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999B1 - 돌출부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돌출부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999B1
KR102461999B1 KR1020200079753A KR20200079753A KR102461999B1 KR 102461999 B1 KR102461999 B1 KR 102461999B1 KR 1020200079753 A KR1020200079753 A KR 1020200079753A KR 20200079753 A KR20200079753 A KR 20200079753A KR 102461999 B1 KR102461999 B1 KR 102461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rotrusion
coupling
plat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587A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우 filed Critical 박진우
Priority to KR102020007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9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9/00Hand-held metal-shearing or metal-cutting devices
    • B23D29/002Hand-held metal-shearing or metal-cutting devices for cutting wir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38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 B21J15/50Removing or cutting devices for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1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23D15/1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actuated by fluid or gas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결합홈(10a)이 형성되고, 중앙에 슬로트 홀(10b)이 형성된 한 쌍의 바디부(10), 일측에 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홀(11a)이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격되게 2개가 관통 형성되고, 하면 중앙에 홈부(11c)가 함몰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11),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 및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한 쌍의 결합축(12), 상면 및 하면에 상기 홈부(11c)에 대응하는 돌출부재(13a)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 직육면체 형상의 접촉 홈부(13b)가 함몰 형성된 메인축(13), 일측에 상기 결합홈(10a)에 대응하는 ㄷ자 모양의 돌기(14a)가 형성되고, 타측에 돌출부(40a)를 절단하기 위한 V자 형상의 절단날(14b)이 형성된 한 쌍의 인서트(14), 일측에 상기 돌출부(40a)의 일측을 길이 방향으로 삽입시키는 원형 단면을 갖는 삽입홀(15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가이드(15), 일측에 원통 형상의 한 쌍의 롤러(20a)가 형성되고, 타측에 핸드 유압 장치의 일측에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사각바(20c)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푸시 암(20) 및 일측에 원통 형상의 헤드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1a)의 하단에 원통 형상의 몸체부(21b)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삽입축(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돌출부 절단 장치{projection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돌출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 유압 장치의 작동으로 돌출부의 방향으로 한 쌍의 롤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한 쌍의 롤러가 돌출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각 대응하는 굴곡부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고, 한 쌍의 절단날이 지렛대의 원리로 각각 대응되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절단력이 증폭되어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각각 돌출부의 타측을 단단히 깨물어 절단하는 돌출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회동하는 그라인더를 수직으로 세워서 공작물 및 돌출부의 연결부에 위치시킨 후, 돌출부를 절단하거나, 수동 공구를 이용하여, 돌출부를 중력 방향으로 타격함으로써, 돌출부를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회동하는 그라인더 또는 수동 공구를 이용하여 돌출부를 절단하는 경우, 돌출부가 한 번에 절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작물에 인접한 돌출부의 말단이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고, 공작물에 남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단되지 않은 돌출부의 말단을 회동하는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경우, 인력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고속 회동하는 그라인더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동하는 그라인더 또는 수동 공구를 이용하여 돌출부를 절단하는 경우, 돌출부의 절단면이 부드럽지 않고, 거칠 뿐만 아니라, 돌출부에 인접한 공작물까지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958937 B1 KR 10-1014489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 핸드 유압 장치의 작동으로 돌출부의 방향으로 한 쌍의 롤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한 쌍의 롤러가 돌출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각 대응하는 굴곡부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고, 한 쌍의 절단날이 지렛대의 원리로 각각 대응되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절단력이 증폭되어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각각 돌출부의 타측을 단단히 깨물어 절단하는 돌출부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는 일측에 결합홈(10a)이 형성되고, 중앙에 슬로트 홀(10b)이 형성된 한 쌍의 바디부(10), 일측에 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홀(11a)이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격되게 2개가 관통 형성되고, 하면 중앙에 홈부(11c)가 함몰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11),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 및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한 쌍의 결합축(12), 상면 및 하면에 상기 홈부(11c)에 대응하는 돌출부재(13a)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 직육면체 형상의 접촉 홈부(13b)가 함몰 형성된 메인축(13), 일측에 상기 결합홈(10a)에 대응하는 ㄷ자 모양의 돌기(14a)가 형성되고, 타측에 돌출부(40a)를 절단하기 위한 V자 형상의 절단날(14b)이 형성된 한 쌍의 인서트(14), 일측에 상기 돌출부(40a)의 일측을 길이 방향으로 삽입시키는 원형 단면을 갖는 삽입홀(15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가이드(15), 일측에 원통 형상의 한 쌍의 롤러(20a)가 형성되고, 타측에 핸드 유압 장치의 일측에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사각바(20c)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푸시 