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076B1 -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076B1
KR102457076B1 KR1020220103355A KR20220103355A KR102457076B1 KR 102457076 B1 KR102457076 B1 KR 102457076B1 KR 1020220103355 A KR1020220103355 A KR 1020220103355A KR 20220103355 A KR20220103355 A KR 20220103355A KR 102457076 B1 KR102457076 B1 KR 10245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extrusion
caterpillar
extrusion mold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은
Original Assignee
김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은 filed Critical 김성은
Priority to KR102022010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86Raw material d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55Conveyors for extru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9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using a bath, e.g. extruding into an open bath to coagulate or cool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에 설치되는 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밀착력과 접지력 및 탄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패드를 제조함으로써, 패드의 길이 및 규격에 따른 제약 및 한계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패드의 길이가 연속되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압출성형장치에서 압출되는 성형물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압출되는 성형물의 인출 및 이송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출성형장치에서의 성형 압출 속도에 따라 성형물의 인출 속도를 일정하고 적정하게 유지하여 압출 성형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압출 성형물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드의 내구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패드의 손상 및 변형 등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과정에 따른 패드의 교체 기간 및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 { Manufacturing method of pad for caterpillar of extrusion molding device }
본 발명은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에 설치되는 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지력과 내구성이 향상된 패드를 제조하도록 함으로써, 압출성형장치에서 압출되는 성형물을 패드에 밀착되도록 하기 때문에, 압출되는 성형물의 인출 및 이송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드의 내구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과정에도 불량을 방지하고, 잦은 패드 교체 등의 번거로운 문제를 해소하고 패드의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성형장치는 수지 원료를 고온으로 용융하는 가소화 단계를 거쳐, 스크류 등의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용융된 수지를 가압하고, 성형되는 형상의 압출구에 의해 성형물을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게 되면, 캐터필러의 인출 수단으로 인출되면서 냉각 및 절단 단계를 진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는 압출구에서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되는 성형물을 인출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무한궤도의 방식으로 구비하고, 연속적으로 인출되는 성형물의 속도에 따라 회전 순환하여 성형물을 안정적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에 설치되는 패드는, 소정의 길이의 패드를 브라킷에 고정하도록 하여, 패드가 고정된 브라킷을 다수 개 연결하고, 스프라킷에 권취되도록 하여, 스프라킷의 회전에 따라 패드가 고정된 다수 개의 브라킷이 순환되면서, 성형물 인출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4967호의 발명의 명칭 ‘ 압출물 인출기용 압지 바아 ’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패드를 브라켓에 삽입 설치함에 있어 상기의 사이드 스톱퍼를 내부로 몰입, 수용시켜 외부로부터 은폐, 커버될 수 있도록 하여 압지 바아의 외관 향상과 작업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패드의 길이를 브라켓의 길이와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출할 수 있는 압출물의 규격이 확장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패드의 삽탈방향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여 취급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는 인출기용 압지 바아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7194호의 발명의 명칭 ‘ 압출성형 관체의 인취장치 ’는, 각 무한궤도장치를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하면서 승하강장치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형 되는 합성수지튜브의 크기(굵기)에 따라 무한궤도장치의 위치 및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무한궤도장치가 작동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방진)하여 