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615B1 -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9615B1 KR102459615B1 KR1020200176930A KR20200176930A KR102459615B1 KR 102459615 B1 KR102459615 B1 KR 102459615B1 KR 1020200176930 A KR1020200176930 A KR 1020200176930A KR 20200176930 A KR20200176930 A KR 20200176930A KR 102459615 B1 KR102459615 B1 KR 1024596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exit
- road
- length
- targ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69—Analysis of motion using gradient-based metho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며,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은, (a) 정체구간 길이의 판단 대상이 되는 대상 진출입로와 본선이 포함된 대상 도로 상에 이동되는 복수의 도로 상 차량에 관한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차량 데이터는, 상기 도로 상 차량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원은 차량 진출입로(ramp entrance or exit)의 정체구간 길이(traffic congestion interval length)를 알릴 수 있는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18년 선정 기초연구개발 과제 연구비에 의해 지원(과제번호: R18XA02)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18년 선정 기초연구개발 과제 연구비에 의해 지원(과제번호: R18XA02)되었다.
대다수의 차량 운전자들은 목적지 경로를 안내하는 서비스인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운전 중에 많이 활용하고 있다.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대부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비롯한 측위 기술을 활용한 차량 위치 정보를 습득하는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또한, 기본적인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외에도, 운전자의 편의 향상을 위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개발되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802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 다양한 내비게이션 기술이나 운전자 보조 서비스가 개발되었음에도, 많은 차량 운전자들은 고속화 도로 및 간선도로 등에서 차량 운전 시에, 내비게이션이 안내하는 진출입로(ramp entrance or exit, 램프 진출입로)로 진입하여 본선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진출입로에 대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내비게이션 서비스 기술에 따르면, 진출입로(20)로 빠져나가기 위해 다수의 차량이 길게 정체된 구간(10)에서 미리 진출입로(램프 진출입로, 20)로 진입하기 위한 차선 변경을 하지 못한 경우, 도 1에 도시된 차량(a)과 같이 뒤늦게 정체된 차량 사이로 끼어들기를 하여 차선 변경을 해야 하거나, 혹은 해당 진출입로를 놓쳐 진출입로(20)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다음 진출입로까지 차량 운행을 수행한 후 다시 원하는 목적지로 되돌아와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 많은 차량 운전자들은 내비게이션이 안내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일예로 본선으로부터 진출입로(20)를 향하여 진출입하고자 할 때 진출입로(20)를 향하여 길게 정체되어 있는 구간(10) 상의 차량들을 인식하지 못하여 진출입로(20)를 향해 쉽게 진출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다른 일예로는, 특정 차량(30)의 운전자들의 경우, 진출입로(20)로 진출입할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진출입로(20)를 향하여 정체된 차량의 줄(10)에 잘못 끼어들어 있어 시간을 낭비하는 등의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단순한 진출입로(램프 진출입로)에 대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이 요구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단순한 진출입로(램프 진출입로)에 대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 자주 발생하던 상황들, 즉 진출입로로 뒤늦게 끼어들기를 하는 상황, 진출입로에 진입하지 못하는 상황(그로 인해 다음 진출입로까지 차량 운행을 수행한 후 다시 원하는 목적지로 되돌아와야 하는 상황), 진출입로로 진출입할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진출입로의 줄에 잘못 끼어들어 있어 시간을 낭비하게 되었던 상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은, (a) 정체구간 길이의 판단 대상이 되는 대상 진출입로와 본선이 포함된 대상 도로 상에 이동되는 복수의 도로 상 차량에 관한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차량 데이터는, 상기 도로 상 차량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노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1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 각각의 설치 위치와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에 의한 제1 유형 차량 데이터의 측정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도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영상 센서에 의해 촬영된 대상 진출입로 상 복수 지점 각각을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영상 분석함으로써 획득되는 제2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로부터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정체구간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개의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들 중 상기 입구 위치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는, 상기 촬영 영상의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식별된 영상 내 도로 상 차량의 위치의 변화량 및 속도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 변화량 미만에 속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도로 상 차량 각각에 마련된 계측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3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로부터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정체구간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은, (c)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고려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정체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정체경로 상 정체 차량들 중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도로 상 차량 중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대상 진출입로로 진출입 예정인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차선 변경 가능 거리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차선 변경 가능 거리는,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로부터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까지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대상 도로 상에서의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의 차선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에 대해 각기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하여 정체되어 있는 정체된 진출입 예정 차량과 상기 정체 차량들을 포함한 정체 관련 차량들 중에서 실수로 잘못 정체되어 있는 실수 정체 관련 차량이 존재하는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수 정체 관련 차량에 대하여 상기 정체 관련 차량들에 대응하는 연장 정체경로를 벗어나도록 안내하는 회유 경로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은, (d)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으로부터 수집되는 실시간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정체구간 길이의 길이 변화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d) 단계에서 예측된 상기 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진출입로에 대응하는 도로변에 간격을 두고 포스트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체감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제4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체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는, 몸체부의 측면에 마련되는 거리감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거리감지 센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 도로 내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의 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개체감지부의 설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의 설치 개수보다 적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는, 정체구간 길이의 판단 대상이 되는 대상 진출입로와 본선이 포함된 대상 도로 상에 이동되는 복수의 도로 상 차량에 관한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도로 상 차량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노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1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 각각의 설치 위치와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에 의한 제1 유형 차량 데이터의 측정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도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영상 센서에 의해 촬영된 대상 진출입로 상 복수 지점 각각을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영상 분석함으로써 획득되는 제2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로부터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정체구간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개의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들 중 상기 입구 위치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는, 상기 촬영 영상의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식별된 영상 내 도로 상 차량의 위치의 변화량 및 속도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 변화량 미만에 속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도로 상 차량 각각에 마련된 계측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3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로부터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정체구간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는, 상기 산출된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고려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안내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정체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정체경로 상 정체 차량들 중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도로 상 차량 중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대상 진출입로로 진출입 예정인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차선 변경 가능 거리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선 변경 가능 거리는,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로부터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까지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대상 도로 상에서의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의 차선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에 대해 각기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는,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하여 정체되어 있는 정체된 진출입 예정 차량과 상기 정체 차량들을 포함한 정체 관련 차량들 중에서 실수로 잘못 정체되어 있는 실수 정체 관련 차량이 존재하는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수 정체 관련 차량에 대하여 상기 정체 관련 차량들에 대응하는 연장 정체경로를 벗어나도록 안내하는 회유 경로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는,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으로부터 수집되는 실시간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정체구간 길이의 길이 변화를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예측된 상기 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진출입로에 대응하는 도로변에 간격을 두고 포스트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체감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제4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체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는, 몸체부의 측면에 마련되는 거리감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거리감지 센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 도로 내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의 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개체감지부의 설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의 설치 개수보다 적게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단순한 진출입로(램프 진출입로)에 대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자주 발생하던 상황들, 즉 진출입로로 뒤늦게 끼어들기를 하는 상황, 진출입로에 진입하지 못하는 상황(그로 인해 다음 진출입로까지 차량 운행을 수행한 후 다시 원하는 목적지로 되돌아와야 하는 상황), 진출입로로 진출입할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진출입로의 줄에 잘못 끼어들어 있어 시간을 낭비하게 되었던 상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진출입로에 대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에서 수집부가 제1 유형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의 안내 정보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에서 수집부가 제1 유형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의 안내 정보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100)를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라 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차량 진출입로의 정체구간 길이를 알림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장치(100)는 고속화 도로 및 간선도로 등에서 차량 운전 시에, 내비게이션이 안내하는 진출입로(ramp entrance or exit, 램프 진출입로)의 정체구간 길이를 예측(산출)하여 알림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100)는 수집부(110), 제공부(120), 안내 정보 제공부(130) 및 예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정체구간 길이의 판단 대상이 되는 대상 진출입로(P1)와 본선(P2)이 포함된 대상 도로(P) 상에 이동되는 복수의 도로 상 차량(50)(1, 2, 3, 4, …)에 관한 차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본원에서 진출입로는 램프 진출입로, 도로 진출입로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진출입로는 예시적으로 고속도로 등에서의 나들목(IC, interchange), 분기점(JC, junction) 등을 포함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 정체의 발생이 나타나는 부분이라면 어디든지 적용 가능하다.
