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100B1 -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100B1
KR102457100B1 KR1020150152109A KR20150152109A KR102457100B1 KR 102457100 B1 KR102457100 B1 KR 102457100B1 KR 1020150152109 A KR1020150152109 A KR 1020150152109A KR 20150152109 A KR20150152109 A KR 20150152109A KR 102457100 B1 KR102457100 B1 KR 102457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exercise
vein
bod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503A (ko
Inventor
전슬마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100B1/ko
Priority to US15/299,092 priority patent/US10172535B2/en
Publication of KR2017005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5Biometric patterns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s, e.g. heartbeat, blood flow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arket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맥인증 또는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정맥인증을 통해 개인을 식별하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측정된 사용자의 상태로부터 건강상태를 계산하는 제어모듈 및 관리서버에 측정된 체성분 정보 또는 정맥 정보를 송신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데에 있어 사용자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나이, 성별, 신장, 몸무게, 체성분 등의 신체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운동량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정확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성분, 운동량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근육량, 체지방 등을 갖도록 하는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및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간편하게 정맥인증 절차를 통하여, 자신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부담이 없고 남녀노소 간편하게 자가 진단을 수시로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각 신체 부위의 활동량을 파악하고, 각 신체 부위의 근육량, 체지방을 비교하여 불균형한 신체 부위를 사용자에게 알리어, 사용자가 균형 잡힌 신체를 가꾸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Feedback Information Provided By The Vein Authent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정맥인증 또는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정맥인증을 통해 개인을 식별하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측정된 사용자의 상태로부터 건강상태를 계산하는 제어모듈 및 관리서버에 측정된 체성분 정보 또는 정맥 정보를 송신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란 말 그대로 인간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착용 부위에 따라 안경(Glasses), 워치(Watch), 팔찌, 신발, 반지, 벨트, 밴드(Band), 목걸이, 헤드셋(Headset), 의류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빠른 보급화 단계에 있으며, 그 중에서 인간의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됨과 동시에 착용이 용이한 웨어러블 안경, 웨어러블 워치 그리고 웨어러블 밴드가 가장 많은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말로 스마트(Smart) 디바이스라고도 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만, 일단 구동이 개시되면 그 이후부터는 자동으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워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신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싶다면 사용자가 심박수 측정 입력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웨어러블 워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게 되며, 측정한 심박수를 기초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도 많이 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밴드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없더라도 사용자의 심박수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는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 없는 만큼, 디바이스 구동의 편의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추가 정보의 근원은 사용자로부터 측정한 정보들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심리상태, 체중, 체온, 호흡량, 도보 수, 관심사, 현재위치 등과 같은 정보들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Sensor)를 필수적으로 실장해야 하며, 실장되는 센서의 종류가 많을수록 사용자로부터 많은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심박수 측정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도보 수 측정 센서는 필수적으로 실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제한된 디바이스 내부의 공간에 다양한 센서를 실장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실장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측정한 이후, 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여 혈압이 지나치게 높다면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정보의 제공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각기 다른 사용자에게 필요한 모든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함께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일종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는바,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약에 대한 정보나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의 제공 모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될 때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추가 정보는 다양해질 수밖에 없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개발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는 동반자로 볼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관련 업계의 주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에 NFC(Near Frequency Communication) 기능을 포함시키고,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지갑을 꺼내 결제하지 않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결제를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지갑을 대체하여 모바일 지갑(Mobile Walle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카드 결제 승인 등 보안(Security)과 관련된 인증문제가 다수 존재하므로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매우 많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획득하는 종래의 장치는 사용자 개인의 회원가입 단계에서 사용자의 거부감이 존재하여 사용자 이탈률이 높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수집과 사용자의 정맥인증을 간편하게 수행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인증 및 신체정보를 파악하고 이 점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KR 2015-006908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정맥인증을 통해, 개인식별을 수행하여, 기존의 저장되었던 개인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개인을 식별하고, 체성분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성분, 운동량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근육량, 체지방 등을 갖도록 하는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및 쿠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간편하게 자신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부담이 없고 남녀노소 간편하게 자가 진단을 수시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간편한 정맥인증 절차를 포함하여, 각 신체 부위의 활동량을 파악하고, 각 신체 부위의 근육량, 체지방을 비교하여 불균형한 신체 부위를 사용자에게 알리어, 사용자가 균형 잡힌 신체를 가꾸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전류를 이용해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 및 체성분을 측정하는 