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972B1 - 호흡신호 발생 장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호흡신호 발생 장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972B1
KR102457972B1 KR1020180047366A KR20180047366A KR102457972B1 KR 102457972 B1 KR102457972 B1 KR 102457972B1 KR 1020180047366 A KR1020180047366 A KR 1020180047366A KR 20180047366 A KR20180047366 A KR 20180047366A KR 102457972 B1 KR102457972 B1 KR 102457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signal
generating device
respirat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538A (ko
Inventor
주성훈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8004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97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49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3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64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radiation treatment in response to monitoring
    • A61N5/1065Beam adjustment
    • A61N5/1067Beam adjustment in real time, i.e. during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49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 A61N2005/1051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using an active mark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71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dose delivered by the treatment plan
    • A61N2005/1072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dose delivered by the treatment plan taking into account movement of the targ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2005/1074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e.g. user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은 방사선조사부, 피치료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 호흡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제공된 피치료자의 호흡신호에 기초하여 방사선조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출력부가 포함될 수 있고, 호흡신호 발생 장치는, 장치가 부착된 위치의 좌표를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IMU)들을 통해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위치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를 기초로 호흡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 및 통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호흡신호 발생 장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THE APPARATUS FOR GENERATING RESPIRATORY SIGNALS, TH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본 발명은 호흡신호 발생 장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정확하게 측정되기 위한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피치료자의 규칙적인 호흡 하에서 방사선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 피치료자의 호흡에 의해서 피치료자의 신체가 움직일 수 있는데, 이 경우 표적 부위(예컨대, 병변 등)가 아닌 주변의 정상 조직에 방사선이 최대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방사선 기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하여 호흡에 따라 움직이는 장기 또는 움직임이 큰 신체 부위를 제외한 표적 부위에만 방사선이 조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방사선 치료 기술은 피치료자의 신체에 부착된 마커(marker)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측정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 경우 피치료자가 움직이거나 이러한 피치료자가 위치하는 테이블 또는 지지대의 회전에 따라 왜곡된 영상이 발생되거나,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호흡신호 자체가 획득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호흡신호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존재하였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6398호 (공개일자: 2016.11.02)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 호흡신호가 카메라 촬영을 통해 측정되는 것이 아닌, 관성측정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를 통해 측정되도록 하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피치료자의 테이블 또는 지지대에서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정확히 측정되고,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규칙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방사선의 조사가 제어될 수 있는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 시 피치료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는 장치가 부착된 위치에 대한 3차원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위치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를 기초로 호흡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 및 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호흡신호를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통신부가 포함될 수 있고, 위치측정부에는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들이 포함되고, 관성측정장치들을 통해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는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방사선조사부에 의해 조사되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감약(attenuation)을 확인하기 위한 반도체검출부가 더 포함될 수 있고, 반도체검출부에 의한 방사선 검출신호는 통신부를 통해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으로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의 위치측정부에는 관성측정장치들이 소정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장치의 위치는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들 각각에 의하여 측정된 값이 상호 보정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은 피치료자에 대하여 방사선 빔을 조사(irradiate)하는 방사선조사부, 피치료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 호흡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제공된 피치료자의 호흡신호에 기초하여 방사선조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호흡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피치료자의 호흡신호 및 제어부에 의한 방사선조사부의 동작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포함될 수 있고, 호흡신호 발생 장치는, 장치가 부착된 위치의 좌표를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IMU)들을 통해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위치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를 기초로 호흡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 및 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호흡신호를 출력부 및 제어부에 송신하는 