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647B1 -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 - Google Patents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647B1
KR102462647B1 KR1020200135903A KR20200135903A KR102462647B1 KR 102462647 B1 KR102462647 B1 KR 102462647B1 KR 1020200135903 A KR1020200135903 A KR 1020200135903A KR 20200135903 A KR20200135903 A KR 20200135903A KR 102462647 B1 KR102462647 B1 KR 102462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mposition
mask sheet
weigh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037A (ko
Inventor
박천진
구자윤
신병모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6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부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마스트 시트에 관한 것으로, 피부 탄력을 개선하고 모공 축소 효과를 갖으며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는 등 제형의 안정도 및 사용감이 우수한 이점을 갖는 마스크 시트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Mask sheet for improving skin elasticity and for whitening}
본 발명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모공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내부의 수분 및 유용성분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장벽기능, 체온조절 및 배설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는 콜라겐은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등으로 피부의 구성 성분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러한 콜라겐은 스트레스, 고령화 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하여 감소되어, 피부 조직이 느슨해지며 탄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피부는 피부의 세포 기능이 저하되어 신진대사 작용이 원활하지 못하여, 각질 탈락이 잘 일어나지 않아 각질이 과하게 축적된 상태에서 자외선을 받으면 탄력이 저하되어 주름의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표피에 피지막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수분과 피지분비가 감소하고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피하지방에서 생성된 산소 라디칼이 세포막과 세포핵을 파괴하여 혈액순환을 저하시킴으로써 피부의 영양과 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노화가 촉진된다.
이렇게 피부가 처지고 각질이 남아있으면 피부가 칙칙해 보이므로 최근에는 피부 탄력을 회복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마스크 팩으로 제품화하여 쉽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팩 제품은 화장품 분야에서 손으로 바를 필요 없이 외부의 건조한 환경 및 미세한 자극으로부터 얼굴 또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시트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되는 시트 (Sheet) 타입의 마스크는 크게 3가지 타입으로 분류된다. 첫째는, 코튼이나 펄프타입의 식물 셀룰로오스섬유나 나일론 또는 아크릴과 같은 합성 섬유로 만든 부직포를 화장품용 에센스에 함침시킨 마스크 모양이 지지체로 사용된다. 둘째는, 천연 아가(agar)나, 카라기난, 로거비스트검과 같은 천연 다당체로 만든 하이드로겔 타입의 마스크가 사용된다. 셋째는, 미생물 배양을 통해 만들어진 바이오셀룰로오스 (Biocellulose)를 이용하여 화장품용 에센스에 함침시켜 마스크 모양의 지지체로 사용된다.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부직포를 화장품용 에센스에 함침시킨 형태이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개발이 가능하고, 다양한 에센스 및 부직포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셀룰로오스계 또는 셀룰로오스계 원사를 함유한 부직포에 화장료를 함침한 형태인 마스크 시트는 간편하게 부착하고 떼어내는 과정을 통해,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고 효능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습, 진정, 미백 및 모공 개선 등의 다양한 효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스크 팩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는 머드, 황토, 알로에, 오이, 천연 과일, 알부민 등 여러 원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알부민은 모공 축소 또는 피부 톤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기존에는 난백 성분인 알부민을 이용하여 모공 축소 및 미백용 화장료로 사용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알부민 (난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일반적으로 파우더를 물에 분산시켜서 사용하거나 도포 후 굳혀 씻어내거나 떼어내는 마스크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의 마스크는 부직포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또는 액제를 의미한다. 알부민을 포함한 화장료를 마스크 시트에 함침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알부민 성분은 모공 축소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으나 동시에 수분 공급에 어려움이 있어서 건조한 사용감을 줄 수 있으며 보습 효과를 방해하는 등 마스크 시트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알부민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용 액제 화장료는 제형의 안정도가 불안정하여 고함량의 알부민을 함유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안정한 제형도 유지 및 사용감이 우수한 알부민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이다.
