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931B1 -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제어용 살균 방법 - Google Patents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제어용 살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931B1
KR102459931B1 KR1020200120575A KR20200120575A KR102459931B1 KR 102459931 B1 KR102459931 B1 KR 102459931B1 KR 1020200120575 A KR1020200120575 A KR 1020200120575A KR 20200120575 A KR20200120575 A KR 20200120575A KR 102459931 B1 KR102459931 B1 KR 10245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hypochlorous acid
acid water
acidic hypochlorous
eq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215A (ko
Inventor
하지형
이재용
김수지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2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9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단가가 낮으며, 화학적 안전성이 확보된 살균소독제인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에 오염된 배추에 처리하여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최적의 살균조건과 그 살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최적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 중 Box-Behnken 실험설계법을 적용하여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학식1의 조건에 따라 배추에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처리하여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수학식1] (PCC 감소값 log10 CFU) = 5.976 - 0.4731X1- 0.0037X2 + 0.01682X3 + 0.014128X1*X1 + 0.000928X2*X2 - 0.000018X3*X3 + 0.003213X1*X2 - 0.001044 X1*X3 - 0.000381X2*X3 (X1 : 처리농도(ppm). X2 : 처리온도(℃), X3 : 처리시간(초))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최적화 처리 조건(22.1717 ppm, 10℃, 180초)을 적용하면 배추표면에 오염된 PCC를 5 log10CFU 이상 제거하는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제어용 살균 방법 {Sterilization method for controlling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using weak acidic hypochlorous acid water}
본 발명은 배추 무름병 원인균을 살균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식물의 뿌리를 통하여 1차 전염되고 배추의 성장 과정에서 보균상태로 생존하다가 배추에 물리적 상처 또는 압력에 의해 증식한다. 이때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은 배추 조직에서 펙틴분해 효소인 펙테이트 리아제(pectate lyase)를 분비하면서 배추 세포벽 중엽의 펙틴질을 분해하고 세포를 파괴하면서 무름증상(연부화)를 촉진시킨다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의 생물학적 특성으로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병이 잘 되고 일단 발병하게되면 사후 방제 및 확산 억제가 매우 어려운 식물병이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은 배추 농가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은 펙토박테리움 카로토보룸 아종 카로토보룸(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PCC)으로 보고되었다.
펙토박테리움 카로토보룸 아종 카로토보룸(PCC)은 생장 적온이 28 ± 2℃이나, 다른 식물 병원 세균과는 달리 상온인 30℃ 이상에서도 잘 증식함으로써, 봄, 여름, 가을철 배추 생산에 가장 큰 장애 요인이다.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은 배추를 비롯하여 다양한 식물군, 예를 들어 양파, 감자, 무 등 여러 농산물에 전염되어 발병할 수 있는데, 한번 전염되면 수확 및 유통단계에서 직간접 접촉에 의한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 전파가 급속하게 확산된다.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에 오염된 배추를 김치 제조에 사용할 경우 배추 조직의 무름현상으로 제품 품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김치 제품에 대한 소비자 불만요인으로 업체에 경제적 손해를 입힐 수 있다.
현재, 김치 제조용 배추를 가공공정에서 살균세척을 거치는데 업체마다 오존수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다양한 화학적 살균 제제를 사용한다. 다만 오존수 처리는 비용이 발생하고 차아염소산나트륨의 경우 소독제 부산물 발생에 따른 안전성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사용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미산성차아염소산수는 제조 단가가 낮으며, 화학적 안전성이 확보된 살균소독제로서 이미 다양한 식중독 미생물 및 식중독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효과 검증이 완료되었다. 하지만 김치의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식물병인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에 대한 살균효과 연구결과는 보고된바 없다. 특히,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 및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에 오염된 배추를 대상으로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최적의 살균조건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가 전무하다.
