에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UE (1734) 가 셀 (1704) 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셀 (1706) 로 이동함에 따라, 서빙 셀 변화 (SCC) 또는 핸드오버가 발생하며, 여기서 UE (1734) 와의 통신은 소스 셀로서 지칭될 수도 있는 셀 (1704) 로부터, 타겟 셀로서 지칭될 수도 있는 셀 (1706) 으로 천이한다. 핸드오버 절차의 관리는 UE (1734) 에서, 개별 셀들에 대응하는 기지국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1606) 또는 기지국 제어기 (BSC)(1664)(도 16a, 도 16b 참조) 에서,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또 다른 적절한 노드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셀 (1704) 과의 콜 동안, 또는 임의의 다른 시간에서, UE (1734) 는 셀들 (1706 및 1702) 과 같은 이웃 셀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 뿐만 아니라 소스 셀 (1704) 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파라미터들의 품질에 의존하여, UE (1734) 는 이웃 셀들의 하나 이상과 통신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 시간 동안, UE (1734) 는 UE (1734) 가 동시에 접속되는 셀들의 리스트인, 활성 세트를 유지할 수도 있다 (즉,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 (DPCH) 또는 단편적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 (F-DPCH) 을 UE (1734) 에 현재 할당하고 있는 셀들이 활성 세트를 구성할 수도 있음).
액세스 네트워크 (1700) 에 의해 채용된 변조 및 다중 액세스 스킴은 전개되고 있는 특정 텔레통신 표준에 의존하여 달라질 수도 있다. 예시로서, 표준은 에볼루션-데이터 최적화 (EV-DO) 또는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UMB) 를 포함할 수도 있다. EV-DO 및 UMB 는 표준들의 cdma 2000 패밀리의 부분으로서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3GPP2) 에 의해 공포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이고 CDMA 를 채용하여 사용자 장비 (예를 들어, 이동국들) 에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표준은 대안으로 광대역-CDMA (W-CDMA) 및 CDMA 의 다른 변형들, 예컨대 TD-SCDMA 를 채용하는 유니버설 지상 무선 액세스 (UTRA); TDMA 를 채용하는 모바일 통신 (GSM) 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및 진화된 UTRA (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UMB),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및 OFDMA 를 채용하는 플래시-OFDM 일 수도 있다. UTRA, E-UTRA, UMTS, 롱-텀 에볼루션 (LTE), LTE 어드밴스드, 및 GSM 은 3GPP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 는 3GPP2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되어 있다.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채용된 다중 액세스 기술은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존할 것이다.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도 있다. 도 18 은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 (1800) 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18 로 돌아가면, 기지국 및 UE 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3 개의 계층들: 계층 1, 계층 2, 및 계층 3 으로 나타낸다. 계층 1 은 최하위 계층이고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계층 1 은 물리 계층 (1806) 으로서 지칭될 것이다. 계층 2 (L2 계층)(1808) 은 물리 계층 (1806) 위에 있고 물리 계층 (1806) 을 통해 UE 와 기지국 사이의 링크를 담당한다.
사용자 평면에서, L2 계층 (1808) 은 네트워크 측 상의 기지국에서 종료되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서브계층 (1810), 무선 링크 제어 (RLC) 서브계층 (1812),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1814) 서브계층을 포함한다.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UE 는 네트워크 측 상의 PDN 게이트웨이에서 종료되는 네트워크 계층 (예를 들어, IP 계층), 및 접속의 타단 (예를 들어, 종단 UE, 서버 등) 에서 종료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하는 L2 계층 (1808) 위에 몇몇 상부 계층들을 가질 수도 있다.
PDCP 서브계층 (1814) 은 상이한 무선 베어러들 및 논리 채널들 사이에서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PDCP 서브계층 (1814) 은 또한 무선 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부 계층 데이터에 대한 헤더 압축,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에 의G한 보안, 및 기지국들 사이에서 UE들에 대한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한다. RLC 서브계층 (1812) 는 상부 계층 데이터의 세분화 및 리어셈블리, 분실 데이터의 재송신, 및 데이터의 리오더링을 제공하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으로 인한 비순차적 수신을 보상한다. MAC 서브계층 (1810) 은 논리 및 전송 채널들 사이에서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MAC 서브계층 (1810) 은 또한 UE들 중 하나의 셀에서 다양한 무선 리소스들 (예를 들어, 리소스 블록들) 을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AC 서브계층 (1810) 은 또한 HARQ 동작들을 담당한다.
