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714B1 - 조명 기구, 부착 금구 및 부착 금구 세트 - Google Patents

조명 기구, 부착 금구 및 부착 금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714B1
KR102462714B1 KR1020160041772A KR20160041772A KR102462714B1 KR 102462714 B1 KR102462714 B1 KR 102462714B1 KR 1020160041772 A KR1020160041772 A KR 1020160041772A KR 20160041772 A KR20160041772 A KR 20160041772A KR 102462714 B1 KR102462714 B1 KR 10246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bracket
pair
attachment
cas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720A (ko
Inventor
유타카 야마모토
도모키 하다
Original Assignee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아오가키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아오가키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29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32Hook and loop-type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 기구의 설치 영역의 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조명 기구(100)는, 광원부(10)와, 케이스(20)와, 부착 금구(30)를 구비한다. 케이스(20)는 광원부(10)를 유지한다. 케이스(20)에는, 내주면(29)에 한쌍의 돌기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 금구(30)는 케이스(20)를 부착 대상물(W)에 부착한다. 부착 금구(30)는 한쌍의 걸어맞춤부(32)와 접속부(31)를 가진다. 한쌍의 걸어맞춤부(32)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접속부(31)는 한쌍의 걸어맞춤부(32)와 접속한다. 케이스(20)는 부착 금구(3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다.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로부터 이탈할 때, 한쌍의 걸어맞춤부(32)는 한쌍의 돌기부(40)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한다.

Description

조명 기구, 부착 금구 및 부착 금구 세트{LIGHTING APPARATUS, FIXING BRACKET AND SET OF FIXING BRACKET}
본 발명은 조명 기구, 부착 금구 및 부착 금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스를 고정구를 이용해 고정하는 조명 기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선형상 조명 장치는, 유지 부재에 의해서 장척 케이스를 유지함으로써 조명 장치를 설치 장소에 부착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선형상 조명 장치에서는, 장척 케이스에 설치된 홈과, 유지 부재에 설치된 돌기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높은 유지력이 얻어진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0-4990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선형상 조명 장치에서는, 유지 부재는 장척 케이스를 외측으로부터 사이에 두고 유지하므로, 유지 부재가 선형상 조명 장치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선형상 조명 장치의 설치 영역의 폭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명 기구의 설치 영역의 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조명 기구, 부착 금구 및 부착 금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는 광원부와, 케이스와, 부착 금구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광원부를 유지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내주면에 한쌍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 금구는, 상기 케이스를 부착 대상물에 부착한다. 상기 부착 금구는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접속부를 가진다.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접속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 금구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를 상기 부착 금구로부터 이탈할 때,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는 상기 한쌍의 돌기부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의 각각은 기립부와, 돌출부와, 되꺾음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립부는, 상기 접속부로부터 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립부와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되꺾음부는, 상기 돌출부와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립부로부터 상기 되꺾음부를 향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상기 되꺾음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가 상기 부착 금구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되꺾음부는 상기 돌기부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와 한쪽의 상기 기립부의 교선과, 상기 접속부와 다른쪽의 상기 기립부의 교선의 간격은, 상기 한쌍의 돌기부의 간격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쪽의 상기 돌출부와 한쪽의 상기 되꺾음부의 교선과, 다른쪽의 상기 돌출부와 다른쪽의 상기 되꺾음부의 교선의 간격은, 상기 한쌍의 돌기부의 간격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는 적어도 1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대각선 상에 배치되는 한쌍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부착 금구를 상기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는 추가 부착 금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 부착 금구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와, 보조 기립부와, 경사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기립부는,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보조 기립부와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 금구는, 상기 경사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추가 부착 금구의 상기 경사부는 적어도 1개의 돌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 금구의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돌기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구멍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금구의 상기 접속부는, 적어도 1개의 돌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 부착 금구의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돌기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구멍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부착 금구는, 내주면에 한쌍의 돌기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가지는 조명 기구를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는 부착 금구이다. 상기 부착 금구는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접속한다.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할 때,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돌기부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한다.
본원에 개시하는 부착 금구 세트는 내주면에 한쌍의 돌기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가지는 조명 기구를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는 부착 금구 세트이다. 상기 부착 금구 세트는 부착 금구와 추가 부착 금구를 구비한다. 상기 부착 금구는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접속부를 가진다.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접속한다. 상기 추가 부착 금구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와, 보조 기립부와, 경사부를 가진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하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하다. 상기 보조 기립부는,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기립한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보조 기립부와 접속한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 금구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를 상기 부착 금구로부터 이탈할 때,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돌기부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한다. 상기 부착 금구는, 상기 경사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 기구의 설치 영역의 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IIa-II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b)는 도 2(a)의 IIb-II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의 사시도이다.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의 단면도이다. (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의 상면도이다.
