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268B1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268B1
KR102459268B1 KR1020200136661A KR20200136661A KR102459268B1 KR 102459268 B1 KR102459268 B1 KR 102459268B1 KR 1020200136661 A KR1020200136661 A KR 1020200136661A KR 20200136661 A KR20200136661 A KR 20200136661A KR 102459268 B1 KR102459268 B1 KR 102459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bracket
reinforcing plate
camera modu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566A (ko
Inventor
이대희
최종훈
한동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2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04N5/225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H04N5/225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4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single continuous metallic lay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metal foil, film, plating coating, electro-deposition, vapour-de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브라켓의 측부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제2 카메라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2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제1 전자파 차단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A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HAVING THE SAME}
실시 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 노트북 또는 차량 등에는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얼 카메라는 2개의 카메라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카메라가 다른 부분을 촬영해 이를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 한 개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초점을 잡고 나머지 하나의 카메라 모듈은 주변 배경을 찍어 카메라 시야각이 한층 넓어지는 광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들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수집한 화상의 위상차를 이용하면 3차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듀얼 카메라 모듈은 듀얼 카메라용 브라켓에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수용 또는 고정하고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과 제1 카메라 모듈 및 제2 카메라 모듈은 접착용 에폭시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카메라 모듈 및 제2 카메라 모듈은 전자소자 들이 실장된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접착용 에폭시가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회로기판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새어 나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듀얼 카메라 모듈은 추가적인 메탈 케이스를 사용하여 듀얼 카메라 모듈의 외부를 덮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메탈 케이스를 사용한 듀얼 카메라 모듈은, 상기 메탈 케이스 적용에 따른 제품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나, 나아가 제품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브라켓과 복수의 카메라 모듈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차파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브라켓의 측부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제2 카메라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2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제1 전자파 차단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개구의 하측 영역의 일부는, 상기 제1 기판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1 개구의 하측 영역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접착부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또한, 상기 제2 개구의 하측 영역의 일부는, 상기 제2 기판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2 개구의 하측 영역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접착부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은 일체의 하나의 회로 기판을 구성하고,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는, 일체의 하나의 보강 플레이트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은 서로 이격되는 별개의 기판이고,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는 서로 이격되는 별개의 보강 플레이트이며,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 및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와 결합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와 결합되는 제2 렌즈 구동 장치,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부는,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제2 전자파 차단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홀더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착부의 층 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접착부의 층 구조와 다르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격벽 사이, 및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접착부는,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제3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제3 전자파 차단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제3 접착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전자파 차단층은, 상기 브라켓의 격벽 위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 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착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전자파 차단 테이프를 포함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브라켓; 제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는 제1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제2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브라켓의 측부와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브라켓의 측부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 배치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의 하측 영역은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접착부에 의해 덮이고, 상기 제2 개구의 하측 영역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접착부에 의해 덮이며, 상기 접착부는,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전자파 차단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브라켓;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1 이미지 센서와, 제1 렌즈와, 상기 제1 렌즈와 결합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2 이미지 센서와,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와 결합되는 제2 렌즈 구동 장치,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부;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부;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홀더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접착부; 및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격벽 사이, 및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 상기 제2 접착부 및 상기 연결 접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전자파 차단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학기기는 상기 제1 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개구의 하측 영역의 일부는,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의 하측 영역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접착부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회로 기판과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브라켓의 개구에서 상기 회로 기판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전자파 차단층 및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브라켓의 사이 영역을 통해 누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접착부가 상기 전자파 차단층을 감싸는 접착층을 포함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전자파 차단층의 깨짐과 같은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구동 장치와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12 접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브라켓의 개구에서 상기 렌즈 구동 장치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착부는 전자파 차단층 및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브라켓의 사이 영역을 통해 누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접착부가 상기 전자파 차단층을 감싸는 접착층을 포함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전자파 차단층의 깨짐과 같은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구동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접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접착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 구동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이에 따른 상호 간의 간섭이나 전자파 등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구조에서, 상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A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브라켓의 제1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브라켓의 제2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브라켓의 제3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의 제1 측부의 내측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관통 홀을 구비하지 않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간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간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 및 제1 접착부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 및 제1 접착부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제1 접착부의 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AB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Optical Axis) 방향은 카메라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에 결합되는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은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 피드백(CLAF, closed-loop auto focus) 제어는 포커스 조절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렌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피드백(feedback)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제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방향은 광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1000)의 AB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0)은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 100-2), 및 제1 카메라 모듈(100-1)와 제2 카메라 모듈(100-2)를 함께 수용 또는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bracket, 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은 "촬상기" 또는 "촬영기"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고, 브라켓은 홀더(holdr), 마운트(mount), 하우징(Housing), 또는 쉴드 캔(shield can)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는 2개의 촬상기들을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는 2개 이상의 촬상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 각각은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 또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모두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모두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일 수도 있다.
