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911B1 -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911B1
KR102462911B1 KR1020200013190A KR20200013190A KR102462911B1 KR 102462911 B1 KR102462911 B1 KR 102462911B1 KR 1020200013190 A KR1020200013190 A KR 1020200013190A KR 20200013190 A KR20200013190 A KR 20200013190A KR 102462911 B1 KR102462911 B1 KR 10246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tection circuit
fire detection
automatic fir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9387A (ko
Inventor
한규원
양회성
박소영
이강복
홍상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1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9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3Address allocation methods and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P형 화재 수신기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P형 화재 수신기와 복수의 회로들 사이의 배선들에 각각 연결된 입력 단자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레벨의 신호로 조정하는 전압 조정부와, 프로세서부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부는 전압 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P형 화재 수신기와 복수의 회로들 중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를 제외한 나머지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한다.

Description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 type fire receiver}
본 발명은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에 화재 발생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조기 화재 발견과 경보이며 이를 위하여 소방 시설법에 따라 자동 화재탐지 설비의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자동 화재탐지 설비는 화재 발생시 화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감지기와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위치를 안내하고 경보를 발생하는 수신기와 장치 일체를 포함한다. 특히 수신기의 경우 소방 대상물에 따라 설치 기준이 상이하고 특수 목적성에 맞추어 수신기의 종류가 분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수신기는 P형 수신기와 R형 수신기로 구분되어 있다. 화재 신호를 고유 신호로 수신하는 R형 수신기의 경우 다수의 회선수가 필요한 구조물 혹은 고도화된 시설 관리가 필요한 구조물에 적합하며 높은 신뢰성을 갖지만 높은 비용이 발생하여 일반적인 구조물에서는 이용이 어렵다. 화재 신호를 공통 신호로 수신하는 P형 수신기의 경우, 회로가 단순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R형 수신기에 비해 저렴한 가격이 장점이지만, 회로 확장이 어렵고 유지 보수가 어렵다. 또한 소방법 시행령에 의거하여 4층 이상의 특정 소방 대상물에 발신기와 함께 설치되도록 규정하고 있어, 대다수의 구조물에 P형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다.
방재 센터가 존재하는 초고층 건물 또는 수신기의 관리가 용이한 다중복합 이용시설 이외의, 안전 사각지대의 소규모 일반 구조물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화재 수신기의 경우, 관리자의 의사에 따라 화재 수신기의 임의 조작이 가능하고 화재 수신기의 화재 경보를 차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소방법에 따라 임의 기능 차단을 조사하여 계도하고 있으나 추가적인 인력 배치나 예산 등으로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화재 수신기의 제조업체의 다양화로 인하여 수신기에서 발생한 경보의 정보와 점검/발생 이력 등의 정보화가 불가능하고 재산 및 안전을 책임지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안전 사각지대의 대다수 일반 구조물에 분포한 화재 수신기에 대해 발생되는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전 사각지대의 대다수 일반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P형 화재 수신기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P형 화재 수신기를 모니터링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P형 화재 수신기와 복수의 회로들 사이의 배선들에 각각 연결된 입력 단자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레벨의 신호로 조정하며, 상기 조정된 신호들 중에서 상기 P형 화재 수신기에 연결된 복수 회로 중 자동 화재 탐지 회로에 관련된 신호를 제1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를 제외한 나머지 회로에 관련된 신호를 제2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압 조정부; 및 상기 전압 조정부의 제1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전압 조정부의 제2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를 제외한 나머지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사각지대의 대다수 일반 구조물에 분포한 다기종 P형 화재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일부 제조사에 제한되지 않고 다기종 P형 화재 수신기에 쉽게 연결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P형 화재 수신기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된 정보를 율적으로 상위 응용으로 전달하여, 효과적인 수신기의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형 화재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상태를 판단하는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형 화재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P형 화재 수신기는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자동 화재 탐지 회로(자탐 회로라고도 명명됨)와 발신기(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음)의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시각 경보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P형 화재 수신기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계통별 n개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예: 회로1~회로5)와 발신기 그리고 경보 회로(예: 주경종(주벨(bell)), 지구경종(지구벨), 전화, 표시등, 유도등)에 연결된다. n개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와 발신기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경보 회로에 연결되는 스위치가 작동되어 경보 회로가 동작하여 경보음이나 시각 경보를 발생시킨다. P형 화재 수신기는 n개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와 발신기로부터 신호를 대응하는 수신 단자를 통해 각각 수신할 수 있으며, 출력 단자를 통해 경보 회로의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P형 화재 수신기의 수신 단자와 출력 단자를 통합하여, 입출력 단자라고 명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P형 화재 수신기(2)는 위에 기술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제 구현에 따라 P형 화재 수신기의 종류 및 성능에 따라 n 값은 변경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1)(설명의 편의상, 이하, 모니터링 장치로 명명함)는 P형 화재 수신기(2)를 모티터링한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장치(1)는 전압 조정부(10), 프로세서부(20), 통신부(30), 전원 공급부(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부(20)는 제1 프로세서부(21), 제2 프로세서부(22) 그리고 제3 프로세서부(23)를 포함한다.
