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466B1 -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466B1
KR102293466B1 KR1020200083724A KR20200083724A KR102293466B1 KR 102293466 B1 KR102293466 B1 KR 102293466B1 KR 1020200083724 A KR1020200083724 A KR 1020200083724A KR 20200083724 A KR20200083724 A KR 20200083724A KR 102293466 B1 KR102293466 B1 KR 10229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r
energy efficiency
target period
period
pow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재
정유나
김병조
Original Assignee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to KR102020008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전력사용 설비에 대한 에너지 성과측정 방법은,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베이스라인을 도출하는 단계; 타겟 기간 동안 전력사용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전력사용 설비 중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되지 않은 미구축범위에 대한 전력사용량이 반영된 조정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베이스라인,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 및 조정값을 이용하여,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효율 향상 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성과를 측정 및 관리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적 이슈 등으로 인해,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에너지 절감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에 따라, 우리나라는 에너지소비 구조를 최적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에스코 사업과 같은 에너지효율화 사업의 도입이 적극 장려되는 추세이다.
한전, 가스공사 등 에너지공급자에게 에너지 절감목표 달성의무를 부과하는 "효율향상 의무화 제도(EERS, 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는 일반국민, 기업 등 전기 소비자에게 고효율 설비 및 시스템 설치를 지원하는 제도로서, 비용효과적인 효율투자를 위해서는 에너지절감 성과를 계량할 수 있어야 한다.
에너지효율화 사업에서도 마찬가지로, 시스템의 구축 이후에 에너지 효율향상(Energy Efficiency)에 대해 사업자와 고객 간 신뢰할 수 있는 성과 측정 방식을 마련하여, 에너지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이와 같이 에너지 효율화 사업이 정착, 확산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성과측정 방식이 필요하며, 이를 기준으로 에너지 절감효과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저감 효과 등 환경적 편익을 정량적으로 분석 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수요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서, 에너지 효율향상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성과 측정 방식 및 그에 따른 최적화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에너지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전력사용 설비에 대한 에너지 성과측정 방법은,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베이스라인을 도출하는 단계; 타겟 기간 동안 전력사용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전력사용 설비 중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되지 않은 미구축범위에 대한 전력사용량이 반영된 조정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베이스라인,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 및 조정값을 이용하여,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정값을 도출하는 단계는, 타겟 기간의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에서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준 기간의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을 제외한 값을 조정값으로 도출할 수 있으며, 기준 기간은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후 1년차에 대해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관리 방법은, 베이스라인 및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을 이용하여,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후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해,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관리 방법은, 타겟 기간 동안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부하에 대한 구축범위 전력사용량을 측정하는 단계;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에서 구축범위 전력사용량을 제외하여 타겟 기간의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효율향상률은 수학식
Figure 112020070611821-pat00001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단계는,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후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라인은,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전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전력사용 설비를 포함하는 부하에 대한 에너지 관리 장치는, 타겟 기간 동안 전력사용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을 획득할 수 있는 통신부;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베이스라인을 도출하고, 전력사용 설비 중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되지 않은 미구축범위에 대한 전력사용량이 반영된 조정값을 도출하고, 베이스라인,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 및 조정값을 이용하여,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타겟 기간의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에서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준 기간의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을 제외한 값을 조정값으로 도출할 수 있으며, 기준 기간은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후 1년차에 대해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베이스라인 및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을 이용하여,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후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해,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타겟 기간 동안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부하에 대한 구축범위 전력사용량을 측정하고,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에서 구축범위 전력사용량을 제외하여 타겟 기간의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효율향상률은 수학식