AF용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OIS용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 기능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00-1)는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카메라 모듈(100-2)는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는 제1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보빈, 보빈을 내측에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magnet), 보빈과 하우징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보빈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bas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일에는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전류)가 제공될 수 있고, 코일과 마그네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코일은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고, 마그네트는 보빈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AF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는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sensing magnet), 하우징에 배치되는 AF 위치 센서(예를 들어, 홀 센서(hall sensor), 및 하우징 또는/및 베이스에 배치되고 위치 센서가 배치 또는 장착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위치 센서가 보빈에 배치되고, 센싱 마그네트가 하우징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AF 위치 센서는 보빈의 이동에 따른 센싱 마그네트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코일과 AF 위치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회로 기판을 통하여 코일 및 AF 위치 센서 각각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고, AF 위치 센서의 출력이 회로 기판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구동 장치는 베이스와 함께 상술한 구성들을 수용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2 렌즈 구동 장치는 제2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보빈, 보빈을 내측에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보빈에 배치되는 제1 코일,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magnet), 보빈의 상부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탄성 부재, 보빈의 하부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탄성 부재, 보빈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코일, 제2 코일 아래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회로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base), 및 회로 기판과 상부 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하우징을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과 제2 코일 각각은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탄성 부재는 복수의 상부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스프링들 및 지지 부재를 통하여 제1 코일은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과 마그네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빈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빈의 광축 방향으로의 변위가 제어됨으로서, AF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과 마그네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하우징이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떨림 보정 또는 OIS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 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렌즈 구동 장치는 AF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센싱 마그네트와 AF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IS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제2 렌즈 구동 장치는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베이스에 배치 또는 안착되는 제1 OIS 위치 센서 및 제2 OIS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구동 장치는 베이스와 함께 상술한 구성들을 수용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화각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화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 중 어느 하나는 광각 카메라 모듈일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협각 카메라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화각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화각은 동일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화각이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화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 중 어느 하나는 정지 화상의 촬영을 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동영상 촬영을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0-1)는 제1 렌즈(101-1), 제1 렌즈(10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위한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 제1 이미지 센서(310a), 제1 홀더(320a), 및 제1 필터(3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101-1)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된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는 상술한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2 렌즈 구동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홀더(320a)는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필터(330a)는 제1 홀더(320a)에 안착 또는 장착될 수 있다.
홀더 접착부(35a, 도 11 참조)에 의하여 제1 홀더(320a)의 상면은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하면과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더(320a)의 상면과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베이스의 하면 사이에는 접착 부재 또는 쉴드(shield)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접착부(35a)는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또는 자외선과 열에 의하여 완전 경화되는 듀얼 경화성 접착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성 또는/및 열 경화성 에폭시일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310a)는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310a)는 제1 홀더(320a) 또는 제1 필터(330a)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광축 방향으로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제1 렌즈(101-1)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홀더(320a)는 제1 필터(330a)를 통과한 광이 제1 이미지 센서(310a)에 입사될 수 있도록 제1 이미지 센서(310a)에 대응하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홀더(320a)는 제1 필터(330a)를 장착 또는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또는 돌출부)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또는 돌출부)은 제1 홀더(320a)의 개구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330a)는 광축 방향으로 제1 이미지 센서(310a)와 대향되도록 제1 홀더(320a)의 안착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330a)는 제1 렌즈(101-1)를 통과한 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제1 이미지 센서(310a)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330a)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필터(330a)는 광축 방향과 수직한 평면(예를 들어,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100-2)는 제2 렌즈(101-2), 제2 렌즈(101-2)를 이동시키기 위한 위한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 제2 이미지 센서(310b), 제2 홀더(320b), 및 제2 필터(3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101-2)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된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는 상술한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2 렌즈 구동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홀더(320b)는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필터(330b)는 제2 홀더(320b)에 안착 또는 장착될 수 있다.
홀더 접착부(35a, 도 10 참조)에 의하여 제2 홀더(320b)의 상면은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하면과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홀더(320b)의 상면과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베이스의 하면 사이에는 접착 부재 또는 쉴드(shield)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접착부(35a)는 제1 홀더(320a)와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 사이에 배치된 상술한 접착 부재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센서(310b)는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센서(310b)는 제2 홀더(320b) 또는 제2 필터(330b)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광축 방향으로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제2 렌즈(101-2)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홀더(320b)는 제2 필터(330b)를 통과한 광이 제2 이미지 센서(310b)에 입사될 수 있도록 제2 이미지 센서(310b)에 대응하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홀더(320b)는 제2 필터(330b)를 장착 또는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또는 돌출부)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또는 돌출부)는 제2 홀더(320b)의 개구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330b)는 광축 방향으로 이미지 센서(310b)와 대향되도록 제2 홀더(320b)의 안착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330b)는 제2 렌즈를 통과한 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제2 이미지 센서(310b)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330b)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2 필터(330b)는 광축 방향과 수직한 평면(예를 