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219B1 -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219B1
KR102463219B1 KR1020210143940A KR20210143940A KR102463219B1 KR 102463219 B1 KR102463219 B1 KR 102463219B1 KR 1020210143940 A KR1020210143940 A KR 1020210143940A KR 20210143940 A KR20210143940 A KR 20210143940A KR 102463219 B1 KR102463219 B1 KR 102463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trp
scheduling
por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145A (ko
Inventor
박순기
김준식
이희수
현석봉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523,30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855927B2/en
Publication of KR20220068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phase diversity (e.g. phase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기술이 개시된다. 통신 시스템의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단계;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제1 송수신기의 N개의 포트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M개의 포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1차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무선 링크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과 M은 자연수인,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LTRA HIGH FREQUENCY AND ULTRA WIDEBAND}
본 발명은 스케줄링(scheduling)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클러스터링(clustering) 기반의 스케줄링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LTE(long term evolution)(또는, LTE-A)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new radio) 통신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NR 통신 시스템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고, LTE 통신 시스템에 비해 다양한 통신 서비스 및 시나리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R 통신 시스템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이 미래에 요구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용량을 감당하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주파수 대역의 발굴이 중요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이 초고주파(일 예로 테라헤르츠(Terahertz)) 및 초광대역을 이용하는 경우의 전파 전파 특성(반사/회절/굴절/투과 등)과 기존 셀룰러 주파수를 이용하는 경우의 전파 전파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주파수 제곱에 비례하는 자유 공간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빔포밍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이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파의 강한 직진성으로 인하여 블록킹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전파의 강한 직진성으로 인하여 공간적 간섭이 퍼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시스템은 통신 서비스의 커버리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많은 빔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은 빔 스위핑(sweeping)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빔 스위핑 방식에서 빔은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결국 통신 시스템이 초고주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구성 및 운용에 있어서 변화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클러스터링 기반의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연결된 제1 송수신기와 제2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단계;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제1 송수신기의 N개의 포트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M개의 포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가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빔 스위핑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1차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1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과 M은 자연수일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신호 세기의 측정 보고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1 송수신기의 수신 포트 정보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의 송신 포트 정보를 상기 제1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1 송수신기의 수신 포트 정보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의 송신 포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마주보는 포트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마주보는 포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N개의 포트와 상기 M개의 포트에 포트 인덱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N개의 포트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M개의 포트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포트가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 K개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빔 스위핑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2차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2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 빔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다중 빔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형성된 무선 링크에서 다중 빔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K는 2이상인 자연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에 기반하여 상기 파악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따른 3차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3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단말의 위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별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영역별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형성된 무선 링크에서 영역별 다중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빔 패턴에 기반하여 각 스케줄링 구간에서 상기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빔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연속된 스케쥴링 시간별로 동일 서브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빔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하나의 스케줄링 시간에서 연속된 서브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빔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송수신기 식별자와 포트 인덱스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들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서브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단말에서 디코딩이 성공한 제1 서브 프레임에 대한 송수신기 식별자 #1 및 상기 포트 인덱스 #1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수신기 식별자 #1 및 상기 포트 인덱스 #1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유형 정보를 표시하는 플래그 비트, 상기 송수신기 식별자와 상기 포트 인덱스를 더 포함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통하여 L×SF 간격으로 전송되며, 상기 L은 자연수이고, 상기 SF는 서브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는, 중앙 제어 장치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연결된 제1 송수신기와 제2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제1 송수신기의 N개의 포트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M개의 포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가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빔 스위핑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1차 스케줄링을 진행하고; 상기 1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단말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N과 M은 자연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수신 신호 세기의 측정 보고를 지시하고; 상기 제1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1 송수신기의 수신 포트 정보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의 송신 포트 정보를 상기 제1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1 송수신기의 수신 포트 정보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의 송신 포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마주보는 포트 정보를 산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마주보는 포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N개의 포트와 상기 M개의 포트에 포트 인덱스를 할당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N개의 포트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M개의 포트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포트가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 K개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빔 스위핑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2차 스케줄링을 진행하고; 상기 2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 빔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다중 빔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형성된 무선 링크에서 다중 빔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K는 2이상인 자연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에 기반하여 상기 파악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따른 3차 스케줄링을 진행하고; 상기 3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단말의 위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별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영역별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형성된 무선 링크에서 영역별 다중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빔 패턴에 기반하여 각 스케줄링 구간별에서 상기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송수신기 식별자와 포트 인덱스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들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단말에서 디코딩이 성공한 제1 서브 프레임에 대한 송수신기 식별자 #1 및 상기 포트 인덱스 #1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송수신기 식별자 #1 및 상기 포트 인덱스 #1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송수신기들이 서브 주파수 대역별로 빔 스위핑을 수행하여 단말에 무선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송수신기들이 서브 주파수 대역별로 빔 스위핑을 수행하여 단말들에 무선 링크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르면,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송수신기들이 협력하여 단말에 무선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신호 품질이 향상될 수 있고, 무선 연결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통신 시스템의 용량(capacity)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르면,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송수신기들이 협력하여 단말에 무선 링크를 제공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와 단말 사이에 링크 단절이 발생한 경우에 다른 송수신기가 안정적으로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단위 클러스터(unit cluster) 구성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확장 단위 클러스터(extended unit cluster) 구성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확장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확장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송수신기의 빔 스위핑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송수신기의 빔 스위핑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포트를 고려한 단위 클러스터(unit cluster) 구성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a와 도 12b는 단위 클러스터의 운용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송수신기들이 스케줄링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송하는 빔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송수신기들이 스케줄링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송하는 빔을 통합한 개념도이다.
도 15a와 도 15b는 단위 클러스터의 운용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송수신기들이 스케줄링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송하는 빔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송수신기들이 스케줄링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송하는 빔을 통합한 개념도이다.
도 18a와 도 18b는 단위 클러스터의 운용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9a와 도 19b는 송수신기들이 스케줄링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송하는 빔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 송수신기 식별자 및 빔 인덱스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클러스터 식별자, 송수신기 식별자 및 빔 인덱스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2는 유형4의 서브 프레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3은 빔 인덱스를 재활용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4는 송수신기 식별자를 재활용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5는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를 재활용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6은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확장 단위 클러스터에서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8은 단위 클러스터의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단위 클러스터의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단위 클러스터의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단위 클러스터의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2는 도 28의 단위 클러스터의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3a 내지 도 33d는 송신 전력 세기와 수신 전력 세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4a 내지 도 34d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로 다른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빔 패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5a 내지 도 35d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로 다른 스케줄링 시간에서 빔 패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6a 내지 도 36c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과 스케줄링 시간에서 빔 패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7a 내지 도 37i는 단말이 위치에 따라 수신하는 빔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8a 내지 도 38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9는 도 38a 내지 도 38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0a 내지 도 40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1은 도 39a 내지 도 39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42a 내지 도 42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3은 도 42a 내지 도 42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44a 내지 도 44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5는 도 44a 내지 도 44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46a 내지 도 46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7은 도 46a 내지 도 46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48a 내지 도 48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9는 도 48a 내지 도 48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50a 내지 도 50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1은 도 50a 내지 도 50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52a 내지 도 52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3은 도 52a 내지 도 52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54a 내지 도 54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9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5는 도 54a 내지 도 54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56a 내지 도 56d는 단위 클러스터에 다수의 단말들이 위치하는 경우에 지능형 스케줄링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7은 스케줄링 맵을 이용하여 다수의 단말들에 스케줄링하는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8은 스케줄링 맵을 이용하여 다수의 단말들에 스케줄링하는 과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하나 이상"은 "A 또는 B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기(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B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terminal)(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이동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UE(user equipment),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DL)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UL)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는 단위 클러스터(unit cluster) 구성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에서 사이트 A 내지 D는 가상의 사각형의 4개의 꼭지점들에 각각 위치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 내지 D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트 A 내지 D는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 내지 D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착용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헤드셋(310a)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이트 A 내지 D의 각각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빔(320a)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4개의 빔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는 송수신기일 수 있으며,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 또는 TRX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은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사이트 A 내지 D의 사이에 위치하는 서비스 영역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에서 사이트 A 내지 D는 가상의 사각형의 4개의 꼭지점들에 위치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 내지 D는 단위 클러스터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트 A 내지 D는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 내지 D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홀로그램용 디스플레이 장치(310b)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이트 A 내지 D의 각각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빔(330b)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4개의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는 송수신기(즉, TRP)일 수 있다. 그리고,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310b)는 이동할 수 있는 원판을 구비할 수 있고, 구비한 원판 위에 사람이나 사물들을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310b)가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사람이나 사물들과 상호 작용을 수행하여 사람 간에 미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에서 사이트 A와 B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와 B는 사이트 A와 사이트 B 사이에 형성되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트 A와 B는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 내지 D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착용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헤드셋(410a)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이트 A와 B의 각각은 단위 클러스터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빔(420a)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4개의 빔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는 송수신기(즉, TRP)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에서 사이트 A와 B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와 B는 사이에 형성되는 단위 클러스터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트 A와 B는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 와 B는 단위 클러스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홀로그램용 디스플레이 장치(410b)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이트 A와 B의 각각은 단위 클러스터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빔(430b)들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4개의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는 송수신기(즉, TRP)일 수 있다. 