Figure 112020070611821-pat00002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후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라인은,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전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효율향상에 대해 사업자와 고객 간 신뢰할 수 있는 성과 측정 기준을 마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최적화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는, 전력사용 설비 중 에너지효율화 장치의 미구축범위 전력사용량을,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나타내는 효율향상률의 결정에 활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성과 측정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효율화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는, 에너지효율화 성과의 목표값을 제시하고, 목표값에의 도달 여부에 대응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문제점 발생 시 빠른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관리 장치에서 전력사용량을 구분하여 측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성과측정 방법으로서 1년차의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성과측정 방법으로서 2년차 이후의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방법에 따른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예들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은, 에너지 관리 장치(100)와 복수의 부하(210, 220, 230, … , 240)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부하(210, 220, 230, … , 240)는 각각이 가정이나, 사업장, 캠퍼스 등의 전력소모장치로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하(210, 220, 230, … , 240)는 대학 캠퍼스나 기업의 사업장과 같이 특정 단위 구역의 집합체를 구성하는 각 건물동의 전력소모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부하(210, 220, 230, … , 24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전력량계(211, 221, 231, … , 241)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전력량계의 구현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수용가에 설치되는 한전전력량계, 예를 들면, MOF(계기용변성기, metering outfit)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전력량계(211, 221, 231, … , 241)는 기 구축된 원격검침 통신망을 통해 검침데이터, 즉, 전력사용량 정보를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해 마련된 에너지 관리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전력량계(211, 221, 231, … , 241)로부터 각 부하(210, 220, 230, … , 240)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부하(210, 220, 230, … , 240)에는 에스코(ESCO, Energy Service Company) 사업에 따른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전력사용 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
에스코 사업은 노후설비의 교체, 폐열회수설비 설치, 고효율 설비의 설치 등을 필요로 하는 고객의 사업장, 캠퍼스 등에 정부가 지원하는 장기, 저리의 자금을 이용하여 에너지절감기업(ESCO)이 선 투자하고, 에너지절감액으로 투자비를 회수하는 에너지효율화 사업이다.
이러한 에너지효율화 사업에서는, 에너지효율 성과보증과 함께 성과지표로서,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도입 후 소비전력 감소를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향상률에 대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측정방식의 도입 및 그에 대한 고객과의 합의가 중요하다.
에너지효율화 장비는, 부하(210, 220, 230, … , 240)에 설치되는 조명, 난방 등의 고효율 전기설비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스위치, 스마트콘센트, 에너지절약형 공기조화시스템, 폐열보일러 등의 다양한 설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하(210, 220, 230, … , 240)의 전력사용 설비는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구축범위와,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되지 않은 미구축범위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범위와 미구축범위는 개별 부하(210, 220, 230, … , 240) 내에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너지 관리 장치(100)의 관리대상인 전체 부하 (210, 220, 230, … , 240)의 집합체에 대하여, 각 부하 (210, 220, 230, … , 240) 별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범위는 후술하는 에너지효율화에 대한 성과측정 목표값에 대응하여 그 범위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너지효율화에 대한 성과측정 목표값을 높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장비의 구축범위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부하(210, 220, 230, … , 240)에 대하여, 전력사용 설비 전체의 전력사용량 뿐 아니라, 전력사용 설비 중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을 별도로 계량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에 따라,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범위와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을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관리 장치에서 전력사용량을 구분하여 측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부하(210, 220, 230, … , 240) 중 특정 부하,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하(210)에 설치된 전력량계(211)를 통해 전력사용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제1부하(210)의 전력사용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 즉, 전체 전력사용량(MOF)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제1부하(210)의 전력사용 설비 중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1)을 획득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획득된 제1부하(210)의 전체 전력사용량(MOF)에서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1)을 제외하여,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을 도출할 수 있다.