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240B1 -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240B1
KR102457240B1 KR1020160060158A KR20160060158A KR102457240B1 KR 102457240 B1 KR102457240 B1 KR 102457240B1 KR 1020160060158 A KR1020160060158 A KR 1020160060158A KR 20160060158 A KR20160060158 A KR 20160060158A KR 102457240 B1 KR102457240 B1 KR 102457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density level
time period
density
ai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454A (ko
Inventor
안효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0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24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공기조화기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설정 학습기간 동안 각 설정시간대 별로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각 설정시간대 별로 산출된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운전시,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여, 실내의 실제 공조조건을 반영하여 실내를 보다 쾌적하게 공조하게 공조할 수 있고, 냉방이나 난방이 부족한 현상을 해소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최대한 만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감지센서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 습도,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실내 열교환기로 송풍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전원 키를 입력하면, 기준 희망온도와 기준 풍량으로 운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원 키를 입력한 후 실내 희망온도나 풍량을 별도로 입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별도로 입력한 실내 희망온도 및 풍량을 기준으로 운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실내 희망온도(설정온도) 및 풍량을 실내온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고, 자동운전시 실내온도에 대응되는 온도데이터, 풍량데이터를 실내 희망온도 및 풍량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다.
KR 특0159173 B1 (1999년01월15일 공고)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에서 다양한 사용자에 의해 실내 희망온도 및 풍량이 각각 입력될 경우, 다수의 사용자 중 일부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온도 및 풍량이 고려되지 못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존하여 실내 희망온도 및 풍량이 결정되므로, 공기조화기가 공조시키는 실내의 실제 공조환경이 반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실내의 실제 공조환경을 반영하여 실내를 최대한 쾌적하게 공조할 수 있고, 냉방 약이나 난방 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설정 학습기간 동안 각 설정시간대 별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각 설정시간대 별로 산출된 상기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각 설정시간대 별로 상기 밀집도 레벨과 함께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 및 오토 스윙 실시 여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시간대 별로 설정시간의 주기로 상기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을 각각 산출할 수 있고, 상기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상승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하지 못하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상승시킬 수 있으며, 상기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하강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였으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은 일부 밀집도 레벨이 다른 밀집도 레벨 보다 서모 오프 갭이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은 일부 밀집도 레벨의 풍량이 다른 밀집도 레벨의 풍량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은 일부 밀집도 레벨만 오토 스윙 동작을 포함하고, 다른 밀집도 레벨은 오토 스윙 동작을 포함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 중 최고 밀집도 레벨은 서모 오프 갭이 3℃ 이상이고, 풍량이 최대 풍량이며, 오토 스윙 동작되게 설정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각 설정시간대별 각각의 밀집도 레벨과,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실시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각 밀집도 레벨 별로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로 각 밀집도 레벨 별로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설정된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에 우선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설정 학습기간 동안 인체를 감지하고, 설정 학습기간의 각 설정시간대 별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밀집도 산출 단계와;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공기조화기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집도 산출 단계는 상기 설정 학습기간 동안 상기 설정시간대 별로 설정시간의 주기로 상기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는 평균값 산출 과정과, 상기 평균값 산출 과정에 의해 산출된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상승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하지 못하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상승시키고, 상기 평균값 산출 과정에 의해 산출된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하강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였으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하강시키는 밀집도 산출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설정 학습기간 동안 인체를 감지하고, 설정 학습기간의 각 설정시간대 별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밀집도 산출 단계와;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공기조화기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되, 