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703A -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703A
KR20240020703A KR1020230103815A KR20230103815A KR20240020703A KR 20240020703 A KR20240020703 A KR 20240020703A KR 1020230103815 A KR1020230103815 A KR 1020230103815A KR 20230103815 A KR20230103815 A KR 20230103815A KR 20240020703 A KR20240020703 A KR 20240020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p
information
communication node
candidate beam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백
서영길
홍의현
김범준
권정현
최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2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7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제1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및 제2 TRP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TRP 각각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TRP에,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TRP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TRP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TRP에,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TRP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하나 이상의 단말들 간의 빔 기반 통신을 위한 빔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5G NR 통신 또는 그 이후의 무선 통신 기술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테면, 무선 통신 용으로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대역은 크게 FR1(frequency range 1) 대역 및 FR2(frequency range 2) 대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FR1 대역은 약 7GHz 이하의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FR2 대역은 약 7GHz를 초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FR2 대역에 해당하는 24-53GHz 대역, 비면허 대역, 밀리미터파 대역 등의 상대적인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경로 손실 등이 높은 수준으로 발생할 수 있다. 고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는 많은 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높은 안테나 이득을 가지는 무선 신호(또는 빔)을 송수신함으로써 경로 손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또는 하나 이상의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TRP들이 존재하는 통신 환경을 'MTRP(multi-TRP)'와 같이 칭할 수 있다. 복수의 TRP들은 동일한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TRP들이 각각 독자적으로 단말과 빔 기반 통신을 위한 빔 관리 절차를 수행할 경우, 각각의 TRP에서 선택된 빔은 복수의 TRP들로부터 동시에 빔을 수신하는 단말 입장에서는 최적의 빔이라는 것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한 TRP의 빔이 다른 TRP의 빔에 높은 간섭으로 작용하여 빔 실패(Beam Failure)가 발생할 수 있다. MTRP 환경에서 한 단말이 복수의 TRP들과 빔 관리 과정을 수행할 때, 한 TRP가 형성한 빔이 다른 TRP가 형성한 빔에 주는 영향을 고려한 통합 빔 관리(joint beam management)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목적은, 고주파수 대역에서 많은 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IMO) 기반 빔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제1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및 제2 TRP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TRP 각각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TRP에,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TRP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TRP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TRP에,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TRP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은, 적어도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및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제2 TRP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들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측정 동작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과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의 수신 타이밍들은 서로 일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은, 상기 제1 TRP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1 주기에 기초하여 수신되고,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2 신호들은, 상기 제2 TRP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2 주기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TRP로부터, 상기 제1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제1 임계값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TRP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임계값의 정보 및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값들은 상기 제1 신호들에 대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값들이며,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노드에서 상기 제1 TRP에 대응되는 제1 패널을 통해,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노드에서 상기 제2 TRP에 대응되는 제2 패널을 통해,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측정값들을,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매핑하여,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TRP 각각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TRP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TRP의 상기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TRP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TRP에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TRP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은,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3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TRP에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TRP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은, 적어도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상기 제1 TRP에 대응되는 제3 빔 및 상기 제2 TRP에 대응되는 제4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신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상기 제2 TRP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TRP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을 설정하는 단계, 제1 통신 노드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노드로부터, 제2 TRP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중에서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은, 적어도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및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TRP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TRP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을 설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 타이밍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값들은 상기 제1 신호들에 대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값들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제1 임계값의 정보, 및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TRP에서 기 결정된, 상기 제1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제2 임계값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임계값의 정보, 상기 제2 임계값의 정보 및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중에서 상기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TRP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빔 조합은,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3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TRP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빔 조합은,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상기 제1 TRP에 대응되는 제3 빔 및 상기 제2 TRP에 대응되는 제4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제1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및 제2 TRP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TRP 각각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TRP에,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TRP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 TRP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TRP에,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전송된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TRP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은, 적어도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및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제2 TRP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들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고, 그리고 적어도 상기 측정 동작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과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의 수신 타이밍들은 서로 일치될 수 있다.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2 TRP로부터, 상기 제1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제1 임계값의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2 TRP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임계값의 정보 및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값들은 상기 제1 신호들에 대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값들이며,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1 통신 노드에서 상기 제1 TRP에 대응되는 제1 패널을 통해,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노드에서 상기 제2 TRP에 대응되는 제2 패널을 통해,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측정값들을,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매핑하여,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적어도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1 및 제2 TRP 각각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TRP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1 TRP의 상기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TRP에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과 복수의 TRP들 간의 시그널링 절차에 기초하여, 단말과 복수의 TRP들 간의 통신을 위한 빔 조합이 결정될 수 있다. 단말과 복수의 TRP들 간에는 각자의 후보 빔들(또는 빔 후보군)의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중에서, 단말에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하나의 빔 조합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과 복수의 TRP들 간의 통신을 위한 빔의 조정 절차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4 및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6 및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9 및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1 실시예 및 제1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5G 이동통신망, B5G 이동통신망(6G 이동통신망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예를 들어,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5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new radio) 시스템)인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 내지 130)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LTE 통신 프로토콜, LTE-A 통신 프로토콜, NR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 내지 13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WCDMA(wideband CDMA) 기술,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 Filtered OFDM 기술, CP(cyclic prefix)-OFDM 기술,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술,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SC(single carrier)-FDMA 기술,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술,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술,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술,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NB(NodeB), eNB(evolved NodeB), gNB, ABS(advanced base station), HR-BS(high reliability-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AS(radio access station), MMR-BS(mobile multihop relay-base station), RS(relay station), ARS(advanced relay station), HR-RS(high reliability-relay station), HNB(home NodeB), HeNB(home eNodeB),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TE(terminal equipment), AMS(advanced mobile station), HR-MS(high reliability-mobile station),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디바이스(device), OBU(on board uni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DC)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또는 하나 이상의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TRP들이 존재하는 통신 환경을 'MTRP(multi-TRP)'와 같이 칭할 수 있다. MTRP 기술은 기지국이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TRP들을 활용하여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법을 의미할 수 있다. MTRP 기술에 기초하여, 셀-엣지 단말이 기지국과 멀리 떨어져 있어서 QoS(Quality-of-Service)가 감소하는 문제와, 서로 다른 셀에 위치한 기지국으로부터 받는 셀 간 간섭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MTRP 기술에 기초하여, 밀리미터파 대역과 같이 NLOS(Non Line-of-Sight) 경로가 한정적인 환경에서 추가적인 통신 경로가 확보될 수 있다.
MTRP 기술은 CJT(Coherent Joint Transmission) 방식과 NCJT(Non-Coherent Joint Transmission) 방식 등으로 나뉠 수 있다. CJT 방식에서는 TRP들이 서로 협력하여 동기화된 방식으로 한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 NCJT 방식에서는 여러 TRP들이 한 단말을 지원하는 상황에서 서로 간에 협력 없이 스케줄링, 프리코딩 매트릭스 선택, MSC(modulation coding scheme) 등을 결정할 수 있다. MTRP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PDCCH, PUCCH, PUSCH, 셀-간 동작(inter-cell operation), 빔 관리 등이 향상될(enhanced) 수 있다.
MTRP 환경에서 단말에게 복수의 빔에 대한 빔 지시(beam indication)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MTRP 환경에서 단말은 복수의 빔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성능을 보고할 수 있다. 여기서, 빔 관리 과정에서 복수의 TRP들이 형성하는 빔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빔(또는 빔 조합)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각 TRP들이 전송하는 기준 신호의 전송 시점이나 전송 패턴이 일치해야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빔 조합에 대한 성능 측정을 위해, 각각의 TRP의 빔 전환 주기가 다른 TRP의 후보 빔 개수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수 있다. MTRP 환경에서 통합 빔 관리(joint beam management)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TRP 간 CSI-RS의 전송 시점과 전송 패턴을 일치시키고 각 TRP가 효율적으로 빔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통합 TCI 프레임워크(unifi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framework)의 확장(extension)이 고려될 수 있다. 통합 TCI 프레임워크의 확장에 있어서, 셀-내(intra-cell) MTRP, 셀-간(inter-cell) MTRP 등의 MTRP 환경이 고려될 수 있다. MTRP 환경에서, 멀티 패널 동시 전송(Simultaneous Transmission across Multi-Panel, STxMP)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적어도 단일-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기반 MTRP를 위한 통합 TCI 프레임워크에서, DCI 포맷 1_1/1_2 안의 TCI 필드는, 하나의 CC/BWP에서 복수의 TCI 상태들(조인트, DL, UL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DCI 포맷 1_1/1_2는 DL 할당 있는 또는 DL 할당 없는(with or without DL assignment) DCI 포맷일 수 있다. 적어도 단일-DCI 기반 MTRP를 위한 통합 TCI 프레임워크에서, DCI 포맷 1_1/1_2 안에 있는 TCI 필드는, CC 리스트에서 CC들/BWP들의 집합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TCI 코드 포인트에 대한 TCI 상태 ID(들)의 매핑이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조인트, DL 및/또는 UL와 같은 TCI 상태의 ID들의 가능한 조합이, TCI 코드 포인트에 매핑될 수 있다.
MAC(Medium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활성 TCI 코드포인트들(MAC CE activated TCI codepoints)의 최대 수(이를테면, 8 코드포인트들)는 증가, 감소 또는 유지될 수 있다. TCI 필드의 비트들의 최대 수(이를테면, 3 비트 이상)는 증가, 감소 또는 유지될 수 있다.
M-DCI(multi-DCI) 기반 MTRP를 위한 통합 TCI 프레임워크에서, TCI 상태 업데이트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고려될 수 있다.
- S-DCI(single-DCI) 기반 MTRP를 위한 TCI 상태 업데이트 방식이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 CORESETPoolIndex 값들 중 하나의 값과 연관된(associated) DCI 포맷 1_1/1_2 안의 TCI 필드가, 동일한 CORESETPoolIndex 값에 대응되는 모든 TCI 상태들(조인트, DL, UL 등)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DCI 포맷 1_1/1_2 안의 TCI 필드가, 복수의 CORESETPoolIndex 값들에 대응되는 모든 TCI 상태들(조인트, DL, UL 등)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CORESETPoolIndex 값들 중 하나의 값과 연관된 DCI 포맷 1_1/1_2 안의 TCI 필드가, 상이한 CORESETPoolIndex 값에 대응되는 모든 TCI 상태들(조인트, DL, UL 등)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CORESETPoolIndex 값과 TCI 상태(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단일-DCI 기반 MTRP를 위한 통합 TCI 프레임워크에서, 조인트/DL 등의 TCI 상태를 PDCCH 수신에 매핑 또는 연관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고려될 수 있다.