수집부(110)가 수집하는 차량 데이터는 차량의 위치, 속도 등에 관한 데이터(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수집부(110)가 수집하는 차량 데이터는, 도로 상 차량(1, 2, 3, 4, …)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수집부(110)가 수집하는 차량 데이터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제1 유형 차량 데이터 내지 제4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대상 도로(P)는 상행 도로 및 하행 도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제공부(120)는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대상 진출입로(P1)의 정체구간 길이(r1)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부(120)는 산출된 정체구간 길이(r1)에 관한 정보를 일예로 본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는 내비게이션 서버(미도시) 및/또는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원에서 'A 및/또는 B'라 함은, A와 B 둘 다를 의미할 수도 있고, A 및 B 중 어느 하나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가 내비게이션 서버(미도시) 및/또는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된다라 함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일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미도시)는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비게이션 서버(미도시)는 본 장치(100)에 의해 산출된 정체구간 길이(r1)에 관한 정보를 본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아 정체구간 길이(r1)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복수의 사용자들(혹은 복수의 사용자들의 단말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내비게이션 서버(미도시)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미도시)은 내비게이션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단말(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서버(미도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미도시)은 후술하는 본 장치(100)의 안내 정보 제공부(130)에 의해 생성되어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즉, 산출된 정체구간 길이(r1)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본 장치(100)로부터 제공받는 사용자의 단말(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차량 데이터로서, 제1 유형 차량 데이터 내지 제4 유형 차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유형 차량 데이터 내지 제4 유형 차량 데이터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100)에서 수집부(110)가 제1 유형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집부(110)가 수집하는 차량 데이터는, 대상 진출입로(P1)의 노면에 설치(매설)되는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에 의해 측정되는 제1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는 대상 진출입로(P1)의 노면에 대상 진출입로(P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설치(매설)될 수 있다. 본원에서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는 일예로 감지선(검지선)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유형 차량 데이터는 일예로 대상 진출입로(P1) 상에 위치한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즉, 복수의 감지선)를 이용하여 획득(식별)되는 차량 데이터(위치, 속도 등)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제1 유형 차량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일예로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진출입로(P1)의 노면 상에 간격을 두고 미리 설치(매설)하여 둘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 간에 설치 간격은 예시적으로 소형차를 기준으로 해당 소형차들 각각이 각 차량감지 센서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수집부(110)가 제1 유형 차량 데이터를 수집한 경우, 제공부(120)는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 각각의 설치 위치와 대상 진출입로(P1)의 입구 위치(A) 사이의 이격 거리, 및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에 의한 제1 유형 차량 데이터의 측정 여부를 고려하여 정체구간 길이(r1)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일예로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로서 제1 차량감지 센서(11), 제2 차량감지 센서(12), 제3 차량감지 센서(13), 제4 차량감지 센서(14)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자. 또한, 이들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들이, 대상 진출입로(P1)의 입구 위치(A)를 기준(시작)으로 하여 3m의 설치 간격을 두고 설치(매설)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 중 제1 차량감지 센서(11)와 제2 차량감지 센서(12)에서만 제1 유형 차량 데이터의 측정이 이루어졌다고 하자. 달리 말해, 수집부(110)가 제1 차량감지 센서(11)와 제2 차량감지 센서(12)를 통해서만 차량 데이터(제1 유형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였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공부(120)는 대상 진출입로(P1)의 입구 위치(A)로부터 제1 유형 차량 데이터의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차량감지 센서의 설치 위치까지의 이격 거리를 정체구간 길이(r1)로서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일예에 따르면, 제1 유형 차량 데이터의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차량감지 센서는 제3 차량감지 센서(13)이므로, 일예로 제공부(120)는 정체구간 길이(r1)를 6m인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10)가 수집하는 차량 데이터는, 대상 도로(P)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영상 센서(미도시)에 의해 촬영된 대상 진출입로(P1) 상 복수 지점 각각을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영상 분석함으로써 획득되는 제2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영상 센서는 대상 진출입로(P1) 상 복수 지점 중 어느 한 지점이 포함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영상의 분석을 통해 수집부(110)는 제2 유형 차량 데이터를 획득(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영상 센서는 일예로 차량검지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영상 센서는 대상 도로(P)에 설치(마련)되어 대상 도로(P) 상을 이동하는 차량의 위치, 속도 등을 영상 분석(이미지 분석)에 기반하여 획득 가능한 영상을 획득(촬영)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유형 차량 데이터는 일예로 대상 도로(P)에 마련되는 복수의 영상 센서를 통해 획득된 영상(쵤영 영상)을 영상 분석(이미지 분석)함으로써 획득(식별)되는 차량 데이터(위치, 속도 등)를 의미, 즉 영상 분석 기반으로 획득되는 차량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수집부(110)가 제2 유형 차량 데이터를 수집한 경우, 제공부(120)는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차량 데이터(특히, 제2 유형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진출입로(P1)의 입구 위치(A)로부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정체구간 길이(r1)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는, 촬영 영상의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식별된 영상 내 도로 상 차량의 위치의 변화량 및 속도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 변화량 미만에 속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기준으로 예를들면, 대상 도로(P) 상의 복수의 도로 상 차량(50) 중 제1 차량(1)과 제2 차량(2)이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하기 위해 정체되어 있다고 하자. 그리고, 제2 차량(2) 보다 후측에서 달려오던 제4 차량(4)이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하기 위해 제2 차량(2)의 후측으로 연장되도록 제2 차량(2)의 뒤쪽에 멈추어 섰다고(정체해 있다고) 하자.
