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131B1 - Di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Google Patents

Di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131B1
KR102458131B1 KR1020210024557A KR20210024557A KR102458131B1 KR 102458131 B1 KR102458131 B1 KR 102458131B1 KR 1020210024557 A KR1020210024557 A KR 1020210024557A KR 20210024557 A KR20210024557 A KR 20210024557A KR 102458131 B1 KR102458131 B1 KR 102458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push
unit
torque value
dic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9877A (en
Inventor
유끼 나꾸이
이쯔끼 이가라시
아끼라 사이또
Original Assignee
파스포드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스포드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스포드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1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44Apparatus for mounting on conductive members, e.g. leadframes or conductors on insulating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3Process monitoring, e.g. flow or thickness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6Drive mechanisms for pick-and-place heads, e.g. details relating to power transmission, motors or vibration d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68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in a transfer process involving at least two transfer steps, i.e. including an intermediate handl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81Details of chemical or physical process used for separating the auxiliary support from a device or wafer
    • H01L2221/68386Separation by peeling
    • H01L2221/6839Separation by peeling using peeling wedge or knife or bar

Abstract

밀어올림 유닛 내의 기구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는 다이 본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이 본딩 장치는, 다이싱 테이프와 접촉하는 복수의 블록을 갖고, 다이를 상기 다이싱 테이프의 아래로부터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유닛과, 다이를 흡착하는 콜릿과, 밀어올림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밀어올림 유닛은, 복수의 상기 블록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구동축과, 복수의 구동축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터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상기 모터마다 토크값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다이의 박리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e bonding apparatus capable of further downsizing the mechanism in the push-up unit.
The die bonding apparatus has a plurality of blocks in contact with the dicing tape, and includes a push-up unit for pushing up a die from below the dicing tape, a collet for adsorbing the di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push-up unit. be prepared The push-up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rive shafts independently operat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locks, and a plurality of moto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and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peel force of the die by measuring a torque value for each motor. configured to measure.

Figure 112021022175879-pat00001
Figure 112021022175879-pat00001

Description

다이 본딩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DI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DI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본 개시는 다이 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웨이퍼 박리력을 측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다이 본더에 적용 가능하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e bonding apparatus, and is applicable to, for example, a die bonder having a function of measuring a wafer peel force.

일반적으로, 다이라고 불리는 반도체 칩을, 예를 들어 배선 기판이나 리드 프레임 등(이하, 총칭하여 기판이라고 함.)의 표면에 탑재하는 다이 본더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콜릿 등의 흡착 노즐을 사용하여 다이를 기판 상으로 반송하고, 압박력을 부여함과 함께, 접합재를 가열함으로써 본딩을 행한다고 하는 동작(작업)이 반복하여 행해진다.In general, in a die bonder that mounts a semiconductor chip called a die on the surface of a wiring board or a lead frame (hereinafter, generically referred to as a board), for example, a die using a suction nozzle such as a collet is used. The operation (operation) of bonding by conveying the substrate onto the substrate, applying a pressing force, and heating the bonding material is performed repeatedly.

다이 본더 등의 다이 본딩 장치에 의한 다이 본딩 공정 중에는, 반도체 웨이퍼(이하, 웨이퍼라고 함.)로부터 분할된 다이를 박리하는 박리 공정이 있다. 박리 공정에서는, 다이싱 테이프 이면으로부터 밀어올림 유닛에 의해 다이를 밀어올려, 다이 공급부에 보유 지지된 다이싱 테이프로부터 1개씩 박리하고, 콜릿 등의 흡착 노즐을 사용하여 기판 상으로 반송한다.Among the die bonding steps by a die bonding apparatus such as a die bonder, there is a peeling step of peeling a divided die from a semiconductor waf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fer). In a peeling process, die is pushed up by the pushing unit from the back surface of a dicing tape, it peels one by one from the dicing tape hold|maintained by the die supply part, and it conveys on a board|substrate using adsorption nozzles, such as a collet.

웨이퍼 링 내의 웨이퍼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픽업 시의 장력을 보정하기 위해, 블록 본체와 상하 기구 사이에 마련된 로드셀을 사용하여 밀어올림 시의 하중(다이싱 테이프로부터의 반력)을 측정하여, 밀어올림 시의 하중이 일정해지도록 밀어올림양을 가변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In order to correct the tension at the time of pickup of the central and peripheral portions of the wafer in the wafer ring, a load cell provided between the block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mechanism is used to measure the load (reaction force from the dicing tape) at the time of pushing up. It is proposed to make the amount of push-up variable so that the load of ' may become constant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99456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2-199456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밀어올림 유닛 내에 로드셀을 마련하면 기구가 대형화된다.However,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f a load cell is provided in the push-up unit, the mechanism becomes large.

본 개시의 과제는 밀어올림 유닛 내의 기구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는 다이 본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die bonding apparatus capable of further miniaturizing a mechanism in a push-up unit.

본 개시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A brief outline of representative one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s follows.

즉, 다이 본딩 장치는, 다이싱 테이프와 접촉하는 복수의 블록을 갖고, 다이를 상기 다이싱 테이프의 아래로부터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유닛과, 다이를 흡착하는 콜릿과, 밀어올림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밀어올림 유닛은, 복수의 상기 블록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구동축과, 복수의 구동축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터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상기 모터마다 밀어올림 시의 하중 토크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다이의 박리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die bonding apparatus has a plurality of blocks in contact with the dicing tape,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a push-up unit that pushes the die up from below the dicing tape, a collet that sucks the die, and the push-up unit A control unit is provided. The push-up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rive shafts independently operat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locks, and a plurality of moto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and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load torque at the time of pushing up for each of the motors, thereby measuring the die.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peel force of

상기 다이 본딩 장치에 따르면, 밀어올림 유닛 내의 기구를 보다 소형화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said die bonding apparatus, the mechanism in a push-up unit can be further downsized.

도 1은 실시 형태의 반도체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다이싱 테이프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밀어올림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RMS의 밀어올림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시퀀스의 제1 타임차트 레시피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밀어올림 유닛의 모터와 작동 컨트롤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박리력 및 박리 상태의 오프라인 기계 학습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기계 학습에 의한 박리 상태를 구하는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박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기계 학습 모델에 의해 구한 박리 상태로부터 밀어올림 조건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이 본더를 위에서 본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픽업 헤드 및 본딩 헤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다이 공급부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다이 공급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밀어올림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1 유닛의 일부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제2 유닛의 일부의 상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제3 유닛의 일부의 상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밀어올림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의 밀어올림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1의 밀어올림 유닛과 픽업 헤드 중 콜릿부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1의 밀어올림 유닛의 모터와 모터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도 10의 다이 본더의 픽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은 도 10의 다이 본더를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of embodiment.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ush-up unit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dicing tape.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RMS push-up sequence.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first time chart recipe of the sequence of FIG. 3 .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otor and operation controller of the push-up unit.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offline machine learning of peel force and peel state.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concept of calculating|requiring the peeling state by machine learning.
It is a figure explaining a peeling state.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method of calculating a push-up condition from the peeling state calculated|required by the machine learning model.
It is the conceptual diagram which looked at the die bonder in an Example from above.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movement of a pickup head and a bonding head, when it sees from the arrow A direction in FIG.
12 is a view showing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die supply unit of FIG. 10 .
Fig.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die supply section of Fig. 10;
Fig. 1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sh-up unit of Fig. 11;
FIG. 15 is a top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unit of FIG. 14 ;
FIG. 16 is a top view of a portion of the second unit of FIG. 14 ;
FIG. 17 is a top view of a part of the third unit of FIG. 14 ;
Fig. 1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ush-up unit of Fig. 14;
Fig. 1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ush-up unit of Fig. 14;
FIG.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ush-up unit of FIG. 11 and a collet part of the pickup head.
Fig.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tor and a motor control device of the push-up unit of Fig. 11;
2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ickup operation of the die bonder of FIG. 10 .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die bonder of FIG. 10 .

이하,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반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제의 양태에 비해, 각 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해 모식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개시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and an Example are demonstrated using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and repeated description may be abbreviate|omitted.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description clearer, the drawings may be schematically expressed about the width, thickness, shape, etc. of each part compared to the actual aspect,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

<실시 형태><Embodiment>

먼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도체 제조 장치에 대해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도체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First,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in embodiment is demonstrated using FIG. 1. FI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in embodiment.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도체 제조 장치(100)는, 메인 컨트롤러(81a)와 작동 컨트롤러(81b)와 모니터(83a)와 터치 패널(83b)과 버저(83g)를 갖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반도체 제조 장치(100)는, 작동 컨트롤러(81b)에 의해 제어되는 XY 테이블(86a)과 Z 구동부(86b)와 밀어올림 유닛(TU)을 더 구비한다. 반도체 제조 장치(100)는, Z 구동부(86b)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헤드(본딩 헤드 또는 픽업 헤드)(BH)와 헤드(BH)의 선단에 마련되는 콜릿(CLT)을 더 구비한다. 반도체 제조 장치(100)는, 밀어올림 유닛(TU)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87a)와 압력 및 유량을 검출하는 센서(87b)와 콜릿(CLT)의 가스 유량을 검지하는 센서(87c)를 더 구비한다. 밀어올림 유닛(TU)은 다이싱 테이프를 진공 흡착하는 기능과 다이싱 테이프에 에어를 뿜어올리는 기능을 구비한다.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100 in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control part which has the main controller 81a, the operation controller 81b, the monitor 83a, the touch panel 83b, and the buzzer 83g.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XY table 86a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ler 81b, the Z drive part 86b, and the push-up unit TU.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head (bonding head or pickup head) BH that moves up and down by the Z driving unit 86b and a collet CLT provided at the tip of the head BH.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ensor 87a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ush-up unit TU, a sensor 87b for detecting pressure and flow rate, and a sensor 87c for detecting the gas flow rate of the collet CLT. provide more The push-up unit TU has a function of vacuum adsorbing the dicing tape and a function of blowing air to the dicing tape.

다음으로, 복수단의 밀어올림 블록을 갖는 밀어올림 유닛(TU)에 대해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다이싱 테이프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밀어올림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이다.Next, a push-up unit TU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of the push-up bloc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ush-up unit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dicing tape.

밀어올림 유닛(TU)은 블록 BLK1 내지 BLK4를 갖는 블록부(BLK)와, 다이싱 테이프(DT)를 흡착하는 복수의 흡인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돔 플레이트(DP)를 갖는다. 4개의 블록 BLK1 내지 BLK4는 니들 NDL4 내지 NDL1에 의해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니들 NDL4 내지 NDL1은 후술하는 모터 M1 내지 M4에 의해 구동된다. 동심 사각형의 블록 BLK1 내지 BLK4의 평면 형상은 다이(D)의 형상에 맞게 구성된다.The push-up unit TU has a block portion BLK having blocks BLK1 to BLK4, and a dome plate DP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not shown) for sucking the dicing tape DT. The four blocks BLK1 to BLK4 can move up and down independently by the needles NDL4 to NDL1. The needles NDL4 to NDL1 are driven by motors M1 to M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lanar shape of the concentric square blocks BLK1 to BLK4 is configured to match the shape of the die D.