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방식으로, 각 부하(210, 220, 230, … , 240)에 대하여,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도출된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을 이용하여, 각 부하(210, 220, 230, … , 240) 별로 소정 타겟 기간(당월)에 대한 에너지효율화 장비에 의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해 마련되는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부하(210, 220, 230, … , 240)에 대한 전력사용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력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각 부하(210, 220, 230, … , 240)의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도출할 수 있는 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복수의 부하(210, 220, 230, … , 240) 각각에 마련된 의 전력량계(211, 221, 231, … , 241)로부터 검침데이터, 다시 말해, 전력사용량을 수집할 수 있는 네트워크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10)는 기 구축된 원격검침 통신망을 통해 각 부하(210, 220, 230, … , 240)의 전력량계(211, 221, 231, … , 241)로부터 전력사용량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를 통해 획득되는 전력사용량은, 각 부하(210, 220, 230, … , 240)의 전력사용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MOF)과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장치의 개수와 구현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단말장치는 예를 들어, 에너지효율화 사업의 고객, 투자자, 관리자, 및 이를 지원하는 정부의 스마트 폰,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너지 관리 장치(100)에서 결정된 에너지 효율향상률에 관한 데이터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단말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을 수신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버튼이나, 키보드, 마우스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을 포함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GUI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각 부하(210, 220, 230, … , 240)로부터 수집된 전력사용량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GUI에 대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5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5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에너지 관리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50)에는 통신부(110)를 통해 각 부하(210, 220, 230, … , 240)의 전력량계(211, 221, 231, … , 241)로부터 획득한 전력사용량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사용량 정보는 소정 기간, 예를 들면, 월별로 수집되어, 저장부(140)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100)의 저장부(140)에는 복수의 부하(210, 220, 230, … , 240)의 전력사용량 정보 및 에너지효율화 장비에 의한 에너지효율 절감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이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에너지 관리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에너지 관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그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40)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각 부하(210, 220, 230, … , 240)로부터 수집한 전력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부하(210, 220, 230, … , 240) 별로 타겟 기간(당월)에 대한 에너지효율 항샹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인 롬(ROM)에 저장된 소정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휘발성 메모리인 램(RAM)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에너지 관리 장치(100)의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전력사용 설비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하(210, 220, 230, … , 240) 각각에 대해, 기간 별 전력사용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그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후 소정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효율화 성과, 다시 말해,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도출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어느 하나의 부하, 예를 들어, 제1부하(210)에 대해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다른 부하들(220, 230, … , 240)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성과측정 방법으로서 1년차의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성과측정 방법으로서 2년차 이후의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의 방법에 따른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예들을 제시한다.
먼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하여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측정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복수의 부하(210, 220, 230, … , 240) 중 하나의 부하, 예를 들면, 제1부하(210)에 대해 소정 타겟 기간에 대응하는 베이스라인(baseline)을 도출할 수 있다(401).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부하(210)의 전력량계(211)로부터 수집되어 저장된 데이터, 즉, 월별 전력사용량 정보에 기반하여,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응하는 베이스라인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기간은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는 기간으로, 일례로 월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일 실시예에서, 제1부하(210)의 전력사용 설비에 대해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2017년 12월에 설치되었다고 할 때, 1년차, 다시 말해, 2018년의 1월, 2월, ... , 12월 각각이, 타겟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베이스라인은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운용에 따른 에너지성과에 대한 평가의 기준점으로서, 일례로,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전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전력사용량(전기사용량)의 평균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기간이 2018년 5월이라고 할 때, 베이스라인은 최근 3년, 즉, 2015년 5월, 2016년 5월, 2017년 5월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이 된다. 여기서, 누적 기간은 최근 3년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최근 5년, 최근 2년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정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평균 전력사용량으로서 도출된 베이스라인(610)의 값은 100으로 환산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타겟 기간 동안 전력사용 설비에 대한 전체 전력사용량을 획득할 수 있다(402).