이때, 일예로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하지 않는 제3 차량(3)과 같은 차량들의 경우에는, 대상 도로(P)에 기 정해진 속도에 맞추어 속도 감속 없이 해당 대상 도로(P) 내 본선(P2)을 따라 이동할 것이다. 이에 반해,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 예정인 제4 차량(4)과 같은 차량들의 경우에는, 대상 진출입로(P1)로 나가기 위해 속도를 점차 줄여가며 제2 차량(2)의 후측에 정체하고자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집부(110)는 대상 진출입로(P1) 상 복수 지점 각각을 포함하도록 촬영된 촬영 영상(복수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영상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촬영 영상 내 각 차량들의 차량 데이터를 획득(수집)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영상의 영상 분석에 의하면, 제4 차량(4)이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하기 위해 점차 속도가 줄어듦에 따라, 촬영 영상 내 해당 제4 차량(4)의 속도 변화량(혹은 위치 변화량)은 속도 감속 없이 그대로 진행하는 제3 차량(3)의 속도 변화량(혹은 위치 변화량) 대비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달리 말해, 영상 분석에 의하면 영상 내 차량들의 위치, 속도 등에 관한 차량 데이터가 식별될 수 있는데, 이때, 제4 차량(4)의 차량 데이터는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하기 위해 점차 속도가 줄어듦에 따라 영상 내 속도의 변화량(혹은 위치의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 미만에 속하는 데이터로 나타날 수 있다. 제공부(120)는 이러한 제4 차량(4)의 차량 데이터를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인 것으로 식별(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4 차량(4)이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량인 도로 상 대응 차량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제공부(120)는 일예로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인 것으로 식별된 해당 차량인 제4 차량(4)의 도로 상 위치로부터 대상 진출입로(P1)의 입구 위치(A)까지의 거리를 정체구간 길이(r1)로 산출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공부(120)는 영상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제2 차량(2)의 후측에 연장되도록 정체되어 있는(대상 진출입로로 진출입하기 위해 정체되는) 제4 차량(4)의 위치로부터 대상 진출입로(P1)의 입구 위치(A)까지의 거리를 정체구간 길이(r1)로 산출할 수 있다.
제공부(120)는 일예로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개의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들 중 입구 위치(A)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정체구간 길이(r1)를 산출할 수 있다. 제공부(120)는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와 입구 위치(A) 사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정체구간 길이(r1)로 산출할 수 있다.
대상 도로(P)의 상측에서 대상 도로(P)의 노면 상에 이동되는 차량들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영상 센서의 경우, 둘 이상의 차량이 포함된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영상 센서에 의해 촬영된 단일 영상(촬영 영상)으로부터는 해당 단일 영상 내 둘 이상의 복수 차량 각각의 차량 데이터를 동시에 획득(수집)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차량 데이터를 획득함에 있어서, 영상 센서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의하면 차량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 대비 대상 도로(P)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보다 넓은 영역(범위)에 대하여 다수의 차량의 차량 데이터를 동시에(한번에) 획득(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원에서 복수의 영상 센서(미도시) 간의 설치 간격은, 일예로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의 설치 간격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4 차량(4)이 포함되도록 촬영된 촬영 영상의 분석 결과, 촬영 영상의 영상 크기가 가로 1024, 세로 580의 픽셀 크기를 가진다고 하자. 또한, 촬영 영상으로서, 영상 내 세로 방향(영상 내 상측에서 하측)으로 제4 차량(4)이 이동되는 영상이 촬영된다고 하자. 또한, 복수의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임계 변화량이 일예로 픽셀 기준으로 450 픽셀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일예로 촬영 영상을 영상 분석한 결과, 촬영 영상 내 제4 차량(4)의 위치 변화(특히나, 일예로 촬영 영상 내 대상 진출입로에 대응하는 경로/차선 상에서의 제4 차량(4)의 위치 변화)가 세로를 기준으로 일예로 1초에 300픽셀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 미만에 속하므로, 제공부(120)는 제4 차량(4)의 차량 데이터가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일예로, 제4 차량(4)의 위치 변화가(특히나, 대상 도로 내 각 차선 중 어느 하나의 차선 상에서의 제4 차량의 위치 변화가) 1초에 500 픽셀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 이상에 속하므로, 제공부(120)는 제4 차량(4)의 차량 데이터가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아닌 것으로 판단(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제공부(120)는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대상 진출입로(P1)의 입구 위치(A)까지의 길이를 정체구간 길이(r1)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10)가 수집하는 차량 데이터는, 복수의 도로 상 차량(50)(1, 2, 3, 4, ??) 각각에 마련된 계측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3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측 센서는 일예로 차량 자체에 마련되어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GPS 센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위치 측정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또한, 계측 센서에는 예시적으로 다른 차량 간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3 유형 차량 데이터는 일예로 대상 도로(P) 상에 이동되는 도로 상 차량들(50) 각각의 GPS 센서를 기반으로 획득되는 차량 데이터(위치, 속도 등)를 의미할 수 있다.
수집부(110)가 제3 유형 차량 데이터를 수집한 경우, 제공부(120)는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진출입로(P1)의 입구 위치(A)로부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정체구간 길이(r1)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는, 계측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3 유형 차량 데이터(즉, GPS 센싱값)의 분석을 기반으로 식별된 도로 상 차량의 위치의 변화량 및 속도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 변화량 미만에 속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량의 GPS 센싱값을 기준으로, 임계 변화량이 초당 3m인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제4 차량(4) 내 계측 센서의 센싱값(GPS 센싱값)을 분석한 결과, 제4 차량(4)의 GPS 위치가 초당 5m씩 변하다가, 예시적으로 대상 진출입로(P1)의 입구 위치(A)의 주변 영역에서 위치 변화량이 1초에 0.5m씩 변하는 것으로 분석된 경우, 제공부(120)는 제4 차량(4)에 대응하는 차량 데이터(특히, 제4 차량에 대응하는 제3 유형 차량 데이터)가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공부(120)는 제4 차량(4)의 위치로부터 입구 위치(A)까지의 거리를 정체구간 길이(r1)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10)가 수집하는 차량 데이터는, 대상 진출입로(P1)에 대응하는 도로변에 간격을 두고 포스트(POST, 기둥) 형태로 설치(배치)되는 복수의 개체감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제4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유형 차량 데이터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수집부(110)는 대상 도로(P) 상에 이동되는 복수의 도로 상 차량(50)에 관한 차량 데이터(위치, 속도 등)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수집부(110)는 대상 도로(P)에 마련되는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 대상 도로(P)에 마련되는 복수의 영상 센서, 차량 자체에 구비된 계측 센서, 및 대상 도로(P)에 마련(특히, 도로변에 마련)되는 복수의 개체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개체감지부는 예시적으로 상술한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복수의 감지선)의 설치 개수보다 적게 마련(설치, 배치)될 수 있다.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제공부(120)에서 산출된 정체구간 길이(r1)를 고려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부(120)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산출된 정체구간 길이(r1)에 관한 정보를 본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는 내비게이션 서버(미도시) 및/또는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정체구간의 길이(r1)에 대응하는 정체경로 상 정체 차량들(일예로, 제1 차량(1)과 제2 차량(2)) 중 말단 정체 차량(일예로, 제2 차량(2))의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도로 상 차량(50) 중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되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 예정인 진출입 예정 차량들(일예로 제4 차량(4) 등)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 정보 제공부(130)에서 고려되는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는, 말단 정체 차량(일예로, 제2 차량(2))의 위치로부터 진출입 예정 차량들(일예로 제4 차량(4) 등) 각각까지의 이격 거리, 및 대상 도로(P) 상에서의 진출입 예정 차량들(일예로 제4 차량(4) 등) 각각의 차선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진출입 예정 차량들(일예로 제4 차량(4) 등) 각각에 대해 각기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의 산출시 대상 진출입로(P1)의 차선 위치 정보도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로부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까지의 이격 거리라 함은, 일예로 대상 도로(P)와의 평행선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진출입 예정 차량이 대상 도로(P) 내 복수의 차선 중 어느 차선에 위치해 있는지, 진출입 예정 차량이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즉, 이격 거리가 어떻게 되는지), 및 대상 진출입로(P1)가 대상 도로(P) 내 몇번째 차선에 위치해 있는지를 고려하여,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에 대하여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를 각기 다르게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각기 다르게 산출된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가 반영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는 대상 진출입로(P1)로 뒤늦게 끼어들기를 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차선을 변경할 것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는 정체된 차량들 사이로 끼어들기를 하지 않으면서 대상 진출입로(P1)로 차량이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차선 변경이 가능한 최대한의 거리(최대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100)의 안내 정보 제공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도로 상 차량(50) 중 일예로 제4 차량(4)이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 예정 차량인 경우에, 제4 차량(4)에게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예로 제4 차량(4)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상 도로(P) 내 3개의 차선(즉, 3차선) 중 2차선으로 이동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할 예정이라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4 차량(4)은 진출입 예정 차량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3개의 차선 중 3차선이 대상 진출입로(P1)에 대응하는 차선(즉, 진출입로 차선)이라고 하자.
