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462B1 -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462B1
KR102463462B1 KR1020180016827A KR20180016827A KR102463462B1 KR 102463462 B1 KR102463462 B1 KR 102463462B1 KR 1020180016827 A KR1020180016827 A KR 1020180016827A KR 20180016827 A KR20180016827 A KR 20180016827A KR 102463462 B1 KR102463462 B1 KR 10246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ump
electric oil
learning
temperatu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425A (ko
Inventor
안성현
강승재
이학성
김연호
김종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4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7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은, 구동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 편차를 학습하는 단계 및 유량 편차의 학습을 통해, 구동 모터의 냉각에 필요한 요구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요구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전동식 오일펌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전동식 오일펌프의 구동 회전수를 결정함에 있어, 현재 적용된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에 관한 학습 결과를 적용할 있게 되어,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냉각 성능 발휘를 위한 적절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ELECTRIC OIL PU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Electric Oil Pump, EOP)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구동용 모터 냉각에 사용되는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파워 트레인에서는 변속 장치 내에 구비된 기계식 오일펌프 외에 별도로 전동식 오일펌프를 구비한다. 이것은 하이브리드 차량이 전기차 모드로 발진하거나 주행하는 경우에,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기계식 오일펌프의 토출 유압만으로는 제때에 변속장치에서 필요로하는 충분한 유압을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종래의 전동식 오일펌프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오일펌프(1)는 모터(10)와, 상기 모터(10)의 전방에 장착되는 펌프(20)를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모터(1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는 축(11)은 펌프(20)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구비되고, 펌프(20) 내부에 위치하는 축(11)부분에는 임펠러(21)가 장착된다.
또한, 펌프(20)의 펌프 하우징(22)에는 오일 유입구(23a)와 오일 토출구(23b)가 형성되는 오일유로(23)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임펠러(21)는 상기 오일유로(23)의 중앙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모터(10)가 구동하면, 오일은 펌프(20)내의 임펠러(21)의 회전에 의해 오일유로(23)의 오일 유입구(23a)로부터 유입되어서 오일 토출구(23b)를 통해 토출되어 외부로 오일을 공급하게 된다.
특허문헌 2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전동식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은 차량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의 윤활과 냉각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에 장착되는 모터 냉각을 위해 전동식 오일펌프(EOP)를 이용한 유냉 시스템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다른 친환경 자동차와는 달리,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의 변속기 유압 부품이 없기 때문에, 전동식 오일펌프의 역할은 구동 모터의 냉각에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전동식 오일펌프의 성능 편차는 모터의 냉각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5924호 (2014.6.20.)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606호 (2017. 10.12.)
일반적으로 전동식 오일펌프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를 냉각하는 경우, 전동식 오일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을 직접 구동모터에 분사하여 냉각한다. 이때, 공급되는 오일의 유량은 전동식 오일펌프의 회전 속도에 의해 결정되며, 전동식 오일펌프의 회전속도는 구동 모터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특허문헌 2에서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동식 오일펌프를 제어하는 상위 제어기(Transmission Control Unit, TCU)에서는 구동 모터의 모터 코일 온도, 오일 온도, 구동 모터 토크, 구동 모터 회전 속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동식 오일펌프의 요구 회전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요구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전동식 오일펌프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전동식 오일펌프의 요구 회전 속도는 유량 품질이 하(下)품인 전동식 오일펌프를 기준으로 하여 저장된 맵 기반 데이터 또는 함수로서 정의된다. 그런데, 동일한 전동식 오일펌프의 경우에도 유량 품질에 편차가 존재할 수 있으며, 특히 유량 품질이 우수한 상(上)품인 경우 필요 이상의 유량으로 오일이 토출되게 되어, 소모 전력의 과다로 차량의 연비가 감소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식 오일펌프의 성능 품질을 학습하여 각 조건에서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에서는, 구동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 편차를 학습하는 단계 및 유량 편차의 학습을 통해, 구동 모터의 냉각에 필요한 요구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요구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전동식 오일펌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전동식 오일펌프의 구동 회전수를 결정함에 있어, 현재 적용된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에 관한 학습 결과를 적용할 있게 되어,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냉각 성능 발휘를 위한 적절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편차를 학습하는 단계는, 특정 회전 속도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를 회전시키는 단계, 소정 시간의 경과 후, 변화된 상기 구동 모터의 온도 및 상기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변화된 