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855A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855A
KR20220055855A KR1020200140369A KR20200140369A KR20220055855A KR 20220055855 A KR20220055855 A KR 20220055855A KR 1020200140369 A KR1020200140369 A KR 1020200140369A KR 20200140369 A KR20200140369 A KR 20200140369A KR 20220055855 A KR20220055855 A KR 2022005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ing part
camera module
reces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855A/ko
Publication of KR2022005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H04N5/225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를 감싸는 제1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브라켓과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제2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감싸는 제2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하고, 접착부재가 배치되는 접착 홈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A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HAVING THE SAME}
실시 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 노트북 또는 차량 등에는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듀얼 카메라는 2개의 카메라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카메라가 다른 부분을 촬영해 이를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할 수 있다.
예컨대,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 한 개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초점을 잡고 나머지 하나의 카메라 모듈은 주변 배경을 찍어 카메라 시야각이 한층 넓어지는 광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들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수집한 화상의 위상차를 이용하면 3차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은 하나의 일체형 브라켓을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즉, 일체형 브라켓은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브라켓의 수용 공간 내에, 상기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각각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체형 브라켓을 이용한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의 결합 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사양에 맞는 브라켓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 새로운 구조의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일체형 브라켓을 신규 제작해야만 한다. 이는, 동일한 카메라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라도, 이의 조립 위치 등에 대응하는 새로운 브라켓을 제작해야만 하다. 예를 들어, 3개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트리플 카메라 모듈에서, 3개의 카메라 모듈의 배열 구조에 대응하는 브라켓이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3개의 카메라 모듈은 '-' 형태나 'ㄱ' 형태로 배열되어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조립 구조는, 각각의 형태에 맞는 일체형 브라켓을 별개로 제작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의 개수에 대응하게, 이에 맞는 별개의 일체형 브라켓을 제작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은 일체형 브라켓의 제작을 위한 금형 제작비가 증가하고, 이의 개발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새롭게 제작된 일체형 브라켓 부품의 안정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개수나 배열 형태와 무관하게 공용으로 적용 가능한 새로운 브라켓 구조를 가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배열 방향이나 카메라 모듈의 높이에 관계없이 원하는 디자인으로 체결 가능한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를 감싸는 제1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브라켓과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제2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감싸는 제2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하고, 접착부재가 배치되는 접착 홈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1 결합부 및 제1-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2-1 결합부 및 제2-2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1 결합부는 상기 제1-2 결합부와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2-2 결합부와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1-2 결합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2-2 결합부는 상기 제1-1 결합부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제1-1 결합부는, 제1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결합부는, 상호 이격되는 제2-1 리세스 및 제2-2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2-1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1-1 돌기와, 상기 제2-2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1-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결합부는 상기 제1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 홈은, 상기 제1-1 돌기에 형성된 제1-1 접착 홈과, 상기 제1-2 돌기에 형성된 제1-2 접착 홈을 포함하는 제1 접착 홈과, 상기 제2 돌기에 형성된 제2 접착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제2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2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3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대응하는 제1 기판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브라켓은 상기 제1-4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대응하는 제2 기판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4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2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1-3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4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2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2-3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3 결합부 및 상기 제2-3 결합부는 상호 서로 다른 결합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높이와 다른 제2 높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1 접착 홈, 상기 제1-2 접착 홈 및 상기 제2 접착 홈 각각은, 상기 제1-1 돌기, 상기 제1-2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 각각의 상부 영역을 개방하며, 상기 제1-1 접착 홈, 상기 제1-2 접착 홈 및 상기 제2 접착 홈의 각각의 하부 영역은, 상기 제1-1 돌기, 상기 제1-2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에 의해 덮인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를 감싸는 제1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브라켓과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제2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감싸는 제2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측부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1 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측부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2 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결합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되는 접착 홈을 포함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를 감싸는 제1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브라켓과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제2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감싸는 제2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1 결합부 및 제1-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2-1 결합부 및 제2-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결합부는 상기 제1-2 결합부와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2-2 결합부와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1-2 결합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2-2 결합부는 상기 제1-1 결합부에 대응하며, 상기 제1-1 결합부는, 제1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결합부는, 상호 이격되는 제2-1 리세스 및 제2-2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2-1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1-1 돌기와, 상기 제2-2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1-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결합부는 상기 제1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홈은, 상기 제1-1 돌기에 형성된 제1-1 접착 홈과, 상기 제1-2 돌기에 형성된 제1-2 접착 홈을 포함하는 제1 접착 홈과, 상기 제2 돌기에 형성된 제2 접착 홈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는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결합한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브라켓을 포함하고, 제2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브라켓과 분리된 제2 브라켓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브라켓을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결합 방향 또는 각각의 카메라 모듈의 높이의 차이에 관계없이 원하는 디자인으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디자인 자유도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제2 결합부에 접착 홈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접착 홈 내에 접착부재를 도포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제1 카메라 모듈에 대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브라켓의 제1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브라켓의 제2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브라켓의 제3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브라켓의 제1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브라켓의 제2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2 브라켓의 제3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변형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또 다른 결합 구조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보여준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Optical Axis) 방향은 카메라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에 결합되는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은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 피드백(CLAF, closed-loop auto focus) 제어는 포커스 조절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렌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피드백(feedback)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제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방향은 광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100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0)은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들(100-1, 100-2)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카메라 모듈(100-1)은 제1 브라켓(200)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제2 브라켓(3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브라켓(200)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을 수용 또는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300)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수용 또는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200)은 외측면에 제1 결합부(추후 설명)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브라켓(300)은 외측면에 제2 결합부(추후 설명)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 결합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 결합부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의 돌기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 결합부의 리세스 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 결합부가 돌기일 수 있고,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가 리세스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 결합부의 돌기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의 리세스 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 결합부 또는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에는 수용 홈(추후 설명)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은 에폭시와 같은 접착부재(500)가 수용되는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홈 내에 상기 접착부재(500)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상기 수용 홈 내에 도포된 접착부재(500)에 의해 상호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은 "촬상기" 또는 "촬영기"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고, 브라켓은 홀더(holdr), 마운트(mount), 하우징(Housing), 또는 쉴드 캔(shield can)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는 2개의 촬상기들을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는 2개 이상의 촬상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사이즈나 화각 등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사이즈나 화각 등과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 중 어느 하나는 메인 카메라 모듈로 지정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서브 카메라 모듈로 지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 각각은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 또는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모두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모두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일 수도 있다.
