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725B1 -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725B1
KR102460725B1 KR1020220090383A KR20220090383A KR102460725B1 KR 102460725 B1 KR102460725 B1 KR 102460725B1 KR 1020220090383 A KR1020220090383 A KR 1020220090383A KR 20220090383 A KR20220090383 A KR 20220090383A KR 102460725 B1 KR102460725 B1 KR 102460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oiler tube
main body
coupled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오
Original Assignee
케이피이엔지 주식회사
안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피이엔지 주식회사, 안진오 filed Critical 케이피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5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sensor relative to a stationary material
    • B08B1/002
    • B08B1/008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1Analysing solids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e.g. using Lamb, Rayleigh or shear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6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e.g. acoustic microscopy
    • G01N29/0654Imaging
    • G01N29/069Defect imaging, localisation and sizing using, e.g. time of flight diffraction [TOFD], synthetic aperture focusing technique [SAFT], Amplituden-Laufzeit-Ortskurven [ALOK]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4Internal reflections (echoes), e.g. on walls or de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26Scanned objects
    • G01N2291/263Surfaces
    • G01N2291/2634Surfaces cylindrical from out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 튜브의 표면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탐촉자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 튜브의 외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갖는 지지부; 상기 탐촉자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초음파 영상을 표출하는 화면부를 구비한 탐상기; 상기 지지부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일러 튜브의 외면에 지지되는 브러쉬를 구비하여 보일러 튜브 표면의 먼지를 제거토록 하는 제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Non-destructive testing equipment for power plant boilers}
본 발명은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챔버, 튜브 등의 용접부위의 이상 유무, 불량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사전에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 발전소는 많은 기기와 튜브{WW 튜브, 에코(ECO) 튜브, 행거 번들(Hanger Bundle) 튜브 등}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대부분의 튜브는 용접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설비나 기기의 운전에 따라 튜브에 높은 압력과 온도가 가해지는 경우 안전의 취약 부분인 용접부에서 균열 등의 결합이 발생하여 안전성을 저해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배관의 용접부위에 대한 정기적 또는 건설 시공시 안전성 검사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용접부의 안전성 검사에서는 통상적으로 튜브의 특성에 따라 표면검사, 체적검사 등을 실시하고, 표면검사로는 육안검사, 침투탐상검사 등이 있으며, 표면 직하의 경우는 자분탐상검사, 와전류 탐상검사 등을 실시하고, 용접부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은 방사선투과검사나 초음파검사 등과 같은 체적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상기한 검사 중에서 초음파검사는 안전성 및 편의성으로 인해 가장 널리 이용하고 있는 바파괴 검사의 하나로서 검사에 사용하는 주파수로는 1 ∼ 5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초음파 검사는 일반적으로 2∼3 종류의 각도를 가진 탐촉자를 혼용하여 사용하게 되고, 탐촉자의 각도는 0°, 45°,60°,70°인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하나의 탐촉자에 여러 개의 셀을 부착시켜 검사를 수행하는 다 탐촉자 검사기술이 개발되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원자력 발전의 선진국에서는 다탐촉자 검사기술에 대한 검증 작업을 마치고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용접부 검사시에 초음파를 피검사체에 입사시키기 위해서는 탐촉자와 피검체 사이에 전달 물질이 존재해야 하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압력이 필요하게 되는데 수동 검사에서는 검사자가 인위적으로 압력을 유지하게 되며, 자동 검사의 경우에는 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수동검사의 경우 검사자의 숙련도와 건강상태 및 검사 환경에 따라 검사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점과 고 방사선 환경하에서의 작업으로 산업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자동검사를 통하여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172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이 용이하고 보일러 튜브의 직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될 수 있으며, 보일러 튜브의 손상이나 변형을 판단할 수 있는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 튜브의 표면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탐촉자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 튜브의 외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갖는 지지부; 상기 탐촉자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초음파 영상을 표출하는 화면부를 구비한 탐상기; 상기 지지부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일러 튜브의 외면에 지지되는 브러쉬를 구비하여 보일러 튜브 표면의 먼지를 제거토록 하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본체의 