도 19 는 UE (1905) 와 통신하는 기지국 (BS)(191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여기서 기지국 (1910) 는 도 16a 및 도 16b 에서 각각 노드 B (1608) 또는 BTS (1662) 일 수도 있고, UE (1950) 는 도 16 및 도 16b 에서 UE (1610, 1650) 일 수도 있다. 다운링크 통신에서, 송신 프로세서 (1920) 는 데이터 소스 (1912) 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기/프로세서 (1940) 로부터 신호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1920) 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 뿐만 아니라 레퍼런스 신호들 (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 에 대해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 프로세서 (1920) 는 에러 검출을 위해, 순방향 에러 보정 (FEC) 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코딩 및 인터리빙하고, 다양한 변조 스킴들 (예를 들어, 2 진 위상 편이 변조 (BPSK), 4 위상 편이 변조 (QPSK), M-위상 편이 변조 (M-PSK), M-4 진폭 변조 (M-QAM) 등) 에 기초하여 신호 콘스틀레이션 (constellation) 으로 매핑하고, 직교 가변 확산 인자들 (OVSF) 로 확산하며, 그리고 일련의 심볼들을 생성하도록 스크램블링 코드들로 승산하는,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CRC) 코드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채널 프로세서 (1944) 로부터의 채널 추정들이 제어기/프로세서 (1940) 에 의해 사용되어 송신 프로세서 (1920) 에 대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스킴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들 채널 추정들은 UE (1950) 에 의해 송신된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또는 UE (1950) 로부터의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1920) 에 의해 생성된 심볼들은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 (1930) 에 제공된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 (1930) 는 제어기/프로세서 (1940) 으로부터의 정보로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는 것에 의해 이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여, 결국 일련의 프레임들을 야기한다. 프레임들은 송신기 (1932) 에 제공되고, 송신기는 안테나 (1934) 를 통한 무선 매체를 통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캐리어 상에서 프레임들을 증폭, 필터링, 및 변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컨디셔닝 기능들을 제공한다. 안테나 (1934) 는, 예를 들어 빔 스티어링 양방향 적응 안테나 어레이들 또는 다른 유사한 빔 기술들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 (1950) 에서, 수신기 (1954) 는 안테나 (1952) 를 통해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구하기 위해 송신을 프로세싱한다. 수신기 (1954) 에 의해 복구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 (1960) 에 제공되며, 이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하고,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 (1994) 에 그리고 데이터, 제어 및 레퍼런스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 (1970) 에 제공한다. 수신 프로세서 (1970) 는 기지국 (1910) 에서 송신 프로세서 (1920) 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싱을 역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프로세서 (1970) 는 심볼들을 디스크램블하고 역확산하고, 그 후 변조 스킴에 기초하여 기지국 (1910) 에 의해 송신된 최대 가능도 신호 콘스틀레이션 포인트들을 결정한다. 이들 소프트 판정들은 채널 프로세서 (1994) 에 의해 산출된 채널 추정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소프트 판정들은 그 후,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되어 데이터, 제어, 및 레퍼런스 신호들을 복구한다. CRC 코드들은 그 후, 프레임들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체크된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반송된 데이터는 그 후, UE (1950) 및/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데이터 싱크 (1972) 에 제공된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반송된 제어 신호들은 제어기/프로세서 (1990) 에 제공될 것이다. 프레임들이 수신기 프로세서 (1970) 에 의해 비성공적으로 디코딩될 때, 제어기/프로세서 (1990) 는 또한 그 프레임들에 대한 재송신 요청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인응답 (ACK) 및/또는 부정 확인응답 (NACK)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업링크에서, 데이터 소스 (1978) 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 (1990) 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이 송신 프로세서 (1980) 에 제공된다. 데이터 소스 (1978) 는 UE (1950) 및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키보드) 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기지국 (1910) 에 의한 다운링크 송신과 연관되어 설명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송신 프로세서 (1980) 는 FEC 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코딩 및 인터리빙하고, 신호 콘스틀레이션들에 매핑하고, OVSF들로 확산하고, 그리고 일련의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해 스크램블링하는, CRC 코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제공한다. 기지국 (1910) 에 의해 송신된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또는 기지국 (1910) 에 의해 송신된 미드앰블 (midamble) 에 포함된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프로세서 (1994) 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들은 적합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스킴들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1980) 에 의해 생성된 심볼들은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 (1982) 에 제공될 것이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 (1982) 는 이 심볼들을 제어기/프로세서 (1990) 로부터의 정보와 멀티플렉싱하는 것에 의해 이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며, 결국 일련의 프레임들을 야기한다. 프레임들은 그 후 송신기 (1956) 에 제공되고, 송신기는 안테나 (1952) 을 통한 무선 매체를 통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캐리어 상에서 프레임들을 증폭, 필터링, 및 변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컨디셔닝 기능들을 제공한다.
