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977B1 -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977B1
KR102461977B1 KR1020220008362A KR20220008362A KR102461977B1 KR 102461977 B1 KR102461977 B1 KR 102461977B1 KR 1020220008362 A KR1020220008362 A KR 1020220008362A KR 20220008362 A KR20220008362 A KR 20220008362A KR 102461977 B1 KR102461977 B1 KR 102461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upport
display device
displa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비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비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비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00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일정한 폭을 두고 복수 개로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일정 높이를 두고 복수 개로 결합된 사각 형상의 브라켓을 포함한 지지부; 상기 브라켓 각각에 결합되어 광고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 브라켓을 매개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지지부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져 보다 견고한 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Display assembly for outputting advertisements}
본 발명은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옥내 및 옥외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광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높이 방향의 지지봉 뿐 아니라 사각 형상의 브라켓을 통해 지지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이용한 광고로 관제센터에서 통신망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처리 시스템을 말한다.
특히,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동인구가 많은 환경인 공항, 지하철 역사, 호텔, 병원, 버스정류장, 아파트 엘리베이터, 은행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소리 및 영상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광고를 시간대별로 번갈아 노출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TV, 인터넷, 모바일에 이어 제 4의 미디어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우 다이나믹한 광고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운영 및 출력하고, 특정 시간이나 지역을 선별하여 전달하는 등 이전의 광고 매체와는 비교할 수 없는 광고 효과와 효율성으로 인해 차세대 광고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갖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기반으로 한 광고 관련 선행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10-2009-0085507호에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디지털 사이니지 네트워크(digital signage network)는, 다수의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다수의 디스플레이들로 유포(disseminate)하기 위해, 공통 데이터 모델(common data model) 및 예약(subscription) 시스템을 채용한다. 네트워크 노드들은, 업스트림(upstream) 소스들에 대해 소비자(consumer)들로서 작용하고, 다운스트림(downstream) 소비자들에 대해 소스들로서 작용하는 일부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컨텐트(content) 소스들, 컨텐트 소비자들, 또는 둘 다로서 서로 상호작용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상의 데이터의 표현(presentation)은, 풍부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라이브 데이터(live data)의 실시간 바인딩(binding)을 허용한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있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별도의 지지봉과 같은 지지부에 의해 결착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때 수직, 수평 방향 지지봉을 설치하고 및 지지봉의 교차 지점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던 종래의 고정 방식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지지부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 지지부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결착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지지봉과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하도록 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추가적인 보호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광원에 의한 빛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신규 코팅 물질의 조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일정한 폭을 두고 복수 개로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일정 높이를 두고 복수 개로 결합된 사각 형상의 브라켓을 포함한 지지부; 상기 브라켓 각각에 결합되어 광고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는, 테두리에서 기립 형성된 댐(dam)과, 상기 댐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투명 재질의 보호 패널이 구비되되, 상기 보호 패널의 표면에는, 유기폴리실라잔(Organopolysilazane)을 포함하는 반사 완화제가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 완화제는, 유기폴리실라잔(Organopolysilazane) 5 내지 15 중량부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ncryulate)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정제수 6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액 90 내지 98 중량부와, 검 아라빅(gum Arabic) 0.5 내지 5 중량부와, 로진(rosin)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용액 90 내지 95 중량부 및,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 1 내지 5 중량부와, 퍼플루오로옥틸트레톡시실란(perfluorooctyltrethoyxysilane) 및 포러스 실리카(porous silica)를 포함하는 소광성 강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반사 완화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의하면,
1)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 브라켓을 매개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지지부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져 보다 견고한 결합을 수행할 수 있고,
2)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에 보호 패널을 구비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보호성을 높임과 동시에 댐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보호 패널을 이격시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된 열이 댐과 보호 패널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로 쉽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고,
3) 빛 반사 방지의 기능이 있는 유기폴리실라잔을 포함하는 반사 완화제를 보호 패널의 표면에 코팅하여 외부 광원에 대한 빛 반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촬영한 사진.