그리고,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410b)는 이동할 수 있는 원판을 구비할 수 있고, 구비한 원판 위에 사람이나 사물들을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410b)가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사람이나 사물들과 상호 작용을 수행하여 사람 간에 미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에서 사이트 A 내지 C는 가상의 삼각형의 3개의 꼭지점들에 각각 위치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 내지 C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트 A 내지 C는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 내지 C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착용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헤드셋(510a)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이트 A 내지 C의 각각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빔(520a)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4개의 빔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는 송수신기(즉, TRP)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에서 사이트 A 내지 C는 가상의 삼각형의 3개의 꼭지점들에 위치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 내지 C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트 A 내지 C는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A 내지 C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홀로그램용 디스플레이 장치(510b)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이트 A 내지 C의 각각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빔(530b)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4개의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는 송수신기(즉, TRP)일 수 있다. 그리고,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510b)는 이동할 수 있는 원판을 구비할 수 있고, 구비한 원판 위에 사람이나 사물들을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310b)가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사람이나 사물들과 상호 작용을 수행하여 사람 간에 미팅을 진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3a 내지 도 5b의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모든 사이트들은 동일한 콘덴츠를 동일한 시간 자원 영역과 공간 자원을 사용하여 동시에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거나 디바이스로부터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확장 단위 클러스터(extended unit cluster) 구성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확장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에서 사이트 A 내지 D가 형성하는 단위 클러스터 #1과 사이트 B, D, E 및 F가 형성하는 단위 클러스터 #2가 결합하여 확장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사이트 A 내지 D는 단위 클러스터 #1을 구성할 수 있고, 단위 클러스터 #1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착용한 가상 현실 헤드셋(610-1a)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B, D, E 및 F는 단위 클러스터 #2을 구성할 수 있고, 단위 클러스터 #2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착용한 가상 현실 헤드셋(610-2a)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이트 A 내지 F의 각각은 다수의 빔(620a)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 A, C, E 및 F의 각각은 일 예로 4개의 빔을 사용할 수 있고, 사이트 C와 D의 각각은 일 예로 7개의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장 단위 클러스터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보다 2배로 넓은 서비스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확장 단위 클러스터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이 단위 클러스터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보다 확장됨에 따라 가상 현실 헤드셋(610-1a, 610-2a)들의 운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확장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에서 사이트 A 내지 D가 형성하는 단위 클러스터 #1과 사이트 B, D, E 및 F가 형성하는 단위 클러스터 #2가 결합하여 확장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사이트 A 내지 D는 단위 클러스터 #1을 구성할 수 있고, 단위 클러스터 #1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홀로그램용 디스플레이 장치(610-1b)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B, D, E 및 F는 단위 클러스터 #2를 구성할 수 있고, 단위 클러스터 #1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홀로그램용 디스플레이 장치(610-2b)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610-1b, 610-2b)는 이동할 수 있는 원판을 구비할 수 있고, 구비한 원판 위에 사람이나 사물들을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람 간의 미팅에 있어서 사용자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610-1b, 610-2b)가 디스플레이하는 사람이나 사물들과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이 때, 사이트 A 내지 F의 각각은 다수의 빔(620b)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 A, C, E 및 F의 각각은 일 예로 4개의 빔을 사용할 수 있고, 사이트 C와 D의 각각은 일 예로 7개의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장 단위 클러스터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보다 2배로 넓은 서비스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확장 단위 클러스터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이 단위 클러스터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보다 확장됨에 따라 가상 현실 헤드셋(610-1b, 610-2b)들의 운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나 가상 현실 헤드셋에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통신 속도는 10Gbps 이상/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처럼 통신 시스템이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나 가상 현실 헤드셋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통신 속도가 필요할 수 있다. 더욱이, 통신 시스템이 다수의 홀로그램 장치들과 다수의 가상 현실 헤드셋들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통신 속도가 더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 시스템이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사용하게 되면, 직진성이 강해져 블록킹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이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원활한 스케줄링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운용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도 7은 확장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확장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에서 다수의 송수신기 TRP#1 내지 TRP#15는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할 수 있고, 가상의 정사각형들이 형성하는 격자의 꼭지점들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들은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 TRP#1, TRP#2, TRP#4 및 TRP#5는 단위 클러스터 #1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 TRP#2, TRP#3, TRP#5 및 TRP#6은 단위 클러스터 #2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 TRP#4, TRP#5, TRP#7 및 TRP#8은 단위 클러스터 #3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 TRP#5, TRP#6, TRP#8 및 TRP#9는 단위 클러스터 #4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 TRP#3, TRP#10, TRP#6 및 TRP#12는 단위 클러스터 #5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 TRP#10, TRP#11, TRP#12 및 TRP#13은 단위 클러스터 #6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 TRP#6, TRP#12, TRP#9 및 TRP#14는 단위 클러스터 #7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 TRP#12, TRP#13, TRP#14 및 TRP#15는 단위 클러스터 #8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인접한 4개의 단위 클러스터들은 결합하여 확장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접한 4개의 단위 클러스터 #1 내지 #4는 확장 단위 클러스터 #1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4개의 단위 클러스터 #5 내지 #8은 확장 단위 클러스터 #2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및 제2 홀로그램용 디스플레이 장치들(720-1, 720-2)과 다수의 인원이 탑승하는 버스(730)는 확장 단위 클러스터 #1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에 탐재된 제3 내지 5 홀로그램용 디스플레이 장치들(720-3 내지 720-5)과 제6 홀로그램용 디스플레이 장치(720-6)는 확장 단위 클러스터 #2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드론에 탐재된 제3 내지 5 홀로그램용 디스플레이 장치들(720-3 내지 720-5)은 초대형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확장 단위 클러스터 #1을 구성하는 송수신기들(TRP#1 내지 #9)은 제1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720-1), 제2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720-2) 및 버스(730)에 대용량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확장 단위 클러스터 #2를 구성하는 송수신기들(TRP#3, TRP#6, TRP#9, TRP#10 내지 TRP#15)은 제3 내지 제 6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들(720-3 내지 720-6)에 대용량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확장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확장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에서 다수의 송수신기 TRP#1 내지 TRP#7은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할 수 있고, 가상의 다수의 마름모들이나 삼각형들이 형성하는 격자의 꼭지점들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들은 정사각형이 아닌 마름모의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들 TRP#1 내지 TRP#4는 단위 클러스터 #1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4개의 송수신기들 TRP#3 내지 TRP#6은 단위 클러스터 #3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3개의 송수신기들은 정사각형이 아닌 삼각형의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접한 3개의 송수신기들 TRP#2, TRP#4 및 TRP#7은 단위 클러스터 #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3개의 송수신기들 TRP#4, TRP#6 및 TRP#7은 단위 클러스터 #4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4개의 단위 클러스터들(단위 클러스터 #1 내지 #4)은 확장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단위 클러스터는 정사각형이 아니라 마름모 또는 삼각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단위 클러스터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6a와 도 8의 확장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모든 사이트들은 동일한 콘덴츠를 동일한 시간 자원 영역과 공간 자원을 사용하여 동시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거나 디바이스로부터 동시에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송수신기의 빔 스위핑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송수신기(TRP)는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N 개의 서브 주파수 대역(band)(B#1 내지 B#N)들로 나누어 운용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는 물리적으로 변하지 않는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M개의 송신 혹은 수신 포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M은 자연수일 수 있다. 여기서 포트는 빔이 스위핑될 때 빔이 일시적으로 거주하는 빔 스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M은 일 예로 12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포트들은 P00 내지 P11의 포트 인덱스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송수신기에서 각각의 포트는 어느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하나의 빔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포트 P00은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 1을 생성할 수 있고, 포트 P01은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빔 2를 생성할 수 있으며, 포트 P02는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사용하여 빔 3을 생성할 수 있고, 포트 P03은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사용하여 하여 빔 4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여러 포트들이 동일한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포트 P00은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 1을 생성할 수 있고, 포트 P01은 동일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 2를 생성할 수 있으며, 포트 P02는 동일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 3을 생성할 수 있고, 포트 P03은 동일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 4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송수신기에서 각각의 포트는 서브 주파수 대역별로 빔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포트 P00은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위하여 빔 1을 생성할 수 있고,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위하여 빔 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위하여 빔 3을 생성할 수 있고, B#4를 위하여 빔 4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에서 각각의 포트는 서브 주파수 대역별로 빔들을 동일한 시간대에 생성할 수 있고, 동일한 공간으로 포지셔닝할 수 있다. 다만, 본 출원에서는 각각의 포트가 어느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하나의 빔을 생성하여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각의 포트가 빔을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소 시간(예를 들어, 최소 스케줄링 시간 t)은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각각의 포트가 빔을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케줄링 시간 t를 TTI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각각의 포트를 온/오프(on/off)로 제어하여 빔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포트가 온 상태로 동작하는 것은 해당 포트가 활성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포트가 오프 상태로 동작하는 것은 해당 포트가 비활성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기는 첫 번째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전송 방향이 일정 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K개의 포트들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자연수일 수 있고, K는 일 예로 3일 수 있으며, 일정 각도는 12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첫 번째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일 예로 포트 P00, P04 및 P08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선택한 포트 P00, P04 및 P08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의 포트 P00, P04 및 P08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한 빔들을 생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기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빔 스위핑 방식에 기초하여 빔을 일정한 이동 각도로 이동하여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전송하기 위하여 이미 선택한 포트들의 다음의 K개의 포트들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각도는 일 예로 3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일 예로 포트 P01, P05 및 P09를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선택한 포트 P01, P05 및 P09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의 포트 P01, P05 및 P09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한 빔들을 생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빔 스위핑 방식에 기초하여 빔을 일정한 이동 각도로 이동하여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전송하기 위하여 이미 선택한 포트들의 다음의 K개의 포트들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각도는 일 예로 3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일 예로 포트 P02, P06 및 P10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선택한 포트 P02, P06 및 P1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의 포트 P02, P06 및 P10은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한 빔들을 생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빔 스위핑 방식에 기초하여 빔을 일정한 이동 각도로 이동하여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전송하기 위하여 이미 선택한 포트들의 다음의 K개의 포트들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각도는 일 예로 3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일 예로 포트 P03, P07 및 P11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선택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의 포트 P03, P07 및 P11은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한 빔들을 생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에, 송수신기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5에서 빔 스위핑 방식에 기초하여 빔을 일정한 이동 각도로 이동하여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전송하기 위하여 이미 선택한 포트들의 다음의 K개의 포트들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각도는 일 예로 3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5에서 일 예로 포트 P00, P04 및 P08을 다시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5에서 다시 선택한 포트 P00, P04 및 P08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의 포트 P00, P04 및 P08은 스케줄링 시간 t5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한 빔들을 생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송수신기는 4개의 스케줄링 시간들(일 예로, t1~t4, t5~t8, t9~t12 등)을 단위로 하여 서비스 영역을 하나의 선택한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빔들이 반복적으로 빔 스위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송수신기의 빔 스위핑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송수신기(TRP)는 서비스 영역을 알파(α) 섹터, 베타(β) 섹터 및 감마(γ) 섹터의 3개의 섹터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N 개의 서브 주파수 대역(band)(B#1 내지 B#N)들로 나누어 운용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는 물리적으로 변하지 않는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M개의 송신 혹은 수신 포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M은 자연수일 수 있다. 그리고, M은 일 예로 12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포트들은 P00 내지 P11일 수 있다. 송수신기는 포트들을 알파 섹터를 위하여 포트 P00 내지 P03를 할당할 수 있고, 베타 섹터를 위하여 포트 P04 내지 P07를 할당할 수 있으며, 감마 섹터를 위하여 P08 내지 P011을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수신기는 각각의 섹터에 할당된 포트들을 사용하여 빔 스위핑을 수행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첫 번째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각각의 섹터에 할당된 포트들에서 하나의 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첫 번째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일 예로 포트 P00, P04 및 P08를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선택한 포트 P00, P04 및 P08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의 포트 P00, P04 및 P08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한 빔들을 생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기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전송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이동 각도로 변화되어 빔 스위핑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섹터에 할당된 포트들에서 이미 선택한 포트의 다음의 하나의 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일 예로 포트 P01, P05 및 P09를 선택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선택한 포트 P01, P05 및 P09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송수신기의 포트 P01, P05 및 P09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한 빔들을 생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전송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이동 각도로 변화되어 빔 스위핑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섹터에 할당된 포트들에서 이미 선택한 포트의 다음의 하나의 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일 예로 포트 P02, P06 및 P10을 선택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선택한 포트 P02, P06 및 P1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송수신기의 포트 P02, P06 및 P10은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한 빔들을 생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전송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이동 각도로 변화되어 빔 스위핑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섹터에 할당된 포트들에서 이미 선택한 포트의 다음의 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일 예로 포트 P03, P07 및 P11을 선택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선택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송수신기의 포트 P03, P07 및 P11은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한 빔들을 생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에, 송수신기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5에서 전송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이동 각도로 변화되어 빔 스위핑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섹터에 할당된 포트들에서 이미 선택한 포트의 다음의 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5에서 일 예로 포트 P00, P04 및 P08을 다시 선택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스케줄링 시간 t5에서 다시 선택한 포트 P00, P04 및 P08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송수신기의 포트 P00, P04 및 P08은 스케줄링 시간 t5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한 빔들을 생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도 10은 도 9와 거의 동일할 수 있고, 차이점은 서비스 영역을 섹터 개념으로 알파(α) 섹터, 베타(