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부하(210)의 전력량계(211)로부터 타겟 기간, 예를 들면, 당해 년도인 2018년 5월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타겟 기간, 예를 들면, 2018년 5월에 대하여, 제1부하(210)의 전력사용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MOF)(이하, 전체 전력사용량 이라고도 한다)을 획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1년차의 소정 타겟 기간(620)에 대하여 획득된 전체 전력사용량(MOF)은, 베이스라인(610) 대비 80으로 환산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제1부하(210)의 전력량계(211)로부터 1년차의 소정 타겟 기간, 예를 들면, 2018년 5월에 대하여, 제1부하(210)의 전력사용 설비 중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1a)을 더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렇게 획득되는 1년차의 각 기간 별, 다시 말해, 월별 전체 전력사용량(MOF)과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1a)을 이용하여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a)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1년차의 각 기간은 기준 기간으로서, 산출된 각 기준 기간 별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a)은 후술하는 도 6의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의 결정에서 사용되는 조정값을 도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1년차의 소정 기준 기간(620)에 대한 전체 전력사용량(MOF)가 80이고,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1a)이 60인 경우,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a)는 20으로 환산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단계 401에서 도출된 베이스라인 및 단계 402에서 획득된 타겟 기간의 전체 전력사용량(MOF)를 이용하여,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효율화 성과로서 효율향상률을 결정할 수 있다(403).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효율향상률(%)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0070611821-pat00003
도 6에 도시된 1년차의 타겟 기간(620)에 대한 환산값을 상기 수학식 1에 적용하면, 효율향상률(%)은
Figure 112020070611821-pat00004
로 결정된다. 따라서, 1년차의 소정 타겟 기간, 예를 들어, 2018년 5월의 에너지효율화 성과로서 효율향상률 20%가 도출되게 된다.
제어부(150)는 단계 403에서 결정된 효율향상률을 포함하여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404), 여기서, 사용자는, 에너지효율화 사업의 고객, 투자자, 관리자, 및 이를 지원하는 정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에너지효율화 성과가 객관적인 지표인 효율향상률로 제공됨으로써, 에너지효율화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단계 403에서 도출된 1년차의 각 기간 별, 다시 말해, 기준 기간별 효율향상률 20%는 후술하는 도 6의 2년차 이후의 대응되는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의 기준값 또는 목표값(이하, 목표향상률 또는 기준향상률 이라고도 한다)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즉, 2년차 이후에서는 타겟 기간에 대해 결정되는 효율향상률이 대응되는 1년차의 기준 기간의 목표향상률에 도달하는지 여부가 에너지효율화 성과가 실질적으로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 가능하다.
일 실시예의 에너지 관리 장치(100)에서, 목표향상률 20%는 에너지효율화에 대한 성과측정 목표값을 반영하여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 목표값에 따라서 에너지효율화 설비의 구축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하여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측정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복수의 부하(210, 220, 230, … , 240) 중 하나의 부하, 예를 들면, 제1부하(210)에 대해 소정 타겟 기간에 대응하는 베이스라인(baseline)을 도출할 수 있다(501).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부하(210)의 전력량계(211)로부터 수집되어 저장된 데이터, 즉, 월별 전력사용량 정보에 기반하여,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응하는 베이스라인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기간은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는 기간으로, 일례로 월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일 실시예에서, 제1부하(210)의 전력사용 설비에 대해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2017년 12월에 설치되었다고 할 때, 2년차, 다시 말해, 2019년의 1월, 2월, ... , 12월 각각이, 타겟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3년차, 다시 말해, 2020년의 1월, 2월, ... , 12월 각각이 타겟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4년차 이상에 대해서도 월별로 타겟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베이스라인은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운용에 따른 에너지성과에 대한 평가의 기준점으로서, 일례로,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전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전력사용량(전기사용량)의 평균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2017년 12월에 설치되고, 타겟 기간이 2019년 8월이라고 할 때, 베이스라인은 장비 구축 전 최근 3년, 즉, 2015년 8월, 2016년 8월, 2017년 8월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이 된다. 다른 예로서,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2017년 6월에 설치되고, 타겟 기간이 2020년 3월이라고 할 때, 베이스라인은 장비 구축 전 최근 3년, 즉, 2015년 3월, 2016년 3월, 2017년 3월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이 된다. 여기서, 누적 기간은 최근 3년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최근 5년, 최근 2년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정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평균 전력사용량으로서 도출된 베이스라인(610)의 값은 100으로 환산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타겟 기간 동안 전력사용 설비에 대한 전체 전력사용량 및 전력사용 설비 중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을 획득할 수 있다(502).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부하(210)의 전력량계(211)로부터 타겟 기간, 예를 들면, 당해 년도인 2019년 8월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소정 타겟 기간에 대하여 제1부하(210)의 전력사용 설비 전체에 대한 전력사용량, 즉, 전체 전력사용량(MOF) 및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1b, M1c, M1d, M1e)을 획득할 수 있다.