도 2는 옥외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촬영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촬영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부를 촬영한 사진.
도 5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촬영한 사진.
도 6은 보호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촬영한 사진이고ㅡ 도 2는 옥외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지지부(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지지부(200)는 지지봉(210)이 일정한 폭을 두고 복수 개 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지봉(210)에 사각 형상의 브라켓(220)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갖고 있다. 즉 지지봉(210)과 브라켓(220)을 포함한 것을 지지부(200)라 칭한다.
여기서 지지봉(210)은 건축물의 지지대 내지 지주와 같은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기립 형성될 뿐만 아니라 지지봉(210)의 일 단 또는 타 단에서 지지봉(210)과 수직하게 보조 지지봉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보조 지지봉이 지지봉(210)과 수직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보조 지지봉을 매개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천장이나 바닥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브라켓(220)은 지지봉(210)에 결합된 것으로서, 사각 형상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과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을 브라켓(220)을 통해 지지하게 한 채로, 브라켓(22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볼트/나사 또는 앵커와 같은 패스너, 즉 체결 수단을 매개로 결합함으로써 양자 간의 견고한 결합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지지봉(210)의 경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되, 내부 중공을 통해 전원 케이블이 지나고 브라켓(220)에 대응되는 부위,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의 브라켓(220)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내측에 대응되는 부위에 전원공급 홀이 관통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원공급 홀을 통해 전원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로 노출된 전원공급 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부를 통합 제어하기 위한 통합 구동부의 데이터를 각 구동부에 전달하는 일명 통합 데이터선이 중공을 통해 연장되어 전원공급 홀로 노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전원 케이블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수려한 미관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원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LCD, OLED, LE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종류에 대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더불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마치 하나의 디스플레이처럼 동작하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기 다른 광고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고자 하는 광고 영상의 일부분만을 출력하도록 하여,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합쳐져 하나의 광고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광고 영상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만큼 분할 처리하여, 분할 처리된 각각의 화면을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출력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마치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된 것처럼 하나의 광고 영상을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분할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 구동부에 의해 on/off 및 볼륨, 밝기 등이 제어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동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바람직하게 후면에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할 전원 케이블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부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따르면,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봉(210)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결합하던 종래의 방식에 비해 브라켓(220)을 매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지지부(20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져 보다 견고한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지지부(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지지부(200)는 제 1 지지봉(211)과, 상기 제 1 지지봉(211)에서 우측으로 일정 폭을 두고 기립 연장된 제 2 지지봉(212)으로 이루어지고, 브라켓(220)의 경우 제 1,2 지지봉(211, 212)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220)은 제 1,2 지지봉(211,212) 사이에 결합되어 한 쌍의 지지봉(210)을 고정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고정 역할을 겸비할 수 있으며, 제 1,2 지지봉(211,212) 사이의 이격 거리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너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지지봉(210)에 브라켓(220)을 결합하여 지지봉(21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고정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나, 제 1,2 지지봉(211,212)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봉(210) 사이에 브라켓(220)을 결합하고, 브라켓(220)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고정 결합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있어 지지부(200)는, 복수의 지지봉(210) 사이를 잇는 커넥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300)는 바람직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복수의 지지봉(210)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봉(210)과 커넥터(300)는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며, 지지봉(210)과 커넥터(300) 역시 패스너와 같은 결합수단을 매개로 고정 결합되어 수평 방향 외력에 대한 지지력을 담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봉(210)에 브라켓(220)이 설치되고, 복수의 지지봉(210)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커넥터(300)가 고정 처리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보호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에는 테두리에서 기립 형성된 댐(500)(dam)과, 상기 댐(500)의 단부의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을 보호하는 투명 재질의 보호 패널(40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댐(5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 테두리를 따라 기립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보호 패널(400) 사이를 이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과 댐(500), 나아가 댐(500) 및 보호 패널(400) 사이에는 별도의 점착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댐(5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보호 패널(400) 역시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보호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 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만 보호 패널(400)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보호 패널(40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강화 유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는데, 이러한 보호 패널(400)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겸하는 것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염을 방지한다.