Figure 112021123016921-pat00001
) 섹터 및 감마(γ) 섹터로 분리한 것일 수 있다. 이처럼, 송수신기는 4개의 스케줄링 시간들(일 예로, t1~t4, t5~t8, t9~t12 등)을 단위로 하여 3개의 섹터로 구분된 서비스 영역을 하나의 선택한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 빔들이 반복적으로 빔 스위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포트를 고려한 단위 클러스터(unit cluster) 구성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 구성 방법에서 4개의 송수신기 TRP#1 내지 TRP4는 가상의 사각형의 꼭지점들에 각각 위치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송수신기(TRP#1)의 4개의 포트 P03, P04, P05 및 P06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참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수신기(TRP#2)의 4개의 포트 P06, P07, P08 및 P09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제3 송수신기(TRP#1)의 4개의 포트 P00, P01, P02 및 P03이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참여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송수신기(TRP#4)의 4개의 포트 P09, P10, P11 및 P00이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참여할 수 있다. 이처럼, 4개의 송수신기 TRP#1 내지 TRP4의 각각은 4개의 포트들을 사용하여 단위 클러스터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송수신기들의 수는 4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송수신기의 포트들의 수는 4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도 12a와 도 12b는 단위 클러스터의 운용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의 운용 방법에서 4개의 송수신기 TRP#1 내지 TRP#4는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N개의 서브 주파수 대역(band)(B#1 내지 B#N)들로 나누어 운용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1 내지 TRP#4는 물리적으로 변하지 않는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M개의 송신 혹은 수신 포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M은 자연수일 수 있다. 일 예로 M은 12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포트들의 인덱스는 P00 내지 P11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송수신기 TRP#1 내지 TRP#4는 첫 번째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전송 방향이 일정 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K개의 포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자연수일 수 있고, K는 일 예로 3일 수 있으며, 일정 각도는 12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송수신기(TRP#1)는 첫 번째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일 예로 포트 P00, P04 및 P08를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제1 송수신기(TRP#1)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선택한 포트 P00, P04 및 P08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송수신기(TRP#1)의 포트 P00, P04 및 P08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송수신기(TRP#2)는 첫 번째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일 예로 포트 P01, P05 및 P09를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제2 송수신기(TRP#2)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선택한 포트 P01, P05 및 P09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송수신기(TRP#2)의 포트 P01, P05 및 P09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송수신기(TRP#3)는 첫 번째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일 예로 포트 P02, P06 및 P10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제3 송수신기(TRP#3)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선택한 포트 P02, P06 및 P1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제3 송수신기(TRP#3)의 포트 P02, P06 및 P10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 송수신기(TRP#4)는 첫 번째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일 예로 포트 P03, P07 및 P11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제4 송수신기(TRP#4)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선택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제4 송수신기(TRP#4)의 포트 P03, P07 및 P11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트들은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4,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9,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2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11일 수 있다.
한편, 도 12b를 참조하면, 송수신기 TRP#1 내지 TRP#4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전송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이동 각도로 변화되어 빔 스위핑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미 선택한 포트들의 다음의 K개의 포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각도는 일 예로 3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송수신기(TRP#1)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일 예로 포트 P01, P05 및 P09를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제1 송수신기(TRP#1)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선택한 포트 P01, P05 및 P09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송수신기(TRP#1)의 포트 P01, P05 및 P09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송수신기(TRP#2)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일 예로 포트 P02, P06 및 P10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제2 송수신기(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선택한 포트 P02, P06 및 P1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송수신기(TRP#2)의 포트 P02, P06 및 P10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송수신기(TRP#3)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일 예로 포트 P03, P07 및 P11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제3 송수신기(TRP#3)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선택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제3 송수신기(TRP#3)의 포트 P03, P07 및 P11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 송수신기(TRP#4)는 다음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일 예로 포트 P00, P04 및 P08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제4 송수신기(TRP#4)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선택한 포트 P00, P04 및 P08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제4 송수신기(TRP#4)의 포트 P00, P04 및 P08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트들은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5,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6,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3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0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수신기 TRP#1 내지 TRP#4는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스케줄링 시간이 진행함에 따라 생성된 빔들이 단위 클러스터 서비스 영역을 빔 스위핑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송수신기들이 스케줄링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송하는 빔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케줄링 시간 t1 내지 t16에 송수신기들이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빔들이 삼각형으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가로축은 시간 축일 수 있고, 스케줄링 시간들(즉, t1 내지 t16)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세로축은 포트 인덱스 축일 수 있으며,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4)의 포트 인덱스들(P00 내지 P11)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검은 실선으로 구별된 박스 영역들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빔을 송신하는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4)의 포트 인덱스들과 스케줄링 시간의 경과에 따른 빔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송수신기(TRP#1)는 4개의 포트 P03, P04, P05 및 P06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을 송신할 수 있고, 제2 송수신기(TRP#2)는 4개의 포트 P06, P07, P08 및 P09가 단위 클러스터 서비스 영역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송수신기(TRP#2)는 4개의 포트 P00, P01, P02 및 P03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을 송신할 수 있고, 제4 송수신기(TRP#4)는 4개의 포트 P09, P10, P11 및 P00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빔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송수신기들이 스케줄링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송하는 빔을 통합한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3과,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6과,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0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09는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1 포트 집합(S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4과,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7과,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1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10은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2 포트 집합(S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5와,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8과,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2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11은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3 포트 집합(S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6과,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9와,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3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00는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4 포트 집합(S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트 집합들(S1 내지 S4)이 스케줄링 시간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단위 클러스터 서비스 영역에 전송하는 빔들을 포트 집합 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포트 집합들(S1 내지 S4)이 스케줄링 시간에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전송하는 빔들을 포트 집합 별로 구분하면, 포트 집합들의 통신 서비스 관여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제1 포트 집합(S1)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통신 서비스에 관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제2 포트 집합 내지 제4 포트 집합(S2 내지 S4)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통신 서비스에 관여할 있다. 특히,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제3 포트 집합(S3)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통신 서비스에 2개의 포트들이 관여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15a와 도 15b는 단위 클러스터의 운용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1 송수신기 TRP#1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5, P09 및 P0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송수신기 TRP#1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을 사용하여 포트 P05, P09 및 P01로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2, P06 및 P1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포트 P02, P06 및 P10로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포트 P03, P07 및 P11로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포트 P04, P08 및 P00으로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트들은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5,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6,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3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00일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5b를 참조하면, 제1 송수신기 TRP#1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2, P06 및 P1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포트 P02, P06 및 P10로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포트 P03, P07 및 P11로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0, P04 및 P08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포트 P00, P04 및 P08로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1, P05 및 P09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포트 P01, P05 및 P09로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포트들은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6,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7,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4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01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수신기 TRP#1 내지 TRP#4는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스케줄링 시간이 진행함에 따라 생성된 빔들이 단위 클러스터 서비스 영역을 빔 스위핑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송수신기들이 스케줄링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송하는 빔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스케줄링 시간 t1 내지 t16에 송수신기들이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빔들이 삼각형으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가로축은 시간 축일 수 있고, 스케줄링 시간들(즉, t1 내지 t16)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세로축은 포트 인덱스 축일 수 있으며,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4)의 포트 인덱스들(P00 내지 P11)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검은 실선으로 구별된 박스 영역들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빔을 송신하는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4)의 포트 인덱스들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송수신기(TRP#1)는 네 개의 포트 P03, P04, P05 및 P06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빔을 송신할 수 있고, 제2 송수신기(TRP#2)는 네 개의 포트 P06, P07, P08 및 P09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빔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송수신기(TRP#2)는 네 개의 포트 P00, P01, P02 및 P03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빔을 송신할 수 있고, 제4 송수신기(TRP#4)는 네 개의 포트 P09, P10, P11 및 P00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빔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송수신기들이 스케줄링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송하는 빔을 통합한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3과,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6과,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0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09는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1 포트 집합(S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4과,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7과,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1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10은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2 포트 집합(S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5와,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8과,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2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11은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3 포트 집합(S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6과,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9와,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3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00는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4 포트 집합(S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트 집합들(S1 내지 S4)이 스케줄링 시간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전송하는 빔들을 포트 집합 별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포트 집합들(S1 내지 S4)이 스케줄링 시간에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전송하는 빔들을 포트 집합 별로 구분하면, 포트 집합들의 통신 서비스 관여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제2 포트 집합(S2)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통신 서비스에 관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제1 포트 집합, 제3 포트 집합 및 제4 포트 집합(S1, S3 및 S4)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통신 서비스에 관여할 수 있다. 특히,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제4 포트 집합(S4)은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통신 서비스에 2개의 포트들이 관여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송수신기가 12개 포트들에 연속하여 4개의 서브 주파수 대역(B#1 내지 B#4)의 4개의 빔을 3번 할당하여 4개의 빔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운용할 수 있다.