통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제어부는 호흡신호가 규칙적인 경우,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결정할 수 있고,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방사선 조사를 위한 호흡신호의 임계범위로 설정하여 방사선조사부로 하여금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방사선조사부에 의한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고, 호흡신호 중 들숨신호가 설정된 들숨임계치를 초과하거나 호흡신호 중 날숨신호가 설정된 날숨임계치 미만인 경우 방사선조사부로 하여금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가 중단되도록 할 수 있고,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거나 중단될 때, 호흡신호 발생 장치가 리셋(reset)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피치료자에게 부착된 호흡신호 발생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위치를 기초로 피치료자의 호흡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발생된 호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호흡신호를 기초로 피치료자에게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고, 피치료자에게 부착된 호흡신호 발생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장치의 위치는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들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 호흡신호를 기초로 피치료자에게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규칙적인지 판단하는 단계, 호흡신호가 규칙적인 경우, 규칙적인 호흡신호의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결정하는 단계,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방사선 조사를 위한 호흡신호의 임계범위로 설정하여 피치료자에게로 방사선의 조사를 개시하는 단계,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고, 호흡신호 중 들숨신호가 들숨임계치를 초과하거나 호흡신호 중 날숨신호가 날숨임계치 미만인 경우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를 중단하는 단계 및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거나 중단될 때,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리셋(reset)시키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리셋(reset)시키는 단계에서, 피치료자의 자세가 변화된 경우에는 피치료자로 하여금 자세를 수정하게 한 후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리셋시키고, 피치료자의 자세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가 즉시 리셋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피치료자(예컨대, 환자)의 호흡신호가 정확히 측정되어 안정된 호흡이 유지되는 동안 방사선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피치료자의 정상 조직에는 방사선이 최소한으로 조사되고, 표적 부위(예컨대, tumor 등)에 최대한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의 관성측정장치는 피치료자의 회전이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호흡신호 발생 장치가 피치료자에게 부착된 위치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의 (a)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가 피치료자의 복부에 부착된 상태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가 피치료자의 복부에 부착된 모습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방사선 검출부가 포함된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모양의 호흡신호 발생 장치에서 위치측정부가 직사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직사각형 모양의 호흡신호 발생 장치에서 위치측정부가 직사각형의 모서리 중앙부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치료자가 방사선 치료를 받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출력부에서 호흡신호가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에서 방사선조사부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는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의 (a)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가 피치료자의 복부에 부착된 상태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가 인체의 복부에 부착된 모습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 시 피치료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10)가 부착된 위치에 대한 3차원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100), 위치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위치를 기초로 호흡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200) 및 신호발생부(200)에서 발생된 호흡신호를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통신부(300)가 포함될 수 있고, 위치측정부(100)에는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들이 포함되고, 관성측정장치들을 통해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는 판(plate) 형태뿐만 아니라, 피치료자의 신체에 부착 시 밀착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는 잘 구부러지는(flexible) 소재로 형성되어 신체에 더욱 밀착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위치측정부(100)에서는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들을 통해서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피치료자의 신체에 부착된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관성측정장치에서는 움직이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관성을 측정하여 호흡신호 발생 장치(10)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는지가 전기적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관성측정장치에는 3축 가속도센서, 3축 자이로스코프(gyroscope), 3축 지자기센서가 포함되어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3차원 공간에서의 움직임이 측정될 수 있다. 위치측정부(100)에는 관성측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모듈에는 중앙처리장치(CPU), 프로세서(processor), 콘트롤러(controller),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명령(instruction), 프로그램(program), 코드(code)를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제어모듈을 통해 관성측정장치에서 측정된 결과가 3차원 좌표로 변환될 수 있다.
위치측정부(100)에는 관성측정장치의 측정 결과에 오차(error)가 발생될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한 위치보정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위치보정모듈에서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스코프, 지자기센서 각각의 측정결과가 보정될 수 있다. 위치보정모듈에서 측정결과가 보정되기 위한 방법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보정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신호발생부(200)에서는 위치측정부(100)에서 측정된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위치의 변화를 기초로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신호발생부(200)에서 발생된 호흡신호는 3차원 좌표로 표현되거나 좌표계에서 그래프(graph)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호흡신호는 호흡 수, 심박 수 등 호흡신호를 나타낼 수 있는 수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피치료자의 호흡에 의한 피치료자의 복부의 움직임이 컴퓨터그래픽을 통한 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더불어, 전압, 전류 등 전기적 신호로 호흡신호가 표현될 수 있다. 즉, 호흡신호로서 호흡 방식 또는 호흡 패턴이 구분되고, 호흡빈도가 확인될 수 있는 신호이면 어떠한 신호로도 표현될 수 있다.