들어,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더(320a) 및 제2 홀더(320b)는 서로 이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홀더(320a)와 제2 홀더(320b)는 연결될 수 있고, 일체형으로 하나의 홀더를 이룰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 아래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340)은 제1 홀더(320a)와 제2 홀더(320b)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 접착부(35b, 도 11 참조)에 의하여 제1 홀더(320a) 및 제2 홀더(320b)와 회로 기판(340)은 서로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기판 접착부(35b)는 열 경화성, 또는/및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340)은 제1 이미지 센서(310a)와 제2 이미지 센서(310b)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340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40)는 회로 기판(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310a)와 제2 이미지 센서(310b) 각각은 회로 기판(340) 상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310a)와 제2 이미지 센서(310b) 각각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회로 기판(340)에는 각종 회로, 소자, 또는/및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340)은 PCB 또는 연성 회로 기판일 수 있으나,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서 제1 이미지 센서(310a)와 제2 이미지 센서(310b)는 하나의 하나의 일체로 형성되는 회로 기판에 실장되지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회로 기판(340)은 서로 분리 또는 이격되는 제1 기판(또는 제1 회로 기판)과 제2 기판(또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 각각은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 센서는 제1 회로 기판에 실장 또는 배치될 수 있고, 제2 이미지 센서는 제2 회로 기판에 실장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로 기판은 제1 카메라 모듈(100-1)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회로 기판은 제2 카메라 모듈(100-2)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서의 회로 기판(340)은 제1 이미지 센서(310a)와 제2 이미지 센서(310b)가 배치되는 기판 영역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기판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에서의 회로 기판(340)은 제1 이미지 센서(310a)가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제2 이미지 센서(310b)가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은 브라켓(200) 내에서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 회로 기판(340)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일체로 일체의 하나의 회로 기판을 이루는 예로 설명하지만,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별도인 경우에도 이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회로 기판(340)에 배치 또는 실장되는 모션 센서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모션 센서는 제어부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카메라 모듈(10000)의 움직임에 의한 회전 각속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센서는 2축 또는 3축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각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카메라 모듈(100-1) 또는/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코일(또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 각각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AF 위치 센서와 OIS 위치 센서들 각각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AF 위치 센서와 OIS 위치 센서들 각각의 출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브라켓(200)의 제1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브라켓(200)의 제2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브라켓(200)의 제3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200)의 제1 측부(212)의 내측면을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2개 이상의 촬상기들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00)은 제1 카메라 모듈(100-1)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2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201)는 제1 카메라 모듈(100-1)에 대응되는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제1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개구(202)는 제2 카메라 모듈(100-2)에 대응되는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제2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00-1)와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은 크기 또는/및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브라켓(200)은 접착용 에폭시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25a 내지 25d)을 측부들(212 내지 218)(또는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 홀(25a 내지 25d)은 "에폭시 주입 관통 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관통 홀(25a 내지 25d)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카메라 모듈(100-1)와 제2 카메라 모듈(100-2)가 제1 개구(201)와 제2 개구(202)에 장착 또는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 홀(25a 내지 25d)을 통하여 에폭시가 주입될 수 있고, 주입된 에폭시는 브라켓(200)의 내측면과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제1 홀더(320a) 사이, 및 브라켓(200)의 내측면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제2 홀더(3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홀더들(320a, 320b)과 브라켓(200)를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된 에폭시는 상기 브라켓(200)과 회로 기판(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200)과 회로 기판(340) 사이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폭시는 광축 방향을 중심으로, 영역별로 서로 다른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는, 복수의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는 회로 기판 주위에 배치되는 부분과, 홀더 주위에 배치되는 부분과, 렌즈 구동장치 주위에 배치되는 부분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의 각각의 부분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의 각각의 부분은 서로 다른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의 회로 기판(340), 브라켓(200) 및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은 다음과 같이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먼저, 회로 기판(340) 상에 접착제(예를 들어, 에폭시)를 도포한 후에 브라켓(200)의 하면을 회로 기판(340)의 상면에 접착시킨다.
다음으로 접착제를 브라켓(200)의 상면과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 100-2)의 상면 사이의 공간에 주입 또는 도포하고, 브라켓(200)의 관통 홀들(25a 내지 25d) 사이에 주입하여 브라켓(200)과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 100-2)을 서로 부착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브라켓(200)은 복수의 측부들(212 내지 218)과 제1 개구(201)와 제2 개구(202)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219)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측부들(212 내지 218)은 "측벽" 또는 "외측벽"으로 표현될 수 있고, 브라켓(200)의 격벽(219)은 "내측벽"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관통 홀(25a 내지 25d)은 복수의 측부들(212 내지 218)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관통 홀들(25a, 25b)은 브라켓(200)의 제1 측부(212)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및 제4 관통 홀들(25c, 25d)은 브라켓(200)의 제2 측부(212)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측부(214)는 제1 측부(21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측부일 수 있다.
브라켓(200)은 측부들(212 내지 218)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에 마련되는 홈(22a, 22a1, 22a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200)의 측부들(212 내지 218)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는 제1 영역(S1), 제1 영역(S1)과 이격되는 제2 영역(S2) 및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을 연결하는 제3 영역(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S2)의 하단에는 제1 홈(22a)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영역들이 마련된 측부는 브라켓(200)의 측부들 중 단측부들(212, 21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측부(212,214)의 가로 방향의 길이는 장측부(216, 218)의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브라켓(200)의 장측부들(216, 218)의 하단에는 홈들(22a1, 22a2)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홈(22a1)은 제1 카메라 모듈(100-1) 또는 제1 개구(201)에 대응되는 홈일 수 있고, 제3 홈(22a2)은 제2 카메라 모듈(100-2) 또는 제2 개구(202)에 대응되는 홈일 수 있다.
브라켓(200)의 제1홈(22a)과 회로 기판(340) 사이, 및 브라켓(200)의 제2홈(22a1)과 회로 기판(340) 사이에는 접착제(예를 들어, 에폭시)가 배치될 수 있고, 브라켓(200)과 회로 기판(34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브라켓(200)의 제3홈(22a2)과 회로 기판(340) 사이에는 접착제(예를 들어, 에폭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브라켓(200)의 제2홈(22a1)은 회로 기판(340)과 제1 카메라 모듈(100-1) 간의 솔더링된 부분과의 공간적 회피를 위하여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브라켓(200)의 제3홈(22a2)은 회로 기판(340)과 제2 카메라 모듈(100-2) 간의 솔더링된 부분과의 공간적 회피를 위하여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는 제1 영역(S1), 제1 영역(S1), 및 제3 영역(S3)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의 제1 영역(S1)의 하단에서 제1 영역(S1)의 상단까지의 제1 높이(H1)와 제2 영역(S2)의 하단에서 제2 영역(S2)의 상단까지의 제2 높이(H2)는 제3 영역(S3)의 하단에서 제3 영역(S3)의 상단까지의 제3 높이(H3)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는 동일할 수 있다.