암(20) 및 일측에 원통 형상의 헤드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하단에 원통 형상의 몸체부(21b)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삽입축(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축(12)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 사이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슬로트 홀(10b) 및 결합홀(11a)에 관통 삽입된 후, 2개의 멈춤링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는 중앙에 오목하고, 굴곡진 형상을 갖는 굴곡홈(10c)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축(13)은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 사이에 배치되어, 외측이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에 각각 형성된 굴곡홈(10c)에 면접촉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는 타측에 원형 단면을 갖는 제1 관통홀(11b)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 암(20)은 일측에 상기 제1 관통홀(11b)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의 원형 단면을 갖는 제2 관통홀(20b)이 동일 축선 상에 소정의 거리를 갖고 이격되게 2개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축(21)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 사이에 배치된 상기 푸시 암(2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관통홀(11b) 및 제2 관통홀(20b)에 삽입된 후,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는 측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고 이격되게 2개의 제1 나사홀(10e)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인서트(14)는 측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고 이격되게 2개의 체결홀(14c)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14c)이 상기 제1 나사홀(10e)에 배치되어, 제1 육각구멍붙이 볼트로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에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축(13)은 내측에 상기 제2 나사홀(15b)에 대응하는 중공(13c)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15)는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제2 나사홀(15b)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나사홀(15b)이 상기 중공(13c)에 배치되고, 제2 육각구멍붙이 볼트로 상기 메인축(13)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는 타측에 완만하게 굴곡진 형상을 갖는 굴곡부(10d)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롤러(20a)는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롤러(20a)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돌출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각 대응되는 상기 굴곡부(10d)에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굴곡부(10d) 간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도록 각각 대응되는 상기 굴곡부(10d)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날(14b)은 상기 굴곡부(10d) 간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는 경우, 각각 대응되는 상기 결합축(12)을 중심으로 상기 돌출부(40a)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서로 근접하게 되고, 각각 돌출부(40a)의 타측을 단단히 깨물어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는 핸드 핸드 유압 장치의 작동으로 돌출부의 방향으로 한 쌍의 롤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한 쌍의 롤러가 돌출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각 대응하는 굴곡부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고, 한 쌍의 절단날이 지렛대의 원리로 각각 대응되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절단력이 증폭되어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각각 돌출부의 타측을 단단히 깨물어 한번에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는 절단날이 공작물의 벽면에 최대한 밀착됨으로써, 절단날과 공작물의 벽면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어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을 통해 돌출부의 타측을 절단할 수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절단날이 돌출부의 타측을 각각 선접촉하며 절단함으로써, 절단면이 거칠지 않고 부드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1)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1)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바디부(10), 메인축(13) 및 가이드(15)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바디부(10) 및 인서트(14)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바디부(10) 및 인서트(14)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푸시 암(20)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절단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1)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1)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바디부(10), 메인축(13) 및 가이드(15)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바디부(10) 및 인서트(14)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메인축(13) 및 가이드(15)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푸시 암(20)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절단 장치는 바디부(10), 플레이트(11), 결합축(12), 메인축(13), 인서트(14), 가이드(15), 푸시 암(20) 및 삽입축(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바디부(10)의 일측에는 결합홈(10a)이 형성되고, 바디부(10)의 중앙에는 슬로트 홀(10b)이 형성된다. 이때, 바디부(10)는 상하 대칭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1)의 일측에는 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홀(11a)이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격되게 2개가 관통 형성되고, 플레이트(11)의 하면 중앙에는 홈부(11c)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플레이트(11)는 바디부(10)의 전면 및 후면에 전후 대칭으로 한 쌍이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결합축(12)은 원통 형상을 갖고, 한 쌍의 플레이트(11) 및 한 쌍의 바디부(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결합축(12)은 한 쌍의 플레이트(11) 및 그 사이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에 각각 형성된 슬로트 홀(10b) 및 결합홀(11a)에 관통 삽입된 후, 2개의 멈춤링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축(13)의 상면 및 하면에는 플레이트(11)의 홈부(11c)에 대응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재(13a)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메인축(13)의 전면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접촉 홈부(13b)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메인축(13)은 한 쌍의 플레이트(11) 사이에 배치되고, 메인축(13)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재(13a)가 플레이트(11)의 하면에 형성된 홈부(11c)에 결합된다. 