여기서, 제4 차량(4)이 진출입 예정 차량인지의 인식은, 일예로 해당 제4 차량(4)이 앞서 말한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량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제4 차량(4)이 진출입 예정 차량인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4 차량(4)의 위치와 말단 정체 차량인 제2 차량(2)의 위치까지의 이격 거리를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로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가 300m로 산출된 경우,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로서 '차선변경 300m'와 같은 정보를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선변경 300m'와 같은 정보는 차선 변경 거리 안내 정보라 달리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대상 진출입로(P1)로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앞으로 300m 이내에 차선을 변경해 주세요'와 같은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에는 진출입로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출입로 안내 정보는 제4 차량(4)의 위치로부터 램프 진출입로인 대상 진출입로(P1)의 입구 위치(A)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출구 500m'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차선 변경 거리 안내 정보(즉, 차선 변경 가능 거리에 관한 정보)와 진출입로 안내 정보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4 차량(4)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는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가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기기의 화면 예를 나타낸다. 도 5에는 예시적으로, 램프 출구 시작점(즉,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까지의 거리가 500m(미터)이고 정체구간의 길이(r1)가 200m(미터)인 경우, 정체구간 시작 위치까지 남은 거리가 300m(미터)이므로, 앞으로의 차선 변경 가능 거리가 300m(미터)임을 알려주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차선 변경 거리 안내 정보(즉, 차선 변경 가능 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자주 발생하던 상황들, 즉 진출입로로 뒤늦게 끼어들기를 하는 상황, 진출입로에 진입하지 못하는 상황(그로 인해 다음 진출입로까지 차량 운행을 수행한 후 다시 원하는 목적지로 되돌아와야 하는 상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일예로 복수의 도로 상 차량(50)(1, 2, 3, 4, ??) 중 제1 차량(1)과 제2 차량(2)이 제공부(120)에서 산출된 정체구간 길이(r1)에 대응하는 정체경로 상 정체 차량들에 속한다고 하자. 또한, 제4 차량(4)이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 예정인 진출입 예정 차량이되, 정체 차량들 중 말단 정체 차량(제2 차량(2))의 후방으로 연장하여 함께 정체되어 있는 상태라고 하자. 그리고, 제2 차량(2)이 실제로는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할 차량이 아니라, 본선(P2) 도로를 따라 계속 이동해야 할 차량이라고 하자. 즉, 제2 차량(2)이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하는 정체된 차량들 사이에 실수로 잘못 끼어 정체하고 있는 차량(실수 정체 관련 차량)이라고 하자.
즉,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말단 정체 차량(일예로 제2 차량(2))의 후방으로 연장하여 정체되어 있는 정체된 진출입 예정 차량(일예로 제4 차량(4))과 제공부(120)에서 산출된 정체구간 길이(r1)에 대응하는 정체경로 상 정체 차량들(일예로, 제1 차량(1)과 제2 차량(2))을 포함한 정체 관련 차량들(즉, 제1 차량, 제2 차량, 제4 차량) 중에서, 실수로 잘못 정체되어 있는 실수 정체 관련 차량(일예로, 제2 차량(2))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실수 정체 관련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실수 정체 관련 차량(제2 차량)에 대하여 정체 관련 차량들에 대응하는 연장 정체경로를 벗어나도록 안내하는 회유 경로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 정체경로라 함은 정체 관련 차량들(즉, 제1 차량, 제2 차량, 제4 차량)에 의해 형성되는 정체경로로서, 즉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전체 정체경로(이는 실시간으로 말단 정체 차량의 후방으로 정체하는 진출입 예정 차량의 위치를 고려하여 생성되는 정체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일예로 실수 정체 관련 차량인 제2 차랑(2)에 대하여, 회유 경로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로서 '현재 대상 진출입로의 정체구간에 잘못 끼어 있습니다. 이를 벗어나 다시 본선(P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차선을 3차선이 아닌 2차선으로 변경해 주세요'와 같은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실수 정체 관련 차량에게 회유 경로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원래는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해야 하는 차량이 아니라 본선(P2) 도로를 따라 이동해야할 차량인데, 운전미숙 등으로 인하여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하기 위한 정체구간에 잘못 끼어있는 차량(즉, 실수 정체 관련 차량)에게(혹은 해당 차량의 사용자에게) 다시 본선(P2)으로 합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00)는 대상 진출입로(P1)의 정체구간(즉, 대상 진출입로의 진출입 정체구간)의 길이 자체가 축소되도록 하는 데에 도움 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4 차량(4)이 대상 도로(P)를 따라 이동하고 있다고 하자. 그리고, 제4 차량(4)이 내비게이션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받는 이동 경로(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상에는 직진인 것으로 나타나는데, 일예로 제4 차량(4)이 위치하는 해당 대상 도로(P)(일예로 해당 대상 도로가 상행 도로 및 하행 도로 중 상행 도로인 것으로 가정하면)의 교통량을 기반으로 서로 대비하여 분석하였더니, 제4 차량(4)의 속도가 느려질 상황이 아닌데 점차 느려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고 하자. 이때, 대상 도로(P)의 교통량에 관한 정보는 일예로 교통량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공개 데이터베이스(DB), 내비게이션 서버(미도시) 내 내비 데이터베이스(DB), 및 본 장치(100) 내 차량 데이터 DB(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된 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교통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무엇이든 활용(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제4 차량(4)이 일예로 대상 진출입로(P1)에 대하여 형성된 정체구간(즉, 정체구간 길이에 대응하는 구간)에 실수로 잘못 껴있는 것으로 예측(예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회유 경로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로서 '대상 진출입로로 빠지는 차선에 있으시다면, 그로부터 벗어나 본선(P2)에 해당하는 차선으로 이동하여 계속 직진해주세요'와 같은 정보를 생성하여 제4 차량(4)으로 제공(혹은 제4 차량(4) 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안내 정보 제공부(130)는 대상 진출입로(P1)의 정체구간에 잘못 껴있는 차량(실수 정체 관련 차량)을 정체구간에서의 노이즈인 것으로 인식하여, 해당 잘못 껴있는 차량에게 회유 경로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노이즈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00)는 회유 경로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의 제공을 통해, 진출입로에 잘못 껴있는 차량을 정체구간으로부터 빼내게 하는 가이드를 함으로써, 정체구간의 길이 자체를 축소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
본 장치(100)는 회유 경로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특정 차량이 진출입로로 진출입할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진출입로의 줄에 잘못 끼어들어 있어 시간을 낭비하게 되었던 상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측부(140)는,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 예정인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으로부터 수집되는 실시간 차량 데이터를 고려(각 차량들의 전/후방 상대적 거리 간격, 순서 등 고려)하여 정체구간 길이(r1)의 길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예측부(140)는 수집되는 실시간 차량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일예로 차량 진행방향(혹은, 대상 도로의 길이방향)에 대한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간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 간격 및 순서(이는 대상 진출입로(P1)의 입구 위치(A)로부터 가까운 순으로 넘버링되는 순서를 의미할 수 있음)를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정체구간(r1)의 길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정체구간(r1)의 길이 변화 예측을 위해, 일예로 내비게이션 서버(미도시) 내 내비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어 있는 실시간 차량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체구간(r1)의 길이 변화 예측을 위해,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0)가 수집한 실시간 차량 데이터가 활용(혹은, 본 장치 내 차량 데이터베이스 DB에 저장되어 있는 실시간 차량 데이터)가 활용될 수도 있다.