- 설정 또는 지시된 TCI 상태(조인트/DL)와 하나의 CORESET 또는 CORESET 그룹 간의 매핑/연관을 알리기 위해, RRC 설정이 사용될 수 있다.
- 설정 또는 지시된 TCI 상태(조인트/DL)와 하나의 탐색 공간 집합(search space set) 간의 매핑/연관을 알리기 위해, RRC 설정이 사용될 수 있다.
- 활성 또는 지시된 TCI 상태(조인트/DL)와 하나의 CORESET 또는 CORESET 그룹 간의 매핑/연관을 알리기 위해, MAC-CE가 사용될 수 있다.
- 지시된 TCI 상태(조인트/DL)와 하나의 CORESET 또는 CORESET 그룹 간의 매핑/연관을 알리기 위해, DCI가 사용될 수 있다.
- 고정된 매핑/연관 룰이 사용될 수 있다.
상위계층 파라미터 CSI-ReportConfig 내의 groupBasedBeamReporting-r17가 설정되었을 경우, 대응되는 자원 집합의 반복(repetition) 여부가 "온(on)"으로 설정되면, CSI-RS 자원 지시자(CSI-RS Resource Indicator, CRI)(들)는 보고되지 않을 수 있다.
M-DCI 기반 셀-간 MTRP 환경에서, 추가 PCI와 연관된 SSB가 NBI-RS 집합 내의 하나의 NBI-RS로 설정될 수 있다. NBI-RS 세트는 추가 PCI와 연관된 BFD-RS 집합과 연관될 수 있다.
상위계층 파라미터 CSI-ReportConfig 내의 groupBasedBeamReporting-r17가 설정되었을 경우, 두 개의 서로 다른 CSI 자원 집합들을 위한 동일 또는 상이한 CSI-RS 트리거링 오프셋 값들의 설정이 지원될 수 있다.
상위계층 파라미터 CSI-ReportConfig 내의 groupBasedBeamReporting-r17가 설정되었을 경우, 상이한 CSI 자원 집합에서의 동일 또는 상이한 반복(repetition) 값(들)이 UE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UE는 반복의 값이 '온'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CRI를 보고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RP 환경에서, CJT 방식과 NCJT 방식은 TRP가 현재 존재하는 셀 내 환경, 백홀 링크 연결성(link connectivity)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MTRP 환경에서, 다수의 TRP가 형성하는 빔이 하나의 그룹으로 묶이고, 단말이 각 그룹에 대한 성능을 TRP(들)에게 보고하는 그룹-기반 빔 보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RP 환경에서, 멀티 패널 동시 전송(Simultaneous Transmission across Multi-Panel, STxMP)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RP 환경에서, 하나의 패널 또는 복수의 패널들을 가진 단말과 복수의 TRP들 간의 빔 관리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의 하나의 패널에 하나 이상의 TRP들을 할당할 수 있다. (이를테면, TRP A-UE 패널 A, TRP B-UE 패널 B 등) 단말은 그룹-기반 빔 보고 방식을 기반으로, 각 빔 그룹에 대한 성능을 TRP에게 보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한 패널에 여러 개의 TRP들이 할당될 수도 있고, 하나의 TRP에 단말의 여러 패널들이 할당될 수도 있다.
TRP A 및 TRP B가 독자적으로 UE 패널 A, UE 패널 B를 통하여 빔 관리 절차를 수행할 경우, 각 TRP에서 선택된 빔이 단말 입장에서 최적의 빔이라는 것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더불어, 한 TRP의 빔이 다른 TRP의 빔에 높은 간섭으로 작용하여 하나 이상의 TRP에서 빔 실패(Beam Failure)가 발생할 수 있다. MTRP 환경에서 한 단말이 복수의 TRP들과 빔 관리 절차를 수행할 때 한 TRP가 형성한 빔이 다른 TRP가 형성한 빔에 주는 영향을 고려한 통합 빔 관리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를 지원하기 위해 TRP들이 TRP ID, 후보 빔 개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 송수신은, TRP 간에,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등 참조) 또는 이와 같은 정보 송수신은, 단말을 매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7b 등 참조) 또한 이와 같은 정보 송수신에 기초하여, 빔 전환 주기가 결정될 수 있고, 각 빔 조합의 성능이 측정될 수 있고, 최적의 빔 조합이 선택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빔 관리 과정은 초기 설정(initial establishment), 빔 조정(beam adjustment) 빔 복구(beam recovery) 등의 단계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빔 관리 과정은 빔 스위핑을 기반으로 빔을 변경하면서 각 빔의 성능을 측정하고, 성능이 가장 좋은 빔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초기 설정(initial establishment) 과정에서는 넓은 폭의 빔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빔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빔 조정(beam adjustment) 과정에서는 더 세밀한 빔포밍을 이용하여 최적의 빔이 결정될 수 있다. 빔 복구(beam recovery) 과정에서는, 앞서 결정된 빔을 활용하여 통신을 진행했을 때 일정 성능 이상이 만족되지 못할 경우, 단말이 TRP에게 BFD(Beam Failure Detection)를 전송함에 따라 새로운 빔이 선택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는, MTRP 환경에서 두 TRP들(이하, TRP A, TRP B)이 하나의 단말을 지원하며, 초기 설정(initial establishment) 과정을 통해 두 TRP에서 대략적인 빔의 방향이 결정된 상황에 기초하여 설명될 수 있다. 즉, 초기 설정 과정 이후 TRP A와 TRP B가 각각 형성한 빔이 자신을 제외한 단말과 통신하는 다른 TRP의 빔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여 두 TRP 모두에게 최적의 빔을 선택하는 통합 빔 조정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300)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300)은 TRP A(301), TRP B(302) 및 단말(30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300)에서, TRP A(301) 및 TRP B(302)는 서로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통신 시스템(300)에서 TRP A(301) 및 TRP B(302)는 서로 상이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도 있다. TRP A(301) 및 TRP B(302)는 동일한 단말(303)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빔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TRP들(301, 302)과 단말(303) 간의 초기 설정(initial establishment) 절차를 통해 거친(coarse) 또는 대략적인 빔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빔 방향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더욱 세밀한(fine) 빔 방향 설정 절차 또는 빔 조정 절차를 통해 빔 포밍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TRP(301, 302) 및 단말(303) 간의 통신을 위한 최적의 빔(또는 빔 조합)이 선택될 수 있다.
TRP들(301, 302)은 단말(303)과의 통신을 위한 빔 조정 절차에서 활용할 빔 후보군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TRP들(301, 302) 각각의 빔 후보군은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TRP A(301)는 빔 후보군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11). S311 단계에서 설정되는 TRP A(301)의 빔 후보군은 3개의 후보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TRP A(301)의 빔 후보군에 포함되는 3개의 후보 빔들 각각을 빔 #A-1, 빔 #A-2 및 빔 #A-3과 같이 칭할 수 있다. TRP B(302)는 빔 후보군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12). S311 단계 및 S312 단계에서 설정되는 TRP B(302)의 빔 후보군은 5개의 후보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TRP B(302)의 빔 후보군에 포함되는 5개의 후보 빔들 각각을 빔 #B-1, 빔 #B-2, 빔 #B-3, 빔 #B-4 및 빔 #B-5와 같이 칭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표 1에 표시된 빔 후보군 설정 결과는, TRP A(301)가 N_A개의 후보 빔들을 설정하고, TRP B(302)가 N_B개의 후보 빔들을 설정하는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N_A 및 N_B는 자연수일 수 있다.