신호발생부(200)에는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거나,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는 변환모듈(Converting module)이 포함될 수 있다. 변환모듈에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모듈(Digital to Analog Converter),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모듈(Analog to Digital Converter) 뿐만 아니라, 이득제어모듈, 필터(filter), 신호보정모듈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300)에서는 신호발생부(200)에서 발생된 호흡신호가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출력부 및 제어부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위치측정부(100)에서 측정된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부착 위치도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출력부 및 제어부로 송신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무선통신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나, 유선통신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방식에는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초광대역무선통신(Ultra Wide Band), 3G, 4G, 와이브로(Wibro), 롱텀에볼루션(LT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방사선 검출부가 포함된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는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방사선조사부(40)에 의해 조사되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감약(attenuation)을 확인하기 위한 반도체검출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고, 반도체검출부(400)에 의한 방사선 검출신호는 통신부(300)를 통해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으로 송신될 수 있다.
반도체검출부(400)에서는 방사선 치료 시 치료부위에 집중적으로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사선 조사범위가 확인될 수 있다. 반도체검출부(400)에서는 방사선에 의한 전리(電離) 작용을 이용하여 방사선이 검출될 수 있다. 반도체검출부(400)에서는 방사선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검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모듈 및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노이즈제거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반도체검출부(400)에는 반도체 검출신호가 수치, 그래프(graph)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검출신호는 통신부(300)를 통해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제어부 및 출력부로 송신될 수 있다.
반도체검출부(400)에서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 조사량의 감약 또는 감쇠가 확인되는 경우 알람(alarm)이 발생되거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에서 방사선조사부(40)의 방사선 조사의 동작이 중단 또는 종료될 수 있다. 방사선 조사량의 감약 또는 감쇠가 확인되는 경우 피치료자의 치료부위 외에 인체의 다른 부위에 방사선이 조사되고 있는 경우 알람(alarm)이 발생되고, 방사선 조사가 종료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모양의 호흡신호 발생 장치에서 위치측정부(100)가 직사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직사각형 모양의 호흡신호 발생 장치에서 위치측정부(100)가 직사각형의 모서리 중앙부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위치측정부(100)에는 관성측정장치들이 소정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장치의 위치는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들 각각에 의하여 측정된 값이 상호 보정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소정의 형태는 예를 들어, 도 4의 (a)와 같이 X 자 형태, (b)와 같이 + 자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신호발생부(200)와 통신부(300)를 에워싸는 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소정의 형태에는 피치료자의 호흡에 따른 호흡신호가 정확하게 측정됨과 동시에, 방사선으로부터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호흡신호 발생 장치(10) 내에서의 임의의 배치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6은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치료자가 방사선 치료를 받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은 피치료자에 대하여 방사선 빔을 조사하는 방사선조사부(40), 피치료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10),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로부터 제공된 피치료자의 호흡신호에 기초하여 방사선조사부(4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30) 및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로부터 수신한 피치료자의 호흡신호 및 제어부(30)에 의한 방사선조사부(4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0)가 포함될 수 있고,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는, 장치가 부착된 위치의 좌표를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IMU)들을 통해 측정하는 위치측정부(100), 위치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위치를 기초로 호흡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200) 및 신호발생부(200)에서 발생된 호흡신호를 출력부(20) 및 제어부(30)에 송신하는 통신부(300)가 포함될 수 있다.
방사선조사부(40)에는 피치료자가 위치될 수 있는 지지대, 지지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갠트리(gantry)가 포함될 수 있다. 갠트리는 도 2의 (a)에서와 같은 환형(ring) 또는 부분 환형(partial ring), 로봇 팔(robotic arm), 도 6에서와 같은 C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피치료자가 방사선조사부(40)에 대한 지지대(table)에 위치하는 경우, 갠트리가 지지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피치료자의 표적부위에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될 수 있다.