측정모듈, 상기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고유 생체정보를 인증정보와 함께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의 변화 또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 및 체성분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모듈은, 적외선을 조사(照射)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을 측정하는 적외선 조사(照射)장치 및 CCD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측정장치 또는 미세전류를 상기 사용자의 정맥에 통과시켜, 상기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을 측정하는 전류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정모듈은, 상기 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정맥혈관의 패턴을 이용하여 기존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과 일치함을 알려주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측정모듈은, 전류를 신체내 세포에 투과시켜,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전류투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정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각 신체부위의 근육량 또는 체지방을 측정하여 불균형한 신체 부위를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대응되는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쿠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신체에 착용하는 착용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적외선 조사(照射)장치 및 CCD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측정장치; 또는 전류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정맥정보를 획득하는 정맥정보 획득단계, 상기 정맥정보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정맥정보와 기존의 정맥정보와 비교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정맥 인증단계, 상기 정맥정보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고유 생체정보를 인증정보와 함께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단계, 상기 정맥정보 획득단계, 정맥 인증단계 및 통신단계에서의 각각의 내용을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전류를 신체내 세포에 투과시켜,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대응되는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쿠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맥 인증단계는, 사용자의 정맥의 패턴을 설정하는 초기입력단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정맥의 패턴을 수신하는 정맥패턴 수신단계 및 초기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정맥의 패턴과 실시간으로 획득된 정맥의 패턴을 비교 및 개인식별하는 인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통신단계는, 상기 정맥정보 획득단계에서 획득한 정맥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정맥 인증단계에서 비교 및 개인식별하여 획득한 인증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통신모듈이 관리서버에 상기 획득된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신단계는,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사용자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관리서버의 통신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관리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는 단계 및 서버 통신부가 상기 서버 제어부로부터 선별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서비스 제공단계는, 전류를 신체내 세포에 투과시켜,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의 변화 또는 변화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단계 및 통신모듈이 관리서버에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단계는,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사용자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관리서버 통신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관리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는 단계 및 관리서버 통신부가 상기 서버 제어부로부터 선별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데에 있어 사용자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나이, 성별, 신장, 몸무게, 체성분 등의 신체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운동량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정확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성분, 운동량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근육량, 체지방 등을 갖도록 하는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및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간편하게 정맥인증 절차를 통하여, 자신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부담이 없고 남녀노소 간편하게 자가 진단을 수시로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각 신체 부위의 활동량을 파악하고, 각 신체 부위의 근육량, 체지방을 비교하여 불균형한 신체 부위를 사용자에게 알리어, 사용자가 균형 잡힌 신체를 가꾸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 등의 연관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부에 마련된 측정모듈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 등의 연관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중 정맥정보 획득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중 통신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중 통신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중 서비스 제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중 서비스 제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더하여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 등의 연관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 및 관리서버(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정맥, 체성분 또는 움직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정맥으로 개인을 식별하여 인증절차를 마치고, 체성분 및 움직임으로부터 운동량을 계산하여, 관리서버(3)에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3)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 및 사용자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송신하는 관리 서버(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전류를 이용해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 및 체성분을 측정하는 측정모듈(11), 상기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고유 생체정보를 인증정보와 함께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12),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의 변화 또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제어모듈(13) 및 상기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 및 체성분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모듈(14)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통하여 사용자의 정맥에 전류를 흘려보내, 상기 정맥의 혈류의 특성을 파악하고 개인사용자와 비교인증하여 해당 시럽의 사용자임을 인지한다.
따라서 별도의 회원가입절차를 요구하지 않고, 즉시 시럽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사용자가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일반적인 인증을 받고, 인증이 완료될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서 모바일에서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해당 시점에서 사용자의 정맥을 통해 사용자의 고유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해당정보를 모바일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된 인증정보와 함께 서버에 전달한다.
그리고, 서버는 해당 값을 전송받아 암호화된 인증정보를 해독하여 어떤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고 해단 사용자 인증 테이블에 디지털화된 생체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모바일 서비스를 삭제했더라도 재설치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통해 정맥인증을 하여 별도의 로그인 없이 해당 앱을 인증하도록 한다.
