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228B1 -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228B1
KR102463228B1 KR1020200123283A KR20200123283A KR102463228B1 KR 102463228 B1 KR102463228 B1 KR 102463228B1 KR 1020200123283 A KR1020200123283 A KR 1020200123283A KR 20200123283 A KR20200123283 A KR 20200123283A KR 102463228 B1 KR102463228 B1 KR 10246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ser
nose
interes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977A (ko
Inventor
류정탁
김창종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5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Abstract

도어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제1단계;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액세스 권한을 예비 확인하는 제2단계; 사용자의 도어패스증에 대한 소지 여부를 무선으로 검색하여 상기 액세스 권한을 최종 확인하는 제3단계;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도어가 일부 오픈되는 제4단계; 미리 설정되는 시간 동안 상기 도어가 더 오픈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의 해제 상태를 잠금으로 전환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OPENING AND CLOSING METHOD USING DOUBLE LOCK RELEASE}
본 발명은 얼굴 인식을 통해 사용자가 도어의 락 상태를 해제하고 출입할 수 있는 도어의 개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등 공간의 입구에는 출입문이 설치되며, 출입문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방범을 위한 목적으로 도어의 개폐 장치가 설치된다. 도어의 개폐는 크게 열쇠 잠금 방식과 디지털 도어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 방식은 비밀 번호를 입력하거나, 지문 등의 인증 수단을 이용하여 개폐 장치를 해제한다. 디지털 도어락은 열쇠를 사용하는 불편을 해소해줄 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하여 사용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열쇠 잠금 방식은 열쇠를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 디지털 도어락 방식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새로 비밀 번호를 등록하거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비밀 번호 등을 입력하는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점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치매 등의 이유로 기억력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의 개폐 장치가 물리적 충격 등으로 파손되는 경우, 도어의 개폐를 위해서는 강제 해제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
따라서, 최근의 도어락의 폭발적인 보급과 최근 도어락 개폐 방식의 불편 그리고 도어락의 낮은 보안 위험성 등 사용자가 도어락을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8197호 (2016. 1. 1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2522호 (2019. 2. 20.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7409호 (2019. 10. 16.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얼굴 인식과 출입 카드를 이용하여 락 상태를 2회에 걸쳐 해제하는 방법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의 계폐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도어의 개방 정도를 사용자의 실제 출입 의사에 결정되는 도어의 개폐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얼굴 인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을 포함하며,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어를 미닫이 도어에 한정하여 락 상태가 해제된 경우 도어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도어의 개폐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도어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단계;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액세스 권한을 예비 확인하는 제2단계; 사용자의 도어패스증에 대한 소지 여부를 무선으로 검색하여 상기 액세스 권한을 최종 확인하는 제3단계;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도어가 일부 오픈되는 제4단계; 미리 설정되는 시간 동안 상기 도어가 더 오픈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의 해제 상태를 잠금으로 전환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을 제공한다.
제1단계에서, 상기 감지는 상기 도어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에서, 상기 얼굴 인식은 사용자의 얼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관심영역 내의 얼굴 특징과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관심영역 태그를 각각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심영역은 사용자의 얼굴 중 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도어는 미닫이 도어이며, 상기 도어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5 내지 6cm 오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도어는 오픈 위치에서 락킹되어,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이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은 얼굴 인식과 출입 카드를 이용하여 락 상태를 2회에 걸쳐 해제하는 방법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의 계폐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어의 개방 정도를 사용자의 실제 출입 의사에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얼굴 인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을 포함하며,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미닫이 도어에 한정하여 락 상태가 해제된 경우 도어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실제 출입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2는 도 1의 도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관심영역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콧등에 대한 밝기 정보와 입술에 대한 밝기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관심영역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콧등에 대한 밝기 정보와 입술에 대한 밝기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은 제1단계(s10) 내지 제5단계(s50)를 포함한다. 먼저, 제1단계(s10)는 도어(100)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도어(100)를 통한 출입 목적, 타 용도에 의한 제3자 등의 요청으로 도어(100)가 설치된 개소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도어(100)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100)는 도어(1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80), 제어부(18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본인 인증을 통해 스마트폰을 도어(100) 시스템에 등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스마트폰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130)에 기록 보관될 수 있다.
