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541B1 - 성과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성과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541B1
KR102461541B1 KR1020220100439A KR20220100439A KR102461541B1 KR 102461541 B1 KR102461541 B1 KR 102461541B1 KR 1020220100439 A KR1020220100439 A KR 1020220100439A KR 20220100439 A KR20220100439 A KR 20220100439A KR 102461541 B1 KR102461541 B1 KR 10246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
employee
support
unit
exper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틀매니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틀매니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틀매니악
Priority to KR102022010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541B1/ko
Priority to KR1020220138249A priority patent/KR102481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4Elastic 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과 측정 시스템으로서 구간 및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이 출력되는 키오스크; 직원 정보를 등록하는 직원정보부, 퀘스트를 등록하는 퀘스트 등록부, 퀘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퀘스트 정보부, 퀘스트 수행 가능 여부에 따라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퀘스트 관리부 및 퀘스트 성공 여부에 따라 직원에게 보상경험치를 지급하는 보상지급부를 포함하는 퀘스트 서버; 및 상기 퀘스트 서버와 통신하여 퀘스트를 수행하는 직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성과 측정 시스템{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본 발명은 게임의 성장 시스템을 활용한 성과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게임 회사는 세상에서 재미를 가장 고민하고 재미를 만들기 위한 조직인데 반해서, 게임 회사 내의 업무 시스템은 왜 일반적인 회사와 동일하게 돌아가고 있다.
실제로 게임을 플레이 하는 사람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동기부여 되어 열심히 플레이 한다. 그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 핵심 시스템으로 성장 시스템이 있다. 게임은 누구나 자기가 들인 노력에 대비하여 성장하게 되고, 그 성장의 피드백은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체감이 된다.
이러한 게임의 시스템 중에서 현실 세계에 적용 가능한 부분들을 적용했을 때 좀 더 즐겁게 일할 수 있는 방법 또한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 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10-22934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벨업에 따라 해당 직원의 레벨업을 일정 기간마다 정산할 수 있으며 투명한 연봉 협상이 가능하여 직원들이 주체적으로 업무 관리를 할 수 있는 성과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측정 시스템은, 구간 및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이 출력되는 키오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측정 시스템은, 직원 정보를 등록하는 직원정보부, 퀘스트를 등록하는 퀘스트 등록부, 퀘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퀘스트 정보부, 퀘스트 수행 가능 여부에 따라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퀘스트 관리부 및 퀘스트 성공 여부에 따라 직원에게 보상경험치를 지급하는 보상지급부를 포함하는 퀘스트 서버; 및 상기 퀘스트 서버와 통신하여 퀘스트를 수행하는 직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직원정보부는, 회사에 등록되어 있는 직원의 이름, 나이, 성별, 직책, 사원번호, 현재경험치 및 퀘스트 수행 정보(구간,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직원정보부는, 상기 보상지급부에서 지급되는 보상경험치를 상기 현재경험치에 더하여 직원의 퀘스트 수행 시 마다 상기 현재경험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직원정보부는, 상기 퀘스트 수행 정보에 따라 직원의 현재경험치가 필요경험치를 충족하는 경우 해당 직원의 레벨을 업그레이드하고, 회사에서는 회사에서 정한 일정 주기마다 레벨이 업그레이드된 것을 정산하여 매칭되는 연봉으로 직원과 협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퀘스트 등록부는, 새로운 퀘스트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 관리자에 의해 퀘스트의 이름과 설명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새로운 퀘스트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업무관리 툴 (ms project, jira, notion)을 사용해서 등록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퀘스트 정보부는, 상기 퀘스트 등록부에서 입력된 이름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퀘스트 정보부는, 상기 직원 단말기에 의해 상기 퀘스트의 이름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퀘스트에 대한 업무 내용, 업무 방향이 포함되어 있는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하나의 직원 단말기가 수행하는 퀘스트의 개수를 제한하여 한 명의 직원이 다수 개의 퀘스트 수행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퀘스트 수행 정보(구간, 레벨, 필요경험치)에 따라 각 구간 및 레벨에 수행 가능한 퀘스트만 상기 직원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상지급부는, 상기 직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퀘스트를 성공한 것이 확인된 경우 정해진 보상경험치를 지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상지급부는, 특별 퀘스트의 경우, 퀘스트 완료 시 특별 보상경험치 획득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퀘스트 수행 정보(구간,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용지로 출력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력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안전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전지지부재는, 삽입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제1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제1 관통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재; 상기 삽입부재가 끼워진 상기 체결부재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홈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각 제1 