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387B1 -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387B1
KR102459387B1 KR1020190063515A KR20190063515A KR102459387B1 KR 102459387 B1 KR102459387 B1 KR 102459387B1 KR 1020190063515 A KR1020190063515 A KR 1020190063515A KR 20190063515 A KR20190063515 A KR 20190063515A KR 102459387 B1 KR102459387 B1 KR 102459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aristor
input terminal
power input
su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337A (ko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2019006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38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4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02H9/04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ppearing at terminals of integrated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44Physical layout,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using spark-gap arres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1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or ripp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40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입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191)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입력단(191)을 통해 유입되는 일정전압 이상의 약서지를 흡수하는 바리스터(130)와 상기 인입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191)과 부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부하단(195)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입력단(191)을 통해 유입되는 고조파를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160)와 상기 인입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191)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입력단(191)을 통해 유입되는 일정전압 이상의 강서지를 흡수하는 가스 캡(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 기능과 서지 흡수 기능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되므로 전원 공급의 신뢰도가 중요한 5G 시대에 있어서 고신뢰성, 고품질의 안정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NOISE AND SURGE PROTECTIVE DEVICE}
본 발명은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신뢰성, 고품질의 안정된 전원 공급을 위한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 공급의 신뢰도가 중요한 4차 산업혁명의 정보통신기술(ICT) 사회에서, 5세대통신(5G) 기반의 인공지능(Al),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 지능정보기술은 고신뢰성, 고품질의 전원 공급이 요구된다.
5G 시대가 되면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빠른 속도로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를 중앙 서버와 끊김 없이 주고받아야 하는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 분야에서는 최고의 통신품질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동 통신사 5G 기지국의 노이즈(Noise) 및 서지(Surge) 유입은 통신 끊김과 같은 통신품질 문제를 일으키고, 노이즈, 서지 및 전자파장애(EMI)에 취약한 5G 전원함은 누전 차단기 오동작을 일으켜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이동 통신사 5G 기지국의 전원이 차단될 경우 통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통신회사의 이미지 추락 및 경제적 손실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또한, 현대의 전기, 전자 및 통신기기는 반도체기술의 발달로 대부분 서지내압이 극히 낮은 초고집적 IC칩이 내장되어 있어 서지 피해로부터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으며, 반도체기술의 끊임없는 발전으로 더욱 민감해지면서 서지로 인한 피해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보이는 이상기후로 낙뢰, 번개의 발생빈도가 높아져 서지로 인한 전기, 전자 및 통신기기 등 중요 고가 통신장비의 고장과 오작동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318852호(2013.10.10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이즈 필터와 서지보호기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서지 차단, 노이즈 필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전자 및 통신기기 등에 고신뢰성, 고품질의 안정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입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입력단을 통해 유입되는 일정전압 이상의 약서지를 흡수하는 바리스터와 상기 인입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과 부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부하단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입력단을 통해 유입되는 고조파를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와 상기 인입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입력단을 통해 유입되는 일정전압 이상의 강서지를 흡수하는 가스 캡을 포함한다.
상기 노이즈 필터의 전단과 후단에 상기 전원 입력단과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콘덴서를 포함한다.
상기 바리스터는 기판에 고정되며 배선회로와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접지에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일단이 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는 전원회로와 연결되며 반대되는 타단이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바리스터의 일면에 피복을 제거한 위치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판스프링단자에 의해 상기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바리스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여 상기 납땜이 녹으면 상기 판스프링단자의 탄성 변형된 상태가 복원되면서 상기 바리스터와 상기 전원 입력단의 연결이 분리된다.
상기 판스프링단자는 상기 기판에 끼움 결합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일단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기판에 밀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절곡되고 소정의 각도로 굴곡진 후 절곡되어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판스프링부와 상기 판스프링부의 타단 일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바리스터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타단 부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리스터는 2개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판스프링단자는 각 바리스터의 외측에 배치되어 서로 겹치지 않는다.
상기 바리스터와 상기 노이즈 필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리스터와 상기 노이즈 필터의 접촉을 방지하는 분리판을 포함한다.
상기 바리스터, 상기 노이즈 필터, 상기 가스 캡을 감싸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인입 전원선이 삽입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제1 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 블록과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부하 전원선이 삽입되는 제2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전원 부하단이 연결되는 전원 부하단 블록과 상기 전원 입력단에 형성된 전원홀을 통해 상기 전원 입력단 블록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전원 입력단 블록에 삽입된 인입 전원선을 고정하고, 상기 전원 부하단에 형성된 전원홀을 통해 상기 전원 부하단 블록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전원 부하단 블록에 삽입된 부하 전원선을 고정하는 전원체결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공에 통해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노이즈 필터는 중공 원통 형상의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측에 감긴 하나 이상의 코일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원 입력단에 형성된 단자홀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코일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전원 부하단에 형성된 단자홀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바리스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트용 서지를 유입하는 연결포트가 구비된다.
상기 서지 테스트 후 초기화를 위한 초기화 버튼를 포함한다.