TRP들(301, 302) 각각에서 설정된 후보 빔들의 수에 기초하여, TRP들(301, 302)이 형성하는 빔들의 조합(또는, '빔 조합')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TRP A(301)가 3개의 후보 빔들을 설정하고 TRP B(302)가 5개의 후보 빔들을 설정했을 경우, TRP들(301, 302)이 형성하는 빔들의 조합의 개수는 15개일 수 있다. TRP A(301)가 N_A개의 후보 빔들을 설정하고 TRP B(302)가 N_B개의 후보 빔들을 설정했을 경우, TRP들(301, 302)이 형성하는 빔들의 조합의 개수는 (N_A * N_B)개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이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빔 조합들 중에서 성능이 가장 우수한 최적의 빔 조합의 선택을 위한 절차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300)에 포함되는 통신 노드들(301, 302, 303) 중 적어도 일부는, 이후 설명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2 내지 제12 실시예 중 적어도 일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TRP들(301, 302) 및 단말(303) 간의 빔 기반 통신을 위한 최적의 빔 조합이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는 MTRP 환경에서 TRP 간, 또는 TRP들에 연결된 기지국들 간에 백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백홀을 통해 TRP들 상호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상황을 기초로 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400)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400)은 TRP A(401), TRP B(402) 및 단말(40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400)에서, TRP A(401) 및 TRP B(402)는 서로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TRP A(401) 및 TRP B(402)는 백홀 등을 통하여 상호간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TRP A(401) 및 TRP B(402)는 동일한 단말(403)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다중 TRP(즉, MTRP) 환경에서, 복수의 TRP들은 특정 시점에 동시에 CSI(channel state information)-RS(referenc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TRP들에서 송신된 CSI-RS들을 수신하여 가능한 모든 빔 조합 별 성능 확인을 위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TRP들이 상호간에 CSI-RS 전송 패턴을 확인 또는 일치시키기 위한 절차 및/또는 TRP들 각각에서 빔 전환 주기를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한 절차들이 필요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 초기 설정(initial establishment) 과정이 끝나고 통합 빔 조정(통합 빔 조정) 과정이 시작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기준 TRP인 TRP A가 백홀을 통해 TRP B에게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과정은 TRP A가 기준 TRP인 상황에서 TRP A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다른 TRP가 맞추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다른 TRP를 기준으로 혹은 TRP 간 협력을 통해 모든 TRP가 새로운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모든 TRP가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을 다른 TRP와 주고받는 과정이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지국(미도시)에 연결된 TRP들(401, 402) 중 하나의 기준 TRP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TRP A(401)가 기준 TRP로 결정될 수 있다. TRP인 TRP A(401)는 TRP들(401, 402) 간의 링크, 또는 TRP들(401, 402)과 기지국 간의 백홀을 통하여, TRP B(402)에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테면, TRP A(401)는 TRP B(402)에게 제1 기준 신호의 전송 시점, 전송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21). TRP B(402)는 TRP A(401)에서 전송된, 제1 기준 신호의 전송 시점, 전송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21). 여기서 제1 기준 신호는 CSI-RS일 수 있다. S421 단계에 따른 정보 전송 동작은, 이를테면 표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도 4에는 TRP A(401)가 기준 TRP로 결정된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2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기지국(또는 네트워크 등)는 TRP ID의 순서에 따라 기준 TRP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자원 사용률이 더 높은(또는 더 낮은) TRP를 기준 TRP로 결정함으로써, 자원 사용률 측면에서 더 여유가 있는 TRP들이 기준 TRP에 맞추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다른 상황이나 기준에 따라 기준 TRP를 선택하고 다른 TRP(들)가 기준 TRP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맞추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TRP A(401)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TRP B(402)는 수신한 정보를 활용하여 TRP A(401)와 동일한 시점에 CSI-RS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추후 이를 바탕으로 각 TRP에서 형성한 빔이 다른 TRP에게 주는 영향을 고려하여 최적의 빔 조합을 선택하는 통합 빔 조정(통합 빔 조정)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단말(403)과 통신하는 TRP가 2개인 상황을 가정하여 도 4에서 TRP A(401)가 하나의 TRP에게만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나, 단말(403)과 통신하는 TRP가 세 개 이상일 경우 기준 TRP는 단말(403)과 통신하는 다른 모든 TRP에게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도 4는 기준 TRP가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다른 TRP에게 전송하고, 다른 TRP는 각각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을 기준 TRP로부터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TRP에게 일치시키는 과정을 나타낸다. 추가로 기준 TRP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과 동일하게 다른 TRP가 CSI-RS를 전송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를 고려하여 도 4 과정에서 TRP B(402)도 TRP A(401)에게 자신의 CSI-RS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TRP A(401)와 TRP B(402) 간에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해 합의를 통해 새로운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을 선택하는 과정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500)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500)은 TRP A(501), TRP B(502) 및 단말(50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500)에서, TRP A(501) 및 TRP B(502)는 서로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TRP A(501) 및 TRP B(502)는 백홀 등을 통하여 상호간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TRP A(501) 및 TRP B(502)는 동일한 단말(503)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3 실시예에서, TRP A와 TRP B는 서로에게 자신의 TRP ID 정보 후보 빔 정보(이를테면, 후보 빔 개수)를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이 모든 TRP에게 자신의 후보 빔 개수를 전달한 뒤, 각 TRP가 수신한 다른 TRP와 단말의 후보 빔 개수를 바탕으로 전체 빔 조합을 파악하고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3 실시예에서, TRP A(501) 및 TRP B(502)는 TRP ID의 정보, 및 후보 빔의 정보(이를테면, 후보 빔 개수의 정보)를 상호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S524). 단말(503)은 자신의 후보 빔의 정보(이를테면, 후보 빔의 개수의 정보) 등을 TRP A(501) 및 TRP B(502)에 전송할 수 있다(S526, S527). TRP A(501) 및 TRP B(502)는 각각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S528, S529).
구체적으로는, TRP A(501)와 TRP B(502)가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미도시) 간 백홀을 통해 자신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 정보를 다른 TRP에게 전달하고, 단말(503)이 자신의 후보 빔 개수 정보를 모든 TRP들(501, 502)에게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차는, 다음의 표 3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각 TRP들(501, 502)은 다른 TRP로부터 그리고 단말로부터 수신한 후보 빔 개수를 바탕으로 전체 빔 조합을 파악한 뒤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차는, 다음의 표 4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단말과 통신하는 TRP가 2개인 상황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각 TRP가 다른 하나의 TRP에게만 자신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 정보를 전달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으나, 단말과 통신하는 TRP가 세 개 이상일 경우 각 TRP는 단말과 통신하는 다른 모든 TRP에게 자신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 정보를 전송한다. 각 TRP가 다른 TRP에게 자신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도 4와 마찬가지로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각 TRP는 다른 TRP와 단말로부터 수신한 후보 빔 개수를 바탕으로 전체 빔 조합을 파악한다. 도 5에서는 단말의 빔 개수가 1개인 상황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TRP A는 자신의 후보 빔 개수 3개와 TRP B로부터 수신한 TRP B의 후보 빔 개수 5개를 바탕으로 전체 빔 조합의 개수가 15개인 사실을 알 수 있고, 나아가 자신의 후보 빔 하나가 다른 TRP의 빔과 형성 가능한 서로 다른 빔 조합의 경우의 수가 5개인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때 통합 빔 조정 과정에서 형성 가능한 모든 빔 조합에 대해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TRP에서 적절한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개시에서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방법은 2가지를 고려할 수 있다: 1) 모든 TRP가 각자의 빔 개수를 주고받은 뒤, 기준 TRP가 공지한 사전에 정해진 서열 대로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방법, 2) 기준 TRP를 제외한 모든 TRP가 기준 TRP에게 자신의 빔 개수를 전달하고, 기준 TRP가 모든 TRP의 빔 개수를 기반으로 각 TRP에게 적합한 빔 주기를 계산하고 다른 모든 TRP에게 전달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고려하는 상황이 아닌 TRP A, TRP B, TRP C 총 3개의 TRP가 단말과 통신하는 상황에서 각 TRP의 후보 빔 개수가 각각 3, 4, 5개라고 가정한다. 3개 이상의 TRP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TRP 간 순위가 TRP A, TRP B, TRP C 순이라면, TRP C는 빔 전환 주기를 1로, TRP B는 TRP C의 빔 개수만큼의 빔 전환 주기를, TRP A는 TRP B와 TRP C의 빔 조합 개수만큼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1) 방법의 경우, 기준 TRP인 TRP A에서 TRP 간 순서를 정한 뒤 모든 TRP에게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TRP들의 빔 전환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세 TRP가 서로 각자의 후보 빔 개수를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주고받은 뒤 각 TRP는 모든 TRP의 빔 개수와 TRP의 빔 전환 우선 순위에 따라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TRP A는 빔 전환 주기를 20, TRP B는 5, TRP C는 1로 설정할 수 있다.
2) 방법의 경우, 기준 TRP를 제외한 모든 TRP, 즉 TRP B와 TRP C가 자신의 빔 개수 정보를 기준 TRP인 TRP A에게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전달한다. TRP A는 자신의 빔 개수와 전달받은 다른 TRP의 빔 개수를 기반으로 모든 TRP에 대한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고 해당 정보를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다른 TRP들에게 전송한다. TRP A는 모든 TRP 빔 개수를 알기 때문에 예를 들어 TRP C는 빔 전환 주기를 1로, TRP B는 5로, TRP A는 20으로 설정한 뒤 모든 TRP에게 설정된 빔 전환 주기에 관한 정보를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모든 TRP가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고 난 뒤, 모든 TRP가 빔 전환 주기를 제대로 설정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할 경우, 모든 TRP는 기준 TRP에게 자신이 설정한 빔 전환 주기에 관한 정보를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전송하고, 기준 TRP는 다른 TRP들로부터 전달받은 빔 전환 주기와 TRP들의 빔 전환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모든 TRP가 빔 전환 주기를 제대로 설정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각 TRP가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할 시 다른 TRP의 후보 빔 개수를 파악한 뒤 TRP B의 빔 전환 주기를 1로 설정하고, TRP A의 빔 전환 주기를 TRP B의 후보 빔 개수인 5로 설정한 예시이다. 만약 단말의 빔이 1개가 아닌 여러 개인 경우를 가정한다면 3개의 TRP가 존재하는 환경과 동일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빔 전환 우선 순위가 TRP A, TRP B, 단말 순이라면, 단말은 빔 전환 주기를 1로, TRP B는 단말의 빔 개수만큼의 빔 전환 주기를, TRP A는 TRP B와 단말의 빔 조합 개수만큼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5의 통합 빔 조정 과정에서 TRP A는 하나의 빔을 5번 동일하게 반복한 뒤 다른 빔으로 변경하고, TRP B는 매번 빔을 전송할 때마다 다른 빔으로 변경한다. 또한, TRP A와 TRP B는 앞서 수신한 다른 TRP의 후보 빔 개수를 바탕으로 전체 빔 조합의 개수 파악이 가능하므로, TRP A는 빔을 변경하는 절차를 2번, TRP B는 14번 수행한 뒤 전체 빔 조합에 대한 기준 신호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설정한 빔 전환 주기를 단말에게 보내야 하는 경우 단말에게 기존 표준에 정의된 RRC reconfiguration을 통한 NZP-CSI-ResourceSet IE 내의 repetition 파라미터의 ENUMERATED {on, off} 정보를 활용해 설정한 빔의 반복 횟수를 전달함으로써 설정한 빔 전환 주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혹은 NZP-CSI-RS-ResourceSet IE 내에서 한 빔을 몇 번 반복하는지에 관한 정보인 nrofRepetition 파라미터를 새로 정의하여 설정한 빔 전환 주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에게 DCI 혹은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개시된 동작들에 따르면, 기준 TRP에 해당하는 한 TRP가 자신의 CSI-RS 전송 타이밍(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다른 TRP에게 전달하여 단말과 통신하는 모든 TRP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을 자신의 것에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과 통신하는 모든 TRP가 다른 모든 TRP와 단말의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뒤 모든 TRP와 단말이 순차적으로 각 빔 조합에 대해 성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각자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는 MTRP 환경에서 TRP 간, 또는 TRP들에 연결된 기지국들 간에 백홀이 존재하지 않거나, 백홀이 존재하더라도 여러 이유로 인해 백홀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을 기초로 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백홀을 통해 TRP들 간에 송수신되었던 정보가 단말을 매개로 송수신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7b에는, MTRP 환경에서 통합 빔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각 TRP에서 CSI-RS를 전송하는 시점을 일치시키고 적절한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할 때 TRP 간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는 사전 절차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들 이후에,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4 및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600)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600)은 TRP A(601), TRP B(602) 및 단말(60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600)에서, TRP A(601) 및 TRP B(602)는 서로 상이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TRP A(601) 및 TRP B(602)는 동일한 단말(603)을 지원할 수 있다. TRP A(601) 및 TRP B(602)는 단말(603)을 통하여 상호간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4 및 제5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a는 TRP A(601)가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단말(603)에게 전달하고, 단말(603)은 UE 패널 A를 통해 이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TRP A(601)는 자신의 TRP ID(이를테면, TRP ID_A)의 정보 및 제1 기준 신호의 전송 시점, 전송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단말(603)에 전송할 수 있다(S621).