도 4(a)는 케이스의 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b)는 케이스의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의 상면도이다.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의 상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추가 부착 금구의 사시도이다.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IIa-II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IIb-II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있어서, X축 및 Y축은 수평 방향을 따르고, Y축은 조명 기구(100)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Z축은 연직 방향을 따르고,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한다.
조명 기구(100)는 광원부(10)와, 케이스(20)와, 부착 금구(30)를 구비한다. 조명 기구(100)는 전등갓(14), 단자대(15), 점등 장치(16) 및 단부 전등갓(50)을 더 구비한다. 조명 기구(100)는, 예를 들면, 간접 조명이다. 조명 기구(100)는 부착 대상물(W)에 부착된다. 부착 대상물(W)은, 예를 들면, 바닥면, 벽면 또는 천정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부착 대상물(W)은 바닥면이다.
케이스(20)는 본체부(21) 및 저판부(61)를 가진다. 본체부(21)는 단면 형상이 대략 H자형이다. 본체부(21)는 열 전도성을 가지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의 압출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1)는 횡판부(22)와 측판부(23)를 가진다. 측판부(23)는 횡판부(22)의 짧은 방향의 양측에 형성된다.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상방은 개방되어 있어, 개방부(27)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하방은 개방되어 있어, 개방부(28)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도 개방되어 있다. 측판부(23)의 상부에는, 상부 홈부(24)가 대향하여 형성된다. 상부 홈부(24)는 전등갓(14)을 꽂아넣어 유지시킨다. 측판부(23)의 내주면(29)의 하부에는, 한쌍의 돌기부(40)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돌기부(40)는 대향하고 있다. 한쌍의 돌기부(40)에는, 부착 금구(30)가 부착된다. 또한, 한쌍의 돌기부(40)의 상면은 저판부(61)를 유지한다. 횡판부(22)의 하부의 양측에는, 단부 전등갓(50)을 나사(53)로 부착하기 위한 나사 부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판부(61)는 본체부(21)의 하부의 개방부(28)의 일부를 폐색하는 것이다. 저판부(61)는 금속의 판금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저판부(61)는 본체부(21)의 하방에 씌워 한쌍의 돌기부(40)의 상면에 맞닿게 한다. 저판부(6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구부러져 있다. 저판부(61)는 나사(62)로 본체부(21)의 횡판부(22)에 고정된다. 저판부(61)는 본체부(21)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다. 저판부(61)는 본체부(21)에 부착된 상태에서, 본체부(21)의 하부의 개방부(28) 중, 길이 방향의 양단측은 폐색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체부(21)의 양단부의 개방부(28)에, 전원선 또는 이송선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광원부(10)는 기판(81) 및 점 광원으로서의 복수의 LED 소자(82)를 가진다. 광원부(10)는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LED 소자(82)의 거리가 대략 등간격이 되도록, 복수의 LED 소자(82)는 배치된다.
전등갓(14)은 본체부(21)의 상부의 개방부(27)를 폐색한다. 전등갓(14)은 광원부(10)로부터의 광을 투과시켜, 조사면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전등갓(14)은,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가지는 반투명의 아크릴계 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전등갓(14)은 본체부(21)의 상부 홈부(24)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꽂아넣어 유지된다.
단자대(15)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 또는 인접하는 조명 기구(100)로부터의 이송선의 단자가 콘센트에 꽂아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대(15)는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하부에 있어서, 본체부(21)의 일단에 설치된다. 단자대(15)의 콘센트는 본체부(21)의 단부측을 향한다.