예측부(140)는 차량의 실시간 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체구간(r1)의 길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일예로, 대상 도로(P) 상에 이동중인 복수의 도로 상 차량(50)(1, 2, 3, 4, ??) 중 대상 진출입로(P1) 쪽으로 진출입해야 하는 경로로 가고 있는 실시간 차량 20대 정도(즉, 20대의 진출입 예정 차량들) 중 일예로 4대의 차량이 내비게이션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달리 말해, 4대의 차량의 정보가 내비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 저장중인 경우)라고 하자.
이러한 경우, 예측부(14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4대의 차량의 차량 데이터를 확보(수집)하여, 해당 4대의 차량의 차량 데이터(일예로 위치 등)에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4대의 차량 중 상대적으로 더 전방에 있는 차량 혹은 상대적으로 더 후방에 있는 차량의 순서나 이격 거리 간격을 분석(설정)할 수 있다. 이후, 예측부(140)는 분석된 정보(진출입 예정 차량들 간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 간격이나 순서 등) 를 기반으로, 정체구간 길이(r1)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기준으로 예를들면, 실시간으로 4대의 차량의 차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4대의 차량이 모두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하고자, 순차적으로 속도를 줄여가며 정체구간 길이(r1)에 대응하는 정체경로 상 정체 차량들 중 말단 정체 차량(일예로 제2 차량(2))의 위치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정체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예측부(140)는 정체구간 길이(r1)가 처음에 입구 위치(A)로부터 말단 정체 차량(일예로, 제2 차량(2))의 위치까지 해당하는 제1 길이(일예로 6m)로 산출되었던 것 대비, 실시간 차량 데이터의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정체구간 길이(r1)가 4대의 차량 각각의 길이(일예로, 전장 길이)를 모두 합한 길이만큼(일예로 20m의 길이만큼) 더 변화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예측부(140)는 실시간으로 수집(획득)되는 차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체구간 길이(r1)의 변화 추세를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예측부(140)는 수집된 차량 데이터를 딥러닝 모델로 학습시킬 수 있으며, 딥러닝 모델의 학습을 통해 정체구간 길이(r1)의 변화(추세)를 예측할 수 있다. 이때, 딥러닝 모델의 학습은 해당 대상 진출입로(P1) 혹은 대상 도로(P)의 특성에 맞춤형으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딥러닝 모델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 모델, 기계학습(머신러닝) 모델, 신경망 모델(인공 신경망 모델), 뉴로 퍼지 모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델(3)은 예시적으로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합성곱 신경망), 순환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딥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등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제공부(120)는 예측부(140)에서 예측된 정체구간 길이(r1)의 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제공부(120)에서 산출되는 정체구간 길이(r1)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앞서 말한 일예에 따르면 정체구간 길이(r1)가 처음에 제1 길이(일예로 6m)로 산출되었다고 하자. 이때, 예측부(140)에서 예측된 길이 변화가 일예로, 4대의 차량 각각의 길이를 모두 합한 길이인 20m의 길이에 해당하는 경우, 제공부(120)는 실시간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예측된 정체구간 길이(r1)의 값을, 처음 제1 길이인 6m의 값에서 제2 길이인 26m(이는 6m에 20m를 더하여 산출되는 값임)의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제4 유형 차량 데이터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수집부(110)가 수집하는 차량 데이터는, 대상 진출입로(P1)에 대응하는 도로변에 간격을 두고 포스트 형태로 설치(배치)되는 복수의 개체감지부(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제4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개체감지부(미도시)는 도로변에 대상 진출입로(P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개체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는, 몸체부의 측면에 마련되는 거리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감지 센서가 마련되는 몸체부의 측면은 도로변을 기준으로 대상 도로(P) 상의 차선을 바라보는 방향(즉, 차선을 향하는 일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몸체부는 원기둥 형상, 사각 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에 마련되는 거리감지 센서는,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그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대상 도로(P) 내 대상 진출입로(P1)의 차선의 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의 몸체부의 측면에는, 해당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가 설치된 위치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대상 도로(P) 내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의 수와 1:1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거리감지 센서(혹은 복수의 거리감지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의 몸체부의 측면에 복수개의 거리감지 센서가 마련되는 경우, 이러한 복수개의 거리감지 센서는 몸체부의 측면에, 몸체부의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거리감지 센서 각각은, 복수의 대상 출입로의 차선들 각각에서 이동하는 차량까지의 거리를 센싱함으로써, 이를 통해 이동하는 차량의 유무 감지, 속도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개체감지부 중 제1 개체감지부는 제1 차량(1)의 위치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도로변 상에 설치(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개체감지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그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대상 도로(P) 내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의 수는 1개이므로, 제1 개체감지부의 몸체부의 측면에는 제1 거리감지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감지 센서는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제1 차랑(1)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감지(센싱)할 수 있다. 이때, 차량에 관한 정보에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1 차량(1)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의 유무(즉, 이동 차량의 유무 감지) 및 해당 차량의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들어, 복수의 개체감지부 중 제2 개체감지부는 도 3의 도면을 기준으로 제4 차량(1)의 위치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도로변 상에 설치(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개체감지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그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대상 도로(P) 내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의 수가 2개라고 하자. 이때,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의 수가 2개라 함은,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대상 도로(P) 내 3개의 차선 중 가장 우측에 있는 차선 순으로 2개의 차선을 지칭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3개의 차선 중 제2 차선과 제3 차선이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개체감지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그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대상 도로(P) 내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의 수는 2개이므로, 제2 개체감지부의 몸체부의 측면에는 2개의 거리감지 센서로서 제1 거리감지 센서와 제2 거리감지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제1 거리감지 센서는 일예로 제2 개체감지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그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대상 도로(P) 내 제2 차선 상의 위치를 통과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감지(센싱)할 수 있다. 