본 발명자들은 제형의 안정도 및 사용감이 우수하면서 피부 탄력을 개선하고 모공 축소 효과를 갖으며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는 마스크 시트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사용감이 우수하면서 피부 탄력 개선, 모공 축소 및 피부 미백의 효과가 뛰어난 마스크 시트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부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마스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부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제형의 안정도 및 사용감이 우수하면서 피부 탄력을 개선하고 모공 축소 효과를 갖으며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는 마스크 시트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알부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마스크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탄력 개선, 모공 축소 및 피부 미백의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알부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상 용어 "마스크 시트"는 상기 부직포 및 이를 함침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의 세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는 0.010 내지 10.000 %, 0.010 내지 10.000 %, 0.010 내지 8.000 %, 0.010 내지 6.000 %, 0.010 내지 4.000 %, 0.010 내지 2.000 %, 0.010 내지 1.500 %, 0.100 내지 10.000 %, 0.100 내지 8.000 %, 0.100 내지 6.000 %, 0.100 내지 4.000 %, 0.100 내지 2.000 %, 0.100 내지 1.500 %, 0.500 내지 10.000 %, 0.500 내지 8.000 %, 0.500 내지 6.000 %, 0.5000 내지 4.000 %, 0.5000 내지 2.000 %, 예를 들어, 0.500 내지 1.500 %, 예를 들어, 1.000 % 의 알부민 용액에 함침 및 건조시킨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나일론 및 이들의 혼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제는 글리세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 글라이콜, 다이글리세린, 글루코오스, 클로렐라 불가리스추출물, 프룩토오스,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아세틸글루코사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 및 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제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1.000 내지30.000 중량%, 1.000 내지 25.000 중량%, 1.000 내지 20.000 중량%, 1.000 내지 15.000 중량%, 1.000 내지 13.000 중량%, 1.000 내지 10.000 중량%, 5.000 내지 30.000 중량%, 5.000 내지 25.000 중량%, 5.000 내지 20.000 중량%, 5.000 내지 15.000 중량%, 5.000 내지 13.000 중량%, 5.000 내지 10.000 중량%, 7.000 내지 30.000 중량%, 7.000 내지 25.000 중량%, 7.000 내지 20.000 중량%, 7.000 내지 15.000 중량%, 7.000 내지 13.000 중량%, 7.000 내지 10.000 중량%, 예를 들어, 10.00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조성물 준비 단계;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를 알부민 용액에 함침 시키는 부직포 제1 함침 단계; 및
상기 부직포를 화장료 조성물에 함침 시키는 부직포 제2 함침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준비 단계는 화장료 조성물로 글리세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 글라이콜, 다이글리세린, 글루코오스, 클로렐라 불가리스추출물, 프룩토오스,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아세틸글루코사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 및 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보습제가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준비 단계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보습제가 1.000 내지 30.000 중량%, 1.000 내지 25.000 중량%, 1.000 내지 20.000 중량%, 1.000 내지 15.000 중량%, 1.000 내지 13.000 중량%, 1.000 내지 10.000 중량%, 5.000 내지 30.000 중량%, 5.000 내지 25.000 중량%, 5.000 내지 20.000 중량%, 5.000 내지 15.000 중량%, 5.000 내지 13.000 중량%, 5.000 내지 10.000 중량%, 7.000 내지 30.000 중량%, 7.000 내지 25.000 중량%, 7.000 내지 20.000 중량%, 7.000 내지 15.000 중량%, 7.000 내지 13.000 중량%, 7.000 내지 10.000 중량%, 예를 들어, 10.00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준비 단계는 15 내지 30 ℃, 15 내지 25 ℃, 20 내지 30 ℃, 20 내지 25 ℃, 예를 들어, 25 ℃에서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준비 단계는 3000 내지 5000 rpm, 3000 내지 4500 rpm, 3000 내지 4000 rpm, 3500 내지 5000 rpm, 3500 내지 4500 rpm, 3500 내지 4000 rpm, 예를 들어, 4000 rpm에서 조성물을 