도 6b는 단말(603)이 도 6a 과정에서 수신한 TRP A(601)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UE 패널 B를 통해 TRP B(602)에게 다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b를 참조하면, 단말(603)은 S621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 즉 TRP A(601)의 TRP ID의 정보 및 제1 기준 신호의 전송 시점, 전송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TRP B(602)에 전송할 수 있다(S622).
구체적으로는, 도 6a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4 실시예에서, TRP A(601), TRP B(602)가 각각 단말(603)의 UE 패널 A, UE 패널 B와 통신하는 상황에서 TRP A(601)가 TRP A(601)-UE 패널 A 통신 링크를 통해 자신의 TRP ID와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단말(603)에게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차는, 이를테면 표 5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6a와 도 6b에서는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TRP들 간의 시그널링을 위한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도 4에서와 다르게,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없으므로 도 6a는 TRP A(601)가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단말(603)에게 전달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TRP A(601)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는 RRC reconfiguration을 통한 NZP-CSI-RS-Resource IE 내의 CSI-RS-ResourceMapping을 활용해 단말(603)에게 전달할 수 있고, 나아가 CSI-RS-ResourceMapping을 구성하는 정보 중에서 CSI-RS 전송 시점에 관한 정보는 firstOFDMSymbolInTimeDomain,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는 cdm-Type 또는 frequencyDomainAllocation 등에 해당된다. 또한, 기준 TRP인 TRP A(601)는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단말(603)에게 DCI, 혹은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5 실시예에서, 단말(603)은 도 6a에서 TRP A(601)로부터 수신한 TRP A(601)의 ID와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TRP B(602)에게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차는, 이를테면 표 6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6b에서 단말(603)은 기존에 TRP B(602)와 형성되었던 TRP B(602)-UE 패널 B 통신 링크를 활용하여 TRP B(602)에게 TRP A(601)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이후 TRP B(602)는 단말(603)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TRP A(601)와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을 일치시킬 수 있다. 도 6b에서는 단말(603)과 통신하는 기준 TRP가 아닌 TRP가 하나인 상황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단말(603)이 TRP B(602)에게만 TRP A(601)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나, 셋 이상인 경우 기준 TRP인 TRP A(601)를 제외한 다른 모든 TRP에게 동일한 정보를 전송한다. TRP B(602)가 TRP A(6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단말(603)은 TRP A(601)로부터 수신한 TRP A(601)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TRP B(602)에게 UCI 혹은 UE Assistance Information이나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TRP B(602)가 TRP A(6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단말(603)은 TRP A(601)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TRP B(602)에게 Msg1나 MsgA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SRB3의 UE Assistance Information 혹은 기타 신규 SRB3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6 및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700)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700)은 TRP A(701), TRP B(702) 및 단말(70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700)에서, TRP A(701) 및 TRP B(702)는 서로 상이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TRP A(701) 및 TRP B(702)는 동일한 단말(703)을 지원할 수 있다. TRP A(701) 및 TRP B(702)는 단말(703)을 통하여 상호간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6 및 제7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a는 단말(703)과 통신하는 TRP A(701)와 TRP B(702)가 자신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에 대한 정보를 단말(703)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b는 단말(703)이 도 7a에서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TRP A(701)에게는 자신의 후보 빔 개수, TRP B(702)의 TRP ID 및 TRP B(702)의 후보 빔 개수를 전송하고, TRP B(702)에게는 자신의 후보 빔 개수, TRP A(701)의 TRP ID 및 TRP A(701)의 후보 빔 개수를 전송한 뒤, TRP A(701)와 TRP B(702)가 단말(703)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체 빔 조합을 파악하고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a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6 실시예에서, TRP A(701)는 자신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의 정보를 단말(703)에 전송할 수 있다(S724). 도 7a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7 실시예에서, TRP B(702)는 자신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의 정보를 단말(703)에 전송할 수 있다(S725).
단말(703)은 S725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 즉 TRP B(702)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의 정보를 TRP A(701)에 전송할 수 있다(S726). 단말(703)은 S724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 즉 TRP A(701)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의 정보를 TRP B(702)에 전송할 수 있다(S727). TRP A(701) 및 TRP B(702)는 각각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S728, S729). S726 단계 내지 S729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S726 단계 내지 S729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6 실시예에서, TRP A(701), TRP B(702)가 각각 단말(703)의 UE 패널 A, UE 패널 B와 통신하는 상황에서 TRP A(701), TRP B(702)가 각각 TRP A(701)-UE 패널 A, TRP B(702)-UE 패널 B 통신 링크를 통해 자신의 TRP ID 및 자신의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를 단말(703)에게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차는, 이를테면 표 7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7a와 도 7b에서는 도 5에서와 유사한 목표의 시그널링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도 5와 다르게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없으므로 도 7a는 TRP A(701)와 TRP B(702)가 자신의 TRP ID 및 자신의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단말(703)에게 전달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이 때 단말(703)과 통신하는 TRP가 세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단말(703)과 통신하는 모든 TRP가 단말(703)에게 자신의 TRP ID 및 자신의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기준 TRP인 TRP A(701)는 단말(703)에게 자신의 TRP ID에 관한 정보를 SIB, DCI 혹은 RRC reconfiguration 또는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자신의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을 통한 NZP-CSI-RS-ResourceSet IE 내의 NZP-CSI-RS-ResourceId를 활용해 혹은 SIB, DCI,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TRP B(702)가 TRP A(7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TRP B(702)는 TRP A(701)와 동일하게 단말(703)에게 자신의 TRP ID에 관한 정보를 SIB, DCI 혹은 RRC reconfiguration 또는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자신의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을 통한 NZP-CSI-RS-ResourceSet IE 내의 NZP-CSI-RS-ResourceId를 활용해 혹은 SIB, DCI,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TRP B(702)가 TRP A(7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TRP B(702)는 자신의 TRP ID와 자신의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를 SIB, DCI 혹은 Msg2나 MsgB 혹은 기타 신규 SRB3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7 실시예에서, 단말(703)은 도 7a에서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TRP A(701)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를 TRP B(702)에게 전송하고, 반대로 TRP B(702)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를 TRP A(701)에게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703)이 자신의 후보 빔 개수 정보를 모든 TRP에게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차는, 이를테면 표 8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7b에서 단말(703)은 기존에 TRP A(701), TRP B(702)와 형성하였던 TRP A(701)-UE 패널 A, TRP B(702)-UE 패널 B 통신 링크를 활용하여 TRP A(701)와 TRP B(702)에게 각각 다른 TRP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와 자신의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TRP A(701)와 TRP B(702)는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이를테면 표 9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7b는 단말(703)이 TRP A(701), TRP B(702)에게 각각 하나의 TRP에 대한 TRP ID 및 후보 빔 개수 정보를 전달하는 예시를 나타내고 있으나, 단말(703)과 통신하는 TRP가 세 개 이상일 경우 단말(703)은 TRP A(701)에게 TRP A(701)를 제외한 자신과 통신하고 있는 다른 모든 TRP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 정보를 전송하고, 나머지 TRP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본 개시는 단말(703)의 후보 빔이 1개인 경우를 고려하고 있으나, 단말(703)의 빔이 1개가 아닌 여러 개인 경우를 가정한다면 도 5에서 3개의 TRP가 존재하는 환경과 동일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빔 전환 우선 순위가 TRP A(701), TRP B(702), 단말(703) 순이라면, 단말(703)은 빔 전환 주기를 1로, TRP B(702)는 단말(703)의 빔 개수만큼의 빔 전환 주기를, TRP A(701)는 TRP B(702)와 단말(703)의 빔 조합 개수만큼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TRP는 단말(703)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도 5와 동일한 방식으로 빔 전환 주기 설정이 가능하고, 도 7b는 도 5와 마찬가지로 TRP A(701)가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5, TRP B(702)의 빔 전환 주기를 1로 설정한 예시를 나타낸다. 단말(703)은 TRP B(702)로부터 전송받은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와 자신의 후보 빔 개수 정보를 TRP A(701)에게 UCI 혹은 UE Assistance Information이나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TRP B(702)가 TRP A(7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단말(703)은 TRP A(701)의 경우와 동일하게 TRP A(701)로부터 전송받은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와 자신의 후보 빔 개수 정보를 TRP B(702)에게 UCI 혹은 UE Assistance Information이나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TRP B(702)가 TRP A(7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단말(703)은 TRP A(701)로부터 전송받은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에 관한 정보와 자신의 후보 빔 개수 정보를 TRP B(702)에게 Msg1나 MsgA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SRB3의 UE Assistance Information 혹은 기타 신규 SRB3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든 TRP가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고 난 뒤, 모든 TRP가 빔 전환 주기를 제대로 설정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할 경우, 모든 TRP는 기준 TRP에게 자신이 설정한 빔 전환 주기에 관한 정보를 단말(703)을 매개로 전송하고, 기준 TRP는 다른 TRP들로부터 전달받은 빔 전환 주기와 TRP들의 빔 전환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모든 TRP가 빔 전환 주기를 제대로 설정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 TRP B(702)가 설정한 빔 전환 주기를 단말(703)에게 보내야 할 때 TRP B(702)가 TRP A(7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에는 단말(703)에게 기존 RRC reconfiguration을 통한 NZP-CSI-ResourceSet IE 내의 repetition 파라미터의 ENUMERATED {on, off} 정보를 활용해 설정한 빔의 반복 횟수를 전달함으로써 설정한 빔 전환 주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혹은 NZP-CSI-RS-ResourceSet IE 내의 한 빔을 몇 번 반복하는지에 관한 정보인 nrofRepetition 파라미터를 새로 정의하여 설정한 빔 전환 주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703)에게 DCI 혹은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설정한 빔 전환 주기를 단말(703)에게 보내야 할 때 TRP B(702)가 TRP A(7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빔 전환 주기에 관한 정보를 DCI 혹은 Msg2나 MsgB 혹은 기타 신규 SRB3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말(703)은 기준 