사용자가 밀집도 산출단계 이후에 각 밀집도 레벨의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 입력하였으면,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설정된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에 우선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학습 로직을 통해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된 밀집도 레벨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트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 제어하므로, 실내의 실제 공조조건을 반영하여 실내를 보다 쾌적하게 공조하게 공조할 수 있고, 냉방이나 난방이 부족한 현상을 해소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최대한 만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특정일에 실시된 학습 로직에 따라 특정일 익일부터 실내를 최적으로 공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를 조정 입력할 수 있고, 밀집도 레벨 및 사용자의 입력이 함께 고려되어 작동되므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최대한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보다 쾌적하게 실내를 공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실내에 설치된 예가 도시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실내에 설치된 예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는 실내(R, 이하, 공조실이라 칭함)의 인체(P)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와, 인체감지센서(1)의 감지 결과에 따라 공조실의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된 밀집도 레벨을 고려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어부(10)에서 산출된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본체(2)와, 입력부(3)와, 실내온도센서(4)와, 압축기(5)와, 열교환기(6)와, 팬(7)과, 베인(8)과, 베인모터(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2)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1)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2)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1)는 본체(2)가 공기조화시키는 공조실(R)의 인체(P)를 감지할 수 잇다. 인체감지센서(1)는 본체(2)에 설치되어 공조실(R)의 인체(P)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체감지센서(1)는 본체(2)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공조실(R)의 인체(P)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체감지센서(1)는 제어부(10)와 신호선이나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고, 공조실(R) 내의 인체(P)를 감지하여 그 감지한 값(즉, 인체의 카운트 값)을 제어부(10)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3)는 사용자나 관리자(이하, 사용자라 칭함)가 실내 희망온도를 입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3)는 사용자가 풍량을 입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3)는 베인(8)을 스윙시키는 오토 스윙 여부를 입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3)는 본체(2)에 장착된 컨트롤 패널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원격으로 공기조화기를 조작할 수 있는 리모컨 등의 원격조작기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3)는 기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입력부(3)는 다수의 공기조화기와 신호선이나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연결되어 다수의 공기조화기를 통합 제어하는 중앙 제어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입력부(3)는 실내 희망온도 입력부와, 풍량 입력부와, 오토 스윙 입력부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부(3)는 외부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보고 터치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3)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3)를 통해 후술하는 밀집도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를 통해 각 밀집도 레벨 별로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실내온도센서(4)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할 수 있다. 실내온도센서(4)는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온도센서(4)는 본체(2) 내부의 공기 유동방향으로 공기흡입구(11)와 실내열교환기(6)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5)는 제어부(10)에 의해 써모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실내온도센서(4)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의 변화에 따라 압축기(5)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부(10)는 냉방운전을 기준으로, 실내온도센서(4)에서 감지된 실내온도가 실내 희망온도에 서모 온 갭(예를 들면, 0.5℃, 1℃, 1.5℃, 2℃ 등)를 합한 온도 이상이면 압축기(4)를 온시킬 수 있고, 냉방운전을 기준으로, 실내온도센서(4)에서 감지된 실내온도가 실내 희망온도에서 서모 오프 갭(예를 들면, 0.5℃, 1℃, 1.5℃, 2℃ 등)을 뺀 온도 이하이면 압축기(4)를 오프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본체(2)와, 인체감지센서(1)와, 입력부(3)와, 실내온도센서(4)와, 열교환기(6)와, 팬(7)과, 베인(8)과, 베인모터(9)을 포함하는 실내기(I)와, 압축기(5)를 포함하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실내기(I)와 실외기는 신호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통신할 수 있다.