구동 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에 근거하여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및 구동 모터의 냉각을 위해 미리 정해진 전동식 오일펌프의 요구 회전 속도를, 학습을 통해 결정된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 수준에 의거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모터의 냉각에 필요한 요구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구동 모터의 냉각에 필요한 오일 유량을 결정하고,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편차를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결정된 오일 유량을 만족시키기 위한 전동식 오일펌프의 요구 회전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편차를 학습하는 단계에 앞서, 학습 진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 진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이 일정 시간 이상 정속 주행 중인 경우에 학습 진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 진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이 상기 구동 모터의 코일을 이용하여 멀티 충전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에 학습 진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 진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오일의 온도, 상기 구동 모터의 코일 온도 및 상기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온 센서, 구동 모터 온도 센서, 냉각수 온도 센서등의 센서 정보가 정상 출력되는 경우에 학습 진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회전 속도는, 현재의 오일의 온도, 상기 구동 모터의 온도 및 상기 냉각수 온도에 따라 미리 학습용으로 저장된 목표 전동식 오일펌프 회전수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편차의 학습 중 상기 구동 모터의 토크 또는 회전속도가 변화하는 경우, 학습 진행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학습을 중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화된 구동 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로부터, 전동식 오일펌프의 냉각 효율을 판단하고, 냉각 효율에 근거하여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 수준을 소정의 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 수준의 각 단계 별로 상이하게 설정된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요구 회전 속도를 보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전동식 오일펌프의 품질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구동 모터 온도 관리를 실현할 수 있어 동일한 전동식 오일펌프가 적용된 친환경 차량 간의 연비 편차 문제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전동식 오일펌프의 노후화에 의해 유량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일정한 구동 모터 냉각 효과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오일펌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유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구동 모터, 오일 온도 및 냉각수 온도와 전동식 오일펌프의 구동 상태에 관한 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유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유냉 시스템은 전동식 오일펌프(1), 전동식 오일펌프(1)에 의해 공급되는 오일에 의해 냉각 및 윤활이 이루어지는 구동 모터(10), 오일 필터(50) 및 오일 온도 센서(60)를 포함하는 오일팬(40)으로 구성되는 유압 회로를 포함한다. 오일팬(40)에 저장된 오일은 오일 필터(50)를 통해 전동식 오일펌프(1)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오일펌프(1)는 구동 모터(30)에 직접 오일을 공급하여 구동 모터(30)를 윤활 및 냉각시킨다. 전동식 오일펌프(1)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TCU)에 의해 그 회전 속도가 제어됨으로써, 구동 모터(30)로 공급되는 오일이 유량이 제어된다. 오일 온도 센서(60)는 전동식 오일펌프(1)에 공급되는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된 오일의 온도에 관한 정보는 제어기(TCU)로 전달되어, 전동식 오일펌프(1)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2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냉 시스템은 PE 시스템(power electronics system)(80)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냉각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냉각 시스템은 PE 시스템(80), 라디에이터(100), 오일쿨러(70), 냉각수 온도센서(90)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100)는 냉각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냉각하고, 이 냉각수를 이용하여 PE 시스템(80) 및 오일쿨러(70) 내부를 통과하는 오일을 냉각한다. 유압 회로를 순환하는 오일은 오일쿨러(70)를 통해 냉각되고, 냉각된 오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0)의 냉각에 사용된다. 냉각수 온도센서(90)는 냉각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수온을 측정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에 관한 정보는 제어기(TCU)로 전달되어 전동식 오일펌프(1)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구동 모터, 오일 온도 및 냉각수 온도와 전동식 오일펌프의 구동 상태에 관한 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오일펌프를 제어하는 제어기는 먼저, 차량의 운전 상태가,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을 학습하기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동모터(30)의 상태, 즉 구동 모터의 토크 및 회전 속도가 학습을 실시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 될 필요가 있다. 즉, 차량이 일정 시간 이상 정속 주행을 하고 있는 상태이거나 또는 구동 모터(30)의 코일을 이용하여 멀티 충전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와 같이 구동 모터(30)의 동작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 기대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오일의 유온, 구동 모터(30)의 온도 및 냉각수의 온도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위 측정값을 획득하기 위한, 오일 온도 센서(60), 구동 모터 온도 센서(110) 및 냉각수 온도 센서(90)가 정상 작동 중이서 각각의 센서로부터 제어기로 정상 신호가 전달되고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한 후 학습에 들어갈 필요가 있다.