AF용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OIS용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 기능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00-1)은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는 제1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보빈, 보빈을 내측에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magnet), 보빈과 하우징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보빈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bas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일에는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전류)가 제공될 수 있고, 코일과 마그네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코일은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고, 마그네트는 보빈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AF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는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sensing magnet), 하우징에 배치되는 AF 위치 센서(예를 들어, 홀 센서(hall sensor), 및 하우징 또는/및 베이스에 배치되고 위치 센서가 배치 또는 장착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위치 센서가 보빈에 배치되고, 센싱 마그네트가 하우징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AF 위치 센서는 보빈의 이동에 따른 센싱 마그네트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코일과 AF 위치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회로 기판을 통하여 코일 및 AF 위치 센서 각각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고, AF 위치 센서의 출력이 회로 기판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 구동 장치는 베이스와 함께 상술한 구성들을 수용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2 렌즈 구동 장치는 제2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보빈, 보빈을 내측에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보빈에 배치되는 제1 코일,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magnet), 보빈의 상부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탄성 부재, 보빈의 하부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탄성 부재, 보빈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코일, 제2 코일 아래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회로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base), 및 회로 기판과 상부 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하우징을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과 제2 코일 각각은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탄성 부재는 복수의 상부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스프링들 및 지지 부재를 통하여 제1 코일은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과 마그네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빈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빈의 광축 방향으로의 변위가 제어됨으로서, AF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과 마그네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하우징이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떨림 보정 또는 OIS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 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렌즈 구동 장치는 AF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센싱 마그네트와 AF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IS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제2 렌즈 구동 장치는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베이스에 배치 또는 안착되는 제1 OIS 위치 센서 및 제2 OIS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구동 장치는 베이스와 함께 상술한 구성들을 수용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화각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화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 중 어느 하나는 광각 카메라 모듈일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협각 카메라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화각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화각은 동일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화각이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화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사이즈와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사이즈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은 제1 사이즈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상기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사이즈는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은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상기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 중 어느 하나는 정지 화상의 촬영을 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동영상 촬영을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0-1)는 제1 렌즈(101-1), 제1 렌즈(10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위한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 제1 이미지 센서(410a), 제1 홀더(420a), 및 제1 필터(430a) 및 제1 회로 기판(44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101-1)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된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는 상술한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2 렌즈 구동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홀더(320a)는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필터(430a)는 제1 홀더(420a)에 안착 또는 장착될 수 있다.
홀더 접착부(미도시)에 의하여 제1 홀더(420a)의 상면은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하면과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더(420a)의 상면과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베이스의 하면 사이에는 접착 부재 또는 쉴드(shield)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접착부(미도시)는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또는 자외선과 열에 의하여 완전 경화되는 듀얼 경화성 접착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성 또는/및 열 경화성 에폭시일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410a)는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410a)는 제1 홀더(420a) 또는 제1 필터(430a)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광축 방향으로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의 제1 렌즈(101-1)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홀더(420a)는 제1 필터(430a)를 통과한 광이 제1 이미지 센서(410a)에 입사될 수 있도록 제1 이미지 센서(410a)에 대응하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홀더(420a)는 제1 필터(430a)를 장착 또는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또는 돌출부)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또는 돌출부)은 제1 홀더(420a)의 개구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430a)는 광축 방향으로 제1 이미지 센서(410a)와 대향되도록 제1 홀더(420a)의 안착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430a)는 제1 렌즈(101-1)를 통과한 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제1 이미지 센서(410a)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430a)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필터(430a)는 광축 방향과 수직한 평면(예를 들어,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100-2)는 제2 렌즈(101-2), 제2 렌즈(101-2)를 이동시키기 위한 위한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 제2 이미지 센서(410b), 제2 홀더(420b), 제2 필터(430b), 및 제2 회로 기판(4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101-2)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된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는 상술한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1 렌즈 구동 장치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제2 렌즈 구동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홀더(420b)는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필터(430b)는 제2 홀더(420b)에 안착 또는 장착될 수 있다.
