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967B1 -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967B1
KR102456967B1 KR1020220008015A KR20220008015A KR102456967B1 KR 102456967 B1 KR102456967 B1 KR 102456967B1 KR 1020220008015 A KR1020220008015 A KR 1020220008015A KR 20220008015 A KR20220008015 A KR 20220008015A KR 102456967 B1 KR102456967 B1 KR 102456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core
wing
basic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호
김재흥
Original Assignee
(주)트랜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랜스테크 filed Critical (주)트랜스테크
Priority to KR1020220008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6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hree-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는, 조립 가능한 복수의 코어가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일정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중공관으로 형성된 기초코어, 복수의 기초코어를 연결하되, 연결된 기초코어가 일정 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1 가변코어 및 상기 기초코어와 상기 제1 가변코어를 매개하는 연결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변코어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제1 가변본체부 및 상기 제1 가변본체부에 세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코어가 체결되는 제1 가변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변날개부는, 상기 제1 가변본체부에 연결된 제1-1 가변날개부, 제1-2 가변날개부 및 제1-3 가변날개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가변날개부는, 연결코어를 매개로 상이한 기초코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1 기초코어와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2 기초코어는, 상기 제1 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기초코어와 상기 제2 기초코어 각각은, 상기 제1-3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3 기초코어와 상기 제2 각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Connecting structure for variable}
본 발명은,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 가능한 복수의 코어가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일정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임은 도어, 창틀, 가구, 자동화 장치, 가구, 건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긴 봉인 직선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 긴 봉의 형태의 프레임을 그대로 활용하기 보다는 철제 프레임을 설정된 형상으로 만들어 활용한다.
프레임을 설정된 형상으로 만들기 위한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있지만 일예로는 브라켓과 볼트를 활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프레임을 "ㄱ"의 형태로 배치하고, 배치되어 직각을 이루는 부분에 "ㄱ"형태의 브라켓을 배치한 다음 볼트를 조여 브라켓을 프레임과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은 프레임을 "ㄱ"자로 배치하고 그 배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브라켓을 배치하고, 볼트를 조이기 때문에 작업이 다소 번거로우며 작업 시간이 크게 소모되며, 프레임의 외측에 브라켓과 볼트가 노출되므로 전체적인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프레임 연결 방식으로는 용접이 있다. 이 방식은 프레임이 접합되는 부분에 금속재료를 가열 용융시켜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은 용접을 위한 용접장치가 별도로 준비되어야 하고, 프레임의 접합에 시간이 크게 소모되며,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에 용접에 의한 흔적이 남게 되므로 이 역시도 프레임의 미관이 상하게 하는 문제 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해당 업계에서는 작업 방식이 간단하고, 작업 소요 시간이 적으며, 프레임의 미관을 해하지 않는 프레임 연결 방식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335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는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는, 조립 가능한 복수의 코어가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일정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중공관으로 형성된 기초코어, 복수의 기초코어를 연결하되, 연결된 기초코어가 일정 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1 가변코어 및 상기 기초코어와 상기 제1 가변코어를 매개하는 연결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변코어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제1 가변본체부 및 상기 제1 가변본체부에 세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코어가 체결되는 제1 가변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변날개부는, 상기 제1 가변본체부에 연결된 제1-1 가변날개부, 제1-2 가변날개부 및 제1-3 가변날개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가변날개부는, 연결코어를 매개로 상이한 기초코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1 기초코어와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2 기초코어는, 상기 제1 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기초코어와 상기 제2 기초코어 각각은, 상기 제1-3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3 기초코어와 상기 제2 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상기 제1 가변본체부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제1 가변연결부 및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후면에 연결된 제1 가변공간제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의 제1 면은,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일측면에 연결된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와 "ㄱ" 자 형상을 형성한 채,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와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의 제2 면은,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타측면에 연결된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와 "ㄱ" 자 형상을 형성한 채,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와 제2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의 제3 면은, 상기 가변연결부의 저면에 연결된 상기 제1-3 가변날개부와 "ㄱ" 자 형상을 형성한 채, 상기 제1-3 가변날개부와 제3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공간은, 조립되는 연결코어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2 공간은, 조립되는 연결코어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3 공간은, 조립되는 연결코어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상기 연결코어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연결본체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측에 연결된 날개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대응부는, 상기 연결본체부에 고정되는 날개접촉부 및 상기 날개접촉부와 연결되되, 상기 날개접촉부와 "ㄴ" 자 형상을 형성하는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기초코어의 중공에 삽입된 채, 체결되며, 상기 날개대응부는, 조립되는 상기 제1 가변코어의 안착공간에 상기 날개접촉부가 