상기 바리스터의 정상, 점검, 교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5G 기지국의 통신기기, 5G 전원 분전함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에 설치되어, 고조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직류전원을 제거한 고품질의 전원을 부하측으로 공급하므로 고품질의 전원을 통신기기에 공급하고 통신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을 부하측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서지가 유입되면 빠르게 반응하여 서지를 흡수하므로 서지로부터 통신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노이즈 필터 기능과 서지 흡수 기능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되므로 전원 공급의 신뢰도가 중요한 5G 시대에 있어서 고품질의 전원 공급과 함께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므로 전원 공급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를 정면측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를 후면측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5의 죄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리스터, 노이즈 필터 및 가스 캡이 배치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단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저면도.
도 11은 정현파, 고조파, 고조파로 인한 왜곡된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는 단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상은 전원선이 2개가 연결되는 2선 방식이다.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는 5G 기지국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에 설치되어 5G 기지국의 노이즈(noise) 및 서지(surge) 유입으로부터 통신기기를 보호한다. 또한,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는 5G 전원 분전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서지(surge), 노이즈(noise) 및 전자파장애(EMI)에 취약한 5G 전원 분전함의 누전, 과전류 조건을 제외한 누전차단기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신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100)는 바리스터(130), 노이즈 필터(160), 가스 캡(170), 제1 콘덴서(181) 및 제2 콘덴서(182)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100)는 전원 입력단(191)에 바리스터(130)가 병렬로 연결되고, 바리스터(130)의 후단에서 전원 입력단(191)과 전원 부하단(195)에 노이즈 필터(160)가 직렬로 연결되며, 바리스터(130)의 후단에서 전원 입력단(191)에 가스 캡(170)이 병렬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콘덴서(181,182)는 노이즈 필터(160)의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전원 입력단(191)에 병렬로 연결된다.
전원 입력단(191)은 전원 공급을 위한 인입 전원선이 연결되고 전원 부하단(195)은 부하 전원선이 연결된다. 부하 전원선은 5G 기지국 또는 5G 전원 분전함의 누전차단기에 연결될 수 있다.
바리스터(130)는 낙뢰, 유도뢰, 간접뢰 등 직 간접적 서지에 대하여 네트워크 장비 및 통신기기 등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바리스터(130)는 전원 입력단(191)을 통해 유입되는 일정전압 이상의 약서지를 흡수하여 접지로 유도한다. 일정전압은 미리 설정된 전압일 수 있다. 약서지는 5KA 미만일 수 있다. 바리스터의 내량은 40KA일 수 있다.
노이즈 필터(160)는 전원 입력단(191)을 통해 유입되는 고조파 노이즈(noise)를 제거한다. 고조파 노이즈는 기본 주파수 대비 2배, 3배, 4배 등에 해당하는 물리적 전기량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조파 노이즈는 정상적인 전압, 전류 파형인 정현파(sin 곡선)를 왜곡시켜 통신 장애를 일으킨다. 이러한 통신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노이즈 필터(160)를 포함한다. 노이즈 필터(160)는 고조파를 흡수하고 정현파만 통과시켜 정현파의 신호 왜곡을 제거한다.
가스 캡(170)은 전원 입력단(191)을 통해 유입되는 일정전압 이상의 강서지를 흡수하여 접지로 유도한다. 가스 캡(170)은 바리스터(130)에 비해 동작 개시 전압이 높고 내량이 높다. 예를 들어, 가스 캡은 80KA까지 서지를 방전시킬 수 있다. 강서지는 5KA 이상일 수 있다.
제1 콘덴서(181)와 제2 콘덴서(182)는 전원 입력단(191)을 통해 유입되는 직류전원을 차단하고 교류전원을 통과시킨다. 제1 콘덴서(181)와 제2 콘덴서(182)는 주파수 변화가 있는 교류에는 충방전을 계속하면서 전기가 흘려 교류전류만 통과시켜 주파수를 안정화시킨다.
이와 같이,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100)는 전원공급라인상에 설치되어 전원을 노이즈 필터(160)를 통과하여 부하측으로 공급하므로 정형화된 정현파 곡선의 전원을 부하측에 공급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제1 콘덴서(181)와 제2 콘덴서(182)가 직류전원을 차단하고 교류전원만 통과시키므로 주파수가 안정되어 고품질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와 더불어 약서지가 유입되면 서지가 노이즈 필터(160)를 통과하기 전에 바리스터(130)에서 이를 흡수하고, 바리스터(130)의 내량 이상의 강서지가 유입되면 가스 캡(170)에서 이를 흡수하여 제거하므로 부하측 통신기기를 서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리스터(130), 노이즈 필터(160), 가스 캡(170), 제1 콘덴서(181) 및 제2 콘덴서(182)는 일체형으로 하나의 장치에 구성하여 구조를 간편화함과 더불어, 하나의 장치에서 서지 차단, 노이즈 필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100)는 하우징(110,120) 내에 바리스터(130), 노이즈 필터(160), 가스 캡(170), 제1 콘덴서(181) 및 제2 콘덴서(182)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서지를 흡수할 수 있고 동시에 고조파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10,120)은 하부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은 내부공간(111)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바리스터(130), 노이즈 필터(160), 가스 캡(170), 제1 콘덴서(181) 및 제2 콘덴서(182)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은 하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위 소자들이 수용된 내부공간(111)을 차폐한다.