홀더 접착부(미도시)에 의하여 제2 홀더(420b)의 상면은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하면과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홀더(420b)의 상면과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베이스의 하면 사이에는 접착 부재 또는 쉴드(shield)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접착부(미도시)는 제1 홀더(420a)와 제1 렌즈 구동 장치(100a-1) 사이에 배치된 상술한 접착 부재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센서(410b)는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센서(410b)는 제2 홀더(420b) 또는 제2 필터(430b)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광축 방향으로 제2 렌즈 구동 장치(100a-2)의 제2 렌즈(101-2)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홀더(420b)는 제2 필터(430b)를 통과한 광이 제2 이미지 센서(410b)에 입사될 수 있도록 제2 이미지 센서(410b)에 대응하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홀더(420b)는 제2 필터(430b)를 장착 또는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또는 돌출부)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또는 돌출부)는 제2 홀더(420b)의 개구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430b)는 광축 방향으로 이미지 센서(410b)와 대향되도록 제2 홀더(420b)의 안착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430b)는 제2 렌즈를 통과한 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제2 이미지 센서(410b)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430b)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2 필터(430b)는 광축 방향과 수직한 평면(예를 들어,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더(420a) 및 제2 홀더(420b)는 서로 이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홀더(420a)와 제2 홀더(420b)는 연결될 수 있고, 일체형으로 하나의 홀더를 이룰 수도 있다.
제1 회로 기판(440a)은 제1 홀더(420a)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로 기판(440b)은 제2 홀더(420b)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 접착부(미도시)에 의하여 제1 홀더(420a)와 제1 회로 기판(440a)은 서로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기판 접착부(미도시)에 의하여, 제2 홀더(430b)와 제2 회로 기판(440b)은 서로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기판 접착부(35b)는 열 경화성, 또는/및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로 기판(440a) 및 제2 회로 기판(440b) 각각은 제1 이미지 센서(410a)와 제2 이미지 센서(410b) 각각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440b-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 상에는 상기 제2 회로 기판(440b)에만 상기 커넥터(440b-1)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로 기판(440a)의 적어도 일면에는 커넥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440b-1)는 상기 제1 회로 기판(440a) 또는 제2 회로 기판(44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410a)와 제2 이미지 센서(410b) 각각은 제1 회로 기판(440a) 및 제2 회로 기판(440b) 상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410a)와 제2 이미지 센서(410b) 각각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제1 회로 기판(440a) 및 제2 회로 기판(440b) 각각에는 각종 회로, 소자, 또는/및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회로 기판(440a) 및 제2 회로 기판(440b)은 PCB 또는 연성 회로 기판일 수 있으나,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제1 회로 기판(440a) 또는 제2 회로 기판(440b)에 배치 또는 실장되는 모션 센서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모션 센서는 제어부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카메라 모듈(1000)의 움직임에 의한 회전 각속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센서는 2축 또는 3축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각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카메라 모듈(100-1) 또는/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코일(또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 각각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AF 위치 센서와 OIS 위치 센서들 각각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AF 위치 센서와 OIS 위치 센서들 각각의 출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은 제1 브라켓(2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제2 브라켓(3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브라켓(200) 및 제2 브라켓(300) 각각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브라켓(200)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300)에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서로 다른 브라켓 내에 수용되고, 상기 각각의 브라켓에 결합부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 결합부 또는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접착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브라켓(200) 및 제2 브라켓(300)은 상기 접착부재(500)에 의하여 접합 및 고정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브라켓(200) 및 제2 브라켓(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브라켓의 제1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브라켓의 제2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브라켓의 제3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브라켓의 제1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브라켓의 제2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2 브라켓의 제3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 브라켓(200)에 대해 설명하고,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2 브라켓(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브라켓(200)은 제1 카메라 모듈(100-1)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200)은 제1 카메라 모듈(100-1)에 대응되는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제1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200)은 복수의 측부들(또는 측벽들)(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200)은 상기 제1 개구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복수의 측부들(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200)은 제1-1 측부(210), 제1-2 측부(220), 제1-3 측부(230) 및 제1-4 측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측부(210) 및 제1-2 측부(22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측부(210)의 내측면과 상기 제1-2 측부(220)의 내측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측부(210) 및 상기 제1-2 측부(220)는 상호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3 측부(230)는 상기 제1-1 측부(210)의 일단과 상기 제1-2 측부(220)의 일단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4 측부(240)는 상기 제1-1 측부(210)의 타단과 상기 제1-2 측부(220)의 타단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3 측부(230) 및 상기 제1-3 측부(24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측부(230)의 내측면과 상기 제1-4 측부(240)의 내측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측부(230) 및 상기 제1-4 측부(240)는 상호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들(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는 접착용 에폭시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 홀은 "에폭시 주입 관통 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관통 홀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00-1)이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 개구에 장착 또는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홀을 통하여 에폭시가 주입될 수 있고, 주입된 에폭시는 제1 브라켓(200)의 각각의 측부의 내측면과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제1 홀더(42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홀더(420a)와 제1 브라켓(200)을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된 에폭시는 상기 제1 브라켓(200)과 상기 제1 회로 기판(44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브라켓(200)과 상기 제1 회로 기판(440a)사이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의 제1 회로 기판(440a), 제1 브라켓(200) 및 제1 카메라 모듈들은 다음과 같이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제1 회로 기판(440a) 상에 접착제(예를 들어, 에폭시)를 도포한 후에 제1 브라켓(200)의 하면을 제1 회로 기판(440a)의 상면에 접착시킨다.