열교환기(6)는 본체(2)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압축기(5)의 구동시 냉매가 통과하면서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팬(7)은 본체(2)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블로워 또는 임펠러(이하, 블로워라 칭함)와, 블로워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팬(7)은 그 회전수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풍량을 결정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순차적으로 회전수가 증가되는 다수의 풍량을 갖는 것이 가능하고, 약풍, 강풍, 파워풍 등과 같은 다수의 풍량을 갖거나 약풍, 중풍, 강풍, 파워풍 등과 같은 다수의 풍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베인(8)은 본체(2)에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로서, 본체(2)의 내부 또는 공기토출구(12)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베인모터(9)는 베인(8)에 직접 연결되거나 링크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베인(8)을 특정 각도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베인(8)을 스윙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베인모터(9)는 오토 스윙 모드시 베인(8)을 스윙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0)는 입력부(3)의 입력에 따라 압축기(5), 팬(7)과, 베인모터(9)를 제어할 수 있고, 인체감지센서(1)를 이용한 학습정보에 따라 압축기(5), 팬(7)과, 베인모터(9)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인체감지센서(1)를 이용하여 공조실(R)의 통상적인 공조조건(예를 들면, 인체의 수)을 학습하는 학습기능을 갖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설정 학습기간 동안 인체감지센서(1)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을 이용하여 밀집도를 학습할 수 있고, 설정 학습기간이 경과된 이후에 학습된 밀집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를 인체감지센서(1)를 이용한 학습기능의 사용 여부를 입력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입력부(3)로 학습 모드가 입력되면 밀집도를 학습하여 저장하고, 이후에는 이렇게 학습되어 저장된 밀집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를 통해 설정 학습기간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10)는 입력부(3)를 통해 입력된 설정 학습기간 동안 인체감지센서(1)를 이용하여 밀집도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3)로 학습 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설정 학습기간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는 기설정된 설정 학습기간(예를 들면, 24시간) 동안 밀집도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3)를 통해 설정 학습기간의 개시시간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10)는 설정 학습기간의 개시시간이 입력된 경우, 이러한 개시시간에 도달되면 인체감지센서(1)를 이용하여 밀집도를 산출하는 학습 로직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설정 학습기간 동안 각 설정시간대 별로 인체감지센서(1)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는 각 설정시간대 별로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학습기간은 공기조화기가 공조실(R)의 공조조건을 학습하는 특정일의 전체 또는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학습시간은 특정일(예를 들면, 6월1일)의 전체 시간(0시부터 24시까지)인 것이 가능하고, 특정일(예를 들면, 6월1일)의 일부 시간(13시부터 20시까지)인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설정시간대는, 설정 학습기간을 분할한 다수의 시간대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학습기간이 13시부터 20시까지일 경우, 각 설정시간대는 13시부터 14시사이의 제1시간대와, 14시부터 15시 사이의 제2시간대와, 15시부터 16시 사이의 제3시간대와, 16시부터 17시 사이의 제4시간대와, 17시부터 제18시 사이의 제5시간대와, 18시부터 19시 사시의 제6시간대와, 19시부터 20시 사이의 제7시간대일 수 있다.
각 설정시간대는 1시간씩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고, 30분씩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수의 설정시간대 중 어느 하나의 설정시간대가 1시간으로 설정되고, 다른 설정시간대가 30분으로 설정되는 것과 같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밀집도 레벨은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5레벨 등과 같이, 순차적으로 상승되는 레벨일 수 있다.
압축기(5)의 구동시간은 복수의 밀집도 레벨 중 일부 밀집도 레벨에서 길 수 있다. 팬(7)의 회전수는 복수의 밀집도 레벨 중 일부 밀집도 레벨에서 높을 수 있다. 베인모터(9)는 복수의 밀집도 레벨 중 낮은 밀집도 레벨일 때 베인(8)을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고, 복수의 밀집도 레벨 중 상대적으로 높은 밀집도 레벨일 때 베인(8)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제어부(10)가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는 설정시간대(예를 들면, 제1-7시간대) 별로 설정시간(예를 들면, 10분)의 주기로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1)는 각 설정시간(예를 들면, 10분) 별로, 소정주기(예를 들면, 1분)의 간격으로 인체의 수를 감지하여 제어부(10)로 그 인체 카운트값을 계속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10)는 설정시간(예를 들면, 10분) 동안 감지된 인체 카운트값(예를 들면, 4,4,4,5,5,5,5,6,6,6)의 평균값(예를 들면, 5)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상기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상승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하지 못하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상승시킬 수 있다. 제어부(10)는 이렇게 산출된 밀집도 레벨을 저장부(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최초의 밀집도 레벨 산출과 같이, 이전의 밀집도 레벨이 없는 경우, 밀집도 레벨을 1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상기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하강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였으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하강시킬 수 있다. 제어부(10)는 이렇게 산출된 밀집도 레벨을 저장부(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최조의 밀집도 레벨 산출과 같이, 이전의 밀집도 레벨이 없을 경우, 저장부(20)에 밀집도 레벨을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설정횟수는 2회 또는 3회와 같이, 6회 미만의 소정 횟수가 설정될 수 있고, 설정%는 10% 또는 20%와 같이 공조실 내 인체 변화를 파악 가능한 특정%가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설정횟수는 3회로 설정될 수 있고, 설정%는 20%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설정시간은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설정시간대 각각은 총 6개의 시간대를 갖을 수 있으며, 설정시간대 각 시간 동안에는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이 6개 산출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설정시간대 각각의 시간 경과에 따른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 예시를 표 1에 기재하여 설명한다.