도 6의 일례를 참조하면,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 1(631), 예를 들면, 2019년 8월에 대하여 획득된 전체 전력사용량(MOF)은, 베이스라인(610) 대비 100으로 환산되고, 같은 타겟 기간 1에 대해 획득된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1b)는, 베이스라인(610) 대비, 60으로 환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 2(632), 예를 들면, 2020년 3월에 대하여 획득된 전체 전력사용량(MOF)은, 베이스라인(610) 대비 70으로 환산되고, 같은 타겟 기간 2에 대해 획득된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1c)는, 베이스라인(610) 대비, 60으로 환산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다른 타겟 기간들, 다시 말해, 타겟 기간 2와 타겟 기간 3(633, 634)에 대하여도 전체 전력사용량(MOF)과 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1d, M1e)이 도 6과 같이 환산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단계 503에서 획득된 전체 전력사용량(MOF)에서 구축범위 전력사용량(M1b, M1c, M1d, M1e)을 제외한 미구축범위 전력사용량(M2b, M1c, M2d, M2e)를 산출할 수 있다(503).
도 6의 일례를 참조하면,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 1(631), 예를 들면, 2019년 8월에 대한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b)는 40으로 환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 2(632), 예를 들면, 2020년 3월에 대한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c)는 10으로 환산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다른 타겟 기간들, 다시 말해, 타겟 기간 2와 타겟 기간 3(633, 634)에 대하여도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d, M2e)이, 도 6과 같이, 40과 10으로 환산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단계 503에서 산출된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b, M2c, M2d, M2e)과, 도 4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준 기간(1년차)의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a)을 이용하여 조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504).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타겟 기간의 산출된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b, M2c, M2d, M2e)에서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준 기간의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a)을 제외한 값을 조정값으로 도출할 수 있다.
도 6의 일례를 참조하면,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 1(631), 예를 들면, 2019년 8월에 대한 조정값은 M2b-M2a = 40-20 = 20으로 도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 2(632), 예를 들면, 2020년 3월에 대한 조정값은 M2c-M2a = 10-20 = -10으로 도출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다른 타겟 기간들, 다시 말해, 타겟 기간 2와 타겟 기간 3(633, 634)에 대하여도 조정값은 M2d- M2a = 40-20 = 20, M2e- M2a = 10-20 = -10으로 각각 도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도출된 각 타겟 기간의 조정값들은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나타내는 효율향상률이 단순하게 전력사용량의 증감이 아니라,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범위와 미구축범위 각각에서 발생하는 전력사용량의 변화까지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단계 501에서 도출된 베이스라인, 단계 502에서 획득된 타겟 기간의 전체 전력사용량(MOF) 및 단계 504에서 도출된 조정값을 이용하여,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효율화 성과로서 효율향상률을 결정할 수 있다(503).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0070611821-pat00005
여기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에너지 관리 장치(100)는, 당해 타겟 기간의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b)뿐 아니라, 타겟 기간에 대응하는 기준 기간의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a)도 효율향상률을 결정하기 위한 조정값에 반영되도록 한다. 즉, 1년차의 대응하는 기준 기간에 대해 도출된 목표향상률인 도 4의 실시예에서 결정된 20%를 기준값으로 설정해 두고,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서 약속된 목표향상률에 도달하는지를 효율향상률에 의해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 1(631), 예를 들면, 2019년 8월에 대한 환산값과 조정값을 수학식 2에 적용하면, 효율향상률(%)은
Figure 112020070611821-pat00006
로 결정된다.