예를 들어, 밀어올림 유닛(TU)은, 블록 BLK1 내지 BLK4를 동시에 밀어올리고, 그 후 또한, 블록 BLK2 내지 BLK4를 동시에 밀어올리고, 그 후 또한, 블록 BLK3, BLK4를 동시에 밀어올리고, 그 후 또한, 블록 BLK4를 밀어올려 피라미드 형상으로 하거나, 블록 BLK1 내지 BLK4를 동시에 밀어올리고 나서 블록 BLK1, 블록 BLK2, 블록 BLK3의 순으로 내리거나 한다. 후자를 본 개시에서는 RMS(Reverse Multi Step)라고 한다.For example, the pushing unit TU simultaneously pushes up the blocks BLK1 to BLK4, and then also pushes up the blocks BLK2 to BLK4 at the same time, and then further pushes up the blocks BLK3 and BLK4 at the same time, and then further , Block BLK4 is pushed up to form a pyramid, or blocks BLK1 to BLK4 are pushed up simultaneously and then lowered in order of block BLK1, block BLK2, and block BLK3. The latter is referred to as RMS (Reverse Multi Step) in the present disclosure.

RMS의 동작에 대해 도 3,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RMS의 밀어올림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의 (a)는 제1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b)는 제2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c)는 제3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d)는 제4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시퀀스의 제1 타임차트 레시피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의 (a)는 도 3의 시퀀스의 블록 동작 타이밍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블록 동작 타이밍에 대응하는 타임차트 레시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The operation of the RM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RMS push-up sequence, Fig. 3 (a) is a view showing a first state, Fig. 3 (b) is a view showing a second state, Fig. 3 ( 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state, and FIG. 3(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urth state.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first time chart recipe of the sequence of Fig. 3, Fig. 4 (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block operation timing of the sequence of Fig. 3, Fig. 4 (b) FIG. 4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ime chart recipe corresponding to the block operation timing of FIG. 4A .

픽업 동작은 다이싱 테이프(DT) 상의 목적으로 하는 다이(D)가 밀어올림 유닛(TU)과 콜릿(CLT)에 위치 결정되는 부분부터 개시한다. 위치 결정이 완료되면 밀어올림 유닛(TU)의 도시하지 않은 흡인 구멍 및 간극을 두고 진공화함으로써, 다이싱 테이프(DT)가 밀어올림 유닛(TU)의 상면에 흡착된다. 이때, 블록 BLK1 내지 BLK4의 상면은 돔 플레이트(DP)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초기 위치)에 있다. 그 상태에서 진공 공급원으로부터 진공이 공급되어, 콜릿(CLT)이 다이(D)의 디바이스면을 향해 진공화하면서 강하하고, 착지한다.The pick-up operation starts from the part where the target die D on the dicing tape DT is positioned by the push-up unit TU and the collet CLT. When positioning is completed, the dicing tape DT is adsorb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ush-up unit TU by vacuuming with a suction hole and a gap (not shown) of the push-up unit TU.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s of the blocks BLK1 to BLK4 are at the same height (initial position) as the upper surface of the dome plate DP. In that state, a vacuum is supplied from the vacuum supply source, and the collet CLT descends and lands while evacuating toward the device surface of the die D.

그 후,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BLK1 내지 BLK4가 동시에 소정의 높이(h1)까지 일정 속도(s1)로 상승하여 제1 상태(State1)가 된다. 여기서,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BLK1 내지 BLK4가 h1에 도달하는 시간을 t1이라고 하면, t1=h1/s1이다. 그 후, 소정 시간(t2) 대기한다. 다이(D)는 콜릿(CLT)과 블록 BLK1 내지 BLK4 사이에 끼인 채 상승하지만, 다이싱 테이프(DT)의 주변부는 밀어올림 유닛(TU)의 주변인 돔 플레이트(DP)에 진공 흡착된 상태이므로, 다이(D)의 주변에서 장력이 발생하고, 그 결과, 다이(D) 주변에서 다이싱 테이프(DT)의 박리가 개시되게 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3A , the blocks BLK1 to BLK4 simultaneously rise to a predetermined height h1 at a constant speed s1 to become the first state State1. Here, if the time for which blocks BLK1 to BLK4 reach h1 is t1 as shown in Fig. 4A, t1 = h1/s1. After that, it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t2. The die D rises while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collet CLT and the blocks BLK1 to BLK4, but the periphery of the dicing tape DT is vacuum-adsorbed by the dome plate DP, which is the periphery of the push-up unit TU, Tension is generated in the periphery of the die D, and as a result, peeling of the dicing tape DT is started in the periphery of the die D.

계속해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BLK1이 돔 플레이트(DP)의 상면보다도 아래인 소정의 높이(-h2)로 일정 속도(s2)로 하강하여 제2 상태(State2)가 된다. 여기서,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BLK1이 소정의 높이(-h2)에 도달하는 시간을 t3이라고 하면, t3=(h1+h2)/s2이다. 블록 BLK1이 돔 플레이트(DP)의 상면보다도 내려감으로써, 다이싱 테이프(DT)의 지주가 없어져, 다이싱 테이프(DT)의 장력에 의해 다이싱 테이프(DT)의 박리가 진행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B , the block BLK1 descends at a constant speed s2 to a predetermined height (-h2)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dome plate DP, and enters the second state (State2). becomes Here, if the time for which the block BLK1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h2) is t3 as shown in Fig. 4A, t3 = (h1+h2)/s2. When the block BLK1 goes dow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ome plate DP, the support of the dicing tape DT disappears, and peeling of the dicing tape DT proceeds by the tension of the dicing tape DT.

계속해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BLK2가 돔 플레이트(DP)의 상면보다도 아래인 소정의 높이(-h2)로 일정 속도(s2)로 하강하여 제3 상태(State3)가 된다. 여기서,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BLK2가 소정의 높이(-h2)에 도달하는 시간을 t4라고 하면, t4=(h1+h2)/s2이다. 블록 BLK2가 돔 플레이트(DP)의 상면보다도 내려감으로써, 다이싱 테이프(DT)의 지주가 없어져, 다이싱 테이프(DT)의 장력에 의해 다이싱 테이프(DT)의 박리가 더욱 진행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c), the block BLK2 descends at a constant speed s2 to a predetermined height (-h2)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dome plate DP, and enters the third state (State3). becomes Here, if the time for which the block BLK2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h2) is t4 as shown in Fig. 4(a), t4 = (h1+h2)/s2. When the block BLK2 goes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dome plate DP, the support of the dicing tape DT disappears, and the peeling of the dicing tape DT further proceeds by the tension of the dicing tape DT.

계속해서,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BLK3이 돔 플레이트(DP)의 상면보다도 아래인 소정의 높이(-h2)로 일정 속도(s2)로 하강하여 제4 상태(State4)가 된다. 여기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BLK3이 소정의 높이(-h2)에 도달하는 시간을 t5라고 하면, t5=(h1+h2)/s2이다. 블록 BLK3이 돔 플레이트(DP)의 상면보다도 내려감으로써, 다이싱 테이프(DT)의 지주가 없어져, 다이싱 테이프(DT)의 장력에 의해 다이싱 테이프(DT)의 박리가 더욱 진행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d), the block BLK3 descends at a constant speed s2 to a predetermined height (-h2)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dome plate DP, and enters the fourth state (State4). becomes Here, if the time for which the block BLK3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h2) is t5 as shown in Fig. 4A, t5 = (h1+h2)/s2. When the block BLK3 descends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dome plate DP, the support of the dicing tape DT disappears, and peeling of the dicing tape DT further proceeds by the tension of the dicing tape DT.

그 후, 콜릿(CLT)을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또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t6) 후 블록 BLK1 내지 BLK3이 일정 속도(s3)로 상승하고, 블록 BLK4가 일정 속도(s4)로 하강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서, 블록 BLK1 내지 BLK3이 초기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t8이라고 하면, t8=h2/s3이고, 블록 BLK4가 초기 위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t9라고 하면, t9=h1/s4이다. 이에 의해, 다이(D)를 다이싱 테이프(DT)로부터 박리하는 작업이 완료된다.After that, the collet CLT is pulled upward. Further, as shown in Fig. 4(a), after a predetermined time t6 from the fourth state, blocks BLK1 to BLK3 rise at a constant speed s3, and block BLK4 descends at a constant speed s4 to their initial position. is returned to Here, if the time for the blocks BLK1 to BLK3 to reach the initial position is t8, t8 = h2/s3, and if the time for the blocks BLK4 to reach the initial position is t9, then t9 = h1/s4. Thereby, the operation|work which peels the die|dye D from the dicing tape DT is completed.

다음으로, RMS의 동작의 설정 방법 및 제어에 대해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Next, a setting method and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RM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어올림 유닛(TU)의 각 블록 BLK1, BLK2, BLK3, BLK4의 동작을, 블록마다 및 스텝마다 스텝의 시간, 블록의 상승 또는 하강의 속도, 블록의 높이(위치)가 설정되는 타임차트 레시피에 기초하여 메인 컨트롤러(81a) 및 작동 컨트롤러(81b)는 각 블록 BLK1, BLK2, BLK3, BLK4를 니들 NDL4, NDL3, NDL2, NDL1을 통해 각각 구동하는 모터 M1 내지 M4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b), the operation of each block BLK1, BLK2, BLK3, BLK4 of the push-up unit TU, for each block and for each step, the time of the step, the speed of rising or falling of the block, the block Based on the time chart recipe in which the height (position) is set, the main controller 81a and the operation controller 81b respectively drive the blocks BLK1, BLK2, BLK3, BLK4 through the needles NDL4, NDL3, NDL2, and NDL1. Motor M1 to M4.

설정 항목이 다른 복수의 타임차트 레시피를 준비해 두고, 유저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의해 복수의 타임차트 레시피로부터 하나의 타임차트 레시피를 선택하고, 선택한 타임차트 레시피의 항목에 설정값을 입력한다. 또는, 유저는, 미리 설정값이 입력된 타임차트 레시피를 외부 기기로부터 다이 본더 등의 반도체 제조 장치에 데이터 통신하거나, 또는 외부 기억 장치(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 플렉시블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 CD나 DVD 등의 광 디스크, MO 등의 광자기 디스크, USB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반도체 제조 장치에 인스톨한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81a)는 센서(87a, 87b, 87c)에 의해 검지한 상태 또는 후술하는 토크양으로부터 구하는 웨이퍼 박리력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타임차트 레시피를 재기록하여 작동 컨트롤러(81b)에 지시하여 밀어올림 동작의 변경이 가능하다.A plurality of time chart recipes with different setting items are prepared, and the user selects one time chart recipe from the plurality of time chart recipes by means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inputs a set value to the selected time chart recipe item. do. Alternatively, the user transmits the time chart recipe to which preset values are inputt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such as a die bonder, or an external storage device (eg, magnetic tape, magnetic tape, flexible disk, or hard disk, etc.). disk, an optical disk such as a CD or DVD, a magneto-optical disk such as an MO, and a semiconductor memory such as a USB memory or a memory card) 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81a rewrites the time chart recipe in real time based on the state detected by the sensors 87a, 87b, and 87c or the wafer peel force obtained from the torque amount to be described later, and instructs the operation controller 81b to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ush-up action.

다음으로, 웨이퍼의 박리력의 측정에 대해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밀어올림 유닛의 모터와 작동 컨트롤러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Next, measurement of the peeling force of a wafer is demonstrated using FIG.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otor and operation controller of the push-up unit.