그리고, 메인축(13)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재(13a)는 다른 플레이트(11)의 하면에 형성된 홈부(11c)에 상하 대칭이 되도록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서트(14)의 일측에는 바디부(10)의 결합홈(10a)에 대응하는 ㄷ자 모양의 돌기(14a)가 형성되고, 인서트(14)의 타측에 돌출부(40a)를 절단하기 위한 V자 형상의 절단날(14b)이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15)는 원통 형상을 갖되, 가이드(15)의 일측에는 돌출부(40a)의 일측을 길이 방향으로 삽입시키는 원형 단면을 갖는 삽입홀(15a)이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푸시 암(20)의 일측에는 원통 형상의 한 쌍의 롤러(20a)가 형성되고, 푸시 암(20)의 타측에는 핸드 유압 장치의 일측에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사각바(20c)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푸시 암(20)의 한 쌍의 롤러(20a)는 핸드 유압 장치(30)의 작동에 의해 돌출부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삽입축(21)은 일측에 원통 형상의 헤드부(21a)가 형성되고, 헤드부(21a)의 하단에 원통 형상의 몸체부(21b)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삽입축(21)은 한 쌍의 플레이트(11) 및 푸시 암(20)을 결합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한 쌍의 바디부(10)는 중앙에 오목하고, 굴곡진 형상을 갖는 굴곡홈(10c)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축(13)은 한 쌍의 바디부(10) 사이에 배치되어, 메인축(13)의 외측이 한 쌍의 바디부(10)에 각각 형성된 굴곡홈(10c)에 면접촉하며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플레이트(11)의 타측에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제1 관통홀(11b)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푸시 암(20)의 일측에는 플레이트(11)의 제1 관통홀(11b)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의 원형 단면을 갖는 제2 관통홀(20b)이 동일 축선 상에 소정의 거리를 갖고 이격되게 2개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삽입축(21)은 한 쌍의 플레이트(11) 및 그 사이에 배치된 푸시 암(20)에 각각 형성된 제1 관통홀(11b) 및 제2 관통홀(20b)에 관통 삽입된 후, 고정 결합된다.
다음으로, 바디부(10) 및 인서트(14)의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바디부(10)는 측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고 이격되게 2개의 제1 나사홀(10e)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인서트(14)는 측면에는 소정의 거리를 갖고 이격되게 2개의 체결홀(14c)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인서트(14)의 체결홀(14c)을 바디부(10)의 제1 나사홀(10e)에 위치시킨 후, 제1 육각구멍붙이 볼트로 인서트(14)를 바디부(10)에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축(13) 및 가이드(15)의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축(13)의 내측에는 가이드(15)의 중심 축 방향으로 가이드(15)의 제2 나사홀(15b)에 대응하는 중공(13c)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15)의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2 나사홀(15b)이 형성된다.
가이드(15)의 제2 나사홀(15b)을 메인축(13)의 중공(13c)에 위치시킨 후, 제2 육각구멍붙이 볼트를 이용하여 가이드(15)를 메인축(13)의 전면에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디부(10) 및 푸시 암(20)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바디부(10)의 타측에는 완만하게 굴곡진 형상을 갖는 굴곡부(10d)가 형성된다.
그리고, 푸시 암(20)의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롤러(20a)는 돌출부의 방향으로 롤러(20a)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돌출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각 대응되는 굴곡부(10d)에 면접촉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롤러(20a)는 굴곡부(10d) 간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도록 각각 대응되는 굴곡부(10d)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굴곡부(10d) 간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는 경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절단날(14b)은 각각 대응되는 결합축(12)을 중심으로 돌출부(40a)를 향하여 각각 회동함으로써, 서로 근접하게 된다.
그 이후, 한 쌍의 절단날(14b)은 각각 돌출부(40a)의 타측을 단단히 깨물어 절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1)가 돌출부(40a)를 절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돌출부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돌출부 절단 장치(1)는 돌출부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굴곡부(10d)는 가이드(15)의 중심축 방향으로 근접해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절단날(14b)은 외측을 향해 벌어져 있다.
그 이후, 가이드(15)의 삽입홀(15a)이 돌출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돌출부(40a)의 일측을 가이드(15)의 삽입홀(15a)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그 이후,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절단날(14b)은 각각 돌출부(40a)의 타측에 선접촉한다.
그 이후, 돌출부의 방향으로 롤러(20a)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롤러(20a)는 돌출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각 대응되는 굴곡부(10d)에 면접촉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롤러(20a)는 굴곡부(10d) 간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도록 각각 대응되는 굴곡부(10d)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굴곡부(10d) 간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는 경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절단날(14b)은 각각 대응되는 결합축(12)을 중심으로 돌출부(40a)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한 쌍의 절단날(14b)은 서로 근접하게 된다.
그 이후, 돌출부(40a)의 타측은 한 쌍의 절단날(14b)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절단날(14b)은 각각 돌출부(40a)의 타측을 단단히 깨물면서 돌출부(40a)의 타측을 절단한다.