관통 홀(예를 들어, 25a, 25b)은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의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관통 홀(예를 들어, 25a, 25b)이 브라켓(200)의 제3 영역(S3)에 형성될 경우에는 브라켓(200)의 내구성이 약해지고, 브라켓(200)이 충격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 예로 제3 영역(S3)에 추가로 접착제 주입을 위한 관통 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영역(S1)과 제3 영역(S3)에 관통 홀이 형성되거나, 또는 제2 영역(S2)과 제3 영역(S3)에 관통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관통 홀(25a 내지 25d)이 마련된 측부(예를 들어, 212, 214)의 내측면에 관통 홀(25a 내지 25d)과 연결되는 가이드 홈(28a 내지 28d)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홈(28a 내지 29d)은 "접착제 가이드 홈"으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관통 홀들(25a 내지 25d)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들(28a)을 구비할 수 있고, 가이드 홈들(28a 내지 28d) 각각은 관통 홀들(25a 내지 25d)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가이드 홈들(28a 내지 28d) 각각은 관통 홀들(25a 내지 25d)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와 접할 수 있다.
가이드 홈들(28a 내지 28d) 각각은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214)의 내측면으로부터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가이드 홈들(28a 내지 28d)은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 214)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고, 가이드 홈들(28a 내지 28d)의 일단은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 214)의 하단과 접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고,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 214)의 하면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28a 내지 28d)은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를 넓게 퍼트리게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 홈은 폭이 아래로 갈수록 더 넓어지거나 또는 폭이 아래로 갈수록 더 넓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 홈은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더 넓은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이드 홈(28a 내지 28d)은 관통 홀(25a 내지 25d)을 통하여 주입된 접착제가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 214)의 내측면으로 넓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100-2) 각각과 브라켓의 내측부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제를 퍼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홈들(28a 내지 28d)의 폭(W1)은 브라켓(200)의 측부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관통 홀(25a 내지 25d)의 직경(D1)은 0.5mm 내지 2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홀(25a 내지 25d)의 직경(D1)은 0.5mm 내지 1mm일 수 있다.
관통 홀(25a 내지 25d)의 직경(D1)이 0.5mm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 주입을 위한 주입구, 또는 바늘(needle)이 관통 홀에 삽입되지 않아 접착제 주입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관통 홀(25a 내지 25d)의 직경(D1)이 2mm 초과인 경우에는 관통 홀의 사이즈가 너무 증가하여 브라켓(200)의 측부의 내구성이 약해져서 충격에 의하여 브라켓(200)이 변형 또는 파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홀(25a 내지 25d)과 연결되는 가이드 홈(28a 내지 28d)의 상단 부분의 폭은 관통 홀(25a 내지 25d)의 직경(D1)과 동일할 수 있고, 가이드 홈(28a 내지 28d)의 하단 부분의 폭(W1)은 관통 홀(25a 내지 25d)의 직경(D1)보다 클 수 있다(W1>D1)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200)의 측부의 상부 또는 상단은 제1 개구(201) 및 제2 개구(202)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41) 또는 테이퍼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브라켓(200)의 상부를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브라켓(200)의 상부와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100-2) 사이의 이격 거리 또는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브라켓(200)의 상부와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100-2) 사이의 공간으로 접착제 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0)은 격벽(219) 상에 배치되고,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외측면과 제2 렌즈 구동 장치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연결 접착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접착부(410)는 전도성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접착부(410)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접착부(410)는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전자파 차단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접착부(410)는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접착층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연결 접착부(410)는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제1 외측면과 격벽(219)의 제1 측면 사이, 격벽(219)의 상면,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제1 외측면과 격벽(219)의 제2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219)의 제1 측면은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제1 외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일 수 있고, 격벽(219)의 제2 측면은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제1 외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이고, 격벽(219)의 제1 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측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 100-2)이 브라켓(200)에 장착되었을 때, 격벽(219)의 높이는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1, 100-2)의 커버 부재보다 낮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제1 외측면은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커버 부재의 제1 측판의 외측면일 수 있고,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제1 외측면은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커버 부재의 제1 측판의 외측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1, 100a-2) 각각의 커버 부재는 전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 접착부(410)에 의하여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커버 부재와 제2 렌즈 구동 장치의 커버 부재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들의 커버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회로 기판(340)의 접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카메라 모듈(1000)의 접지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 접착부(410)는 상기 커버 부재(여기에서, 커버 부재는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음)와 연결 없이, 상기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와 상기 브라켓(200)의 격벽(21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접착부(410)는 상기 브라켓(200)의 격벽(219)과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10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100b)는 렌즈군의 구동(또는 이동)을 위한 다양한 전자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219)과 상기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및/또는 제2 렌즈 구동 장치(100b) 사이에 상기 연결 접착부(410)가 배치되지 않거나, 상기 연결 접착부(410)가 상기 전자파 차단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이 공간으로 전자파가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의 상기 연결 접착부(410)는 전자파 차단층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공간으로 누출될 수 있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 접착부(410)는 전자파 차단층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파 차단층은 금속 에폭시(예를 들어, Ag 에폭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제2 렌즈 구동 장치(100b)와 상기 격벽(219) 사이를 접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 접착부(410)가 전자파 차단층만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연결 접착부(41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접합력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서의 연결 접착부(410)는 전자파 차단층 이외에도, 상기 전자파 차단층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층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전자파 차단층의 손상을 보호하면서, 전자파 차단 효율을 증가 및 접합력 상승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 접착부(410)를 구성하는 층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0)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의 관통 홀(25a)에 대한 설명은 관통 홀들(25b 내지 25d)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관통 홀(25a)은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의 제1 위치(701)와 제2 위치(70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위치(701)은 브라켓(200)에 장착된 제1 및 제2 홀더(320a, 320b)의 상면(또는 제1 및 제2 홀더(320a, 320b)의 측면의 최상단 부분)에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되는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의 어느 한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701)는 브라켓(200)에 장착된 제1 및 제2 홀더(320a, 320b)의 상면(또는 제1 및 제2 홀더(320a, 320b)의 측면)의 최상단 부분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위치(702)는 광축 방향으로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의 중앙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치(702)는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앙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관통 홀(25a 내지 25d)을 제1 위치(701)와 제2 위치(702) 사이에 배치하는 이유는 제1 위치(701) 아래에 위치하는 브라켓(200)과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 100-2) 사이의 제1 공간 및 브라켓(200)과 회로 기판(340) 사이의 제2 공간에 관통 홀(25a 내지 25d)을 통하여 접착제를 주입 및 도포하기 위함이다.