밀어올림 유닛(TU)의 모터 M1 내지 M4에는, 예를 들어 AC 서보 모터 또는 α 스텝의 펄스 모터(통상 시에는 오픈 루프 제어를 행하고, 과부하 시에는 클로즈드 루프 제어를 행하는 하이브리드 제어의 스테핑 모터)를 사용한다. 모터 M1 내지 M4는, 각각 회전 각속도를 검출하는 인코더(회전 검출기)(Ma) 및 모터 전류를 얻는 전류 센서(Mb)를 구비한다.Motors M1 to M4 of the push-up unit TU include, for example, an AC servo motor or an α-step pulse motor (a stepping motor of hybrid control that normally performs open-loop control and performs closed-loop control during overload). use. The motors M1 to M4 each include an encoder (rotation detector) Ma for detecting the rotation angular velocity and a current sensor Mb for obtaining the motor current.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컨트롤러(81b)는, 밀어올림 유닛(TU)을 다이싱 테이프(DT)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무부하 상태)에서, 밀어올림 동작 시의 시퀀스에 따라서 밀어올림 유닛(TU)의 블록 BLK1 내지 BLK4를 모터 M1 내지 M4에 의해 작동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2 , the operation controller 81b pushes the push-up unit TU away from the dicing tape DT (no-load state) according to the sequence at the time of the push-up operation. Blocks BLK1 to BLK4 of the unit TU are operated by motors M1 to M4.

그리고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 모터 M1 내지 M4에 마련된 인코더(Ma)에 의해 검출되는 모터 M1 내지 M4의 회전 각도마다, 전류 센서(Mb)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모터 M1 내지 M4가 받는 부하에 기초하는 모터 전류)로부터, 작동 컨트롤러(81b)에 의해 무부하 토크값을 측정한다.And in the no-load state, for each rotation angle of the motors M1 to M4 detected by the encoder Ma provided in the motors M1 to M4,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sensor Mb (based on the load received by the motors M1 to M4 motor current), the no-load torque value is measured by the operation controller 81b.

다음으로, 작동 컨트롤러(81b)는, 밀어올림 유닛(TU)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이싱 테이프(DT)에 맞닿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유부하 상태)로 한다. 작동 컨트롤러(81b)는, 밀어올림 동작 시의 시퀀스에 따라서 모터 M1 내지 M4에 의해 밀어올림 유닛(TU)의 블록 BLK1 내지 BLK4를 작동시킨다.Next, the operation controller 81b moves the push-up unit TU in the upward direction, contacts the dicing tape DT, and sets it as a state (loaded-load state)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controller 81b operates the blocks BLK1 to BLK4 of the push-up unit TU by the motors M1 to M4 according to the sequence at the time of the push-up operation.

그리고 유부하 상태에 있어서, 모터 M1 내지 M4에 마련된 인코더(Ma)에 의해 검출되는 모터 M1 내지 M4의 회전 각도마다, 전류 센서(Mb)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모터 M1 내지 M4가 받는 부하에 기초하는 모터 전류)로부터, 작동 컨트롤러(81b)에 의해 유부하 토크값을 측정한다.And in the load state, for each rotation angle of the motors M1 to M4 detected by the encoder Ma provided in the motors M1 to M4,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sensor Mb (based on the load received by the motors M1 to M4) from the motor current), the load torque value is measured by the operation controller 81b.

다음으로, 작동 컨트롤러(81b)는, 밀어올림 동작 시의 시퀀스에 있어서의 모터 M1 내지 M4의 각도마다의 유부하 토크값과 무부하 토크값에 있어서, 유부하 토크값으로부터 무부하 토크값을 차감함으로써, 밀어올림 동작 시퀀스에 있어서의 토크값을 산출한다.Next, the operation controller 81b subtracts the no-load torque value from the loaded torque value in the loaded torque value and no-load torque value for each angle of the motors M1 to M4 in the sequence at the time of the push-up operation, The torque value in the push-up operation sequence is calculated.

이와 같이, 밀어올림 동작 시퀀스에 있어서의 토크값을 산출할 때, 실측값인 무부하 토크값을 사용함으로써, 유부하 토크값 및 무부하 토크값에 포함되어 있는 밀어올림 유닛(TU)에 포함되는 블록 BLK1 내지 BLK4를 밀어내리는 스프링 등의 밀어올림 치공구 반력, 모터 M1 내지 M4의 권선 구조로부터의 영향 및 밀어올림 유닛(TU) 내의 기구 마찰력에 의한 오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밀어올림 동작 시퀀스에 있어서의 토크값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 토크값은 웨이퍼(다이싱 테이프(DT))에 걸리는 하중이며, 웨이퍼 박리 시의 박리 하중(박리력)을 측정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calculating the torque value in the push-up operation sequence, the block BLK1 included in the push-up unit TU included in the loaded torque value and the no-load torque value by using the no-load torque value that is an actual measured valu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errors due to the reaction force of the push-up tool such as a spring pushing down the BLK4, the influence from the winding structure of the motors M1 to M4, and the mechanism friction force in the push-up unit TU. Thereby, the torque value in a push-up operation sequence can be calculated correctly. This torque value is the load applied to the wafer (dicing tape DT), and the peeling load (peel force) at the time of wafer peeling can be measured.

다음으로, 측정한 박리력 등의 데이터를 축적하여 밀어올림 조건을 기계 학습으로 구하여 자동 설정을 행하는 예를 도 6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박리력 및 박리 상태의 오프라인 기계 학습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밀어올림 유닛의 블록과 다이싱 테이프에 첩부된 다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의 (b)는 다이의 이면의 촬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의 (c)는 박리 하중의 시간 추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의 (d)는 다이싱 테이프를 통해 다이의 이면을 촬상한 화상이고, 도 6의 (e)는 박리 하중 및 박리 상태의 데이터의 축적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d)에 있어서, 다이(D) 내의 백색 부분은 다이싱 테이프(DT)로부터 박리된 박리부(PL)이고, 해칭 부분은 다이싱 테이프(DT)로부터 박리되지 않은 비박리부(NPL)이다. 도 7은 기계 학습에 의한 박리 상태를 구하는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Next, an example of accumulating the measured peel force and the like, obtaining the push-up condition by machine learning, and performing automatic sett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offline machine learning of peel force and peel state. Fig. 6 (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lock of the push-up unit and a die affixed to a dicing tape, and Fig. 6 (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ing of the back surface of the die, Fig. 6(c) is a view showing the time transition of the peeling load, Fig. 6(d) is an image obtained by capturing the back surface of the die through the dicing tape, and Fig. 6(e) is the peeling load and peelin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accumulation|storage of data of a state typically. In Fig. 6(d), the white portion in the die D is the peeling portion PL peeled from the dicing tape DT, and the hatched portion is the non-peelable portion not peeled from the dicing tape DT ( NPL).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concept of calculating|requiring the peeling state by machine learning.

오프라인에서, 도 6의 (a)에 도시한 밀어올림 유닛의 블록부(BLK)에 의해 다이싱 테이프(DT)에 첩부된 다이(D)를 밀어올린다. 그때, 도 3의 (a) 내지 (d)에 도시한 제1 상태 내지 제4 상태의 각각에 있어서,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토크값에 의한 다이(D)의 박리력과,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촬상 장치에 의해 다이싱 테이프(16)의 하방으로부터 다이(D)를 촬상하여,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이(D)의 박리 상태를 측정한다. 도 6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된 다이(D)의 박리력 및 다이(D)의 박리 상태를, 측정 시의 밀어올림 조건(밀어올림 높이, 밀어올림 속도, 픽업 타이머 등), 다이 사이즈, 다이 두께 등의 파라미터와 함께, 데이터 세트로서 데이터베이스(DB)에 축적한다. 이들의 동작 조건과 대응하는 다이의 박리력과 다이의 박리 상태를 기계 학습에 의해 모델화하여 기계 학습 모델을 생성한다.Off-line, the die D affixed to the dicing tape DT is pushed up by the block part BLK of the pushing unit shown to Fig.6 (a). At that time,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states shown in FIGS. 3A to 3D, the peel force of the die D by the torque value as shown in FIG. 6A and , the die D is imaged from below the dicing tape 16 by an imaging device as shown in Fig. 6(b), and the die D as shown in Fig. 6(d) is peeled off measure the state. As shown in Fig. 6(e), the measured peeling force of the die D and the peeling state of the die D are measured under the pushing-up conditions (push-up height, push-up speed, pick-up timer, etc.) , along with parameters such as die size and die thickness, are accumulated in the database DB as a data set. A machine learning model is generated by modeling the peel force of the die and the peeling state of the die corresponding to these operating conditions by machine learning.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 학습 모델에, 다이의 박리력과, 밀어올림 조건(밀어올림 높이, 밀어올림 속도, 픽업 타이머 등), 다이 사이즈, 다이 두께 등의 동작 조건 파라미터를 부여함으로써 다이의 박리 상태를 구할 수 있도록 한다.Next, as shown in FIG. 7, operating condition parameters such as peel force of the die, push-up conditions (push-up height, push-up speed, pick-up timer, etc.), die size, and die thickness are applied to the machine learning model as shown in FIG. By giving,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peeling state of the die.

최적 파라미터 계산 방법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박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의 (a)는 충분히 박리가 되어 있지 않은 박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의 (b)는 충분히 박리가 되어 있는 박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블록 내의 백색 부분은 다이가 다이싱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부분이고, 해칭 부분은 다이가 다이싱 테이프로부터 박리되지 않은 부분이다. 도 9는 기계 학습 모델에 의해 구한 박리 상태로부터 밀어올림 조건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An optimal parameter calcul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eeling state, Fig. 8 (a) is a diagram showing a peeling state that has not been sufficiently peeled, and Fig. 8 (b) is a diagram showing a peeling state having sufficiently peeled. to be. In Fig. 8, the white portion in the block is the portion where the die is peeled off from the dicing tape, and the hatched portion is the portion where the die is not peeled off from the dicing tape.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method of calculating a push-up condition from the peeling state calculated|required by the machine learning model.

다이의 박리력으로부터 구한 다이 박리 상태에서 박리부(PL)가 밀어올림 블록 외형 정도까지 확대되어 있으면, 충분히 박리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도 8에 있어서의 밀어올림 블록 외형이란, 블록 BLK2의 외측의 끝을 말한다. 도 8의 (a)에서는, 다이의 박리는 블록 BLK2의 외측의 끝까지 거의 도달해 있지 않아 충분히 박리되어 있지 않지만, 도 8의 (b)에서는, 다이의 박리는 블록 BLK2의 외측의 끝까지 모두 도달하여 충분히 박리되어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박리 상태라면, 다음 단 블록의 밀어올림 동작으로 이행해도 다이에 대한 스트레스는 최소한으로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In the die peeling state calculated|required from the peeling force of a die|dye, if the peeling part PL is expanded to the extent of the external shape of a push-up block, it is judged that it peels enough. Here, the push-up block external shape in FIG. 8 means the outer edge of block BLK2. In Fig. 8(a), the peeling of the die hardly reaches the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block BLK2 and thus is not sufficiently peeled, but in Fig. 8(b), the peeling of the die reaches all of the outer end of the block BLK2, sufficiently peeled off. In the peeling state as shown in Fig. 8(b), it is considered that the stress on the die will be minimized even if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next stage block is shifted.