0~10분 10~20분 20~30분 30~40분 40~50분 50~60분 온도조건만족여부 밀집도 레벨
제1시간대 5 5 6 8 10 10 불만족 1
제2시간대 10 12 15 18 18 18 불만족 2
제3시간대 10 12 15 20 17 14 불만족 3
제4시간대 13 12 13 15 11 8 불만족 3
제5시간대 11 10 8 6 4 4 만족 2
제6시간대 4 4 3 2 1 1 만족 1
제7시간대 1 2 1 1 1 0 만족 1
표 1과 같이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이 산출된 경우, 제어부(10)는 제1시간대가 경과되었을 때, 제1시간대의 동안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이 3회 동안 20% 이상씩 연속 상승하였고, 제1시간대의 동안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 하지 못하여 온도조건을 불만족하였으므로, 밀집도 레벨을 제1레벨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2시간대가 경과되었을 때, 제2시간대의 동안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이 3회 동안 20% 이상씩 연속 상승하였고, 제2시간대의 동안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하지 못하여 온도조건을 불만족하였으므로, 밀집도 레벨을 그 직전에 저장된 제1레벨 보다 한 레벨 더 높은 제2레벨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3시간대가 경과되었을 때, 제3시간대의 동안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이 3회 동안 20% 이상씩 연속 상승하였고, 제3시간대의 동안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 하지 못하여 온도조건을 불만족하였으므로, 밀집도 레벨을 그 직전에 저장된 제2레벨 보다 한 레벨 더 높은 제3레벨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4시간대가 경과되었을 때, 제4시간대의 동안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이 3회 동안 20% 이상씩 연속 상승하거나 3회 동안 20% 이상씩 연속 하강하지 못하였으므로, 제4시간대의 동안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하였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지 못하고, 그 이전에 저장된 레벨인 제3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어부(10)는 제5시간대가 경과되었을 때, 제5시간대의 도중에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이 3회 동안 20% 이상씩 연속 하강하였고, 제5시간대의 동안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하여 온도조건을 만족하였으므로, 밀집도 레벨을 그 직전에 저장된 레벨인 제3레벨에서 제2레벨로 낮추어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6시간대가 경과되었을 때, 제6시간대의 도중에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이 3회 동안 20% 이상씩 연속 하강하였고, 제6시간대의 동안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하여 온도조건을 만족하였으므로, 밀집도 레벨을 그 이전의 레벨인 제2레벨에서 제1레벨로 낮추어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어부(10)는 제7시간대가 경과되었을 때, 제7시간대의 동안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이 3회 동안 20% 이상씩 연속 상승되거나 3회 동안 20% 이상씩 연속 하강하지 못하였으므로 제7시간대의 동안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하였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지 못하고, 그 직전에 저장된 레벨인 제1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상기와 같은 밀집도 레벨의 저장시, 각 설정시간대 별로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 오토 스윙 실시 여부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상기와 같이 학습 로직을 실시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학습 로직을 완료한 이후에, 이러한 학습 로직에서 학습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디스플레이로 각 설정시간대별 각각의 밀집도 레벨과,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실시 여부의 정보를 송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는 각 설정시간대별 각각의 밀집도 레벨과,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실시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 설정시간대별 각각의 밀집도 레벨를 확인할 수 있고, 밀집도 레벨이 저장된 각 설정시간대 각각의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 오토 스윙 실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는 냉방기준으로 제1레벨를 표시함과 아울러 평균 실내온도가 25℃이고, 평균 희망온도가 24℃이며, 주사용풍량이 중풍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는 냉방기준으로 제2레벨을 표시함과 아울러 평균 실내온도가 26℃이고, 평균 희망온도가 24℃이며, 주사용풍량이 중풍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보고 각 설정시간대 각각의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 오토 스윙 실시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입력부(3)을 통해 각 밀집도 레벨 별로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를 통해 제1레벨의 실내 희망온도를 22℃로 입력할 수 있고, 제1레벨의 주사용풍량을 강풍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제1레벨의 오토 스윙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입력부(3)를 통해 제2레벨의 실내 희망온도를 23℃로 입력할 수 있고, 제2레벨의 주사용풍량을 강풍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제2레벨의 오토 스윙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3)로 각 밀집도 레벨 별로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 입력하였으면, 제어부(1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밀집도 레벨 별로 설정된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에 우선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는 학습 로직에 의해 설정된 제어 로직으로 공기조화기를 제어하지 않고, 사용자가 입력을 우선 고려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실내 희망온도에 따라 