제2 거리감지 센서는 일예로 제2 개체감지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그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대상 도로(P) 내 제3 차선 상의 위치를 통과하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어느 한 개체감지부 내에 거리감지 센서를, 해당 어느 한 개체감지부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그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의 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함으로써, 해당 대상진출입로의 차선의 수 각각에 대하여 이동되는 차량들의 차량 데이터(즉, 제4 유형 차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예로 차량이 이동하는 고속도로 등의 도로 내에서 램프 차선(즉, 대상 진출입로를 향하여 진출입하기 위해 마련되는 차선, 진출입 차선)은 일반적으로 해당 도로의 가장자리(제일 우측)에 1개 내지 3개 정도의 수준으로 마련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개체감지부를 대상 도로(P)의 가장자리인 도로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감지선의 경우 도로의 지면에 자체 매립되도록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감지선의 설치(매립)을 위해서는 교통을 통제하는 등 복잡한 시공설치 작업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장치(100)에서는 제4 유형 차량 데이터의 수집(획득)을 위해 복수의 개체감지부를 도로변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에 감지선 설치 방식이 갖는 단점(즉, 교통을 통제하는 등 복잡한 시공, 설치 작업이 요구되던 단점)을 해소하면서 대상 도로(P) 상, 특히 대상 진출입로 상을 이동하는 차량들에 관한 차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획득)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도로 지면 자체에 감지선을 매립(설치)를 위해 이루어지던 교통 통제 등의 복잡한 시공설치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도로변에 포스트(기둥) 형태로 횡 방향을 바라보게 개체(일예로 차량)를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일예로 거리감지 센서)를 배치시킴으로써(즉, 이러한 거리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개체감지부를 배치, 설치함으로써), 이동되는 차량의 차량 데이터를 수집(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개체감지부에는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 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거리감지 센서가 마련됨으로써, 개체감지부를 통하여 본 장치(100)는 단순히 해당 진출입로의 차선 상에 차량이 존재 유뮤를 감지하는 단순 ON/OFF 감지 방식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거리(일예로,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의 개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을 감지할 수 있다(즉,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에 해당하는 영역 내 이동되는 차량의 차량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이러한 개체감지부를 대상 진출입로(P1)의 도로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간격을 두고 배치시킴으로써, 이러한 복수개의 개체감지부를 이용함으로써 대상 진출입로(P1)를 향하여 정체되어 있는 차량의 정체구간 길이(r1)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개체감지부 중 일예로 제1 개체감지부는 대상 진출입로(P1)에 연장 형상되는 차선(일예로, 도 3과 같은 도로에서 3차선) 상의 제1 지점에 대응하는 도로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점은 일예로 대상 진출입로(P1)로 완전 진입이 완료되는 지점으로서, 예시적으로 도3의 도면을 기준으로 2차선에 위치한 차량이 더 이상 3차선인 대상 진출입로(P1)의 차선 경로에 못 끼어드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점은 일예로 제1 차량(1)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도로변 상의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개체감지부 중 제2 개체감지부는, 제1 개체감지부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도로변을 따라20m 떨어진 지점인 제2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제2 지점은 정체구간이 점차적으로 형성될 것으로 보이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점의 위치는 일예로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개체감지부에 의해 감지(센싱)된 상술한 차량에 관한 정보는 일예로 앞서 말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정체구간 길이(r1)의 산출 내지 정체구간 길이(r1)의 변화(추세)를 예측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이때, 딥러닝 모델에서의 학습은 일예로 차량을 감지하는 주기를 기반으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르면,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본 장치(100)는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 복수의 영상 센서, 계측 센서, 및 복수의 개체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0)에서 고려되는 차량 데이터의 수집을 위한 센서 구성(즉, 차량감지 센서, 영상 센서, 계측 센서, 개체감지부)은 일예로 저전력 통신, 저전력 센싱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제공부(120)를 이용해 정체구간 길이(r1)를 산출하여 제공하고, 안내 정보 제공부(130)를 이용해 정체구간 길이(r1)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예측부(140)를 이용해 정체구간 길이(r1)의 길이 변화를 예측하여 이를 기반으로 정체구간 길이(r1)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차량이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하고자 할 때, 해당 대상 진출입로(P1)에 정체되어 있는 정체구간의 길이(정체구간 길이, r1)를 보다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산출하여 그를 기반으로 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 예정인 차량이 차선 변경을 미리 할 수 있도록 도움 줄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종래에 진출입로의 정체구간의 사이로 끼어들기를 할 때 가지게 되는 미안함(끼어들고자 하는 지점의 뒤로 정체되어 있는 차주에게 가지게 되는 미안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예로 종래 '스마트국민제보' 어플에 의하면, 종래에는 특정 사용자가 진출입로의 정체구간의 사이에 끼어들기를 했을 때, 다른 사용자(스마트국민제보 어플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한 사용자)가 끼어들기한 것을 사진으로 찍어 신고를 하게 되면, 끼어들기를 한 차량이 과태료 등을 지불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본 장치(100)는 끼어들기에 관한 법적 제재를 방지(예방)하는 측면 내지 대상 진출입로에서의 교통 정체를 해결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도움될 수 있다.
본원에서 대상 진출입로(P1)는 대상 램프 진출입로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장치(100)는 다양한 차량 측위 기술(일예로, 차량감지 센서, 영상 센서, 계측 센서 및 개체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차량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램프 진출입로(즉, 대상 진출입로)의 교통정체의 상황을 예측한 후, 정체 상황일 때 정체구간 길이(r1)를 차량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미리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하여, 뒤늦게 끼어들기를 하거나 진출입로에 진입하지 못하는 상황 등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일예로 운전자가 내비게이션 서비스 또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기기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또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기기로서 일예로 내비게이션 기기, 사용자 단말 등을 대상으로 하여, 산출된 정체구간 길이(r1)의 정보 내지 생성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램프 진출입로(대상 진출입로, P1)의 정체 상황 및 정체구간 길이(r1)를 예측하기 위하여, 도로 위 감지선(11, 12, 13, 14, …), 카메라 영상 센서(상술한 영상 센서) 또는 GPS(일예로 상술한 차량 내 자체 마련된 계측 센서)를 비롯한 다양한 차량 위치 측정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현재의 정체구간의 길이(r1)를 예측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미리 차선 변경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램프의 진출입로의 정체구간의 길이(r1)를 예측하기 위하여, 대상 진출입로(P1)의 도로상에 차량의 위치와 속도 등을 포함한 차량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는 검지선, 개체감지부 등과 같은 간단한 센서 장치를 설치하거나, 각각의 차량으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수집된 차량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대상 진출입로(P1)의 정체구간 길이(r1)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산출된 정체구간 길이(r1)를 기반으로 일예로 차량의 운전자가 사용 중인 내비게이션 기기 또는 기타 유사한 기기(일예로 사용자 단말)로, 정체구간 길이(r1)에 관한 정보 및/또는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에 관한 정보(즉, 차선 변경 가능 최대 거리 정보)를 제공(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이러한 정체구간 길이(r1)에 관한 정보 및/또는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100)를 포함하는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시스템을 본 시스템이라 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일예로 차량 감지 시스템, 도로 정보 제공자,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 정보 제공자는 일예로 본 장치(100)를 의미할 수 있다.
차량 감지 시스템, 도로 정보 제공자,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 단말은 서로 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대한 예시는 앞서 설명했으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 감지 시스템에는 도로 매립 감지선, 영상 센서 및 통신 장비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로 매립 감지선은 상술한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복수의 검지선, 감지선)을 의미하고, 영상 센서는 상술한 영상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감지 시스템에는 상술한 계측 센서 및 개체감지부가 포함될 수 있다.