상부 하우징(120)은 볼트 삽입공(121)이 형성된다. 볼트 삽입공(121)은 하우징(110,120)에 연결되는 입입 전원선과 부하 전원선을 고정하기 위한 전원체결볼트(198)가 삽입된다. 볼트 삽입공(121)은 전원 입력단(191)과 전원 부하단(195)에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10)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공(123)이 형성된다. 고정공(123)은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10)을 상호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하우징(120)에 형성된 고정공(123)과 하부 하우징(110)에 형성된 고정공(미도시)을 관통하여 고정볼트(199)가 체결된다.
상부 하우징(120)은 상면에 초기화 버튼(125)과 상태 표시부(127)가 구비된다. 초기화 버튼(125)은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100)의 테스트 및 초기화를 위한 것이다. 상태 표시부(127)는 바리스터(130)의 '정상', '점검', '교체'를 외부로 표시한다.
상태 표시부(127)에서 '정상'은 바리스터(130)에 서지가 유입되지 않았거나 바리스터(130)에 일정 횟수 미만의 서지가 유입된 경우 표시될 수 있다. 점검'은 바리스터(130)에 일정 횟수 이상의 서지가 유입되거나 바리스터(130)에 일정 전류가 흐르는 것이 감지되면 표시될 수 있다. 바리스터(130)에 일정 횟수 이상의 서지가 유입되거나 바리스터(130)에 일정 전류가 흐르는 것을 통해 바리스터(130)의 충격 흡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교체'는 바리스터(130)에 내량 이상의 서지가 유입된 것이 감지되면 표시될 수 있다. 바리스터(130)에 내량 이상의 서지가 유입된 것이 감지되면 바리스터(130)가 열화상태이고 그 기능을 다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초기화 버튼(125)과 상태 표시부(127)는 LED 램프를 적용할 수 있다. LED 램프는 보조기판(145)에 고정되고 점등 상태가 상부 하우징(120)의 상태 표시부(127)를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표시부(127)에는 5KV 미만의 약서지가 유입시 3회까지 카운터되고 '정상' 표시에 녹색 LED가 1회, 2회, 3회 점멸될 수 있다. 또한 상태 표시부(127)에는 5KA 이상의 강서지가 유입시 3회까지 카운터되고 '점검' 표시에 황색 LED가 1회, 2회, 3회 점멸될 수 있다. 또한 상태 표시부(127)에는 서지 유입으로 인한 바리스터 열화 진행시 '교체' 표시에 적색 LED가 점등되어 즉시 교체를 표시할 수 있다. 관계자는 현장 출동하여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100)의 동작상태 점검 후 초기화 버튼(125)을 눌러 S/W를 초기화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0)과 상부 하우징(120)으로 구성되는 하우징(110,120)은 절연 재질, 난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부 하우징(110)은 인입 전원선이 삽입되는 제1 포트(113)와 반대편에 부하 전원선이 삽입되는 제2 포트(115)를 구비한다. 제1 포트(113)는 +인입 전원선, -인입 전원선, 중성선이 삽입되는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포트(115)는 +부하 전원선, -부하 전원선이 삽입되는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트(113)와 연통되게 전원 입력단 블록(192)이 배치된다. 전원 입력단 블록(192)의 상측에 전원 입력단(191)이 연결된다. 전원 입력단 블록(192)은 전후 개방된 사각형 형상으로 되고 상면에 연결홀(192a)이 형성된다. 전원 입력단(191)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고 상면에 전원홀(191a)과 단자홀(191b)이 구비된다. 전원홀(191a)에는 인입 전원선을 고정하기 위한 전원체결볼트(198)가 체결되고, 단자홀(191b)에는 노이즈 필터(160)를 구성하는 코일의 단부(162a,163a)가 고정된다.
전원 입력단(191)은 하면이 전원 입력단 블록(192)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전원 입력단 블록(192)의 상측에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체결볼트(198)가 전원 입력단(191)에 형성된 전원홀(191a)을 통해 전원 입력단 블록(192)의 연결홀(192a)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제1 포트(113)를 통해 전원 입력단 블록(192)에 삽입되는 인입 전원선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전원 입력단 블록(192)에 끼워진 전원 입력단(191)의 하면이 인입 전원선을 누르는 방식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인입 전원선이 전원 입력단 블록(192)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한번 고정되면 쉽게 빠지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원 부하단(195)은 하면이 전원 부하단 블록(196)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전원 부하단 블록(196)의 상측에 연결된다. 전원체결볼트(198)는 전원 부하단(195)에 형성된 전원홀(195a)의 통해 전원 부하단 블록(196)의 연결홀(196a)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제2 포트(115)를 통해 전원 부하단 블록(196)에 삽입되는 부하 전원선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전원 부하단 블록(196)에 끼워진 전원 부하단(195)의 하면이 부하 전원선을 누르는 방식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제2 포트(115)에 삽입되는 부하 전원선이 부하 전원단 블록(19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전원 입력단 블록(192), 전원 입력단(191), 전원 부하단 블록(196), 전원 부하단(195)은 전원이 잘 통하도록 구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바리스터(130)는 전원 입력단(191)에 병렬로 연결된다. 바리스터(130)는 전원 입력단과 인접한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기판(140)에 고정된다. 바리스터(130)는 기판(140)의 배선회로와 연결되는 입력단자(131)와 접지에 연결되는 출력단자(133)를 포함한다. 배선회로는 바리스터(130)의 입력단자(131)를 센서(미도시)에 연결하여 센서가 바리스터(130)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바리스터(130)는 금속산화물 바리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 바리스터는 입력단자(131)와 출력단자(133)의 사이에 금속산화물이 절연되어 있으며 옆면이 피복되어 형성된다. 금속산화물 바리스터는 평상시에는 두 극이 무통 상태이나, 입력단자를 통해 일정수준 이상의 전원이 인가되면 이를 흡수하여 출력단자(133)를 통해 접지로 도통시킨다.