이 경우, 만약 다른 서비스라도 같은 인증정보를 사용하는 서비스가 있다면 정맥인증을 통해 별도의 인증없이 사용가능하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말 그대로 인간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착용 부위에 따라 안경(Glasses), 워치(Watch), 팔찌, 신발, 반지, 벨트, 밴드(Band), 목걸이, 헤드셋(Headset), 의류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쓰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사용자의 정맥, 체성분 및 운동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체성분은 인간의 체중,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량, 골격근량,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비만진단, 지방조절량, 근육조절량, 권장운동, 신체발달점수, 기초 대사량, 부위별 체지방 평가, 부위별 근육발달 평가, 신체 밸런스 등을 포함한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전극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인체에 전류를 흘려보내어 수분이 많은 근육에는 전류가 잘 흐르고 수분이 적은 지방에는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통과시킬 때 발생하는 저항값(임피던스)을 계측하여 인체의 구성 성분인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지방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체성분을 측정하는 하나의 예시일뿐,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종래의 장치는 어떠한 사용자가 운동을 하더라도 같은 동작을 할 경우 같은 결과가 나오는 문제가 존재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신체 정보를 반영한 정확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사용자 개개인의 체성분과 더불어 움직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고, 더불어 사용자의 체성분과 운동량을 기초로 관리 서버(3)로부터 그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성분을 분석해본 결과, 키 170cm, 체중 90kg, 체지방률 30%, 복부지방률 10%, 기초대사량 2700kcal인 사용자인 경우, 1일 움직임 및 운동 결과를 측정을 통해 체성분을 토대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한 1일 운동량이 운동량이 가슴부위 100kcal, 팔목부위 40kcal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측정 결과를 후술할 관리 서버(3)에 보내면 관리 서버(3)는 위 사용자에 맞는 피드백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송신하여 사용자는 자신에 맞는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관리 서버(3)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체성분, 운동량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는 피드백 정보, 더욱 구체적으로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쿠폰 정보 등을 피드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체성분이 키 170cm, 체중 90kg, 체지방률 30%, 복부지방률 10%, 기초대사량 2700kcal이고, 수신한 1일 운동량이 가슴부위 100kcal, 팔목부위 40kcal라면, 이에 따라 보다 운동이 필요한 부위, 그 부위를 운동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 기구 또는 운동 방법, 사용자가 비만인 경우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추천하는 운동 용품, 사용자가 섭취해야할 음식과 피해야할 음식 정보, 위의 상품들을 취급하는 매장 정보 및 쿠폰을 지급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 또는 후술할 사용자 단말(4)과 관리 서버(3)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통신망은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 전송기 및/또는 중계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기는 지지국 전송기와 교환국간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망은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따라서 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ceiver Sub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CDMA 망이 아닌 GSM 망 및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통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통신망은 액세스포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나타낸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웨어러블 디바이스(1) 또는 사용자 단말(4)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다. 또한 액세스포인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 또는 사용자 단말(4)과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1) 또는 사용자 단말(4)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크게 고정형 액세스포인트 및 이동형 액세스포인트로 구분된다. 고정형 액세스포인트에는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형 액세스포인트에는 예컨대 케이티(KT)의 에그와 같은 특정 제조사의 브리지 제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동형 액세스포인트는 자유로운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송신측 정보에서 수신측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 경로를 지정한 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측정한 정맥정보, 체성분 정보, 운동량 정보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받은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와 관리 서버(3)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4)까지 연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차고 있지 않은 동안에도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동안에도 자신의 운동 계획을 세울 수 있고, 관리 서버(3)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아 여러 상품에 관한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은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은 휴대용 소형기기를 나타낼 수 있지만, 캠코더 또는 랩탑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지칭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측정모듈(11)은 적외선을 조사(照射)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을 측정하는 적외선 조사(照射)장치 및 CCD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측정장치(111) 또는 미세전류를 상기 사용자의 정맥에 통과시켜, 상기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을 측정하는 전류측정장치(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부에 마련된 측정모듈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포함하는 기능블록 및 상기 측정모듈이 포함하는 장치를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측정모듈(11)에 마련되는 촬영측정장치(111)는 적외선 조사(照射)장치 및 CCD카메라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목, 손등 또는 손바닥 중 어느 한 곳의 정맥을 적외선 촬영한 후, 정맥의 혈관의 구성을 파악하여 개인을 식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정모듈(11)에 마련되는 전류측정장치(112)는 사용자의 정맥에 미세전류를 흘려보내게 되어, 상기 디바이스(1)로 하여금, 사용자의 정맥의 혈관의 구성을 파악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측정모듈(11)은, 전류를 신체내 세포에 투과시켜,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전류투과장치(113)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상기 측정모듈(11)은 사용자의 체성분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한다. 여기서 체성분은 인간의 체중,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량, 골격근량,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비만진단, 지방조절량, 근육조절량, 권장운동, 신체발달점수, 기초 대사량, 부위별 체지방 평가, 부위별 근육발달 평가, 신체 밸런스 등을 포함한다.