도 18a와 도 18b는 단위 클러스터의 운용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0, P04 및 P08에 서브 주파수 대역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0, P04 및 P08을 사용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B#1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1, P05 및 P09에 서브 주파수 대역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1, P05 및 P09로 서브 주파수 대역B#2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2, P06 및 P10에 서브 주파수 대역B#3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2, P#06 및 P#10로 서브 주파수 대역B#3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B#4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3, P07 및 P11로 서브 주파수 대역B#4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1, P05 및 P09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1, P05 및 P09를 사용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B#1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2, P06 및 P1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2, P06 및 P10으로 서브 주파수 대역 B#2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B#3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3, P07 및 P11로 서브 주파수 대역 B#3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으로 서브 주파수 대역 B#4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2, P06 및 P1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2, P06 및 P10을 사용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 B#1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3, P07 및 P11로 서브 주파수 대역 B#2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4, P08 및 P00로 서브 주파수 대역 B#3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5, P09 및 P01에 서브 주파수 대역B#4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5, P09 및 P01로 서브 주파수 대역 B#4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3, P07 및 P11을 사용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 B#1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에 서브 주파수 대역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으로 서브 주파수 대역 B#2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5, P09 및 P0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5, P09 및 P01로 서브 주파수 대역B#3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6, P10 및 P02에 서브 주파수 대역B#4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포트 P06, P10 및 P02로 서브 주파수 대역B#4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8b를 참조하면,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1, P05 및 P09에 서브 주파수 대역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1, P05 및 P09를 사용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B#1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2, P06 및 P1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2, P06 및 P10으로 서브 주파수 대역B#2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3, P07 및 P11로 서브 주파수 대역 B#3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으로 서브 주파수 대역 B#4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2, P06 및 P1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2, P06 및 P10을 사용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 B#1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3, P07 및 P11로 서브 주파수 대역 B#2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에 서브 주파수 대역B#3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으로 서브 주파수 대역 B#3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5, P09 및 P0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수신기 TRP#2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5, P09 및 P01로 서브 주파수 대역 B#4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3, P07 및 P1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3, P07 및 P11을 사용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 B#1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으로 서브 주파수 대역 B#2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5, P09 및 P01에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5, P09 및 P01로 서브 주파수 대역 B#3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6, P10 및 P02에 서브 주파수 대역B#4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송수신기 TRP#3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6, P10 및 P02로 서브 주파수 대역 B#4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에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4, P08 및 P00을 사용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 B#1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5, P09 및 P01에 서브 주파수 대역B#2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5, P09 및 P01로 서브 주파수 대역 B#2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6, P10 및 P02에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6, P10 및 P02으로 서브 주파수 대역B#3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7, P11 및 P03에 서브 주파수 대역B#4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송수신기 TRP#4는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포트 P07, P11 및 P03으로 서브 주파수 대역B#4의 빔들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들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송수신기가 4개의 서브 주파수 대역(B#1 내지 B#4)별 4개의 빔을 12개 포트(P00 내지 P11)에 연속하여 3번 할당하면 4개의 빔 간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운용할 수 있다.
도 19a와 도 19b는 송수신기들이 스케줄링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송하는 빔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3,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6,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0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09는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1 포트 집합(S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4,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7,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1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10은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2 포트 집합(S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5,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8,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2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11은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3 포트 집합(S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기 TRP#1의 포트 P06, 제2 송수신기 TRP#2의 포트 P09, 제3 송수신기 TRP#3의 포트 P03 및 제4 송수신기 TRP#4의 포트 P00는 단위 클러스터 구성에 관여하는 제4 포트 집합(S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포트 집합들(S1 내지 S4)이 스케줄링 시간들에서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전송하는 빔들을 서브 주파수 대역 별로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포트 집합들(S1 내지 S4)이 스케줄링 시간에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전송하는 빔들을 서브 주파수 대역 별로 표시하면, 서브 주파수 대역 별로 통신 서비스 관여하는 포트 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케줄링 시간에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에 관여하는 포트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스케줄링 시간에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대하여 통신 서비스에 관여하는 포트 개수는 총 16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스케줄링 시간에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총 16개의 포트가 빔을 형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블록킹 확률이 줄어들게 될 수 있다. 또한,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총 16개의 포트가 빔을 형성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어느 정보 간섭이 없는 무선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b를 참조하면 포트 집합들(S1 내지 S4)이 스케줄링 시간들에서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전송하는 빔들을 서브 주파수 대역 전체로 통합하여 보여줄 수 있다.
한편, 스케줄링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제어 장치는 각각의 단위 클러스터에 속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링 정보는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송수신기 식별자들, 단위 클러스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송수신기별 포트 인덱스들, 송수신기별 포트 인덱스들이 활성화되는 시간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케줄링 정보를 도시적으로 표현하면 도 17 또는 도 19b일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링 정보는 송수신기들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단위 클러스터에 속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자신이 위치하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자신이 위치하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위 클러스터에 속하는 송수신기 식별자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송수신기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포트 인덱스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송수신기별 포트들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활성화되는 시간 구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도 17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여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TRP #1의 포트 P04, TRP #2의 포트 P09, TRP #3의 포트 P02 및 TRP #04의 포트 P11이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해당 포트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와 무선 링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도 17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여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TRP #1의 포트 P05, TRP #2의 포트 P06, TRP #3의 포트 P03 및 TRP #04의 포트 P00이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해당 포트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와 무선 링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도 19b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여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TRP #1의 포트 P04, TRP #2의 포트 P09, TRP #3의 포트 P02 및 TRP #04의 포트 P11이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활성화되고, TRP #1의 포트 P05, TRP #2의 포트 P06, TRP #3의 포트 P03 및 TRP #04의 포트 P00이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활성화되며, TRP #1의 포트 P06, TRP #2의 포트 P07, TRP #3의 포트 P00 및 TRP #04의 포트 P09가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사용하여 활성화되고, TRP #1의 포트 P03, TRP #2의 포트 P08, TRP #3의 포트 P01 및 TRP #04의 포트 P10이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사용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해당 포트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도 19b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여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TRP #1의 포트 P05, TRP #2의 포트 P06, TRP #3의 포트 P03 및 TRP #04의 포트 P00이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여 활성화되고, TRP #1의 포트 P06, TRP #2의 포트 P07, TRP #3의 포트 P00 및 TRP #04의 포트 P09가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여 활성화되며, TRP #1의 포트 P03, TRP #2의 포트 P08, TRP #3의 포트 P01 및 TRP #04의 포트 P10가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사용하여 활성화되고, TRP #1의 포트 P04, TRP #2의 포트 P09, TRP #3의 포트 P02 및 TRP #04의 포트 P11이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사용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해당 포트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에서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송수신기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자신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이 속하는 단위 클러스터의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위에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단위 클러스터에 포함된 송수신기들의 포트들과 무선 링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 송수신기 식별자 및 빔 인덱스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를 참조하면, 중앙 제어 장치는 송수신기들의 각각의 포트가 빔을 생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에 해당 빔마다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identifier, ID), 송수신기 식별자(ID) 및 빔 인덱스(index)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N×SF 별로 데이터 채널(일 예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하여 단말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SF는 서브 프레임(subframe)일 수 있다. 그리고,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서브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서브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및 빔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수신한 서브 프레임을 디코딩할 수 있다는 것은, 수신한 서브 프레임의 수신 신호 세기가 일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즉, 송수신기에서 해당 서브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한 포트가 생성한 빔의 빔 방향이 단말을 향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송수신기에서 해당 서브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한 포트가 생성한 빔의 빔 방향이 단말로부터 멀리 벗어나는 경우에는 단말은 해당 서브 프레임을 디코딩할 수 없다.
한편, 단말은 서브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알아낸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및 빔 인덱스를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로 피드백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단말 ID를 함께 송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단말로부터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빔 인덱스 및 단말 ID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빔 인덱스 및 단말 ID를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중앙 제어 장치는 단위 클러스터에 속하는 송수신기들로부터 해당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빔 인덱스 및 단말 ID로 구성된 피드백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 장치는 수신한 피드백 정보들로부터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0a를 참조하면, 송수신기들은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ID), 송수신기 식별자(ID) 및 빔 인덱스(index)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N이 1인 경우로 SF 별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송수신기들은 각 서브 프레임(SF#0, SF#1, SF#2, SF#3 등)에 클러스터 식별자(ID), 송수신기 식별자(ID) 및 빔 인덱스(index)를 포함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빔 인덱스는 포트 인덱스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0b를 참조하면, 송수신기들은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ID), 송수신기 식별자(ID) 및 빔 인덱스(index)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N이 2인 경우로 2×SF 별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송수신기들은 SF#0, SF#2 등의 서브 프레임에 클러스터 식별자(ID), 송수신기 식별자(ID) 및 빔 인덱스(index)를 포함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0c를 참조하면, 송수신기들은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ID), 송수신기 식별자(ID) 및 빔 인덱스(index)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N이 3인 경우에 3×SF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송수신기들은 SF#0, SF#3 등의 서브 프레임에 클러스터 식별자(ID), 송수신기 식별자(ID) 및 빔 인덱스(index)를 포함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기들은 플래그 비트를 사용하여 클러스터 ID 규모, 송수신기 식별자 규모 및 빔 인덱스 규모를 정의할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클러스터 식별자, 송수신기 식별자 및 빔 인덱스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d를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은 2비트의 플래그 비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유형으로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및 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1a는 유형 1의 서브 프레임일 수 있다. 유형 1의 서브 프레임은 플래그 비트가 00일 수 있고, 단위 클러스터 ID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가 64비트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단위 클러스터 ID는 4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1의 서브 프레임은 총 16개의 단위 클러스터 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형 1의 서브 프레임은 송수신기 ID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180비트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송수신기 ID는 5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1의 서브 프레임은 총 36개의 송수신기 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형 1의 서브 프레임은 빔 인덱스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2048비트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빔 인덱스는 8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1의 서브 프레임은 총 256개의 빔 인덱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b는 유형 2의 서브 프레임일 수 있다. 유형 2의 서브 프레임은 플래그 비트가 01일 수 있고, 단위 클러스터 ID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가 48비트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단위 클러스터 ID는 4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2의 서브 프레임은 총 12개의 단위 클러스터 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형 2의 서브 프레임은 송수신기 ID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135비트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송수신기 ID는 5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2의 서브 프레임은 총 27개의 송수신기 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형 2의 서브 프레임은 빔 인덱스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1536비트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빔 인덱스는 8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2의 서브 프레임은 총 192개의 빔 인덱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c는 유형 3의 서브 프레임일 수 있다. 유형 3의 서브 프레임은 플래그 비트가 10일 수 있고, 단위 클러스터 ID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가 32비트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단위 클러스터 ID는 4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3의 서브 프레임은 총 8개의 단위 클러스터 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형 3의 서브 프레임은 송수신기 ID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90비트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송수신기 ID는 5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3의 서브 프레임은 총 18개의 송수신기 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형 3의 서브 프레임은 빔 인덱스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1024비트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빔 인덱스는 8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3의 서브 프레임은 총 128개의 빔 인덱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d는 유형 4의 서브 프레임일 수 있다. 유형 4의 서브 프레임은 플래그 비트가 11일 수 있고, 단위 클러스터 ID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가 16비트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단위 클러스터 ID는 4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4의 서브 프레임은 총 4개의 단위 클러스터 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형 4의 서브 프레임은 송수신기 ID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45비트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송수신기 ID는 5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4의 서브 프레임은 총 9개의 송수신기 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형 4의 서브 프레임은 빔 인덱스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512비트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빔 인덱스는 8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3의 서브 프레임은 총 64개의 빔 인덱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유형4의 서브 프레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유형 4의 서브 프레임은 플래그 비트가 11일 수 있다. 플래그 비트는 서브 프레임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위 클러스터 ID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가 16비트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단위 클러스터 ID는 4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4의 서브 프레임은 총 4개의 단위 클러스터 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위 클러스터 ID는 0000, 0001, 0010 및 0011일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 ID는 플래그 비트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단위 클러스터 ID들은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단위 클러스터 ID들은 0000-0001-0010-0011의 순서로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클러스터 ID는 해당 위치에 할당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다른 위치들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단위 클러스터 ID 0001은 단위 클러스터 ID들의 두 번째 위치에 할당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나머지 위치들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위 클러스터 ID 0011은 마지막 위치에 할당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나머지 위치들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유형 4의 서브 프레임은 송수신기 ID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45비트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송수신기 ID는 5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4의 서브 프레임은 총 9개의 송수신기 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송수신기 ID들은 0000 내지 0100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송수신기 ID는 단위 클러스터 ID의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ID는 단위 클러스터 ID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기 ID들은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송수신기 ID들은 00000-00001-00010-00011-00100-00101-00110-00111-01000의 순서로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 ID는 해당 위치에 할당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다른 위치들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송수신기 ID 00001은 송수신기 ID들의 두 번째 위치에 할당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나머지 위치들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 ID 01000은 마지막 위치에 할당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나머지 위치들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유형 4의 서브 프레임은 빔 인덱스들을 나타내기 위한 비트로 512비트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빔 인덱스는 8비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3의 서브 프레임은 총 64개의 빔 인덱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빔 인덱스들도 클러스터 ID나 송수신기 ID들을 전송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3은 빔 인덱스를 재활용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빔 인덱스는 일 예로 총 8비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8비트에서 앞에 4비트는 송수신기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고, 뒤에 4비트는 포트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송수신기(TRP#0)의 제1 포트(P#00)가 송신하는 빔의 빔 인덱스는 제1 송수신기의 식별자 0000에 제1 포트(P#00)의 식별자 0000을 가산하여 00000000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빔 인덱스는 제1 송수신기(TRP#0)에서 제9 송수신기(TRP#8)까지의 포트가 생성하는 빔에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송수신기(TRP#0)에서 제9 송수신기(TRP#8)까지의 포트가 생성하는 빔에 할당된 인덱스는 제10 송수신기(TRP#9)에서 제 18 송수신기(TRP#17) 까지의 포트가 생성하는 빔에 재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9 송수신기(TRP#8)의 포트가 생성하는 빔의 빔 인덱스는 제1 송수신기(TRP#0)의 포트가 송신하는 빔의 빔 인덱스를 재활용하여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9 송수신기(TRP#8)의 제1 포트(P#00)가 생성하는 빔의 빔 인덱스는 제1 송수신기(TRP#0)의 제1 포트(P#00)가 송신하는 빔의 빔 인덱스 00000000를 재활용하여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24는 송수신기 식별자를 재활용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송수신기의 식별자가 위치가 상이한 송수신기들에서 재활용되고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제1 송수신기의 식별자 TRP#0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상의 사각형들이 형성하는 격자점의 3개 간격으로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기의 식별자 TRP#0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상의 사각형들이 형성하는 격자점의 3개의 간격으로 반복될 수 있다.