점등 장치(16)와 광원부(10)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점등 장치(16)는 광원부(10)의 LED 소자(82)를 점등시킨다. 점등 장치(16)는 본체부(21)의 횡판부(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점등 장치(16)는 단자대(15)와 전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착 금구(30)는 케이스(20)를 부착 대상물(W)에 부착하기 위한 부품이다. 부착 금구(30)는 케이스(2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부착된다. 또한, 부착 금구(30)의 부착 위치는 양단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쌍의 돌기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면, 부착 금구(30)는 임의의 장소에 부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케이스(2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부착되어도 된다. 부착 금구(30)는 금속의 판금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 금구(30)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부착 금구(30)는 한쌍의 돌기부(40)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부착 금구(30)는 접속부(31)와, 걸어맞춤부(32a)와, 걸어맞춤부(32b)를 가진다. 접속부(31)는 걸어맞춤부(32a)와 걸어맞춤부(32b)를 접속한다.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단부 전등갓(50)은 케이스(20)의 양단부에 설치된다. 단부 전등갓(50)은, 예를 들면, 전등갓(14)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단부 전등갓(50)은,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가지는 반투명의 아크릴계 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차단되지 않는다. 또한, 단부 전등갓(50)은 차광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케이스(20)는 부착 금구(3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다.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로부터 이탈할 때,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는 돌기부(40)에 가압되어 화살표 D1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따라서, 부착 금구(30)로부터 케이스(20)를 용이하게 떼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30)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30)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30)의 상면도이다. 부착 금구(30)는 접속부(31)와, 걸어맞춤부(32a)와, 걸어맞춤부(32b)를 가진다.
접속부(31)에는 관통공(3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6)은 접속부(31)의 중앙에 형성된다. 관통공(36)에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부착 금구(30)는 부착 대상물(W)에 부착된다.
접속부(31)는, 예를 들면 평탄형상이다. 접속부(31)를 평탄형상으로 함으로써, 부착 금구(30)를 부착 대상물(W)의 표면에 부착했을 때에, 부착 금구(30) 및 그곳에 부착되는 조명 기구(100)의 자세가 안정되므로, 바람직하다. 접속부(31)에는, 절결(37a) 및 절결(37b)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37a) 및 절결(37b)은, 접속부(31)의 변 중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접속부(31)의 변에 형성된다. 절결(37a) 및 절결(37b)은 대향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부착 대상물(W)에 2개의 부착 금구(30)를 배치할 때, 2개의 부착 금구(30)의 절결(37a) 및 절결(37b)을, 부착 대상물(W)의 기준선에 맞춤으로써, 2개의 부착 금구(30)를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접속부(31)는 끼워맞춤 구멍(39a) 및 끼워맞춤 구멍(39b)을 가진다. 끼워맞춤 구멍(39a) 및 끼워맞춤 구멍(39b)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걸어맞춤부(32a)는 기립부(33a)와, 돌출부(34a)와, 되꺾음부(35a)를 가진다. 기립부(33a)는 접속부(31)로부터 대략 직교 방향으로 기립한다. 돌출부(34a)는 기립부(33a)와 접속한다. 되꺾음부(35a)는 돌출부(34a)와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걸어맞춤부(32b)는 기립부(33b)와, 돌출부(34b)와, 되꺾음부(35b)를 가진다. 기립부(33b)는 접속부(31)로부터 대략 직교 방향으로 기립한다. 돌출부(34b)는 기립부(33b)와 접속한다. 되꺾음부(35b)는 돌출부(34b)와 접속한다.
돌출부(34a)와 돌출부(34b)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기립부(33a) 및 기립부(33b)로부터 되꺾음부(35a) 및 되꺾음부(35b)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되꺾음부(35a)와 되꺾음부(35b)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부(34a) 및 돌출부(34b)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케이스(20)가 부착 금구(3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하, 부착 상태로 기재한다.)에 있어서, 되꺾음부(35a) 및 되꺾음부(35b)는 케이스(20)의 돌기부(40)에 접촉한다(도 2(b) 참조). 따라서, 부착 상태로부터 케이스(20)를 떼낼 때, 케이스(20)의 돌기부(40)가, 돌출부(34a) 및 돌출부(34b)에 걸리지 않는다. 그 결과, 부착 금구(30)로부터 케이스(20)를 용이하게 떼낼 수 있다.