TRP인 TRP A(701)에게 다른 TRP들의 빔 전환 주기를 전송할 때 상기 내용과 같이 UCI 혹은 UE Assistance Information이나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도 6a 및 도 6b에는 MTRP 환경에서 통합 빔 조정 과정 수행 시에 각 TRP에서 CSI-RS를 전송하는 시점을 일치시키기 위해 기준 TRP인 TRP A가 다른 TRP에게 단말을 매개로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절차가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는 단말과 통신하는 모든 TRP들이 단말을 통해 자신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 정보를 다른 모든 TRP에게 전달하고, 단말의 후보 빔 개수와 다른 TRP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 정보를 수신한 뒤 이를 기반으로 전체 빔 조합을 파악하고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이 도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8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800)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800)은 TRP A(801), TRP B(802) 및 단말(80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800)에서, TRP A(801) 및 TRP B(802)는 서로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통신 시스템(800)에서 TRP A(801) 및 TRP B(802)는 서로 상이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도 있다. TRP A(801) 및 TRP B(802)는 동일한 단말(803)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800)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 TRP인 TRP A(801)가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에 관한 정보를 다른 TRP에게 전달하여 모든 TRP가 동일한 시점에 CSI-RS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 TRP 간 주고받은 정보를 통해 단말(803)과 통신하는 각 TRP가 적절한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하여 모든 빔 조합에 대해 성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단말(803)은 TRP A(801)와 TRP B(802)가 전송한 각 빔 조합에 대해 성능을 측정한 뒤 이를 기준 TRP인 TRP A(801)에게 보고하고, TRP A(801)는 보고받은 정보를 통해 MTRP 환경을 위한 최적의 빔을 선택한다. 도 8은 단말(803)과 통신하는 각 TRP가 도 5 혹은 도 7b 과정을 통해 파악한 전체 빔 조합을 기반으로 각 빔 조합에 대해 조합 인덱스를 부여한 과정을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단말(803)이 TRP A(801), TRP B(802)가 전송한 빔에 대해 각각 UE 패널 A, UE 패널 B에서 SINR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 TRP인 TRP A(801)에게 보고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때 TRP A(801)가 단말(803)로부터 보고받은 정보를 통해 MTRP 환경을 위한 최적의 빔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TRP B(802)와 UE 패널 B 간 통신 링크의 성능을 일정 수준 이상 보장할 수 있도록 TRP B(802)는 TRP A(801)에게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혹은 단말(803)을 매개로 자신의 SINR 임계값을 단말(803)에게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도 10a 및 도 10b는 TRP A(801)가 각 빔 조합에 대해 단말(803)로부터 수신한 TRP A(801) 빔의 성능과 TRP B(802) 빔의 성능을 기반으로 MTRP 환경을 위한 최적의 빔 조합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정리하면 이전까지의 과정은 MTRP 환경에서 통합 빔 조정 과정 수행 시 각 TRP에서 CSI-RS를 동시에 전송하고 적절한 시점에 빔을 전환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사전 절차였다면, 도 8부터 도 10a 및 도 10b까지의 과정은 이를 기반으로 각 TRP에서 CSI-RS를 통해 후보 빔을 전송하고 단말(803)이 각 빔 조합에 대해 성능을 측정하여 최종적으로 기준 TRP에 해당하는 TRP A(801)가 MTRP 환경을 위한 최적의 빔 조합을 선택하는 과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8 및 그 이후의 과정은 MTRP 환경에 속한 모든 TRP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기준 TRP인 TRP A(801)에게 모든 TRP에 대한 SINR 임계값과 모든 TRP에서 모든 빔 조합에 대한 SINR 값을 전달하고, TRP A(801)가 모든 TRP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MTRP 환경에 속한 모든 TRP와 단말(803)에 대한 최적의 빔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8 실시예에서, TRP A(801)는 빔 조합 인덱스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831). TRP B(802)는 빔 조합 인덱스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832). TRP A(801)는 S831 단계에서 설정된 빔 조합 인덱스의 정보를 TRP A(801)에 전송할 수 있다(S831).
구체적으로는, TRP A(801)와 TRP B(802)가 도 5 혹은 도 7b 과정을 통해 파악한 전체 빔 조합을 활용하여 각 빔 조합에 대해 조합 인덱스를 부여하고 단말(803)에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차는, 이를테면 표 1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단말(803)과 통신하는 모든 TRP는 다른 TRP의 후보 빔 개수 정보를 통해 단말(803)과 통신할 때 형성 가능한 전체 빔 조합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고, 모든 TRP는 이를 기반으로 각 빔 조합을 나타내기 위해 몇 bit를 할당해야 하는지 계산 가능하며 전체 빔 조합의 개수가 n이라고 했을 때 ceil(log2 n) 비트(n=1일 때는 1 비트)를 가 할당될 수 있다. 도 8은 TRP A(801)와 TRP B(802)가 형성 가능한 전체 빔 조합의 개수가 총 15개이며 따라서 각 빔 조합을 나타내는데 4 bits를 할당한 예시를 나타내고, 두 TRP는 서로의 빔 개수를 알고 있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동일한 빔 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상황에서 단말(803)이 활용할 수 있는 후보 빔의 개수가 2개라면 TRP A(801), TRP B(802), 단말(803)이 형성 가능한 전체 빔 조합의 개수가 총 30개인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 8에서 TRP 빔 #A-X, TRP 빔 #B-Y는 TRP A(801)와 TRP B(802)가 통합 빔 조정 과정에서 각각 X번째, Y번째로 전송한 빔을 나타낸다. 도 8의 절차를 TRP A(801) 입장에서 해석하면 통합 빔 조정 과정에서 자신이 첫 번째로 사용한 후보 빔에 조합 인덱스를 1부터 5까지 할당하고, 두 번째로 사용한 후보 빔에 조합 인덱스를 6부터 10까지 할당하고, 세 번째로 사용한 후보 빔에 조합 인덱스를 11부터 15까지 할당하여, 최종적으로 특정 빔 조합이 선택되었을 때 자신의 어떤 후보 빔이 선택되었는지 파악하기 위해 다른 TRP의 후보 빔을 고려하여 자신의 각 후보 빔에 여러 개의 조합 인덱스를 부여하는 과정으로 설명 가능하다. 또한, 해당 과정은 UE 패널 A와 UE 패널 B의 빔이 각각 1개인 경우를 고려하였으나, 2개 이상인 경우에도 확장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통합 빔 조정 과정을 통해 특정 빔 조합이 최종적으로 선택되었을 때 각 TRP는 조합 인덱스와 빔 간 매핑 관계를 통해 최적의 빔을 파악할 수 있다. TRP A(801)는 두 TRP의 빔 조합에 관한 정보를 단말(803)에게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정리하면 도 8의 과정은 추후 통합 빔 조정 과정에서 각 빔 조합에 대한 성능을 단말(803)과 주고받고, 최종적으로 선택된 조합이 자신의 어떤 후보 빔에 해당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각 TRP에서 가능한 모든 빔 조합에 대해 조합 인덱스를 부여하고 조합 인덱스에 관한 정보를 단말(803)에게 전달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9 및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900)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900)은 TRP A(901), TRP B(902) 및 단말(90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900)에서, TRP A(901) 및 TRP B(902)는 서로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통신 시스템(900)에서 TRP A(901) 및 TRP B(902)는 서로 상이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도 있다. TRP A(901) 및 TRP B(902)는 동일한 단말(903)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9 및 제10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9 실시예에서 TRP B(902)는 제1 임계값(이를테면, SINR 임계값)의 정보를 TRP A(901)에 전송할 수 있다(S941). 단말(903)은 TRP A(901) 및 TRP B(9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제1 측정값(이를테면, SINR 값)을 TRP A(901)에 보고할 수 있다(S942).
도 9b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0 실시예에서 TRP B(902)는 제1 임계값(이를테면, SINR 임계값)의 정보를 단말(903)에 전송할 수 있다(S944). 단말(903)은 TRP B(902)로부터 수신된 제1 임계값의 정보, 및 TRP A(901) 및 TRP B(9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제1 측정값(이를테면, SINR 값)의 정보를 TRP A(901)에 보고할 수 있다(S945).
S942 단계 또는 S945 단계에서 보고되는 정보는, 이를테면 표 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단말(903)이 TRP A(901)가 전송한 각 빔 조합에 대해서 UE 패널 A와 UE 패널 B에서의 SINR 값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 TRP인 TRP A(901)에게 보고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는 빔 조합에 대한 SINR 값을 기반으로 최적의 빔을 선택하였으나, 다른 기준에 따라 최적의 빔을 선택하는 과정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903)의 latency requirement나 단말(903)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903)의 latency requirement를 고려하는 경우 user experienced data rate 측면에서 더 높은 성능을 지원하는 빔을 선택할 수 있고, 단말(903)의 이동성을 고려하는 경우 UE mobility나 trajectory를 기반으로 더 오랜 시간 동안 단말(903)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채널의 안정성을 고려했을 때 측정 SINR의 값의 변화가 가장 작은 빔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 TRP에 대한 성능을 TRP A(901)에게 보고하는 과정은 기준 TRP인 TRP A(901)에서 두 TRP의 성능을 모두 고려하여 MTRP 환경을 위한 최적의 빔 조합을 선택하기 위함이다. TRP A(901)에서 두 TRP의 성능을 모두 고려하기 위해 TRP B(902)는 TRP A(901)가 최종적으로 빔 조합을 선택할 시 선택된 빔 조합이 자신과 단말(903) 간 통신 링크의 성능을 일정 수준 이상 보장할 수 있도록 자신의 SINR 임계값을 TRP A(901)에게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또는 단말(903)을 매개로 TRP A(901)에게 전달한다.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 활용이 가능한 경우 SINR 임계값 정보는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TRP B(902)가 TRP A(901)에게 전송 가능하다. 반대로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 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TRP B(902)가 TRP A(9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TRP B(902)는 자신의 SINR 임계값 정보를 단말(903)에게 SIB, DCI 혹은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TRP B(902)가 TRP A(9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TRP B(902)는 자신의 SINR 임계값 정보를 SIB, DCI 혹은 Msg2나 MsgB 혹은 기타 신규 SRB3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 뒤 단말(903)은 전달받은 TRP B(902)의 SINR 임계값 정보를 TRP A(901)에게 UCI 혹은 UE Assistance Information이나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서 조합 인덱스는 도 8에서 설정한 각 빔 조합에 대한 조합 인덱스를 나타내고, SINR 값 (UE 패널 A)는 단말(903)이 특정 빔 조합 인덱스에 해당하는 빔을 TRP A(901)와 TRP B(902)로부터 수신하였을 때 TRP A(901)-UE 패널 A 통신 링크의 SINR 값을 나타내며, 마찬가지로 SINR 값 (UE 패널 B)는 TRP B(902)-UE 패널 B 통신 링크의 SINR 값을 나타낸다. 단말(903)은 도 9a 및 도 9b에서 UE 패널 A와 UE 패널 B의 SINR 값을 TRP A(901)에게 전송하고, 이후 도 10a 및 도 10b에서 TRP A(901)는 단말(903)로부터 수신한 각 통신 링크의 성능을 바탕으로 MTRP 환경을 위한 최적의 빔 조합 선택이 가능하다. 도 9a 및 도 9b는 빔 조합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으로 SINR을 고려한 예시를 나타내며 TRP 선택 기준으로 어떠한 기준이 활용될 지는 TRP A(901)가 SIB 혹은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지시할 수 있다. 단말(903)은 TRP A(901), TRP B(902)와 형성한 통신 링크의 성능을 각각 측정한 뒤 TRP A(901)에게 조합 인덱스 #정보 및 TRP A(901)와 형성한 통신 링크의 SINR 값를 CSI-RS reporting 과정을 통해 전송 가능하다. TRP A(901)가 아닌 다른 TRP B(902)와 형성한 통신 링크의 SINR 정보 전송 과정은 TRP A(901)가 RRC 시그날링에서 UEInformationRequest를 통해 TRP B(902)와 단말(903) 간 통신 링크의 성능 보고지시에 관한 정보를 단말(903)에게 전달하고, 단말(903)은 이를 수신하여 UEInformationResponse를 통해 TRP A(901)에게 TRP B(902)-UE 패널 B 통신 링크에 대한 SINR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행 가능하다. 또한, TRP A(901)가 단말(903)에게 TRP B(902)와 단말(903) 간 통신 링크의 성능 보고지시에 관한 정보를 SIB 혹은 새로운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단말(903)은 TRP B(902)와 단말(903) 간 통신 링크의 성능 보고지시에 관한 응답으로 Measurement Report, UE Assistance Information을 사용하거나, 새로운 RRC 시그날링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1 실시예 및 제1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1000)은 TRP A(1001), TRP B(1002) 및 단말(100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0)에서, TRP A(1001) 및 TRP B(1002)는 서로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통신 시스템(1000)에서 TRP A(1001) 및 TRP B(1002)는 서로 상이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도 있다. TRP A(1001) 및 TRP B(1002)는 동일한 단말(1003)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1 및 제1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1 실시예에서, TRP A(1001)는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을 선택할 수 있다(S1051). TRP A(1001)는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의 정보를 단말(1003)에 전송할 수 있다(S1052). TRP A(1001)는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의 정보를 TRP B(1002)에 전송할 수 있다(S1053).