관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홈이 각각 형성되는 양단지지부를 갖는 고정부재; 및 상기 각각의 제1 관통홈 및 제2 관통홈에 체결되어 전,후진 이동 가능하고, 전진 동작 시 상기 각 제1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부재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삽입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지지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삽입부재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삽입부재는,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낮은 무게 중심을 갖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바닥밀착부의 평면 및 중심이 일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삽입부재의 자중에 따라 조임력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후진 동작하여 상기 고정나사가 상기 제1 관통홈 및 상기 제2 관통홈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삽입부재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관통홈과 제2 관통홈은, 전,후 및 좌,우의 4방향에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 위치한 다리지지부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다리부가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리지지부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와 밀착 고정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동일한 길이 및 너비로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단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위치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단에 상기 제1 지지대와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위치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지지판은, 하단에 위치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내측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는 하단완충부; 및 상기 하단완충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되, 너비 및 길이는 상기 하단완충부와 동일한 너비 및 길이로 형성되는 상단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층은, 상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연결지지부에 의해 상기 상단완충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단완충부가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상단완충부가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완충부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수축 구동하는 스펀지를 포함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성과 측정 시스템은 레벨업에 따라 해당 직원의 레벨업을 일정 기간마다 정산할 수 있으며 투명한 연봉 협상이 가능하여 직원들이 주체적으로 업무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성과 측정 시스템은 퀘스트(업무) 난이도 및 기간에 따라서 경험치가 다르게 설정되어 작업자는 쉽고 간단한 업무를 많이 해서 경험치를 획득할 수도 있고, 길고 어렵지만 큰 경험치를 얻을 수 있는 퀘스트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성과 측정 시스템의 퀘스트 수행(구간,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 정보 기준을 일측면에 구비된 키오스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퀘스트 구간에 따라 레벨업 및 퀘스트 수행 욕구를 다질 수 있다.
또한, 삽입부재와 같은 가공물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부재에 결합시켜 축 중심과 평면이 일치하 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낮은 무게 중심을 갖도록 함으로써, 키오스크를 바닥면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금속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으로 구성된 완충장치로 키오스크를 탄력 지지하는 것이므로 충격의 흡수율이 매우 높아 키오스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탄성부의 완충력이 변하지 않아 매우 안정적으로 키오스크를 탄력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완충장치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는 제2 지지판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지지판의 하단에 좌우 길이 방향,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위치되어 있어 키오스크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스프링의 일부 구성인 스프링부에 의해 수축되는 정도가 제한될 수 있어 공기층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프링부의 수축 구동이 완료된 후 이완됨에 따라 공기층이 보다 빨리 제자리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완충스프링의 일부 구성인 밀착홈은 덮개밀착부의 밀착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덮개밀착부의 상단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덮개부가 수축이완부의 수축 또는 이완 구동에 의해 수축이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측정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과 측정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의 다리부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측정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측정 시스템(10)은 직원 정보를 등록하는 직원정보부(110), 퀘스트를 등록하는 퀘스트 등록부(130), 퀘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퀘스트 정보부(150), 퀘스트 수행 가능 여부에 따라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퀘스트 관리부(170) 및 퀘스트 성공 여부에 따라 직원에게 보상경험치를 지급하는 보상지급부(190)를 포함하는 퀘스트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직원정보부(110)는 회사에 등록되어 있는 직원의 이름, 나이, 성별, 직책, 사원번호, 현재경험치 및 퀘스트 수행 정보(구간,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직원정보부(110)는 보상지급부(190)에서 지급되는 보상경험치를 현재경험치에 더하여 직원의 퀘스트 수행 시 마다 현재경험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직원정보부(110)는 퀘스트 수행 정보에 따라 직원의 현재경험치가 필요경험치를 충족하는 경우 해당 직원의 레벨을 업그레이드하고, 회사에서는 회사에서 정한 일정 주기마다 레벨이 업그레이드된 것을 정산하여 매칭되는 연봉으로 직원과 협상할 수 있다.