단계 S10에서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을 학습하기 위한 학습 조건이 만족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기는 전동식 오일펌프(1)가 특정 회전 속도로 소정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전동식 오일펌프(1)를 제어한다(S20). 이때, 바람직하게는 특정 회전 속도는, 현재의 오일의 온도, 상기 구동 모터의 온도 및 상기 냉각수 온도에 따라 미리 학습용으로 저장된 목표 전동식 오일펌프 회전수이다. 이 목표 전동식 오일펌프 회전수는 도 3의 (a)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리 각각의 차량에 저장된, 오일의 온도, 구동 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와의 관계에 관한 맵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단계 S20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구동 모터(30)의 동작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적이고 정확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어기는 소정 시간의 경과 전 구동 모터(30)의 동작 상태에 변화가 발생하는 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S30), 소정 시간의 경과 전 구동 모터(30)의 동작 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학습 진행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학습을 중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구동 모터(30)의 동작 상태는 학습 중 구동 모터의 토크 또는 회전속도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구동 모터(30)의 동작 상태의 변화 없이, 전동식 오일펌프(1)가 특정 회전 속도로 소정 시간 동안 작동한 다음, 제어기는, 구동 모터 온도 센서(110) 및 냉각수 온도 센서(90)를 이용하여, 상기한 소정 시간 동안 변화된 구동 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를 측정한다(S40). 이를 통해, 소정 시간 동안의 전동식 오일펌프(1)의 동작에 따른 냉각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는 상기한 구동 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를 측정결과 값을 이용하여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 수준을 판정한다(S50). 만약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이 낮은 경우, 즉, 소정의 회전수로 전동식 오일펌프(1)를 회전시켰을때 토출되는 유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냉각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위 소정 시간 동안 특정한 회전수로 전동식 오일펌프(1)를 회전시켰을 때 기대되는 냉각효과를 측정결과와 대비하면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화된 구동 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를 기준이 되는 구동 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값과 대비하여 전동식 오일펌프(1)의 냉각 효율을 판단하고, 냉각 효율에 근거하여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 수준을 소정의 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값과 기준값의 편차에 따라 유량 품질 수준을 상·중·하의 세단계로 구분하여 판정할 수 있다. 본래 동일한 전동식 오일펌프(1)의 경우 동일한 유량 품질이 기대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실제로는 각각의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고 편차를 보이게 되므로, 이러한 편차를 일정한 기준에 의거하여 판정하는 것이다.