도 10b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2 실시예에서, TRP A(1001)는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을 선택할 수 있다(S1055). TRP A(1001)는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의 정보를 단말(1003)에 전송할 수 있다(S1056). 단말(1003)은 TRP A(1001)에서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의 정보를 TRP B(1002)에 전송할 수 있다(S1057).
구체적으로, 도 10a 및 도 10b는 도 9a 및 도 9b 과정을 통해 수신한 TRP A(1001), TRP B(1002)의 SINR 및 TRP B(1002)의 SINR 임계값 정보를 바탕으로 TRP A(1001)가 최적의 빔 조합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표 12에서 조합 인덱스는 도 8에서 설정한 각 빔 조합에 대한 조합 인덱스를 나타내고 TRP A(1001)에 해당하는 부분은 TRP A(1001)-UE 패널 A 통신 링크의 SINR 값이 TRP A(1001)가 설정한 SINR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TRP B(1002)에 해당하는 부분은 TRP B(1002)-UE 패널 B 통신 링크의 SINR 값이 TRP B(1002)가 설정한 SINR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TRP A(1001)는 최종적으로 빔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각 TRP가 설정한 최소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단말(1003)로부터 수신한 SINR 값이 해당 통신 링크에 속한 TRP가 제시한 SINR 임계값을 넘는지 우선적으로 판단한다. 그 뒤 특정 빔 조합이 모든 통신 링크에 대해서 SINR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조합 인덱스만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빔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10a 및 도 10b에서 조합 인덱스 #2의 경우 TRP A(1001)-UE 패널 A 통신 링크에 대해서는 TRP A(1001)가 설정한 SINR 임계값을 만족하나, TRP B(1002)-UE 패널 B 통신 링크에 대해서는 TRP B(1002)가 설정한 SINR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TRP A(1001)가 최종적으로 빔 조합을 선택할 시에 조합 인덱스 #2는 제외한다. 마찬가지로 조합 인덱스 #3의 경우에도 TRP A(1001)-UE 패널 A 통신 링크가 TRP A(1001)가 설정한 SINR 임계값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제외한다. 도 10a 및 도 10b의 예시에서는 조합 인덱스 #14, 15가 최종적인 고려 대상에 해당되며 도 9a 및 도 9b에 따르면 조합 인덱스 #15가 성능이 더 좋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조합 인덱스 #15를 선택한다. 만약, 도 10a 및 도 10b에서 조합 인덱스 #14와 15 모두 두 TRP의 SINR 임계값을 만족하지만 인덱스 #14는 TRP A(1001)가 성능이 좋고 인덱스 #15는 TRP B(1002)가 성능이 좋은 경우 단말(1003) 입장에서 총합 데이터 전송률이 더 좋은 빔 조합을 선택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SINR 측면에서 두 빔 조합이 모두 만족을 하는 경우 앞서 도 9a 및 도 9b에서 언급한 다른 기준에 따라 두 빔 조합 중 최적의 빔 조합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1003)의 latency requirement나 단말(1003)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두 빔 조합 중 최적의 빔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1003)의 latency requirement를 고려하는 경우 user experienced data rate 측면에서 선택된 두 빔 조합 중 더 높은 성능을 지원하는 빔 조합을 선택할 수 있고, 단말(1003)의 이동성을 고려하는 경우 UE mobility나 trajectory를 기반으로 선택된 두 빔 조합 중 더 오랜 시간 동안 단말(1003)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빔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채널의 안정성을 고려했을 때 측정 SINR의 값의 변화가 선택된 두 빔 조합 중 더 작은 빔 조합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단말(1003)의 UE 패널 A와 UE 패널 B의 빔 개수가 각각 1개인 경우를 고려하지만 2개 이상인 경우에도 확장 가능하므로, 최종적으로 선택된 조합 인덱스 #정보를 단말(1003)에게 전송해야 한다. TRP A(1001)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조합 인덱스를 단말(1003)에게 RRC reconfiguration이나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TRP A(1001)는 최종적으로 선택된 조합 인덱스로부터 자신의 최적의 빔을 바로 알 수 있으나, TRP B(1002)의 경우 선택된 조합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TRP A(1001)로부터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또는 단말(1003)을 매개로 수신해야 한다. TRP B(1002)가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TRP A(1001)는 TRP 간 혹은 TRP에 연결된 기지국 간 백홀을 통해 TRP B(1002)에게 전송 가능하다. 반면 TRP B(1002)가 단말(1003)을 매개로 수신하는 경우, 단말(1003)은 TRP A(1001)로부터 받은 조합 인덱스에 관한 정보를 TRP B(1002)에게 전송한다. 단말(1003)이 TRP B(1002)에게 최종적으로 선택된 빔 조합 인덱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TRP B(1002)가 TRP A(10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단말(1003)은 최종적으로 선택된 빔 조합 인덱스 #정보를 TRP B(1002)에게 UCI 혹은 UE Assistance Information이나 기타 신규 RRC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고, TRP B(1002)가 TRP A(1001)에 연결된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단말(1003)은 최종적으로 선택된 빔 조합 인덱스 #정보를 TRP B(1002)에게 Msg1나 MsgA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SRB3의 UE Assistance Information 혹은 기타 신규 SRB3 시그날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후 TRP B(1002)는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선택된 조합 인덱스를 통해 자신의 후보군 중에서 어떤 빔이 통합 빔 조정 과정을 통해 선택되었는지 파악 가능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추후 모든 TRP와 단말(1003)이 통합 빔 조정 과정을 통해 선택된 최적의 빔을 활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100)은 도 3, 도 4, 도 5, 도 8, 도 9a 및 도 10a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들(300, 400, 500, 800, 900, 100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100)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1100)은 TRP A(1101), TRP B(1102) 및 단말(110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100)에서, TRP A(1101) 및 TRP B(1102)는 서로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TRP A(1101) 및 TRP B(1102)는 백홀 등을 통하여 상호간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TRP A(1101) 및 TRP B(1102)는 동일한 단말(1103)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11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TRP A(1101)는 빔 후보군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111). TRP B(1102)는 빔 후보군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112). S1111 단계 및 S1112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S311 단계 및 S312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1101)는 제1 기준 신호의 전송 시점, 전송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21). TRP B(1102)는 TRP A(1101)에서 전송된, 제1 기준 신호의 전송 시점, 전송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21). S1121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S421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1101) 및 TRP B(1102)는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의 정보를 상호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S1124). 단말(1103)은 자신의 후보 빔의 개수 등에 관한 정보를 TRP A(1101) 및 TRP B(1102)에 전송할 수 있다(S1126, S1127). TRP A(1101) 및 TRP B(1102)는 각각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S1128, S1129). S1124 단계 내지 S1129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S524 단계 내지 S529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1101)는 빔 조합 인덱스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131). TRP B(1102)는 빔 조합 인덱스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132). TRP A(1101)는 S1131 단계에서 설정된 빔 조합 인덱스의 정보를 TRP A(1101)에 전송할 수 있다(S1131). S1131 단계 내지 S1134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S831 단계 내지 S834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B(1102)는 제1 임계값(이를테면, SINR 임계값)의 정보를 TRP A(1101)에 전송할 수 있다(S1141). 단말(1103)은 TRP A(1101) 및 TRP B(11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제1 측정값(이를테면, SINR 값)을 TRP A(1101)에 보고할 수 있다(S1142). S1141 단계 내지 S1142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 S941 단계 내지 S942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1101)는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을 선택할 수 있다(S1151). TRP A(1101)는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의 정보를 단말(1103)에 전송할 수 있다(S1152). TRP A(1101)는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의 정보를 TRP B(1102)에 전송할 수 있다(S1153). S1151 단계 내지 S1153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10a를 참조하여 설명한 S1051 단계 내지 S1053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S1111 단계 내지 S1150 단계 중 적어도 일부에 따른 동작들에 기초하여, TRP A(1101), TRP B(1102) 및 단말(1103) 간의 빔 기반 통신을 위한 빔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TRP A(1101), TRP B(1102) 및 단말(1103)은 S1151 단계에서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에 기초하여, 빔 기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160). 즉, TRP A(1101), TRP B(1102) 및 단말(1103)은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을 구성하는 빔들을 이용하여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3)의 동작 방법은, TRP A(1101)(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및 TRP B(1102)에, 단말(11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TRP A(1101)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및 TRP B(1102)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들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측정 동작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TRP A(1101)에 전송하는 단계, 및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중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TRP A(1101)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은, TRP A(11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TRP B(11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및 단말(11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조합일 수 있다.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및 TRP B(1102)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1 신호들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TRP A(1101)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과 TRP B(1102)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의 수신 타이밍들은 서로 일치될 수 있다.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TRP A(1101)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은, TRP A(1101)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1 주기에 기초하여 수신되고, TRP B(1102)에서 전송된 제2 신호들은, TRP B(1102)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2 주기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 있다.