걸어맞춤부(32a)에는 개구(38a)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32b)에는 개구(38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의 탄성력을 적정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부착 금구(30)에의 케이스(20)의 부착 및 부착 금구(30)로부터의 케이스(20)의 떼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에 대한, 개구(38a) 및 개구(38b)의 면적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어맞춤부(32a)에 대한 개구(38a)의 면적의 비율을 작게 하면 걸어맞춤부(32a)의 탄성력이 높아(걸어맞춤부(32a)가 단단해)지고, 걸어맞춤부(32a)에 대한 개구(38a)의 면적의 비율을 크게 하면 걸어맞춤부(32a)의 탄성력이 낮아(걸어맞춤부(32a)가 부드러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개구(38a)와 끼워맞춤 구멍(39a)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개구(38b)와 끼워맞춤 구멍(39b)은 연결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여, 부착 금구(30)의 크기와, 한쌍의 돌기부(40)의 간격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2(b)에 있어서, 간격(d1)은 교선(91a)과 교선(91b)의 간격을 나타낸다. 교선(91a)은 접속부(31)와 기립부(33a)의 교선을 나타낸다. 교선(91b)은 접속부(31)와 기립부(33b)의 교선을 나타낸다. 간격(d2)은 한쌍의 돌기부(40)의 간격을 나타낸다. 간격(d3)은 교선(92a)과 교선(92b)의 간격을 나타낸다. 교선(92a)은 돌출부(34a)와 되꺾음부(35a)의 교선을 나타낸다. 교선(92b)은 돌출부(34b)와 되꺾음부(35b)의 교선을 나타낸다. 간격(d4)은 되꺾음부(35a)의 선단(35a1)과 되꺾음부(35b)의 선단(35b1)의 간격을 나타낸다.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격(d1)은 간격(d2)보다도 짧다. 간격(d3)은 간격(d2)보다도 길다. 따라서, 부착 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는 탄성 변형하여 한쌍의 돌기부(40)에 걸어맞춘다.
또한, 간격(d4)은 간격(d2)보다도 작다. 따라서, 되꺾음부(35a)의 선단(35a1)과 되꺾음부(35b)의 선단(35b1)이, 한쌍의 돌기부(40)에 걸리지 않고, 부착 금구(30)로부터 케이스(20)를 떼낼 수 있다.
도 1~도 4를 참조하여, 케이스(20)의 부착 금구(30)의 부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케이스(20)의 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케이스(20)의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 전등갓(50)은 본체부(51)와 돌출부(52)를 가진다. 돌출부(52)는 본체부(51)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부(52)는 반원형상이다. 단부 전등갓(50)의 돌출부(52)의 형상은 전등갓(14)의 형상에 대응한다. 나사(53)가 나사 부착부(26)에 부착됨으로써, 단부 전등갓(50)은 케이스(20)의 본체부(21)에 부착된다.
우선, 부착 금구(30)를 부착 대상물(W)의 임의의 위치에 나사(19)(도 1 참조)로 고정한다. 부착 금구(30)의 기립부(33a)와 부착 금구(30)의 접속부(31)의 교선(91a)이, 배치하는 조명 기구(100)의 케이스(20)의 길이 방향(Y방향)을 향하도록, 부착 금구(30)는 배치된다.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에 근접시킴으로써, 케이스(20)는 부착 금구(30)에 부착된다. 상세하게는, 우선, 케이스(20)와 부착 금구(30)가 떨어져 있는 상태(도 4(a) 참조)에서, 부착 금구(30)의 상방으로부터 케이스(20)를 접근시킴으로써, 한쌍의 돌기부(40)와 부착 금구(30)의 돌출부(34a) 및 돌출부(34b)가 접촉한다. 그리고, 케이스(20)를 하방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한쌍의 돌기부(40)가 돌출부(34a) 및 돌출부(34b)를 가압하여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가 화살표 D1으로 나타내는 방향(도 2(b) 참조)으로 탄성 변형한다. 또한 케이스(20)를 하방으로 변위시키면, 한쌍의 돌기부(40)가 교선(92a) 및 교선(92b)을 넘어,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가 탄성 복귀력에 의해 화살표 D1의 반대 방향으로 변형한다. 그리고, 한쌍의 돌기부(40)가 되꺾음부(35a) 및 되꺾음부(35b)에 접촉하여 부착이 완료된다(도 4(b) 참조). 또한, 도 4(a) 및 도 4(b)에 있어서, 나사(19)는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20)의 돌기부(40)와, 부착 금구(30)의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가 접촉하고,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케이스(20)는 부착 금구(30)에 부착된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는 돌기부(40)와 걸어맞춘다.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는 탄성 변형하고 있으므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하여,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는 돌기부(40)에 강고하게 걸어맞춰진다.