이때 측정모듈(11)은 인체의 어느 한 부분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부분에 부착될 수도 있다. 측정모듈(11)은 전극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인체에 전류를 흘려 보내며, 수분이 많은 근육에는 전류가 잘 흐르고 수분이 적은 지방에는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통과시킬 때 발생하는 저항값(임피던스)을 계측하여 인체의 구성 성분인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지방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체성분을 측정하는 하나의 예시일 뿐, 다양한 원리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측정모듈(11)은 체성분 감지센서와 움직임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체성분 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보내 발생하는 저항값을 측정하여 인간의 체중,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량, 골격근량,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비만진단, 지방조절량, 근육조절량, 권장운동, 신체발달점수, 기초 대사량, 부위별 체지방 평가, 부위별 근육발달 평가, 신체 밸런스 등의 체성분 정보를 측정하고, 움직임 감시센서는 사용자의 근육 움직임, 심장 박동, 호흡량 등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체중계형 기기에서 양발의 전극을 통해 체성분을 측정하였으나, 본 발명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측정모듈(11)의 위치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측정모듈(11)의 위치에 따른 실시예>
1) 패치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통한 체성분 및 움직임 측정
신체 일부분에 패치 형태로 부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체성분 감지센서에서 체성분을 측정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내장된 움직임 감지센서에서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2) 가슴 벨트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통한 체성분 및 움직임 측정
티셔츠 등 옷의 형태를 하면서 가슴을 둘러 부착된 가슴 벨트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체성분 감지센서에서 체성분을 측정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내장된 움직임 감지센서에서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3)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통한 체성분 및 움직임 측정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 밴드 등의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체성분 감지센서에서 체성분을 측정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내장된 움직임 감지센서에서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4) 팔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통한 체성분 및 움직임 측정
팔목에 감을 수 있는 형태의 팔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체성분 감지센서에서 체성분을 측정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내장된 움직임 감지센서에서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5) 전신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통한 체성분 및 움직임 측정
사용자의 온몸에 밀착되게 붙는 옷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체성분 감지센서에서 체성분을 측정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내장된 움직임 감지센서에서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측정 모듈의 실시 형태는 위에 제시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측정모듈(11)은 사용자의 각 신체부위의 근육량 또는 체지방을 측정하여 불균형한 신체 부위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측정 모듈이 인체의 체성분 정보 중 각 신체 부위의 근육량 또는 체지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각 신체 부위의 활동량을 파악하여, 각 신체 부위의 근육량, 체지방을 비교하여 불균형한 신체 부위를 사용자에게 알리어, 사용자가 균형 잡힌 신체를 가꾸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모듈(11)은, 상기 측정모듈(11)에서 측정된 정맥혈관의 패턴을 이용하여 기존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과 일치함을 알려주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측정모듈(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각 신체부위의 근육량 또는 체지방을 측정하여 불균형한 신체 부위를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대응되는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쿠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3)은 측정모듈(11)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모듈(13)은 상기 사용자의 키, 몸무게, 체성분, 성별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운동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모듈(11)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성분을 분석해본 결과, 키 170cm, 체중 90kg, 체지방률 30%, 복부지방률 10%, 기초대사량 2700kcal인 사용자인 경우, 1일 움직임 및 운동 결과를 측정을 통해 체성분을 토대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한 1일 운동량이 운동량이 가슴부위 100kcal, 팔목부위 40kcal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측정 결과를 후술할 관리 서버(3)에 보내면 관리 서버(3)는 위 사용자에 맞는 피드백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송신하여 사용자는 자신에 맞는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란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대응되는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쿠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보낸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보다 운동이 필요한 부위, 그 부위를 운동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 기구 또는 운동 방법, 사용자가 비만인 경우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추천하는 운동 용품, 사용자가 섭취해야 할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정보, 위의 상품들을 취급하는 매장 정보 및 쿠폰정보 등을 포함한다.