하부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다리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 타측에 경사지게 결합되며, 본체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는 핀으로 결합되어 장공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는 제2다리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일단이 삽입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다리부에 연결되어 제2다리부를 신축작동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다리부 또는 제2다리부의 하부면에는 보일러 튜브의 표면에 지지되어 롤링되도록 복수의 롤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거부는 본체의 전단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일단에 형성되는 브러쉬가드와, 상기 브러쉬가드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보일러 튜브의 표면과 접촉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암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가 결합되도록 본체의 전단에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는 아암의 단부에 형성된 버튼과, 상기 버튼의 눌림작동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어 체결홈과 분리 또는 고정 작동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를 탄성 지지하며 후크의 고정 작동을 지지토록 탄성을 발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쉬가드는 저면에 흡기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흡기홀과 통하는 흡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은 내부에 흡기통로와 통하는 흡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의 외면에는 흡입로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에 연결된 흡입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쉬가드를 아암을 기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을 반복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브러쉬가드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과, 아암의 하면에 형성된 레일홈으로 이루어져 레일이 레일홈에 끼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과 평행하게 브러쉬가드의 상면에 형성되는 랙기어; 상기 아암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아암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이 용이하고 보일러 튜브의 직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될 수 있으며, 보일러 튜브의 손상이나 변형을 판단할 수 있으며, 표면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의 '본체'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에서 '회전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6의 고정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 평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의 '본체'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5의 고정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는,
보일러 튜브(T)의 표면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탐촉자(Y)가 형성된 본체(2);
본체(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 튜브(T)의 외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갖는 지지부(3);
탐촉자(Y)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초음파 영상을 표출하는 화면부를 구비한 탐상기(4);
지지부(3)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일러 튜브(T)의 외면에 지지되는 브러쉬(55)를 구비하여 보일러 튜브(T) 표면의 먼지를 제거토록 하는 제거부(5);를 포함한다.
탐촉자(Y)는 보일러 튜브(T)의 두께, 균열, 재질 변형 등을 측정하게 된다.
탐촉자(Y)는 비파괴 검사방식에 활용되는 통상의 초음파 탐촉자일 수 있다.
탐촉자(Y)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탐촉자(Y)의 일 측면에는 탐촉자에서 측정한 보일러 튜브(T)의 두께 감육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탐촉자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탐촉자 전선은 탐촉자가 측정한 보일러 튜브(T)의 검사 정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탐촉자가 측정한 보일러 튜브(T)의 두께 감육에 관한 정보에 관한 명령 등을 프로세서에서 생성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제어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지지부(3)는, 본체(2)의 하부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다리부(21)와, 본체(2)의 하부 타측에 경사지게 결합되며, 본체(2)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장공(23)에 삽입되는 핀(24)으로 결합되어 장공(23)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는 제2다리부(22)로 구성된다.
제2다리부(22)는 제1다리부(2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다리부(21)와 이격되어 간격이 벌어지거나 또는 좁혀질 수 있도록 하여 튜브(T)의 외경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2)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25)에 삽입되어 일단이 삽입홈(25)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다리부(22)에 연결되어 제2다리부(22)를 신축작동시키는 탄성체(26)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다리부(22)는 제1다리부(21)와 간격이 벌어지면(튜브의 외경이 큰 부위를 통과하는 경우) 탄성체(26)가 신장된다(도 3의 (b)참조).
이와 반대로 제1다리부(21)와 간격이 좁혀지면(튜브의 외경이 작은 부위를 통과하는 경우) 탄성체(26)가 수축되는 것이다(도 3의 (a)참조).
아울러 제1다리부(21) 또는 제2다리부(22)의 하부면에는 보일러 튜브(T)의 표면에 지지되어 롤링되도록 복수의 롤러(27)가 형성된다.
제거부(5)는 본체(2)의 전단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아암(52)과, 아암(52)의 일단에 형성되는 브러쉬가드(54)와, 브러쉬가드(54)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보일러 튜브(T)의 표면과 접촉되는 브러쉬(55)를 포함한다.