퀘스트 등록부(130)는 새로운 퀘스트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 관리자에 의해 퀘스트의 이름과 설명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새로운 퀘스트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업무관리 툴 (ms project, jira, notion)을 사용해서 등록 가능할 수 있다.
퀘스트 정보부(150)는 퀘스트 등록부(130)에서 입력된 이름이 노출될 수 있다.
퀘스트 정보부(150)는 직원 단말기에 의해 퀘스트의 이름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퀘스트에 대한 업무 내용, 업무 방향이 포함되어 있는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퀘스트 관리부(170)는 하나의 직원 단말기(500)가 수행하는 퀘스트의 개수를 제한하여 한 명의 직원이 다수 개의 퀘스트 수행을 방지할 수 있다.
퀘스트 관리부(170)는 퀘스트 수행 정보(구간, 레벨, 필요경험치)에 따라 각 구간 및 레벨에 수행 가능한 퀘스트만 직원 단말기(500)로 출력할 수 있다.
보상지급부(190)는 직원 단말기(500)를 통해 퀘스트를 성공한 것이 확인된 경우 정해진 보상경험치를 지급할 수 있다.
보상지급부(190)는 특별 퀘스트의 경우, 퀘스트 완료 시 특별 보상경험치 획득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측정 시스템(10)은 구간 및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이 출력되는 키오스크(900) 및 퀘스트 서버와 통신하여 퀘스트를 수행하는 직원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900)는 퀘스트 수행 정보(구간,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910), 디스플레이부(91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용지로 출력되는 출력부(950) 및 출력부(950)의 하단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910) 및 출력부(95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9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키오스크(900)는 다리부(990)의 하단에 위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키오스크(900)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안전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퀘스트 수행 정보(구간,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의 기준 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구간, 레벨, 필요경험치 및 연봉은 회사의 사정 및 직원들 현황에 따라 변동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과 측정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의 하단에 위치한 안전지지부재(800)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과 측정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 하단에 위치한 안전지지부재(800)는, 체결부재(810), 고정부재(820) 및 고정나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810)는 삽입부재(80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제1 관통홈(8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재(820)는 삽입부재(801)가 끼워진 체결부재(81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2 삽입홈(8205)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1 관통홈(8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홈(8215)이 각각 형성되는 양단지지부(82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나사(830)는 각각의 제2 관통홈(8215)에 체결되어 전,후진 이동 가능하고, 전진 동작 시 각 제1 관통홈(812)을 통과하여 삽입부재(801)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삽입부재(801)를 고정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체결부재(810)는 삽입부재(801)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것을 준비함으로써, 고정이 필요한 삽입부재(801)에 적합한 형태 및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810)는 대략 역삼각형 형태의 삽입부재(801)를 삽입하여 고정부재(820)에 낮은 무게중심을 갖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바닥밀착부(802)의 평면 및 중심이 일치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체결부재(810)는 그 형태가 중앙에 제1 삽입홈(8105)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810)는 전,후 및 좌,우 방향인 4방향으로 외측이 연통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홈(8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820)는 체결부재(810)가 내측을 관통하여 안착되도록 상부에 체결부재(8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수 있으며 제2 삽입홈(8205)을 갖는 양단지지부(821)가 형성될 수 있다.