제어부(30)에서 방사선조사부(40)의 동작 상태 및 출력부(20)의 출력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30)에서 제어될 수 있는 방사선조사부(40)의 동작상태에는 방사선조사부(40)에 의한 방사선 빔의 조사 개시(start), 중단(pause), 종료(finish), 방사선 빔의 강도, 방사선 조사의 범위, 방사선 조사 형태, 방사선 조사 시간, 지지대의 위치, 갠트리의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출력부에서 호흡신호가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에서 방사선조사부(40)의 동작상태가 제어되는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제어부(30)는 호흡신호가 규칙적인 경우,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결정할 수 있고,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방사선 조사를 위한 호흡신호의 임계범위로 설정하여 방사선조사부(40)로 하여금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방사선조사부(40)에 의한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고, 호흡신호 중 들숨신호가 설정된 들숨임계치를 초과하거나 호흡신호 중 날숨신호가 설정된 날숨임계치 미만인 경우 방사선조사부(40)로 하여금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가 중단되도록 할 수 있고,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거나 중단될 때, 호흡신호 발생 장치(10)가 리셋(reset)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20)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신호발생부(200)에서 생성된 피치료자의 호흡신호를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통신부(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이러한 호흡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호흡 방식 또는 호흡 패턴을 구분할 수 있는 신호이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호흡신호가 시간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크기로서 표현된 것으로 파형의 마루가 들숨을 나타내고, 파형의 골이 날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호흡신호가 규칙적인 경우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 때 호흡신호가 규칙적이라는 것은 그 호흡신호가 소정의 사이클(cycle) 동안 동일한 파형으로 형성된 것만을 얘기하는 것은 아니고, 안정된 호흡신호로서 방사선 치료에 적합한 호흡으로 볼 수 있을 경우를 의미한다. 즉, 획득된 호흡신호의 호흡 주기, 호흡 크기, 호흡의 모양 등의 정보로부터 호흡이 규칙적인 정도를 여러 등급으로 나눌 수 있고, 호흡이 규칙적인 정도가 소정의 등급 이상인 경우 규칙적인 호흡신호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피치료자의 호흡 주기가 과도하게 길거나 짧은 경우, 피치료자의 호흡 크기가 과도하게 크거나 작은경우, 또는 피치료자의 호흡의 모양이 불규칙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획득된 호흡신호는 방사선 치료에 적당한 호흡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로부터 발생된 호흡신호가 규칙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30)에서는 호흡신호의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규칙적인 신호로 판단된 호흡신호에 있어서, 들숨임계치는 호흡신호 파형의 최고점의 수치 값보다는 높은 수치 값으로, 날숨임계치는 최저점의 수치 값보다는 낮은 수치 값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치료자 별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는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저장부에 치료 시점으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결정된 호흡신호의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가 호흡신호의 임계범위로 설정되어 방사선조사부(40)로 하여금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방사선조사부(40)에 의한 방사선 조사가 개시된 경우, 제어부(30)에서는 호흡신호 중 들숨신호가 결정된 들숨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날숨신호가 결정된 날숨임계치 미만인 경우가 판단될 수 있다. 즉, 제어부(30)에서는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판단될 수 있다.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임계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30)에서는 방사선조사부(40)의 동작이 중단되거나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30)에서는 호흡신호의 호흡 주기가 과도하게 길거나 짧은 경우, 호흡의 크기가 과도하게 크거나 작은 경우 또는 호흡의 모양이 불규칙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방사선조사부(40)의 동작이 중단되거나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에서는 방사선조사부(40)의 방사선 조사가 개시된 경우,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방사선 치료를 받기에 적합한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고,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방사선조사부(40)의 동작 상태를 중단 상태 또는 종료 상태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0)에 의해서 방사선조사부(40)의 동작이 중단된 경우, 피치료자 자세의 변화가 있었던 경우에는 피치료자로 하여금 자세를 수정하게 한 후 호흡신호 발생 장치(10)가 리셋되도록 하고, 피치료자의 자세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10)가 즉시 리셋되도록 할 수 있다.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리셋 시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위치측정부(100)에 포함된 관성측정장치도 리셋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관성측정장치의 리셋을 통해 관성측정장치가 위치를 측정하는 동안 축적된 잡음(noise) 및 오차(error)가 제거될 수 있다. 즉, 관성측정장치가 리셋됨에 따라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위치측정부(100)에서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10)가 부착된 위치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리셋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30)에서는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규칙적인지를 다시 판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가 재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피치료자에게 부착된 호흡신호 발생 장치(10)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위치를 기초로 피치료자의 호흡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발생된 호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호흡신호를 기초로 피치료자에게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고, 피치료자에게 부착된 호흡신호 발생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장치의 위치는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들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 호흡신호를 기초로 피치료자에게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피치료자의 호흡신호가 규칙적인지 판단하는 단계, 호흡신호가 