즉, 도 6에서 타겟 기간 1(631)의 전체 전력사용량(MOF)은 베이스라인과 같은 100으로 환산되므로, 에너지효율화 성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는 기준 기간(1년차) 대비 구축범위 전력사용량(M1b)이 그대로 유지(M1a 60과 M1b 60으로 동일)된데 반해, 미구축범위 전력사용량(M2b)이 크게 증가(M2a 20에서 M2b 40으로 20 증가)한데 따른 것으로서, 단순히 전체 전력사용량을 비교하여서는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
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b)이 반영된 조정값 M2b-M2a을 적용하여 결정된 타겟 기간 1에 대한 효율향상률(%)은 20% 로서, 에너지효율화 장비를 도입함으로써 실질적으로 20%의 에너지절감 효과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된다.
다른 예로서,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 2(632), 예를 들면, 2020년 3월에 대한 환산값과 조정값을 수학식 2에 적용하면, 효율향상률(%)은
Figure 112020070611821-pat00007
로 결정된다.
즉, 도 6에서 타겟 기간 2(632)의 전체 전력사용량(MOF)은 베이스라인 대비 70으로 환산되므로, 에너지효율화 성과가 30%에 달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는 기준 기간(1년차) 대비 구축범위 전력사용량(M1c)이 그대로 유지(M1a 60과 M1c 60으로 동일)된데 반해, 미구축범위 전력사용량(M2c)이 크게 감소(M2a 20에서 M2c 10으로 10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서, 단순히 전체 전력사용량을 비교하여서는 에너지효율화 장비에 의한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
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c)이 반영된 조정값 M2c-M2a을 적용하여 결정된 타겟 기간 2에 대한 효율향상률(%)은 20% 로서,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도입에 따른 실질적인 에너지절감 효과는 20%인 것으로 확인된다.
또 다른 예로서,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 3(633)에 대한 환산값과 조정값을 수학식 2에 적용하면, 효율향상률(%)은
Figure 112020070611821-pat00008
로 결정된다.
즉, 도 6에서 타겟 기간 3(633)의 전체 전력사용량(MOF)은 베이스라인 대비 90으로 환산되므로, 에너지효율화 성과가 10%에 불과한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는 기준 기간(1년차) 대비 구축범위 전력사용량(M1d)의 감소(M1a 60에서 M1d 60으로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구축범위 전력사용량(M2d)이 큰 폭으로 증가(M2a 20에서 M2d 40으로 20 증가)한데 따른 것으로서, 단순히 전체 전력사용량을 비교하여서는 에너지효율화 장비에 의한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
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d)이 반영된 조정값 M2d-M2a을 적용하여 결정된 타겟 기간 3에 대한 효율향상률(%)은 30% 로서,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도입에 따라 실질적으로 30%에 달하는 에너지절감 효과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된다.
또 다른 예로서,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 4(634)에 대한 환산값과 조정값을 수학식 2에 적용하면, 효율향상률(%)은
Figure 112020070611821-pat00009
로 결정된다.