단계 S50을 통해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이 판정되면, 판정된 유량 품질 수준에 의거하여, 제어기는 전동식 오일펌프(1)의 요구 회전 속도를 보정한다(S60). 도 3(b)의 맵에서 나타나 있듯이, 구동 모터의 토크 수준, 구동 모터의 온도 및 오일의 온도에 따라 전동식 오일펌프(1)의 회전 속도가 결정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맵 데이터로 저장된 전동식 오일펌프(1)의 회전 속도는 전동식 오일펌프(1)가 소정의 유량 품질을 가지고 있음을 전제로 한다. 예컨대,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이 하품인 것을 전제로 한 맵 데이터가 초기값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에 따라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에는 열화가 발생하게 되고, 품질 열화가 발생되기 이전이라 하더라도, 각각의 차량에 설치된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이 모두 동등하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에서는 도 3(b)와 같은 맵을 통해 결정되는 전동식 오일펌프(1)의 요구 회전 속도를 전 단계에서 판정한 유량 품질 수준에 의거 보정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 수준의 각 단계 별로 상이하게 설정된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전동식 오일펌프(1)의 요구 회전 속도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유량 품질 수준을 상·중·하의 세 단계로 구분한 경우 각 품질 수준에 따라 상이한 보정 계수를 설정하여 놓고, 이 보정 계수를 이전의 맵 데이터를 통해 결정되는 요구 회전 속도에 곱하는 방식으로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보정된 요구 회전 속도는 기존의 요구 회전 속도를 대체하여 맵 데이터로 저장되어, 이후의 전동식 오일펌프(1)의 제어 및 학습에 활용되게 된다.
제어기는 전동식 오일펌프(1)를 이용한 구동 모터(30)의 냉각시에, 상기한 학습이 반영된 요구 회전 속도로 전동식 오일펌프(1)를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구동 모터(30)를 목표로 하는 수준으로 냉각하기 위하여 필요한 냉각 유량을 결정하게 된다(S70). 이때의 냉각 유량은 구동 모터(30)의 온도 및 오일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도 3(c)에서와 같은 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냉각 유량이 결정되면, 해당 냉각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전동식 오일펌프(1)의 회전 속도를 계산하게 된다(S80). 그리고, 계산된 회전 속도로 전동식 오일펌프(1)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기는 전동식 오일펌프(1)를 제어하게 된다(S90).
이때의 전동식 오일펌프(1)의 회전 속도는 위 전동식 오일펌프(1)의 학습을 통해 보정된 값이므로, 제어기는 현재의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 수준을 정확히 반영한 회전 속도로 전동식 오일펌프(1)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제어 방법과는 달리, 전동식 오일펌프(1)의 유량 품질 수준이 높은 경우에도, 필요 이상으로 높은 회전수로 전동식 오일펌프(1)를 회전시켜 차량의 연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동일한 전동식 오일펌프의 품질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구동 모터 온도 관리를 실현할 수 있어 동일한 전동식 오일펌프가 적용된 친환경 차량 간의 연비 편차 문제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전동식 오일펌프의 노후화에 의해 유량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그러한 저하된 유량 품질을 반영하여 전동식 오일펌프(1)를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구동 모터 냉각 효과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1 : 전동식 오일펌프 10 : 모터
11 : 축 20 : 펌프
21 : 임펠러 22 : 펌프 하우징
23 : 오일유로 23a : 오일 유입구
23b ; 오일 토출구 30: 구동 모터
40: 오일팬 50: 오일필터
60: 오일 온도 센서 70: 오일 쿨러
80: PE 시스템 90: 냉각수 온도 센서
100: 라디에이터 110: 구동 모터 온도 센서

Claims (11)

  1. 구동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동식 오일펌프(Electric Oil Pump, EOP)의 유량 품질 편차를 학습하는 단계,
    상기 유량 품질 편차의 학습을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냉각에 필요한 요구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요구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전동식 오일펌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 결과는 특정 회전 속도로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를 회전시킨 소정 시간이 경과된 다음, 변화된 상기 구동 모터의 온도 및 상기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편차를 학습하는 단계는,
    상기 변화된 구동 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에 근거하여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및
    구동 모터의 냉각을 위해 미리 정해진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요구 회전 속도를, 학습을 통해 결정된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 수준에 의거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의 냉각에 필요한 요구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모터의 냉각에 필요한 오일 유량을 결정하고,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편차를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결정된 오일 유량을 만족시키기 위한 전동식 오일펌프의 요구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편차를 학습하는 단계에 앞서, 학습 진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학습 진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이 일정 시간 이상 정속 주행 중인 경우에 학습 진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학습 진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이 상기 구동 모터의 코일을 이용하여 멀티 충전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에 학습 진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학습 진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오일의 온도, 상기 구동 모터의 코일 온도 및 상기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온 센서, 구동 모터 온도 센서, 냉각수 온도 센서등의 센서 정보가 정상 출력되는 경우에 학습 진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회전 속도는, 현재의 오일의 온도, 상기 구동 모터의 온도 및 상기 냉각수 온도에 따라 미리 학습용으로 저장된 목표 전동식 오일펌프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편차의 학습 중 상기 구동 모터의 토크 또는 회전속도가 변화하는 경우, 학습 진행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학습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화된 구동 모터의 온도 및 냉각수 온도로부터,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냉각 효율을 판단하고, 상기 냉각 효율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 수준을 소정의 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유량 품질 수준의 각 단계 별로 상이하게 설정된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전동식 오일펌프의 요구 회전 속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의 제어 방법.