업링크 송신은, UE (1950) 에서 수신기 기능과 연관되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지국 (1910) 에서 프로세싱된다. 수신기 (1935) 는 안테나 (1934) 를 통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이 송신을 프로세싱하여 캐리어 상에서 변조된 정보를 복구한다. 수신기 (1935) 에 의해 복구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 (1936) 에 제공되며, 이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하고,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 (1944) 에 그리고 데이터, 제어 및 레퍼런스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 (1938) 에 제공한다. 수신 프로세서 (1938) 는 UE (1950) 에서 송신 프로세서 (1980) 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싱을 역 수행한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반송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그 후 데이터 싱크 (1939) 및 제어기/프로세서 (1940) 에 각각 제공될 것이다. 프레임들의 일부가 수신 프로세서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았다면, 제어기/프로세서 (1940) 는 또한, 확인응답 (ACK) 및/또는 부정 확인응답 (NACK)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들 프레임들에 대한 재송신 요청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들 (1940 및 1990) 은 기지국 (1910) 및 UE (1950) 에서 각각 동작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들 (1940 및 1990) 은 타이밍, 주변 인터페이스들, 전압 조절, 전력 관리, 및 다른 제어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메모리들 (1942 및 1992) 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기지국 (1910) 및 UE (1950) 각각에 대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기지국 (1910) 에서 스케줄러/프로세서 (1946) 는 UE들에 리소스들을 할당하고 UE들에 대해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EVS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들은 EVS 커버리지가 없는 무선 네트워크, 즉 비-네이티브 EVS 시스템을 통해 핸드 오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TE 커버리지 내의 UE 는 또 다른 커버리지, 예를 들어 3GPP2 커버리지로 EVS 없이 핸드 오버될 수도 있다. 트랜스코더는 상이한 포맷들 사이에서 트랜스코딩을 위한 필요성으로 인한 오디오 품질에서의 감소 및 지연에서의 가능한 증가를 갖는 EVS 커버리지에 대해 호환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0 은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프로세싱 회로 (2002) 를 채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간략화된 예를 도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 (2000) 이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이 프로세싱 회로 (2002) 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2002) 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일부 조합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 (2004) 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 (PLD) 들, 상태 머신들, 시퀀서들, 게이트형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이 개시물 전체에 걸쳐 개시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은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고, 소프트웨어 모듈들 (2016) 중 하나에 의해 구성, 재포맷, 또는 제어될 수도 있는 특수화된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소프트웨어 모듈들 (2016) 은 도 10 및 도 11 의 플로우 다이어그램들에서의 피처들 및/또는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진출 (egress) 모듈, 진입 (ingress) 모듈, 및/또는 라우팅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은 초기화 동안 로딩된 소프트웨어 모듈들 (2016) 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고, 추가로 동작 동안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2016) 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된 예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 (2002) 는 버스 (2010) 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2010) 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프로세싱 회로 (2002) 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2010)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도 알려짐), 및 스토리지 (2006) 를 포함한 다양한 회로들과 함께 링크한다. 스토리지 (2006) 는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및/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소정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2010) 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타이머들, 주변기기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 (2008) 는 버스 (2010) 와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 (2012)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2012) 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지원된 각각의 네트워킹 기술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다중 네트워킹 기술들은 트랜시버 (2012) 에서 발견되는 회로부 또는 프로세싱 모듈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유할 수도 있다. 