안착된 채, 인접한 가변날개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가변코어에 고정되고, 상기 날개접촉부는, 상기 제1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상기 제1-1 가변날개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1 날개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접촉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접촉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변코어는, 제1 연결코어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와 상기 제1 연결코어의 제1 날개접촉부가 중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제1-1 날개장착홀과 상기 제1 날개접촉부의 접촉장착홀에 동시에 삽입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코어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상기 단차부는,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단턱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본체부가 기초코어의 중공에 삽입되는 경우, 기초코어의 일측단 테두리와 접촉되고, 상기 단턱의 높이는, 기초코어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는,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후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사다리꼴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제3 각을 형성한 채, 배치되고, 상기 제3 각은, 상기 제1 각과 하기 식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전면은,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의 일측단과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의 일측단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며,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와 제4 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4 각은, 상기 제1 각과 하기 식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상기 제2 각은, 직각이며, 상기 제1-3 가변날개부는,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1 가변날개부 및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와 수직 관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상기 기초코어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기초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본체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연결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코어는, 상기 연결본체부가 상기 기초코어의 중공에 삽입된 채, 상기 기초관통홀과 상기 연결관통홀에 동시에 삽입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기초코어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는, 복수의 기초코어를 연결하되, 연결된 기초코어가 일정 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2 가변코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변코어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제2 가변본체부 및 상기 제2 가변본체부에 세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코어가 체결되는 제2 가변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변날개부는, 상기 제2 가변본체부에 연결된 제2-1 가변날개부, 제2-2 가변날개부 및 제2-3 가변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가변날개부의 각각의 가변날개부는, 연결코어를 매개로 상이한 기초코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2-1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4 기초코어와 상기 제2-2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5 기초코어는, 직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4 기초코어와 상기 제5 기초코어 각각은, 상기 제2-3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6 기초코어와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상기 제1 각은, 135° 이며, 상기 제2 각은, 90° 이고, 복수의 제1 가변코어와 복수의 기초코어 및 복수의 연결코어가 조립되어, 팔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상기 제1 각은, 135° 이며, 상기 제2 각은, 90° 이고, 복수의 제1 가변코어, 복수의 제2 가변코어, 복수의 기초코어 및 복수의 연결코어가 조립되어,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가변코어 및 제2 가변코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각기둥 형태로 기초코어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변코어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코어 및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변날개부가 형성하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가변코어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변코어 및 제2 가변코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코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변코어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코어 및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1)는, 조립 가능한 복수의 코어가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일정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일 수 있다.
상기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1)는, 기초코어(10), 제1 가변코어(20) 및 연결코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코어(10)는, 중공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코어(20)는, 복수의 기초코어(10)를 연결하되, 연결된 기초코어(10)가 일정 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코어(10)의 길이가 상기 제1 가변코어(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코어(30)는, 상기 기초코어(10)와 상기 제1 가변코어(20)를 매개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코어(20)는, 제1 가변본체부(21) 및 제1 가변날개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본체부(21)는,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가변날개부(23)는, 상기 제1 가변본체부(21)에 세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어, 상기 연결코어(3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날개부(23)는, 제1-1 가변날개부(231), 제1-2 가변날개부(232) 및 제1-3 가변날개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 및 상기 제1-3 가변날개부(233)는, 상기 제1 가변본체부(21)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가변날개부는 상기 연결코어(30)를 매개로 상이한 기초코어(11, 12, 1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에는 제1 기초코어(11)가 연결되고,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에는, 제2 기초코어(12)가 연결되며, 상기 제1-3 가변날개부(233)에는, 제3 기초코어(1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초코어(11)와 상기 제2 기초코어(12)는 제1 각(A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초코어(11)와 상기 제2 기초코어(12) 각각은, 상기 제3 기초코어(13)와 제2 각(A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본체부(21)는, 제1 가변연결부(211) 및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연결부(211)는,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는, 