양단지지부(821)에는 체결부재(810)의 제1 관통홈(8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나사(830)가 체결되어 전,후 이동 가능 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2 관통홈(8215)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820)의 양단지지부(821) 내측에 체결부재(810)를 안착시키면서 고정부재(820)의 제2 삽입홈(8205)에 체결부재(810)의 하단을 끼움 결합시킬 수 있고, 고정부재(820)에 끼워진 체결부재(810)의 제1 삽입홈(8105)에 삽입부재(801)을 삽입시킨 후에, 양단지지부(821)의 제2 관통홈(8215)에 고정나사(830)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이어서, 고정나사(830)를 제2 관통홈(8215) 내에서 전진 동작시키면, 고정나사(830)의 단부가 제1 관통홈(812)을 통과하여 삽입부재(801)의 외측면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즉, 삽입부재(801)의 표면 바닥밀착부(802)를 바닥면에 중심이 수직 선상에 기립되게 접촉되도록 한 후에 4방향의 고정나사(830)를 전진 동작시켜 삽입부재(801)의 외측면 부위에 접촉시켜 균일한 압력으로 삽입부재(801)를 지지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때, 고정나사(830)는 삽입부재(801)의 자중에 따라 조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삽입부재(801)를 체결부재(810)와 고정부재(82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나사(830)를 다시 후진 동작시키면, 고정나사(830)가 제1 관통홈(812) 및 제2 관통홈(8215)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삽입부재(801)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삽입부재(801)와 같은 가공물을 체결부재(810)을 이용하여 고정부재(820)에 결합시켜 축 중심과 평면이 일치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낮은 무게 중심을 갖도록 함으로써, 키오스크를 바닥면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재(600)의 바닥면의 상부 중앙에는 하단부(620)가 고정되어 있고, 하단부(620)에는 탄성부(64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을 수 있다.
탄성부(640)의 상부에는 상단부(63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부(630)의 중앙에는 제1 나사홈(630')이 뚫려져 있을 수 있다.
제1 나사홈(630')의 하부에는 제1 나사(65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나사(650)에 뚫려진 제2 나사홈은 제1 나사홈(630')과 서로 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나사(650)에는 결합볼트(660)가 나사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결합볼트(660)에는 제2 나사홈(660'')이 관통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나사홈(660'')에는 평면형 지지판(680)의 하부에 고정된 제2 나사(670)가 나사 결합되어 결합볼트(660)의 헤드부(660')를 회전시키면 지지판(680)이 승강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은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상단에 위치한 키오스크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삽입부재(600)의 구성이다.
삽입부재(600)들은 키오스크가 위치한 회사 내부의 바닥에 적어도 두개 이상 연속 설치되어 있을수 있고, 삽입부재(600)들의 지지판(680)에는 키오스크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리부가 결합되어 수평을 이루어 연속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금속으로 이루어진 탄성부(640)로 구성된 완충장치로 키오스크를 탄력 지지하는 것이므로 충격의 흡수율이 매우 높아 키오스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탄성부(640)의 완충력이 변하지 않아 매우 안정적으로 키오스크를 탄력 지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볼트(660)의 헤드부(66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지지판(680)이 승강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므로 지지판(680)에 결합된 키오스크의 높이 및 수평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져 키오스크 설치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완충부재와 높이조절용 부재가 삽입부재(600)에 일체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나사(650)에 결합된 결합볼트(660)와 제2 나사홈(660'')에 결합된 제2 나사(670)의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을 이루도록 하면 결합볼트(660)의 헤드부(660')를 회전시켰을 때 결합볼트(660)와 제2 나사(670)가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높이 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결합볼트(660)는 오른 나사산을 이루고 제2 나사(670)는 왼 나사산을 이루도록 하면 헤드부(660')를 회전시켰을 때 함께 승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는 다리부의 하단부에 위치한 다리지지부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다리부가 보호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리지지부(600)는 제1 지지판(610), 제2 지지판(630), 제1 지지대(650) 및 제2 지지대(6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판(610)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리부(990)의 하단부와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판(630)은 제1 지지판(610)과 동일한 길이 및 너비로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판(630)은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단순하게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제2 지지판(630)의 구성처럼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제2 지지판(63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형상이나 소재는 사용자에 따라 변형 및 적용될 수 있다.
제1 지지대(650)는 제2 지지판(6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지지판(630)의 하단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지지대(670)는 제1 지지대(650)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지지대(650)의 하단에 제1 지지대(650)와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대(650) 및 제2 지지대(670)는 나무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지지판(610) 및 제2 지지판(630), 키오스크(9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면 그 명칭에 구애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 지지판은 하단완충부(631) 및 상단완충부(63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완충부(631)는 하단에 위치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내측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공기층(63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단완충부(637)는 하단완충부(631)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되, 너비 및 길이는 하단완충부(631)와 동일한 너비 및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기층(633)은 상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연결지지부(635)에 의해 상단완충부(637)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단완충부(637)가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단완충부(637)가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축될 수 있다.