더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보호 패널(400)은 댐(500)에 의해 이격되어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발생된 열이 댐(500)과 보호 패널(40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로 쉽게 방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옥외 또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는데, 따라서 햇빛이나 가로등, 혹은 실내에 구비된 별도의 조명과 같은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빛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보호 패널(400)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경우 빛반사에 의해 광고 영상이 시청자에게 쉽게 식별되기 어려우며 시청자로 하여금 눈부심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 패널(400)의 표면에는 반사 완화제가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반사 완화제는 빛반사 방지의 기능이 있는 유기폴리실라잔(Organopolysilazane)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외부 광원에 대한 빛반사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반사 완화제에 포함된 유기폴리실라잔은 투명성이 높음과 동시에 코팅 면에 소수성, 내수성, 세정성, 방오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열처리에 의한 경화 시 유기폴리실라잔이 실리카로 전환되면서 실리카 피막 내부에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고, 피막 내부에 형성된 기공이 굴절률 및 반사율을 낮추고 투과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외부 광원에 대한 빛반사를 방지하면서도 고투명도를 보장할 수 있다.
나아가 반사 완화제는 유기폴리실라잔 이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반사 완화제는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반사 완화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가장 먼저, 유기폴리실라잔(Organopolysilazane) 5 내지 15 중량부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ncryulate)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정제수 6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한다.
유기폴리실라잔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코팅 면에 소수성, 내수성, 세정성, 방오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굴절률 및 반사율을 낮추고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정제수를 용매로 하여 용해된다.
나아가 첨가되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투명도가 뛰어나고 굴절률이 높고 화학반응에 강한 접착제로서, 내부식성이 뛰어나다는 특성을 갖는다. 반사 완화제에 첨가됨에 따라 보호 패널(400) 표면에서의 접착성을 높이며 고투명성의 코팅막 생성에 기여한다.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어서, 제 1 용액 90 내지 98 중량부와, 검 아라빅(gum Arabic) 0.5 내지 5 중량부와, 로진(rosin)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한다.
검 아라빅은 아카시아속(Acacia)의 수목에서 분비되는 액체를 말려 만든 고무이며, 정제수에 용이하게 용해되는 물질로서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반사 완화제의 점착성을 보조함과 동시에 다양한 성분들의 혼합에 있어서의 유화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담황색을 나타내나 투명한 성질을 갖는다.
로진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로 아비에트산를 주성분으로, 네오아비에트산·레포피마르산·하이드로아비에트산·피마르산·덱스톤산 등 수지산을 함유한 것을 의미한다. 담황색 또는 갈색이며 투명하고 유리 광택이 있으며 높은 수준의 점착력을 나타낸다. 반사 완화제에 첨가 시 점착력을 높임과 동시에 형성되는 코팅막에 유리 광택을 부여한다.
반사 완화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제 2 용액 90 내지 95 중량부 및,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 1 내지 5 중량부와, 퍼플루오로옥틸트레톡시실란(perfluorooctyltrethoyxysilane) 및 포러스 실리카(porous silica)를 포함하는 소광성 강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사 완화제를 완성한다.