상기 제1 가변연결부(211)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는, 상기 제1 가변연결부(211)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는, 상기 제1 가변연결부(211)의 타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1-3 가변날개부(233)는, 상기 제1 가변연결부(211)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의 제1 면은,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와 "ㄱ"자 형상을 형성한 채,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와 제1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S1)은, 조립되는 연결코어(30a)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의 제2 면은,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와 "ㄱ"자 형상을 형성한 채,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와 제2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S2)은, 조립되는 연결코어(30b)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의 제3 면은, 상기 제1-3 가변날개부(233)와 "ㄱ"자 형상을 형성한 채, 상기 제1-3 가변날개부(233)와 제3 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공간(S3)은, 조립되는 연결코어(30c)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코어(30)는, 연결본체부(31) 및 날개대응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본체부(31)는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대응부(33)는, 상기 연결본체부(3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날개대응부(33)는, 날개접촉부(331) 및 단차부(3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날개접촉부(331)는, 상기 연결본체부(31)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단차부(332)는, 상기 날개접촉부(331)와 연결되되, 상기 날개접촉부(331)와 "ㄴ"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본체부(31)는, 상기 기초코어(10)의 중공에 삽입된 채,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날개대응부(33)는, 조립되는 상기 제1 가변코어(20)의 안착공간에 상기 날개접촉부(331)가 안착된 채, 인접한 가변날개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가변코어(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날개접촉부(331)는, 상기 제1 공간(S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는, 전면을 관통하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1 날개장착홀(23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날개접촉부(33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접촉장착홀(3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코어(20)는, 제1 연결코어(30a)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와 상기 제1 연결코어(30a)의 제1 날개접촉부(331a)가 중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제1-1 날개장착홀(2311)과 상기 제1 날개접촉부(331a)의 접촉장착홀(3311)에 동시에 삽입된 체결부재(E)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코어(30a)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S1)에 상기 제1 연결코어(30a)가 안착되면, 상기 제1-1 날개장착홀(2311) 및 상기 접촉장착홀(3311)이 완전히 중첩되어 체결부재(E)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 가변코어(20)와 상기 제1 연결코어(30a)를 조립할 때, 상기 제1-1 날개장착홀(2311) 및 상기 접촉장착홀(3311)이 완전히 중첩시키기 위해 위치를 조정할 필요없이 상기 제1 공간(S1)에 상기 제1 연결코어(30a)를 안착시키기만 하면, 상기 제1-1 날개장착홀(2311) 및 상기 접촉장착홀(3311)이 완전히 중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는, 전면을 관통하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2 날개장착홀(2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코어(20)는, 제2 연결코어(30b)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와 상기 제2 연결코어(30b)의 제2 날개접촉부(331b)가 중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제1-2 날개장착홀(2321)과 상기 제2 날개접촉부(331b)의 접촉장착홀(3311)에 동시에 삽입된 체결부재(E)에 의해 상기 제2 연결코어(30b)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S2)에 상기 제2 연결코어(30b)가 안착되면, 상기 제1-2 날개장착홀(2321) 및 상기 접촉장착홀(3311)이 완전히 중첩되어 체결부재(E)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3 가변날개부(233)는, 전면을 관통하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3 날개장착홀(2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 날개장착홀(2311), 제1-2 날개장착홀(2321) 및 제1-3 날개장착홀(2331)은, 상기 제1 가변연결부(211)의 전면을 향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코어(20)는, 제3 연결코어(30c)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1-3 가변날개부(233)와 상기 제3 연결코어(30c)의 제3 날개접촉부(331c)가 중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제1-3 날개장착홀(2331)과 상기 제3 날개접촉부(331c)의 접촉장착홀(3311)에 동시에 삽입된 체결부재(E)에 의해 상기 제3 연결코어(30c)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공간(S3)에 상기 제3 연결코어(30c)가 안착되면, 상기 제1-3 날개장착홀(2331) 및 상기 접촉장착홀(3311)이 완전히 중첩되어 체결부재(E)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32)는, 상기 연결본체부(31)로부터 단턱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본체부(31)가 상기 기초코어(10)의 중공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기초코어(10)의 일측단 테두리와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결본체부(31)만 상기 기초코어(10)의 중공에 삽입시키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단차부(332)가 상기 연결본체부(31)로부터 단턱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상기 연결본체부(31)뿐만 아니라 상기 날개대응부(33)까지 상기 기초코어(10)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날개대응부(33)는 상기 제1 가변코어(20)에 안착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상기 날개대응부(33)가 상기 제1 가변코어(20)에 고정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차부(332)가 상기 연결본체부(31)로부터 단턱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연결본체부(31)가 상기 기초코어(10)의 중공에 삽입되면, 상기 날개대응부(33)는 상기 기초코어(10)의 중공에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턱의 높이는, 상기 기초코어(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는, 상기 제1 가변연결부(211)의 후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사다리꼴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변날개부가 형성하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가변코어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변코어 및 제2 가변코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면(2121)은,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면(2122)은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2121)과 상기 제2 면(2122)은, 제3 각(A3)을 형성한 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각(A3)은 상기 제1각(A1)과 하기 식을 만족할 수 있다.