일정수준의 전압은 바리스터(130)에서 서지로 판단되는 임계 전압을 의미한다. 바리스터(130)는 인입 전원선으로부터 일정전압 이상 인가되는 경우 내부저항이 감소하면서 서지를 흡수하여 접지로 유도함으로써 부하측에 서지가 흘러 전자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리스터(130)는 판스프링단자(150)에 의해 전원 입력단(191)과 연결된다.
판스프링단자(150)는 바리스터(130)가 정상 상태에서는 전원 입력단(191)과 바리스터(130)를 연결하여 바리스터(130)가 서지 보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바리스터(130)가 파괴되어 발열되면 전원 입력단과 바리스터(130)의 연결을 분리하여 화재 및 폭발 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바리스터(130)에 흡수 내량 이상의 서지가 유입되어 바리스터(130)가 파괴되고 내부 융착이 발생하면 융착된 부분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바리스터(130)에 열이 발생한다. 바리스터(130)의 내부 융착은 입력단자(131)와 출력단자(133)의 사이를 절연하는 금속산화물이 터지면서 두 단자가 부착되는 것이다.
바리스터(130)는 녹는점이 기판에 비해 높으므로 기판이 먼저 녹으면서 화재가 발생하고 온도가 더 상승하면 바리스터(130)가 폭발하게 된다. 따라서, 바리스터(130)가 파괴되고 내부 융착이 발생하면 바리스터(130)와 전원 입력단(191)의 연결을 분리해야 한다. 이를 판스프링단자(150)가 수행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판스프링단자(150)는 일단이 전원 입력단(191)과 연결되는 기판(140)에 고정되고 반대되는 타단은 탄성 변형에 의해 바리스터(130)의 일면에 피복을 제거한 위치(135)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바리스터(130)에 전원을 연결한다. 바리스터(130)의 일면에 피복을 제거한 위치(135)는 피복 내에 위치한 입력단자에 해당한다.
기판(140)은 전원 입력단(191)과 연결되는 전원회로(미도시)를 구비하고, 전원회로에 판스프링단자(150)의 일단이 연결된다.
판스프링단자(150)는 바리스터(13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여 납땜이 녹으면 탄성 변형된 상태가 복원되면서 바리스터(130)에 전원 연결이 차단되게 한다. 납은 융점이 200℃ 정도로 기판(140)에 비해 융점이 낮다. 따라서 바리스터(130)의 열로 인해 기판에 화재가 발생하기전 바리스터(130)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바리스터의 과열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을 방지한다.
실시예에서 바리스터(130)는 2개가 상하 나란히 배치되나, 바리스터(130)의 내량을 증가시키고자하는 경우 2개 이상의 바리스터를 배치할 수도 있다. 바리스터에 전원을 연결하는 판스프링단자(150)는 각 바리스터(130)의 외측에 배치되어 서로 접촉되거나 겹치지 않는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단자(150)는 전원이 잘 통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금속으로 제작되며, 일단 고정부(151), 지지부(152), 판스프링부(153) 및 타단 부착부(154)를 포함한다.
일단 고정부(151)는 기판(140)에 끼움 결합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부(152)는 고정부(151)에서 절곡되어 기판(140)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판스프링단자(150)를 기판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판스프링부(153)는 지지부(152)에서 절곡되고 각도로 굴곡진 후 다시 절곡되어 형성된다. 판스프링부(153)는 굴곡진 부분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다. 타단 부착부(154)는 판스프링부(153)의 타단 일측면에서 돌출되고 바리스터에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제1 포트(113)의 전원 입력단 블록(192)에 인입 전원선이 연결되면 일정 전압에서 전원이 전원 입력단(191), 판스프링단자(150)를 통해 바리스터(130)로 유입되고 쇼트 상태가 되어 서지를 방전시켜 준다.
노이즈 필터(160)는 전원 입력단(191)과 전원 부하단(195)에 직렬로 연결된다. 노이즈 필터(160)는 중공 원통 형상의 페라이트 코어(161)와 코어(161)에 감긴 하나 이상의 코일(162,163)을 포함한다. 코일(162,163)은 페라이트 코어(161)의 양측 면을 따라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은 +전원 입력단과 +전원 부하단을 연결하는 제1 코일(162)과 -전원 입력단과 -전원 부하단을 연결하는 제2 코일(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62)은 페라이트 코어(161)의 일측에 권취되고 제2 코일(163)은 페라이트 코어의 반대편 타측에 권취될 수 있다. 제1 코일(162)과 제2 코일(163)의 사이는 이격시킨다.