제1단계에서 사용자의 접근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GPS 위치를 추적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스마트폰의 근거리 무선 통신 예를 들어, wifi 등의 신호 기술을 이용하여 도어(100)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100)에서 일정 거리 이내 영역에 들어오는 순간 거리센서 등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에 대한 기술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단계(s20)는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액세스 권한을 예비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도어(100)에는 카메라모듈(110)이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모듈(110)은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위한 용도를 갖는다. 카메라모듈(110)은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독이미지를 이미지판별부(120)로 전송한다. 한편, 카메라모듈(110)은 사용자의 얼굴 정면을 촬영하는 전방카메라, 사용자의 얼굴 측면을 촬영하는 측방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측방카메라는 저성능이며,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판독이미지를 선별하는 기준은 얼굴 표정이 어떤 특정한 감정 상태와 부합하는지 여부, 얼굴 중 특히 코를 확대한 경우, 확대된 이미지에서 코에 대한 가로 비율과 세로 비율이 적절한지 여부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얼굴 표정은 예를 들어, 웃는 표정일 수 있다. 한편, 판독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일치 여부를 검증한다.
제2단계에서 얼굴 인식은 사용자의 얼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관심영역(r) 내의 얼굴 특징과 데이터베이스부(130)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관심영역 태그를 각각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관심영역(r)은 사용자의 얼굴 중 코(r1)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관심영역(r)은 콧등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소에서 측정되는 밝기일 수 있다. 이 때, 얼굴 특징은 콧등에서 측정되는 복수 개의 밝기 정보(a1 내지 a6)일 수 있다. 밝기 정보는 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콧등에 대한 밝기 정보(a1 내지 a6)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r)은 얼굴 피부에서 돌출되는 코의 각 부위를 포함한다. 한편, 관심영역(r)은 복수 개의 서브관심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관심영역은 콧망울의 모양, 코끝의 형상, 콧등의 형상 등 코의 어느 일 부위를 포커싱한 보다 좁은 영역이다. 각 서브관심영역에 대한 얼굴 특징은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얼굴 특징은 콧등의 폭과 길이, 콧구멍 사이의 간격 등은 수치화된 값으로 특정될 수 있다.
한편, 관심영역(r)은 3차원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심영역(r)은 코의 어느 일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술과 코끝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과 지면과 이루는 각도(r6)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얼굴 특징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r)은 입술(r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영역(r)은 입술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소에서 측정되는 밝기일 수 있다. 이 때, 얼굴 특징은 입술에서 측정되는 복수 개의 밝기 정보(b1 내지 b6, c1 내지 c6)일 수 있다. 밝기 정보는 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입술에 대한 밝기 정보(b1 내지 b6, c1 내지 c6)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r)이 입술인 경우, 입술에서 윗입술과 아랫입술의 두께, 윗입술의 M자 라인의 모양 등에 대한 얼굴 특징을 추출하여 사용자에 대한 얼굴 인식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r)은 사용자의 미간 거리(r3), 눈썹의 짙음 정도(r4), 얼굴(예를 들어, 얼굴 중 볼 부분)의 명암 정도(r5), 코와 입(입술) 사이의 거리, 얼굴의 비율 등 다양한 부위의 얼굴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얼굴 특징은 미리 저장되는 복수 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한다. 또한, 얼굴 특징은 수치화된 값으로 특정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110)을 통한 이미지 프로세싱은 다음과 같다. 카메라모듈(110)은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대한 인식을 한다. 카메라모듈(110)은 관심영역(r)에 포커싱을 두고, 이를 확대하여 이미지를 촬상하거나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의 경우, 관심영역(r) 중 얼굴 특징을 가장 잘 반영하는 어느 일 프레임을 추출하여 이를 이미지화한다. 이 때, 인공지능처리부(150)는 얼굴 인식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이미지 또는 영상에서 최적의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술 분야 중 딥러닝 방식이 적용된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할 수 있다. 컨볼루션 신경망은 일정 크기의 필터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이미지 중 어느 특정 이미지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미지를 촬상하는 경우, 카메라모듈(110)은 수 초 간격으로 복수 회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최적의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해 딥러닝 방식이 적용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모듈(110)은 사용자의 얼굴 위치에 따라 카메라모듈(110)이 향하는 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110)은 일정 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동 가능하여, 얼굴 인식에 적합한 각도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10)은 사용자의 얼굴 특징을 더 부가하는 적외선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센서부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이를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한다. 적외선센서부는 특히 빛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 사물의 형태를 구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스스로 발열하고 있어 스스로 적외선을 방출한다. 즉, 온도가 높을수록 붉은 색으로 나타나는 점, 온도에 따라 파장이 달라지는 점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특징을 더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10)은 사용자의 얼굴 특징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초음파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센서부는 초음파를 발생하여 예를 들어, 코의 높이 등 얼굴의 입체적 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초음파센서부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술을 통해 제작 가능하며, 특히 거리 측정에 사용되는 초음파거리계 등을 채택할 수 있다.