전압 조정부(10)는 도 3에서와 같이, P형 화재 수신기(2)의 입출력 단자 각각과 배선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단자를 포함하며, 복수의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들의 전압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압 조정부(10)의 각각의 입력 단자는 구체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P형 화재 수신기(2)의 수신 단자와 n개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자탐 회로 n)들 사이에 연결된 제1 배선들과 P형 화재 수신기(2)의 출력 단자와 나머지 회로들(주경종, 지구경종, 발신기, 전화, 표시등, 유도등)에 연결된 제2 배선들에 각각 연결되어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P형 화재 수신기(2)의 n개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들의 제1 배선들에 연결된 입력 단자들을 제1 입력 단자라고 명명하고, P형 화재 수신기(2)의 나머지 회로들의 제2 배선들에 연결된 입력 단자들을 제2 입력 단자라고 명명한다.
전압 조정부(20)는 복수의 입력 단자가 배선들을 통해 P형 화재 수신기(2)에 연관된 자동 화재 탐지 회로들과 나머지 회로에 연결되므로, P형 화재 수신기(2)에 관련된 신호들을 수집하는 수집부로서의 기능과, 입력 단자들을 통해 수집되는 신호의 전압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형 화재 수신기(2)를 구성하는 회로 상의 신호는 예를 들어, 소방법에 의거하여 DC 24V로 표준화 되어 있다. 전압 조정부(10)는 이러한 신호들을 입력 단자들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되는 신호들을 모니터링 장치(1)에서의 처리를 위해 소정 전압으로 조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부(20)의 처리를 위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전압을 3.7V로 조정한다.
또한, 전압 조정부(2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수집된 신호들(P형 화재 수신기(2)의 수신 단자로 입력되는 n개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들로부터 수집된 신호들)을 전압 조정한 후 제1 출력 단자를 통해 프로세서부(20)로 출력하며,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수집된 신호들(P형 화재 수신기(2)의 나머지 회로들로부터 수집된 신호들)을 전압 조정한 후 제2 출력 단자를 통해 프로세서부(2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부(20)는 전압 조정부(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토대로 P형 화재 수신기(2)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부(20)는 제1 프로세서부(21) 및 제2 프로세서부(22)를 포함한다. 제1 프로세서부(21)는 P형 화재 수신기(2)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들로부터 수집되는 신호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제2 프로세서부(22)는 P형 화재 수신기(2)의 나머지 회로들로부터 수집되는 신호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제1 프로세서부(21)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핀(ppin)을 통해 전압 조정부(10)의 제1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제2 프로세서부(22)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핀을 통해 전압 조정부(10)의 제2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프로세서부(21)는 ADC 핀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들을 토대로 P형 화재 수신기(2)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들의 단선/정상/동작 상태를 탐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프로세서부(21)는 ADC 핀을 통해 입력되는 P형 화재 수신기(2)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의 전압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단선/정상/동작의 상태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포함하며, 제1 임계값 > 제2 임계값이다. 제1 임계값은 예를 들어, 3.7V이며, 제2 임계값은 예를 들어, 3.3V이며, 이러한 임계값들은 회로 구성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상태를 판단하는 예를 나타낸 도이다.
제1 프로세서부(21)는 ADC 핀을 통해 입력되는 P형 화재 수신기(2)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가 제1 임계값(Threshold #1)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자동 화재 탐지 회로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결정한다.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가 제1 임계값(Threshold #1)보다 작고 제2 임계값(Threshold #2) 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자동 화재 탐지 회로가 단선 상태인 것으로 결정한다.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가 제2 임계값(Threshold #2)보다 작고 제2 임계값(Threshold #2) 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자동 화재 탐지 회로에 포함되는 감지기가 동작 상태인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제2 프로세서부(22)는 GPIO 핀을 통해 전압 조정부(10)의 제2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들을 토대로 P형 화재 수신기(2)의 나머지 회로들(주경종, 지구경종, 발신기, 전화, 표시등, 유도등)의 온/오프(ON/OFF)를 탐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부(22)는 GPIO 핀을 통해 소정 전압의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회로가 온(ON)된 것으로 결정하고, GPIO 핀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해당 회로가 오프(OFF)된 것으로 결정한다.