코일(161,163)이 권취된 페라이트 코어(161)는 인덕턴스 성분을 통해 고조파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페라이트 코어(161)의 인덕턴스 용량은 코어(161)에 감겨진 코일(161,163)의 턴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161,163)의 턴수가 증가함에 따라 코어(161)의 인덕턴스 용량은 증가할 수 있다. 코일(161,163)은 구리선일 수 있다.
코일(162,163)의 일측 단부(162a,163a)는 전원 입력단(191)에 형성된 단자홀(191b)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코일(162,163)의 타측 단부(162a,163a)는 전원 부하단(195)에 형성된 단자홀(195b)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노이즈 필터(160)의 일측 단부가 전원 입력단(191)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측 단부가 전원 부하단(195)에 연결되어 전원이 노이즈 필터(160)를 통과해서 부하측에 공급될 수 있다.
노이즈 필터(160)는 고조파 노이즈를 제거한 전원을 부하 전원단으로 공급하므로 통신기기의 부하 전원선을 통해 들어가는 전도성 노이즈를 방지한다.
바리스터(130)와 노이즈 필터(160)의 사이에 바리스터(130)와 노이즈 필터(160)의 접촉을 방지하는 분리판(165)이 배치된다.
노이즈 필터(160)는 분리판(165)의 상부에 배치되고, 바리스터(130)는 분리판(165)의 하부에 배치된다. 분리판(165)은 노이즈 필터(160)와 바리스터(130)의 절연을 위한 격리판이다. 분리판(165)은 절연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캡(170)은 전원 입력단(191)에 병렬로 연결된다. 일정전압 이상의 약서지에 대해서는 바리스터(130)가 서지를 방전시켜주고 일정전압 이상의 강서지에 대해서는 가스 캡(170)이 서지를 방전시켜 주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바리스터(130)와 가스 캡(170)을 병합 설계하면, 약서지에 대해서는 바리스터(130)가 동작하여 대처 속도가 빠르고 강서지에 대해서는 가스 캡(170)이 동작하여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보다 용이하다.
가스 캡(170)은 기판(140)에 연결된다, 가스 캡(170)은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기판에 연결 고정된다. 가스 캡(170)의 입력단자(131)는 기판의 전원회로와 연결되고 출력단자(133)는 기판(140)의 구성된 접지회로와 연결된다.
가스 캡(170)의 입력단자(131)가 연결되는 기판(140)의 전원회로는 바리스터(130)의 입력단자가 연결되는 기판(140)의 전원회로에 비해 그 순서가 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원 입력단(191)과 바리스터(130)를 연결하는 경로를 최소화하여 빠르게 유입되는 서지를 바리스터(130)가 가장 먼저 효과적으로 빠르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및 제2 콘덴서(181,182)는 노이즈 필터(160)의 전단과 후단에서 전원 입력단(191)과 각각 병렬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콘덴서(181,182)는 노이즈 필터(160)만으로 고조파 노이즈를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지만, 직류전원은 통과시키지 않고 교류전원만 통과시켜 노이즈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콘덴서(181,182)는 분리판(165)의 상면에 나란히 배치된다. 제1 콘덴서(181)의 단자(181a)는 노이즈 필터(160)를 구성하는 코일(162,163)의 일측 단부(162a,163a)에 연결되고, 제2 콘덴서(182)의 단자(182a)는 노이즈 필터(160)를 구성하는 코일(162,163)의 타측 단부(162a,163a)에 연결된다.
분리판(165)의 상면에 제1 및 제2 콘덴서(181,182)를 배치하면, 제1 및 제2 콘덴서(181,182)를 노이즈 필터(160)의 선단과 후단에 연결하기 용이하고 바리스터(130)와 절연을 유지하기도 용이하다.
상술한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100)는 전원 입력단(191)과 전원 부하단(195)에 직렬로 연결하여 전원공급라인을 형성하는 노이즈 필터(160), 노이즈 필터(160)의 선단에서 전원 입력단(191)에 병렬로 연결되는 바리스터(130), 노이즈 필터(160)의 후단에서 전원 입력단(191)에 병렬로 인결되는 가스 캡(170), 바리스터(130)와 노이즈 필터(160)의 사이에서 전원공급라인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콘덴서(181), 노이즈 필터(160)와 가스 캡(170)의 사이에서 전원공급라인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콘덴서(182)를 포함하는 순서로 회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판(140)에는 바리스터(130)에 유입되는 서지의 횟수를 감지하고, 바리스터에 유입되는 서지의 용량을 감지하며, 바리스터에 전류가 흐르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가 포함된다. 또한, 기판(140)에는 가스 캡(170)에 유입되는 서지의 횟수를 감지하고, 가스 캡(170)에 유입되는 서지의 용량을 감지하며, 가스 캡(170)에 전류가 흐르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포함된다.