도 25는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를 재활용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가 위치가 상이한 단위 클러스터들에서 재활용되고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위 클러스터의 식별자 03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나의 단위 클러스터를 사이에 위치시키는 간격으로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 클러스터의 식별자 00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나의 단위 클러스터를 사이에 위치시키는 간격으로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앞선 도 20a 내지 도 25에서 중앙 제어 장치가 송수신기들의 각각의 포트가 빔을 생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에 해당 빔마다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 송수신기 식별자 및 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데이터 채널(일 예로 PDSCH)을 통하여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달리 참조 신호(일 예로,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수신한 참조 신호에서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및 빔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참조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참조 신호에서 알아낸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및 빔 인덱스를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로 피드백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단말 ID와 수신 신호 세기를 함께 송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단말로부터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빔 인덱스, 단말 ID 및 수신 신호 세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빔 인덱스, 단말 ID 및 수신 신호 세기를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중앙 제어 장치는 단위 클러스터에 속하는 송수신기들로부터 해당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빔 인덱스, 단말 ID 및 수신 신호 세기로 구성된 피드백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 장치는 수신한 피드백 정보들로부터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도 26은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에서 중앙 제어 장치는 송수신기 간의 빔 상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S2610). 이를 위하여 중앙 제어 장치는 다수의 송수신기들이 도 27과 같이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7은 확장 단위 클러스터에서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확장 단위 클러스터는 단위 클러스터 #1 내지 #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 #1은 4개의 송수신기 TRP#1 내지 TRP#4로 형성될 수 있고, 단위 클러스터 #2는 4개의 송수신기 TRP#2, TRP#4, TRP#7 및 TRP#8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 #3은 4개의 송수신기 TRP#3 내지 TRP#6로 형성될 수 있고, 단위 클러스터 #4는 4개의 송수신기 TRP#4, TRP#6, TRP#8 및 TRP#9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장 단위 클러스터에서 송수신기 TRP#4가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제어 장치는 송수신기 TRP#4가 모든 포트를 사용하여 최대(max) 전력 세기, 중간(medium) 전력 세기, 최소(low)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빔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송수신기 TRP4는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지시에 따라 모든 포트를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빔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 장치는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3, TRP#5 내지 TRP#9)에게 송수신기 TRP#4에서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3, TRP#5 내지 TRP#9)은 지시에 따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수신기 TRP#4로부터 빔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3, TRP#5 내지 TRP#9)은 포트들을 이용하여 송수신기 TRP#4로부터 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신호들의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보고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3, TRP#5 내지 TRP#9)은 측정한 포트 ID를 함께 중앙 제어 장치로 보고할 수 있다.
TRP#4 TRP#1 TRP#2 TRP#3 TRP#5 TRP#6 TRP#7 TRP#8 TRP#9
송신모드 수신
모드
송신모드 수신
모드
송신모드 수신
모드
송신모드 수신
모드
송신모드 수신
모드
송신모드 수신
모드
송신모드 수신
모드
송신모드 수신
모드
이와 달리, 중앙 제어 장치는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3, TRP#5 내지 TRP#9)에게 모든 포트를 사용하여 최대(max) 전력 세기, 중간(medium) 전력 세기, 최소(low)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빔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3, TRP#5 내지 TRP#9)은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지시에 따라 모든 포트를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빔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 장치는 송수신기 TRP#4에게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3, TRP#5 내지 TRP#9)로부터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송수신기 TRP#4는 지시에 따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3, TRP#5 내지 TRP#9)로부터 빔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4는 포트들을 이용하여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3, TRP#5 내지 TRP#9)로부터 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신호들의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보고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기 TRP#4는 측정한 포트 ID를 함께 중앙 제어 장치로 보고할 수 있다.
TRP#4 TRP#1 TRP#2 TRP#3 TRP#5 TRP#6 TRP#7 TRP#8 TRP#9
수신모드 송신
모드
수신모드 송신
모드
수신모드 송신
모드
수신모드 송신
모드
수신모드 송신
모드
수신모드 송신
모드
수신모드 송신
모드
수신모드 송신
모드
도 28은 단위 클러스터의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4개의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4)은 단위 클러스터 #1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송수신기는 이웃하는 3개의 송수신기들에서 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가 수신 모드가 되어 이웃하는 3개의 송수신기들이 빔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들은 단위 클러스터 #1의 서비스 영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4개의 포트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가 전송하는 빔의 세기는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및 최소 전력 세기의 3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송수신기가 주변 송수신기들로부터 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측정할 측정값들은 포트 개수 4, 전력 레벨 3 및 주변의 송수신기 개수 3을 곱하여 36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측정용 송수신기와 주변의 송수신기의 측정 집합은 36가지일 수 있다.
도 29는 도 28의 단위 클러스터의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중앙 제어 장치는 주변의 송수신기들(TRP#2 내지 TRP#4)에게 모든 포트들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주변의 주변의 송수신기들(TRP#2 내지 TRP#4)은 지시에 따라 모든 포트들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 장치는 송수신기 TRP#1에게 주변의 송수신기 TRP#2 내지 TRP#4들로부터 빔을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송수신기 TRP#1는 지시에 따라 주변의 송수신기 TRP#2 내지 TRP#4들로부터 빔을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보고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송수신기 TRP#2는 포트 P07, P08, P09 및 P10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1은 포트 P03과 P04를 통하여 송수신기 TRP#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1은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 TRP#3은 포트 P00, P01, P02 및 P11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1은 포트 P05와 P06을 통하여 송수신기 TRP#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1은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 TRP#4는 포트 P00, P09, P10 및 P11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1은 포트 P04와 P05를 통하여 송수신기 TRP#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1은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는 표 3과 같을 수 있다.
TRP#2에서 TRP#1로 송신하는 경우 TRP#3에서 TRP#1로 송신하는 경우 TRP#4에서 TRP#1로 송신하는 경우
TRP#2의 빔 인덱스 TRP#1의 빔 인덱스 TRP#3의 빔 인덱스 TRP#1의 빔 인덱스 TRP#4의 빔
인덱스
TRP#1의 빔 인덱스
08 03 - 03 - 03
09 - -
10 - -
07 04 - 04 10 04
08 - 11
09 - 00
- 05 00 05 09 05
- 01 10
- 02 11
- 06 11 06 - 06
- 00 -
- 01 -
도 30은 도 28의 단위 클러스터의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도 30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 장치는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TRP#3 내지 TRP#4)에게 모든 포트들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주변의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TRP#3 내지 TRP#4)은 지시에 따라 모든 포트들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 장치는 송수신기 TRP#2에게 주변의 송수신기 TRP#1, TRP#3 내지 TRP#4들로부터 빔을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송수신기 TRP#2는 지시에 따라 주변의 송수신기 TRP#1, TRP#3 내지 TRP#4들로부터 빔을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보고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송수신기 TRP#1은 포트 P02, P03, P04 및 P05를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2는 포트 P08과 P09를 통하여 송수신기 TRP#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2는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 TRP#3은 포트 P00, P01, P02 및 P03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2는 포트 P07과 P08을 통하여 송수신기 TRP#3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2는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 TRP#4는 포트 P00, P01, P10 및 P11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2는 포트 P06과 P07을 통하여 송수신기 TRP#4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2는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는 표 4와 같을 수 있다.
TRP#1에서 TRP#2로 송신하는 경우 TRP#3에서 TRP#2로 송신하는 경우 TRP#4에서 TRP#2로 송신하는 경우
TRP#1의 빔 인덱스 TRP#2의 빔 인덱스 TRP#3의 빔 인덱스 TRP#2의 빔 인덱스 TRP#4의 빔
인덱스
TRP#2의 빔 인덱스
- 06 - 06 11 06
- - 00
- - 01
- 07 01 07 10 07
- 02 11
- 03 00
03 08 00 08 - 08
04 01 -
05 02 -
02 09 - 09 - 09
03 - -
04 - -
이에 따라, 중앙 제어 장치는 보고받은 전력 세기 정보로부터 TRP#1 내지 TRP#4의 위치가 도 27에 도시된 바와 정합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는 판단 결과,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P#1 내지 TRP#4의 위치가 정합되어 있지 않으면, 포트 ID들을 도 27에서와 같이 정합되도록 재할당할 수 있다.도 31은 도 28의 단위 클러스터의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 장치는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TRP#2 및 TRP#4)에게 모든 포트들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주변의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TRP#2 및 TRP#4)은 지시에 따라 모든 포트들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 장치는 송수신기 TRP#3에게 주변의 송수신기 TRP#1, TRP#2 및 TRP#4들로부터 빔을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송수신기 TRP#3은 지시에 따라 주변의 송수신기 TRP#1, TRP#2 및 TRP#4들로부터 빔을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보고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송수신기 TRP#1은 포트 P04, P05, P06 및 P07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3은 포트 P00과 P01을 통하여 송수신기 TRP#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3은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 TRP#2는 포트 P06, P07, P08 및 P09를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3은 포트 P01과 P02를 통하여 송수신기 TRP#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3은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 TRP#4는 포트 P08, P09, P10 및 P11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3은 포트 P02와 P03을 통하여 송수신기 TRP#4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3은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는 표 5와 같을 수 있다.