0001)한국 등록특허 제10-1853385호 0002)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65566호 0003)한국 등록특허 제10-1993709호 0004)한국 등록특허 제10-1823525호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을 제어하기 위해 처리하는 살균소독제인 화학물질은 식품첨가물공전에 등재된 유효성분을 사용하지만 잔류독성 등 안전성 및 사용 비용에 대한 제한성이 있다. 따라서 인체 무해하면서 소독제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고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소독제 처리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살균소독 처리에 대한 최적 처리조건을 확립함으로써 신뢰성, 경제성 및 효용성 측면을 보완하여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김치 제조용 배추의 가공공정에 적용하고자 한다.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최적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 중 Box-Behnken 실험설계법을 적용하여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학식1에 의해 얻어지는 X1, X2, X3 조건에 따라 배추에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처리하여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수학식1] (PCC 감소값 log10 CFU) = 5.976 - 0.4731X1- 0.0037X2 + 0.01682X3 + 0.014128X1*X1 + 0.000928X2*X2 - 0.000018X3*X3 + 0.003213X1*X2 - 0.001044 X1*X3 - 0.000381X2*X3 (X1 : 처리농도(ppm). X2 : 처리온도(℃), X3 : 처리시간(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학식1의 X1, X2, X3 조건은 반응표면분석법 중 Box-Behnken 실험설계법을 적용하여 상기 처리농도, 상기 처리온도, 상기 처리시간 3개 요인에 대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최적의 처리조건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학식1의 상기 처리농도는 5~25 ppm, 상기 처리시간은 60~180 초, 상기 처리온도는 10~30℃를 처리 조건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학식1의 조건은 처리농도, 처리온도 및 처리시간이 각각 22.1717 ppm, 10℃, 180초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학식1의 조건은 처리농도, 처리온도 및 처리시간이 각각 18.4353 ppm, 10℃, 180초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학식1의 조건은 처리농도, 처리온도 및 처리시간이 각각 15 ppm, 20℃, 145.43초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CC 감소값 log10 CFU는 6.31 ± 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CC 감소값 log10 CFU는 5.92 ± 0.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CC 감소값 log10 CFU는 5.07 ± 0.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pH는 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는 949.7 m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 선행 특허에서는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인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저해하는 소재로 대부분 미생물(Lactobacillus, Bacillus sp., Streptomyces 등) 유래 방제 효과를 보고하였으나,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PCC 제어 효과에 대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산성차아염소산수는 안전성 및 경제성이 뛰어나서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상용화 되어있는 살균소독제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가지고 있는 잔류염소 및 소독제 부산물 등 다양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최적화 처리 조건(22.1717 ppm, 10℃, 180초)을 적용하면 배추표면에 오염된 PCC를 5 log10 CFU 이상 완전히 제어하는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미산성차아염소산수(pH : 5.12, ORP : 949.7 mV)가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에 관여하는 PCC에 대한 살균 효과가 우수하여 수확 후 배추의 유통, 저장 및 가공 중 연부화 현상을 억제하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하여 PCC 살균 처리하면 연부화 연상을 억제함으로써 김치의 품질관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김치 산업의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PCC 살균에 대한 최적조건의 배추 적용성 평가 결과에 대한 것이다.
도2는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최적처리조건 용액테스트 이후의 PCC 관찰결과에 대한 것으로, 처리조건은 22.1717 ppm, 10℃, 180초 이며, (A)는 처리전, (B)는 처리후를 나타낸다.