즉, 공기층(633)은 연결지지부(635)에 의해 상단완충부(637)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이 직접적으로 가해져 수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단완충부(637) 및 하단완충부(631)가 동시에 수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단완충부(631)는 공기층(633)이 수축할 때 함께 수축 구동할 수 있는 스펀지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층(633)이 수축할 때 갈라지거나 깨지지 않으며 함께 수축 구동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단완충부(637)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수축 구동하는 스펀지를 포함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층(633)은 비어 있는 내부에 완충스프링(70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완충스프링(700)은 중앙지지대(710), 수축이완부(720) 및 덮개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지지대(710)는 'ㅗ'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과 맞닿는 하단판이 공기층(633)의 비어 있는 하단인 바닥면에 수평하게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중앙지지대(710)는 바닥면과 맞닿는 하단판(711)은 공기층(633)의 비어 있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바닥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상단기둥(715)은 공기층(633)의 비어 있는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단판(711)은 다수 개의 홈(712)이 형성되어 있어 너트(702) 및 볼트(703)를 이용하여 공기층(633)의 비어 있는 내부 하단에 위치한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단기둥(715)은 덮개부(730)가 끼움 고정되는 끼움홈(7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수축이완부(720)는 중앙지지대(710)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상단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하단으로 이동하는 상단완충부(637)에 의해 수축 구동할 수 있다.
수축이완부(720)는 중앙지지대(710)의 상단을 감싸는 코일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지지대(710)의 바닥면과 맞닿는 하단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축이완부(720)는 내측벽(721), 덮개밀착부(722) 및 스프링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벽(721)은 공기층(633)의 구동에 의해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단기둥(715)과 맞닿아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즉, 내측벽(721)은 수축이완부(720)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되 상단기둥(715)을 감싸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면에 위치한 스프링부(723)가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하는 것에 방해되지 않는 매끈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밀착부(722)는 내측벽(721)의 상단에 위치하여 덮개부(730)가 상단에 밀착되고, 단단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밀착부(722)는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어 덮개부(730)가 공기층(633)의 상단부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눌려지더라도 덮개부(730)가 내부로 관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부(723)는 내측벽(721)을 감싸도록 위치하며 덮개밀착부(722)의 하단에 위치하고, 공기층(633)의 구동에 의해 수축 및 이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723)는 내측벽(721)의 외측면을 따라 수축 및 이완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부(723)에 의해 수축되는 정도가 제한될 수 있어 공기층(633)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프링부(723)의 수축 구동이 완료된 후 이완됨에 따라 공기층(633)이 보다 빨리 제자리로 복귀할 수 있다.
덮개부(730)는 수축이완부(720)의 개방되어 있는 하단에 삽입하여 중앙지지대(710)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730)는 밀착홈(731), 끼움돌출부(732) 및 내부홈(733)을 포함할 수 있다.