프로세서부(20)는 제3 프로세서부(23)를 더 포함하며, 제3 프로세서부(23)는 제1 프로세서부(21) 및 제2 프로세서부(22)의 탐지 결과를 토대로 모니터링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3 프로세서부(23)는 탐지 결과를 토대로 P형 화재 수신기(2)에 대해 수집한 정보에 대한 탐지 결과를 자료 구조화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신부(3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 혹은 상위 응용으로 전달한다.
모니터링 데이터는 P형 화재 수신기(2)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단선/정상/동작) 탐지 결과, P형 화재 수신기(2)의 나머지 회로의 온/오프 탐지 결과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한다.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 탐지 결과와 동작 회로의 온/오프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조화될 수 있다.
수신기 발생 정보에 따른 탐지 결과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기능
bool pExitLight 유도등 출력 ON/OFF
bool pWarningLight 표시등 출력 ON/OFF
bool pMainAlarm 주경종 출력 ON/OFF
bool pSubAlarm 지구경종 출력 ON/OFF
bool pTransmitter 발신기 동작/복구
Unit8_t pCircuit[n] 자동 화재 탐지 회로 n의 단선/정상/동작
사용자 데이터는 P형 화재 수신기(2)의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며, 다음 표 2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조화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기능
Unit8_t pID P형 화재 수신기 ID
bool pPower P형 화재 수신기 전원
bool pShutoff 임의 경보 정지 여부
        P형 수신기의 ID는 실 구현 예에 따라 관리자 혹은 상위 응용에 의하여 변경 가능하다. P형 수신기 전원은 회로 감지 정보를 통하여 모든 회로의 전원 레벨을 통해 판단한다. 임의 경보 정지 여부는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과 동작 회로(표시등, 주경종, 지구경종)의 출력을 비교하여 판단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에 포함되는 탐지 결과와 사용자 데이터는 위의 표에 예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프로세서부(2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통신부(30)를 통하여 프로세서부(20)로부터 전달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외부 장치(예: 사용자 단말) 또는 상위 응용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부(30)는 모니터링 결과를 전달하기 위하여 LoRa(long range) 통신 방식을 사용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30)는 LoRa 통신을 위해, 예를 들어, 다음 표 3과 같은 물리 계층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파라미터
주파수 921.9 MHz
대역폭 125kHz
확산 팩터(Spreading factor) 12
전력 7mV
통신부(30)는 이러한 파라미터를 토대로 동작하는 대역 선택 필터, 경로 선택부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40)는 도 3과 같이 레귤레이터(레귤레이터1, 레귤레이터 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는 P형 화재 수신기(2)와 배선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입력 단자를 통하여 P형 화재 수신기(2)에 관련된 신호들을 수신한다(S100). 즉, P형 화재 수신기(2)의 수신 단자와 n개의 자동 화재 탐지 회로들 사이에 연결된 제1 배선들과 각각 연결된 제1 입력 단자들을 통해 자동 화재 탐지 회로 관련 신호를 수신하고, P형 화재 수신기(2)의 출력 단자와 나머지 회로들(주경종, 지구경종, 발신기, 전화, 표시등, 유도등)에 연결된 제2 배선들에 각각 연결된 제2 입력 단자들을 통해 나머지 회로 관련 신호를 수신한다.
모니터링 장치(1)는 수신되는 신호들의 전압을 설정 레벨로 조정하고(S110), 수신된 신호들의 종류에 따라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120).
수신된 신호가 자동 화재 탐지 회로 관련 신호인 경우, 모니터링 장치(1)는 수신된 신호의 전압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상태가 단선 상태 또는 정상 상태 또는 동작 상태인지를 결정한다(S130).
반면, 수신된 신호가 자동 화재 탐지 회로 관련 신호가 아닌 신호 즉, 나머지 회로 관련 신호인 경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나머지 회로가 온 또는 오프인지를 결정한다(S140).
이후, 모니터링 장치(1)는 위의 단계(S120~S140)에서 수행된 모니터링 결과 즉, 탐지 결과에 대응하는 데이터(표 1 참조)를 생성하며(S150), 또한 사용자 데이터(표 2 참조)를 생성한다(S160).