브러쉬가드(54)는 호형으로 이루어져 원통형인 보일러 튜브(T)의 표면과 접촉 면적이 많아질 수 있고, 아울러 주로 분진이 쌓이는 표면을 전반적으로 접촉하여 제거율이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아암(52)은 본체(2)와 켄틸레버 형태로 장착되며, 탈착이 가능하도록 탈착수단이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아암(52)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구(60)와, 상기 체결구(60)가 결합되도록 본체(2)의 전단에 형성된 체결홈(20)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60)는 아암(52)의 단부에 형성된 버튼(62)과, 상기 버튼(62)의 눌림작동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어 체결홈(20)과 분리 또는 고정 작동되는 후크(64)와, 상기 후크(64)를 탄성 지지하며 후크(64)의 고정 작동을 지지토록 탄성을 발휘하는 스프링(6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버튼(62)을 누르면 후크(64)가 인입되어 체결홈(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후크(64)가 인출되면 체결홈(20)의 내턱에 후크(64)가 걸려져 고정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브러쉬가드(54)는 저면에 흡기홀(54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흡기홀(542)과 통하는 흡기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아암(52)은 내부에 흡기통로(544)와 통하는 흡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52)의 외면에는 흡입로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흡입호스(546)와, 상기 흡입호스(546)에 연결된 흡입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브러쉬가드(54)를 아암(52)을 기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을 반복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70)는, 브러쉬가드(54)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71)과, 아암(52)의 하면에 형성된 레일홈(72)으로 이루어져 레일(71)이 레일홈(72)에 끼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71)과 평행하게 브러쉬가드(54)의 상면에 형성되는 랙기어(73); 상기 아암(52)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74)와, 상기 모터(74)에 연결되며 상기 랙기어(73)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기어(75);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모터(74)가 일정 각도만큼 온(on) 작동됨으로써 피니언기어(75)가 회전되고, 이에 치차 결합된 랙기어(73) 및 브러쉬가드(54)가 회전되어 튜브(T)의 외면에 대한 제거작업이 더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아암(52)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고정수단(200)은, 본체(2)의 측벽(120)에 형성된 블록(150)에 끼움결합되는 록킹작동부(250)와, 상기 본체(2)의 측벽(120)에 내장되어 록킹작동부(250)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작동되는 스토퍼부(270)를 포함한다.
본체(2)는 아암(52)이 삽입되는 결합홈부(28)가 형성되고, 본체(2)의 양 측벽(120)에는 슬라이드홈(520)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되도록 아암(52)은 측면에 슬라이드돌기(542)가 형성된다.
본체(2)의 측벽(120)에 관통되어 결합홈(123)이 형성되고, 결합홈(123)에 대응하여 아암(52)의 측면에는 고정홀(544)이 형성된다.
스토퍼부(270)는 결합홈(123)에 삽입되어 본체(2)의 측면에 밀착되는 헤드(271)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결합홈(123)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외주면에 환턱(273)이 형성된 가압샤프트(272)와, 상기 결합홈(123)에 삽입되며 가압샤프트(27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환턱(273)에 지지되며 가압샤프트(272)를 본체(2)의 측벽(120)의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274)으로 이루어진다.
본체(2)의 측벽(120) 외면에 형성되는 블록(150)에는 수평으로 관통되어 관통홀(152)이 형성된다.
록킹작동부(250)는 블록(150)의 관통홀(152)에 끼움결합되어 본체(2)의 측벽(120)과 평행하게 결합되며, 가압샤프트(272)의 타단에 접촉되어 미는힘을 발휘하는 돌기(251)가 외면에 형성된 푸쉬로드(252)와, 상기 푸쉬로드(252)의 단부에 결합되며 본체(2)의 측면 외측에 지지되는 탄성체(254)를 포함한다.
푸쉬로드(252)는 본체(2)의 측벽과 평행한 소정 길이의 봉체이며, 푸쉬로드(252)의 외주면에는 본체(2)의 측벽(120)을 향해 돌기(251)가 형성되는데 돌기(251)는 경사면과 단턱을 갖는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푸쉬로드(252)는 전후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되고, 돌기(251)의 경사면이 전진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따라서 본체(2)는 결합홈부(28)에 아암(52)을 삽입하여 슬라이드돌기(542)가 라이드홈(520)에 결합되어 삽입된다.
이후 푸쉬로드(252)를 밀어 전진시키면 돌기(251)의 경사면이 가압샤프트(272)를 밀게되고, 가압샤프트(272)는 내측으로 밀리면서 헤드(271)가 아암(52)의 고정홀(544)에 결합되어 잠금상태가 된다(도 7의 (b)참조).