즉, 도 6에서 타겟 기간 4(634)의 전체 전력사용량(MOF)은 베이스라인 대비 80으로 환산되므로, 에너지효율화 성과가 20%가 달성된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는 기준 기간(1년차) 대비 구축범위 전력사용량(M1e)은 증가(M1a 60에서 M2e 70으로 증가)하였으나, 미구축범위 전력사용량(M2e)이 감소(M2a 20에서 M2e 10으로 10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서, 단순히 전체 전력사용량을 비교하여서는 에너지효율화 장비에 의한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
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M2e)이 반영된 조정값 M2e-M2a을 적용하여 결정된 타겟 기간 4에 대한 효율향상률(%)은 10% 로서,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도입에 따른 실질적인 에너지절감 효과는 10%가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타겟 기간 4(634)의 일례에서는, 타겟 기간 1, 2, 3의 경우와 비교하여, 결정된 효율향상률이 목표향상률인 20%에 미달하므로, 에너지절감 효과가 예상보다 낮아진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단계 505에서 결정된 효율향상률을 포함하여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506), 여기서, 사용자는, 에너지효율화 사업의 고객, 투자자, 관리자, 및 이를 지원하는 정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에너지효율화 성과가 객관적인 지표인 효율향상률로 제공됨으로써, 에너지효율화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타겟 기간 1, 2, 3(631, 631, 633)의 예시에서는 효율향상률이 목표향상률에 도달한 반면, 타겟 기간 4(634)의 예시에서는 결정된 효율향상률이 목표향상률인 20%에 미달하게 되므로, 관리자는 에너지절감 효과가 예상보다 낮아진 점을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설비 점검 등을 통해 문제점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또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 실시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은 프로세서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단계들과 같은 제어부(15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은 에너지 관리 장치(100)에 구비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또는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인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메모리와,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 로딩되는 RAM과, RAM에 로딩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메모리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플래쉬메모리, ROM, CD-ROMs, 자기테이프(magnetic tapes), 플로피 디스크, 광기억 장치(optical storage)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휘발성메모리는 본 발명의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의 일례이다.
1 : 에너지 관리 시스템 100 : 에너지 관리 장치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210, 220, 230, 240 : 부하

Claims (16)

  1.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전력사용 설비를 포함하는 부하에 대한 에너지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성과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하에 대해 상기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시점으로부터 1년차 또는 2년차 이후의 소정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베이스라인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타겟 기간 동안 상기 부하의 전력사용 설비 전체에 대한 전체 전력사용량 및 상기 전력사용 설비 중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구축범위에 대한 구축범위 전력사용량을 각각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겟 기간이 상기 1년차의 소정 기간인 경우, 상기 베이스라인 및 상기 전체 전력사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타겟 기간이 상기 2년차 이후의 소정 기간인 경우, 상기 전체 전력사용량 및 상기 구축범위 전력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사용 설비 중 상기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되지 않은 미구축범위에 대한 미구축범위 전력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타겟 기간이 상기 2년차 이후의 소정 기간인 경우, 상기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의 상기 미구축범위 전력사용량에서 상기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응하는 상기 1년차의 타겟 기간으로 설정된 기준 기간의 상기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을 제외한 값에 대응하는 조정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타겟 기간이 상기 2년차 이후의 소정 기간인 경우, 상기 베이스라인, 상기 전체 전력사용량 및 상기 조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 또는 상기 결정된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포함하여 상기 에너지효율화 장비에 의한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은 상기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의 목표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에너지효율화 성과의 지표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성과측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효율향상률은 수학식
    Figure 112021058342818-pat00010
    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성과측정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라인은, 상기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전 상기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성과측정 방법.
  9.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전력사용 설비를 포함하는 부하에 대한 에너지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시점으로부터 1년차 또는 2년차 이후의 소정 타겟 기간 동안 상기 부하의 전력사용 설비 전체에 대한 전체 전력사용량 및 상기 전력사용 설비 중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된 구축범위에 대한 구축범위 전력사용량을 각각 획득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부하에 대해 상기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시점으로부터 1년차 또는 2년차 이후의 소정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베이스라인을 도출하고,
    상기 타겟 기간이 상기 1년차의 소정 기간인 경우, 상기 베이스라인 및 상기 전체 전력사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기간이 상기 2년차 이후의 소정 기간인 경우, 상기 전체 전력사용량 및 상기 구축범위 전력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사용 설비 중 상기 에너지효율화 장비가 구축되지 않은 미구축범위에 대한 미구축범위 전력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타겟 기간이 상기 2년차 이후의 소정 기간인 경우, 상기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의 상기 미구축범위 전력사용량에서 상기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응하는 상기 1년차의 타겟 기간으로 설정된 기준 기간의 상기 미구축범위의 전력사용량을 제외한 값에 대응하는 조정값을 도출하고,
    상기 타겟 기간이 상기 2년차 이후의 소정 기간인 경우, 상기 베이스라인, 상기 전체 전력사용량 및 상기 조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 또는 상기 결정된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을 포함하여 상기 에너지효율화 장비에 의한 에너지효율화 성과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1년차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은 상기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률의 목표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에너지효율화 성과의 지표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년차 이후의 타겟 기간에 대한 효율향상률은 수학식
    Figure 112021058342818-pat00011
    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 장치.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라인은, 상기 에너지효율화 장비의 구축 전 상기 타겟 기간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누적 기간의 전력사용량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 장치.