또한 브라켓(200)의 경사면(41)으로 주입 및 도포되는 접착제가 아래로 흘러내려서 브라켓(200)의 제2 위치(702)의 상부에 위치하는 브라켓(200)과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 100-2) 사이의 제3 공간에 충분히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관통 홀(25a)은 제1 위치(701) 또는 제2 위치(702)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관통 홀(25a)의 중앙이 제1 위치(701) 또는 제2 위치(702)에 정렬 또는 오버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관통 홀은 제1 위치(701)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관통 홀은 제2 위치(702)보다 높게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관통 홀은 브라켓(200)의 측면의 중앙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관통 홀은 브라켓(200)의 측면의 중앙보다 높게 배치될 수도 있다.
브라켓(200)과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 100-2)의 커버 부재들 사이 결합은 상부에서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접착부(350c)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접착부(350c)에 의해서만, 상기 브라켓(200)과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 100-2) 사이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접착부(350c)만을 가지고는 상기 브라켓(200)과 홀더(320a, 320b) 사이의 결합이나, 회로 기판(340)과 브라켓(200) 사이의 결합은 견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관통홀을 통해 주입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브라켓(200)과 홀더(320a, 320b) 사이에 제3 접착부(350a)를 추가로 형성하여, 브라켓(20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최근에 카메라 모듈이 슬림화(slim)되는 경향에 따라서,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관통 홀(25a)은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의 제1 위치(701)와 제3 위치(703)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3 위치(703)는 브라켓의 측부의 하단(또는 하면)을 기준으로,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의 광축 방향으로의 전체 높이(또는 길이(L1))의 3분 2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관통 홀(25a)을 제1 위치(701)와 제3 위치(703) 사이에 배치시키는 다른 이유는 경사면(41)에서 제3 공간으로 흘러내리는 접착제가 제2 위치(702)까지 도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를 더 넓게 도포하여 브라켓(200)과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 간의 접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관통 홀(25a 내지 25d)은 광축(OA1 또는 OA2)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와 오버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홀(25a 내지 25d)은 광축(OA1 또는 OA2)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베이스 및/또는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베이스와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관통 홀(25a 내지 25d)은 광축(OA1 또는 OA2)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홀더(320a)와 제2 홀더(320b)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 홈(28a 내지 28d)은 광축(OA1 또는 OA2)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홀더(320a)와 제2 홀더(320b)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제1 홀더(320a)의 상면의 높이는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제2 홀더(320b)의 상면의 높이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더(320a)의 상면의 높이는 제2 홀더(320b)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이드 홈(28a 내지 28d)은 광축(OA1 또는 OA2)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로 기판(340)과 오버랩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회로 기판(예를 들어, 제1 기판과 제2 기판)에 결합될 수 있고, 브라켓(200)은 제1홀더(320a)와 제2 홀더(32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1 접착부(350b)에 의해 본딩될 수 있고, 상기 제1 접착부(350b)의 적어도 일부는 브라켓(200)의 적어도 하나의 홀(또는 관통 홀(25a 내지 25d)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상기 브라켓(200)과 상기 회로 기판(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상기 회로 기판(340)의 외측면과 상기 브라켓(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상기 회로 기판(340)을 상기 브라켓(200)에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350b)의 적어도 일부는 회로 기판(34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320a, 320b)의 외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의 내측면과 제1 홀더(320a)의 측면 사이, 또는/및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4)의 내측면과 제2 홀더(320b)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접착부(3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부(350a)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접착부(350a)는 에폭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부(350a)는 브라켓(200)과 제1 홀더(320a) 사이에 배치되는 제3-1 접착부와, 브라켓(200)과 제2 홀더(320b) 사이에 배치되는 제3-2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서로 동일한 재질(예를 들어, 에폭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접착부(350a)는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의 가이드 홈(예를 들어, 28a 내지 28b)과 제1 홀더(320a)의 측면 사이, 또는/및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4)의 가이드 홈(예를 들어, 28c 내지 28d)과 제2 홀더(320b)의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접착부(350a)는 가이드 홈(예를 들어, 28a 내지 28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제(350a)는 가이드 홈(예를 들어, 28a 내지 28b)과 인접하는 브라켓(200)의 측부(212, 214)의 내측면의 일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3 접착부(350a)는 관통 홀(25a 내지 25d)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0)은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 214)와 회로 기판(34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부(35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상기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 214)의 내측면과 상기 회로 기판(340)의 외측면 사이에 접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상기 회로 기판(340)의 외측면과 상기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 214)의 하면 사이에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부(350b)는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의 가이드 홈(예를 들어, 28a 내지 28d)과 회로 기판(340)의 측면(또는/및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상기 브라켓(200)의 개구 중 회로 기판(34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200)의 개구는 회로 기판(340) 및 상기 제1 접착부(350b)에 의해 모두 덮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200)의 하측 개구는 상기 회로 기판(340) 및 상기 제1 접착부(350b)에 의해 모두 덮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접착부(350b) 및 제3 접착부(350a)는 관통 홀(25a 내지 25d)을 통하여 주입되는 접착제에 의하여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0)은 제3 접착부(350a)의 상부에 위치하고,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 214)의 내측면과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외측면 사이, 및 브라켓(200)의 측부(예를 들어, 212, 214)의 내측면과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부(35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외측면은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커버 부재의 측판의 외측면일 수 있고,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외측면은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커버 부재의 측판의 외측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부(350b), 제2 접착부(350c) 및 제3 접착부(350a)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와 다른 물질 또는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접착부(350a)는 1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접착부(350b) 및 제2 접착부(350c)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부(350a)는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또는 자외선과 열에 의하여 완전 경화되는 듀얼 경화성 접착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층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부(350b) 및 제2 접착부(350c)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부(350b) 및 제2 접착부(350c)는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또는 자외선과 열에 의하여 완전 경화되는 듀얼 경화성 접착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층과,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단층은 알루미늄, 니켈, 구리 및 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에폭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파 차단층은 은(Ag) 에폭시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350b) 및 제2 접착부(350c)의 층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는, 제1 접착부(350b)에 의하여 브라켓(200)과 회로 기판(340) 사이의 접착이 이루어진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제2 접착부(350c)에 의하여 브라켓(200)과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들(100a-1, 100a-2) 사이의 접착이 이루어진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제3 접착부(350a)에 의하여 제1 및 제2 홀더들(320a, 320b) 사이의 접착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하여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 100-2)과 브라켓(200) 간의 접착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브라켓(200)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 또는 힘을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들(100a-1, 100a-2), 제1 및 제2 홀더들(320a, 320b), 및 회로 기판(340)으로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실시 예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100-2)이 브라켓(200-2)으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접착부(350b)와 제2 접착부(350c)가 각각 접착층 및 전자파 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브라켓(200)과 회로 기판(340) 사이의 공간으로 누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1)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브라켓(200-1)은 도 3의 브라켓(200)에서 관통 홀(27)과 가이드 홈(27a)이 추가된 실시 예일 수 있다.