혼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나일론 및 이들의 혼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직포 제1 함침 단계는 부직포를 알부민 용액에 함침 후 부직포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부민 용액은 알부민이 0.010 내지 10.000 중량%, 0.010 내지 8.000 중량%, 0.010 내지 6.000 중량%, 0.010 내지 4.000 중량%, 0.010 내지 2.000 중량%, 0.010 내지 1.500 중량%, 0.100 내지 10.000 중량%, 0.100 내지 8.000 중량%, 0.100 내지 6.000 중량%, 0.100 내지 4.000 중량%, 0.100 내지 2.000 중량%, 0.100 내지 1.500 중량%, 0.500 내지 10.000 중량%, 0.500 내지 8.000 중량%, 0.500 내지 6.000 중량%, 0.5000 내지 4.000 중량%, 0.5000 내지 2.000 중량%, 예를 들어, 0.500 내지 1.500 중량%, 예를 들어, 1.00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시트와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알부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마스크 시트에 관한 것으로, 피부 탄력을 개선하고 모공 축소 효과를 갖으며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는 등 제형의 안정도 및 사용감이 우수한 이점을 갖는 마스크 시트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시트 1 및 2의 사용 2주 후 모공개선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시트 1 및 2의 사용 2주 후 모공 증감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시트 1 및 2의 사용 2주 후 모공 크기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시트 1 및 2의 사용 전과 후의 피부 밝기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시트 1 및 2를 부착 후 시간에 따른 피부 수분도 (A.U)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시트 1 및 2를 부착 후 시간에 따른 피부 수분도 (%)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알부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알부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번호 구성 성분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조성물 4 조성물 5
1 화이트닝제 알부민 - 0.500 1.000 5.000 10.000
2 보습제 다이글리세린 3.000 3.000 3.000 3.000 3.000
3 보습제 글루코오스 0.400 0.400 0.400 0.400 0.400
4 보습제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0.300 0.300 0.300 0.300 0.300
5 보습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3.000 3.000 3.000 3.000 3.000
6 보습제 프로판다이올 2.000 2.000 2.000 2.000 2.000
7 보습제 글리세린 1.000 1.000 1.000 1.000 1.000
8 산화 방지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1 0.300 0.300 0.300 0.300 0.300
9 점증제 카보머 0.250 0.250 0.250 0.250 0.250
10 탄화수소계 오일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200 0.200 0.200 0.200 0.200
11 pH 조절제 트로메타민 0.105 0.105 0.105 0.105 0.105
12 피부 컨디셔닝제 알란토인 0.100 0.100 0.100 0.100 0.100
13 피부 컨디셔닝제 아데노신 0.040 0.040 0.040 0.040 0.040
14 피부컨디셔닝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210 0.210 0.210 0.210 0.210
15 피부컨디셔닝제 클로렐라 불가리스추출물 0.100 0.100 0.100 0.100 0.100
16 피부컨디셔닝제 아세틸글루코사민 0.200 0.200 0.200 0.200 0.200
17 금속이온봉쇄제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10 0.010 0.010 0.010 0.010
18 용제 정제수 88.785 88.285 87.785 83.785 78.785
총합 (중량%) 1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상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을 함량에 따라 비이커에 계량한 후 25 ℃의 온도에서 호모 믹서 (Homemixer)를 이용하여 4000 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후, 기포를 제거하고 냉각하여 알부민을 포함하는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평가
제조예를 통해 제조한 조성물 1 내지 5의 제형의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액체 화장료 조성물을 100 mL 바이알 (vial)에 소분한 후, 25 ℃에서 일주일 간 보관한 후 제형의 안정도를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제조 즉시 기준 Spec의 표준과 유사; ◎
제조 즉시 기준 Spec 내 포함; ○
제조 즉시 기준 Spec에서 벗어나지만 그 차이가 심하지 않음; △
제조 즉시와 일주일 보관 샘플의 차이가 심함; X
평가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조성물 4 조성물 5
외관 X X
pH
향취 X X
점도 X X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알부민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 1은 외관, pH, 향취 및 점도에서 모두 표준과 유사한 평가를 나타내었다.