벤조트리아졸은 무색이며 바늘 모양의 결정 구조를 가진 입상의 화합물로, UV에 대한 안정화제의 기능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벤조트리아졸은 자외선의 침투를 감소 및 지연시켜 보호 패널(400)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막이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자외선과 보호 패널(400)이 산화반응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는 형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첨가되는 소광성 강화제는 난반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는데, 이러한 소광성 강화제는 기본적으로 퍼플루오로옥틸트레톡시실란(perfluorooctyltrethoyxysilane) 및 포러스 실리카(porous silic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러스 실리카의 경우 내부에 기공을 포함한 상태의 실리카로서, 유기폴리실라잔의 경화에 의해 생성되는 실리카와는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르므로 불규칙성을 가져 표면의 난반사 방지 효과를 강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퍼플루오로옥틸트레톡시실란은 불소실란계 화합물로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포러스 실리카의 분산성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여, 소광성 강화 효과를 보조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은 반사 완화제가 보호 패널(400) 표면에 코팅 처리됨에 따라, 보호 패널(400) 표면에 대한 소광성을 높여 외부의 조명이나 광원에 의해 발생하는 난반사를 줄여 시청자의 눈부심을 방지함과 동시에 광고 영상을 보다 선명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코팅막이 높은 수준의 부착력을 가져 쉽게 이탈되지 않음과 동시에 방오성, 발수성, 내수성을 갖도록 한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유기폴리실라잔을 포함하는 코팅제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2로 구성되어 있고, 비교예는 종래의 코팅용 조성물이다.
표 1는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의 성분비를 나타낸 표이다. (단위: 중량%)
실시예 대조예
1 2
유기폴리실라잔 8.9 8.9 -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3.4 13.4 13.4
정제수 67.0 77.7 77.7
검 아라빅 1.9 - -
로진 2.8 - -
벤조트리아졸 1.0 - -
퍼플루오로옥틸트레톡시실란 2.5 - -
포러스 실리카 2.5 - -
테트라에톡시실란 - - 8.9
표 1의 성분비에 따라 각각의 성분을 혼합하여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각각의 조성물을 유리 기판에 다음과 같이 코팅하였다.
가로 15cm, 세로 15cm, 두께 1cm의 유리 기판을 준비하고 유리 기판을 세척하여 기판에 존재하는 먼지, 오일, 유기 화합물, 오염물 등을 제거하였다.
상기 유리 기판에 상기 실시예 1, 2 및 대조예의 코팅 조성물을 바 코팅으로 각각 도포하여 코팅막을 형성하였다.
코팅막을 400℃에서 10분간 저온 경화 처리하여 코팅막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코팅막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1] 반사율 실험
분광 광도계 UV 2450에 어댑터 MPC 2200을 장착하여 380~780nm의 파장 영역에서 입사각 5°에서의 출사각 5°에 대한 경면 반사율을 측정하고, 450~650nm의 평균 반사율을 산출하였다.
[실험 2] 투과율 실험
ASTM D 1003에 의거하여 투과율 측정기(HM-150)를 사용하여 전광성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3] 표면경도 실험
연필경도시험기를 이용하여 500g 하중을 걸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코팅막의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사용하고 한 연필경도 당 5회 실시하였다.
[실험 4] 물방울접촉각 실험
형성된 코팅막의 친수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공성 실리카 막의 표면에 증류수를 떨어뜨리고 물방울접촉각을 측정하였다.
표 2는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반사율(%) 1.2 1.4 2.2
투과율(%) 95.4 95.8 90.4
표면경도 7H 6H 4H
물방울접촉각(°) 14 17 24
상술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의 반사 완화제를 포함하는 코팅제 조성물은 비교예의 코팅제 조성물에 비해 반사율이 낮고 투과율이 높으며, 표면경도 및 물방울접촉각에 있어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소광성 강화제는 퍼플루오로옥틸트레톡시실란(perfluorooctyltrethoyxysilane) 및 포러스 실리카(porous silica) 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광성 강화제는 다음의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실리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가장 먼저, 포러스 실리카(porous silica) 20 내지 40 중량부와 증류수 30 내지 50 중량부, 질산은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실리카 분산액을 제조한다.