이와 반대로 푸쉬로드(252)를 당겨 후진시키면 돌기(251)가 가압샤프트(272)로부터 이격되고, 스프링(27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샤프트(272)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헤드(271)가 아암(52)의 고정홀(544)로부터 이격되므로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도 7의 (a)참조).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본체 3 : 지지부
4 : 탐상기 5 : 제거부
21 : 제1다리부 22 : 제2다리부
23 : 장공 24 : 핀
52 : 아암 54 : 브러쉬가드
55 : 브러쉬 70 : 회전부
71 : 레일 72 : 레일홈
74 ; 모터 75 ; 피니언기어
200 : 고정수단

Claims (3)

  1. 보일러 튜브의 표면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탐촉자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 튜브의 외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갖는 지지부;
    상기 탐촉자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초음파 영상을 표출하는 화면부를 구비한 탐상기;
    상기 지지부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일러 튜브의 외면에 지지되는 브러쉬를 구비하여 보일러 튜브 표면의 먼지를 제거토록 하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제거부는
    본체의 전단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일단에 형성되는 브러쉬가드와,
    상기 브러쉬가드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보일러 튜브의 표면과 접촉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의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가 결합되도록 본체의 전단에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는 아암의 단부에 형성된 버튼과, 상기 버튼의 눌림작동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어 체결홈과 분리 또는 고정 작동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를 탄성 지지하며 후크의 고정 작동을 지지토록 탄성을 발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가드는 저면에 흡기홀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흡기홀과 통하는 흡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은 내부에 흡기통로와 통하는 흡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의 외면에는 흡입로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에 연결된 흡입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가드를 아암을 기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을 반복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브러쉬가드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과, 아암의 하면에 형성된 레일홈으로 이루어져 레일이 레일홈에 끼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과 평행하게 브러쉬가드의 상면에 형성되는 랙기어;
    상기 아암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랙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본체의 하부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다리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 타측에 경사지게 결합되며, 본체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는 핀으로 결합되어 장공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는 제2다리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일단이 삽입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다리부에 연결되어 제2다리부를 신축작동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다리부 또는 제2다리부의 하부면에는 보일러 튜브의 표면에 지지되어 롤링되도록 복수의 롤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
  3. 삭제
KR1020220090383A 2022-07-21 2022-07-21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 KR102460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383A KR102460725B1 (ko) 2022-07-21 2022-07-21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383A KR102460725B1 (ko) 2022-07-21 2022-07-21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725B1 true KR102460725B1 (ko) 2022-11-03

Family

ID=8404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383A KR102460725B1 (ko) 2022-07-21 2022-07-21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47582A (zh) * 2023-12-06 2024-03-05 广州声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锅炉表面焊缝超声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721B1 (ko) 1995-11-15 1999-06-15 구자홍 쓰리디오 엠투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구동 마이크로 카드 장치
JP2015129656A (ja) * 2014-01-06 2015-07-16 株式会社アトックス 走行型測定装置
KR101628253B1 (ko) * 2015-12-23 2016-06-09 나우 주식회사 초음파 탐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721B1 (ko) 1995-11-15 1999-06-15 구자홍 쓰리디오 엠투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구동 마이크로 카드 장치
JP2015129656A (ja) * 2014-01-06 2015-07-16 株式会社アトックス 走行型測定装置
KR101628253B1 (ko) * 2015-12-23 2016-06-09 나우 주식회사 초음파 탐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47582A (zh) * 2023-12-06 2024-03-05 广州声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锅炉表面焊缝超声检测装置及方法
CN117647582B (zh) * 2023-12-06 2024-05-17 广州声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锅炉表面焊缝超声检测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735B1 (ko) 낮은 프로파일을 갖는 초음파 검사 스캐너
KR102460725B1 (ko) 발전소 보일러의 비파괴검사 장치
JP5649599B2 (ja) 超音波検査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US20040193016A1 (en) Endoscopic delivery system for the non-destructive testing and evaluation of remote flaws
KR20100072175A (ko) 초음파 탐상검사용 탐촉자 및 초음파 탐상검사용 스캐너
JP2015521932A5 (ko)
CN206038612U (zh) 一种管体无损检测设备
JP2004264285A (ja) ダクトの内壁用検査プローブ
JPWO2007144933A1 (ja) 超音波診断装置
US9683970B2 (en)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object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JP5253693B1 (ja) 超音波プローブ
CN207923792U (zh) 一种压力容器焊缝探伤装置
US20180164255A1 (en) Adjustable wide bandwidth guidewave (gw) probe for tube and pipe inspection systems
JP7308080B2 (ja) 超音波フェーズドアレイ検査装置
JP4576030B2 (ja) 超音波検査装置
CN105259253B (zh) 一种主汽门阀杆的相控阵检测方法
JP3710417B2 (ja) パイプ継手部の非破壊検査方法
KR20140058899A (ko) 다채널 초음파 자동 스캐너
KR101654298B1 (ko) 실시간 초음파검사 모니터링 시스템
TWI739606B (zh) 管厚度測定裝置以及管厚度測定系統
JP2014074600A (ja) 放射線検査装置
JP2002340867A (ja) 管探傷装置
US20170010179A1 (en) Adjustable wide bandwidth guidedwave (gw) probe for tube and pipe inspection system
CN112997047B (zh) 超声波探头以及利用其的被检配管厚度测定方法
CN208872708U (zh) 一种工艺管道相控阵扫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