그리고 모니터링 장치(1)는 탐지 결과에 대응하는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별도의 장치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나 상위 응용으로 전달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S170).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P형 화재 수신기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자동 화재 탐지 회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로와 상기 P형 화재 수신기 사이의 배선들에 연결된 입력 단자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1 레벨의 신호로 조정하여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압 조정부 -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와 상기 P형 화재 수신기 사이의 배선에 연결된 제1 입력 단자와, 상기 복수의 회로 중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를 제외한 나머지 회로와 상기 P형 화재 수신기 사이의 배선에 연결된 제2 입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와 상기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함 -; 및
    상기 전압 조정부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1 레벨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전압 조정부의 상기 제2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1 레벨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회로 중 나머지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나머지 회로는 주경종, 지구경종, 발신기, 전화, 표시등, 유도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부는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와 상기 P형 화재 수신기 사이의 배선에 연결된 상기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조정하여 상기 제1 출력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회로 중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를 제외한 나머지 회로와 상기 P형 화재 수신기 사이의 배선에 연결된 상기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조정하여 상기 제2 출력 단자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전압 조정부의 제1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1 레벨의 신호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 - 상기 동작 상태는 단선 상태 및 정상 상태를 포함함 -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프로세서부; 및
    상기 전압 조정부의 제2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1 레벨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나머지 회로로부터 수집되는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나머지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프로세서부
    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부는
    상기 제1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1 레벨의 신호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1 레벨의 신호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가 단선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1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1 레벨의 신호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에 포함되는 감지기가 동작하는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부는
    상기 제2 출력 단자로부터 제1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해당하는 나머지 회로가 온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출력 단자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해당하는 나머지 회로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제1 프로세서부의 결정 결과와 상기 제2 프로세서부의 결정 결과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또는 상위 응용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3 프로세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는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 결정 결과, 상기 나머지 회로의 온/오프 결정 결과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P형 화재 수신기의 식별 정보, 상기 P형 화재 수신기의 전원, 그리고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과 상기 나머지 회로에 포함되는 경보 관련 회로의 출력 비교에 의해 결정되는 임의 경보 정지 여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7. 자동 화재 탐지 회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로에 연결되는 P형 화재 수신기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와 상기 P형 화재 수신기 사이의 배선에 연결된 제1 입력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복수의 회로 중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를 제외한 나머지 회로와 상기 P형 화재 수신기 사이의 배선에 연결된 제2 입력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제2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나머지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제1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제2 신호는 미리 설정된 제1 레벨로 변환 조정되며,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나머지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변환 조정된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기반으로 상태 결정이 수행되며,
    상기 나머지 회로는 주경종, 지구경종, 발신기, 전화, 표시등, 유도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가 단선 상태 또는 정상 상태인지를 결정하며,
    상기 나머지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 단자로부터 제2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하는 나머지 회로가 온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입력 단자로부터 제2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해당하는 나머지 회로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모니터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고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가 단선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에 포함되는 감지기가 동작하는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한 결과와 상기 나머지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한 결과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또는 상위 응용으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는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 상태 결정 결과, 상기 나머지 회로의 온/오프 결정 결과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P형 화재 수신기의 식별 정보, 상기 P형 화재 수신기의 전원, 그리고 상기 자동 화재 탐지 회로의 동작과 상기 나머지 회로에 포함되는 경보 관련 회로의 출력 비교에 의해 결정되는 임의 경보 정지 여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방법.






KR1020200013190A 2020-02-04 2020-02-04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46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190A KR102462911B1 (ko) 2020-02-04 2020-02-04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190A KR102462911B1 (ko) 2020-02-04 2020-02-04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87A KR20210099387A (ko) 2021-08-12
KR102462911B1 true KR102462911B1 (ko) 2022-11-04

Family

ID=7731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190A KR102462911B1 (ko) 2020-02-04 2020-02-04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9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538B1 (ko) * 2008-06-10 2008-10-09 김종훈 화재수신기의 통합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014A (ko) * 2010-03-05 2011-09-15 (주)지앤이 P형 화재수신기용 중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p형 화재수신기의 신호 전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538B1 (ko) * 2008-06-10 2008-10-09 김종훈 화재수신기의 통합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87A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6215B2 (en) Security system health monitoring
KR101772819B1 (ko)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KR101841727B1 (ko) 소방중계기방송장치 선로의 단락검사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US11018573B2 (en) Power supply ripple detector
US20180027430A1 (en) Techniques for locating distributed antenna locations
US20190027958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integrated testing and reporting functionality
KR102315704B1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6308272B1 (en) Security system using existing network and personal computers
KR101104508B1 (ko) 화재 경보 선로의 이상 테스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p형 수신기
KR102462911B1 (ko) P형 화재 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862538B1 (ko) 화재수신기의 통합 감시 시스템
WO1999021152A1 (en) System for monitoring remote device status
KR100877420B1 (ko) 감지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의 중계기 및그의 화재 관리 방법
JP6982431B2 (ja) 防災設備の伝送システム
US65188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line disconnection and a fire, and a fire alarm system having the same
JP2007228477A (ja) 基地局の遠隔監視システム
US20050049726A1 (en) Input device for building automation
KR102009108B1 (ko)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WO2022185786A1 (ja) 警報システム、制御装置、感知器
KR20200136295A (ko) 누전차단기의 원격제어관리 시스템
EP3866133B1 (en) Output module for a fire alarm system
JP3743262B2 (ja) 自火報受信機
KR100969206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p형 수신기
JP6646835B2 (ja) 親機、及び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JP2020047309A (ja) 親機、及び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