센서가 감지한 바리스터(130) 및 가스 캡(170)의 정보는 상태 표시부(127)에 표시될 수 있다. 기판(140)에는 고조파 노이즈의 유입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기판(140)은 하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1)에 세로로 배치되며 전원 입력단(191)과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지지된다.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컴펙트하게 구성하기 위한 연결기판(143)과 보조기판(145)이 더 구비된다. 하나의 기판에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의 작동을 위한 모든 구성을 구비할 경우 기판(140)의 크기가 커져야 하므로 장치의 부피를 줄이기 어렵다. 따라서 기판(140)과 연결기판(143)과 보조기판(145)의 3개로 분리 구성된다.
기판(140)은 전원 입력단(191)의 전원을 바리스터(130)와 가스 캡(170)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회로와 바리스터(130), 노이즈 필터(160), 가스 캡(170)을 센서와 연결하기 위한 배선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기판(143)은 기판(140)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연결포트(144)를 구비한다. 연결포트(144)는 상부 하우징에 형성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서지 유입 테스트를 위한 서지 유입 테스트 장치의 전선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포트(144)는 기판(140)의 배선회로와 연결되어 바리스터(130)와 가스 캡(170)으로 테스트용 서지를 유입할 수 있다.
보조기판(145)은 연결기판(143)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보조기판(145)은 상부 하우징(120)에 구비된 '정상', '점검', '교체' 표시에 대응되게 LED 램프가 구비되고, 상부 하우징(120)에 형성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초기화 버튼(125)이 구비된다.
기판(140)과 보조기판(145) 중 어느 하나에는 고조파 노이즈나 서지 유입의 상태를 체크하고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포함되며, 저장부에 저장된 이력 정보는 통신포트를 통하여 조회 가능하다.
한편,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100)는 서지의 접지 기능을 위한 접지단자(197)를 포함한다. 접지단자(197)는 중성선이 삽입되는 제1 포트(113)의 하부에 형성된 홀에 결합된다. 접지단자(197)는 중성선이 삽입되는 전원 입력단 블록(192)에 연결된다. 바리스터(130)의 출력단자(133)와 가스 캡(170)의 출력단자가 접지회로를 통해 접지단자(197)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의 조립 구성과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리스터(130)는 입력단자(131)와 출력단자(133)가 전원 입력단(191)과 인접한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기판(140)에 고정된다. 바리스터(130)의 입력단자(131)는 기판(140)의 배선회로와 연결되고 출력단자(133)는 접지에 연결된다.
바리스터(130)는 판스프링단자(150)에 의해 전원 입력단(191)과 연결된다.
판스프링단자(150)는 일단이 전원 입력단(191)과 연결되는 기판(140)에 고정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탄성 변형에 의해 바리스터(130)의 일면에 피복을 제거한 위치(135)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바리스터(130)에 전원을 연결한다.
바리스터(130)는 2개가 상하 나란히 배치되며, 바리스터(130)에 전원을 연결하는 판스프링단자(150)는 각 바리스터(130)의 외측에 배치되어 서로 접촉되거나 겹쳐지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단자(150)는 바리스터(13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여 납땜이 녹으면 판스프링부(153)가 탄성 변형된 상태가 복원되면서 바리스터(130)에 전원 연결이 차단되게 한다.
노이즈 필터(160)는 코어(161)에 감긴 코일(162,163)의 일측 단부(162a,163a)가 전원 입력단(191)에 형성된 단자홀(191b)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코어에 감긴 코일(162,163)의 타측 단부(162a,163a)가 전원 부하단(195)에 형성된 단자홀(195b)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6 및 도8을 참조하면, 가스 캡(170)은 입력단자(171)와 출력단자(172)가 기판(140)에 연결 고정된다. 가스 캡(170)의 입력단자(171)는 전원 입력단(191)과 연결되는 기판(140)의 전원회로에 연결되고, 출력단자(172)는 접지에 연결된다.
제1 콘덴서(181) 및 제2 콘덴서(182)는 노이즈 필터(160)의 전단과 후단에서 전원 입력단(191)과 각각 병렬로 연결된다.
상술한 조립 구조를 갖는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에서, 전원 입력단(191)으로 유입된 전원은 노이즈 필터(160)를 통과하여 전원 부하단(195)으로 공급되므로 고조파가 제거된 정현파가 부하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1 콘덴서(181)와 제2 콘덴서(182)가 직류전원을 통과시키지 않고 교류전원만 통과시키므로 정형화된 사인곡선을 정현파가 부하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과정에서 인입 전원선을 통해 전원 입력단(191)에 서지가 유입되면 서지가 부하(load)로 흐르지 않고 임피던스가 낮은 바리스터(130)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때, 일정전압 이상의 약서지에 대해서는 바리스터(130)가 서지를 방전시켜주고 일정전압 이상의 강서지에 대해서는 가스 캡(170)이 반응하여 서지를 방전시켜 주게 된다.