반면,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알부민을 0.50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2는 외관 및 pH에서는 표준과 유사 또는 포함되는 범위값을 나타내었으나, 향취 및 점도는 표준을 벗어난 결과를 나타내었다.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알부민을 1.00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3도 외관, 향취 및 점도에는 표준에서 벗어났으며, pH만 표준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알부민을 5.00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4와 10.00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5는 pH를 제외한 외관, 향취 및 점도에서 제조 즉시와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하여, 고함량의 알부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조성물 4 및 조성물 5)은 마스크 시트 침적이 어려워 사용이 힘들며, 침적을 하더라도 향취와 외관에서 안좋은 평가를 받아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저함량의 알부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조성물 2)은 침적이 가능하고 향취 이슈가 없는 제형의 개발은 가능하지만, 효능 원료인 알부민 함량을 최소한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사용감 및 효과를 고려하였을 때 마스크 시트에 알부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 하는 방법 보다는 알부민 용액에 함침 한 후 건조하여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실험예 2. 알부민 용액에 함침 및 건조된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의 제조 및 제조한 부직포를 화장료 조성물에 함침 후 사용감 평가
알부민을 포함하지 않는 정제수 및; 알부민을 0.010, 0.100, 1.000, 5.000 및 10.000 중량% 포함하는 알부민 용액을 제조하였다.
얼굴 모양의 100 % 셀룰로오스 혼방 부직포를 상기 알부민 용액에 함침 한 후 건조시켰다.
제조한 부직포에 알부민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1을 함침하여 표 3과 같은 시트 1 내지 6을 제조한 후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마스크 시트 시트 1 시트 2 시트 3 시트 4 시트 5 시트 6
1차 함침 용액 알부민 1.000 중량% - 알부민 0.010 중량% 알부민 0.100 중량% 알부민 5.000 중량% 알부민 10.000 중량%
2차 함침 용액 조성물 1 조성물 1 조성물 1 조성물 1 조성물 1 조성물 1
구체적으로, 25 내지 35세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마스크 시트를 부착 시 밀착성, 리프팅, 향취 및 전반적인 만족도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9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7-8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4-6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3명 이하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X
시트 1 시트 2 시트 3 시트 4 시트 5 시트 6
부착성 X X
리프팅 효과 X X
향취 X X
전반적인 사용감 X X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에 함침한 알부민 용액의 농도에 따라 마스크 시트의 부착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 1의 경우 리프팅 효과에서는 보통을 나타내었으나, 나머지 부착성, 향취 및 전반적인 사용감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시트 4도 리프팅 효과에서는 보통을 나타내었으나, 나머지 부착성, 향취 및 전반적인 사용감에서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반면, 시트 2 및 3은 부착성, 향취 및 전반적인 사용감에서는 뛰어났으나 리프팅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시트 5 및 6의 경우 리프팅은 보통을 나타내었으나 부착성, 향취 및 전반적인 사용감에 있어서는 모두 좋지 않은 평가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1.000 % 알부민 수용액에 함침한 후 건조된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인 부직포 1에 알부민을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 1을 함침하여 제조한 시트 1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제조한 마스크 시트의 피부 모공 개선도 평가
마스크 시트의 피부 모공 개선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 나이 29.9세 성인 10명을 A 및 B의 2개 군으로 나누어 피부의 모공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우선, A군은 시트 1을 부착하였고, B군은 시트 2를 부착하였다. A 및 B 그룹 모두 2주간 주 3회 마스크 시트를 부착하였고, 매 사용시마다 안면부에 15분간 부착 적용한 후, 제거 후에는 남은 내용물은 잘 두드려 충분히 흡수시키는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공 크기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시작 전 Antera 3D (miravex, UK)으로 모공의 면적을 측정하였고, 2주 후 다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5, 6 및 도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면적 (mm2) 시트 1 시트 2
0주 29.005 27.470
2주 22.636 27.804
증감율 (%) 시트 1 시트 2
2주후 -20.8 8.3
측정 결과, 시트 1 부착 시 모공 면적 증감율이 20.8% 감소하였다. 반면, 시트 2 부착 시 모공 면적은 8.3 %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1% 알부민 용액에 함침한 시트 1이 알부민이 포함되지 않은 시트 2보다 모공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피부 밝기 개선도 평가
알부민 처리에 따른 피부 모공 개선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 나이 29.9세 성인 5명에 시트 1을 부착하여 피부 밝기 개선의 전과 후를 평가하였다. 피실험자는 2주간 주 3회 마스크 시트를 부착하였고, 매 사용시 안면부에 15분간 적용한 후, 마스크 시트 제거 후 남은 내용물은 잘 두드려 충분히 흡수시키는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광측색계(Spectrophotometer(CM-2600d)(KONIKA MINOLTA,Japan))를 이용하여 피부 밝기 개선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 도포 전에 시험 부위 (광대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의 밝기를 측정하고, 제품 사용 2주 후 동일 부위의 밝기를 측정하여 표 7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피부 밝기 (A.U) 사용 전 사용 후
시트 1 62.8 63.9
측정 결과, 시트 1의 사용전에는 피부 밝기가 62.8 A.U으로 측정되었으나, 사용 후에는 63.9 A.U로 피부 밝기가 측정 전보다 약 1.8 %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수분 측정기를 이용한 보습력 평가
피부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여 5명 (평균연령 27.6세)에 시트 1 및 시트 2를 2 cm X 2 cm으로 잘라 하박내측 (2 cm X 2 cm)에 고루 펴발라 15분간 부착 후 수분 측정을 진행하였다.