각각의 트랜시버 (2012) 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의 성질에 의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2018)(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고 직접 또는 버스 인터페이스 (2008) 를 통해 버스 (2010) 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004) 는 스토리지 (2006) 를 포함할 수도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할 수도 있는 일반적인 프로세싱 그리고 버스 (2010) 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프로세서 (2004) 를 포함한 프로세싱 유닛 (2002) 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기능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 (2006) 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2004)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2002) 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로 지칭되든 다른 것으로 지칭되든, 명령들,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어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들, 실행의 스레드 (thread) 들, 절차들, 함수들, 알고리즘들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외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또는 스토리지 (2006) 에 컴퓨터 판독가능 형태로 상주할 수도 있다. 외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2006) 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시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 (예를 들어, 컴팩 디스크 (CD) 또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플래시 드라이브",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리드 온니 메모리 (ROM), 프로그램가능 ROM (PROM), 소거가능 PROM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 (EEPROM), 레지스터, 탈착가능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도 있는 명령들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2006) 는 또한, 예시로서, 반송파, 송신 라인,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도 있는 명령들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2006) 는 프로세싱 회로 (2002) 에서, 프로세서 (2004) 에서, 프로세싱 회로 (2002) 외부에 상주할 수도 있고, 또는 프로세싱 회로 (2002) 를 포함한 다중 엔티티들에 걸쳐 분포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또는 스토리지 (2006) 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수록될 수도 있다. 예시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에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이 개시물 전체에 걸쳐 제시된 기재된 기능성을 최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스토리지 (2006) 는 본 명세서에서 소프트웨어 모듈들 (2016) 로서 지칭될 수도 있는, 로딩가능 코드 세그먼트들, 모듈들, 어플리케이션들, 프로그램들 등에서 유지되고 및/또는 체계화되는 소프트웨어를 유지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2016) 의 각각은, 프로세싱 회로 (2002) 상에 설치되거나 로딩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의 동작들을 제어하는 런-타임 이미지 (2014) 에 기여하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행될 때, 소정의 명령들은 프로세싱 회로 (2002)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기재된 소정의 방법들, 알고리즘들, 및 프로세스들에 따라 기능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기능들의 각각은 도 10 및 도 11 의 하나 이상의 블록들에 개시된 피처들 및/또는 단계들에 매핑된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2016) 의 일부는 프로세싱 회로 (2002) 의 초기화 동안 로딩될 수도 있고, 이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2016) 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기능들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프로세싱 회로 (2002) 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소프트웨어 모듈들 (2016) 의 각각은 도 10 및 도 11 의 하나 이상의 블록들에 개시된 피처들 및/또는 단계들에 매핑된다. 예를 들어, 일부 소프트웨어 모듈 (2016) 은 프로세서 (2004) 의 입력/출력 (I/O), 제어 및 다른 로직 (2022) 을 구성할 수도 있고, 외부 디바이스들, 예컨대 트랜시버 (2012), 버스 인터페이스 (2008), 사용자 인터페이스 (2018), 타이머들, 수학적 코프로세서들 등으로의 액세스를 관리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2016) 은 인터럽트 핸들러들 및 디바이스 구동기들과 상호작용하고 프로세싱 회로 (2002) 에 의해 제공된 다양한 리소스들로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소스들은 트랜시버들 (2012), 사용자 인터페이스 (2018) 등으로의 액세스, 프로세싱 시간,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회로 (2002) 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은 멀티기능적일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소프트웨어 모듈들 (2016) 의 일부는 동일한 기능의 상이한 인스턴스들 또는 상이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로딩되고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은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2018), 트랜시버 (2012), 및 디바이스 구동기들로부터의 입력들에 응답하여 개시되는 배경 태스크들을 관리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다중 기능들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은 멀티태스킹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복수의 기능들의 각각은 필요할 때 또는 원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에 의해 서비스되는 태스크들의 세트로서 구현된다. 다양한 예들에서, 멀티태스킹 환경은 상이한 태스크들 사이에서 프로세서 (2004) 의 제어를 통과하는 시간공유 프로그램 (2020) 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각각의 태스크는 임의의 중요한 동작들의 완료 시 및/또는 인터럽트와 같은 입력에 응답하여 시간공유 프로그램 (2020) 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의 제어를 리턴한다. 태스크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의 제어를 가질 때, 프로세싱 회로는 제어 태스크와 연관된 기능에 의해 어드레싱되는 목적들을 위해 효과적으로 전문화된다. 