도로 정보 제공자인 본 장치(100)는 차량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대상 도로(P) 상에 이동되는 차량의 차량 데이터를 수집(획득)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수집된 차량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정체구간 길이(r1)를 산출(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내 차량 데이터 DB(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0) 내 데이터베이스에는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복수의 차량 데이터 및 산출부(120)에서 산출되는 정체구간 길이(r1)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장치(100) 내 데이터베이스에는 본 장치(100)에서 고려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일예로 정체구간 길이(r1)가 산출되면, 이를 본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로 제공(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는 예시적으로 상술한 내비게이션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는 본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정체구간 길이(r1)를 기반으로 정체구간 길이(r1)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즉, 내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0)는 산출된 정체구간 길이(r1)를 기반으로 정체구간 길이(r1)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네트워크를 통해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공(전달)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는 본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차량의 운전자(사용자)가 가진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다양한 차량 측위 기술을 활용하여 램프 진출입로(대상 진출입로, P1)의 정체 상황을 예측한 후, 정체 상황일 때의 정체구간 길이(r1)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일예로 정체구간 길이(r1)를 내비게이션 시스템(즉,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 내비게이션 서버)에 알려줄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자에게 진출입로에 진입하기 위해 차선을 변경할 수 있는 거리를 미리 알려주어, 운전자가 뒤늦게 끼어들기를 하거나 진출입로에 진입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램프 진출입로(대상 진출입로, P1)의 정체구간 길이(r1)를 예측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예로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킴으로써 상습 정체 구간과 길이 정보를 습득(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활용하여, 본 장치(100)는 도로 환경 및 교통망 개선에 효과적으로 도움줄 수 있다.
고속화도로 또는 간선도로 내 램프 진출입로(대상 진출입로, P1)에 정체가 발생하여 차량이 줄지어 있는 경우에는,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 예정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다 원활한 진출입을 위해 대상 진출입로(P1)로 진행하려는 후속 차량 운전자(일예로, 진출입 예장 차량의 운전자)가 미리 차선을 변경할 수 있도록, 정체구간의 길이(r1)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후속 차량의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를 계산해 미리 알려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3에는 예시적으로 후속 차량인 제4 차량(4)이, 대상 진출입로(P1, 램프 진출입로)로 진출입하기 위해, 본선(P2)의 2차선 도로에서 대상 진출입로(P1)의 차선(즉, 램프 진출입로의 차선)으로 진입하고자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대상 진출입로(P1)에 차량 정체가 발생하여 정체구간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후속 차량인 제4 차량(4)은 일예로 제4 차량(4)의 현재 위치(현재의 도로 상 위치)로부터 정체구간(P1)이 시작되는 지점(즉, 말단 정체 차량인 제2 차량(2)의 위치)까지의 구간에서, 차선을 미리 변경해야만 무리한 끼어들기 없이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는 후속 차량인 제4 차량(4)이 무리한 끼어들기 없이 대상 진출입로(P1)로 진출입 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변경 가능 구간이 파란색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본 장치(100)는 이러한 차선 변경이 가능한 구간의 최대 길이인 차선 변경 가능 거리(r2) 및 정체 구간 길이(r1)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후속 차량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서 정체구간 길이(r1)를 산출(예측)하는 방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중 한가지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예로 대상 진출입로(P1, 램프 진출입로)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도로 상에 차량 감지선을 매립(설치), 즉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을 매립(설치)함으로써, 본 장치(100)는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진출입로(P1)의 정체구간 길이(r1)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이러한 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체구간 길이(r1)를 포함한 대상 진출입로(P1)의 교통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서의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11, 12, 13, 14, …)은 차량 감지선으로서, 일예로 종래에 일반적으로 과속 단속을 위해 사용되는 감지선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이러한 감지선을 통하여 램프 진출입로(대상 진출입로)의 정체 상황뿐만 아니라, 정체구간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감지선을 통한 방법 외에도 영상 센서를 활용하여 정체구간의 길이를 직접 예측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카메라를 비롯한 영상 센서를 설치하여 영상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면 정체구간의 길이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서 영상 센서는, 카메라, 차량검지기, 이미지 센서 등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차량 감지 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정보, 즉 감지선이나 영상 센서 등을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는 통신망(네트워크)을 통하여 도로 정보 제공자(즉, 본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로 정보 제공자는 본 장치(100)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중앙 정보 시스템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도로 정보 제공자는 통신망을 통하여 전달받은 정보(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정체구간의 길이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 의해 예측(산출)된 정체구간 길이(r1)의 정보는 각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가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램프 진출입로에 진입하려는 운전자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일예로, 진출입 예정 차량의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 혹은 해당 운전자의 내비게이션 기기)는 본 장치(100)에 의해 예측(산출)된 정체구간 길이의 정보를 본 장치(100)로부터 네트워크(일예로,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도 6에는 본 장치(100)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개요도가 나타나 있다. 도로 정보 제공자는 도로상에 설치된 감지선이나 카메라를 비롯한 영상 센서로부터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즉, 차량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0)는 전달받은 정보(차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램프 진출입로의 차량 정체구간 길이(r1)를 계산한 후, 이를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신망을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는 램프 진출입로에 진입하려는 차량 운전자에게 차선 변경 가능 거리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서, 램프 진출입로 근방의 차량 위치와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차량 감지선은 통상적으로 과속 단속을 위해 많이 사용하는 감지선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선을 통하여 본 장치(100)는 램프 진출입로의 정체 상황뿐만 아니라, 정체 구간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위의 감지선을 통한 방법 외에도 영상 센서를 활용하여 정체 구간의 길이를 직접 예측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카메라를 비롯한 영상 센서를 설치하여 영상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면 정체 구간의 길이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서 예측(산출)된 정체구간의 길이 정보는 각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가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램프 진출입로에 진입하려는 운전자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위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예측한 정체 구간 길이를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달받는다.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현재 운전자의 차량 위치로부터 진출입로 입구까지의 거리와 정체 구간 길이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차선 변경 가능 최대 거리를 구하고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면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본 장치(100)로부터 정체구간 길이가 영(zero)이라고 전달받으며,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현재 차량 위치와 진출입로 입구까지의 거리를 차선 변경 가능 최대 거리로 계산하여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고속화도로 또는 간선도로의 램프 진출입로의 정체 상황 및 정체구간 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장치(100)는 램프 진출입로에 진입할 운전자에게 무리한 끼어들기를 하지 않도록 하는 앞으로의 차선 변경이 가능한 최대 거리를 알려줄 수 있다.