공전하는 무한궤도에 의해 합성수지튜브의 외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는, 주로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그 제작 과정이 번거롭고 패드의 길이 및 규격에 따른 사출성형 제작의 제약 및 한계가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패드의 접지력 및 밀착력, 그리고 탄성 및 내구성이 압출성형의 인출과정에서 성형물의 온도 등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그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성형물의 인출 속도가 늦어지거나 인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성형물의 불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는, 그 성능이 떨어지고 마모가 심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캐터필러에서 패드의 잦은 교체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압출성형의 불편함과 피로감이 누적되고, 압출성형의 생산효율 현저히 낮아지게 되어, 성능과 효능이 우수한 패드의 제조 방법에 관련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출성형 방식이 아닌 압출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밀착력과 접지력 및 탄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패드를 제조함으로써, 패드의 길이 및 규격에 따른 제약 및 한계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패드의 길이가 연속되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압출성형장치에서 압출되는 성형물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압출되는 성형물의 인출 및 이송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출성형장치에서의 성형 압출 속도에 따라 성형물의 인출 속도를 일정하고 적정하게 유지하여 압출 성형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압출 성형물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패드의 내구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패드의 손상 및 변형 등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과정에 따른 패드의 교체 기간 및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호퍼에서 블록 공중합체 20중량%와 폴리프로필렌 20중량%, 그리고 화이트 오일 40중량%와 탄산칼슘 20중량%로 혼합 조성한 조성물을 섭씨 110 ~ 120도의 실린더를 통해 용융하여, 스크류에 의해 압출다이스로 압출, 이송시키도록 하는 용융 및 이송단계와;
압출다이스의 온도는 섭씨 165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스크류를 통해 이송된 용융수지를 집약하여 압출금형으로 이송시키도록 하고, 섭씨 200도의 압출금형에서 패드를 압출 성형되도록 하는 성형단계와;
압출금형에서 성형된 패드는 냉각수조로 이송되어 3분 ~ 5분동안 냉각수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단계와;
냉각된 패드를 커터를 통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도록 하는 절단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출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밀착력과 접지력 및 탄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패드를 제조함으로써, 패드의 길이 및 규격에 따른 제약 및 한계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패드의 길이가 연속되도록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출성형장치에서 압출되는 성형물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압출되는 성형물의 인출 및 이송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출성형장치에서의 성형 압출 속도에 따라 성형물의 인출 속도를 일정하고 적정하게 유지하여 압출 성형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압출 성형물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드의 내구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패드의 손상 및 변형 등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과정에 따른 패드의 교체 기간 및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와 브라킷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융 및 이송단계 (S1)
호퍼에서 블록 공중합체 20중량%와 폴리프로필렌 20중량%, 그리고 화이트 오일 40중량%와 탄산칼슘 20중량%를 혼합 조성한 조성물을 섭씨 110 ~ 120도의 실린더를 통해 용융하여, 스크류에 의해 압출다이스로 압출, 이송시키도록 한다.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의 SEBS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다양한 색상의 패드를 압출 성형하기 위해, 혼합 조성된 조성물에 각종 색상의 색소 및 안료를 첨가할 수 있도록 한다.
성형단계 (S2)
압출다이스의 온도는 섭씨 165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스크류를 통해 이송된 용융수지를 집약하여 압출금형으로 이송시키도록 하고, 섭씨 200도의 압출금형에서 패드를 압출 성형되도록 한다.
이때, 조성물에 혼합된 40중량% 화이트 오일 성분으로 인해, 조성물의 점도가 비교적 낮아지기 때문에, 압출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성형물의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적정하게 혼합된 블록 공중합체 등의 혼합 조성물을 통해, 압출 성형되는 패드의 밀착력 및 내구성 등이 향상되는 것이다.
냉각단계 (S3)
압출금형에서 성형된 패드는 냉각수조로 이송되어 3분 ~ 5분동안 냉각수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도록 한다.