도3은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최적처리조건 배추테스트 이후의 PCC 관찰결과에 대한 것으로, 처리조건은 22.1717 ppm, 10℃, 180초이며, (A)는 처리전, (B)처리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장점에 대한 중요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지 본 발명의 제한을 정의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 제어를 위한 최적조건 탐색
적용 미생물은 배추 유래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PCC)이며, 적용 미생물 접종 농도는 용액테스트의 경우 약 6.00 log10 CFU/mL, 배추 적용 테스트의 경우 약 5.00~6.00 log10 CFU/g로 실험 하였다.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처리 조건별 요인은 처리농도(ppm), 처리시간(초), 처리온도(℃)로 실험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pH는 5.12이며,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 949.7 mV이다. 살균소독제 대조구로는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pH 7.4)를 사용하였다.(도1 참조)
반응표면 분석을 위한 실험설계법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처리 조건별 3개 요인의 처리범위는 처리농도(5~25 ppm), 처리시간(60~180 초), 처리온도(10~30℃)로 하였다.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최적조건을 탐색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 중 Box-Behnken 실험설계법을 적용하여 3개 요인에 대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반응표면분석법을 기반으로 하여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 도출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 중 Box-Behnken 실험설계법을 이용하여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PCC 살균에 대한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을 도출하였다.([수학식1]참조)
[수학식1]
(PCC 감소값 log10 CFU) = 5.976 - 0.4731X1- 0.0037X2 + 0.01682X3
+ 0.014128X1*X1 + 0.000928X2*X2 - 0.000018X3*X3 + 0.003213X1*X2
- 0.001044 X1*X3 - 0.000381X2*X3
(X1 : 처리농도(ppm). X2 : 처리온도(℃), X3 : 처리시간(초))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PCC에 대한 최대치 살균 효과 처리조건을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에서 확인한 결과, 최적화 반응의 처리농도, 처리온도 및 처리시간은 각각 22.1717 ppm, 10℃, 180초 조건이었으며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이 제시간 최대 감소값은 6.2602 log10 CFU/mL을 나타내었다.
동일 처리조건으로 PCC 제어 효과를 관측한 결과 6.31 ± 0.25 log10 CFU/mL 수준으로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에서 산출된 예측값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을 통해 처리농도, 처리온도 및 처리시간에 따라 PCC 감소값을 예측 및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감소값 (log10 CFU/mL) 처리농도
(ppm)
처리온도
(℃)
처리시간
(sec)
최대값
(예측모형에 의한 도출값)
관측값
(실험에 의한 도출값)
6.2602 6.31 ± 0.25 22.1717 10 180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PCC 살균에 대한 최적조건 확인 및 살균제어 예측값과 관측값을 비교하였다 (표1 참조)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PCC에 대한 목표치 살균 효과 처리조건을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에서 확인한 결과, 목표 감소값을 6.00 log10CFU로 설정하였을 때 18.4353 ppm(처리농도), 10℃(처리온도), 180초(처리시간) 처리 조건이 최적조건으로 도출되었다.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PCC에 대한 목표치 살균 효과 처리조건을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에서 확인한 결과, 목표 감소값을 5.00 log10 CFU로 설정하였을 때 15 ppm(처리농도), 20℃(처리온도), 145.43초(처리시간) 처리 조건이 도출되었다.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PCC 살균 제어 목표값 설정에 따른 최적 처리조건과 실제 실험에 의해 도출된 값은 아래 표2와 같다. (표2 참조)
감소값 (log10 CFU/mL) 처리농도
(ppm)
처리온도
(℃)
처리시간
(sec)
목표값
(예측모형 대입값)
관측값
6.00 5.92 ± 0.16 18.4353 10 180
5.00 5.07 ± 0.23 15 20 145.433
마찬가지로 이를 통해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을 통해 처리농도, 처리온도 및 처리시간에 따라 PCC 감소값을 예측 및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최적조건을 적용하면 PCC를 5 log10 CFU 이상 제거 할 수 있음 확인 하였다.
비교예
살균효과 최적화 반응 예측 모형에서 도출된 PCC 살균에 대한 최적조건에서 대조군(PBS)으로 배추를 처리 결과 1.13 ± 0.11 감소값을 보였고, 최적조건의 미산성차아염소산수(22.1717ppm, 10℃, 180초)를 처리한 결과 약 5.33 log10 CFU/mL 이상의 살균 효과를 나타내었다.(도1 참조)
이를 통해 대조군 PBS에 비하여 최적 조건에서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하였을 때 PCC제거 효율에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도3 및 도4엔서는 최적조건의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처리에 따른 PCC 형태학적 변화 관찰을 보여준다.