압축기(3)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풍량에 따라 팬(7)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오토 스윙 여부에 따라 베인모터(9)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학습기능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최적 제어 하는 한편 사용자의 기호를 우선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부(3)를 통해 각 밀집도 레벨의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를 조정 입력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20)는 각 설정시간대 별로 산출된 밀집도 레벨과, 각 밀집도 레벨별로 설정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밀집도 레벨과 그에 따른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의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레벨은 학습로직이 실시되기 이전의 써모 온 갭이 1℃이고, 써모 오프 갭이 1℃일 경우, 써모 오프 갭에 1℃를 더하여, 써모 오프 갭을 2℃로 설정할 수 있고, 풍량은 주 사용풍량(예를 들면, 중풍)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레벨은 제1레벨과 같이, 학습로직이 실시되기 이전의 써모 온 갭이 1℃이고, 써모 오프 갭이 1℃일 경우, 써모 오프 갭에 1℃를 더하여, 써모 오프 갭을 2℃로 설정할 수 있고, 풍량은 주 사용풍량(예를 들면, 중풍) 보다 한 단계 더 높은 풍량(예를 들면, 강풍)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3레벨은 제1레벨과 같이, 학습로직이 실시되기 이전의 써모 온 갭이 1℃이고, 써모 오프 갭이 1℃일 경우, 써모 오프 갭에 1℃를 더하여, 써모 오프 갭을 2℃로 설정할 수 있고, 풍량은 주 사용풍량(예를 들면, 중풍) 보다 한 단계 더 높은 풍량(예를 들면, 강풍)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오토 스윙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4레벨은 학습로직이 실시되기 이전의 써모 온 갭이 1℃이고, 써모 오프 갭이 1℃일 경우, 써모 오프 갭에 2℃를 더하여, 써모 오프 갭을 3℃로 설정할 수 있고, 풍량은 주 사용풍량(예를 들면, 중풍) 보다 한 단계 더 높은 풍량(예를 들면, 강풍)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오토 스윙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5레벨은 학습로직이 실시되기 이전의 써모 온 갭이 1℃이고, 써모 오프 갭이 1℃일 경우, 써모 오프 갭에 2℃를 더하여, 써모 오프 갭을 3℃로 설정할 수 있고, 풍량은 최대 풍량인 파워 풍량으로 설정될 수 잇으며, 오토 스윙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저장부(20)에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이 저장된 경우,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은 일부 밀집도 레벨이 다른 밀집도 레벨 보다 서모 오프 갭이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저장부(20)에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이 저장된 경우,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은 일부 밀집도 레벨의 풍량이 다른 밀집도 레벨의 풍량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저장부(20)에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이 저장된 경우,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은 일부 밀집도 레벨만 오토 스윙 동작을 포함하고, 다른 밀집도 레벨은 오토 스윙 동작을 포함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저장부(20)에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이 저장된 경우,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 중 최고 밀집도 레벨은 서모 오프 갭이 3℃ 이상이고, 풍량이 최대 풍량이며, 오토 스윙 동작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는 밀집도 레벨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때, 각 설정시간대 별로 저장된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 및 오토 스윙 실시 여부에 밀집도 레벨에 의해 결정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를 반영하여 압축기(5), 팬(7) 및 베인모터(9)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밀집도 레벨이 산출되었던 특정일의 익일부터, 특정일에 산출된 밀집도 레벨을 고려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고, 특정일의 설정시간대에 산출되었던 밀집도 레벨과, 저장부(20)에 기저장된 평균 희망온도와, 평균 실내온도와, 오토 스윙 여부를 고려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월1일의 제1시간대에 대한 밀집도 레벨이 산출됨과 아울러 제1시간대 동안의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 및 오토 스윙 실시 여부가 밀집도 레벨과 함께 저장부(20)에 저장되었으면, 제어부(10)는 6월2일의 제1시간대에 저장부(20)에 저장된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 및 오토 스윙 실시 여부에 밀집도 레벨을 반영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6월2일의 제1시간대는 밀집도 레벨이 산출되었던 시간인 6월1일의 제1시간대와 동일시간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6월1일 제1시간대의 평균 희망온도가 22℃이고, 6월1일 제1시간대의 주 사용풍량이 중풍이였으며, 6월1일 제1시간대에 오토 스윙 동작이 행해지지 않았고, 6월1일 제1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이 제1단계로 산출되어 저장되었으면, 제어부(10)는 6월2일 제1시간대의 평균 희망온도가 22℃이고, 6월2일 제1시간대의 주 사용풍량이 중풍이며, 6월2일 제1시간대의 서모 오프 갭이 2℃이며, 6월2일 제1시간대 에 오토 스윙 동작이 행해지지 않게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6월2일 제1시간대의 동안 실내온도센서(4)에서 감지된 온도가 20℃로 이하로 하강되면 압축기(5)를 써모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6월2일 제1시간대의 이전에, 사용자는 입력부(2)를 통해 제1시간대의 밀집도 레벨과,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 오토 스윙 실시 여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보고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 오토 스윙 실시 중 적어도 하나의 조정이 필요하다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를 