이때, 압출 성형되는 패드의 비중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이송 속도를 낮춰 서서히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단계 (S4)
냉각된 패드를 커터를 통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게 되면, 캐터필러의 규격 및 길이에 따른 적정한 길이로 패드를 절단하여 폭넓은 범위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P는 패드이고, B는 브래킷이고, C는 캐터필러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 용융 및 이송단계 S2 : 성형단계
S3 : 냉각단계 S4 : 절단단계

Claims (3)

  1. 호퍼에서 블록 공중합체 20중량%와 폴리프로필렌 20중량%, 그리고 화이트 오일 40중량%와 탄산칼슘 20중량%로 혼합 조성한 조성물을 섭씨 110 ~ 120도의 실린더를 통해 용융하여, 스크류에 의해 압출다이스로 압출, 이송시키도록 하는 용융 및 이송단계(S1)와;
    압출다이스의 온도는 섭씨 165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스크류를 통해 이송된 용융수지를 집약하여 압출금형으로 이송시키도록 하고, 섭씨 200도의 압출금형에서 패드를 압출 성형되도록 하는 성형단계(S2)와;
    압출금형에서 성형된 패드는 냉각수조로 이송되어 3분 ~ 5분동안 냉각수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단계(S3)와;
    냉각된 패드를 커터를 통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도록 하는 절단단계(S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용융 및 이송단계(S1)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의 SEBS 소재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용융 및 이송단계(S1)에서 혼합 조성된 조성물에 소정의 안료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
KR1020220103355A 2022-08-18 2022-08-18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 KR10245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355A KR102457076B1 (ko) 2022-08-18 2022-08-18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355A KR102457076B1 (ko) 2022-08-18 2022-08-18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076B1 true KR102457076B1 (ko) 2022-10-20

Family

ID=8380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355A KR102457076B1 (ko) 2022-08-18 2022-08-18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07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0780Y1 (en) * 1994-05-19 1997-12-03 Hanwha Chemical Co Caterpillar apparatus for extruder
JPH1190926A (ja) * 1997-09-18 1999-04-06 Mitsui Chem Inc ベール状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846996B1 (ko) * 2007-01-23 2008-07-16 (주)대성케미칼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그로메트
JP2016107611A (ja) * 2014-12-08 2016-06-20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90140577A (ko) * 2018-06-12 2019-12-20 대일소재(주) 올레핀계 열가소성 실리콘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410755B1 (ko) * 2022-03-29 2022-06-23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수축·팽창의 변화가 적은 고무판을 이용하여 배수력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생산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충격흡수패드 생산방법 및 그 충격흡수패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0780Y1 (en) * 1994-05-19 1997-12-03 Hanwha Chemical Co Caterpillar apparatus for extruder
JPH1190926A (ja) * 1997-09-18 1999-04-06 Mitsui Chem Inc ベール状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846996B1 (ko) * 2007-01-23 2008-07-16 (주)대성케미칼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그로메트
JP2016107611A (ja) * 2014-12-08 2016-06-20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90140577A (ko) * 2018-06-12 2019-12-20 대일소재(주) 올레핀계 열가소성 실리콘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410755B1 (ko) * 2022-03-29 2022-06-23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수축·팽창의 변화가 적은 고무판을 이용하여 배수력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생산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충격흡수패드 생산방법 및 그 충격흡수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0669B2 (ja) 磨き押出中実板又はシートの製法
TW200738798A (en)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457076B1 (ko) 압출성형장치의 캐터필러용 패드의 제조방법
KR20090064986A (ko) 의료용 포트 튜브 압출성형장치 및 그 압출성형방법
JP2018134704A (ja) 裁断分離装置及び繊維強化樹脂成形体の製造装置
CN209832529U (zh) 一种pla薄膜生产的螺杆挤出机
EP236868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e change in extrusion moulding
CN103358516B (zh) 单聚合物复合材料制品熔融包覆辊压成型方法及设备
CN104890211A (zh) 一种电缆料挤出包覆机头
JP6867910B2 (ja) 樹脂フィルムの再生方法及び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EA004153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ых изделий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1763289U (zh) 一种涂布连线机
CN214395306U (zh) 一种可降解环保材料pla片材挤出生产线
CN115042405A (zh) 一种pvc管材加工的挤出成型设备
CN203527849U (zh) 三层共挤塑料薄膜的吹塑系统
CN212795823U (zh) 一种导电发泡管连续挤出用模头及挤出装置
KR100812808B1 (ko) 고무 압출물의 수축율 제어가 용이한 이송장치
EP2193905A4 (en) DEVICE FOR DISPENSING A MELTED RESIN
JP4375165B2 (ja) 長尺成形品の冷却装置
CN217573822U (zh) 一种入料的模具装置
CN214725832U (zh) 一种膜厚均匀的流延复合机
KR101760776B1 (ko) 예열구조를 갖는 고무압출장치
CN214448371U (zh) 一种高速锥形双挤出螺杆挤出机
CN215151541U (zh) 一种塑料加工用自动化注塑机
CN218315094U (zh) 一种生产滴灌管用单螺杆挤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