다음으로 접착제를 제1 브라켓(200)의 상면과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상면 사이의 공간, 그리고 제1 브라켓(200)의 관통 홀들 사이에 주입하여 제1 브라켓(200)과 제1 카메라 모듈(100-1)을 서로 부착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 예의 제1 브라켓(200)은 복수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들(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들(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2개의 측부에 상기 제1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제1 브라켓(200)과 제2 브라켓(300)을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 모듈들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들(210, 220, 230, 240) 중에서 3개의 측부에 각각 제1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들(210, 220, 230, 240) 중 상기 제1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부에는, 제1 회로 기판(440a)에 대응하는 제1 기판 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200) 내에 제1 카메라 모듈(100-1)을 배치한 경우,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제1 회로 기판(440a)의 커넥터(미도시)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외부 장치는 이동 단말기나 차량 등에 구비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3 측부(230)에는 제1 회로 기판(440a)에 대응하는 제1 기판 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판 홈(231)은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3 측부(230)의 하면에 일정 깊이를 가지고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3 측부(230)에 상기 제1 기판 홈(231)과 함께 상기 제1 결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1-3 측부(230)에 상기 제1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3 측부(230)에 형성된 제1 결합부에 제2 카메라 모듈(100-2)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3 측부(230)의 제1 기판 홈(231)을 통해 노출된 제1 회로 기판(440a)과, 제2 카메라 모듈(100-2) 사이의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회로 기판(440a)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3 측부(230)에는 제1 회로 기판(440a)에 대응하는 제1 기판 홈(231)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기판 홈(231)이 형성된 측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실시 예에서는 제1-1 측부(210), 제1-2 측부(220) 및 제1-4 측부(240)에 각각 제1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200)의 제1-1 측부(210)에는 제1-1 결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200)의 제1-2 측부(220)에는 제1-2 결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200)의 제1-4 측부(240)에는 제1-3 결합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의 제1 브라켓(200)에 형성된 제1-1 결합부(211), 제1-2 결합부(221) 및 제1-3 결합부(241)는 리세스(recess)일 수 있다.
제1-1 결합부(211)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1 측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 결합부(211)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1 측부(210)에 형성되는 제1 리세스(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211-1)는 상기 제1-1 측부(21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리세스(211-1)는 상기 제1-1 측부(210)의 외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211-1)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1 측부(210)의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리세스(211-1)의 길이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1 측부(210)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리세스(211-1)의 길이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1 측부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결하는 직선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리세스(211-1) 내에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상기 제1 리세스(211-1)의 상측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고, 이와 다르게 하측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 리세스(211-1)는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결합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게 한다.
다만, 상기 제1 리세스(211-1)가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리세스(211-1) 내에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리세스(211-1)가 일반적인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리세스(211-1) 내에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가 상기 제1 리세스(211-1)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1 리세스(211-1)는 제1 연장 리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리세스(211-1)는 제1-1 연장 리세스(211-2) 및 제1-2 연장 리세스(2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연장 리세스(211-2) 및 제1-2 연장 리세스(211-3)를 포함하는 제1 리세스(211-1)의 형상은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브라켓(200)의 제1-2 측부(220)에는 제1-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 측부(220)는 상기 제1-1 측부(210)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측부(220)는 상기 제1-1 측부(210)와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다양한 결합 환경을 고려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에 따른 결합 신뢰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때,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2 측부(220)에 형성된 제1-2 결합부가 상기 제1-1 측부(210)에 형성된 제1-1 결합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결합 신뢰성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브라켓(300)도 상호 마주보는 제1-1 측부(310) 및 제1-2 측부(32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1-1 측부(310)에는 제2-1 결합부(311)가 형성되고, 제1-2 측부(320)에는 제2-2 결합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1 결합부(211)와 제1-2 결합부(221)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2-1 결합부(311) 및 제2-2 결합부(321)도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결합은, 상기 제1-1 결합부(211)에 제2-1 결합부(311)가 끼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제1-2 결합부(211)에도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경우, 하나의 제2 결합부가 서로 다른 2개의 제1 결합부에 모두 끼워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서로 반대로 결합하는 오결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1 결합부(211)와 제1-2 결합부(221)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1 결합부(311)는 상기 제1-2 결합부(221)에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2 결합부(321)는 상기 제1-1 결합부(211)에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결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 결합부(221)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2 측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결합부(221)는 상기 제1-1 결합부(211)와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구조라는 것은 결합부의 형상이나 사이즈 등이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결합부(221)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2 측부(2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결합부(221)는 상호 이격되는 제2-1 리세스(221-1) 및 제2-2 리세스(2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리세스(221-1)는 상기 제1-2 측부(220)의 외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 리세스(221-1)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2 측부(220)의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리세스(221-1)의 길이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2 측부(22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결하는 직선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1 리세스(221-1) 내에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상기 제2-1 리세스(221-1)의 상측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고, 이와 다르게 하측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2-1 리세스(221-1)는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결합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2 리세스(221-2)는 상기 제1-2 측부(220)의 외측면에, 상기 제2-1 리세스(221-1)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2 리세스(221-2)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2 측부(220)의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2 리세스(221-2)의 길이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2 측부(22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결하는 직선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2 리세스(221-2) 내에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상기 제2-2 리세스(221-2)의 상측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고, 이와 다르게 하측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2-2 리세스(221-2)는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결합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게 한다.