KR1020180016827A 2018-02-12 2018-02-12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 KR10246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827A KR102463462B1 (ko) 2018-02-12 2018-02-12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827A KR102463462B1 (ko) 2018-02-12 2018-02-12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425A KR20190097425A (ko) 2019-08-21
KR102463462B1 true KR102463462B1 (ko) 2022-11-04

Family

ID=6780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827A KR102463462B1 (ko) 2018-02-12 2018-02-12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368B1 (ko) 2018-10-24 2023-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906A (ja) 2002-03-25 2003-10-02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オイル供給制御装置
JP2005207491A (ja) 2004-01-22 2005-08-04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2006067640A (ja) 2004-08-24 2006-03-09 Honda Motor Co Ltd 電動ポンプ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1431A (en) * 1987-08-04 1989-02-13 Fuji Heavy Ind Ltd Controller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3211315B2 (ja) * 1991-12-25 2001-09-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電動機の冷却制御装置
KR20140075924A (ko) 2012-12-11 2014-06-20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식 오일펌프
KR101786704B1 (ko) 2016-03-29 2017-10-1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기를 동작시키는 eop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906A (ja) 2002-03-25 2003-10-02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オイル供給制御装置
JP2005207491A (ja) 2004-01-22 2005-08-04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2006067640A (ja) 2004-08-24 2006-03-09 Honda Motor Co Ltd 電動ポンプ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425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8901B2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電動ポンプユニット
US880139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oil pump
JP2009264241A (ja) エンジンの給油制御装置
US7708127B2 (en) Fluid model control of electro-viscous fan clutch
US20100100292A1 (en) Engine servo loa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dynamic optimization searching operation of the device
KR102463462B1 (ko) 차량용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 방법
EP1072766B1 (fr) Dispositif de régulation du refroidissement d'un moteur thermique de véhicule automobile
US20040072649A1 (en) Lubricant amount control apparatus and lubricant amount control method for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US20190329775A1 (en) Controller for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vehicle
JP5732555B2 (ja) 電動オイルポンプの制御装置
JP2007247506A (ja) 内燃機関冷却系の不凍液濃度推定装置
JP2013070466A (ja) 電気自動車用の冷却装置
JP6686839B2 (ja) 車両用冷却システム
JP5475711B2 (ja) 電動オイルポンプの制御装置
JP6400440B2 (ja) オイルポンプ制御方法
JP2007224728A (ja) エンジンオイル供給制御装置
JP5307529B2 (ja) 内燃機関の駆動系性能試験における流体温度調整方法及び流体温度調整装置
KR20170005226A (ko) Eop 로터 마모진단 방법
US20220373076A1 (en)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for lubricating oil pressure control valve
JP5752723B2 (ja) 機械式自動変速機の初期設定方法
JP5982797B2 (ja) 電動ポンプの吐出流量制御装置
JP2004036521A (ja) 車両用制御装置
KR20140084465A (ko) 건설기계용 냉각시스템 및 건설기계
CN115771394A (zh) 车辆
JP5860824B2 (ja) 機械式自動変速機の初期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