도3은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최적처리조건에서 용액테스트 이후의 PCC 관찰결과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처리조건은 22.1717 ppm, 10℃, 180초이며, (A)는 처리전, (B)는 처리후를 나타낸다.
도4는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최적처리조건에서 배추테스트 이후의 PCC 관찰결과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처리조건은 22.1717 ppm, 10℃, 180초이며, (A)는 처리전, (B)는 처리후를 나타낸다.
전자 현미경 사진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최적조건으로 처리하였을 때 PCC제거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수학식1에 의해 얻어지는 X1, X2, X3 조건에 따라 배추에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처리하며,
    [수학식1]
    (PCC 감소값 log10 CFU) = 5.976 - 0.4731X1- 0.0037X2 + 0.01682X3
    + 0.014128X1*X1 + 0.000928X2*X2 - 0.000018X3*X3 + 0.003213X1*X2
    - 0.001044 X1*X3 - 0.000381X2*X3
    (X1 : 처리농도(ppm). X2 : 처리온도(℃), X3 : 처리시간(초))
    상기 수학식1의 상기 X1, X2, X3 조건은 반응표면분석법 중 Box-Behnken 실험설계법을 적용하여 상기 처리농도, 상기 처리온도, 상기 처리시간 3개 요인에 대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최적의 처리조건을 설계하고,
    상기 수학식1의 조건은 상기 처리농도, 처리온도 및 처리시간이 각각 22.1717 ppm, 10℃, 180초 조건이며,
    상기 PCC 감소값 log10 CFU는 6.31 ± 0.25이고,
    상기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pH는 5.12이며,
    상기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는 949.7 m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수학식1에 의해 얻어지는 X1, X2, X3 조건에 따라 배추에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처리하며,
    [수학식1]
    (PCC 감소값 log10 CFU) = 5.976 - 0.4731X1- 0.0037X2 + 0.01682X3
    + 0.014128X1*X1 + 0.000928X2*X2 - 0.000018X3*X3 + 0.003213X1*X2
    - 0.001044 X1*X3 - 0.000381X2*X3
    (X1 : 처리농도(ppm). X2 : 처리온도(℃), X3 : 처리시간(초))
    상기 수학식1의 상기 X1, X2, X3 조건은 반응표면분석법 중 Box-Behnken 실험설계법을 적용하여 상기 처리농도, 상기 처리온도, 상기 처리시간 3개 요인에 대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최적의 처리조건을 설계하고,
    상기 수학식1의 조건은 처리농도, 처리온도 및 처리시간이 각각 18.4353 ppm, 10℃, 180초 조건이며,
    상기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pH는 5.12이며,
    상기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는 949.7 m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
  6. 수학식1에 의해 얻어지는 X1, X2, X3 조건에 따라 배추에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처리하며,
    [수학식1]
    (PCC 감소값 log10 CFU) = 5.976 - 0.4731X1- 0.0037X2 + 0.01682X3
    + 0.014128X1*X1 + 0.000928X2*X2 - 0.000018X3*X3 + 0.003213X1*X2
    - 0.001044 X1*X3 - 0.000381X2*X3
    (X1 : 처리농도(ppm). X2 : 처리온도(℃), X3 : 처리시간(초))
    상기 수학식1의 상기 X1, X2, X3 조건은 반응표면분석법 중 Box-Behnken 실험설계법을 적용하여 상기 처리농도, 상기 처리온도, 상기 처리시간 3개 요인에 대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최적의 처리조건을 설계하고,
    상기 수학식1의 조건은 처리농도, 처리온도 및 처리시간이 각각 15 ppm, 20℃, 145.43초 조건이며,
    상기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pH는 5.12이며,
    상기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는 949.7 m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CC 감소값 log10 CFU는 5.92 ± 0.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CC 감소값 log10 CFU는 5.07 ± 0.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무름병 원인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을 살균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20575A 2020-09-18 2020-09-18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제어용 살균 방법 KR102459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575A KR102459931B1 (ko) 2020-09-18 2020-09-18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제어용 살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575A KR102459931B1 (ko) 2020-09-18 2020-09-18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제어용 살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215A KR20220038215A (ko) 2022-03-28
KR102459931B1 true KR102459931B1 (ko) 2022-10-31

Family