다만, 상기 제2-1 리세스(221-1) 및 제2-2 리세스(221-2) 내에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리세스(221-1) 및 제2-2 리세스(221-2)가 일반적인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2-1 리세스(221-1) 및 제2-2 리세스(221-2) 내에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가 상기 제2-1 리세스(221-1) 및 제2-2 리세스(221-2)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의 제1-2 결합부(221)는 복수의 연장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결합부(221)의 각각의 리세스는 복수의 연장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결합부(221)는 복수의 제2 연장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리세스(221-1)는 제2-1 연장 리세스(221-3) 및 제2-2 연장 리세스(22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2 리세스(221-2)는 제2-3 연장 리세스(221-5) 및 제2-4 연장 리세스(2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1 리세스(221-1)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리세스(221-2)는 상기 제2-1 리세스(221-1)에 대응하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2 결합부(221)는 복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구조이고, 상기 제1-1 결합부(211)는 1개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이와 같은 서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2 브라켓(300)과의 결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실시 예의 제1 브라켓(200)의 제1-4 측부(240)에는 제1-3 결합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3 결합부(241)는 상기 제1-1 결합부(211) 및 제1-2 결합부(221)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3 결합부(241)는 상기 제1-2 결합부(22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결합부(241)는 상기 제1-2 결합부(2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3 결합부(241)는 상기 제1-2 결합부(221)가 아닌 제1-1 결합부(2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3 결합부(241)가 상기 제1-2 결합부(22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3 결합부(241)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4 측부(24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3 결합부(241)는 상기 제1-1 결합부(211)와는 다르면서, 상기 제1-2 결합부(221)와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결합부(241)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4 측부(2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결합부(241)는 상호 이격되는 제3-1 리세스(241-1) 및 제3-2 리세스(2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1 리세스(241-1)는 상기 제1-4 측부(240)의 외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1 리세스(241-1)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4 측부(240)의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1 리세스(241-1)의 길이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4 측부(24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결하는 직선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1 리세스(241-1) 내에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상기 제3-1 리세스(241-1)의 상측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고, 이와 다르게 하측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3-1 리세스(241-1)는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결합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3-2 리세스(241-2)는 상기 제1-4 측부(240)의 외측면에, 상기 제3-1 리세스(241-1)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2 리세스(241-2)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4 측부(240)의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2 리세스(241-2)의 길이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4 측부(24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결하는 직선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2 리세스(241-2) 내에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상기 제3-2 리세스(241-2)의 상측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고, 이와 다르게 하측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3-2 리세스(241-2)는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결합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게 한다.
다만, 상기 제3-1 리세스(241-1) 및 제3-2 리세스(241-2) 내에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1 리세스(241-1) 및 제3-2 리세스(241-2)가 일반적인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3-1 리세스(241-1) 및 제3-2 리세스(241-2) 내에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결합부가 상기 제3-1 리세스(241-1) 및 제3-2 리세스(241-2)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의 제1-3 결합부(241)는 복수의 연장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결합부(241)의 각각의 리세스는 복수의 연장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결합부(241)는 복수의 제2 연장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1 리세스(241-1)는 제3-1 연장 리세스(241-3) 및 제3-2 연장 리세스(24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2 리세스(241-2)는 제3-3 연장 리세스(241-5) 및 제3-4 연장 리세스(24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1 리세스(221-1)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2 리세스(241-2)는 상기 제3-1 리세스(241-1)에 대응하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3 결합부(241)는 제1-1 결합부(211) 및 제2 결합부(221)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원하는 디자인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2 브라켓(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브라켓(300)은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브라켓(300)은 제2 카메라 모듈(100-2)에 대응하는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 제2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300)은 복수의 측부들(또는 측벽들)(310, 320, 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브라켓(300)은 상기 제2 개구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복수의 측부들(310, 320, 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브라켓(300)은 제2-1 측부(310), 제2-2 측부(320), 제2-3 측부(330) 및 제2-4 측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측부(310) 및 제2-2 측부(32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측부(310)의 내측면과 상기 제2-2 측부(320)의 내측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측부(310) 및 상기 제2-2 측부(320)는 상호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3 측부(330)는 상기 제2-1 측부(310)의 일단과 상기 제2-2 측부(320)의 일단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4 측부(340)는 상기 제2-1 측부(310)의 타단과 상기 제2-2 측부(320)의 타단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3 측부(330) 및 상기 제2-3 측부(34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3 측부(330)의 내측면과 상기 제2-4 측부(340)의 내측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3 측부(330) 및 상기 제2-4 측부(340)는 상호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들(310, 320, 330, 34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는 접착용 에폭시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 홀은 "에폭시 주입 관통 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관통 홀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 모듈(100-2)이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 개구에 장착 또는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홀을 통하여 에폭시가 주입될 수 있고, 주입된 에폭시는 제2 브라켓(300)의 각각의 측부의 내측면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제2 홀더(4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홀더(420b)와 제2 브라켓(300)을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된 에폭시는 상기 제2 브라켓(300)과 상기 제2 회로 기판(44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300)과 상기 제2 회로 기판(440b)사이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의 제2 회로 기판(440b), 제2 브라켓(300) 및 제2 카메라 모듈들은 다음과 같이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제2 회로 기판(440b) 상에 접착제(예를 들어, 에폭시)를 도포한 후에 제2 브라켓(300)의 하면을 제2 회로 기판(440b)의 상면에 접착시킨다.