통신모듈(12)은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에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 무선 통신이 모두 포함되며, 통신망을 통해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1)와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관리 서버(3)가 상호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관리서버(3)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통신부 및 서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고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베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가 선별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정보(사용자의 나이, 성별, 키, 몸무게, 체지방,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측정치 등에 대한 정보),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쿠폰 정보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제공할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새로운 정보가 수신되면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기본적으로 검색, 분류, 분석 등을 위한 환경변수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은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구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 제어부는 수신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는 사람의 체질, 체중별로 필요한 정보가 각기 다르게 저장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체성분이 키 170cm, 체중 90kg, 체지방률 30%, 복부지방률 10%, 기초대사량 2700kcal이면 이 사용자의 체질 또는 체중군을 분류하고, 위와 같은 사용자가 조심해야 할 음식, 정상 체중이 되기 위해서 감량해야 할 체중, 하루 동안 걸어야 할 거리, 하루 동안 소모해야 할 칼로리, 하루 동안 섭취해야 할 음식, 비만 사용자가 피해야 할 음식 등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제어부는 현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목표 신체 측정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적합한 음식, 운동 기구, 운동 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수신한 운동량 정보로 사용자의 1일 운동량이 가슴부위 100kcal, 팔목부위 40kcal라면, 이에 따라 보다 운동이 더 필요한 부위, 그 부위를 운동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 기구 또는 운동 방법, 사용자가 비만인 경우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추천하는 운동 용품, 사용자가 섭취해야 할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정보, 위의 상품들을 취급하는 매장 정보 및 쿠폰을 지급할 수 있다.
더하여 서버 제어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따로 자신의 신체 정보를 기입할 필요 없이 매일 운동량에 따른 자신의 신체 변화와 필요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는 통신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가 선별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 무선 통신이 모두 포함되며, 통신망을 통해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1)와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관리 서버가 상호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1) 및 관리서버(3) 등의 연관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은 (a) 사용자의 정맥정보 및 체성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22); (b)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고유생체정보를 인증정보와 함께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단계(24); (c)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통신단계(24);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말 그대로 인간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착용 부위에 따라 안경(Glasses), 워치(Watch), 팔찌, 신발, 반지, 벨트, 밴드(Band), 목걸이, 헤드셋(Headset), 의류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상기 (a) 단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전극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인체에 전류를 흘려보내어 수분이 많은 근육에는 전류가 잘 흐르고 수분이 적은 지방에는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체성분 및 정맥혈관의 형상을 측정한다. 따라서 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통과시킬 때 발생하는 저항값(임피던스)을 계측하여 인체의 구성 성분인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지방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체성분을 측정하는 하나의 예시일뿐,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체성분은 인간의 체중,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량, 골격근량,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비만진단, 지방조절량, 근육조절량, 권장운동, 신체발달점수, 기초 대사량, 부위별 체지방 평가, 부위별 근육발달 평가, 신체 밸런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종래의 장치는 어떠한 사용자가 운동을 하더라도 같은 동작을 할 경우 같은 결과가 나오는 문제가 존재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신체 정보를 반영한 정확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a) 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 개개인의 체성분과 더불어 움직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고, 더불어 사용자의 체성분과 운동량을 기초로 관리 서버(3)로부터 그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부터 운동량을 계산하여, 관리서버에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성분을 분석해본 결과, 키 170cm, 체중 90kg, 체지방률 30%, 복부지방률 10%, 기초대사량 2700kcal인 사용자인 경우, 1일 움직임 및 운동 결과를 측정을 통해 체성분을 토대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한 1일 운동량이 운동량이 가슴부위 100kcal, 팔목부위 40kcal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측정 결과를 후술할 관리 서버(3)에 보내면 관리 서버(3)는 위 사용자에 맞는 피드백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송신하여 사용자는 자신에 맞는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관리 서버(3)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며, (c)단계에서는 관리 서버(200)가 상기 수신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송신한다. 관리 서버(3)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체성분, 운동량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는 피드백 정보, 더욱 구체적으로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쿠폰 정보 등을 피드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체성분이 키 170cm, 체중 90kg, 체지방률 30%, 복부지방률 10%, 기초대사량 2700kcal이고, 수신한 1일 운동량이 가슴부위 100kcal, 팔목부위 40kcal라면, 이에 따라 보다 운동이 필요한 부위, 그 부위를 운동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 기구 또는 운동 방법, 사용자가 비만인 경우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추천하는 운동 용품, 사용자가 섭취해야할 음식과 피해야할 음식 정보, 위의 상품들을 취급하는 매장 정보 및 쿠폰을 지급할 수 있다.