규칙적인 경우, 규칙적인 호흡신호의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결정하는 단계,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방사선 조사를 위한 호흡신호의 임계범위로 설정하여 피치료자에게로 방사선의 조사를 개시하는 단계,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고, 호흡신호 중 들숨신호가 들숨임계치를 초과하거나 호흡신호 중 날숨신호가 날숨임계치 미만인 경우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를 중단하는 단계 및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거나 중단될 때,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를 리셋(reset)시키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방법의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를 리셋(reset)시키는 단계에서, 피치료자의 자세가 변화된 경우에는 피치료자로 하여금 자세를 수정하게 한 후 호흡신호 발생 장치(10)를 리셋시키고, 피치료자의 자세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10)가 즉시 리셋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10 : 호흡신호 발생 장치
20 : 출력부 30 : 제어부
40 : 방사선조사부 100 : 위치측정부
200 : 신호발생부 210 : 출력부의 출력형태 예시
211 : 들숨임계치 212 : 날숨임계치
300 : 통신부 400 : 반도체검출부

Claims (9)

  1.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 시 피치료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로서,
    상기 장치가 부착된 위치에 대한 3차원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상기 위치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를 기초로 호흡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호흡 신호를 상기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방사선조사부에 의해 조사되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상기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감약(attenuation) 또는 감쇠를 확인하기 위한 반도체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검출부는 상기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감약 또는 감쇠가 확인되는 경우, 방사선 검출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으로 송신하며,
    상기 위치측정부에는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들이 포함되고, 상기 관성측정장치들을 통해 상기 위치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정부에는 상기 관성측정장치들이 소정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들 각각에 의하여 측정된 값이 상호 보정됨으로써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신호 발생 장치.
  4.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항 또는 제 3 항의 호흡신호 발생 장치;
    피치료자에 대하여 방사선 빔을 조사(irradiate)하는 방사선조사부;
    상기 호흡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피치료자의 호흡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선조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호흡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피치료자의 호흡 신호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방사선조사부의 동작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흡신호 발생 장치는, 상기 장치가 부착된 위치의 좌표를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IMU)들을 통해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상기 위치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호흡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 및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호흡 신호를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흡 신호가 규칙적인 경우,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결정하고, 상기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방사선 조사를 위한 호흡 신호의 임계범위로 설정하여 상기 방사선조사부로 하여금 상기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도록 하며,
    상기 방사선조사부에 의한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고, 상기 호흡 신호 중 들숨신호가 상기 설정된 들숨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호흡 신호 중 날숨신호가 상기 설정된 날숨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방사선조사부로 하여금 상기 피치료자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가 중단되도록 하고,
    상기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거나 중단될 때, 상기 호흡신호 발생 장치가 리셋(reset)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3항의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으로서,
    위치측정부가 피치료자에게 부착된 상기 호흡신호 발생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신호발생부가 상기 측정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피치료자의 호흡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출력부가 상기 발생된 호흡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호흡 신호를 기초로 방사선조사부에 의해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치료자에게 부착된 상기 호흡신호 발생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를 복수개의 관성측정장치들을 통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신호를 기초로 방사선조사부에 의해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는 단계는,
    상기 피치료자의 호흡 신호가 규칙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호흡 신호가 규칙적인 경우, 상기 규칙적인 호흡 신호의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들숨임계치 및 날숨임계치를 방사선 조사를 위한 상기 호흡 신호의 임계범위로 설정하여 방사선의 조사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고, 상기 호흡 신호 중 들숨신호가 상기 들숨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상기 호흡 신호 중 날숨신호가 상기 날숨임계치 미만인 경우 방사선의 조사를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선의 조사가 개시되거나 중단될 때, 상기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리셋(reset)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리셋(reset)시키는 단계는,
    상기 피치료자의 자세가 변화된 경우에는 상기 피치료자로 하여금 자세를 수정하게 한 후 상기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리셋시키고, 상기 피치료자의 자세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호흡신호 발생 장치를 즉시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동작방법.