시간공유 프로그램 (2020) 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라운드-로빈 (round-robin) 에 기초한 제어를 전송하는 메인 루프, 기능들의 우선순위화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의 제어를 할당하는 기능, 및/또는 핸들링 기능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4) 의 제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외부 이벤트들에 응답하는 인터럽트 구동형 메인 루프를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에서, 기능 1 내지 기능 N 으로서 런-타임 이미지 (2014) 에 도시된 기능들은 도 10 및 도 11 의 플로우 다이어그램들에서 개시된 피처들 및/또는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플로우 다이어그램들 (1000 및 1100) 의 방법들은 도 15 내지 도 20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시스템들의 하나 이상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플로어 다이어그램들 (1000 및 1100)(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됨) 의 방법들은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장치 또는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텔레통신 시스템의 몇몇 양태들이 W-CDMA 시스템을 참조하여 제시되었다. 당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개시물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은 다른 원격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예로서, 다양한 양태들은 TD-SCDMA 및 TD-CDMA 와 같은 다른 UMTS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은 또한, (FDD 모드, TDD 모드, 또는 이들 양자의 모드들에서의) 롱 텀 에볼루션 (LTE), (FDD 모드, TDD 모드, 또는 이들 양자의 모드들에서의) LTE-어드밴스드 (LTE-A), cdma2000,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 (UMB),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초광대역 (UWB), 블루투스, 및/또는 다른 적합한 시스템들을 채용한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채용된 실제 원격통신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또는 통신 표준은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존할 것이다.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들, 상태 머신들, 게이트형 로직,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이 개시물 전체에 걸쳐 기재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로 지칭되든 다른 것으로 지칭되든, 명령들,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어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들, 실행의 스레드들, 절차들, 함수들, 알고리즘들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도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시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 (예를 들어, 컴팩 디스크 (CD) 또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플래시 드라이브",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리드 온니 메모리 (ROM), 프로그램가능 ROM (PROM), 소거가능 PROM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 (EEPROM), 레지스터, 탈착가능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도 있는 명령들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예시로서,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 및 송신 라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싱 시스템에 상주할 수도 있고,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한 다중 엔티티들에 걸쳐 분포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수록될 수도 있다. 예시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에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이 개시물 전체에 걸쳐 제시된 기재된 기능성을 구현하는 최상을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개시된 방법들에 있어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위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의 예시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방법들에 있어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위가 재배열될 수도 있음이 이해된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샘플 순서로 제시하며, 그 안에 명확하게 기재되지 않으면,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위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전의 기재는 당업자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양태들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지만, 청구항들의 랭귀지와 부합하는 충분한 범위를 부여받아야 하며, 여기서, 단수로의 엘리먼트에 대한 언급은 명확하게 그렇게 서술되지 않으면 "하나 및 오직 하나만" 을 의미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 이상"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명확하게 달리 서술되지 않으면, 용어 "일부" 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그리고 a, b 및 c 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나중에 공지되게 되는 본 개시물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명백히 통합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떤 것도 그러한 개시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공중에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그 엘리먼트가 어구 "위한 수단" 을 사용하여 명백하게 기재되지 않는다면,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 그 엘리먼트가 어구 "위한 단계" 를 사용하여 기재되지 않는다면, 35 U.S.C.§112, 제 6 장의 규정 하에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30)

  1.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지원된 대역폭들: 협대역 (NB); 광대역 (WB), 초 광대역 (SWB) 또는 전체 대역 (FB), 중 하나에서, 0 kHz 내지 20 kHz 사이의 오디오 주파수 범위에 걸쳐 지원되는, 상기 비트레이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소스 포맷을 확립하는 단계로서, 상기 소스 포맷은 cdma2000 1x 에 대한 무선 구성 (RC) 인, 상기 소스 포맷을 확립하는 단계;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선택된 패턴으로 재포맷하는 단계로서, 상기 패킷의 용량은 상기 소스 포맷에 기초하고, 상기 재포맷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이 불연속 송신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불연속 송신 동안 상기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널 프레임들로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재포맷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미리 선택된 패턴으로 재포맷하는 단계;