TRP#1에서 TRP#3으로 송신하는 경우 TRP#2에서 TRP#3으로 송신하는 경우 TRP#4에서 TRP#3으로 송신하는 경우
TRP#1의 빔 인덱스 TRP#3의 빔 인덱스 TRP#2의 빔 인덱스 TRP#3의 빔 인덱스 TRP#4의 빔
인덱스
TRP#3의 빔 인덱스
05 00 - 00 - 00
06 - -
07 - -
04 01 07 01 - 01
05 08 -
06 09 -
- 02 06 02 09 02
- 07 10
- 08 11
- 03 - 03 08 03
- - 09
- - 10
도 32는 도 28의 단위 클러스터의 어느 하나의 송수신기가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도 32를 참조하면, 중앙 제어 장치는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3)에게 모든 포트들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주변의 주변의 송수신기들(TRP#1 내지 TRP#3)은 지시에 따라 모든 포트들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 장치는 송수신기 TRP#4에게 주변의 송수신기 TRP#1 내지 TRP#3들로부터 빔을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송수신기 TRP#4는 지시에 따라 주변의 송수신기 TRP#1 내지 TRP#3들로부터 빔을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 전력 세기를 측정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보고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송수신기 TRP#1은 포트 P03, P04, P05 및 P06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4는 포트 P10과 P11을 통하여 송수신기 TRP#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4는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 TRP#2는 포트 P05, P06, P07 및 P08을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4는 포트 P00과 P11을 통하여 송수신기 TRP#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4는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기 TRP#3은 포트 P01, P02, P03 및 P04를 사용하여 빔을 이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송수신기 TRP#4는 포트 P09와 P10을 통하여 송수신기 TRP#3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인덱스별로,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로 전력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 TRP#4는 측정한 빔 인덱스별, 송신 전력 세기의 레벨별의 전력 세기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는 표 6과 같을 수 있다.
TRP#1에서 TRP#4로 송신하는 경우 TRP#2에서 TRP#4로 송신하는 경우 TRP#3에서 TRP#4로 송신하는 경우
TRP#1의 빔 인덱스 TRP#4의 빔 인덱스 TRP#2의 빔 인덱스 TRP#4의 빔 인덱스 TRP#3의 빔
인덱스
TRP#4의 빔 인덱스
- 00 05 00 - 00
- 06 -
- 07 -
03 11 06 11 - 11
04 07 -
05 08 -
04 10 - 10 01 10
05 - 02
06 - 03
- 09 - 09 02 09
- - 03
- - 04
도 33a 내지 도 33d는 송신 전력 세기와 수신 전력 세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도 33a 내지 도 33d를 참조하면, TRP #Y를 송신 모드(TX mode)로 동작할 수 있고, TRP #Y를 수신 모드(RX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시간 T1 또는 T3에서 TRP #Y는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로 순차적으로 빔을 생성하여 생성한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TRP #X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TRP #Y가 허용하는 최대 전력 세기를 기준으로 중간 전력 세기, 최소 전력 세기를 정의할 수 있다. 일 예로, TRP#Y의 최대 전력 세기가 24dBm이라고 가정하여 3등분하면, 최대 전력 세기는 24dBm, 중간 전력 세기는 16 dBm, 최소 전력 세기는 8dBm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도 33a를 참조하면, TRP #Y가 서브 주파수 대역 B#XX를 사용하여 포트 P0X, 포트 P0Y 및 포트 P0Z를 활성화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및 최소 전력 세기로 빔을 생성하여 TRP #X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TRP #Y는 포트 PYY를 사용하여 TRP #Y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들의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SS)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3a의 G1은 TRP #Y가 포트 PYY를 사용하여 TRP #Y로부터 포트 POX를 통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 B#XX를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및 최소 전력 세기로 전송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측정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G1에서 11은 최대 수신 전력 세기, 12는 중간 수신 전력 세기, 13은 최소 수신 전력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도 33a의 G2는 TRP #Y가 포트 PYY를 사용하여 TRP #Y로부터 포트 POY를 통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 B#XX를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및 최소 전력 세기로 전송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측정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G2에서 21은 최대 수신 전력 세기, 22는 중간 수신 전력 세기, 23은 최소 수신 전력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3a의 G3은 TRP #Y가 포트 PYY를 사용하여 TRP #Y로부터 포트 POZ을 통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 B#XX를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및 최소 전력 세기로 전송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측정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G3에서 31은 최대 수신 전력 세기, 32는 중간 수신 전력 세기, 33은 최소 수신 전력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3a의 G1이 최소 수신 신호 세기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G1과 G2 및 G3는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TRP#Y의 포트 POX와 TRP#X의 포트 POY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갖고 있을 수 있고, TRP#Y의 포트 POX와 TRP#X의 포트 POY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33b에서 GR은 TRP #Y와 TRP #Y가 기준 거리로 떨어져 있을 때, TRP#Y가 서브 주파수 대역 B#XX를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및 최소 전력 세기로 전송하는 신호들을 TRP#X가 수신하여 측정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GR에서 R1은 최대 수신 전력 세기, R2는 중간 수신 전력 세기, R3은 최소 수신 전력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3b에서 G1이 GR에 근사할 수 있어, TRP#Y와 TRP#X는 기준 거리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33c를 참조하면, TRP #Y가 서브 주파수 대역 B#YY를 사용하여 포트 P0X, 포트 P0Y 및 포트 P0Z를 활성화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및 최소 전력 세기로 빔을 생성하여 TRP #X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TRP #Y는 포트 PYY를 사용하여 TRP #Y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3c에서 G1은 TRP #Y가 포트 PYY를 사용하여 TRP #Y로부터 포트 POX를 통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 B#YY를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및 최소 전력 세기로 전송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측정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G1에서 11은 최대 수신 전력 세기, 12는 중간 수신 전력 세기, 13은 최소 수신 전력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도 33c의 G2는 TRP #Y가 포트 PYY를 사용하여 TRP #Y로부터 포트 POY를 통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 B#YY를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및 최소 전력 세기로 전송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측정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G2에서 21은 최대 수신 전력 세기, 22는 중간 수신 전력 세기, 23은 최소 수신 전력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3c의 G3은 TRP #Y가 포트 PYY를 사용하여 TRP #Y로부터 포트 POZ을 통하여 서브 주파수 대역 B#YY를 사용하여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및 최소 전력 세기로 전송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측정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G3에서 31은 최대 수신 전력 세기, 32는 중간 수신 전력 세기, 33은 최소 수신 전력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3c에서 G1과 G2가 최소 수신 신호 세기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서로 근접되어 있어 주도적인 빔 인덱스가 없는 경우일 수 있다.
한편, 도 33d에서 GR은 TRP #Y와 TRP #Y가 기준 거리로 떨어져 있을 때, TRP#Y가 최대 전력 세기, 중간 전력 세기 및 최소 전력 세기로 전송하는 신호들을 TRP#X가 수신하여 측정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 GR에서 R1은 최대 수신 전력 세기, R2는 중간 수신 전력 세기, R3은 최소 수신 전력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3d에서 G1과 G2가 GR에 근사할 수 있어, TRP#Y와 TRP#X는 기준 거리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제어 장치는 보고받은 전력 세기 정보로부터 도 33a 내지 도 33d에 기반한 상관 관계들에 따라 TRP#1 내지 TRP#4의 위치가 도 27에 도시된 바와 정합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는 판단 결과,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P#1 내지 TRP#4의 위치가 정합되어 있지 않으면, 포트 ID들을 도 27에서와 같이 정합되도록 재할당할 수 있다. 또는 중앙 제어 장치는 관리자에게 이와 같은 사실을 알려 TRP#1 내지 TRP#4를 재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6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 장치는 단위 클러스터의 빔 패턴들을 파악할 수 있다(S2630).