각 블록에 있어서 각 스텝에서의 박리량이 충분히 박리되어 있는 (상술한 블록 외형 정도까지 박리) 가능한 밀어올림 조건(밀어올림 높이, 밀어올림 속도, 픽업 타이머 등)의 조합으로부터 픽업에 걸리는 총 시간이 최단이 되는 조합을 구하여, 다이의 박리력으로부터 그 품종에 대해 최적의 밀어올림 조건을 구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어올림 높이, 밀어올림 속도의 조합에 있어서의 박리 결과를 구한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STEP1에 있어서는, 높이가 「300」, 속도가 「1」인 조합을 픽업 조건으로 한다. 도 9의 (b)에 나타내는 STEP2에 있어서는, 높이가 「300」, 속도가 「3」인 조합을 밀어올림 조건으로 한다. 도 9의 (c)에 나타내는 STEP3에 있어서는, 높이가 「200」, 속도가 「3」인 조합을 밀어올림 조건으로 한다. 도 9의 (d)에 나타내는 STEP4에 있어서는, 높이가 「100」, 속도가 「5」인 조합을 밀어올림 조건으로 한다. 여기서, 도 9에 나타내는 박리 결과 「×」는 충분히 박리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는 충분히 박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In each block, the total time taken for pickup is the shortest from the combination of possible push-up conditions (elevation height, push-up speed, pick-up timer, etc.) in which the amount of peeling at each step is sufficiently peeled (to the extent of the block outline described above). This combination is obtained, and the optimum pushing condition for the variety is obtained from the peel force of the di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peeling result in the combination of a push-up height and a push-up speed is calculated|required. In STEP1 shown to Fig.9 (a), let the combination of height "300" and speed "1" be a pickup condition. In STEP2 shown in FIG.9(b), let the combination of height "300" and speed "3" be a push-up condition. In STEP3 shown in FIG.9(c), let the combination of height "200" and speed "3" be a push-up condition. In STEP4 shown in FIG.9(d), let the combination of height "100" and speed "5" be a push-up condition. Here, in the peeling result shown in FIG. 9, "x" has shown that it has not peeled enough, and "circle" has shown that it has peeled enough.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밀어올림 조건의 파라미터의 하한으로부터 상한 내에서 생각할 수 있는 조합에서의 박리 상태를 모두 구하여, 가장 픽업 시간이 짧아지는 조합을, 라운드 로빈으로 검토하는 방식이나 유전적 알고리즘 등의 진화적 알고리즘으로 산출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경험에 의한 시행 착오에 의해 밀어올림 조건과 같은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레시피에 대한 설정의 자동화도 가능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 all the peeling states in combinations conceivable within the upper limit from the lower limit of the parameters of the push-up conditions are obtained, and the combination with the shortest pickup time is considered as round robin. It is calculated by an evolutionary algorithm such as a genetic algorithm. Thereby,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alculate parameters, such as a push-up condition, by trial and error based on the operator's experience, and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e the setting for a recipe.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의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embodiment, one or more effects shown below are acquired.

(a) 제어부는 모터마다 지정한 동작에 필요한 전류값으로부터 밀어올림 시의 하중 토크를 산출한다. 즉, 사용하는 모터 자체에서 토크를 측정하여 블록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므로, 로드셀 등의 센서가 불필요해져, 밀어올림 유닛 내의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다.(a)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load torque at the time of pushing up from the current value required for the operation specified for each motor. That is, since the torque applied to the block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torque in the motor itself, a sensor such as a load cell is not required, and the mechanism in the push-up unit can be simplified.

(b) 모터 M1 내지 M4마다 토크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블록 BLK1 내지 BLK4마다 가해지는 하중을 독립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 Since the torque can be measured for each motor M1 to M4, it becomes possible to independently measure the load applied to each block BLK1 to BLK4.

(c) 블록마다 하중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블록 밀어올림 시의 박리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c) Since the load can be measured for each block, it becomes possible to measure the peeling force at the time of pushing up each block.

(d) 박리력 측정을 다이의 박리마다 실시하고, 미리 측정하여 기억하고 있는 다이의 박리와 비교함으로써, 픽업 동작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제어부는, 밀어올림 유닛의 돔 또는 콜릿의 교환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거나, 밀어올림 유닛의 돔 또는 콜릿의 자동 교환 등의 자기 보전 기능을 갖는 경우는 자기 보전을 행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d) It becomes possible to detect abnormality of a pick-up operation|movement by performing peeling force measurement for every peeling of a die|dye, and comparing it with peeling of the die|dye which measured and memorize|stored beforehand. Thereby, a control part notifies an operator of replacement|exchange of the dome or collet of a push-up unit, and when it has a self-preservation function, such as automatic exchange of the dome or collet of a push-up unit,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self-preservation.

(e) 박리력 측정을 다이의 박리마다 실시하고, 측정된 박리력에 기초하여 타임차트 레시피를 설정함으로써, 모터 제어에 피드백하여 항상 동일한 박리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e) By measuring the peeling force for each peeling of the die and setting a time chart recipe based on the measured peeling force, it becomes possible to feed back to the motor control to always perform the same peeling operation.

(f) 박리력 측정을 픽업하는 웨이퍼마다 실시함으로써, 전공정의 이상(다이싱 불량, 테이프의 열화 등)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 By carrying out peel force measurement for each wafer to be picked up, it becomes possible to detect abnormality (dicing defect, tape deterioration, etc.) of a previous process.

(g) 박리력을 측정하고, 데이터를 축적하여 밀어올림 조건을 기계 학습으로 구하여 타임차트 레시피에 자동 설정을 행함으로써, 밀어올림 조건의 자동 티칭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g) By measuring the peel force, accumulating data, obtaining the push-up conditions by machine learning, and automatically setting the time chart recipe, it becomes possible to automatically teach the push-up conditions.

실시예Example

도 10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이 본더의 개략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픽업 헤드 및 본딩 헤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outline of the die bonder in an Example.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movement of a pickup head and a bonding head, when it sees from the arrow A direction in FIG.

다이 본더(10)는 크게 구별하여, 기판(S)에 실장하는 다이(D)를 공급하는 다이 공급부(1)와, 픽업부(2), 중간 스테이지부(3)와, 본딩부(4)와, 반송부(5), 기판 공급부(6)와, 기판 반출부(7)와, 각 부의 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8)를 갖는다. Y축 방향이 다이 본더(10)의 전후 방향이고, X축 방향이 좌우 방향이다. 다이 공급부(1)가 다이 본더(10)의 앞쪽에 배치되고, 본딩부(4)가 안쪽에 배치된다. 여기서, 기판(S)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최종 1패키지가 되는 제품 에어리어(이하, 패키지 에어리어(P)라고 함.)가 프린트되어 있다.The die bonder 10 is largely divided into a die supply unit 1 for supplying a die D mounted on a substrate S, a pickup unit 2 , an intermediate stage unit 3 , and a bonding unit 4 . and a transfer unit 5 , a substrate supply unit 6 , a substrate discharging unit 7 , and a control unit 8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The Y-axis direction is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die bonder 10, and the X-axis direction is the left-right direction. The die supply section 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ie bonder 10 , and the bonding section 4 is disposed inside. Here, a product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ckage area P) that becomes one or a plurality of final packages is printed on the substrate S.

먼저, 다이 공급부(1)는 기판(S)의 패키지 에어리어(P)에 실장하는 다이(D)를 공급한다. 다이 공급부(1)는, 웨이퍼(11)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12)와, 웨이퍼(11)로부터 다이(D)를 밀어올리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밀어올림 유닛(13)을 갖는다. 다이 공급부(1)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XY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픽업할 다이(D)를 밀어올림 유닛(13)의 위치로 이동시킨다.First, the die supply unit 1 supplies the die D to be mounted in the package area P of the substrate S. The die supply unit 1 includes a wafer holder 12 for holding the wafer 11 , and a pushing-up unit 13 indicated by a dotted line for pushing up the die D from the wafer 11 . The die supply unit 1 is moved in the XY-axis direction by driving means (not shown), and the die D to be picked up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push-up unit 13 .

픽업부(2)는, 다이(D)를 픽업하는 픽업 헤드(21)와, 픽업 헤드(2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픽업 헤드의 Y 구동부(23)와, 콜릿(22)을 승강, 회전 및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각 구동부를 갖는다. 픽업 헤드(21)는, 밀어올려진 다이(D)를 선단에 흡착 보유 지지하는 콜릿(22)(도 11도 참조)을 갖고, 다이 공급부(1)로부터 다이(D)를 픽업하여, 중간 스테이지(31)에 적재한다. 픽업 헤드(21)는, 콜릿(22)을 승강, 회전 및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각 구동부를 갖는다.The pickup part 2 includes a pickup head 21 that picks up the die D, a Y drive part 23 of the pickup head that moves the pickup head 21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collet 22 is raised and lowered, It has each drive part (not shown) which rotates and moves in an X-axis direction. The pick-up head 21 has a collet 22 (refer also to FIG. 11) which adsorb|sucks and holds the pushed-up die D at the front end, picks up the die D from the die supply part 1, and an intermediate stage (31) is loaded. The pick-up head 21 has each drive part (not shown) which moves the collet 22 in raising/lowering, rotation, and an X-axis direction.

중간 스테이지부(3)는, 다이(D)를 일시적으로 적재하는 중간 스테이지(31)와, 중간 스테이지(31) 상의 다이(D)를 인식하기 위한 스테이지 인식 카메라(32)를 갖는다.The intermediate stage unit 3 has an intermediate stage 31 on which the die D is temporarily mounted, and a stage recognition camera 32 for recognizing the die D on the intermediate stage 31 .

본딩부(4)는, 중간 스테이지(31)로부터 다이(D)를 픽업하여, 반송되어 오는 기판(S)의 패키지 에어리어(P) 상에 본딩하거나, 또는 이미 기판(S)의 패키지 에어리어(P) 상에 본딩된 다이 상에 적층하는 형태로 본딩한다. 본딩부(4)는, 픽업 헤드(21)와 마찬가지로 다이(D)를 선단에 흡착 보유 지지하는 콜릿(42)(도 11도 참조)을 구비하는 본딩 헤드(41)와, 본딩 헤드(4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 구동부(43)와, 기판(S)의 패키지 에어리어(P)의 위치 인식 마크(도시하지 않음)를 촬상하여, 본딩 위치를 인식하는 기판 인식 카메라(44)를 갖는다.The bonding part 4 picks up the die D from the intermediate stage 31 and bonds it on the package area P of the board|substrate S being conveyed, or the package area P of the board|substrate S already. ) in the form of stacking on the bonded die. The bonding unit 4 includes a bonding head 41 provided with a collet 42 (refer also to FIG. 11 ) for adsorbing and holding the die D at the tip, similarly to the pickup head 21, and the bonding head 41. has a Y drive unit 43 for mov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substrate recognition camera 44 for recognizing a bonding position by imaging a position recognition mark (not shown) in the package area P of the substrate S. .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딩 헤드(41)는, 스테이지 인식 카메라(32)의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픽업 위치·자세를 보정하고, 중간 스테이지(31)로부터 다이(D)를 픽업하여, 기판 인식 카메라(44)의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판에 다이(D)를 본딩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bonding head 41 corrects the pickup position and posture based on the imaging data of the stage recognition camera 32, picks up the die D from the intermediate stage 31, and the substrate recognition camera ( 44), the die D is bonded to the substrate based on the imaging data.

반송부(5)는, 기판(S)을 파지하여 반송하는 기판 반송 갈고리(51)와, 기판(S)이 이동하는 반송 레인(52)을 갖는다. 기판(S)은, 반송 레인(52)에 마련된 기판 반송 갈고리(51)의 도시하지 않은 너트를 반송 레인(52)을 따라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볼 나사로 구동함으로써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판(S)은 기판 공급부(6)로부터 반송 레인(52)을 따라 본딩 위치까지 이동하고, 본딩 후, 기판 반출부(7)까지 이동하여, 기판 반출부(7)에 기판(S)을 전달한다.The conveyance part 5 has the board|substrate conveyance claw 51 which hold|grips and conveys the board|substrate S, and the conveyance lane 52 to which the board|substrate S moves. The board|substrate S moves by driving the nut (not shown) of the board|substrate conveyance claw 51 provided in the conveyance lane 52 with the ball screw (not shown) provided along the conveyance lane 52. As shown in FIG.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ubstrate S moves from the substrate supply unit 6 along the conveyance lane 52 to the bonding position, and after bonding, moves to the substrate discharging unit 7 , and the substrate S is transferred to the substrate discharging unit 7 . (S) is transmitted.