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Germany)기기를 이용하여, 2, 4 및 8시간 후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8, 9 및 도 5, 6에 나타내었다.
피부 수분도 (A.U)/시간(분) 0 0.5 2 4 8
무도포 30.4 30.2 31.5 30.9 31.1
시트 1 24.6 73.8 37.4 37.4 36.3
시트 2 26.5 75.8 38.2 36.7 38.2
피부 수분도 (%)/ 시간(분) 0 0.5 2 4 8
무도포 100.0 100.7 104.8 102.8 102.7
시트 1 100.0 304.1 154.5 153.3 149.2
시트 2 100.0 293.9 147.3 140.1 145.0
측정 결과, 무도포 했을 때 보다 시트 1 및 2에서 모두 높은 수분도를 나타내었으며, 피부 수분도가 증가한 상태로 8시간 동안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마스크 시트 부착 직후에는 시트 1을 부착하였을 때가 시트 2를 부착하였을 때보다 높은 수분도를 나타내었고, 마스크 시트 부착 후 2시간부터 8시간까지 두 제품간의 피부 수분도는 큰 차이가 없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시트 1은 기존의 알부민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에서 느껴지는 건조한 사용감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보습 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의 제조 방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조성물 준비 단계;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를 0.5 내지 1.0 중량%의 알부민 용액에 함침 시키는 부직포 제1 함침 단계;
    알부민 용액에 함침된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를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및
    상기 부직포를 화장료 조성물에 함침 시키는 부직포 제2 함침 단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준비 단계는 화장료 조성물로 글리세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 글라이콜, 다이글리세린, 글루코오스, 클로렐라 불가리스추출물, 프룩토오스,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아세틸글루코사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 및 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보습제가 포함된 것인,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준비 단계는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보습제가 1.000 내지 30.000 중량% 포함된 것인,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시트용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나일론 및 이들의 혼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제조 방법.
  10. 삭제
KR1020200135903A 2020-10-20 2020-10-20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 KR10246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03A KR102462647B1 (ko) 2020-10-20 2020-10-20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03A KR102462647B1 (ko) 2020-10-20 2020-10-20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037A KR20220052037A (ko) 2022-04-27
KR102462647B1 true KR102462647B1 (ko) 2022-11-04

Family

ID=8139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903A KR102462647B1 (ko) 2020-10-20 2020-10-20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6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256A (ko) * 2016-03-21 2017-09-29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제품설명, https://blog.naver.com/agata06/222035836156, 2020.7.20.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037A (ko)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903B1 (ko) 병풀 추출물, 티모사포닌, 히아루론산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2426B1 (ko) 다공성 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KR20170103172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0693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3845B1 (ko) 천연물 유래의 피부개선용 화장조성물
KR101796462B1 (ko) 아데노신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105453A (zh) 一种具有抗菌、消炎和修复功能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1981696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WO2018074642A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5037B1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20743B1 (ko) 토타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JP2005330285A (ja) 皮膚保湿用化粧料組成物
CN112999105A (zh) 一种高保湿的精华水及其制备方法
KR102462647B1 (ko)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
KR20110052095A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7972B1 (ko)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천연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5085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25648B1 (ko)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패치
KR20110013000A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4167B1 (ko) 봉독(벌독)을 포함하는 피부온도 감응성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1947062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3498A (ko) 타나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9971A (ko)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JP2003055138A (ja) プロポリス含有シート状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