밀착홈(731)은 덮개밀착부(722)의 밀착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덮개밀착부(722)의 상단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덮개부(730)가 수축이완부(720)의 수축 또는 이완 구동에 의해 수축이완부(7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착홈(731)은 덮개밀착부(722)의 둥글게 형성된 상단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인 둥글게 형성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밀착홈(731)은 덮개밀착부(7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뿐 둥글게 형성된 홈의 형상으로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덮개밀착부(722)의 상단에 사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밀착홈(731)은 사각진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출부(732)는 끼움홈(714)에 끼워지도록 하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끼움돌출부(732)는 끼움홈(714)의 직경과 길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홈(714)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내부홈(733)은 원뿔 모양의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층의 상단에 밀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성과 측정 시스템

Claims (3)

  1. 구간 및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이 출력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성과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직원 정보를 등록하는 직원정보부, 퀘스트를 등록하는 퀘스트 등록부, 퀘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퀘스트 정보부, 퀘스트 수행 가능 여부에 따라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퀘스트 관리부 및 퀘스트 성공 여부에 따라 직원에게 보상경험치를 지급하는 보상지급부를 포함하는 퀘스트 서버; 및
    상기 퀘스트 서버와 통신하여 퀘스트를 수행하는 직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직원정보부는,
    회사에 등록되어 있는 직원의 이름, 나이, 성별, 직책, 사원번호, 현재경험치 및 퀘스트 수행 정보(구간,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직원정보부는,
    상기 보상지급부에서 지급되는 보상경험치를 상기 현재경험치에 더하여 직원의 퀘스트 수행 시 마다 상기 현재경험치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직원정보부는,
    상기 퀘스트 수행 정보에 따라 직원의 현재경험치가 필요경험치를 충족하는 경우 해당 직원의 레벨을 업그레이드하고, 회사에서는 회사에서 정한 일정 주기마다 레벨이 업그레이드된 것을 정산하여 매칭되는 연봉으로 직원과 협상하고,
    상기 퀘스트 등록부는,
    새로운 퀘스트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 관리자에 의해 퀘스트의 이름과 설명을 입력 받고,
    상기 새로운 퀘스트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업무관리 툴 (ms project, jira, notion)을 사용해서 등록 가능하고,
    상기 퀘스트 정보부는,
    상기 퀘스트 등록부에서 입력된 이름이 노출되고,
    상기 퀘스트 정보부는,
    상기 직원 단말기에 의해 상기 퀘스트의 이름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퀘스트에 대한 업무 내용, 업무 방향이 포함되어 있는 설명을 제공하고,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하나의 직원 단말기가 수행하는 퀘스트의 개수를 제한하여 한 명의 직원이 다수 개의 퀘스트 수행을 방지하고,
    상기 퀘스트 관리부는,
    상기 퀘스트 수행 정보(구간, 레벨, 필요경험치)에 따라 각 구간 및 레벨에 수행 가능한 퀘스트만 상기 직원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보상지급부는,
    상기 직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퀘스트를 성공한 것이 확인된 경우 정해진 보상경험치를 지급하고,
    상기 보상지급부는,
    특별 퀘스트의 경우, 퀘스트 완료 시 특별 보상경험치 획득이 가능하고,
    키오스크는, 상기 퀘스트 수행 정보(구간, 레벨, 필요경험치, 연봉)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용지로 출력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력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 위치한 다리지지부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다리부가 보호되고,
    상기 다리지지부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와 밀착 고정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동일한 길이 및 너비로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단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위치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단에 상기 제1 지지대와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되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위치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판은,
    하단에 위치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내측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는 하단완충부; 및
    상기 하단완충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되, 너비 및 길이는 상기 하단완충부와 동일한 너비 및 길이로 형성되는 상단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층은,
    상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연결지지부에 의해 상기 상단완충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단완충부가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상단완충부가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축하고,
    상기 상단완충부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수축 구동하는 스펀지를 포함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층은,
    비어 있는 내부에 완충스프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완충스프링은,
    'ㅗ'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과 맞닿는 하단판이 상기 공기층의 비어 있는 하단인 바닥면에 수평하게 위치되어 고정되고, 바닥면과 맞닿는 하단판은 상기 공기층의 비어 있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바닥면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상단기둥은 상기 공기층의 비어 있는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지지대;
    상기 중앙지지대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상단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발생하는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하단으로 이동하는 상기 상단완충부에 의해 수축 구동하는 수축이완부; 및
    상기 수축이완부의 개방되어 있는 하단에 삽입하여 상기 중앙지지대에 끼움 고정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축이완부는,