이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관리서버(3)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정보,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쿠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 또는 후술할 사용자 단말(4)과 관리 서버(3)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통신망은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 전송기 및/또는 중계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기는 지지국 전송기와 교환국간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망은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따라서 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ceiver Sub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CDMA 망이 아닌 GSM 망 및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통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통신망은 액세스포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나타낸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웨어러블 디바이스(1) 또는 사용자 단말(4)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다. 또한 액세스포인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 또는 사용자 단말(4)과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1) 또는 사용자 단말(4)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크게 고정형 액세스포인트 및 이동형 액세스포인트로 구분된다. 고정형 액세스포인트에는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형 액세스포인트에는 예컨대 케이티(KT)의 에그와 같은 특정 제조사의 브리지 제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동형 액세스포인트는 자유로운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송신측 정보에서 수신측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 경로를 지정한 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가 측정한 체성분 정보, 운동량 정보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받은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관리서버는 각 웨어러블 디바이스(1)로부터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각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시계열적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가능하다.
더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측정한 체성분 정보, 운동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송신하는 단계; 및 관리서버가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4)까지 연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차고 있지 않은 동안에도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동안에도 자신의 운동 계획을 세울 수 있고, 관리 서버(3)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아 여러 상품에 관한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은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은 휴대용 소형기기를 나타낼 수 있지만, 캠코더 또는 랩탑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지칭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2)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적외선 조사(照射)장치 및 CCD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측정장치, 전류측정장치 또는 전류투과장치를 이용하여 정맥정보 및 체성분 등을 획득하는 정맥정보 획득단계(22), 상기 정맥정보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정맥정보와 기존의 정맥정보와 비교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정맥 인증단계(23), 상기 정맥정보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고유 생체정보를 인증정보와 함께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단계(24), 상기 정맥정보 획득단계, 정맥 인증단계 및 통신단계에서의 각각의 내용을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단계(25)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대응되는 운동 기구 정보, 운동 용품 정보, 음식 정보, 쿠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단계(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맥 인증단계(23)는, 사용자의 정맥의 패턴을 설정하는 초기입력단계(231),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정맥의 패턴을 수신하는 정맥패턴 수신단계(232) 및 초기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정맥의 패턴과 실시간으로 획득된 정맥의 패턴을 비교 및 개인식별하는 인증단계(233)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통신단계(24)는, 상기 정맥정보 획득단계에서 획득한 정맥정보를 전송받는 단계(241a), 상기 정맥 인증단계에서 비교 및 개인식별하여 획득한 인증정보를 전송받는 단계(241b) 및 통신모듈이 관리서버에 상기 획득된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41c)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신단계(24)는,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사용자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242a), 관리서버의 통신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42b), 관리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는 단계(242c) 및 관리서버 통신부가 상기 서버 제어부로부터 선별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242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서비스 제공단계(26)는, 전류를 신체내 세포에 투과시켜,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261a),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의 변화 또는 변화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단계(261b) 및 통신모듈이 관리서버에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61c)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단계(26)는,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사용자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262a), 관리서버 통신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62b), 관리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는 단계(262c) 및 관리서버 통신부가 상기 서버 제어부로부터 선별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262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중 정맥정보 획득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은 도 5을 참고하면, 크게 정맥정보 획득단계(22), 정맥 인증단계(23), 통신단계(24), 저장단계(25) 및 서비스 제공단계(26)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정맥 인증단계(23)는, 사용자의 정맥의 패턴을 설정하는 초기입력단계(231),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정맥의 패턴을 수신하는 정맥패턴 수신단계(232) 및 초기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정맥의 패턴과 실시간으로 획득된 정맥의 패턴을 비교 및 개인식별하는 인증단계(2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중 통신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중 통신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통신단계(24)는 상기 정맥정보 획득단계에서 획득한 정맥정보를 전송받는 단계(241a), 상기 정맥 인증단계에서 비교 및 개인식별하여 획득한 인증정보를 전송받는 단계(241b) 및 통신모듈이 관리서버에 상기 획득된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41c)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통신단계(24)는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사용자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242a), 관리서버의 통신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42b), 관리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는 단계(242c) 및 관리서버 통신부가 상기 서버 제어부로부터 선별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242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중 서비스 제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중 서비스 제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단계(26)는, 전류를 신체내 세포에 투과시켜,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261a),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의 변화 또는 변화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단계(261b) 및 통신모듈이 관리서버에 상기 측정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61c)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단계(26)는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사용자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262a), 관리서버 통신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62b), 관리서버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는 단계(262c) 및 관리서버 통신부가 상기 서버 제어부로부터 선별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262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방법은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등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 범위를 제한해놓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나 "시스템"이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모두 