다음으로, 다이 공급부(1)의 구성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0의 다이 공급부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다이 공급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Next, the structure of the die supply part 1 is demonstrated using FIG. 12 and FIG. 13. FIG. 12 is a view showing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die supply unit of FIG. 10 . Fig.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die supply section of Fig. 10;

다이 공급부(1)는, 수평 방향(XY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웨이퍼 보유 지지대(12)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밀어올림 유닛(13)을 구비한다. 웨이퍼 보유 지지대(12)는, 웨이퍼 링(14)을 보유 지지하는 익스팬드 링(15)과, 웨이퍼 링(14)에 보유 지지되고 복수의 다이(D)가 접착된 다이싱 테이프(16)를 수평하게 위치 결정하는 지지 링(17)을 갖는다. 밀어올림 유닛(13)은 지지 링(17)의 내측에 배치된다.The die supply unit 1 includes a wafer holder 12 tha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Y axis direction), and a push-up unit 13 tha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afer holder 12 includes an expand ring 15 for holding the wafer ring 14 and a dicing tape 16 held by the wafer ring 14 and to which a plurality of dies D are adhered. It has a support ring 17 for horizontal positioning. The push-up unit 13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ring 17 .

다이 공급부(1)는, 다이(D)의 밀어올림 시에, 웨이퍼 링(14)을 보유 지지하고 있는 익스팬드 링(15)을 하강시킨다. 그 결과, 웨이퍼 링(14)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다이싱 테이프(16)가 신장되어 다이(D)의 간격이 확대되고, 밀어올림 유닛(13)에 의해 다이(D)의 하방으로부터 다이(D)를 밀어올려, 다이(D)의 픽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다이를 기판에 접착하는 접착제는, 액상으로부터 필름상이 되고, 웨이퍼(11)와 다이싱 테이프(16) 사이에 다이 어태치 필름(DAF)(18)이라고 불리는 필름상의 접착 재료를 첩부하고 있다. 다이 어태치 필름(18)을 갖는 웨이퍼(11)에서는, 다이싱은, 웨이퍼(11)와 다이 어태치 필름(18)에 대해 행해진다. 따라서, 박리 공정에서는, 웨이퍼(11)와 다이 어태치 필름(18)을 다이싱 테이프(16)로부터 박리한다. 또한 이후에서는, 다이 어태치 필름(18)의 존재를 무시하고, 박리 공정을 설명한다.The die supply unit 1 lowers the expand ring 15 holding the wafer ring 14 when the die D is pushed up. As a result, the dicing tape 16 held by the wafer ring 14 is stretched, the distance between the dies D is enlarged, and the dies D are moved from below the dies D by the push-up unit 13 . ) is pushed up, and the pick-up property of the die (D) is improved. In addition, the adhesive for adhering the die to the substrate changes from liquid to film, and a film-form adhesive material called a die attach film (DAF) 18 is affixed between the wafer 11 and the dicing tape 16 . . In the wafer 11 having the die attach film 18 , dicing is performed on the wafer 11 and the die attach film 18 . Therefore, in the peeling process, the wafer 11 and the die attach film 18 are peeled from the dicing tape 16 . In addition, below, the presence of the die attach film 18 is ignored, and a peeling process is demonstrated.

다음으로, 밀어올림 유닛(13)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예에 관한 밀어올림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1 유닛의 일부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제2 유닛의 일부의 상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제3 유닛의 일부의 상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밀어올림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의 밀어올림 유닛의 종단면도이다.Next, the push-up unit 13 is demonstrated using FIGS. 14-19. Fig. 1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sh-up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5 is a top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unit of FIG. 14 ; FIG. 16 is a top view of a portion of the second unit of FIG. 14 ; FIG. 17 is a top view of a portion of a third unit of FIG. 14 ; Fig. 1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ush-up unit of Fig. 14; Fig. 1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ush-up unit of Fig. 14;

밀어올림 유닛(13)은, 제1 유닛(13a)과, 제1 유닛(13a)이 장착되는 제2 유닛(13b)과, 제2 유닛(13b)이 장착되는 제3 유닛(13c)을 구비한다. 제2 유닛(13b) 및 제3 유닛(13c)은 품종에 관계없이 공통인 부분이고, 제1 유닛(13a)은 품종마다 교체 가능한 부분이다.The push-up unit 13 includes a first unit 13a, a second unit 13b to which the first unit 13a is mounted, and a third unit 13c to which the second unit 13b is mounted. do. The second unit 13b and the third unit 13c are common parts irrespective of the kind, and the first unit 13a is a replaceable part for each kind.

제1 유닛(13a)은 블록 A1 내지 A4를 갖는 블록부(13a1)와, 복수의 흡착 구멍을 갖는 돔 플레이트(13a2)와, 흡인 구멍(13a3)과, 돔 흡착의 흡인 구멍(13a4)을 갖고, 제2 유닛(13b)의 동심 원형의 블록 B1 내지 B4의 상하 운동을 동심 사각형의 4개의 블록 A1 내지 A4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블록 A1 내지 A4는 실시 형태의 블록 BLK1 내지 BLK4에 대응한다. 4개의 블록 A1 내지 A4는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동심 사각형의 블록 A1 내지 A4의 평면 형상은 다이(D)의 형상에 맞게 구성된다. 다이 사이즈가 큰 경우는, 동심 사각형의 블록의 수는 4개보다도 많이 구성된다. 이것은, 제3 유닛의 복수의 출력부 및 제2 유닛의 동심 원형의 블록이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함(상하 이동하지 않음)으로써 가능하게 되어 있다. 4개의 블록 A1 내지 A4의 밀어올림 속도, 밀어올림양을 프로그래머블하게 설정 가능하다.The first unit 13a has a block portion 13a1 having blocks A1 to A4, a dome plate 13a2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 suction hole 13a3, and a dome suction suction hole 13a4, , converts the vertical motion of the concentric circular blocks B1 to B4 of the second unit 13b into the vertical motion of the four concentric square blocks A1 to A4. Here, blocks A1 to A4 correspond to blocks BLK1 to BLK4 of the embodiment. The four blocks A1 to A4 can move up and down independently. The planar shape of the concentric square blocks A1 to A4 is configured to match the shape of the die D. When the die size is large, the number of concentric square blocks is greater than four. This is made possible by the plurality of output units of the third unit and the concentric circular blocks of the second unit moving up and down (not moving up and dow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push-up speed and push-up amount of the four blocks A1 to A4 can be programmably set.

제2 유닛(13b)은, 원관상의 블록 B1 내지 B6과 외주부(13b2)를 갖고, 제1 유닛(13a)의 원주 상에 배치되는 출력부 C1 내지 C6의 상하 운동을 동심 원형의 6개의 블록 B1 내지 B6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한다. 6개의 블록 B1 내지 B6은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유닛(13a)은 4개의 블록 A1 내지 A4밖에 갖지 않으므로, 블록 B5, B6은 사용되지 않는다.The second unit 13b has cylindrical blocks B1 to B6 and an outer periphery 13b2, and six blocks of concentric circles for vertical motion of the output units C1 to C6 dispos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unit 13a. Converts to vertical movement of B1 to B6. Six blocks B1 to B6 can independently move up and down. Here, since the first unit 13a has only four blocks A1 to A4, blocks B5 and B6 are not used.

제3 유닛(13c)은 중앙부(13c0)와 6개의 주변부(13c1 내지 13c6)를 구비한다. 중앙부(13c0)는 상면의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6개의 출력부 C1 내지 C6을 갖는다. 주변부(13c1 내지 13c6)는 각각 출력부 C1 내지 C6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다. 주변부(13c1 내지 13c6)는 각각 모터 M1 내지 M6을 구비하고, 중앙부(13c0)에는 모터의 회전을 캠 또는 링크에 의해 상하 이동으로 변환하는 플런저 기구 P1 내지 P6을 구비한다. 플런저 기구 P1 내지 P6은 출력부 C1 내지 C6에 상하 이동을 부여한다. 또한, 모터 M2, M5 및 플런저 기구 P2, P5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제1 유닛(13a)은 4개의 블록 A1 내지 A4밖에 갖지 않으므로, 주변부(13c5, 13c6)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터 M5, M6, 플런저 기구 P5, P6, 출력부 C5, C6은 사용되지 않는다. 플런저 기구 P1 내지 P4는 실시 형태의 니들 NDL4 내지 NDL1에 대응한다.The third unit 13c has a central portion 13c0 and six peripheral portions 13c1 to 13c6. The central part 13c0 has six output parts C1 to C6 which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and move up and down independently. The peripheral parts 13c1 to 13c6 can drive the output parts C1 to C6 independently of each other, respectively. The peripheral portions 13c1 to 13c6 are provided with motors M1 to M6,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portion 13c0 is provided with a plunger mechanism P1 to P6 for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into a vertical movement by a cam or a link. The plunger mechanisms P1 to P6 impart vertical movement to the output sections C1 to C6. Also, the motors M2 and M5 and the plunger mechanisms P2 and P5 are not shown. Here, since the first unit 13a has only four blocks A1 to A4, the peripheral portions 13c5 and 13c6 are not used. Accordingly, the motors M5 and M6, the plunger mechanisms P5 and P6, and the outputs C5 and C6 are not used. The plunger mechanisms P1 to P4 correspond to the needles NDL4 to NDL1 of the embodiment.

다음으로, 밀어올림 유닛과 콜릿의 관계에 대해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실시예에 관한 밀어올림 유닛과 픽업 헤드 중 콜릿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a push-up unit and a collet is demonstrated using FIG. Fig. 20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let part of the push-up unit and the pickup he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릿부(20)는, 콜릿(22)과, 콜릿(22)을 보유 지지하는 콜릿 홀더(25)와, 각각에 마련되고 다이(D)를 흡착하기 위한 흡인 구멍(22v, 25v)을 갖는다. 콜릿(22)의 다이를 흡착하는 흡착면은 다이(D)와 대략 동일한 크기이다.As shown in Fig. 20, the collet part 20 includes a collet 22, a collet holder 25 for holding the collet 22, and a suction hole ( 22v, 25v). The adsorption surface for adsorbing the die of the collet 22 is approximately the same size as the die D.