2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부(130)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관심영역 태그는 코의 각 부위에 대한 특징, 수치화된 값이다. 관심영역 태그는 관심영역(r)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관심영역 태그는 콧등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소에서 측정되는 숫자 형태의 밝기 정보(a1 내지 a6)일 수 있다. 밝기 정보 태그는 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콧등에 대한 밝기 정보(a1 내지 a6) 태그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 태그는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코에 대한 특징을 문자로 표현하는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항목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 태그는 코의 각 부위에 대한 특징을 수치화된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얼굴 인식은 관심영역(r) 내의 얼굴 특징과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관심영역 태그를 각각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부(130)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관심영역 태그는 입술의 각 부위에 대한 특징, 수치화된 값이다. 예를 들어, 관심영역 태그는 입술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소에서 측정되는 숫자 형태의 밝기 정보(b1 내지 b6, c1 내지 c6)일 수 있다. 밝기 정보 태그는 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입술에 대한 밝기 정보(b1 내지 b6, c1 내지 c6)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 태그는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입술에 대한 특징을 문자로 표현하는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항목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 태그는 입술의 각 부위에 대한 특징을 수치화된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얼굴 인식은 관심영역(r) 내의 얼굴 특징과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관심영역 태그를 각각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단계에서 관심영역 태그는 사용자의 미간 거리, 눈썹의 짙음 정도, 얼굴(예를 들어, 얼굴 중 볼 부분)의 명암 정도, 코와 입(입술) 사이의 거리, 얼굴의 비율 등 다양한 얼굴 부위에 대한 특징, 수치화된 값이다.
한편, 도어(100) 시스템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의 얼굴 특징을 갱신하도록 하는 갱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갱신부(140)는 사용자의 이미지 저장 일자를 일정 주기로 모니터링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단계(s30)는 사용자의 도어패스증(200)에 대한 소지 여부를 무선으로 검색하여 액세스 권한을 최종 확인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에서, 예비 확인이 종료된 이후, 미리 등록된 도어패스증(200)에 대한 소지 여부를 추가 확인하는 방법으로 이중 락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패스증(200)은 카드 형식의 열쇠를 의미한다. 도어패스증(200)은 예를 들어, RF 카드 등 고유의 식별 수단을 갖는 인식 수단이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패스증(200)을 미소지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어(100)를 잠시 이탈한 후 다시 접근하는 모션을 취해 액세스 권한을 최종 확인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제4단계(s40)는 도어(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도어(100)가 일부 오픈되는 단계이다. 제2단계의 예비 확인과 제3단계의 최종 확인을 통해 액세스 권한이 있는 사용자임이 확인된 경우, 도어(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 도어(100)는 미닫이 도어(100)이며, 도어(100)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5 내지 6cm 오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100)가 열려 발생하는 빈 공간으로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도어(100)의 전부 오픈에 대한 동작을 유도한다.
즉, 도어(100)는 일부 오픈될 뿐이고, 이를 전부 오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추가적 동작을 더 요청하게 된다. 제4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도어(100)의 오픈을 유도할 뿐, 사용자가 도어(100)를 통해 출입 가능하게 도어(100)를 전부 오픈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어(100)에는 별도의 문고리 등이 형성되지 않아,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100)를 오픈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용이하지 않다.
다음으로, 제5단계(s50)는 미리 설정되는 시간 동안 도어(100)가 더 오픈되지 않는 경우, 도어(100)의 해제 상태를 잠금으로 전환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일부 오픈된 도어(100)를 더 열지 않거나, 더 가까이 근접하지 않는 경우 도어(100)의 상태는 다시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도어(100)는 오픈 위치에서 락킹되어 도어(100)의 슬라이딩이 구속된다.