통해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20)는 6월2일의 제1시간대에 사용자의 입력을 우선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내 희망온도를 21 ℃로 입력하고, 풍량을 강풍으로 입력하며, 오토 스윙 동작을 입력하였으면, 6월2일의 제1시간대의 동안 6월1일의 제1시간대에 산출된 밀집도 레벨을 고려하여 실내온도센서(4)에서 감지된 온도가 19℃로 이하로 하강되면 압축기(5)를 써모 오프시킬 수 있고, 입력부(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우선하여 팬(7)을 강풍의 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베인모터(9)를 스윙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제2시간대 내지 제7시간대와 관련하여, 밀집도 레벨 산출과, 산출된 밀집도 레벨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및 사용자 입력을 우선 고려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것은 제1시간대와 같이 실시될 수 있고, 그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은 설정 학습기간 동안 인체를 감지하고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밀집도 산출 단계(S1)와; 설정 학습기간 이후에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S2)(S3)(S4)를 포함할 수 있다.
밀집도 산출 단계(S1)는 공기조화기가 공조시키는 공조실(R)의 밀집도 레벨을 학습하는 학습 로직일 수 있고, 제어 단계(S2)(S3)(S4)는 학습 로직에서 학습된 밀집도 레벨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 로직일 수 있다.
밀집도 산출 단계(S1)의 학습 로직이 특정일(예를 들면, 6월1일)에 실시되었으면, 제어 단계(S2)(S3)(S4)는 학습 로직이 실시된 특정일의 익일(예를 들면, 6월2일)이나 사용자가 입력부(3)를 통해 입력한 별도의 개시일(예를 들면, 6월10일)부터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밀집도 산출 단계(S1)는 설정 학습기간 동안 인체를 감지하고, 설정 학습기간의 각 설정시간대 별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밀집도 산출 단계(S1)는 설정 학습기간 동안 설정시간대 별로 설정시간의 주기로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는 평균값 산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밀집도 산출 단계(S1)는 평균값 산출 과정에 의해 산출된 평균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 여부에 따라 밀집도를 산출하는 밀집도 산출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집도 산출과정은 평균값 산출 과정에 의해 산출된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상승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하지 못하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상승시킬 수 있다.
밀집도 산출과정은 평균값 산출 과정에 의해 산출된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하강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였으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하강시킬 수 있다.
제어 단계(S2)(S3)(S4)는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공기조화기 운전시,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단계(S2)(S3)(S4)는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되, 사용자가 밀집도 산출단계(S1) 이후에 각 밀집도 레벨의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 입력하였으면, 사용자의 입력을 밀집도 레벨 별로 설정된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에 우선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S2)(S4)
반면에, 제어 단계(S2)(S3)(S4)는 밀집도 산출 단계(S1) 이후에 사용자가 각 밀집도 레벨의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 입력하지 않았으면, 밀집도 레벨 별로 설정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를 기준으로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S2)(S3)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인체감지센서 3: 입력부
10: 제어부 20: 저장부

Claims (13)

  1.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설정 학습기간 동안 각 설정시간대 별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각 설정시간대 별로 산출된 상기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 설정시간대 별로 상기 밀집도 레벨과 함께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 및 오토 스윙 실시 여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설정 학습기간 동안 각 설정시간대 별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각 설정시간대 별로 산출된 상기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시간대 별로 설정시간의 주기로 상기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상승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하지 못하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상승시키고,
    상기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하강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였으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하강시키는 공기조화기.
  4.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설정 학습기간 동안 각 설정시간대 별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각 설정시간대 별로 산출된 상기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은 일부 밀집도 레벨이 다른 밀집도 레벨 보다 서모 오프 갭이 크게 설정된 공기조화기.
  5.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설정 학습기간 동안 각 설정시간대 별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각 설정시간대 별로 산출된 상기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은 일부 밀집도 레벨의 풍량이 다른 밀집도 레벨의 풍량 보다 크게 설정된 공기조화기.