다음으로 접착제를 제2 브라켓(300)의 상면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상면 사이의 공간, 그리고 제2 브라켓(300)의 관통 홀들 사이에 주입하여 제2 브라켓(300)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서로 부착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 예의 제2 브라켓(300)은 복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들(310, 320, 330, 34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들(310, 320, 330, 340) 중 적어도 2개의 측부에 상기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서는 제1 브라켓(200)과 제2 브라켓(300)을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 모듈들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들(310, 320, 330, 340) 중에서 3개의 측부에 각각 제2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들(310, 320, 330, 340) 중 상기 제2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부에는, 제2 회로 기판(440b)에 대응하는 제2 기판 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브라켓(300) 내에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배치한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제2 회로 기판(440b)의 커넥터(440b-1)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과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외부 장치는 이동 단말기나 차량 등에 구비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3 측부(330)에는 제2 회로 기판(440b)에 대응하는 제2 기판 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기판 홈(331)은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3 측부(330)의 하면에 일정 깊이를 가지고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3 측부(330)에 상기 제2 기판 홈(331)과 함께 상기 제2 결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2-3 측부(330)에 상기 제2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3 측부(330)에 형성된 제2 결합부에 제1 카메라 모듈(100-1)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3 측부(330)의 제2 기판 홈(331)을 통해 노출된 제2 회로 기판(440b)과, 제1 카메라 모듈(100-1) 사이의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회로 기판(440b)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3 측부(330)에는 제2 회로 기판(440b)에 대응하는 제2 기판 홈(331)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기판 홈(331)이 형성된 측부에는 상기 제2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실시 예에서는 제2-1 측부(310), 제2-2 측부(320) 및 제2-4 측부(340)에 각각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300)의 제2-1 측부(310)에는 제2-1 결합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300)의 제2-2 측부(320)에는 제2-2 결합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300)의 제2-4 측부(340)에는 제2-3 결합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의 제2 브라켓(300)에 형성된 제2-1 결합부(311), 제2-2 결합부(321) 및 제2-3 결합부(341)는 상기 제1 브라켓(200)에 형성된 제1 결합부의 리세스 내에 끼움 결합되는 돌기일 수 있다.
제2-1 결합부(311)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측부(3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 결합부(311)는 상기 제1 브라켓(200)의 제1-2 측부(220)에 형성된 제1-2 결합부(221)에 대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1 결합부(311)는 상기 제1-2 결합부(221)에 대응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결합부(311)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1 결합부(311)를 구성하는 제1 돌출부는 제1-2 결합부(221)의 제2-1 리세스(221-1)에 대응하는 제1-1 돌기(311-5) 및 제2-2 리세스(221-2)에 대응하는 제1-2 돌기(3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돌기(311-5) 및 제1-2 돌기(311-1)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측부(310)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돌기(311-5) 및 제1-2 돌기(311-1)의 이격 간격은, 상기 제1-2 결합부(221)를 구성하는 제2-1 리세스(221-1)와 제2-2 리세스(221-2)의 이격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1 돌기(311-8)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측부(310)의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돌기(311-5)의 길이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측부(31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를 연결하는 직선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1 돌기(311-5)은 상기 제2-1 리세스(221-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1 돌기(311-5)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측부(310)의 외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일정 두께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 돌기(311-1)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측부(310)의 상면 및 하면을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돌기(311-1)의 길이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측부(31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를 연결하는 직선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2 돌기(311-1)은 상기 제2-2 리세스(221-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2 돌기(311-1)는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측부(310)의 외측면에, 상기 제1-1 돌기(311-5)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 두께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1 결합부(311)는 복수의 연장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결합부(311)의 각각의 돌기는 복수의 연장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결합부(311)는 복수의 제1 연장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돌기(311-5)는 제1-1 연장 돌기(311-6) 및 제1-2 연장 돌기(31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돌기(311-1)는 제1-3 연장 돌기(311-2) 및 제1-4 연장 돌기(3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돌기(311-5)의 제1-1 연장 돌기(311-6) 및 제1-2 연장 돌기(311-7)는 상기 제2-1 리세스(221-1)의 제2-1 연장 리세스(221-3) 및 제2-2 연장 리세스(221-4)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돌기(311-1)의 제1-3 연장 돌기(311-2) 및 제1-4 연장 돌기(311-3)는 제2-2 리세스(221-2)의 제2-3 연장 리세스(221-5) 및 제2-4 연장 리세스(221-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1 돌기(311-5) 및 상기 제1-2 돌기(311-1)는 상기 제1-2 결합부(221)에 대응하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1 돌기(311-5)는 제1-1 접착 홈(3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접착 홈(311-8)은 상기 제1-1 돌기(311-5)의 일부를 개방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접착 홈(311-8)은 상기 제1-1 돌기(311-5)의 상면과 연결되는 상부 영역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1 접착 홈(311-8)은 상기 제1-1 돌기(311-5)의 일부만을 개방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1 접착 홈(311-8)의 하부 영역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1-1 