여기서 포러스 실리카는 소광성 강화제의 시작 물질로서 소광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입자상의 포러스 실리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포러스 실리카를 증류수에 분산시킴과 동시에 질산은을 기반으로 은 나노입자를 제공함으로써 은 나노 입자를 기반으로 한 치밀한 피막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질산은의 용해를 위해 가열 및 교반 과정이 수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은 환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실리카 분산액의 제조가 완료되면, 제조된 상기 실리카 분산액 10 내지 30 중량부와,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N,N-dimethyl formamideanhydrous) 40 내지 60 중량부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은 환원액을 제조하게 된다.
다이메틸폼아마이드는 실리카 분산액과 후술할 전구체 수용액의 매개 역할을 해줄 극성 유기용매로 첨가되며, 질산은에 포함된 은 이온에 대한 환원제 역할을 함께 수행하며, 나아가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실리카 분산액을 모두 혼합할 수 있는 혼합 용매로써 첨가된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의 경우 반사 완화제를 매개로 생성되는 코팅막의 점착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며, 그와 동시에 은 이온에 대한 환원제 역할을 수행하여 은 나노 입자를 수득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구체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메틸트리메톡시실란 15 내지 35 중량부, 증류수 20 내지 40 중량부, 메탄올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전구체 수용액을 제조한다.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은 소광 강화제 첨가를 통해 코팅막 형성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광투과성을 높여 투명도를 향상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때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용매로써 증류수 및 메탄올이 이용된다.
실리카 졸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은 환원액 및 전구체 수용액의 준비가 모두 완료되면, 상기 은 환원액 20 내지 60 중량부와 상기 전구체 수용액 40 내지 80 중량부를 20 내지 40℃에서 1 내지 4시간 동안 교반 처리하고 15 내지 30℃에서 160 내지 200시간 동안 유지하여 실리카 졸 용액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제조되는 실리카 졸은 포러스 실리카에 입자상의 은 나노 입자가 혼합됨과 동시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을 통해 광학 특성이 향상된 특성을 갖는다. 나아가 교반 처리 후 15 내지 30℃에서 160 내지 200시간 동안 유지 처리가 이루어져, 이를 통해 실리카 졸이 안정화되어 화학적으로 안정한 실리카 졸 용액을 얻게 된다.
소광성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실리카 졸 용액 98 내지 99.5 중량부와 퍼플루오로옥틸트레톡시실란(perfluorooctyltrethoyxysilane) 0.5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고 20 내지 35℃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유지하여 소광성 강화제를 완성하게 된다.
퍼플루오로옥틸트레톡시실란은 불소실란계 화합물로써 마지막에 첨가되며, 실리카 졸 용액에 포함된 증류수 및 메탄올에 잘 용해되는 특성이 있어 소광성 강화제 내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이 때 퍼플루오로옥틸트레톡시실란을 첨가하는 경우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실리카 졸의 분산성을 더욱 높여 소광성 강화제가 혼합된 코팅 피막이 보다 치밀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소광성 강화제의 경우, 포러스 실리카가 가진 다수의 기공을 기반으로 소광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은 나노 입자를 통해 입자의 치밀도를 높여 피막강도를 높이며, 나아가 퍼플루오로옥틸트레톡시실란을 통해 내마모성이 높은, 치밀한 피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200 : 지지부
210 : 지지봉 211 : 제 1 지지봉
212 : 제 2 지지봉 220 : 브라켓
300 : 커넥터 400 : 보호 패널
500 : 댐

Claims (7)

  1.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로서,
    일정한 폭을 두고 복수 개로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일정 높이를 두고 복수 개로 결합된 사각 형상의 브라켓을 포함한 지지부;
    상기 브라켓 각각에 결합되어 광고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의 테두리에서 기립 형성된 댐(dam);
    상기 댐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투명 재질의 보호 패널;
    상기 보호 패널의 표면에 코팅 처리된 반사 완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 완화제는,