    상기 중앙지지대의 상단을 감싸는 코일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지지대의 바닥면과 맞닿는 하단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판은,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층의 비어 있는 내부 하단에 위치한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단기둥은,
    상기 덮개부가 끼움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축이완부는,
    상기 공기층의 구동에 의해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기둥과 맞닿아 밀착 고정되는 내측벽;
    상기 내측벽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덮개부가 상단에 밀착되고,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는 덮개밀착부; 및
    상기 내측벽을 감싸도록 위치하며 상기 덮개밀착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층의 구동에 의해 수축 및 이완 구동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밀착부는,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공기층의 상단부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눌려지더라도 상기 덮개부가 내부로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밀착부의 밀착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밀착부의 상단에 밀착하는 밀착홈;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하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끼움돌출부; 및
    원뿔 모양의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내부홈;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홈은,
    상기 덮개밀착부의 둥글게 형성된 상단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인 둥글게 형성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출부는,
    상기 끼움홈의 직경과 길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내부홈은,
    상기 공기층의 상단에 밀착되어 위치하는, 성과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00439A 2022-08-11 2022-08-11 성과 측정 시스템 KR10246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439A KR102461541B1 (ko) 2022-08-11 2022-08-11 성과 측정 시스템
KR1020220138249A KR102481453B1 (ko) 2022-08-11 2022-10-25 주체적인 업무 관리가 가능한 성과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439A KR102461541B1 (ko) 2022-08-11 2022-08-11 성과 측정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249A Division KR102481453B1 (ko) 2022-08-11 2022-10-25 주체적인 업무 관리가 가능한 성과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541B1 true KR102461541B1 (ko) 2022-11-01

Family

ID=840425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439A KR102461541B1 (ko) 2022-08-11 2022-08-11 성과 측정 시스템
KR1020220138249A KR102481453B1 (ko) 2022-08-11 2022-10-25 주체적인 업무 관리가 가능한 성과 측정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249A KR102481453B1 (ko) 2022-08-11 2022-10-25 주체적인 업무 관리가 가능한 성과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15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87B1 (ko) * 2015-08-27 2016-10-05 유호영 퀘스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퀘스트 수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19325A (ko) * 2018-08-14 2020-02-24 최재완 층간 소음 차단 구조체
KR102286028B1 (ko) * 2021-03-19 2021-08-04 주식회사 렛유인 인공지능 기반 인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93466B1 (ko) 2020-07-07 2021-08-24 한국동서발전(주)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
KR20220003861A (ko) * 2020-07-02 2022-01-11 채희철 통합 스마트 인사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간 업무 성과 평가 방법
KR102414427B1 (ko) * 2022-05-16 2022-06-28 안상규 소비자 맞춤형 상품 추천 기능이 구비된 상품 판매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87B1 (ko) * 2015-08-27 2016-10-05 유호영 퀘스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퀘스트 수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19325A (ko) * 2018-08-14 2020-02-24 최재완 층간 소음 차단 구조체
KR20220003861A (ko) * 2020-07-02 2022-01-11 채희철 통합 스마트 인사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간 업무 성과 평가 방법
KR102293466B1 (ko) 2020-07-07 2021-08-24 한국동서발전(주)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
KR102286028B1 (ko) * 2021-03-19 2021-08-04 주식회사 렛유인 인공지능 기반 인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14427B1 (ko) * 2022-05-16 2022-06-28 안상규 소비자 맞춤형 상품 추천 기능이 구비된 상품 판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453B1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26385A1 (en) Gaming cabinet
US8008560B2 (en) Musical system
US6808324B2 (en) Image stabilization and balancing system
US5567939A (en) Infrared scanner and stand assembly
KR102461541B1 (ko) 성과 측정 시스템
TW415992B (en) Low-bed type semismic isolator for display case
JP2007170561A (ja) 免震台
US3022974A (en) Accessory holding device
DE4028540C2 (de) Vorrichtung zur Geräuschisolation von Laufbildkameras
EP3176777A1 (de) Akkordzither mit einer dämpfungseinrichtung
CN214843233U (zh) 建筑立面三维激光扫描测绘装置
DD284767A5 (de) Mikroskopstativ
US2588766A (en) Automobile wheel balancer
KR102440707B1 (ko) 공장 추천 시스템
JP3235136U (ja) 接続部材
CN215913859U (zh) 一种计算机科学与技术展示装置
DE102013108247A1 (de) Gehwagen
CN210331605U (zh) 一种用于健美操队训练装置
US3418035A (en) Adjustable multi-power stereoscope with collapsible support
CN220182688U (zh) 一种方便调节的导航装置及agv叉车
JP2000262331A (ja) 学校用木製学習机
US2273491A (en) Business machine
CN210112203U (zh) 飞翼式器材避震架
CN211149846U (zh) 一种使用方便的国际商务教学展示板
CN211292745U (zh) 一种带有移动支架的液相色谱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