접착 홈(311-8)을 포함하는 제1-1 돌기(311-5)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1 접착 홈(311-8) 내에는 접착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00)는 에폭시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00)는 상기 제1 브라켓(200)에 제2 브라켓(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1 접착 홈(311-8) 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1-2 돌기(311-1)는 제1-2 접착 홈(3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접착 홈(311-4)은 상기 제1-2 돌기(311-1)의 일부를 개방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2 접착 홈(311-4)은 상기 제1-2 돌기(311-1)의 상면과 연결되는 상부 영역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2 접착 홈(311-4)은 상기 제1-2 돌기(311-1)의 일부만을 개방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2 접착 홈(311-4)의 하부 영역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1-2 접착 홈(311-4)을 포함하는 제1-1 돌기(311-1)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2 접착 홈(311-4) 내에는 접착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00)는 에폭시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00)는 상기 제1 브라켓(200)에 제2 브라켓(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2 접착 홈(311-4) 내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제2-2 결합부(321)는 제1-1 결합부(211)에 대응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2 결합부(321)는 상기 제1-1 결합부(211)의 제1 리세스(211-1)에 대응하는 제2 돌기(3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321-1)는 복수의 제2 연장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기(321-1)는 제2-1 연장 돌기(321-2) 및 제2-2 연장 돌기(3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연장 돌기(321-2) 및 제2-2 연장 돌기(321-3)는 상기 제1 리세스(211-1)의 제1-1 연장 리세스(211-2) 및 제1-2 연장 리세스(211-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돌기(321-1)는 상기 제1-1 결합부(211)에 대응하는 T자 형상(평면에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돌기(321-1)는 제2 접착 홈(32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 홈(321-4)은 상기 제2 돌기(321-1)의 일부를 개방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접착 홈(321-4)은 상기 제2 돌기(321-1)의 상면과 연결되는 상부 영역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 홈(321-4)은 상기 제2 돌기(321-1)의 일부만을 개방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접착 홈(321-4)의 하부 영역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 홈(321-4)을 포함하는 제2 돌기(321-1)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 홈(321-4) 내에는 접착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00)는 에폭시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00)는 상기 제1 브라켓(200)에 제2 브라켓(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접착 홈(321-4) 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2-3 결합부(341)는 제3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3 결합부(341)는 상기 제1-1 결합부(211)의 제1 리세스(211-1)에 대응하는 제3 돌기(34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3 결합부(341)는 상기 제1-3 결합부(241)에 대응하는 형상이 아닌, 상기 제1-1 결합부(2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제2-3 결합부(341)가 상기 제1-3 결합부(24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이에 따라, 상기 제2-3 결합부(341)와 상기 제1-3 결합부(241)가 상호 결합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3 결합부(341)와 상기 제1-3 결합부(241)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0-2)에서의 제2 회로 기판(440b)은 상기 제1 회로 기판(440a)과 반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전체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3 결합부(341)가 상기 제1-1 결합부(211)에 대응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3 결합부(341)가 상기 제1-3 결합부(241)에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부피 증가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상기 제3 돌기(341-1)는 복수의 제3 연장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돌기(341-1)는 제3-1 연장 돌기(341-2) 및 제3-2 연장 돌기(3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1 연장 돌기(341-2) 및 제3-2 연장 돌기(341-3)는 상기 제1 리세스(211-1)의 제1-1 연장 리세스(211-2) 및 제1-2 연장 리세스(211-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돌기(341-1)는 제3 접착 홈(34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 홈(341-4)은 상기 제3 돌기(341-1)의 일부를 개방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접착 홈(341-4)은 상기 제3 돌기(341-1)의 상면과 연결되는 상부 영역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 홈(341-4)은 상기 제3 돌기(341-1)의 일부만을 개방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접착 홈(341-4)의 하부 영역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 홈(341-4)을 포함하는 제3 돌기(341-1)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 홈(341-4) 내에는 접착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00)는 에폭시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00)는 상기 제1 브라켓(200)에 제2 브라켓(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3 접착 홈(341-4) 내에 도포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변형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포함하는 구조에서,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좌측에 결합되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200)의 제1-1 결합부(211)에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2 결합부(321)가 삽입되고, 그에 따라 제2 접착 홈(321-4)에 접착부재(500)가 도포된 상태에서,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결합이 이루어졌다.
이와 다르게, 도 9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포함하는 구조에서,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200)의 제1-2 결합부(221)에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결합부(311)가 삽입되고, 그에 따라 제1-1 접착 홈(311-8)에 배치된 제1 접착부(510)와, 제1-2 접착 홈(311-4)에 배치된 제2 접착부(520)를 포함하는 접착부재(500A)에 의해,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카메라 모듈(100-1)과 제2 카메라 모듈(100-2)을 포함하는 구조에서, 제2 카메라 모듈(100-2)은 제1 카메라 모듈(100-1)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200)의 제1-3 결합부(241)에 상기 제2 브라켓(300)의 제2-1 결합부(311)가 삽입되고, 그에 따라 제1-1 접착 홈(311-8)에 배치된 제1 접착부(530)와, 제1-2 접착 홈(311-4)에 배치된 제2 접착부(540)를 포함하는 접착부재(500B)에 의해, 제1 카메라 모듈(10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0-2)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또 다른 결합 구조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보여준다.