많은 차량 운전자들은 고속화도로 및 간선도로에서 내비게이션이 안내하는 램프 출입로로 진입하여 본선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출입로에서 빠져나가기 위해 다수의 차량이 길게 정체된 구간에서 미리 램프 출입로로 진입하기 위한 차선 변경을 하지 못한 경우, 뒤늦게 정체된 차량 사이로 끼어들기를 하여 차선 변경을 해야 하거나, 아예 다음 출입로까지 운행한 후 다시 돌아와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원은 본 장치(100)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종래의 단순한 램프 진출입로 경로 안내 서비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장치(100)는 다양한 차량 측위 기술을 활용하여 램프 진출입로의 정체 상황을 예측한 후, 정체 상황일 때 정체 구간 길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미리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다양한 차량 측위 기술을 활용하여 램프 진출입로의 정체 상황을 예측한 후, 정체 상황일 때 정체 구간 길이를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알려주고,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진출입로에 진입하기 위해 차선을 변경할 수 있는 거리를 미리 알려주어, 운전자가 뒤늦게 끼어들기를 하거나 진출입로에 진입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수집부는, 정체구간 길이의 판단 대상이 되는 대상 진출입로와 본선이 포함된 대상 도로 상에 이동되는 복수의 도로 상 차량에 관한 차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도로 상 차량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제공부는, 수집된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1에서,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노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1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2에서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 각각의 설치 위치와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에 의한 제1 유형 차량 데이터의 측정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1에서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도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영상 센서에 의해 촬영된 대상 진출입로 상 복수 지점 각각을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영상 분석함으로써 획득되는 제2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2에서는,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로부터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정체구간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2에서 제공부는,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개의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들 중 상기 입구 위치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는, 상기 촬영 영상의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식별된 영상 내 도로 상 차량의 위치의 변화량 및 속도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 변화량 미만에 속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단계S11에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도로 상 차량 각각에 마련된 계측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3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2에서는,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로부터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정체구간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안내 정보 제공부는, 단계S12에서 산출된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고려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13에서는, 정체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정체경로 상 정체 차량들 중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도로 상 차량 중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대상 진출입로로 진출입 예정인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차선 변경 가능 거리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선 변경 가능 거리는,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로부터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까지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대상 도로 상에서의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의 차선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에 대해 각기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단계S13에서는,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하여 정체되어 있는 정체된 진출입 예정 차량과 상기 정체 차량들을 포함한 정체 관련 차량들 중에서 실수로 잘못 정체되어 있는 실수 정체 관련 차량이 존재하는 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실수 정체 관련 차량에 대하여 상기 정체 관련 차량들에 대응하는 연장 정체경로를 벗어나도록 안내하는 회유 경로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4에서 예측부는,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으로부터 수집되는 실시간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정체구간 길이의 길이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S12에서는, 예측된 상기 길이 변화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1에서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진출입로에 대응하는 도로변에 간격을 두고 포스트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체감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제4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개체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는, 몸체부의 측면에 마련되는 거리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리감지 센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개체감지부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 도로 내 대상 진출입로의 차선의 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개체감지부의 설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의 설치 개수보다 적게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4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110: 수집부
120: 제공부
130: 안내 정보 제공부
140: 예측부
110: 수집부
120: 제공부
130: 안내 정보 제공부
140: 예측부
Claims (16)
-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으로서,
(a) 정체구간 길이의 판단 대상이 되는 대상 진출입로와 본선이 포함된 대상 도로 상에 이동되는 복수의 도로 상 차량에 관한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차량 데이터는, 상기 도로 상 차량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이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도로 상 차량 각각에 마련된 계측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3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로부터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정체구간 길이로 산출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노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1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 각각의 설치 위치와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에 의한 제1 유형 차량 데이터의 측정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도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영상 센서에 의해 촬영된 대상 진출입로 상 복수 지점 각각을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영상 분석함으로써 획득되는 제2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로부터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정체구간 길이로 산출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개의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들 중 상기 입구 위치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는, 상기 촬영 영상의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식별된 영상 내 도로 상 차량의 위치의 변화량 및 속도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 변화량 미만에 속하는 데이터인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b)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고려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정체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정체경로 상 정체 차량들 중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도로 상 차량 중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대상 진출입로로 진출입 예정인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차선 변경 가능 거리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차선 변경 가능 거리는,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로부터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까지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대상 도로 상에서의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의 차선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에 대해 각기 다르게 산출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방법. -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로서,
정체구간 길이의 판단 대상이 되는 대상 진출입로와 본선이 포함된 대상 도로 상에 이동되는 복수의 도로 상 차량에 관한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도로 상 차량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데이터이고,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도로 상 차량 각각에 마련된 계측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3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로부터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정체구간 길이로 산출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노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1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 각각의 설치 위치와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복수의 차량감지 센서에 의한 제1 유형 차량 데이터의 측정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상기 대상 도로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영상 센서에 의해 촬영된 대상 진출입로 상 복수 지점 각각을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영상 분석함으로써 획득되는 제2 유형 차량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차량 데이터 중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진출입로의 입구 위치로부터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기 정체구간 길이로 산출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개의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들 중 상기 입구 위치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는 도로 상 대응 차량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산출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 차량 데이터는, 상기 촬영 영상의 영상 분석을 기반으로 식별된 영상 내 도로 상 차량의 위치의 변화량 및 속도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 변화량 미만에 속하는 데이터인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상기 정체구간 길이를 고려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안내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정체구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정체경로 상 정체 차량들 중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도로 상 차량 중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대상 진출입로로 진출입 예정인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을 대상으로 하여, 차선 변경 가능 거리가 고려된 내비게이션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변경 가능 거리는, 상기 말단 정체 차량의 위치로부터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까지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대상 도로 상에서의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의 차선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진출입 예정 차량들 각각에 대해 각기 다르게 산출되는 것인,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6930A KR102459615B1 (ko) | 2020-12-17 | 2020-12-17 |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6930A KR102459615B1 (ko) | 2020-12-17 | 2020-12-17 |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6811A KR20220086811A (ko) | 2022-06-24 |
KR102459615B1 true KR102459615B1 (ko) | 2022-10-26 |
Family
ID=8221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6930A KR102459615B1 (ko) | 2020-12-17 | 2020-12-17 |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961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7447B1 (ko) * | 2011-07-05 | 2012-05-2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도로공사 교통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1714490B1 (ko) * | 2016-08-09 | 2017-03-09 |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 Cctv를 이용한 도로 합류 구간 정체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6909B1 (ko) * | 2016-09-02 | 2018-04-09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466735B1 (ko) * | 2016-11-26 | 2022-11-14 | 팅크웨어(주) | 경로 안내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KR102496819B1 (ko) * | 2017-11-30 | 2023-02-07 |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 경로 안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2020
- 2020-12-17 KR KR1020200176930A patent/KR1024596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7447B1 (ko) * | 2011-07-05 | 2012-05-2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도로공사 교통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1714490B1 (ko) * | 2016-08-09 | 2017-03-09 |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 Cctv를 이용한 도로 합류 구간 정체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6811A (ko) | 2022-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64753B2 (ja) | 交通渋滞緩和装置および方法 | |
JP5880580B2 (ja) | 車両挙動予測装置及び車両挙動予測方法、並びに運転支援装置 | |
US7783420B2 (en) | Route guidance systems, methods, and programs | |
CN105717939B (zh) | 一种支持汽车无人自动驾驶的道路路面的信息化和网络化实施方法 | |
KR101696881B1 (ko) | 교통 정보 분석 방법 및 장치 | |
US20180122227A1 (en) | Automated Traffic Signal Outage Notification with SPaT Information | |
KR20190099475A (ko) | 차량 거동 예측 방법 및 차량 거동 예측 장치 | |
KR101714490B1 (ko) | Cctv를 이용한 도로 합류 구간 정체 차량 통제 시스템 및 방법 | |
WO2019189152A1 (ja) | 交通監視装置、交通監視システム、交通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 |
KR20080071120A (ko) |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경로 안내 방법 | |
CN113574574B (zh) | 移动体监视系统、移动体监视系统的控制服务器以及移动体监视方法 | |
US20210012653A1 (en) | Traffic monitoring apparatus, traffic monitoring system, traffic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 |
JP2011214914A (ja) | 前方環境認識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誘導システム | |
US20210027619A1 (en) | Traffic monitoring apparatus, traffic monitoring system, traffic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 |
JP2006059058A (ja) | 走行データ判定装置 | |
KR102459615B1 (ko) | 차량 진출입로 정체구간 길이 알림 장치 및 방법 | |
Sharma et al. | Improving safety and mobility at high-speed intersections with innovations in sensor technology | |
KR20190142216A (ko) | 마킹의 딥러닝 인식을 이용한 차량 검지 시스템 | |
KR101945179B1 (ko) | 위험 교통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2020013173A (ja) |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 |
KR20220138448A (ko) |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
JP7276067B2 (ja) | 走行支援システム、走行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815941B1 (ko) | 불안정 교통류 정보 제공 방법 | |
JP2022064762A (ja) |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 |
KR101977391B1 (ko) | 열영상 기반의 교통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