제1 측정값들은 제1 신호들에 대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값들이며,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1103)에서 TRP A(1101)에 대응되는 제1 패널을 통해, TRP A(1101)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1103)에서 TRP B(1102)에 대응되는 제2 패널을 통해, TRP B(1102)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1 신호들 각각에 대한 제1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제1 측정값들을,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RP A(1101)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은, 적어도 TRP A(11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TRP B(11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단말(11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3 빔으로 구성되며, 단말(1103)의 동작 방법은,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TRP A(1101)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을 구성하는 빔들에 기초하여 TRP A(1101) 및 TRP B(1102)와 빔 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RP A(1101)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은, 적어도 TRP A(11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TRP B(11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단말(11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TRP A(1101)에 대응되는 제3 빔과 TRP B(1102)에 대응되는 제4 빔으로 구성되며, 단말(1103)의 동작 방법은,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TRP A(1101)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을 구성하는 빔들에 기초하여 TRP A(1101) 및 TRP B(1102)와 빔 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TRP A(1101)(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의 동작 방법은, TRP A(11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을 설정하는 단계, TRP B(1102)로부터, TRP B(11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1103)로부터, 단말(11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을 설정하는 단계, 단말(1103)에,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단말(1103)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측정값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중에서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단말(1103) 및 TRP B(1102)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은, TRP A(11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TRP B(11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및 단말(11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조합일 수 있다.
TRP A(1101)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을 설정하는 단계 이전에, 전송 타이밍에 대한 정보, 단말(11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 및 TRP B(11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TRP A(1101)에서 제1 신호들이 전송되는 빔의 전환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RP A(1101)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을 설정하는 단계 이전에, TRP A(1101)에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대한 정보를 TRP B(1102)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전송 타이밍에 대한 정보는, TRP B(1102)에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측정값들은 제1 신호들에 대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값들이며,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는, 제2 통신 노드로부터 기 수신된, 제1 임계값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단말(1103)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제1 임계값의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중에서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빔 조합은, 적어도 TRP A(11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TRP B(11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단말(11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3 빔으로 구성되며, TRP A(1101)의 동작 방법은, 제1 빔 조합을 구성하는 빔들 중 제1 빔 및 제3 빔에 기초하여 단말(1103)와 빔 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빔 조합은, 적어도 TRP A(11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TRP B(11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단말(11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TRP A(1101)에 대응되는 제3 빔과 TRP B(1102)에 대응되는 제4 빔으로 구성되며, TRP A(1101)의 동작 방법은, 제1 빔 조합을 구성하는 빔들 중 제1 빔 및 제3 빔에 기초하여 단말(1103)와 빔 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200)은 도 3,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도 8, 도 9b 및 도 10b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들(300, 400, 500, 800, 900, 100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200)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1200)은 TRP A(1201), TRP B(1202) 및 단말(120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200)에서, TRP A(1201) 및 TRP B(1202)는 서로 상이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TRP A(1201) 및 TRP B(1202)는 동일한 단말(1203)을 지원할 수 있다. TRP A(1201) 및 TRP B(1202)는 단말(1203)을 통하여 상호간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TRP A(1201)는 빔 후보군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211). TRP B(1202)는 빔 후보군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212). S1211 단계 및 S1212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S311 단계 및 S312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1201)는 자신의 TRP ID(이를테면, TRP ID_A)의 정보 및 제1 기준 신호의 전송 시점, 전송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단말(1203)에 전송할 수 있다(S1221). S1221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한 S621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단말(1203)은 S1221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 즉 TRP A(1201)의 TRP ID의 정보 및 제1 기준 신호의 전송 시점, 전송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TRP B(1202)에 전송할 수 있다(S1222). S1222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S622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1201)는 자신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의 정보를 단말(1203)에 전송할 수 있다(S1224). TRP B(1202)는 자신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의 정보를 단말(1203)에 전송할 수 있다(S1225). S1224 단계 내지 S1225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한 S724 단계 내지 S725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단말(1203)은 S1225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 즉 TRP B(1202)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의 정보를 TRP A(1201)에 전송할 수 있다(S1226). 단말(1203)은 S1224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 즉 TRP A(1201)의 TRP ID 및 후보 빔 개수의 정보를 TRP B(1202)에 전송할 수 있다(S1227). TRP A(1201) 및 TRP B(1202)는 각각 자신의 빔 전환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S1228, S1229). S1226 단계 내지 S1229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S726 단계 내지 S729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1201)는 빔 조합 인덱스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231). TRP B(1202)는 빔 조합 인덱스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232). TRP A(1201)는 S1231 단계에서 설정된 빔 조합 인덱스의 정보를 TRP A(1201)에 전송할 수 있다(S1231). S1231 단계 내지 S1234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S831 단계 내지 S834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B(1202)는 제1 임계값(이를테면, SINR 임계값)의 정보를 단말(1203)에 전송할 수 있다(S1244). 단말(1203)은 TRP B(1202)로부터 수신된 제1 임계값의 정보, 및 TRP A(1201) 및 TRP B(12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제1 측정값(이를테면, SINR 값)의 정보를 TRP A(1201)에 보고할 수 있다(S1245). S1244 단계 내지 S1244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S944 단계 내지 S945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1201)는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을 선택할 수 있다(S1255). TRP A(1201)는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의 정보를 단말(1203)에 전송할 수 있다(S1256). 단말(1203)은 TRP A(1201)에서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의 정보를 TRP B(1202)에 전송할 수 있다(S1257). S1255 단계 내지 S1257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 S1055 단계 내지 S1057 단계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S1211 단계 내지 S1250 단계 중 적어도 일부에 따른 동작들에 기초하여, TRP A(1201), TRP B(1202) 및 단말(1203) 간의 빔 기반 통신을 위한 빔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TRP A(1201), TRP B(1202) 및 단말(1203)은 S1251 단계에서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에 기초하여, 빔 기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260). 즉, TRP A(1201), TRP B(1202) 및 단말(1203)은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을 구성하는 빔들을 이용하여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3)의 동작 방법은, TRP A(1201)(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및 TRP B(1202)로부터, 제1 및 TRP B(1202) 각각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TRP A(1201)에, TRP B(12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TRP B(1202)에, TRP A(12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TRP A(1201)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TRP A(1201)에,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TRP A(1201)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은, 적어도 TRP A(12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및 TRP B(12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및 TRP B(1202)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1 신호들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적어도 측정 동작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TRP A(1201)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TRP A(1201)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과 TRP B(1202)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의 수신 타이밍들은 서로 일치될 수 있다.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TRP A(1201)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은, TRP A(1201)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1 주기에 기초하여 수신되고, TRP B(1202)에서 전송된 제2 신호들은, TRP B(1202)에서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2 주기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 있다.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TRP B(1202)로부터, 제1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제1 임계값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TRP B(1202)로부터 수신된 제1 임계값의 정보 및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TRP A(1201)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정값들은 제1 신호들에 대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값들이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단말(1203)에서 TRP A(1201)에 대응되는 제1 패널을 통해, TRP A(1201)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1203)에서 TRP B(1202)에 대응되는 제2 패널을 통해, TRP B(1202)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1 신호들 각각에 대한 제1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제1 측정값들을,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매핑하여,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적어도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TRP A(1201)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203)의 동작 방법은, 제1 및 TRP B(1202) 각각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TRP A(1201)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TRP A(1201)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TRP A(1201)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TRP B(1202)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1203)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TRP A(1201)에 단말(12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TRP A(1201)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은, TRP A(12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TRP B(12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단말(12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3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1203)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TRP A(1201)에 단말(12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TRP A(1201)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은, 적어도 TRP A(12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TRP B(12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단말(12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TRP A(1201)에 대응되는 제3 빔 및 TRP B(1202)에 대응되는 제4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1203)의 동작 방법은,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TRP B(1202)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른 TRP A(1201)(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의 동작 방법은, TRP A(12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을 설정하는 단계, 단말(1203)에, TRP A(12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단말(1203)로부터, TRP B(12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을 설정하는 단계, 단말(1203)에,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단말(1203)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중에서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단말(1203)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은, 적어도 TRP A(12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및 TRP B(12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RP A(1201)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TRP A(1201)의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1203)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RP A(1201)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을 설정하는 단계 이전에, TRP A(1201)에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대한 정보를 단말(1203)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전송 타이밍에 대한 정보는, TRP B(1202)에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측정값들은 제1 신호들에 대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값들이며,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제1 임계값의 정보, 및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는, TRP A(1201)에서 기 결정된, 제1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제2 임계값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제1 임계값의 정보, 제2 임계값의 정보 및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중에서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RP A(1201)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단말(1203)로부터 단말(12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빔 조합은, TRP A(12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TRP B(12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단말(12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3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TRP A(1201)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단말(1203)로부터 단말(12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빔 조합은, TRP A(1201)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TRP B(1202)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단말(1203)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TRP A(1201)에 대응되는 제3 빔 및 TRP B(1202)에 대응되는 제4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도 3, 도 4, 도 5, 도 8, 도 9a 및 도 10a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들(300, 400, 500, 800, 900, 100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은 TRP A, TRP B 및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TRP A 및 TRP B는 서로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TRP A 및 TRP B는 백홀 등을 통하여 상호간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TRP A 및 TRP B는 동일한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TRP A 및 TRP B는 빔 후보군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310). S1310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 TRP B 및 단말은 빔 전환 주기 설정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320). S1320 단계에서의 빔 전환 주기 설정 절차는, 백홀 등에 기반한 TRP들 간의 정보 교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S1320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 및 TRP B는 각각 빔 조합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고, TRP A는 설정된 빔 조합 인덱스의 정보를 단말 등에 전송할 수 있다(S1330). S1330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 TRP B 및 단말은 TRP 별 측정값(이를테면, SINR 값)의 보고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340). S1340 단계에서 단말은 TRP 별 측정값의 TRP A로 보고할 수 