    상기 패킷을 변조하여 변조된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파형을 오디오 목적지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로폰, 오디오 플레이어, 트랜스듀서, 또는 스피치 합성기 중 하나에 의해 생성되는,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목적지는 오디오 소비자인,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선택된 패턴은, 하나 이상의 제로-충진 (fill) 비트들, 하나 이상의 1-충진 비트들, 또는 비트들의 임의의 그룹 중 하나를 포함하는,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구성 (RC) 은, 순방향 에러 보정 (FEC) 파라미터들, 변조 파라미터들 및 확산 인자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채널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한 물리 채널 구성인,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스피치 신호 또는 뮤직 신호 중 하나인,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레이트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지원하는 지원된 대역폭들 중 하나에 매핑되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비트레이트인,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5.9 kbps 의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소스 제어형 가변 비트 레이트 (SC-VBR), 13.2 kbps 의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초 광대역 (SWB) 채널 어웨어 모드 (ch-aw 모드), 또는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패킷 중 하나인,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예약된 비트들, 플래그 비트들, 소거 비트들 또는 인코더 테일 비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
  10.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장치로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된 비트레이트를 획득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지원된 대역폭들: 협대역 (NB); 광대역 (WB), 초 광대역 (SWB) 또는 전체 대역 (FB), 중 하나에서, 0 kHz 내지 20 kHz 사이의 오디오 주파수 범위에 걸쳐 지원되는, 상기 비트레이트를 획득하는 수단;
    상기 비트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소스 포맷을 확립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소스 포맷은 cdma2000 1x 에 대한 무선 구성 (RC) 인, 상기 소스 포맷을 확립하는 수단;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선택된 패턴으로 재포맷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패킷의 용량은 상기 소스 포맷에 기초하고, 상기 재포맷하는 수단은, 상기 패킷이 불연속 송신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불연속 송신 동안 상기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널 프레임들로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재포맷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미리 선택된 패턴으로재포맷하는 수단;
    상기 패킷을 변조하여 변조된 파형을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변조된 파형을 오디오 목적지에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인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장치.
  11.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가능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공유 프로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디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변조된 파형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신호를 변환하여 패킷과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 상기 패킷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을 폐기하는 단계로서, 상기 미리 선택된 패턴들은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소스 포맷에 기초하고, 상기 소스 포맷은 cdma2000 1x 에 대한 무선 구성 (RC) 이고, 상기 패킷이 불연속 송신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불연속 송신 동안 상기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하나 이상의 널 프레임들로 재포맷 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을 폐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지원된 대역폭들: 협대역 (NB); 광대역 (WB), 초 광대역 (SWB) 또는 전체 대역 (FB), 중 하나에서, 0 kHz 내지 20 kHz 사이의 오디오 주파수 범위에 걸쳐 지원되는,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디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방법.
  13.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디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변조된 파형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상기 신호를 변환하여 패킷과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를 획득하는 수단;
    상기 데이터 레이트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 상기 패킷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을 폐기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미리 선택된 패턴들은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소스 포맷에 기초하고, 상기 소스 포맷은 cdma2000 1x 에 대한 무선 구성 (RC) 이고, 상기 패킷이 불연속 송신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불연속 송신 동안 상기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하나 이상의 널 프레임들로 재포맷 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미리 선택된 패턴들을 폐기하는 수단; 및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지원된 대역폭들: 협대역 (NB); 광대역 (WB), 초 광대역 (SWB) 또는 전체 대역 (FB), 중 하나에서, 0 kHz 내지 20 kHz 사이의 오디오 주파수 범위에 걸쳐 지원되는,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비-네이티브 강화된 음성 서비스 (EVS) 시스템에서 EVS 디코딩 패킷 호환성을 위한 장치.