    유기폴리실라잔(Organopolysilazane) 5 내지 15 중량부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ncryulate)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정제수 6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액 90 내지 98 중량부와, 검 아라빅(gum Arabic) 0.5 내지 5 중량부와, 로진(rosin)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용액 90 내지 95 중량부 및,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 1 내지 5 중량부와, 퍼플루오로옥틸트레톡시실란(perfluorooctyltrethoyxysilane) 및 포러스 실리카(porous silica)를 포함하는 소광성 강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반사 완화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봉 사이를 잇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제 1 지지봉과, 상기 제 1 지지봉에서 우측으로 일정 폭을 두고 기립 연장된 제 2 지지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2 지지봉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내부 중공을 통해 전원 케이블이 지나고, 상기 브라켓에 대응되는 부위에 전원공급 홀이 관통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08362A 2022-01-20 2022-01-20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KR102461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362A KR102461977B1 (ko) 2022-01-20 2022-01-20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362A KR102461977B1 (ko) 2022-01-20 2022-01-20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977B1 true KR102461977B1 (ko) 2022-11-03

Family

ID=8404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362A KR102461977B1 (ko) 2022-01-20 2022-01-20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9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2528B2 (ja) * 2003-10-24 2006-07-26 西尾レントオール株式会社 電光掲示板装置
KR20110112084A (ko) * 2010-04-06 201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04004A (ko) * 2012-06-26 2014-01-10 니끼 쇼꾸바이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반사방지막부 기재의 제조방법 및 광전기 셀
JP2018055102A (ja) * 2013-01-11 2018-04-05 アトミック デザイン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Atomic Design Inc.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2528B2 (ja) * 2003-10-24 2006-07-26 西尾レントオール株式会社 電光掲示板装置
KR20110112084A (ko) * 2010-04-06 201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04004A (ko) * 2012-06-26 2014-01-10 니끼 쇼꾸바이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반사방지막부 기재의 제조방법 및 광전기 셀
JP2018055102A (ja) * 2013-01-11 2018-04-05 アトミック デザイン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Atomic Design Inc.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16351B (zh) 一种柔性透明导电薄膜及其制备方法
CN102604455B (zh) 抗静电涂料、抗静电薄膜及其制造方法
KR100314949B1 (ko) 전기표시장치용 부착필름
CN106773263B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5259598A (zh) 一种量子点光学膜及背光模组
CN102417684B (zh) 一种光扩散性pmma-m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354081A (zh) 一种应变液晶透明投影屏幕及其制备方法和应用
DE602004010067T2 (de) Schirm für auflicht- und durchlichtprojektion
TW201329174A (zh) 抗靜電塗料、抗靜電薄膜之製造方法及其所製得之抗靜電薄膜
CN105259704A (zh) 一种量子点膜及背光模组
KR102461977B1 (ko) 광고 출력 기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WO2020083303A1 (zh) 一种环保型投影透射屏及其制备方法
KR101606738B1 (ko) 방오성 코팅제로 코팅된 영상판에 사용하는 영상 타일 및 이를 사용한 영상판
CN109613794A (zh) 一种具有抗光性纳米涂层的背投屏幕和投影系统
EP1130458B1 (de) Durchlicht-Projektionswand
CN102115545B (zh) 一种具有中孔洞的光学扩散膜的制备方法
CN208617704U (zh) 一种具有高耐酒精高耐候性ir油墨涂层结构
CN103265829A (zh) 用于低折射层的含有含氟化合物的涂覆组合物、抗反射膜、偏光片与图像显示装置
Gaurav et al. Water-repellent highly stable host material for colour conversion layer with enhanced quantum efficiency for micro-led display applications
CN1657577A (zh) 一种超耐候反光涂料
CN104330909B (zh) 一种lcos微显示器件液晶盒结构及其制造方法
CN207882470U (zh) 一种led户外保护盖板玻璃
DE3503957C1 (de) Beschichtungsmittel fuer Entspiegelungsschicht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11323192A (ja) 帯電防止効果のある光触媒膜とその形成用の光触媒塗料
CN105086645B (zh) 一种组合物、液晶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