있다. S1340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는 최적의 빔 조합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350). S1350 단계에서, TRP A는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의 정보를 단말 및 TRP B로 전송할 수 있다(S1350). S1350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10a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S1310 단계 내지 S1350 단계 중 적어도 일부에 따른 동작들에 기초하여, TRP A, TRP B 및 단말 간의 빔 기반 통신을 위한 빔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TRP A, TRP B 및 단말은 S1350 단계에서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에 기초하여, 빔 기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도 3, 도 4, 도 5, 도 8, 도 9a 및 도 10a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들(300, 400, 500, 800, 900, 100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은 TRP A, TRP B 및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TRP A 및 TRP B는 서로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될 수 있다. TRP A 및 TRP B는 백홀 등을 통하여 상호간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TRP A 및 TRP B는 동일한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조정 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 TRP A 및 TRP B는 빔 후보군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410). S1410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 TRP B 및 단말은 빔 전환 주기 설정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420). S1420 단계에서의 빔 전환 주기 설정 절차는, 단말을 매개로 한 TRP들 간의 정보 교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S1420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4, 제5, 제6 및 제7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 및 TRP B는 각각 빔 조합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고, TRP A는 설정된 빔 조합 인덱스의 정보를 단말 등에 전송할 수 있다(S1430). S1430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 TRP B 및 단말은 TRP 별 측정값(이를테면, SINR 값)의 보고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440). S1440 단계에서 단말은 TRP 별 측정값의 TRP A로 보고할 수 있다. S1440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 A는 최적의 빔 조합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450). S1450 단계에서, TRP A는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의 정보를 단말 및 TRP B로 전송할 수 있다(S1450). S1450 단계에 따른 동작들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S1410 단계 내지 S1450 단계 중 적어도 일부에 따른 동작들에 기초하여, TRP A, TRP B 및 단말 간의 빔 기반 통신을 위한 빔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TRP A, TRP B 및 단말은 S1450 단계에서 선택된 최적의 빔 조합(또는 그 인덱스)에 기초하여, 빔 기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은 기준 신호로서 CSI-RS가 사용되고 TRP가 최적의 빔 조합을 선택하는 환경(즉, 하향링크(DL) 환경)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향링크(UL)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또는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은 MTRP 환경에서 두 개의 TRP들(즉, TRP A 및 TRP B)가 한 단말을 지원하는 상황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세 개 이상의 TRP가 한 단말과 통신하는 상황에서도 동일하게 또는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은 단말의 후보 빔이 하나인 상황을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단말의 후보 빔이 두 개 이상인 상황에서도 동일하게 또는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단말이 형성 가능한 각각의 빔에 대해서 TRP A와 TRP B가 형성하는 빔 조합의 성능이 측정됨으로써 최적의 빔 조합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은 두 TRP의 CSI 전송 시점의 기준 TRP가 TRP A로 설정되고, TRP A가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을 TRP B에게 전송하고, TRP B는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 및 패턴을 TRP A에 맞추는 상황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의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는, TRP ID를 기준으로(이를테면, TRP ID가 더 작은 TRP로) 기준 TRP가 설정되는 방식으로도 동일하게 또는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는, 자원 사용률을 기준으로(이를테면, 자원 사용률이 더 높은 TRP로) 기준 TRP가 설정되어, 자원 사용률 측면에서 더 여유가 있는 TRP가 기준인 TRP에게 맞추는 방식으로도 동일하게 또는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는, TRP B가 TRP A에게 CSI-RS 전송 시점 및 전송 패턴을 맞추는 것이 어려운 경우를 고려하여 두 TRP가 자신의 CSI-RS 전송 시점과 패턴을 서로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도 동일하게 또는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모든 TRP들이 같은 기지국에 연결되었는지 혹은 다른 기지국에 연결되었는지에 따라, TRP들 간의 전송 방식 또는 TRP들과 단말 간의 전송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이를테면, TRP A 및 TRP B가 같은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모든 TRP들은 RRC 전송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반면, TRP A 및 TRP B가 서로 다른 기지국에 연결된 경우 단말은 하나의 기지국과 RRC 연결을 할 수 있다. 단말이 TRP A에 연결된 기지국과 RRC 연결이 된 상태라고 가정하면, 단말은 TRP B에 연결된 기지국과 시그날링 라디오 베어러 3(Signaling Radio Bearer 3, SRB3)를 통해 다중연결된 상태로 볼 수 있다. 단말과 TRP B에 연결된 기지국은 SRB3을 통해 SN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SN RRC 재설정 완료(Reconfiguration Complete), SN 관리 보고, SN UE 보조 정보 등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과 복수의 TRP들 간의 시그널링 절차에 기초하여, 단말과 복수의 TRP들 간의 통신을 위한 빔 조합이 결정될 수 있다. 단말과 복수의 TRP들 간에는 각자의 후보 빔들(또는 빔 후보군)의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중에서, 단말에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하나의 빔 조합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과 복수의 TRP들 간의 통신을 위한 빔의 조정 절차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만,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본 개시의 명세서 상에 기재된 구성들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 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및 제2 TRP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TRP 각각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TRP에,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TRP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TRP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TRP에,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TRP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은, 적어도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및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제2 TRP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들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측정 동작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과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의 수신 타이밍들은 서로 일치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은, 상기 제1 TRP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1 주기에 기초하여 수신되고,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2 신호들은, 상기 제2 TRP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2 주기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TRP로부터, 상기 제1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제1 임계값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TRP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임계값의 정보 및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값들은 상기 제1 신호들에 대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값들이며,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노드에서 상기 제1 TRP에 대응되는 제1 패널을 통해,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노드에서 상기 제2 TRP에 대응되는 제2 패널을 통해,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측정값들을,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매핑하여,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TRP 각각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TRP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TRP의 상기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TRP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TRP에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TRP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은,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3 빔으로 구성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TRP에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TRP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은, 적어도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상기 제1 TRP에 대응되는 제3 빔과 상기 제2 TRP에 대응되는 제4 빔으로 구성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신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상기 제2 TRP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10. 제1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1 TRP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을 설정하는 단계;
    제1 통신 노드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노드로부터, 제2 TRP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중에서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은, 적어도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및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제1 TRP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TRP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1 TRP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TRP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을 설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 타이밍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1 TRP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값들은 상기 제1 신호들에 대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값들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제1 임계값의 정보, 및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TRP에서 기 결정된, 상기 제1 하나 이상의 제1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제2 임계값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임계값의 정보, 상기 제2 임계값의 정보 및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중에서 상기 제1 빔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TRP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TRP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빔 조합은,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3 빔으로 구성되는,
    제1 TRP의 동작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TRP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빔 조합은,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1 빔,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제2 빔, 및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에서 상기 제1 TRP에 대응되는 제3 빔과 상기 제2 TRP에 대응되는 제4 빔으로 구성되는,
    제1 TRP의 동작 방법.
  16. 제1 통신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제1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및 제2 TRP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TRP 각각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TRP에,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TRP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 TRP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TRP에,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전송된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TRP에서 선택된 제1 빔 조합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은, 적어도 상기 제1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 및 상기 제2 TRP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중 어느 하나의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제1 통신 노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및 제2 TRP에서 전송된 제1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들에 대한 측정 동작을 수행하고; 그리고
    적어도 상기 측정 동작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과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의 수신 타이밍들은 서로 일치되는,
    제1 통신 노드.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2 TRP로부터, 상기 제1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제1 임계값의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2 TRP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임계값의 정보 및 상기 빔 조합 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통신 노드.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값들은 상기 제1 신호들에 대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값들이며,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1 통신 노드에서 상기 제1 TRP에 대응되는 제1 패널을 통해, 상기 제1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노드에서 상기 제2 TRP에 대응되는 제2 패널을 통해, 상기 제2 TRP에서 전송된 상기 제1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측정값들을, 상기 하나 이상의 빔 조합들 각각에 매핑하여,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획득하고; 그리고
    적어도 상기 빔 조합별 제1 측정값들의 정보를 상기 제1 TRP에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통신 노드.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가:
    상기 제1 및 제2 TRP 각각의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의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제1 TRP의 상기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TRP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1 TRP의 상기 제1 신호들의 전송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TRP에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통신 노드.
KR1020230103815A 2022-08-08 2023-08-08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400207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472 2022-08-08
KR20220098472 2022-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703A true KR20240020703A (ko) 2024-02-15

Family

ID=8985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815A KR20240020703A (ko) 2022-08-08 2023-08-08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0703A (ko)
WO (1) WO20240350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220B1 (ko) * 2015-07-01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의 빔 선택 장치 및 방법
JP6562981B2 (ja) * 2016-07-29 2019-08-21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操作のためのチャネル状態情報報告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18030845A1 (ko) * 2016-08-11 2018-0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송/수신단 변경을 위한 단말의 측정, 보고, 및 변경 절차와 이를 지원하는 기지국 절차를 특징으로 하는 장치 및 시스템
US11432289B2 (en) * 2019-07-30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Beam updating for multiple transmission reception points
US11751085B2 (en) * 2020-08-07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ll downlink and uplink beam indication, measurement and repor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5091A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23679B (zh) 用于通信波束恢复的系统和方法
EP36429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05553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reporting
KR102435887B1 (ko)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044062B2 (en) Methods to determine parameters related to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s (PT-RS) based on a type of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
US10784947B2 (en) Methods of beam management and beam selection based on measurement reporting in new radio (NR) systems
US2023018928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Anticipated Common Beam Switching
WO2017076250A1 (zh) 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US11528647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 channel state
US11064567B2 (en) Methods to adapt a frequency density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resources for beam failure detection (BFD) in new radio (NR) systems
JP7243715B2 (ja) 電気機器及び通信方法
CN105229942A (zh) 用于资源分配和设备对设备发现跳的用户设备和方法
KR20200100002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0385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ased on beamforming in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30122A (ko) feNB-IoT들을 지원하는 TDD에서의 다운링크 송신
CN116436585A (zh) 用于参考信号配置的方法和装置
KR2022006190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호성 보정 방법 및 장치
CN112351451B (zh) 波束失败恢复方法及装置
KR20240020703A (ko)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627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98695A (ko)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57325A (ko) 사운딩 참조 신호 리소스 세트의 구성의 동적 업데이트
US118559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ltra-high frequency and ultra-wide band
KR102463219B1 (ko) 초고주파 및 초광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2560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기반의 신호의 송수신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