  14.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가능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공유 프로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2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77030756A 2015-04-29 2016-04-08 3gpp2 네트워크에서의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evs) KR102463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54559P 2015-04-29 2015-04-29
US62/154,559 2015-04-29
US14/861,131 US20160323425A1 (en) 2015-04-29 2015-09-22 Enhanced voice services (evs) in 3gpp2 network
US14/861,131 2015-09-22
PCT/US2016/026654 WO2016176028A1 (en) 2015-04-29 2016-04-08 Enhanced voice services (evs) in 3gpp2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27A KR20180002627A (ko) 2018-01-08
KR102463648B1 true KR102463648B1 (ko) 2022-11-03

Family

ID=5596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756A KR102463648B1 (ko) 2015-04-29 2016-04-08 3gpp2 네트워크에서의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evs)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323425A1 (ko)
EP (1) EP3289585A1 (ko)
JP (1) JP6759241B2 (ko)
KR (1) KR102463648B1 (ko)
CN (1) CN108541328A (ko)
BR (1) BR112017023066A2 (ko)
WO (1) WO2016176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8703B2 (en) 2014-10-09 2018-12-04 T-Mobile Usa, Inc. Service capabilities in heterogeneous network
US10219147B2 (en) * 2016-04-07 2019-02-26 Mediatek Inc. Enhanced codec control
US11799922B2 (en) * 2016-12-21 2023-10-24 T-Mobile Usa, Inc. Network core facilitating terminal interoperation
US10771509B2 (en) 2017-03-31 2020-09-08 T-Mobile Usa, Inc. Terminal interoperation using called-termin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CN107170460B (zh) 2017-06-30 2020-12-0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音质调整方法、系统、主机端、及存储介质
CN111868938A (zh) 2019-02-27 2020-10-30 纳米谷株式会社 光伏电池模块
DE102020101735A1 (de) * 2020-01-24 2021-07-29 Bundesdruckerei Gmbh UWB-Kommunikation mit einer Mehrzahl von UWB-Datenkodierungsschemata
GB2595891A (en) * 2020-06-10 2021-12-15 Nokia Technologies Oy Adapting multi-source inputs for constant rate encoding
CN112953934B (zh) * 2021-02-08 2022-07-08 重庆邮电大学 Dab低延迟实时语音广播的方法及系统
CN115225197B (zh) * 2021-04-16 2024-01-23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US11671316B2 (en) * 2021-06-23 2023-06-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enerating and utilizing provisioning templates to provision voice, video, and data communication services
WO2023187566A1 (en) * 2022-03-30 2023-10-05 Jio Platform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ng bit rate for enhanced voice services (ev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7945A1 (en) * 2013-03-04 2014-09-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udio signals having corresponding spatial characteristic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1139B2 (en) * 2001-01-31 2003-10-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voice transmission systems during speech inactivity
US6721712B1 (en) * 2002-01-24 2004-04-13 Mindspeed Technologies, Inc. Conversion scheme for use between DTX and non-DTX speech coding systems
US7610543B2 (en) * 2002-06-18 2009-10-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turing with unequal error pro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392640A1 (en) * 2002-07-05 2004-01-05 Voiceage Corporation A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 in-based dim-and-burst signaling and half-rate max operation in variable bit-rate wideband speech coding for cdma wireless systems
BR0315179A (pt) * 2002-10-11 2005-08-23 Nokia Corp Método e dispositivo para codificar um sinal de fala amostrado compreendendo quadros de fala
US7406096B2 (en) * 2002-12-06 2008-07-29 Qualcomm Incorporated Tandem-free intersystem voice communication
CN1617605A (zh) * 2003-11-12 2005-05-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在语音信道传输非语音数据的方法及装置
US8102872B2 (en) * 2005-02-01 2012-01-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discontinuous transmission and accurate reproduction of background noise information