다음에, 도 1~도 4를 참조하여, 케이스(20)의 부착 금구(30)로부터의 떼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케이스(20)와 부착 금구(30)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도 4(b) 참조)에서, 케이스(20)를 상방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한쌍의 돌기부(40)가 되꺾음부(35a) 및 되꺾음부(35b)를 가압하여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가 화살표 D1으로 나타내는 방향(도 2(b) 참조)으로 탄성 변형한다. 또한, 케이스(20)를 상방으로 변위시켜 한쌍의 돌기부(40)가 교선(92a) 및 교선(92b)을 넘는다. 그리고,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의 한쌍의 돌기부(40)에의 걸어맞춤이 해제됨으로써, 케이스(20)의 부착 금구(30)의 떼냄이 완료된다(도 4(a) 참조). 이와 같이,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로부터 이탈할 때,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의 상방을 향해 변위시킴으로써, 걸어맞춤부(32)는 한쌍의 돌기부(40)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한다. 따라서,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로부터 용이 및 원활하게 떼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의 상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의 저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상태에 있어서, 부착 금구(30)는 케이스(20)의 길이 방향(Y방향) 및 폭방향(X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고 개방부(28) 내에 들어간다. 따라서, 조명 기구(100)의 부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라도, 조명 기구(100)를 부착 대상물(W)에 부착할 수 있다. 즉, 부착 대상물(W)에 있어서 조명 기구(100)의 주위에 공간이 거의 없는 경우라도, 조명 기구(100)를 부착 대상물(W)에 부착할 수 있다.
이상,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조명 기구(100)에 있어서, 부착 금구(30)의 한쌍의 걸어맞춤부(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는 케이스(20)의 내주면(29)에 형성된 한쌍의 돌기부(40)에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조명 기구(100)의 설치 영역의 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로부터 이탈할 때,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의 상방을 향해 변위시킴으로써, 걸어맞춤부(32)는 한쌍의 돌기부(40)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한다. 따라서,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로부터 원활하게 떼낼 수 있다.
또한, 부착 상태에 있어서, 되꺾음부(35a 및 35b)는 케이스(20)의 돌기부(40)에 접촉한다. 또한, 되꺾음부(35a)의 선단(35a1)과 되꺾음부(35b)의 선단(35b1)의 간격(d4)은, 한쌍의 돌기부(40)의 간격(d2)보다도 짧다. 따라서, 부착 상태로부터 케이스(20)를 떼낼 때, 케이스(20)의 돌기부(40)가, 돌출부(34a) 및 돌출부(34b)에 걸리지 않는다. 그 결과, 부착 금구(30)로부터 케이스(20)를 용이하게 떼낼 수 있다.
또한, 접속부(31)와 한쪽의 기립부(33a)의 교선(91a)과, 접속부(31)와 다른쪽의 기립부(33b)의 교선(91b)의 간격(d1)은, 한쌍의 돌기부(40)의 간격(d2)보다도 짧다. 또한, 한쪽의 돌출부(34a)와 한쪽의 되꺾음부(35a)의 교선(92a)과, 다른쪽의 돌출부(34b)와 다른쪽의 되꺾음부(35b)의 교선의 간격(d3)은, 한쌍의 돌기부(40)의 간격(d2)보다도 길다. 따라서, 부착 상태에 있어서, 걸어맞춤부(32a) 및 걸어맞춤부(32b)는 탄성 변형하여 한쌍의 돌기부(40)에 걸어맞춰진다.
또한, 걸어맞춤부(32)에는, 개구(38a) 및 개구(38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부(32)의 탄성력을 적정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부착 금구(30)에의 케이스(20)의 부착 및 부착 금구(30)로부터의 케이스(20)의 떼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31)에는, 절결(37a) 및 절결(37b)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대상물(W)에 복수의 부착 금구(30)를 배치할 때, 복수의 부착 금구(30)의 절결(37a) 및 절결(37b)을, 부착 대상물(W)의 기준선에 맞춤으로써, 복수의 부착 금구(30)를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30)의 상면도이다. 접속부(31)가, 관통공(36)을 2개 가지는 점을 제외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착 금구(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부착 금구(30)는 접속부(31)와, 걸어맞춤부(32a)와, 걸어맞춤부(32b)를 가진다. 접속부(31)에는, 관통공(36a) 및 관통공(36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6a) 및 관통공(36b)은 접속부(31)의 대각선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관통공(36a) 및 관통공(36b)에 나사를 삽입하고, 부착 금구(30)를 부착 대상물(W)에 부착했을 때, 접속부(31)가 부착 대상물(W)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천정면에 조명 기구(100)를 부착하는 경우 등과 같이, 조명 기구(100)의 무게가 부착 금구(30)에 걸리는 경우에, 접속부(3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부착 금구(30)를 부착 대상물(W)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추가 부착 금구(70)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부착 금구 세트(80)의 사시도이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가 부착 금구(70)는 제1 고정부(71)와, 제2 고정부(72)와, 보조 기립부(73)와, 경사부(74)를 가진다.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금구 세트(80)는 부착 금구(30)와 추가 부착 금구(70)를 가진다. 추가 부착 금구(70)는 금속의 판금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추가 부착 금구(70)는 부착 금구(30)를 부착 대상물(W)에 부착한다. 부착 금구(30)는 조명 기구(100)의 케이스(20)에 부착 가능하다.