한편, 제4단계 이후, 제5단계와 달리 사용자가 도어(100)를 더 오픈하는 동작을 취하는 경우 도어(100)에는 전력이 공급되고, 도어(100)는 자동으로 전부 오픈되는 제6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단계이후, 도어(100)를 더 오픈하는 동작은 도어(100) 시스템과 연동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이후, 애플리케이션 내에 배치되는 도어 버튼을 터치하면 도어(100)는 자동으로 전부 오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 시스템은 도어(100), 카메라모듈(110), 도어패스증(200), 락킹부(160), 데이터베이스부(130), 무선송수신모듈(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락킹부(160)는 도어(100)의 잠금 상태 뿐만 아니라, 도어(100)의 일부 오픈 상태를 유지시킨다. 락킹부(16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락/언락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0)는 도어(100)의 내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사용자에 대한 얼굴 인식 정보 즉 복수 개의 관심영역 태그를 저장하고 있다. 전술한 것처럼, 관심영역 태그는 얼굴 특징에 대한 문자, 수치화된 값 등을 포함한다. 무선송수신모듈(170)은 카메라모듈(110)과 데이터베이스부(13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것처럼,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은 얼굴 인식과 출입 카드를 이용하여 락 상태를 2회에 걸쳐 해제하는 방법으로 도어(100)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100)의 계폐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어(100)의 개방 정도를 사용자의 실제 출입 의사에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얼굴 인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영역을 포함하며,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어(100)를 미닫이 도어(100)에 한정하여 락 상태가 해제된 경우 도어(100)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실제 출입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도어 110 : 카메라모듈
120 : 이미지판별부 130 : 데이터베이스부
140 : 갱신부 150 : 인공지능처리부
160 : 락킹부 170 : 무선송수신모듈
180 : 제어부 200 : 도어패스증
r, r1, r2, r3, r4, r5, r6 : 관심영역
a1 내지 a6 : 콧등에 대한 밝기 정보
b1 내지 b6, c1 내지 c6 : 입술에 대한 밝기 정보

Claims (6)

  1. 도어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단계;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액세스 권한을 예비 확인하는 제2단계;
    사용자의 도어패스증에 대한 소지 여부를 무선으로 검색하여 상기 액세스 권한을 최종 확인하는 제3단계;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도어가 일부 오픈되는 제4단계;
    미리 설정되는 시간 동안 상기 도어가 더 오픈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의 해제 상태를 잠금으로 전환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얼굴 인식은 사용자의 얼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관심영역 내의 얼굴 특징과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관심영역 태그를 각각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심영역은 사용자의 얼굴 중 코이며, 상기 얼굴 특징은 콧등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소에서 측정되는 각각의 밝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영역은 복수 개의 서브관심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서브관심영역은 콧망울의 모양, 코끝의 형상, 콧등의 형상을 포함하는 코의 어느 일 부위이고,
    상기 얼굴 특징은 입술과 코끝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과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도어는 미닫이 도어이며, 상기 도어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5 내지 6cm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상기 감지는 상기 도어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지는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도어는 오픈 위치에서 락킹되어,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이 구속되는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
KR1020200123283A 2019-11-06 2020-09-23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 KR102463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961 2019-11-06
KR20190140961 2019-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77A KR20210054977A (ko) 2021-05-14
KR102463228B1 true KR102463228B1 (ko) 2022-11-04

Family

ID=7591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283A KR102463228B1 (ko) 2019-11-06 2020-09-23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2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9264A (ja) * 2017-10-24 2019-05-23 株式会社Liquid 通過許可装置、通過許可方法、および通過許可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9728B1 (fr) * 2011-09-01 2016-05-13 Morpho Detection de fraude pour systeme de controle d'acces de type biometrique
KR101588197B1 (ko) 2015-04-28 2016-02-12 (주)가드텍 자동 개폐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의 자동 개폐 방법
KR101947451B1 (ko) * 2017-07-25 2019-02-13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자동문용 와이파이기술을 이용한 잠금시스템
KR101952522B1 (ko) 2017-11-13 2019-05-20 김둘례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KR20190117409A (ko) 2019-09-02 2019-10-16 주식회사 벨소프트 스마트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무인 키오스크 도어락을 자동 개폐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9264A (ja) * 2017-10-24 2019-05-23 株式会社Liquid 通過許可装置、通過許可方法、および通過許可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77A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78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 facial recognition-base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building
US10885396B2 (en) Generating composite images using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1205312B2 (en) Applying image analytics and machine learning to lock systems in hotels
KR101730255B1 (ko)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KR101682311B1 (ko)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US20180091730A1 (en) Security devices configured for capturing recognizable facial images
US11151828B2 (en) Frictionless building access control system with tailgate detection
JP2009527804A (ja) 複数の顔認識システム(frs)に適合する分散スタンドオフid照合
JP2015011597A5 (ko)
JP5314294B2 (ja) 顔認証装置
CN111401160A (zh) 酒店鉴权管理方法、系统、平台和酒店pms系统
JP2013069155A (ja) 顔認証データベース構築方法、顔認証装置及び顔認証プログラム
JP2019219721A (ja) 入退室認証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認証方法
JP6969730B2 (ja)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を用いてアクセス許可を確認する方法
JP6387259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2463228B1 (ko) 이중 락 해제를 통한 도어의 개폐 방법
CN109147123A (zh) 门禁锁的解锁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20160005204A (ko) 사람의 얼굴 또는 사람의 형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11113374B2 (en) Managing seamless access to locks with person/head detection
KR101537389B1 (ko) 출입 통제 및 출입 감시 통합 시스템
JP2006099687A (ja) 利用者認証装置
CN113168742B (zh) 具有具备手势控制功能的滑动门的访问监控系统
JP2017173890A (ja) 入退室管理装置及び入退室管理方法
KR102385891B1 (ko) 신체 인식 기반의 출입 통제 관리 방법
KR102462434B1 (ko) 출입인원체크 보안강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