JP2008546341A (ja) * 2005-06-18 2008-12-18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非連続音声送信の際の擬似背景ノイズパラメータ適応送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4708446B2 (ja) * 2007-03-02 2011-06-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符号化装置、復号装置およびそれらの方法
US8090588B2 (en) * 2007-08-31 2012-01-0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MR-WB DTX synchronization
US20100205628A1 (en) * 2009-02-12 2010-08-12 Davis Bruce L Media processing methods and arrangements
EP2417749A4 (en) * 2009-04-07 2017-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ssion negotiation
US9026434B2 (en) * 2011-04-11 2015-05-05 Samsung Electronic Co., Ltd. Frame erasure concealment for a multi rate speech and audio codec
CN102810313B (zh) * 2011-06-02 2014-01-01 华为终端有限公司 音频解码方法及装置
EP2706766B1 (en) * 2011-06-09 2016-11-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Network node, terminal, bandwidth modific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bandwidth modification method
US9047863B2 (en) * 2012-01-12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criticality threshold control
US9179404B2 (en) * 2013-03-25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E-only discontinuous-TX smart blanking
FR3008533A1 (fr) * 2013-07-12 2015-01-16 Orange Facteur d'echelle optimise pour l'extension de bande de frequence dans un decodeur de signaux audiofrequences
CN103797777B (zh) * 2013-11-07 2017-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设备、终端设备以及语音业务控制方法
RU2661762C2 (ru) * 2013-11-27 2018-07-19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Гибридный формат полезной нагрузки rtp
BR112017016114A2 (pt) * 2015-03-12 2018-03-27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para tratar adaptação de taxa de codec em uma rede de comunicação, dispositivo sem fio, nó de rede, programa de computador,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7945A1 (en) * 2013-03-04 2014-09-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udio signals having corresponding spatial characteri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24840A (ja) 2018-08-30
KR20180002627A (ko) 2018-01-08
WO2016176028A1 (en) 2016-11-03
BR112017023066A2 (pt) 2018-07-03
US20160323425A1 (en) 2016-11-03
CN108541328A (zh) 2018-09-14
JP6759241B2 (ja) 2020-09-23
EP3289585A1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3648B1 (ko) 3gpp2 네트워크에서의 강화된 음성 서비스들(evs)
JP5864763B2 (ja) LTEVoIP無線ベアラのための半永続的スケジューリングをアクティブおよび非アクティブにすること
EP2409546B1 (en) Discontinuous uplink transmission operation and interference avoidance for a multi-carrier system
KR100929145B1 (ko) 서비스 고유 전송 시간 제어를 동반한 고속 업링크 패킷액세스 (hsupa) 자율 전송을 위한 저속 mac-e
JP6184598B2 (ja) 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信における電力スケーリングを回避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454504B1 (ko) 이볼브드 무선 시스템에서의 회선 교환 음성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레이트를 제어하는 방법
JP5956348B2 (ja) 可変レート・ボコーダを利用するユーザ機器のためのボイスオーバip容量を改善する方法
JP5944521B2 (ja) フレキシブル帯域幅システムのためのボイスサービスソリューション
JP6038944B2 (ja) フレキシブル帯域幅システムでの音声サポート
US20130223412A1 (e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frame early termination success rate
US10475456B1 (en) Smart coding mode switching in audio rate adaptation
US201400789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ing non-scheduled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6391686B2 (ja) 専用チャネル上の不連続送信を使用した回線交換音声ユーザ機器電流の低減
WO2013086398A1 (en) Support for voice over flexible bandwidth carrier
WO2017045125A1 (zh) 语音自适应参数的调整方法、系统及相关设备
US20160242185A1 (en) Power allocation for non-scheduled transmission over dual carrier hsupa
US9462592B2 (en) Enhancements for transmission over multiple carriers
US8797903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utilizing uplink synchronization shift command bits in TD-SCDMA uplink transmission
KR20140088126A (ko) Lte voip 무선 베어러를 위한 반―지속적 스케줄링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BR112016024890B1 (pt) Método e aparelho para reduzir consumo de bateria em um equipamento de usuário (ue) e memória legível por comput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