포함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210) 관리 시스템, 운영 제체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모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를 들어,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와 DVD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이하, 상기 기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명세서에 기술한 시스템과 MO 서비스 기반 혜택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구성들을 구현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스토리지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또는 서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 상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수단을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 모바일 컴퓨팅 플랫폼, 고정 컴퓨팅 플랫폼 등과 같은 컴퓨팅 플랫폼 중 일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한 종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CD-ROM, DVD,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RAM, ROM, 캐시 등과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접근(Access)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 클라이언트, 게이트웨이, 허브, 라우터 또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상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장치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는 파일 서버, 프린트 서버, 도메인 서버, 인터넷 서버, 인트라넷 서버, 호스트 서버, 분산 서버 등과같이 다양한 종류의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서버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스토리지 매체, 통신 디바이스, 포트, 클라이언트 그리고 다른 서버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들은 서버와 연관된 계층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서버는 클라이언트, 다른 서버, 프린터, 데이터베이스(210) 서버, 프린트 서버, 파일 서버, 통신 서버, 분산 서버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의 원격 실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 연결된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이라도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의 중앙 프로세서는 상이한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명령어, 코드 등을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라우터, 허브, 방화벽,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 통신 디바이스, 라우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바이스와 각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별도의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디바이스와 모듈 외에 스토리 플래시 메모리, 버퍼, 스택, RAM, ROM 등과 같은 스토리지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가 포함하는 디바이스, 모듈, 스토리지 매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은 하드웨어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는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범용 컴퓨터 디바이스와 기업형 특정 컴퓨터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며,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집적 회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조직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 코드 등은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 또는 접근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는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컴퓨팅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구비하는 컴퓨터 컴포넌트, RAM 또는 ROM과 같은 반도체 스토리지, 광디스크와 같은 영구적인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테이프, 드럼 등과 같은 대용량 스토리지, CD 또는 DVD와 같은 광 스토리지,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페이퍼 테이프, 독립형 RAM 디스크, 컴퓨터로부터 착탈 가능한 대용량 스토리지와 동적 메모리, 정적 메모리, 가변 스토리지, 클라우드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형 스토리지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명령어와 코드 등은 SQL, dBase 등과 같은 데이터 지향 언어, C, Objective C, C++, 어셈블리 등과 같은 시스템 언어, Java, NET 등과 같은 아키텍처 언어, PHP, Ruby, Perl, Python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언어 등과 같은 언어들을 모두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언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명령어를 프로세서로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동적 메모리 등과 같은 휘발성 매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축 케이블, 구리 와이어, 광섬유 등과 같은 전송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웨어러블 디바이스
2 : 정맥인증 및 체성분 측정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3 : 관리서버
4 : 사용자 단말
11 : 측정모듈
12 : 통신모듈
13 : 제어모듈
14 : 메모리모듈
21 : 착용단계
22 : 정맥정보 획득단계
23 : 정맥 인증단계
24 : 통신단계
25 : 저장단계
26 : 서비스 제공단계
111 : 촬영측정장치
112 : 전류측정장치
113 : 전류투과장치
231 : 초기입력단계
232 : 정맥패턴 수신단계
233 : 인증단계
241a : 정맥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241b : 인증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241c :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 송신 및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 수신단계
242a :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사용자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242b : 관리버서의 통신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242c : 관리서버 제어부가 수신한 정맥정보 및 인증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정보를 선별하는 단계
242d : 관리서버 통신부가 서버제어부로부터 선별된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261a : 전류를 신체내 세포에 투과시켜 사용자의 체성분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261b : 사용자의 체성분의 변화 또는 변화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단계
261c : 통신모듈이 관리버서에 측정된 체성분 또는 운동량 정보를 송신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262a :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사용자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262b : 관리버서 통신부가 측정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262c : 관리서버 제어부가 수신한 체성분 정보 또는 운동량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선별하는 단계
262d : 관리서버 통신부가 서버 제어부로부터 선별된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Claims (12)

  1.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을 측정하여 정맥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된 정맥혈관의 패턴을 기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시 인증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여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측정모듈(11);
    상기 측정모듈(11)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신체부위별 운동량을 측정한 결과인 운동량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체성분 정보를 상기 정맥 정보 및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12);
    상기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모듈(14);
    을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체성분 정보 및 운동량 정보에 따른 운동이 필요한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운동이 필요한 신체 부위를 운동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 기구 또는 운동 방법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비만인 경우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추천하는 운동 용품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섭취해야할 음식과 피해야할 음식에 대한 정보, 상기 운동 기구 및 운동 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매장 정보 및 쿠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1).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11)은,
    적외선을 조사(照射)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을 측정하는 적외선 조사(照射)장치 및 CCD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측정장치(111); 또는
    미세전류를 상기 사용자의 정맥에 통과시켜, 상기 사용자의 정맥혈관의 패턴을 측정하는 전류측정장치(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1).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11)은,
    전류를 신체내 세포에 투과시켜,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전류투과장치(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1).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11)은,
    상기 사용자의 각 신체부위의 근육량 또는 체지방을 측정하여 불균형한 신체 부위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인증 웨어러블 디바이스(1).