도 34a 내지 도 34d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로 다른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빔 패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4a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1가 포트 P04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여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2가 포트 P09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3가 포트 P0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01을 이용하는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4가 포트 P1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 클러스터의 빔 패턴은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 부근에서 세 개의 빔이 겹치기 때문에 3머지(merge) 제1 형이라고 할 수 있고, A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4b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1가 포트 P05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이용하는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2가 포트 P06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이용하는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3가 포트 P03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4가 포트 P00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을 이용하는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 클러스터의 빔 패턴은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 부근에서 TRP#1와 TRP#3에서 전송하는 빔이 겹칠 수 있고, TRP#2와 TRP#4에서 전송하는 빔이 마주볼 수 있어, 2머지-마주보는 제1 형이라고 할 수 있고, B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4c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1가 포트 P06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이용하는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2가 포트 P07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이용하는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3가 포트 P00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이용하는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4가 포트 P09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이용하는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 클러스터의 빔 패턴은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 부근에서 TRP#2와 TRP#4에서 전송하는 빔이 겹칠 수 있고, TRP#1과 TRP#3에서 전송하는 빔이 마주볼 수 있어, 2머지-마주보는 제2 형이라고 할 수 있고, C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4d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1가 포트 P03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2가 포트 P08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3가 포트 P0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4가 포트 P10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 클러스터의 빔 패턴은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 부근에서 TRP#2, TRP#3 및 TRP#4에서 전송하는 빔이 겹칠 수 있어 3머지 제2 형이라고 할 수 있고, D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중앙 제어 장치는 다수의 송수신기들이 측정한 측정값들로부터 동일 스케줄링 시간(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별 빔 패턴을 알아낼 수 있다. 단위 클러스터 #1에 대하여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은 A패턴을 가질 수 있고, 서브 주파수 대역 B#2는 B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서브 주파수 대역 B#3은 C패턴을 가질 수 있고, 서브 주파수 대역 B#4는 D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35a 내지 도 35d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로 다른 스케줄링 시간에서 빔 패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5a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1가 포트 P04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2가 포트 P09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3가 포트 P0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4가 포트 P1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 클러스터의 빔 패턴은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 부근에서 세 개의 빔이 겹치기 때문에 3머지 제1 형이라고 할 수 있고, A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5b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1가 포트 P05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2가 포트 P06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3가 포트 P03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4가 포트 P00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0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 클러스터의 빔 패턴은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 부근에서 TRP#1와 TRP#3에서 전송하는 빔이 겹칠 수 있고, TRP#2와 TRP#4에서 전송하는 빔이 마주볼 수 있어, 2머지-마주보는 제1 형이라고 할 수 있고, B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5c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1가 포트 P06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2가 포트 P07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3가 포트 P00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4가 포트 P09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 클러스터의 빔 패턴은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 부근에서 TRP#2와 TRP#4에서 전송하는 빔이 겹칠 수 있고, TRP#1과 TRP#3에서 전송하는 빔이 마주볼 수 있어, 2머지-마주보는 제2 형이라고 할 수 있고, C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5d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1가 포트 P03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2가 포트 P08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3가 포트 P0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송수신기 TRP#4가 포트 P10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이용하는 빔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 클러스터의 빔 패턴은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 부근에서 TRP#2, TRP#3 및 TRP#4에서 전송하는 빔이 겹칠 수 있어 3머지 제2 형이라고 할 수 있고, D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중앙 제어 장치는 다수의 송수신기들이 측정한 측정값들로부터 스케줄링 시간들(t1 내지 t4)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별 빔 패턴을 알아낼 수 있다. 단위 클러스터 #1에 대하여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은 A패턴을 가질 수 있고,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은 B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은 C패턴을 가질 수 있고,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은 D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36a 내지 도 36c는 단위 클러스터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과 스케줄링 시간에서 빔 패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6a 내지 도 36c를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 #1에 대하여 빔 패턴 A, B, C, D가 서브 주파수 대역별 그리고 시간별로 반복될 수 있다. 단위 클러스터 #1은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면 A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면 B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사용하면 C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사용하면 D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 #1은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면 B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면 C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사용하면 D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사용하면 A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위 클러스터 #1은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면 C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면 D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사용하면 A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사용하면 B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단위 클러스터 #1은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을 사용하면 D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서브 주파수 대역 B#2를 사용하면 A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서브 주파수 대역 B#3을 사용하면 B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서브 주파수 대역 B#4를 사용하면 C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단위 클러스터 #1은 시간 스케줄링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볼 때 A, B, C, D의 패턴이 스케줄링 시간에 따라 계속 반복될 수 있다. 이처럼 스케줄링 시간에 따라 반복되는 A, B, C, D의 패턴을 묶으면 1, 2, 3, 4로 표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송수신기들의 측정값을 근거로 할 때 동일한 빔 패턴이 반복될 수 있다. 빔 패턴은 서브 주파수 대역에 따라 시간에 따라 반복될 수 있다. 하나의 스케줄링 시간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에 따라 빔 패턴은 반복적으로 연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빔 패턴은 반드시 송신 모드에서 사용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어떤 스케줄링 시간에서 빔 패턴은 송신 모드로 사용될 수 있고, 어떤 스케줄링 시간에서 빔 패턴은 수신 모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빔 패턴이 수신 모드로 사용될 때는 단말이 어떤 스케줄링 시간에 어떤 서브 주파수 대역으로 송신할지를 알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 장치는 빔 패턴들로부터 특정한 스케줄링 시간(일 예로 t1)에 지역별 위치에 따라서 단말이 감지할 수 있는 빔 인덱스와 빔의 수신 전력 세기를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제어 장치가 송수신기들의 각각의 포트가 빔을 생성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에 해당 빔마다 단위 클러스터 식별자, 송수신기 식별자 및 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데이터 채널(일 예로 PDSCH)을 통하여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거나, 참조 신호(일 예로, CSI-RS)를 통하여 단말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서브 프레임 또는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서브 프레임 또는 참조 신호에서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및 빔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참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참조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서브 프레임 또는 참조 신호에서 알아낸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및 빔 인덱스를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로 피드백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단말 ID와 수신 신호 세기(참조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함께 송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는 단말로부터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빔 인덱스, 단말 ID 및 수신 신호 세기(참조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빔 인덱스, 단말 ID 및 수신 신호 세기(참조 신호를 전송한 경우)를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중앙 제어 장치는 단위 클러스터에 속하는 송수신기들로부터 해당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위 클러스터 ID, 송수신기 ID, 빔 인덱스, 단말 ID 및 수신 신호 세기(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 경우)로 구성된 피드백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 장치는 수신한 피드백 정보들로부터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중앙 제어 장치는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신호의 서브 주파수 대역 정보와 해당 빔 인덱스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해당 단말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 알 수 있다.
도 37a 내지 도 37i는 단말이 위치에 따라 수신하는 빔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7a를 참조하면, 단말(R1)이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1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5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1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4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10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이 클러스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8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7b를 참조하면, 단말(R2)이 TRP#1과 TRP#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4을 사용하여 포트 P03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9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2)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7c를 참조하면, 단말(R3)이 TRP#1과 TRP#2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4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을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3)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7d를 참조하면, 단말(R4)이 TRP#3과 TRP#4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2을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02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3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4)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7e를 참조하면, 단말(R5)이 TRP#3과 TRP#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3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3를 사용하여 포트 P09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5)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7f를 참조하면, 단말(R6)이 TRP#1과 TRP#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6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3를 사용하여 포트 P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6)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7g를 참조하면, 단말(R7)이 TRP#1과 TRP#3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5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7)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7h를 참조하면, 단말(R8)이 TRP#1과 TRP#3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4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3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8)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7i를 참조하면, 단말(R9)이 TRP#2와 TRP#4 사이에서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6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9)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도 38a 내지 도 38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8a를 참조하면, 단말(R1)이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1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5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1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4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10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이 클러스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8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8b를 참조하면, 단말(R1)이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5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1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4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이 클러스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8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8c를 참조하면, 단말(R1)이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1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5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3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이 클러스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8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8d를 참조하면, 단말(R1)이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단말이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5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4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이 클러스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8개일 수 있다.
다시, 도 26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 장치는 기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하여 스케줄링 맵을 형성할 수 있다(S2640).
도 39는 도 38a 내지 도 38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에서 단말(R1)이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매 스케줄링 시간마다 항상 총 8개의 빔을 통하여 송수신기들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단위 클러스터는 매 스케줄링 시간마다 순서대로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세 개의 빔, 다른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세 개의 빔, 각자 다른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1개의 빔으로 총 8개의 빔이 서비스 된다
일 예로, 서브 주파수 대역 B#1에서 TRP #1의 포트 P04, TRP3의 포트P02 및 TRP#4의 포트 P11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주파수 대역B#2에서 TRP#1의 포트 P05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주파수 대역B#3에서 TRP#2의 포트 P07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주파수 대역B#4에서 TRP#2의 포트 P08, TRP#3의 포트P01 및 TRP#4의 포트 P10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0a 내지 도 40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0a를 참조하면, 단말(R2)이 TRP#1과 TRP#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4을 사용하여 포트 P03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9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2)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0b를 참조하면, 단말(R2)이 TRP#1과 TRP#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3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9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2)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0c를 참조하면, 단말(R2)이 TRP#1과 TRP#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3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9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2)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0d를 참조하면, 단말(R2)이 TRP#1과 TRP#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3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9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2)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도 41은 도 39a 내지 도 39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에서 단말(R2)이 TRP#1과 TRP#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매 스케줄링 시간마다 항상 총 4개의 빔을 통하여 송수신기들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단위 클러스터는 매 스케쥴링 시간마다 순서대로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빔, 다른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빔으로 총 4개의 빔이 서비스 된다
일 예로,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에서 TRP #2의 포트 P09, TRP#3의 포트P11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주파수 대역B#4에서 TRP #1의 포트 P03, TRP#3의 포트 P01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2a 내지 도 42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2a를 참조하면, 단말(R3)이 TRP#1과 TRP#2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4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을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3)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2b를 참조하면, 단말(R3)이 TRP#1과 TRP#2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4을 사용하여 포트 P04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3)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2c를 참조하면, 단말(R3)이 TRP#1과 TRP#2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4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3)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2d를 참조하면, 단말(R3)이 TRP#1과 TRP#2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4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3)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도 43은 도 42a 내지 도 42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에서 단말(R3)이 TRP#1과 TRP#2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매 스케줄링 시간마다 항상 총 4개의 빔을 통하여 송수신기들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단위 클러스터는 매 스케쥴링 시간마다 순서대로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빔, 다른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빔으로 총 4개의 빔이 서비스 된다
일 예로,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에서 TRP #1의 포트 P04, TRP#4의 포트P11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주파수 대역B#4에서 TRP #2의 포트 P08, TRP#3의 포트 P01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4a 내지 도 44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4a를 참조하면, 단말(R4)이 TRP#3과 TRP#4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2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4)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4b를 참조하면, 단말(R4)이 TRP#3과 TRP#4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4)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4c를 참조하면, 단말(R4)이 TRP#3과 TRP#4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2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4)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4d를 참조하면, 단말(R4)이 TRP#3과 TRP#4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5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4)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도 45는 도 44a 내지 도 44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에서 단말(R4)이 TRP#3과 TRP#4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매 스케줄링 시간마다 항상 총 4개의 빔을 통하여 송수신기들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단위 클러스터는 매 스케쥴링 시간마다 각자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한 개의 빔을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총 4개의 빔이 서비스 된다
일 예로,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에서 TRP #2의 포트 P07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주파수 대역B#2에서 TRP#4의 포트 P10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주파수 대역 B#3에서 TRP#3의 포트 P02가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주파수 대역B#4에서 TRP#1의 포트 P05가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6a 내지 도 46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6a를 참조하면, 단말(R5)이 TRP#3과 TRP#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2을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3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3를 사용하여 포트 P09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5)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6b를 참조하면, 단말(R5)이 TRP#3과 TRP#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03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9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5)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6c를 참조하면, 단말(R5)이 TRP#3과 TRP#4 사이에서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3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9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5)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6d를 참조하면, 단말(R5)이 TRP#3과 TRP#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3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9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5)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도 47은 도 46a 내지 도 46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47을 참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에서 단말(R5)이 TRP#3와 TRP#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매 스케줄링 시간마다 항상 총 4개의 빔을 통하여 송수신기들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단위 클러스터는 매 스케쥴링 시간마다 순서대로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빔, 다른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빔으로 총 4개의 빔이 서비스 된다
일 예로,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2에서 TRP #1의 포트 P05, TRP#3의 포트P03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주파수 대역B#3에서 TRP #2의 포트 P07, TRP#4의 포트 P09가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8a 내지 도 48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8a를 참조하면, 단말(R6)이 TRP#1과 TRP#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6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4)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8b를 참조하면, 단말(R6)이 TRP#1과 TRP#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2을 사용하여 포트 P06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3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6)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8c를 참조하면, 단말(R6)이 TRP#1과 TRP#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6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6)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8d를 참조하면, 단말(R6)이 TRP#1과 TRP#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6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6)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도 49는 도 48a 내지 도 48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49를 참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에서 단말(R6)이 TRP#1과 TRP#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매 스케줄링 시간마다 항상 총 4개의 빔을 통하여 송수신기들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단위 클러스터는 매 스케쥴링 시간마다 순서대로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빔, 다른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빔으로 총 4개의 빔이 서비스 된다
일 예로,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에서 TRP #1의 포트 P06, TRP#3의 포트P00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주파수 대역B#2에서 TRP #2의 포트 P08, TRP#4의 포트 P10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0a 내지 도 50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0a를 참조하면, 단말(R7)이 TRP#1과 TRP#3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2을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7)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0b를 참조하면, 단말(R7)이 TRP#1과 TRP#3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3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7)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0c를 참조하면, 단말(R7)이 TRP#1과 TRP#3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7)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0d를 참조하면, 단말(R7)이 TRP#1과 TRP#3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5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8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0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1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7)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도 51은 도 50a 내지 도 50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에서 단말(R7)이 TRP#1과 TRP#3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매 스케줄링 시간마다 항상 총 4개의 빔을 통하여 송수신기들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단위 클러스터는 매 스케쥴링 시간마다 순서대로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세 개의 빔, 다른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한 개의 빔으로 총 4개의 빔이 서비스 된다
일 예로,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4에서 TRP#2의 포트 P08, TRP#3의 포트P01, TRP#4의 포트 P10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주파수 대역B#2에서 TRP#1의 포트 P05가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2a 내지 도 52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2a를 참조하면, 단말(R8)이 TRP#2와 TRP#4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8)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2b를 참조하면, 단말(R8)이 TRP#2와 TRP#4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2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8)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2c를 참조하면, 단말(R8)이 TRP#2와 TRP#4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2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3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8)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2d를 참조하면, 단말(R8)이 TRP#2와 TRP#4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2을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7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2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11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8)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도 53은 도 52a 내지 도 52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53을 참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에서 단말(R8)이 TRP#1과 TRP#3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 매 스케줄링 시간마다 항상 총 4개의 빔을 통하여 송수신기들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단위 클러스터는 매 스케쥴링 시간마다 순서대로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세 개의 빔, 다른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한 개의 빔으로 총 4개의 빔이 서비스 된다
일 예로,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1에서 TRP#1의 포트 P04, TRP#3의 포트P02, TRP#4의 포트 P11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주파수 대역B#3에서 TRP#2의 포트 P07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4a 내지 도 54d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의 제9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4a를 참조하면, 단말(R9)이 TRP#2와 TRP#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6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02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9)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4b를 참조하면, 단말(R9)이 TRP#2와 TRP#4 사이에서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2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1를 사용하여 포트 P06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2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1을 사용하여 포트 P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9)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4c를 참조하면, 단말(R9)이 TRP#2와 TRP#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3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6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2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4를 사용하여 포트 P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9)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4d를 참조하면, 단말(R9)이 TRP#2와 TRP#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단말이 스케줄링 시간 t4에서 수신하는 빔들은 TRP#1이 서브 주파수 B#2을 사용하여 포트 P04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2가 서브 주파수 B#3을 사용하여 포트 P06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TRP#3이 서브 주파수 B#2를 사용하여 포트 P02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 및 TRP#4가 서브 주파수 B#3를 사용하여 포트 P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빔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R9)이 수신하는 빔들은 4개일 수 있다.