브라켓(200-1)은 측부들(212, 214)뿐만 아니라 측부들(216, 218)에도 관통 홀(27) 및 가이드 홈(27a)이 마련될 수 있으며, 관통 홀 및 가이드 홈은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관통 홀들(25a 내지 25d)과 가이드 홈들(28a 내지 28d), 및 제1 내지 제3 접착제들(350a, 350c)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2)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브라켓(200-2)은 도 3의 브라켓(200)의 변형 예로서, 브라켓(200-2)은 측부(212, 214)에 마련된 2개의 관통 홀들(25a와 25b, 25c와 25d)을 서로 연결하는 홀(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29)은 측부(212, 214)를 관통할 수 있고, 연결 홀(29)을 통하여 접착제가 브라켓(200-2)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도 9에서 홀(29)은 관통 홀들을 서로 연결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은 2개의 관통 홀들(25a와 25b, 25c와 25d) 사이에 위치하고, 관통 홀들(25a와 25b, 25c와 25d)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도 9에 따른 브라켓(200-2)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0)은 연결 홀(29)을 통하여 주입되고, 2개의 가이드 홈들(25a와 25b, 25c와 25d) 사이에 위치하는 브라켓(200-2)의 측부(212, 214)의 내측면의 일 영역과 제1 및 제2 홀더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따른 브라켓(200-2)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0)은 연결 홀(29)을 통하여 주입되고, 2개의 가이드 홈들(25a와 25b, 25c와 25d) 사이에 위치하는 브라켓(200-2)의 측부(212, 214)의 내측면의 다른 일 영역과 회로 기판(340)의 측면 또는/및 상면 사이에 제4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0-2)은 2개의 관통 홀들 사이에 위치하는 홀(29)을 더 구비함으로써, 브라켓(200-2)과 제1 홀더(320a) 사이, 및 브라켓(200-2)과 제2 홀더(320b) 사이, 및 브라켓(200-2)과 회로 기판(340) 사이의 접착 면적을 더 넓힐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브라켓(200-2)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 또는 힘을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들(100a-1, 100a-2), 제1 및 제2 홀더들(320a, 320b), 및 회로 기판(340)으로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외부 충격에 의하여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100-2)이 브라켓(200-2)으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관통 홀을 구비하지 않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간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간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1은 도 8의 실시 예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의 CD 방향의 간략적인 단면도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접착부들(6,7)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10)의 렌즈 구동 장치(2), 홀더(6), 및 회로 기판(4)은 서로 접착되나, 접착부(8)에 의하여 렌즈 구동 장치(2), 홀더(6), 및 회로 기판(4) 중에서 렌즈 구동 장치(2)만이 브라켓(5)의 내측면의 상부 일 영역과 접착될 뿐이다. 이는 브라켓(5)의 상부에서 주입된 접착제가 홀더(6) 및 회로 기판(4)까지 도달하지 않기 때문이다.