제1 고정부(71)는, 예를 들면 평탄형상이다. 제1 고정부(71)를 평탄형상으로 함으로써, 추가 부착 금구(70)를 부착 대상물(W)의 표면에 부착했을 때에 추가 부착 금구(70) 및 그에 부착되는 조명 기구(100)의 자세가 안정되므로, 바람직하다. 제1 고정부(71)는 부착 대상물(W)에 고정 가능하다. 제1 고정부(71)에는, 관통공(77), 절결(78a) 및 절결(78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77)은 제1 고정부(71)의 중앙에 형성된다. 관통공(77)에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추가 부착 금구(70)는 부착 대상물(W)에 부착된다.
절결(78a) 및 절결(78b)은 제1 고정부(71)의 단부에 배치된다. 절결(78a) 및 절결(78b)은 대향하여 배치된다. 부착 대상물(W)에 복수의 추가 부착 금구(70)를 배치할 때, 복수의 추가 부착 금구(70)의 절결(78a) 및 절결(78b)을, 부착 대상물(W)의 기준선에 맞춤으로써, 복수의 추가 부착 금구(70)를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제2 고정부(72)는 예를 들면 평탄형상이다. 제2 고정부(72)를 평탄형상으로 함으로써, 추가 부착 금구(70)를 부착 대상물(W)의 표면에 부착했을 때에 추가 부착 금구(70) 및 그곳에 부착되는 조명 기구(100)의 자세가 안정되므로, 바람직하다. 제2 고정부(72)는 부착 대상물(W)에 고정 가능하다. 제2 고정부(72)는 나사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을 형성해도 된다. 보조 기립부(73)는 제2 고정부(72)로부터 기립한다. 제2 고정부(72)와 보조 기립부(73)는 대략 직교한다.
경사부(74)는 제1 고정부(71) 및 보조 기립부(73)와 접속한다. 경사부(74)는 제1 고정부(7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1 고정부(71)에 대한 경사부(74)의 각도는, 예를 들면 45도이다. 경사부(74)에는 관통공(75)이 형성되어 있다.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금구(30)의 관통공(36)과, 추가 부착 금구(70)의 관통공(75)에 나사(63)를 삽입함으로써, 부착 금구(30)는 경사부(74)에 부착된다.
경사부(74)는 돌기(76a) 및 돌기(76b)를 가진다. 부착 금구(30)를 추가 부착 금구(70)에 부착했을 때, 돌기(76a)는 부착 금구(30)의 끼워맞춤 구멍(39a)에 끼워맞춰진다. 또한, 부착 금구(30)를 추가 부착 금구(70)에 부착했을 때, 돌기(76b)는 부착 금구(30)의 끼워맞춤 구멍(39b)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부착 금구(30)가 추가 부착 금구(70)에 대하여 나사(63)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금구(30)의 접속부(31)가 돌기(76a) 및 돌기(76b)를 가지고, 추가 부착 금구(70)의 경사부(74)가 끼워맞춤 구멍(39a) 및 끼워맞춤 구멍(39b)을 가지도록 해도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00)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가 부착 금구(70)가 경사부(74)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조명 기구(100)의 케이스(20)를 부착 금구(30)에 부착했을 때, 케이스(20)는 부착 대상물(W)에 대하여, 조명 기구(100)를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74)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부착 대상물(W)에 대한 조명 기구(10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하는 각도도 조명 기구(100)의 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
조명 기구(100)의 부착 대상물(W)에의 부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추가 부착 금구(70)에 부착 금구(30)를 부착한다. 부착 금구(30)는 나사(63)와 너트(64)에 의해서 부착된다. 그리고, 부착 금구(30)가 부착된 추가 부착 금구(70)(즉, 부착 금구 세트(80))를, 부착 대상물(W)의 임의의 위치에 나사로 고정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착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케이스(20)를 부착 금구 세트(80)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명 기구(100)는 부착 대상물(W)에 부착된다. 또한, 부착 금구(30)는 나사(63)만을 사용하여 추가 부착 금구(70)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 도면(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다. 단,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양태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면, 하기에 나타내는 (1)~(7)). 도면은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구성 요소를 주체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형편상 실제와는 상이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각 구성 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일예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으로서 LED 소자(82)를 이용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원으로서 형광등 또는 형광등형의 LED 광원을 이용해도 된다.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 금구(30)의 접속부(31)에는 관통공(36)이 1개, 또는 2개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착 금구(30)의 접속부(31)에는 관통공(36)이 3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부착 금구(30)의 접속부(31)의 4귀퉁이에 4개의 관통공(36)이 형성되어도 된다.