KR1020200083724A 2020-07-07 2020-07-07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 KR102293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24A KR102293466B1 (ko) 2020-07-07 2020-07-07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24A KR102293466B1 (ko) 2020-07-07 2020-07-07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466B1 true KR102293466B1 (ko) 2021-08-24

Family

ID=7750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724A KR102293466B1 (ko) 2020-07-07 2020-07-07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541B1 (ko) 2022-08-11 2022-11-01 주식회사 젠틀매니악 성과 측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414A (ko) * 2010-05-04 2011-11-10 (주)디더블유아이 에너지 효율 관리 방법 및 에너지 효율 관리 시스템
KR101374732B1 (ko) * 2012-12-12 2014-04-17 주식회사 케세코 전기에너지 효율개선 및 평가 시스템
KR20180098179A (ko) * 2017-02-24 2018-09-03 주식회사 케이티 대상 건물에 대한 에너지 절감 가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414A (ko) * 2010-05-04 2011-11-10 (주)디더블유아이 에너지 효율 관리 방법 및 에너지 효율 관리 시스템
KR101374732B1 (ko) * 2012-12-12 2014-04-17 주식회사 케세코 전기에너지 효율개선 및 평가 시스템
KR20180098179A (ko) * 2017-02-24 2018-09-03 주식회사 케이티 대상 건물에 대한 에너지 절감 가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541B1 (ko) 2022-08-11 2022-11-01 주식회사 젠틀매니악 성과 측정 시스템
KR102481453B1 (ko) 2022-08-11 2022-12-26 주식회사 젠틀매니악 주체적인 업무 관리가 가능한 성과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1022A1 (en) Data Center Total Resource Utilization Efficiency (TRUE) System And Method
US201200539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 Power and Resource Consumption Modeling
EP22903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patterns discovery
US83467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power consumption behaviors of electric appliances in a loop
US201900864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source utilization improvements
CN105247374B (zh) 采用温度分布加权的测量和验证的方法和系统
JP6610059B2 (ja) 電力需要誘導装置
US201101456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energy-consumption control method
JP5710324B2 (ja) 環境情報管理装置、環境情報管理方法、及び環境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2269887B1 (ko) 전력량계 검침 장치 및 그것의 검침 방법
US201802257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wer production in an electrical power grid
KR102293466B1 (ko)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
JP2023532731A (ja) 予測モデリングを介した燃料漏れ判定
JP5283143B1 (ja) 機器や設備に対して稼働状況の診断を行う稼働状況診断装置、稼働状況診断方法、及び、稼働状況診断プログラム
US20220004902A1 (en) Methods for remote building intelligence, energy waste detection, efficiency tracking, utility management and analytics
CN105183627A (zh) 一种服务器性能预测的方法及系统
JP5941789B2 (ja) 部品需要予測システム、部品需要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00085B2 (ja) 評価支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32106B2 (en) Method of visualizing consum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device, storage means, and software program therefor
KR102318017B1 (ko) 빈집 관리분석 및 예측 장치 및 방법
JP7435047B2 (ja) 情報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4548673A (zh) 一种减排指标监测方法及装置
JP6154974B1 (ja) エネルギー使用量の予測システム、エネルギー使用量の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280663A (ja) ユーティリティ使用状況管理システム
JP2002092075A (ja) 建築設備再投資方法、その保証方法、建築設備再投資システム及び出力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