그 이후, 한 쌍의 절단날(14b)은 서로 선접촉하며, 마주 보게 된다.
그 이후, 한 쌍의 절단날(14b)은 서로 선접촉한 상태를 유지한 채 돌출부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이후, 돌출부의 방향으로 롤러(20a)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롤러(20a)는 돌출부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이후,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굴곡부(10d)는 가이드(15)의 중심축을 향해 서로 근접하게 된다.
그 이후,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절단날(14b)은 외측을 향해 벌어지고, 절단된 돌출부(40a)는 가이드(15)의 삽입홀(15a)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는 핸드 유압 장치의 작동으로 돌출부의 방향으로 한 쌍의 롤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한 쌍의 롤러가 돌출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각 대응하는 굴곡부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고, 한 쌍의 절단날이 지렛대의 원리로 각각 대응되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절단력이 증폭되어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각각 돌출부의 타측을 단단히 깨물어 한번에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 절단 장치는 절단날이 공작물의 벽면에 최대한 밀착됨으로써, 절단날과 공작물의 벽면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어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을 통해 돌출부의 타측을 절단할 수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절단날이 돌출부의 타측을 각각 선접촉하며 절단함으로써, 절단면이 거칠지 않고 부드러운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돌출부 절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 돌출부 절단 장치
10: 바디부
10a: 결합홈
10b: 슬로트 홀
10c: 굴곡홈
10d: 굴곡부
10e: 제1 나사홀
11: 플레이트
11a: 결합홀
11b: 제1 관통홀
11c: 홈부
12: 결합축
13: 메인축
13a: 돌출부재
13b: 접촉 홈부
13c: 중공
14: 인서트
14a: 돌기
14b: 절단날
14c: 체결홀
15: 가이드
15a: 삽입홀
15b: 제2 나사홀
20: 푸시 암
20a: 롤러
20b: 제2 관통홀
20c: 사각바
21: 삽입축
21a: 헤드부
21b: 몸체부
30: 핸드 유압 장치
40: 공작물
40a: 돌출부

Claims (7)

  1. 일측에 결합홈(10a)이 형성되고, 중앙에 슬로트 홀(10b)이 형성된 한 쌍의 바디부(10);
    일측에 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홀(11a)이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격되게 2개가 관통 형성되고, 하면 중앙에 홈부(11c)가 함몰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11);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 및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한 쌍의 결합축(12);
    상면 및 하면에 상기 홈부(11c)에 대응하는 돌출부재(13a)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 직육면체 형상의 접촉 홈부(13b)가 함몰 형성된 메인축(13);
    일측에 상기 결합홈(10a)에 대응하는 ㄷ자 모양의 돌기(14a)가 형성되고, 타측에 돌출부(40a)를 절단하기 위한 V자 형상의 절단날(14b)이 형성된 한 쌍의 인서트(14);
    일측에 상기 돌출부(40a)의 일측을 길이 방향으로 삽입시키는 원형 단면을 갖는 삽입홀(15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가이드(15);
    일측에 원통 형상의 한 쌍의 롤러(20a)가 형성되고, 타측에 핸드 유압 장치의 일측에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사각바(20c)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푸시 암(20); 및
    일측에 원통 형상의 헤드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1a)의 하단에 원통 형상의 몸체부(21b)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삽입축(21);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는
    측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고 이격되게 2개의 제1 나사홀(10e)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인서트(14)는
    측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고 이격되게 2개의 체결홀(14c)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14c)이 상기 제1 나사홀(10e)에 배치되어, 제1 육각구멍붙이 볼트로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15)는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제2 나사홀(15b)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축(13)은
    내측에 상기 제2 나사홀(15b)에 대응하는 중공(13c)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5)는
    상기 제2 나사홀(15b)이 상기 중공(13c)에 배치되어, 제2 육각구멍붙이 볼트로 상기 메인축(13)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 절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축(12)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 사이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슬로트 홀(10b) 및 결합홀(11a)에 관통 삽입된 후, 2개의 멈춤링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 절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는
    중앙에 오목하고, 굴곡진 형상을 갖는 굴곡홈(10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메인축(13)은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 사이에 배치되어, 외측이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에 각각 형성된 굴곡홈(10c)에 면접촉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 절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는
    타측에 원형 단면을 갖는 제1 관통홀(11b)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푸시 암(20)은
    일측에 상기 제1 관통홀(11b)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의 원형 단면을 갖는 제2 관통홀(20b)이 동일 축선 상에 소정의 거리를 갖고 이격되게 2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축(21)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1) 사이에 배치된 상기 푸시 암(2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관통홀(11b) 및 제2 관통홀(20b)에 삽입된 후,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 절단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디부(10)는
    타측에 완만하게 굴곡진 형상을 갖는 굴곡부(10d)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20a)는
    상기 돌출부의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롤러(20a)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돌출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각 대응되는 상기 굴곡부(10d)에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굴곡부(10d) 간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도록 각각 대응되는 상기 굴곡부(10d)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절단날(14b)은
    상기 굴곡부(10d) 간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는 경우, 각각 대응되는 상기 결합축(12)을 중심으로 상기 돌출부(40a)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서로 근접하게 되고, 각각 돌출부(40a)의 타측을 단단히 깨물어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 절단 장치.