회로 기판(4)의 가장 자리의 상면 일부와 브라켓(5)의 하단 사이에 접착제(9)에 의하여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양자 간의 그 접착 면적이 협소하여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없다. 이는 양자 간의 접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없는 이유는 카메라 모듈의 외곽 사이즈의 증가에 따른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브라켓(5)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은 렌즈 구동 장치(2)와 홀더(6) 간의 접착 영역과 홀더(6)와 회로 기판(4) 간의 접착 영역에 집중되고, 전달된 충격에 의하여 이러한 접착 영역들에서 렌즈 구동 장치(2)와 홀더(6) 간의 분리 또는 홀더(6)와 회로 기판(4) 간의 분리 또는 틀어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2개 이상의 촬상기들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예를 들어, 듀얼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 카메라 모듈의 무게가 증가로 인하여 전달되는 충격량이 증가될 수 있고, 이러한 분리 또는 틀어짐의 발생은 더 용이할 수 있다.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의 구조에서는 브라켓은 렌즈 구동 장치와 접착되고, 회로 기판과 접착되는 구조인데, 회로 기판의 접착 면적은 카메라 모듈의 외곽 사이즈 증가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면적을 늘리기 어렵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통 홀(27, 또는 25a 내지 25d)을 통하여 주입된 접착 물질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접착부(350b) 및 제3 접착부(350a)에 의하여 브라켓(200, 200-1, 200-2)의 내측면과 제1 홀더(320a)의 측면이 접착되고, 및 브라켓(200, 200-1, 200-2)의 내측면과 제2 홀더(320b)의 측면이 접착되고, 브라켓(200, 200-1, 200-2)의 내측면과 회로 기판(340)의 측면 또는/및 상면이 접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시 예는 브라켓(200, 200-1, 200-2)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 또는 힘을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들(100a-1, 100a-2), 제1 및 제2 홀더들(320a, 320b), 및 회로 기판(340)으로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하여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100-2)이 브라켓(200-2)으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회로 기판(340)의 하면에는 보강 플레이트(360)가 배치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36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SUS,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360)는 글라스 에폭시, 플라스틱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 플레이트(360)는 상기 회로 기판(340)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하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360)는 회로 기판(340)의 접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ESD(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로부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그라운드(Ground)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회로 기판(340)이 일체형인 경우, 상기 보강 플레이트(360)도 일체형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회로 기판(340)이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보강 플레이트(360)는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회로 기판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 및 제1 접착부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강 플레이트 및 제1 접착부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제1 접착부의 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브라켓(200)의 개구(201a, 202a)의 하측 영역은 회로 기판(340) 및 보강 플레이트(360)가 배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오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오픈 영역에는 상기 제1 접착부(350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상기 브라켓(200)과 상기 회로 기판(340) 사이를 접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360)와 상기 브라켓(200) 사이를 접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360)와 상기 브라켓(200)을 접합하기 위한 추가적인 접착층(미도시)을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회로 기판(340) 및 보강 플레이트(360)를 통해 노출된 제1 오픈 영역에 배치되는 제1-1 접착부(350b1)과, 상기 회로 기판(340)과 보강 플레이트(360)를 통해 노출되는 제2 오픈 영역에 배치되는 제1-2 접착부(350b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a)를 참조하면, 회로 기판(340)은 복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 기판(340)은 제1 회로 기판과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 플레이트(360)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대응하는 제1 보강 플레이트(360a)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대응하는 제2 보강 플레이트(36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0)의 개구(201a)의 하측 영역은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제1 보강 플레이트(360a)가 배치된 상태에서, 이의 양측에 각각 제1-1 오픈 영역과 제1-2 오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200)의 개구(201b)의 하측 영역은 제2 회로 기판 및 제2 보강 플레이트(360b)가 배치된 상태에서, 이의 양측에 각각 제2-1 오픈 영역과 제2-2 오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상기 제1-1 오픈 영역, 제1-2 오픈 영역, 제2-1 오픈 영역 및 제2-2 오픈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상기 제1-1 오픈 영역에 배치되는 제1-1 접착부(350b1)와, 제1-2 오픈 영역에 배치되는 제1-2 접착부(350b2)와, 제2-1 오픈 영역에 배치되는 제1-3 접착부(350b3)와, 제2-2 오픈 영역에 배치되는 제1-4 접착부(350b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 예에서의 브라켓(200)의 개구(201a, 202a)의 하측 영역의 일부는 회로 기판(340)에 의해 덮이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접착부(350b)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200)의 개구(201a, 202a)는 상기 회로 기판(340) 및 제1 접착부(350b)에 의해 전체적으로 덮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340)의 하면에는 보강 플레이트(360)가 배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로 기판(340)의 하면은 보강 플레이트(360)에 의해 전체적으로 덮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복수의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착부(350b)는 접착층(350b-1) 및 전자파 차단층(350b-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착부(350b)는 전자파 차단층(350b-2)을 포함하며, 이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층(350b-1)이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착부(350b)는 전자파 차단층(350b-2) 및 상기 전자파 차단층(350b-2)의 상면에 배치되는 접착층(350b-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착부(350b)는 접착층(350b-1) 및 상기 접착층(350b-1)의 상면에 배치되는 전자파 차단층(350b-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착부(350b)는 전자파 차단층(350b-2) 및 상기 전자파 차단층(350b-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접착층(350b-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접착부(350b)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 기판(340)/보강 플레이트(360)와 상기 브라켓(200)의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회로 기판(340)과 상기 브라켓(200) 사이의 공간에서 누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1 접착부(350b)의 층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 접착부(350b)의 층 구조는 제2 접착부(350c) 및 연결 접착부(4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접착부(350c)는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들(100a-1, 100a-2)과 브라켓(200) 사이에도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들(100a-1, 100a-2)은 렌즈 구동을 위해 다수의 전자 소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들(100a-1, 100a-2)과 상기 브라켓(200)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전자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접착부(350c)도 접착층(350b-1) 및 전자파 차단층(350b-2)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브라켓(200)의 개구의 상측 영역으로 누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 접착부(410)는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들(100a-1, 100a-2)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장치들(100a-1, 100a-2)은 상호 간섭을 주지 않는 조건에서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접착부(410)도 상기 접착층(350b-1) 및 전자파 차단층(350b-2)을 포함하는 층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이들 사이에서 누출될 수 있는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하면서, 상호의 구동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AB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5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실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의 카메라 모듈 대비 전자파 차단 테이프(37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상기 전자파 차단 테이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접착부(350b)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 기판(340)과 브라켓(2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채우도록 하여, 상기 이격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게 전자파 차단을 위한 차단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착부(350b)만으로도 상기 회로 기판(340)으로부터 누출되는 전자파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서는 전자파 차단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접착부(350b)의 하면에 전자파 차단 테이프(370)를 추가로 형성한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자파 차단 테이프(370)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340)에서 누출되는 전자파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0)은 빛의 특성인 반사, 굴절, 흡수, 간섭, 회절 등을 이용하여 공간에 있는 물체의 상을 형성시키고, 눈의 시각력 증대를 목표로 하거나, 렌즈에 의한 상의 기록과 그 재현을 목적으로 하거나, 광학적인 측정, 상의 전파나 전송 등을 목적으로 하는 광학 기기(opticla instrument)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스마트폰 및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A)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200A)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A, 이하 "단말기"라 한다.)는 몸체(850), 무선 통신부(710), A/V 입력부(720), 센싱부(740), 입/출력부(750), 메모리부(760), 인터페이스부(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몸체(850)는 바(bar)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r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몸체(8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850)는 프론트(front) 케이스(851)와 리어(rear) 케이스(85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단말기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10)는 단말기(200A)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A)와 단말기(200A)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1)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40)는 단말기(200A)의 개폐 상태, 단말기(200A)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200A)의 방위, 단말기(200A)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200A)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740)는 단말기(200A)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740)는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부(750)는 단말기(200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2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 모듈(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7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752)은 호(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메모리부(760)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사진,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760)는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예를 들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70)는 단말기(200A)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A)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7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780)는 단말기(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7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7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브라켓의 측부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 아래에 배치된 전자파 차단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보강 플레이트,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제2 보강 플레이트,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된 제2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제1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1 기판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1 접착부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2 기판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1 부분과, 상기 제2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접착부 및 상기 제1-2 접착부 각각은,