  9. 삭제
KR1020180047366A 2018-04-24 2018-04-24 호흡신호 발생 장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457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366A KR102457972B1 (ko) 2018-04-24 2018-04-24 호흡신호 발생 장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366A KR102457972B1 (ko) 2018-04-24 2018-04-24 호흡신호 발생 장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38A KR20190123538A (ko) 2019-11-01
KR102457972B1 true KR102457972B1 (ko) 2022-10-24

Family

ID=6853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366A KR102457972B1 (ko) 2018-04-24 2018-04-24 호흡신호 발생 장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9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4371A (ja) 2004-09-30 2008-05-08 バリア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呼吸と医療手順を同期させるための患者に視覚的指示を与える技術
KR101489093B1 (ko) 2013-11-06 2015-02-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1751168B1 (ko) * 2016-01-06 2017-06-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9자유도 미세전자기계시스템 센서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 중 환자의 움직임을 9축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플랫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9068B2 (en) * 2005-07-22 2012-07-24 Tomotherapy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 breathing phase of a patient receiving radiation therapy
KR101497436B1 (ko) * 2013-01-15 2015-03-02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환자의 호흡 패턴에 기반한 방사선 치료 방법 및 그 장치
KR101654914B1 (ko) * 2014-08-12 2016-10-10 주식회사 고니메드 호흡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호흡 측정 방법
KR101766268B1 (ko) 2015-04-23 2017-08-08 한우석 호흡 동조 방사선 치료를 위한 호흡 동조 신호 취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4371A (ja) 2004-09-30 2008-05-08 バリア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呼吸と医療手順を同期させるための患者に視覚的指示を与える技術
KR101489093B1 (ko) 2013-11-06 2015-02-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1751168B1 (ko) * 2016-01-06 2017-06-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9자유도 미세전자기계시스템 센서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 중 환자의 움직임을 9축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플랫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38A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4464B2 (ja) 放射線治療制御装置および放射線治療制御プログラム
CN111148548B (zh) 用于发射辐射束以治疗患者的目标肿瘤的放疗设备
JP7062744B2 (ja) 電流生成装置、電流生成装置の制御方法、動体追跡照射システム、x線照射装置、及びx線照射装置の制御方法
JP7298835B2 (ja) 医用装置、医用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10441B2 (ja) 放射線治療システム
EP2502648A1 (en) Device for controlling radiation therapy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of specific part
JP2016116659A (ja) 医用画像処理装置、治療システム、医用画像処理方法、およ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989166B2 (ja) 画像診断装置
CN104220132B (zh) 一种呼吸跟踪装置及放射治疗系统
US9844685B2 (en) Radiotherapy equipment control device, radiotherapy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executed by computer for radiotherapy equipment
JP2010183976A (ja) 放射線治療装置制御装置および放射線照射方法
KR101489093B1 (ko) 호흡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2457972B1 (ko) 호흡신호 발생 장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20170296843A1 (en) Processing device for a radiation therapy system
TWM541281U (zh) 血流偵測裝置及其血流偵測器
JP2016539719A (ja) Ctガイド下インターベンション処置中の呼吸監視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7066353B2 (ja) 治療用寝台及び放射線治療システム
US201501196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iggering an imaging process
JPH11333007A (ja) 治療システムにおける呼吸同期装置
JP6259283B2 (ja) モデル生成装置、放射線治療装置制御装置およびモデル生成方法
JP7404039B2 (ja) 患者制動ガイド装置及び放射線治療装置
KR102619330B1 (ko) 방사선 치료시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숨참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7264389B2 (ja) 医用装置、医用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496775A (zh) 一种放射线设备的控制方法和系统
Gale et al. Analysis of the uncertainty of daily stereoscopic kV imaging registration process and thermoplastic mask immobilization for head and neck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