KR1020200079753A 2020-06-30 2020-06-30 돌출부 절단 장치 KR102461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53A KR102461999B1 (ko) 2020-06-30 2020-06-30 돌출부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53A KR102461999B1 (ko) 2020-06-30 2020-06-30 돌출부 절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87A KR20220001587A (ko) 2022-01-06
KR102461999B1 true KR102461999B1 (ko) 2022-10-31

Family

ID=7934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753A KR102461999B1 (ko) 2020-06-30 2020-06-30 돌출부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9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482A (ja) 1998-11-20 2000-08-02 Ricoh Co Ltd ブラインドリベットの分解装置及びその分解方法及びその分解方法を用いた生産システム
US20010013243A1 (en) 2000-01-07 2001-08-16 Rene Amherd Pressing pincer
KR101013397B1 (ko) 2010-10-19 2011-02-14 인파스텍코리아(주) 리벳 해체용 커팅 공구 및 리벳 해체용 커팅 장치
JP2016221591A (ja) 2015-05-27 2016-12-28 三菱電機株式会社 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0063A5 (de) * 1999-02-11 2000-04-14 Arx Ag Presswerkzeug.
KR101014489B1 (ko) 2008-06-16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절단장치
KR100958937B1 (ko) 2008-07-10 2010-05-19 문문문 돌출부위의 제거기능을 갖는 노끈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482A (ja) 1998-11-20 2000-08-02 Ricoh Co Ltd ブラインドリベットの分解装置及びその分解方法及びその分解方法を用いた生産システム
US20010013243A1 (en) 2000-01-07 2001-08-16 Rene Amherd Pressing pincer
KR101013397B1 (ko) 2010-10-19 2011-02-14 인파스텍코리아(주) 리벳 해체용 커팅 공구 및 리벳 해체용 커팅 장치
JP2016221591A (ja) 2015-05-27 2016-12-28 三菱電機株式会社 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87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6529B2 (ja) 解体用せん断機と解体用せん断機の突き刺し先端の差込体及び鼻先の構造
KR102461999B1 (ko) 돌출부 절단 장치
BR102014006164A2 (pt) Lâmina de serra com limitador de alimentação
EP2314418A1 (de) Schraube und Drehwerkzeug zum Drehen einer Schraube
CN210967066U (zh) 一种板材加工用开槽装置
KR20010012706A (ko) 스크류를 지지하고 체결하기 위한 신규 시스템
WO2001034324A9 (en) Improved tool for removing damaged fasteners and method for making such tool
KR20010013114A (ko) 팽창된 메쉬 쉬트형성을 위하여 장치에서 슬릿 스트립의측면 엣지를 파지, 안내 및 운송하기 위한 장치
US3540640A (en) Cutting system means for severing a pipe
WO2016115269A9 (en) Electrical contact having tines with edges of different lengths
JP4392197B2 (ja) ツール差し込み端部構造
US5638733A (en) Rotary die cutter unit with rapid die connection
EP0406202B1 (en) A clamping device for making nails
CN215201772U (zh) 用于拆卸包装机第二推进器联轴器的工具
JP2024054942A (ja) 配線・配管材収容治具及び配線・配管材収容装置
JP5492906B2 (ja) キーレスカップリングアレンジメント
US3172318A (en) Retaining means for roller chain
US827800A (en) Machine for cutting or indenting pipes.
JP5201748B2 (ja) ブラインドボルトの製造方法
CN204061601U (zh) 一种中心距可调的传动轴万向连接器
BR0113743A (pt) Sistema e método para minimizar fendas extremas num toro
CN214518022U (zh) 一种攻牙去毛刺的一体化丝锥结构
US20100116118A1 (en) Multi-Plane Hole Punch
CN220112226U (zh) 一种绕制切断刀具
CN218798596U (zh) 冲压专用下凹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