    제1-1 접착층;
    상기 제1-1 접착층 상에 배치되고,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제1 전자파 차단층 상에 배치되는 제1-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파 차단 테이프는,
    상기 제1 개구와 인접한 브라켓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1 접착부의 제1-1 접착층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테이프 영역과,
    상기 제2 개구와 인접한 브라켓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2 접착부의 제1-1 접착층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제2 테이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테이프 영역의 제3 부분은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의 일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테이프 영역의 제3 부분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하측 영역의 일부는,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1 개구의 하측 영역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1 접착부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하측 영역의 일부는,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2 개구의 하측 영역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2 접착부와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은 하나의 일체형 기판이고,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일체형 기판 아래에 하나의 일체형 보강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은 서로 이격되는 별개의 기판이고,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는 서로 이격되는 별개의 보강 플레이트이인,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와 결합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와 결합되는 제2 렌즈 구동 장치,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부는,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제2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제2 전자파 차단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홀더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착부의 층 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접착부의 층 구조와 다른, 카메라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격벽 사이, 및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접착부는,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제3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제3 전자파 차단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제3 접착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자파 차단층은, 상기 브라켓의 격벽 위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전자파 차단 테이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브라켓;
    제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는 제1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제2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브라켓의 측부와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브라켓의 측부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 배치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 아래에 배치된 전자파 차단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의 하측 영역은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접착부에 의해 덮이고,
    상기 제2 개구의 하측 영역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접착부에 의해 덮이며,
    상기 접착부는 제1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1 기판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1 접착부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2 기판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1 부분과, 상기 제2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접착부 및 상기 제1-2 접착부 각각은,
    제1-1 접착층;
    상기 제1-1 접착층 상에 배치되고,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제1 전자파 차단층 상에 배치되는 제1-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파 차단 테이프는,
    상기 제1 개구와 인접한 브라켓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1 접착부의 제1-1 접착층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테이프 영역과,
    상기 제2 개구와 인접한 브라켓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2 접착부의 제1-1 접착층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제2 테이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테이프 영역의 제3 부분은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의 일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테이프 영역의 제3 부분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13.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브라켓;
    제1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 위에 배치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1 이미지 센서와, 제1 렌즈와, 상기 제1 렌즈와 결합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제2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 위에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되는 제2 이미지 센서와,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와 결합되는 제2 렌즈 구동 장치,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와과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부;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부;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 및 상기 제2 홀더와 상기 브라켓의 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접착부; 및
    상기 제1 렌즈 구동장치와 상기 격벽 사이, 및 상기 제2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1 기판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1 접착부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2 기판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1 부분과, 상기 제2 개구의 내측과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의 외측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접착부 및 상기 제1-2 접착부 각각은,
    제1-1 접착층;
    상기 제1-1 접착층 상에 배치되고,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자파 차단층; 및
    상기 제1 전자파 차단층 상에 배치되는 제1-2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파 차단 테이프는,
    상기 제1 개구와 인접한 브라켓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1 접착부의 제1-1 접착층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테이프 영역과,
    상기 제2 개구와 인접한 브라켓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2 접착부의 제1-1 접착층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제2 테이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테이프 영역의 제3 부분은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의 일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테이프 영역의 제3 부분은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광학기기
  14. 삭제
KR1020200136661A 2020-10-21 2020-10-21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102459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661A KR102459268B1 (ko) 2020-10-21 2020-10-21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661A KR102459268B1 (ko) 2020-10-21 2020-10-21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566A KR20220052566A (ko) 2022-04-28
KR102459268B1 true KR102459268B1 (ko) 2022-10-27

Family

ID=8144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661A KR102459268B1 (ko) 2020-10-21 2020-10-21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2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760A (ko) * 2009-02-23 2010-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2241950A (zh) * 2010-05-14 2011-11-16 3M创新有限公司 电磁屏蔽胶带
KR102518481B1 (ko) * 2018-01-15 2023-04-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566A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0126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CN108885324B (zh)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光学设备
US12013589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026659A (ko) 센서 구동 장치
KR102551188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3004849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KR102508493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US20230247272A1 (en) Camera device
US12032279B2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20220285064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459268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30066537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US20230176318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102500654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CN116530089A (zh) 相机模块
KR2021011748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00079056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20230371170A1 (en) Camera module
US20230314663A1 (en) Protective sheet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20210121785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20055855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3000034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10030152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KR20210026657A (ko) 기판 및 이미지 센서용 기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