(3)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 금구(30)의 걸어맞춤부(32a 및 32b)에는 개구(38a 및 38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착 금구(30)의 걸어맞춤부(32a 및 32b)에는 개구(38a 및 38b)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4)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 접속부(31)의 개구(38a 및 38b)와 끼워맞춤 구멍(39a 및 39b)은 연결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38a 및 38b)와 끼워맞춤 구멍(39a 및 39b)은 분리되어 있어도 된다.
(5)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 부착 금구(30)의 접속부(31)에는 절결(37a 및 37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착 금구(30)의 접속부(31)에는 절결(37a 및 37b)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6)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 접속부(31)는 평탄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속부(31)는 요철을 가지는 형상이어도 된다.
(7) 도 7~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고정부(71) 및 제2 고정부(72)는 평탄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고정부(71) 및 제2 고정부(72)는 요철을 가지는 형상이어도 된다.
10 : 광원부 20 : 케이스
29 : 내주면 30 : 부착 금구
31 : 접속부 32, 32a, 32b : 걸어맞춤부
33a, 33b : 기립부 34a, 34b : 돌출부
35, 35a, 35b : 되꺾음부 36, 36a, 36b : 관통공
37, 37a, 37b : 절결 38, 38a, 38b : 개구
39, 39a, 39b : 끼워맞춤 구멍 40 : 돌기부
70 : 추가 부착 금구 71 : 제1 고정부
72 : 제2 고정부 73 : 보조 기립부
74 : 경사부 75 : 관통공
76a : 돌기 76b : 돌기
80 : 부착 금구 세트 91a, 91b, 92a, 92b : 교선
100 : 조명 기구 W : 부착 대상물

Claims (12)

  1.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유지하고, 내주면에 한쌍의 돌기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금구는,
    탄성 변형 가능한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 금구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를 상기 부착 금구로부터 이탈할 때,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는 상기 한쌍의 돌기부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하고,
    상기 접속부에는 적어도 1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은 대각선 상에 배치되는 한쌍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조명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의 각각은,
    상기 접속부로부터 기립하는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와 접속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접속하는 되꺾음부를 가지고,
    한쌍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기립부로부터 상기 되꺾음부를 향해서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상기 되꺾음부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가 상기 부착 금구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되꺾음부는 상기 돌기부에 접촉하는, 조명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와 한쪽의 상기 기립부의 교선과, 상기 접속부와 다른쪽의 상기 기립부의 교선의 간격은, 상기 한쌍의 돌기부의 간격보다도 짧고,
    한쪽의 상기 돌출부와 한쪽의 상기 되꺾음부의 교선과, 다른쪽의 상기 돌출부와 다른쪽의 상기 되꺾음부의 교선의 간격은, 상기 한쌍의 돌기부의 간격보다도 긴, 조명 기구.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조명 기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 기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부착 금구를 상기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는 추가 부착 금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추가 부착 금구는,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제1 고정부와,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기립하는 보조 기립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보조 기립부와 접속하여,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부착 금구는, 상기 경사부에 부착되는, 조명 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추가 부착 금구의 상기 경사부는, 적어도 1개의 돌기를 가지고,
    상기 부착 금구의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돌기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구멍을 가지는, 조명 기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금구의 상기 접속부는, 적어도 1개의 돌기를 가지고,
    상기 추가 부착 금구의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돌기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구멍을 가지는, 조명 기구.