서지는 전원 입력단(191), 기판(140)의 전원회로, 판스프링단자(150)를 통해 바리스터(130)로 유입된다. 실시예에서 바리스터(130)는 2개가 각 전원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므로 각 전원 입력단(191)과 연결된 판스프링단자(150)를 통해 각 바리스터(130)에 서지가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바리스터(130)에 흡수 내량 이상의 서지가 유입되어 바리스터(130)가 파괴 후 내부 융착되는 문제가 발생하면, 전류가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게 되면서 내부 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바리스터(13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면 납땜이 녹으면 판스프링단자(150)의 타단 부착부(154)가 바리스터(130)에서 부착된 상태가 분리된다. 그와 동시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단자(150)가 탄성 변형된 상태가 복원되면서 타단 부착부(154)가 바리스터(130)와 완전히 분리되고 바리스터(130)에 전원 연결이 분리된다.
바리스터(130)에 전원 연결이 분리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상태 표시부에 '교체' 표시 램프가 점등되게 하므로, 점검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또한, 센서는 바리스터(130)에 유입되는 서지의 횟수를 감지하고, 바리스터에 유입되는 서지의 용량을 감지한다. 센서가 감지한 서지의 횟수 및 서지의 용량이 설정값 이상이면 '점검' 표시 램프가 점등되게 한다.
또한, 센서는 바리스터에 전류가 흐르는지 유무를 감지한다. 판스프링단자의 부착부가 바리스터에 납땜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도 바리스터에 전류가 흐르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점검' 표시 램프가 점등되게 할 수 있다.
서지가 부하측으로 유입되면 단시간이라 할지라도 기기에 상당한 손상을 준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전압, 전류 파형인 정현파에 고조파가 유입되면 왜곡된 정현파 파형(찌그러진 sin 곡선)이 된다. 고조파는 정류지, 전력 전환장치, 아크 등 주변 전원 환경으로부터 유입된다.
왜곡된 정현파 파형은 4G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고품질, 고신뢰성의 전원 공급이 요구되는 5G에서는 차단기를 오동작시키고 통신 장애를 일으켜 통신서비스를 중단시키게 되므로 큰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는 고조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직류전원을 제거한 고품질의 전원을 부하측으로 공급하므로 고품질의 전원을 통신기기에 공급하고 통신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는 전원을 부하측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서지가 유입되면 빠르게 반응하여 서지를 흡수하므로 서지로부터 통신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한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는 주변 전력설비 감시 시스템 또는 통신설비 감시 시스템과 연결하여 상시 감시하고 원격으로 실시간 감시 진단 가능하게 하는 경우, 점검 및 교체 여부를 발생 즉시 확인하고 신속조치하여 파급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는 무선통신칩을 내장하여 바리스터에 일정 횟수 이상의 서지가 유입되거나, 바리스터에 일정 전류가 흐르는 것이 감지되거나, 바리스터에 내량 이상의 서지가 유입된 것이 감지되면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지에 대한 바리스터의 충격 흡수 정도, 바리스터가 그 기능을 다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는 5G 기지국의 통신기기, 5G 전원 분전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무인화 시스템, 교통 신호제어기, 가로등 제어기 시설, CCTV 장치, 이동통신 중계기 분야, 주택용 분전함, 방송국, 통신기지국, 산업용 자동화 설비 등에 다양한 설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110: 하부 하우징
111: 내부공간 113: 제1 포트
115: 제2 포트 120: 상부 하우징
121: 볼트삽입공 123: 고정공
125: 초기화 버튼 127: 상태 표시부
130: 바리스터 131: 입력단자
133: 출력단자 135: 피복을 제거한 위치
140: 기판 143: 연결기판
145: 보조기판 150: 판스프링단자
160: 노이즈 필터 161: 코어(페라이트 코어)
162,163: 코일 162a,163a: 코일 단부
165: 분리판 170: 가스 캡
171: 입력단자 172: 출력단자
181,182: 제1 및 제2 콘텐서 181a,182a: 단자
191: 전원 입력단 191a, 195a: 전원홀
191b: 단자홀 192; 전원 입력단 블록
192a,196a: 연결공 195: 전원 부하단
196: 전원 부하단 블록 197: 접지단자
198: 전원체결볼트 199: 고정볼트

Claims (14)

  1. 인입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입력단을 통해 유입되는 일정전압 이상의 약서지를 흡수하는 바리스터;
    상기 인입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과 부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부하단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입력단을 통해 유입되는 고조파를 제거하는 노이즈 필터; 및
    상기 인입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입력단을 통해 유입되는 일정전압 이상의 강서지를 흡수하는 가스 캡;
    을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필터의 전단과 후단에 상기 전원 입력단과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콘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바리스터는
    기판에 고정되며 배선회로와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접지에 연결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옆면이 피복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는 전원회로와 연결되며 반대되는 타단이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바리스터의 일면에 상기 피복을 제거한 위치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판스프링단자에 의해 상기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바리스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여 상기 납땜이 녹으면 상기 판스프링단자의 탄성 변형된 상태가 복원되면서 상기 바리스터와 상기 전원 입력단의 연결이 분리되며,
    상기 바리스터, 상기 노이즈 필터, 상기 가스 캡, 상기 제1 콘덴서 및 제2 콘덴서를 감싸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및
    상기 바리스터와 상기 노이즈 필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리스터와 상기 노이즈 필터의 접촉을 방지하는 절연재질의 분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필터는 상기 분리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리스터는 상기 분리판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콘덴서는 상기 분리판의 상면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노이즈 필터 및 상기 노이즈 필터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콘덴서의 단자는 상기 노이즈 필터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바리스터의 정상, 점검, 교체를 LED 램프로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가 상기 상부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LED 램프는 보조기판에 고정되는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단자는
    상기 기판에 끼움 결합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일단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기판에 밀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절곡되고 소정의 각도로 굴곡진 후 절곡되어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판스프링부; 및