ID=8099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575A KR102459931B1 (ko) 2020-09-18 2020-09-18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제어용 살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9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0173A1 (en) 2012-01-06 2013-07-25 Puricore, Inc. Electrochemically treated nutrient solu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971B1 (ko) * 2009-06-30 2012-01-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름병 내성이 증진된 배추의 형질전환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5566A (ko) 2012-11-16 2014-05-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 방법
KR101993709B1 (ko) 2017-06-09 2019-06-26 동부생약 영농조합법인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황칠나무, 헛개나무, 운지버섯, 인진호 및 미나리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823525B1 (ko) 2017-12-18 2018-01-30 한국식품연구원 칠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추 무름병 원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101853385B1 (ko) 2017-12-18 2018-04-30 한국식품연구원 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추 무름병 원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0173A1 (en) 2012-01-06 2013-07-25 Puricore, Inc. Electrochemically treated nutrient solution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Control Vol.20 No.3 pp.294-297
Plant Dis. 79:158-162*
Processes 2020. 8(7).79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2 pp.269-2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215A (ko) 202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o et al. Using aqueous chlorine dioxid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omatoes with Salmonella enterica and Erwinia carotovora during fruit washing
Martínez-Hernández et al. Combined sustainable sanitising treatments to reduce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Enteritidis growth on fresh-cut kailan-hybrid broccoli
Hao et al. Efficacy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AEW) for reducing microbial contamination on fresh‐cut cilantro
Zhang et al. Disinfection efficacy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on brown rice soaking and germination
US20160015038A1 (en) Treated crop plants or plant food products with decreased bacterial viability an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the same
Al-Qadiri et al. Bactericidal activity of neutral electrolyzed water against Bacillus ce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in cell suspensions and artificially inoculated onto the surface of selected fresh produce and polypropylene cutting boards
Turantaş et al. Decontamination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washing on fruits and vegetables
Park et al. Synergistic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citric acid against Bacillus cereus cells and spores on cereal grains
Udompijitkul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 strawberries (Fragaria× ananassa)
Baker et al. Effect of irrigation water source and post-harvest washing treatment on the microflora of alfalfa and mung bean sprouts
Qi et al. Effectiveness of activated persulfate in removal of foodborne pathogens from romaine lettuce
KR102459931B1 (ko)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배추 무름(연부병) 부패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제어용 살균 방법
KR102208456B1 (ko) 과채류 세척용 항균제 조성물
KR101732257B1 (ko) 환경친화적 살균·소독 및 악취저감용 옥시젠 라디칼 조성물
KR101567670B1 (ko) 카프릴산 및 구연산의 조합처리에 의해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방법 및 미생물 살균효과 예측 방법
Delaquis et al. Resistance and sublethal damage
Neetoo et al.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of pressure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 H7 on alfalfa seeds and seed viability
US6506417B1 (e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reducing bacterial citrus canker organisms
CN113197783A (zh) 一种微酸性次氯酸消毒湿巾及其制备方法
KR101811263B1 (ko) 지오바실러스 스테아로써모필러스에 대한 살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KR101807592B1 (ko) 바이오필름 제거 방법
CN105341622A (zh) 防腐剂组合物及其用途
Seham et al. A trial to sustain the safety of chicken fillet using neutral electrolyzed water (new)
CN112021327A (zh) 一种光触媒复合长效消毒剂及其制备方法
CN110917211A (zh) 一种适用于体表创口清洗及防护用液体敷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