제1 유닛(13a)은 상면 주변부에 돔 플레이트(13a2)를 갖는다. 돔 플레이트(13a2)는 복수의 흡착 구멍(HL)과 공동부(CV)를 갖고, 흡인 구멍(13a3)으로부터 흡인하여, 콜릿(22)으로 픽업되는 다이(D)의 주변의 다이(Dd)를 다이싱 테이프(16)를 통해 흡인한다. 도 16에서는 블록부(13a1)의 주위에 흡착 구멍(HL)을 1열만 나타내고 있지만, 픽업 대상이 아닌 다이(Dd)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하기 위해 복수 열 마련하고 있다. 동심 사각형의 블록 A1 내지 A4의 각 블록 사이의 간극 A1v, A2v, A3v 및 제1 유닛(13a)의 돔 내의 공동부를 통해 돔 흡착의 흡인 구멍(13a4)으로부터 흡인하여, 콜릿(22)으로 픽업되는 다이(D)를 다이싱 테이프(16)를 통해 흡인한다. 흡인 구멍(13a3)으로부터의 흡인과 흡인 구멍(13a4)으로부터의 흡인은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다.The first unit 13a has a dome plate 13a2 on its upper surface periphery. The dome plate 13a2 has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HL and cavities CV, and sucks from the suction holes 13a3 , the die Dd around the die D picked up by the collet 22 . It is sucked through the dicing tape 16 . In Fig. 16, only one row of suction holes HL is shown around the block portion 13a1, but a plurality of rows are provided in order to stably hold the die Dd that is not a pickup target. Suctioned from the suction hole 13a4 of the dome suction through the gaps A1v, A2v, A3v between each block of the concentric square blocks A1 to A4 and the cavity in the dome of the first unit 13a, and picked up by the collet 22 The die D is sucked through the dicing tape 16 . Suction from the suction hole 13a3 and suction from the suction hole 13a4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본 실시예의 밀어올림 유닛(13)은, 제1 유닛의 블록의 형상, 블록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다이에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블록 수가 6개인 경우는, 다이 사이즈가 한 변이 20㎜인 정사각형 이하의 다이에 적용 가능하다. 제3 유닛의 출력부의 수, 제2 유닛의 동심 원형의 블록의 수 및 제1 유닛의 동심 사각형의 블록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다이 사이즈가 한 변이 20㎜인 정사각형보다 큰 다이에도 적용 가능하다.The push-up unit 13 of this embodiment is applicable to various dies by changing the shape and number of blocks of the first unit.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blocks is 6, the die size is 20 mm on one side. Applicable to dies of square or smaller siz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output sections of the third unit, the number of concentric circular blocks of the second unit, and the number of concentric square blocks of the first unit, it is also applicable to a die having a die size larger than a square having a side of 20 mm.

다음으로, 제어부(8)에 대해 도 2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도 10의 다이 본더의 제어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계(80)는 제어부(8)와 구동부(86)와 신호부(87)와 광학계(88)를 구비한다. 제어부(8)는, 크게 구별하여, 주로 CPU(Central Processor Unit)로 구성되는 제어·연산 장치(81)와, 기억 장치(82)와, 입출력 장치(83)와, 버스 라인(84)과, 전원부(85)를 갖는다. 제어·연산 장치(81) 및 기억 장치(82)는 실시 형태의 메인 컨트롤러(81a)에 대응하고, 모터 제어 장치(83e)는 실시 형태의 작동 컨트롤러(81b)에 대응한다. 기억 장치(82)는 처리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는 RAM으로 구성되어 있는 주 기억 장치(82a)와, 제어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는 HDD나 SSD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보조 기억 장치(82b)를 갖는다. 입출력 장치(83)는, 장치 상태나 정보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83a)와, 오퍼레이터의 지시를 입력하는 터치 패널(83b)과, 모니터를 조작하는 마우스(83c)와, 광학계(88)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도입하는 화상 도입 장치(83d)를 갖는다. 또한, 입출력 장치(83)는 다이 공급부(1)의 XY 테이블(도시하지 않음)이나 본딩 헤드 테이블의 ZY 구동축 등의 구동부(86)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83e)와, 다양한 센서 신호나 조명 장치 등의 스위치 등의 신호부(87)로부터 신호를 도입 또는 제어하는 I/O 신호 제어 장치(83f)를 갖는다. 광학계(88)에는, 웨이퍼 인식 카메라(24), 스테이지 인식 카메라(32), 기판 인식 카메라(44)가 포함된다. 제어·연산 장치(81)는 버스 라인(84)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도입, 연산하고, 픽업 헤드(21) 등의 제어나, 모니터(83a) 등에 정보를 보낸다.Next, the control part 8 is demonstrated using FIG. Fig.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rol system of the die bonder of Fig. 10; The control system 80 includes a control unit 8 , a driving unit 86 , a signal unit 87 , and an optical system 88 . The control unit 8 is largely divided into a control/arithmetic unit 81 mainly composed of a CPU (Central Processor Unit), a storage unit 82, an input/output unit 83, a bus line 84, It has a power supply (85). The control/arithmetic device 81 and the storage device 82 correspond to the main controller 81a of the embodiment, and the motor control device 83e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controller 81b of the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82 is a main storage device 82a composed of RAM storing a processing program and the like, and an auxiliary storage device composed of an HDD, an SSD, etc. which store control data and image data necessary for control. (82b). The input/output device 83 includes a monitor 83a for displaying device status and information, a touch panel 83b for inputting instructions from an operator, a mouse 83c for operating the monitor, and an optical system 88 . It has an image introducing device 83d for introducing image data. In addition, the input/output device 83 includes a motor control device 83e that controls a driving unit 86 such as an XY table (not shown) of the die supply unit 1 or a ZY driving shaft of the bonding head table, and various sensor signals and illumination. An I/O signal control device 83f for introducing or controlling a signal from a signal unit 87 such as a switch or the like is provided. The optical system 88 includes a wafer recognition camera 24 , a stage recognition camera 32 , and a substrate recognition camera 44 . The control/arithmetic device 81 introduces and calculates necessary data via the bus line 84, and sends information to the control of the pickup head 21 and the like, the monitor 83a, and the like.

제어부(8)는 화상 도입 장치(83d)를 통해 웨이퍼 인식 카메라(24), 스테이지 인식 카메라(32) 및 기판 인식 카메라(44)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 장치(82)에 보존한다. 보존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그래밍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연산 장치(81)를 사용하여 다이(D) 및 기판(S)의 패키지 에어리어(P)의 위치 결정, 그리고 다이(D) 및 기판(S)의 표면 검사를 행한다. 제어·연산 장치(81)가 산출한 다이(D) 및 기판(S)의 패키지 에어리어(P)의 위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모터 제어 장치(83e)를 통해 구동부(86)를 움직이게 한다. 이 프로세스에 의해 웨이퍼 상의 다이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픽업부(2) 및 본딩부(4)의 구동부에서 동작시켜 다이(D)를 기판(S)의 패키지 에어리어(P) 상에 본딩한다. 사용하는 웨이퍼 인식 카메라(24), 스테이지 인식 카메라(32) 및 기판 인식 카메라(44)는 그레이스케일, 컬러 등이며, 광강도를 수치화한다.The control unit 8 stores image data captured by the wafer recognition camera 24 , the stage recognition camera 32 , and the substrate recognition camera 44 via the image introduction device 83d in the storage device 82 . Positioning of the package area P of the die D and the substrate S using the control/arithmetic device 81 by software programmed based on the saved image data, and the die D and the substrate S S) surface inspec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package area P of the die D and the substrate S calculated by the control/arithmetic unit 81, the driving unit 86 is moved through the motor control unit 83e by software. By this process, the position of the die on the wafer is determined, and the drive unit of the pickup unit 2 and the bonding unit 4 is operated to bond the die D onto the package area P of the substrate S. The wafer recognition camera 24, the stage recognition camera 32, and the substrate recognition camera 44 used are grayscale, color, etc., and quantify the light intensity.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에 의한 밀어올림 유닛(13)에 의한 픽업 동작에 대해 도 2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픽업 동작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Next, the pick-up operation by the push-up unit 13 by the structure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using FIG. 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processing flow of a pick-up operation.

먼저, 제어부(8)는 미리 상술한 무부하 토크값 및 유부하 토크값을 측정하여, 측정한 무부하 토크값 및 보정된 토크값(또는 측정된 유부하 토크값)을 제어부(8) 내의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에 저장해 둔다.First, the control unit 8 measures the no-load torque value and the loaded torque value described above in advance, and stores the measured no-load torque value and the corrected torque value (or the measured loaded torque value) in a memory in the control unit 8, etc. Save it to your memory device.

(스텝 PS1: 다이싱 테이프 흡착)(Step PS1: Adsorption of dicing tape)

제어부(8)는 픽업할 다이(D)가 밀어올림 유닛(13)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웨이퍼 보유 지지대(12)를 이동시키고, 다이싱 테이프(16)의 이면에 제3 유닛의 상면이 접촉하도록 밀어올림 유닛(13)을 이동시킨다. 이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8)는 블록부(13a1)의 각 블록 A1 내지 A4가 돔 플레이트(13a2)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돔 플레이트(13a2)의 흡착 구멍(HL)과, 블록 사이의 간극 A1v, A2v, A3v에 의해 다이싱 테이프(16)를 흡착한다.The control unit 8 moves the wafer holder 12 so that the die D to be picked up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push-up unit 13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unit is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dicing tape 16 . The push-up unit 13 is mov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1 , the control unit 8 causes each of the blocks A1 to A4 of the block portion 13a1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surface of the dome plate 13a2 , and the suction hole of the dome plate 13a2 . The dicing tape 16 is adsorbed by the gaps A1v, A2v, and A3v between (HL) and the blocks.

(스텝 PS2: 콜릿 하강/다이 흡착)(Step PS2: collet lowering/die adsorption)

제어부(8)는, 콜릿부(20)를 하강시켜, 픽업할 다이(D) 상에 위치 결정하고, 흡인 구멍(22v, 25v)에 의해 다이(D)를 흡착한다.The control unit 8 lowers the collet unit 20, positions it on the die D to be picked up, and sucks the die D by the suction holes 22v and 25v.

(스텝 PS3: 블록/콜릿 상승)(Step PS3: Block/Collet Rise)

제어부(8)는, 블록부(13a1)의 블록을 외측으로부터 순차 상승시켜 박리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는 모터 M4로 플런저 기구 P4를 구동하고, 가장 외측의 블록 A4만을 수십 ㎛ 내지 수백 ㎛ 상승시킨 후 하강시켜 정지시킨다. 상승 및 하강 속도는 일정하지 않다. 이 결과, 블록 A4의 주변에 있어서 다이싱 테이프(16)가 융기된 밀어올림 부분이 형성되고, 다이싱 테이프(16)와 다이 어태치 필름(18) 사이에 미소한 공간, 즉 박리 기점이 생긴다. 이 공간에 의해 앵커 효과, 즉 다이(D)에 걸리는 스트레스가 대폭 저감되어, 이후의 박리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8)는 모터 M3으로 플런저 기구 P3을 구동하고, 두 번째로 외측의 블록 A3만을 블록 A4보다도 높게 상승시켜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8)는 모터 M2로 플런저 기구 P2를 구동하고, 세 번째로 외측의 블록 A2만을 블록 A3보다도 높게 상승시켜 정지시킨다. 마지막으로, 제어부(8)는 모터 M1로 플런저 기구 P1을 구동하고, 가장 내측의 블록 A1만을 블록 A2보다도 높게 상승시켜 정지시킨다. 이 박리 동작 시에, 제어부(8)는, 블록마다 유부하 토크값을 측정함과 함께, 측정한 유부하 토크값과 미리 기록된 무부하 토크값으로부터 토크값(웨이퍼의 박리력)을 측정한다. 또한, 제어부(8)는, 측정된 토크값(웨이퍼의 박리력)과 미리 기록된 토크값(웨이퍼의 박리력)을 비교하여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토크값의 측정 및 이상 판단은, 웨이퍼마다 최초에 픽업하는 다이에 대해서만 행한다.The control part 8 raises the block of the block part 13a1 sequentially from the outside, and performs a peeling operation|movement. For example, the control part 8 drives the plunger mechanism P4 with the motor M4, raises only the outermost block A4 by several tens of micrometers - several hundred micrometers, and then lowers it and stops it. Ascent and descent rates are not constant. As a result, in the periphery of block A4, the raised part in which the dicing tape 16 protruded is formed, and a minute space, ie, peeling origin, arises between the dicing tape 16 and the die attach film 18. . By this space, the anchor effect, ie, the stress applied to the die D, is greatly reduced, and the subsequent peeling operation can be reliably performed. Next, the control part 8 drives the plunger mechanism P3 by the motor M3, and raises only the outer block A3 higher than the block A4 secondly, and stops it. Next, the control part 8 drives the plunger mechanism P2 by the motor M2, 3rdly raises only the outer block A2 higher than the block A3, and stops it. Finally, the control part 8 drives the plunger mechanism P1 with the motor M1, raises only the innermost block A1 higher than the block A2, and stops it. At the time of this peeling operation, the control part 8 measures a load torque value for every block, and measures a torque value (peel force of a wafer) from the measured load torque value and a pre-recorded no-load torque value. Further, the control unit 8 compares the measured torque value (peel force of the wafer) with a previously recorded torque value (peel force of the waf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The torque value measurement and abnormality determination are performed only for the die initially picked up for each wafer.