    상기 판스프링부의 타단 일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바리스터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타단 부착부;
    를 포함하는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리스터는 2개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판스프링단자는 각 바리스터의 외측에 배치되어 서로 겹치지 않는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인입 전원선이 삽입되는 제1 포트;
    상기 제1 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 블록;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부하 전원선이 삽입되는 제2 포트;
    상기 제2 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전원 부하단이 연결되는 전원 부하단 블록; 및
    상기 전원 입력단에 형성된 전원홀을 통해 상기 전원 입력단 블록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상기 전원 입력단 블록에 삽입된 인입 전원선을 고정하고, 상기 전원 부하단에 형성된 전원홀을 통해 상기 전원 부하단 블록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상기 전원 부하단 블록에 삽입된 부하 전원선을 고정하는 전원체결볼트;
    를 포함하는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공에 통해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필터는
    중공 원통 형상의 페라이트 코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측에 감긴 하나 이상의 코일;
    을 포함하는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원 입력단에 형성된 단자홀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코일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전원 부하단에 형성된 단자홀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리스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트용 서지를 유입하는 연결포트가 구비되는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서지 테스트 후 초기화를 위한 초기화 버튼을 포함하는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63515A 2019-05-30 2019-05-30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KR102459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15A KR102459387B1 (ko) 2019-05-30 2019-05-30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15A KR102459387B1 (ko) 2019-05-30 2019-05-30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337A KR20200137337A (ko) 2020-12-09
KR102459387B1 true KR102459387B1 (ko) 2022-10-27

Family

ID=7378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515A KR102459387B1 (ko) 2019-05-30 2019-05-30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952B1 (ko) * 2022-12-21 2023-11-30 이수열 서지 및 노이즈 예방용 전기 플랜트 전원 공급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8508A (ja) * 2008-03-12 2009-09-24 Otowa Denki Kogyo Kk 切り離し機構付spd
KR101070229B1 (ko) * 2011-05-11 2011-10-06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조명장치의 서지보호기
JP2015015670A (ja) * 2013-07-08 2015-01-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ノイズフィル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339A (ja) * 1994-11-11 1996-05-31 Ricoh Co Ltd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19980010976U (ko) * 1996-08-14 1998-05-25 손동준 과전압 보호용 조립체
CN101741081A (zh) 2010-01-12 2010-06-16 佛山市浦斯电子有限公司 具有热保护功能的电涌抑制器
KR20170028535A (ko) * 2015-09-04 2017-03-14 새빛테크(주) 전원용 서지보호기의 건전성 평가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8508A (ja) * 2008-03-12 2009-09-24 Otowa Denki Kogyo Kk 切り離し機構付spd
KR101070229B1 (ko) * 2011-05-11 2011-10-06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조명장치의 서지보호기
JP2015015670A (ja) * 2013-07-08 2015-01-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ノイズフィル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337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215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ge protecting an electrical load connected to an AC power distribution system
US6282073B1 (en) Environmentally insensitive surge suppressor apparatus and method
US9557349B2 (en) Measuring system for continuously monitoring a high-voltage bushing
KR20190005954A (ko) 불꽃 회로 보호 시스템, 모듈 및 방법
US6778375B1 (en) Hybrid MOV/gas-tube AC surge protector for building entrance
CA2125453C (en) Hybrid surge protector
WO2018011723A1 (en) Surge protection device
KR102459387B1 (ko) 노이즈 및 서지 보호장치
US7573692B1 (en) Protective device with improved surge protection
KR101475147B1 (ko) 연결 장치 회로 및 이의 고전압 서지 보호 방법
JPH10326702A (ja) サージ吸収器
JP2007024707A (ja) クランプメータによる漏れ電流測定、監視装置
JP4583642B2 (ja) 避雷器付分電盤
KR102074923B1 (ko) 서지 보호기
US8063767B2 (en) Communications interface accessory for power system arrester
JP5339352B2 (ja) Catvシステムの無停電電源供給装置用雷防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無停電電源供給装置
KR200142009Y1 (ko) 써지카운터기능이 있는 단일모듈형태의 과전압억제기
KR101783694B1 (ko) 서지 보호장치
US20220404399A1 (en) Surge protection device integrating a current measurement sensor
JP5415180B2 (ja) 電子式電力量計
CN210577777U (zh) 一种单相防雷器
CN219085919U (zh) 过流保护器及后备保护装置
Channe et al. Surge protective device failure modes, impact and corrective actions
CN211089121U (zh) 四线以太网电磁脉冲防护装置
KR100884562B1 (ko) 무선방식을 이용한 전력용 피뢰기의 이상 유무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59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026

Effective date: 2021111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3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725

Effective date: 202209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