  6. 삭제
  7.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적외선 조사(照射)장치 및 CCD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측정장치, 전류측정장치 또는 전류투과장치를 이용하여 정맥정보를 획득하는 정맥정보 획득단계(22);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정맥정보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정맥정보를 기존의 정맥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시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정맥 인증단계(23);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하여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체성분 및 움직임 획득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신체부위별 운동량을 측정한 결과인 운동량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체성분 정보를 상기 정맥정보 및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송신한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단계(24);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정맥정보 획득단계, 정맥 인증단계 및 통신단계에서의 각각의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단계(25);
    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체성분 정보 및 운동량 정보에 따른 운동이 필요한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운동이 필요한 신체 부위를 운동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 기구 또는 운동 방법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비만인 경우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추천하는 운동 용품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섭취해야할 음식과 피해야할 음식에 대한 정보, 상기 운동 기구 및 운동 용품 중 적어도 하나를 취급하는 매장 정보 및 쿠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2).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맥 인증단계(23)는,
    사용자의 정맥의 패턴을 설정하는 초기입력단계(231);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획득된 정맥의 패턴을 수신하는 정맥패턴 수신단계(232);
    초기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정맥의 패턴과 실시간으로 획득된 정맥의 패턴을 비교 및 개인식별하는 인증단계(2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2).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152109A 2015-10-28 2015-10-30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KR102457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09A KR102457100B1 (ko) 2015-10-30 2015-10-30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US15/299,092 US10172535B2 (en) 2015-10-28 2016-10-20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through vein authent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09A KR102457100B1 (ko) 2015-10-30 2015-10-30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503A KR20170050503A (ko) 2017-05-11
KR102457100B1 true KR102457100B1 (ko) 2022-10-20

Family

ID=5874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109A KR102457100B1 (ko) 2015-10-28 2015-10-30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1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2315A (ja) * 2012-04-03 2013-10-17 Kyokko Denki Kk 装着型使用者状態情報取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21109A1 (en) * 2000-12-14 2002-06-24 Art Haven 9 Co., Ltd. Body impedance measuring instrument
KR20060064885A (ko) * 2004-12-09 200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547659B1 (ko) 2013-12-12 2015-08-28 (주) 피앤에스프로 손가락 정맥 스캐닝을 이용하는 생체 인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2315A (ja) * 2012-04-03 2013-10-17 Kyokko Denki Kk 装着型使用者状態情報取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503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2535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through vein authentication
TWI658706B (zh) Data transmission system
US10660534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roviding exercise guide information
US1118573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sed exercise guide therefor
Pernek et al. Exercise repetition detection for resistance training based on smartphones
EP30203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vising physical condition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method
US10327673B2 (en) Activity intensity level determination
US10433768B2 (en) Activity intensity level determination
US201700956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wearable technology platform
US9269119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health track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for improving health
US9542579B2 (en) Facilitating gesture-based association of multiple devices
US9439567B2 (en) Updating firmware to customize the performance of a wearable sensor device for a particular use
US20170103166A1 (en)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measurement of blood alcohol level and management server therefor
CN107004053A (zh) 基于家族历史的动态可穿戴设备行为
JP2018506763A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測定を使用して健康データ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856776B2 (en) Activity intensity level determination
KR20160063126A (ko) 운동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I128316B (en) Determination of activity intensity level
KR20160130085A (ko) 스마트미러를 이용한 운동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160061017A (ko) 환자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39403B1 (ko)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JP2019058285A (ja) 活動支援方法、プログラム、及び活動支援システム
KR20170048921A (ko) 식습관 패턴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57100B1 (ko) 정맥인증을 통한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피드백 정보 제공방법.
KR20170043210A (ko) 체성분 측정 및 피드백 정보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리 서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