(스텝 PS4: 콜릿 상승)(Step PS4: Raise the collet)

제어부(8)는 콜릿을 상승시킨다. 스텝 PS3의 마지막 상태에서는, 다이싱 테이프(16)와 다이(D)의 접촉 면적은 콜릿의 상승에 의해 박리할 수 있는 면적이 되어, 콜릿(22)의 상승에 의해 다이(D)를 박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 raises the collet. In the last state of step PS3, the contact area of the dicing tape 16 and the die D becomes an area that can be peeled by raising the collet, and the die D is peeled by raising the collet 22. can

(스텝 PS5: 블록 하강/흡착 해제)(Step PS5: Block Lowering/Suction Release)

제어부(8)는 블록부(13a1)의 각 블록 A1 내지 A4가 돔 플레이트(13a2)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돔 플레이트(13a2)의 흡착 구멍(HL)과, 블록 사이의 간극 A1v, A2v, A3v에 의한 다이싱 테이프(16)의 흡착을 정지한다. 제어부(8)는 다이싱 테이프(16)의 이면으로부터 제1 유닛의 상면이 이격되도록 밀어올림 유닛(13)을 이동시킨다.The control unit 8 causes each of the blocks A1 to A4 of the block portion 13a1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surface of the dome plate 13a2, and the suction hole HL of the dome plate 13a2 and the gap A1v between the blocks. , A2v, and A3v stop adsorption|suction of the dicing tape 16. The control unit 8 moves the pushing unit 13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icing tape 16 .

제어부(8)는 스텝 PS1 내지 PS5를 반복하여, 웨이퍼(11)의 양품의 다이를 픽업한다.The control unit 8 repeats steps PS1 to PS5 to pick up a non-defective die of the wafer 11 .

다음으로, 실시예에 관한 다이 본더를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2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도 10의 다이 본더를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die bonder which concerns on Example is demonstrated using FIG.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die bonder of FIG. 10 .

(스텝 BS11: 웨이퍼·기판 반입 공정)(Step BS11: wafer/substrate loading process)

웨이퍼(11)로부터 분할된 다이(D)가 첩부된 다이싱 테이프(16)를 보유 지지한 웨이퍼 링(14)을 웨이퍼 카세트(도시하지 않음)에 격납하고, 다이 본더(10)에 반입한다. 제어부(8)는 웨이퍼 링(14)이 충전된 웨이퍼 카세트로부터 웨이퍼 링(14)을 다이 공급부(1)에 공급한다. 또한, 기판(S)을 준비하여, 다이 본더(10)에 반입한다. 제어부(8)는 기판 공급부(6)에서 기판(S)을 기판 반송 갈고리(51)에 설치한다.The wafer ring 14 holding the dicing tape 16 to which the die D divided from the wafer 11 is affixed is stored in a wafer cassette (not shown), and loaded into the die bonder 10 . The control unit 8 supplies the wafer ring 14 from the wafer cassette filled with the wafer ring 14 to the die supply unit 1 . Moreover, the board|substrate S is prepared and it carries in the die bonder 10. The control part 8 attaches the board|substrate S to the board|substrate conveyance claw 51 in the board|substrate supply part 6 .

(스텝 BS12: 픽업 공정)(Step BS12: Pickup process)

제어부(8)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D)를 박리하고, 박리한 다이(D)를 웨이퍼(11)로부터 픽업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다이 어태치 필름(18)과 함께 다이싱 테이프(16)로부터 박리된 다이(D)는, 콜릿(22)에 흡착, 보유 지지되어 다음 공정(스텝 BS13)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다이(D)를 다음 공정으로 반송한 콜릿(22)이 다이 공급부(1)로 복귀되어 오면, 상기한 수순에 따라서, 다음 다이(D)가 다이싱 테이프(16)로부터 박리되고, 이후 마찬가지의 수순에 따라서 다이싱 테이프(16)로부터 1개씩 다이(D)가 박리된다.The control unit 8 peels the die D as described above, and picks up the peeled die D from the wafer 11 . In this way, the die D peeled from the dicing tape 16 together with the die attach film 18 is adsorbed and held by the collet 22, and is conveyed to the next process (step BS13). And when the collet 22 which conveyed the die D to the next process returns to the die supply part 1,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cedure, the next die D is peeled from the dicing tape 16, and thereafter, the same Dies D are peeled off one by one from the dicing tape 16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스텝 BS13: 본딩 공정)(Step BS13: bonding process)

제어부(8)는 픽업한 다이를 기판(S) 상에 탑재 또는 이미 본딩한 다이 상에 적층한다. 제어부(8)는 웨이퍼(11)로부터 픽업한 다이(D)를 중간 스테이지(31)에 적재하고, 본딩 헤드(41)로 중간 스테이지(31)로부터 다시 다이(D)를 픽업하여, 반송되어 온 기판(S)에 본딩한다.The control unit 8 stacks the picked-up die on the die mounted or already bonded on the substrate S. The control unit 8 loads the die D picked up from the wafer 11 on the intermediate stage 31 , and again picks up the die D from the intermediate stage 31 with the bonding head 41 , and has been conveyed. Bonding to the substrate (S).

(스텝 BS14: 기판 반출 공정)(Step BS14: Substrate unloading process)

제어부(8)는 기판 반출부(7)에서 기판 반송 갈고리(51)로부터 다이(D)가 본딩된 기판(S)을 취출한다. 다이 본더(10)로부터 기판(S)을 반출한다.The control part 8 takes out the board|substrate S to which the die|dye D was bonded from the board|substrate conveyance claw 51 in the board|substrate carrying-out part 7. As shown in FIG. The substrate S is taken out from the die bonder 10 .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D)는, 다이 어태치 필름(18)을 통해 기판(S) 상에 실장되어, 다이 본더로부터 반출된다. 그 후, 와이어 본딩 공정에서 Au 와이어를 통해 기판(S)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계속해서, 다이(D)가 실장된 기판(S)이 다이 본더에 반입되어 기판(S) 상에 실장된 다이(D) 상에 다이 어태치 필름(18)을 통해 제2 다이(D)가 적층되고, 다이 본더로부터 반출된 후, 와이어 본딩 공정에서 Au 와이어를 통해 기판(S)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다이(D)는, 전술한 방법으로 다이싱 테이프(16)로부터 박리된 후, 펠릿 설치 공정으로 반송되어 다이(D) 상에 적층된다. 상기 공정이 소정 횟수 반복된 후, 기판(S)을 몰드 공정으로 반송하고, 복수 개의 다이(D)와 Au 와이어를 몰드 수지(도시하지 않음)로 밀봉함으로써, 적층 패키지가 완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e D is mounted on the substrate S through the die attach film 18 and carried out from the die bonder. Thereafter, in the wire bonding process,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of the substrate S through the Au wire. Subsequently, the substrate S on which the die D is mounted is loaded into the die bonder, and the second die D is formed on the die D mounted on the substrate S through the die attach film 18. After being laminated and taken out from the die bonder,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of the substrate S through the Au wire in the wire bonding process. After peeling from the dicing tape 16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the 2nd die D is conveyed to a pellet installation process, and is laminated|stacked on the die D. After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substrate S is transferred to the molding process, and the plurality of dies D and the Au wires are sealed with a mold resin (not shown) to complete the laminate packag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formed by this inventor was specifically demonstrated based on embodiment and an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nd Examp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는 다축 밀어올림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1축 밀어올림이어도 된다.For example, although multi-axis push-up was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embodiment, single-axis push-up may be used.

또한, 제1 유닛의 복수의 블록은 동심 사각형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동심 원 형상이나 동심 타원 형상의 것이어도 되고, 사각형 블록을 평행하게 배열하여 구성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plurality of blocks of the first unit are concentric quadrilaterals, concentric circles or concentric ellipses may be used, and quadrangular block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nd configured.

또한, 실시예에서는 블록으로 다이를 밀어올리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핀으로 다이를 밀어올려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an example of pushing up the die with a block has been described in the embodiment, the die may be pushed up with a pin.

또한, 실시예에서는 픽업 대상 다이와 주변 다이를 동일한 타이밍에 흡착/해방하였지만, 픽업 대상 다이와 주변 다이를 제각기 타이밍에 흡착/해방을 행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보다 확실한 박리를 행할 수 있다.Incidentally, although the pick-up object die and the peripheral die are sucked/released at the same timing in the embodiment, the pick-up object die and the peripheral die may be sucked/released at the respective timings. Thereby, more reliable peeling can be performed.

또한, 실시예에서는 각 단의 블록은 순차 밀어올렸지만, 각 단이 독립되어 각각 제각기 동작이 가능하므로 밀어올림/끌어내림 양방향의 동작을 혼재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blocks of each stage are pushed up sequentially in the embodiment, since each stage is independent and each operation is possible, the operation in both directions of pushing up/down may be mixed.

또한, 실시예에서는 토크값의 측정 및 이상 판단은, 웨이퍼마다 최초에 픽업하는 다이에 대해서만 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픽업하는 각 다이마다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웨이퍼로부터 다이를 개편화하는 다이싱 시의 영향에 의한 이상 등도 확인할 수 있다.Incidentally, although an exampl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torque value measurement and abnormality determination are performed only for the die to be initially picked up for each wafer, it may be performed for each die to be picked up. Thereby, an abnormality due to the influence of dicing in which the die is separated from the wafer can also be confirmed.

또한, 실시예에서는, 다이 어태치 필름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기판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프리폼부를 마련하여 다이 어태치 필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die attach film is used is described in the Exampl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die attach film by providing the preform part which apply|coats an adhesive agent to a board|substrate.

또한, 실시예에서는, 다이 공급부로부터 다이를 픽업 헤드로 픽업하여 중간 스테이지에 적재하고, 중간 스테이지에 적재된 다이를 본딩 헤드로 기판에 본딩하는 다이 본더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이 공급부로부터 다이를 픽업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Further, in the embodiment, a die bonder that picks up a die from the die supply unit with a pickup head, loads it on an intermediate stage, and bonds the die mounted on the intermediate stage to a substrate with a bonding head,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pplicable to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picks up a die from a die supply part.

예를 들어, 중간 스테이지와 픽업 헤드가 없고, 다이 공급부의 다이를 본딩 헤드로 기판에 본딩하는 다이 본더에도 적용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also applicable to a die bonder that does not have an intermediate stage and a pickup head, and bonds the die of the die supply unit to the substrate with the bonding head.