도 1, 도 9 및 도 10은 듀얼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전의 도면에서는 2개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였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3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다양한 구조를 배열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은 제1 내지 제6 카메라 모듈(100-1, 100-2, 100-3, 100-4, 100-5, 100-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 모듈(100-1)을 중심으로, 이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제2 카메라 모듈(100-2) 및 제3 카메라 모듈(100-3)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카메라 모듈(100-3)을 중심으로, 이의 우측에는 제4 카메라 모듈(100-4)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카메라 모듈(100-4)을 중심으로, 이의 우측에는 제5 카메라 모듈(100-5)이 결합되고, 이의 상측에는 제6 카메라 모듈(100-6)이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결합한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브라켓을 포함하고, 제2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브라켓과 분리된 제2 브라켓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브라켓을 이용하여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의 결합 방향 또는 각각의 카메라 모듈의 높이의 차이에 관계없이 원하는 디자인으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디자인 자유도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제2 결합부에 접착 홈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접착 홈 내에 접착부재를 도포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제1 카메라 모듈에 대해,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빛의 특성인 반사, 굴절, 흡수, 간섭, 회절 등을 이용하여 공간에 있는 물체의 상을 형성시키고, 눈의 시각력 증대를 목표로 하거나, 렌즈에 의한 상의 기록과 그 재현을 목적으로 하거나, 광학적인 측정, 상의 전파나 전송 등을 목적으로 하는 광학 기기(opticla instrument)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스마트폰 및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A)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200A)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A, 이하 "단말기"라 한다.)는 몸체(850), 무선 통신부(710), A/V 입력부(720), 센싱부(740), 입/출력부(750), 메모리부(760), 인터페이스부(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몸체(850)는 바(bar)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r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몸체(8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850)는 프론트(front) 케이스(851)와 리어(rear) 케이스(85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단말기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10)는 단말기(200A)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A)와 단말기(200A)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1)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40)는 단말기(200A)의 개폐 상태, 단말기(200A)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200A)의 방위, 단말기(200A)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200A)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740)는 단말기(200A)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740)는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부(750)는 단말기(200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2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 모듈(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7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752)은 호(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메모리부(760)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사진,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760)는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예를 들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70)는 단말기(200A)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A)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7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780)는 단말기(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7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7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를 감싸는 제1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브라켓과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제2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감싸는 제2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결합부에 대응하고, 접착부재가 배치되는 접착 홈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1 결합부 및 제1-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2-1 결합부 및 제2-2 결합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결합부는 상기 제1-2 결합부와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2-2 결합부와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1-2 결합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2-2 결합부는 상기 제1-1 결합부에 대응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결합부는, 제1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결합부는, 상호 이격되는 제2-1 리세스 및 제2-2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2-1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1-1 돌기와, 상기 제2-2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1-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결합부는 상기 제1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홈은,
    상기 제1-1 돌기에 형성된 제1-1 접착 홈과, 상기 제1-2 돌기에 형성된 제1-2 접착 홈을 포함하는 제1 접착 홈과,
    상기 제2 돌기에 형성된 제2 접착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1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은, 제2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제2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3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대응하는 제1 기판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브라켓은 상기 제1-4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대응하는 제2 기판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4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2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1-3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4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2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2-3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3 결합부 및 상기 제2-3 결합부는 상호 서로 다른 결합 구조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높이와 다른 제2 높이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접착 홈, 상기 제1-2 접착 홈 및 상기 제2 접착 홈 각각은, 상기 제1-1 돌기, 상기 제1-2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 각각의 상부 영역을 개방하며,
    상기 제1-1 접착 홈, 상기 제1-2 접착 홈 및 상기 제2 접착 홈의 각각의 하부 영역은, 상기 제1-1 돌기, 상기 제1-2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에 의해 덮이는,
    카메라 모듈.
  10.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를 감싸는 제1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브라켓과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제2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감싸는 제2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측부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1 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측부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2 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결합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되는 접착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를 감싸는 제1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브라켓과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제2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감싸는 제2 측부들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1 측부 내지 제1-4 측부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1 결합부 및 제1-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1 측부 내지 제2-4 측부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2-1 결합부 및 제2-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결합부는 상기 제1-2 결합부와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2-2 결합부와 다른 형상 또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1-2 결합부에 대응하고,
    상기 제2-2 결합부는 상기 제1-1 결합부에 대응하며,
    상기 제1-1 결합부는, 제1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결합부는, 상호 이격되는 제2-1 리세스 및 제2-2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결합부는 상기 제2-1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1-1 돌기와, 상기 제2-2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1-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결합부는 상기 제1 리세스에 대응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홈은,
    상기 제1-1 돌기에 형성된 제1-1 접착 홈과, 상기 제1-2 돌기에 형성된 제1-2 접착 홈을 포함하는 제1 접착 홈과,
    상기 제2 돌기에 형성된 제2 접착 홈을 포함하는,
    광학기기.
KR1020200140369A 2020-10-27 2020-10-27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20055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69A KR20220055855A (ko) 2020-10-27 2020-10-27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69A KR20220055855A (ko) 2020-10-27 2020-10-27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855A true KR20220055855A (ko) 2022-05-04

Family

ID=8158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369A KR20220055855A (ko) 2020-10-27 2020-10-27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8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0485B2 (en) Lens mo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US11899275B2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CN113448043A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US11650394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11415861B2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20220206308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00006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180010472A (ko) 렌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3004849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KR102634908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652995B1 (ko)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
KR20170104772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20230247272A1 (en) Camera device
KR20220055855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US20230217106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comprising same
KR10253964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80036273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10140848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2005256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20026855A (ko)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4003455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