  11. 내주면에 한쌍의 돌기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가지는 조명 기구를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는 부착 금구로서,
    탄성 변형 가능한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할 때,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돌기부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하고,
    상기 접속부에는 적어도 1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은 대각선 상에 배치되는 한쌍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부착 금구.
  12. 내주면에 한쌍의 돌기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가지는 조명 기구를 부착 대상물에 부착하는 부착 금구 세트로서,
    부착 금구와, 추가 부착 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금구는,
    탄성 변형 가능한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상기 한쌍의 걸어맞춤부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추가 부착 금구는,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제1 고정부와,
    상기 부착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기립하는 보조 기립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보조 기립부와 접속하고,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 금구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고,
    상기 케이스를 상기 부착 금구로부터 이탈할 때,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돌기부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하고,
    상기 부착 금구는, 상기 경사부에 부착되는, 부착 금구 세트.
KR1020160041772A 2015-04-30 2016-04-05 조명 기구, 부착 금구 및 부착 금구 세트 KR102462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3130 2015-04-30
JP2015093130A JP6529816B2 (ja) 2015-04-30 2015-04-30 照明器具、取付金具および取付金具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720A KR20160129720A (ko) 2016-11-09
KR102462714B1 true KR102462714B1 (ko) 2022-11-04

Family

ID=5707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772A KR102462714B1 (ko) 2015-04-30 2016-04-05 조명 기구, 부착 금구 및 부착 금구 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29816B2 (ko)
KR (1) KR102462714B1 (ko)
CN (1) CN20564034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4442B2 (ja) * 2018-08-07 2022-02-04 株式会社遠藤照明 照明器具
JP7316348B2 (ja) * 2019-03-01 2023-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の取付具、および光源ユニット
KR102435594B1 (ko) * 2020-04-16 2022-08-24 김태훈 연결형 조명기구의 천장부착장치
KR102583373B1 (ko) * 2021-07-30 2023-09-26 이병훈 등기구 마운팅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590A (ja) 2006-07-18 2008-02-07 Mirai Ind Co Ltd 照明器具取付け用絶縁台座、及び壁面に照明器具を設定傾斜角度で取付ける方法
US20140301091A1 (en) 2011-10-31 2014-10-09 Anders Rensmo Means for selective mounting of an illuminated or a translucent objec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86674U (ko) * 1972-01-24 1973-10-20
JPH0587732U (ja) * 1992-05-01 1993-11-26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KR950023888A (ko) * 1994-01-25 1995-08-18 이명준 등가구 장착장치
JP4947010B2 (ja) 2008-08-21 2012-06-06 豊田合成株式会社 線状照明装置
KR200471833Y1 (ko) * 2012-08-17 2014-03-17 최병석 조명등기구 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590A (ja) 2006-07-18 2008-02-07 Mirai Ind Co Ltd 照明器具取付け用絶縁台座、及び壁面に照明器具を設定傾斜角度で取付ける方法
US20140301091A1 (en) 2011-10-31 2014-10-09 Anders Rensmo Means for selective mounting of an illuminated or a translucent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720A (ko) 2016-11-09
JP2016212993A (ja) 2016-12-15
JP6529816B2 (ja) 2019-06-12
CN205640349U (zh)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714B1 (ko) 조명 기구, 부착 금구 및 부착 금구 세트
US9803825B2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headlight
US9976712B2 (en) Lamp for use in a lighting strip system and lighting strip system
JP5572256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6726898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の取付方法
JP2014199810A (ja) 直管形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6529815B2 (ja) 照明器具および取付金具
JP2014112490A (ja) 照明器具
CN105987299B (zh) 一种照明装置
KR20150090549A (ko) 직관형 led 램프
KR200483716Y1 (ko) Led 모듈 장착장치
JP6750938B2 (ja) 照明装置及び光源ユニット
KR20170072845A (ko) 평판형 등기구
KR20120049070A (ko) Led 조명 장치의 체결 구조
KR102035550B1 (ko) 설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등
KR20160059923A (ko) 엘이디 조명장치의 빛 확산판 고정장치
JP6695138B2 (ja) 照明装置及び光源ユニット
WO2019210150A1 (en) Clamping bracket for a driver of a lighting fixture
JP6682242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6406595B2 (ja) 照明システム
JP7382734B2 (ja) 照明器具
JP6699118B2 (ja) 照明器具
JP3193450U (ja) 長尺led照明器具用取付具
JP6902823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KR200479469Y1 (ko) 확장이 용이한 멀티 구조 엘이디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