또한, 중간 스테이지가 없고, 다이 공급부로부터 다이를 픽업하고 다이 픽업 헤드를 위로 회전시켜 다이를 본딩 헤드에 전달하여 본딩 헤드로 기판에 본딩하는 플립 칩 본더에 적용 가능하다.Further, it is applicable to a flip chip bonder that has no intermediate stage, picks up the die from the die supply unit, rotates the die pickup head upward to transfer the die to the bonding head, and bonds to the substrate with the bonding head.

또한, 중간 스테이지와 본딩 헤드가 없고, 다이 공급부로부터 픽업 헤드로 픽업한 다이를 트레이 등에 적재하는 다이 소터에 적용 가능하다.Further, it is applicable to a die sorter that does not have an intermediate stage and a bonding head, and loads the die picked up from the die supply unit to the pickup head on a tray or the like.

8: 제어부
10: 다이 본더(다이 본딩 장치)
11: 웨이퍼
13: 밀어올림 유닛
16: 다이싱 테이프
22: 콜릿
D: 다이
M1 내지 M4: 모터
8: control
10: die bonder (die bonding device)
11: Wafer
13: push-up unit
16: dicing tape
22: collet
D: die
M1 to M4: motor

Claims (18)

다이싱 테이프와 접촉하는 복수의 블록을 갖고, 다이를 상기 다이싱 테이프의 아래로부터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유닛과,
상기 다이를 흡착하는 콜릿과,
상기 밀어올림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밀어올림 유닛은, 상기 복수의 상기 블록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구동축과, 상기 복수의 구동축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마다 토크값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다이의 박리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이 본딩 장치.
a push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blocks in contact with the dicing tape and pushing up a die from below the dicing tape;
a collet adsorbing the di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push-up unit
to provide
The push-up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rive shafts independently operat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locks, and a plurality of moto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peel force of the die by measuring a torque value for each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AC 서보 모터이며,
상기 밀어올림 유닛의 모터는, 상기 모터의 회전 각속도를 검출하는 인코더와, 상기 모터의 전류를 얻는 전류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밀어올림 유닛을 상기 다이싱 테이프로부터 이격시킨 무부하 상태에서, 밀어올림 동작 시의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블록을 상기 모터에 의해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인코더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 각도마다, 상기 전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의 작동에 있어서의 무부하 토크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다이 본딩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tor is an AC servo motor,
The motor of the push-up unit further includes an encoder for detecting the rotation angular speed of the motor, and a current sensor for obtaining a current of the motor,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plurality of blocks by the motor according to a sequence at the time of a push-up operation in a no-load state in which the push-up unit is separated from the dicing tape, and the motor detected by the encoder and calculating a no-load torque value in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blocks based o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sensor for each rotation angle of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밀어올림 유닛을 상기 다이싱 테이프와 접촉시킨 유부하 상태에서, 밀어올림 동작 시의 시퀀스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블록을 상기 모터에 의해 작동시킴과 함께, 상기 인코더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 각도마다, 상기 전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블록의 작동에 있어서의 유부하 토크값을 산출하고,
상기 유부하 토크값 및 상기 무부하 토크값에 기초하여 상기 토크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이 본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plurality of blocks by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a sequence at the time of the push-up operation in a loaded state in which the push-up uni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icing tape, and is detected by the encoder. For each rotation angle of the motor, based o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sensor, calculating the load torque value in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blocks,
and measure the torque value based on the loaded torque value and the no-load torque valu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토크값과 미리 기록된 토크값을 비교하여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이 본딩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y comparing the measured torque value with a previously recorded torque valu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부하 토크값으로부터 사전에 측정한 상기 무부하 토크값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박리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이 본딩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peeling force by subtracting the previously measured no-load torque value from the loaded torqu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싱 테이프를 통해 상기 다이를 촬상하는 촬상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프라인에서, 상기 블록에 의해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측정한 토크값에 의한 다이의 박리력과, 오프라인에서, 상기 밀어올려진 다이의 이면을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하여 측정한 다이의 박리 상태를, 측정 시의 밀어올림 조건, 다이 사이즈 및 다이 두께를 포함하는 파라미터와 함께 데이터 세트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상기 박리력, 상기 박리 상태 및 상기 파라미터를 기계 학습에 의해 모델화하여 기계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기계 학습 모델에, 다이의 박리력과, 밀어올림 조건, 다이 사이즈 및 다이 두께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부여하여 다이의 박리 상태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박리 상태에 기초하여 밀어올림 조건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다이 본딩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maging device for imaging the die through the dicing tape,
The control unit is
Offline, the peel force of the die by the torque value measured by pushing up the die by the block, and the peeling state of the die measured by imaging the back surface of the pushed up die by the imaging device offline, Accumulated in a database as a data set together with parameters including push-up conditions at the time of measurement, die size and die thickness,
generating a machine learning model by modeling the peel force, the peel state, and the parameters by machine learning;
The machine learning model is given parameters including the peel force of the die, the pushing condition, the die size and the die thickness to obtain the peeling state of the die;
The die bonding apparatus which is comprised so that a push-up condition may be computed based on the said acquired peeling st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림 조건은, 밀어올림 조건의 파라미터 하한으로부터 상한 내에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조합에 있어서의 박리 상태를 취득하여, 가장 픽업 시간이 짧아지는 조합을, 라운드 로빈으로 검토하는 방법 또는 진화적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다이 본딩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ush-up condition is a method or an evolutionary algorithm that obtains the peeling state in all combinations conceivable within the upper limit from the parameter lower limit of the push-up condition, and examines the combination with the shortest pick-up time in round robin. A die bonding apparatus, configured to calculate by
제7항에 있어서,
밀어올림 조건은 상기 블록의 밀어올림 높이 및 밀어올림 속도인, 다이 본딩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ush-up condition is a push-up height and a push-up speed of the block, die bon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한 토크값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의 밀어올림 조건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다이 본딩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pushing-up condition of the block based on the measured torque valu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림 조건은, 상기 블록의 밀어올림 속도 및 밀어올림 높이인, 다이 본딩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ush-up condition is a push-up speed and a push-up height of the block, a die bon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이 장착되는 픽업 헤드를 더 구비하는, 다이 본딩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e bon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pickup head to which the collet is moun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헤드로 픽업되는 다이를 적재하는 중간 스테이지와,
상기 중간 스테이지에 적재되는 다이를 기판 또는 이미 본딩되어 있는 다이 상에 본딩하는 본딩 헤드
를 더 구비하는, 다이 본딩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 intermediate stage for loading the die picked up by the pickup head;
A bonding head for bonding a die loaded on the intermediate stage onto a substrate or a die that has already been bonded
Further comprising a, die bonding device.
(a) 다이싱 테이프와 접촉하는 복수의 블록을 갖고, 다이를 상기 다이싱 테이프의 아래로부터 밀어올리는 밀어올림 유닛과, 상기 다이를 흡착하는 콜릿과, 상기 밀어올림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어올림 유닛은, 상기 복수의 상기 블록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구동축과, 상기 복수의 구동축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터를 구비하는 다이 본딩 장치에, 상기 다이싱 테이프를 보유 지지하는 웨이퍼 링을 반입하는 공정과,
(b) 상기 밀어올림 유닛으로 상기 다이를 밀어올려 상기 콜릿으로 상기 다이를 픽업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b) 공정은, 상기 모터마다 토크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다이의 박리력을 측정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a) a push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blocks in contact with the dicing tape and pushing up a die from below the dicing tape, a collet for adsorbing the di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pushing unit; wherein the push-up unit holds the dicing tape in a die bond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rive shafts independently operat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locks, and a plurality of moto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A process of carrying in the supporting wafer ring;
(b) step of pushing up the die with the push-up unit and picking up the die with the collet
to provide
In the step (b), the peel force of the die is measured by measuring a torque for each moto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정은, 상기 측정한 토크값과 미리 기록된 토크값을 비교하여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step (b),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y comparing the measured torque value with a previously recorded torque valu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정은, 상기 블록이 상기 다이싱 테이프와 접촉한 상태에서의 토크의 측정값으로부터 사전에 측정한 상기 블록이 상기 다이싱 테이프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토크의 측정값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박리력을 측정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step (b), a torque measurement value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 is not in contact with the dicing tape, measured in advance, is subtracted from the torque measurement value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 is in contact with the dicing tap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which measures the said peeling force by do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정은, 상기 측정한 토크값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의 밀어올림 조건을 변경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step (b), the conditions for pushing up the block are changed based on the measured torque value.
제13항에 있어서,
(c) 상기 다이를 기판 또는 이미 본딩되어 있는 다이 상에 본딩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c) bonding the die onto a substrate or an already bonded di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정은 상기 픽업한 다이를 중간 스테이지에 적재하는 공정을 더 갖고,
상기 (c) 공정은 상기 중간 스테이지로부터 상기 다이를 픽업하는 공정을 더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ep (b) further includes a step of loading the picked-up die on an intermediate stag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wherein the step (c) further includes a step of picking up the die from the intermediate stage.
KR1020210024557A 2020-03-25 2021-02-24 Di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45813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55156A JP7408455B2 (en) 2020-03-25 2020-03-25 Die bonding equipment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JP-P-2020-055156 2020-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877A KR20210119877A (en) 2021-10-06
KR102458131B1 true KR102458131B1 (en) 2022-10-24

Family

ID=7791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557A KR102458131B1 (en) 2020-03-25 2021-02-24 Di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08455B2 (en)
KR (1) KR1024581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47018A (en) * 2022-03-29 2023-10-12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Projection head and projection device
JP2024024567A (en) 2022-08-09 2024-02-22 ファスフォードテクノロジ株式会社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6733B2 (en) 2003-03-11 2008-08-20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Pellet bonding method and pellet bonding apparatus
JP5442288B2 (en) 2009-03-27 2014-03-12 日東電工株式会社 Protective tape peeling method and protective tape peel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544857B2 (en) 2009-12-11 2014-07-09 株式会社ニコン Driving apparatus,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JP5805411B2 (en) 2011-03-23 2015-11-04 ファスフォードテクノロジ株式会社 Die bonder pickup method and die bonder
DE102011017218B4 (en) * 2011-04-15 2018-10-31 Mühlbauer Gmbh & Co. K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electronic components from a first carrier to a second carrier
JP6797569B2 (en) 2016-06-13 2020-12-09 ファスフォードテクノロジ株式会社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equipment
JP6840158B2 (en) 2016-09-28 2021-03-10 株式会社Fuji Die mounting device
JP6848151B2 (en) * 2017-05-29 2021-03-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Separation device and separation method
KR102120185B1 (en) * 2017-07-26 2020-06-08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Device for picking up semiconductor chip,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semiconductor chip
KR102380141B1 (en) * 2017-08-02 2022-03-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Chip ejecting apparatus and chip bonding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JP7229686B2 (en) 2017-10-06 2023-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Control device, lithography device, measurement device, processing device, planarization device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877A (en) 2021-10-06
JP2021158166A (en) 2021-10-07
JP7408455B2 (en)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762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458131B1 (en) Di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049816B1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KR20210124363A (en) Multi-axis movement for transport of semiconductor devices
TWI733164B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ejector ji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TWI743655B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2339277B1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7472367B2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130022622A (en) Semiconductor element pick-up device
KR102488379B1 (en) Motor control apparatus, die bon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apparatus
JP5826701B2 (en) Chip positioning device, chip positioning method, and die bonder
JP7291586B2 (en) Die bond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2666531B2 (en) Die bonding equipment
KR20230040266A (en) Die bon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2024024567A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2022125244A (en) Die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14056980A (en) Die bonder and bon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