도 55는 도 54a 내지 도 54d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의 개념도이다.
도 55를 참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빔에 기반한 스케줄링 맵에서 단말(R9)이 TRP#2와 TRP#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매 스케줄링 시간마다 항상 총 4개의 빔을 통하여 송수신기들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단위 클러스터는 매 스케쥴링 시간마다 순서대로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빔, 다른 하나의 서브 주파수 대역에서 두 개의 빔으로 총 4개의 빔이 서비스 된다
일 예로, 스케줄링 시간 t1에서 서브 주파수 대역 B#3에서 TRP #1의 포트 P04, TRP#3의 포트P02가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주파수 대역B#4에서 TRP #2의 포트 P06, TRP#4의 포트 P00이 빔을 송수신하여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26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 장치는 단위 클러스터에 대하여 지능형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S2650).
도 56a 내지 도 56d는 단위 클러스터에 다수의 단말들이 위치하는 경우에 지능형 스케줄링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6a 내지 도 56d를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에 제1 단말(UE1), 제2 단말(UE2) 및 제3 단말(UE3)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말은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R1)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단말은 TRP#3과 TRP#4의 사이(R5)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단말은 TRP#1과 TRP#3의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한 위치(R7)에 있을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는 지역별로 생성된 스케줄링 맵에 기반하여 제1 단말 내지 제3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7은 스케줄링 맵을 이용하여 다수의 단말들에 스케줄링하는 과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7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 장치는 제1 단말에 R1 지역의 스케줄링 맵을 사용하여 지능형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 장치는 제2 단말에 R5 지역의 스케줄링 맵을 사용하여 지능형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앙 제어 장치는 제3 단말에 R7 지역의 스케줄링 맵을 사용하여 지능형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8은 스케줄링 맵을 이용하여 다수의 단말들에 스케줄링하는 과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단위 클러스터에 제1 단말(UE1) 내지 제5 단말(UE5)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말과 제4 단말은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R1)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단말은 TRP#3과 TRP#4의 사이(R5)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단말과 제5 단말은 TRP#1과 TRP#3의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한 위치(R7)에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단위 클러스터의 중앙에 2개의 단말이 위치할 수 있고, TRP#1과 TRP#3의 사이에서 중앙에 근접한 위치(R7)에 2개의 단말이 위치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는 지역별로 생성된 스케줄링 맵에 기반하여 제1 단말 내지 제5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장치는 제1 단말과 제4 단말에 R1 지역의 스케줄링 맵을 사용하여 지능형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 장치는 제2 단말에 R5 지역의 스케줄링 맵을 사용하여 지능형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앙 제어 장치는 제3 단말과 제5 단말에 R7 지역의 스케줄링 맵을 사용하여 지능형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통신 시스템의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연결된 제1 송수신기와 제2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수신기에게 수신 신호 세기의 측정 보고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1 송수신기의 수신 포트 정보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의 송신 포트 정보를 상기 제1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1 송수신기의 수신 포트 정보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의 송신 포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마주보는 포트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마주보는 포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의 N개의 포트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M개의 포트에 포트 인덱스를 할당하는 단계;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제1 송수신기의 상기 N개의 포트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상기 M개의 포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가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빔 스위핑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1차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1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과 M은 자연수인,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정보에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N개의 포트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M개의 포트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포트가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 K개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빔 스위핑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2차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2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 빔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다중 빔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형성된 무선 링크에서 다중 빔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K는 2이상인 자연수인,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에 기반하여 상기 파악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따른 3차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3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단말의 위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별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영역별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형성된 무선 링크에서 영역별 다중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빔 패턴에 기반하여 각 스케줄링 구간에서 상기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빔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연속된 스케쥴링 시간별로 동일 서브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빔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하나의 스케줄링 시간에서 연속된 서브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빔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송수신기 식별자와 포트 인덱스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들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서브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단말에서 디코딩이 성공한 제1 서브 프레임에 대한 송수신기 식별자 #1 및 상기 포트 인덱스 #1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수신기 식별자 #1 및 상기 포트 인덱스 #1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유형 정보를 표시하는 플래그 비트, 상기 송수신기 식별자와 상기 포트 인덱스를 더 포함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통하여 L×SF 간격으로 전송되며, 상기 L은 자연수이고, 상기 SF는 서브 프레임을 의미하는,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10. 중앙 제어 장치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연결된 제1 송수신기와 제2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단위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송수신기에게 수신 신호 세기의 측정 보고를 지시하고;
    상기 제1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1 송수신기의 수신 포트 정보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의 송신 포트 정보를 상기 제1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정보, 상기 제1 송수신기의 수신 포트 정보 및 상기 제2 송수신기의 송신 포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마주보는 포트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마주보는 포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의 N개의 포트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M개의 포트에 포트 인덱스를 할당하고;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제1 송수신기의 상기 N개의 포트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상기 M개의 포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가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서비스 영역에 제1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빔 스위핑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1차 스케줄링을 진행하고;
    상기 1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단말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1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N과 M은 자연수인, 중앙 제어 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N개의 포트와 상기 제2 송수신기의 M개의 포트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포트가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 K개의 서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빔 스위핑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2차 스케줄링을 진행하고;
    상기 2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 빔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다중 빔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2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형성된 무선 링크에서 다중 빔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K는 2이상인 자연수인, 중앙 제어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에 기반하여 상기 파악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따른 3차 스케줄링을 진행하고;
    상기 3차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단말의 위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별 송수신기 식별자 정보와 영역별 포트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송수신기 또는 상기 제2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상기 제3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 형성된 무선 링크에서 영역별 다중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중앙 제어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스케줄링 구간별로 상기 단위 클러스터의 상기 서비스 영역에 형성되는 빔 패턴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빔 패턴에 기반하여 각 스케줄링 구간에서 상기 서비스 영역별 스케줄링 맵을 생성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중앙 제어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송수신기와 상기 제2 송수신기가 송수신기 식별자와 포트 인덱스를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들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단말에서 디코딩이 성공한 제1 서브 프레임에 대한 송수신기 식별자 #1 및 상기 포트 인덱스 #1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송수신기 식별자 #1 및 상기 포트 인덱스 #1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중앙 제어 장치.
KR1020210143940A 2020-11-18 2021-10-26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63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23,307 US11855927B2 (en) 2020-11-18 2021-11-10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ltra-high frequency and ultra-wide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5006 2020-11-18
KR1020200155006 2020-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145A KR20220068145A (ko) 2022-05-25
KR102463219B1 true KR102463219B1 (ko) 2022-11-04

Family

ID=8180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40A KR102463219B1 (ko) 2020-11-18 2021-10-26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2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7916A (ja) * 2016-09-01 2018-03-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37B1 (ko) * 2008-03-24 201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0405354B2 (en) * 2016-12-09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CH procedure in wireless systems
JP7038816B2 (ja) * 2017-11-16 2022-03-1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ユーザ機器、ネットワークノード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7916A (ja) * 2016-09-01 2018-03-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145A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312B1 (ko) 멀티 채널 상태 정보의 보고 방법 및 장치
US102503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user beamforming
US8774800B2 (en) UE initiated frequency partitioning based CoMP scheme for downlink cellular communications
CN111034064B (zh) 具有波束选择技术的协同侧链干扰管理
KR100651569B1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자원 할당 스케줄링 방법
EP3108598B1 (en) Optimizing network resource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1954284B1 (ko) 실내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셀내 주파수 재사용을 위한 방법 및 기저대역 유닛
KR10204322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9195148A (zh) 用于资源分配和设备对设备发现跳的用户设备和方法
KR20080087086A (ko) 복수의 전기통신유닛들과의 통신을 위한 포인트 투멀티포인트 디바이스
JP7296892B2 (ja) ビーム管理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および端末
CN107683570A (zh)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和装置
CN107431587B (zh) 用于蜂窝mimo系统的导频信号资源分配方法、基站及mimo系统
KR102017175B1 (ko) 인-밴드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간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463219B1 (ko)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48977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JP2017539110A (ja) 制御信号を伝送するための加重集約ベース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20220158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ltra-high frequency and ultra-wide band
KR101401323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US20170244525A1 (en) Resource allocation
KR101970891B1 (ko) 전이중 고용량 mim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200103569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포밍 기반 채널 점유 방법 방법 및 장치
KR20230082490A (ko)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40020703A (ko)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067561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