  6.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설정 학습기간 동안 각 설정시간대 별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각 설정시간대 별로 산출된 상기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은 일부 밀집도 레벨만 오토 스윙 동작을 포함하고, 다른 밀집도 레벨은 오토 스윙 동작을 포함하지 않게 설정된 공기조화기.
  7.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설정 학습기간 동안 각 설정시간대 별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각 설정시간대 별로 산출된 상기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밀집도 레벨 중 최고 밀집도 레벨은 서모 오프 갭이 3℃ 이상이고, 풍량이 최대 풍량이며, 오토 스윙 동작되게 설정된 공기조화기.
  8.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설정 학습기간 동안 각 설정시간대 별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각 설정시간대 별로 산출된 상기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고,
    각 설정시간대별 각각의 밀집도 레벨과, 평균 실내온도와, 평균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실시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설정 학습기간 동안 각 설정시간대 별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각 설정시간대 별로 산출된 상기 밀집도 레벨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고,
    사용자가 각 밀집도 레벨 별로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 각 밀집도 레벨 별로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설정된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에 우선하여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1. 설정 학습기간 동안 인체를 감지하고, 설정 학습기간의 각 설정시간대 별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밀집도 산출 단계와;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공기조화기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집도 산출 단계는
    상기 설정 학습기간 동안 상기 설정시간대 별로 설정시간의 주기로 상기 인체 카운트값의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는 평균값 산출 과정과,
    상기 평균값 산출 과정에 의해 산출된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상승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 도달하지 못하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상승시키고, 상기 평균값 산출 과정에 의해 산출된 평균값이 설정횟수 동안 설정% 이상씩 연속 하강하고, 실내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하였으면, 해당 설정시간대의 밀집도 레벨을 한 레벨 하강시키는 밀집도 산출과정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13. 설정 학습기간 동안 인체를 감지하고, 설정 학습기간의 각 설정시간대 별로 감지된 인체의 카운트값과 실내온도의 희망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밀집도 레벨을 산출하는 밀집도 산출 단계와;
    상기 설정 학습기간 이후의 공기조화기 운전시,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서모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제어하되, 사용자가 밀집도 산출단계 이후에 각 밀집도 레벨의 실내 희망온도와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 입력하였으면,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밀집도 레벨 별로 설정된 오프 갭과, 풍량과, 오토 스윙 여부에 우선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KR1020160060158A 2016-05-17 2016-05-17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2457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58A KR102457240B1 (ko) 2016-05-17 2016-05-17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58A KR102457240B1 (ko) 2016-05-17 2016-05-17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54A KR20170129454A (ko) 2017-11-27
KR102457240B1 true KR102457240B1 (ko) 2022-10-21

Family

ID=6081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158A KR102457240B1 (ko) 2016-05-17 2016-05-17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364B1 (ko) 2019-07-05 2024-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적 쾌적성 기반의 공조 방법 및 공조기
CN114738874A (zh) * 2022-05-08 2022-07-12 湖南格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调控的智能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17889536A (zh) * 2024-03-15 2024-04-16 陕西蓝海智能科技有限公司 空调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2672A (ja) * 2011-06-14 2013-01-07 Azbil Corp 空調制御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173B1 (ko) 1995-01-06 1999-01-1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학습에 의한 설정온도 및 설정풍량 자동조절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2672A (ja) * 2011-06-14 2013-01-07 Azbil Corp 空調制御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54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2306B2 (en) Temperature controller with model-based time to target calculation and display
US788182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330328B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836431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151150B (zh) 一种嵌入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26224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57240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JP6242309B2 (ja) 空気調和機
CN106152374B (zh) 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及空调室内机
JP2015042922A (ja) 空気調和機
US108162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mping down flammable refrigerant
CN105518396B (zh) 空调系统
JP2011127802A (ja) 空気調和機
US20200132322A1 (en) Air-conditioning device
US109280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mping down flammable refrigerant
EP3677850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cleaning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N111780247B (zh) 一种双出风口的柜式空调器
JP2015206483A (ja) 空気調和機
CN107023935B (zh) 空调系统及其停机控制方法
JP6537705B2 (ja) 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4662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3511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6746246B2 (ja) 空気調和機
JP2001059639A (ja) 空気調和装置
KR102346626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