A3 = 180° - A1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가상선(L1)은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의 상기 제1 면(2121)과 연결되는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이고, 제2 가상선(L2)은,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의 상기 제2 면(2122)과 연결되는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제3 가상선(L3)은, 상기 제1 면(2121)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이고, 제4 가상선(L4)은, 상기 제2 면(2122)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선(L1)과 상기 제2 가상선(L2)은 상기 제1 각(A1)을 형성하고, 상기 제3 가상선(L3)과 상기 제4 가상선(L4)은, 상기 제3 각(A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상선(L1), 상기 제2 가상선(L2), 상기 제3 가상선(L3) 및 상기 제4 가상선(L4)이 형성하는 사각형에서, 상기 제1 각(A1) 및 상기 제3 각(A3)을 제외한 나머지 내각은 각각 직각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와 상기 제1 면(2121)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와 상기 제2 면(2122)이 수직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상기 제3 각(A3)과 상기 제1 각(A1)의 합은 180°이므로, 상기 제3 각(A3)은 상기 제1 각(A1)과 하기 식을 만족할 수 있다.
A3 = 180° - A1
상기 제1 가변연결부(211)의 전면은,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의 일측단과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의 일측단을 최단거리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와 상기 제1 가변연결부(211)의 전면은 제4 각(A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4 각(A4)은, 상기 제1 각(A1)과 하기 식을 만족할 수 있다.
A4 = 90 + (0.5*A1)
도 5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5 가상선(L5)은, 상기 제1 날개접촉부(331a)로부터 상기 제1 가상선(L1)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상의 선이고, 제6 가상선(L6)은, 상기 제2 날개접촉부(331b)로부터 상기 제2 가상선(L2)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상기 제5 가상선(L5)은 상기 제1 가상선(L1)과 평행이고, 상기 제6 가상선(L6)은 상기 제2 가상선(L2)와 평행이므로, 상기 제5 가상선(L5) 및 상기 제6 가상선(L6)은 상기 제1 각(A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의 후면은 상기 제1 가변연결부(211)의 전면과 평행이고, 상기 제5 가상선(L5)은, 상기 제1 가상선(L1)과 평행이므로,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의 후면과 상기 제1 날개접촉부(331a)는 상기 제4 각(A4)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의 후면, 상기 제5 가상선(L5) 및 상기 제6 가상선(L6)이 형성하는 삼각형을 이등분한 뒤 삼각형의 외각 공식을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삼각형의 외각 공식이란,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합과 같다는 공식이다.
삼각형의 외각 공식을 활용하면, 상기 제4 각(A4)은, 상기 제1 각(A1)과 하기 식을 만족할 수 있다.
A4 = 90 + (0.5*A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각(A2)은, 직각이며, 상기 제1-3 가변날개부(233)는, 상기 제1 가변연결부(21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1 가변날개부(231) 및 상기 제1-2 가변날개부(232)와 수직 관계에 배치될 수 있다(도 5의 (b) 참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1)는 제2 가변코어(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변코어(40)는, 복수의 기초코어(10)를 연결하되, 연결된 기초코어(10)가 일정 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변코어(40)는, 제2 가변본체부(41) 및 제2 가변날개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변본체부(41)는,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변날개부(43)는, 상기 제2 가변본체부(41)에 세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코어(3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변날개부(43)는, 상기 제2 가변본체부(41)에 연결된 제2-1 가변날개부(431), 제2-2 가변날개부(432), 제2-3 가변날개부(4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변날개부(43)의 각각의 가변날개부(431, 432, 433)는, 연결코어(30)를 매개로 상이한 기초코어(14, 15, 16)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1 가변날개부(431)에 연결된 제4 기초코어(14)와 상기 제2-2 가변날개부(432)에 연결된 제5 기초코어(15)는 제5 각(A5)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각(A5)은 직각일 수 있다.
상기 제4 기초코어(14)와 상기 제5 기초코어(15) 각각은, 상기 제2-3 가변날개부(433)에 연결된 제6 기초코어(16)와 제5 각(A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각(A1)은 135° 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1)는, 복수의 제1 가변코어(20)와 복수의 기초코어(10) 및 복수의 연결코어(30)가 조립되어 팔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 후면의 상끝단을 모서리로 본다면 십육각기둥 형상으로 볼 수 있지만,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 후면의 상끝단의 길이가 상기 기초코어(10)의 길이에 비해 현저하게 짧기 때문에 모서리로 취급하지 않고 팔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고 하였다.
후술할 내용에서도,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212) 후면의 상끝단은 모서리로 취급하지 않고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제2 각(A2)은 90° 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1)는, 복수의 제2 가변코어(40)와 복수의 기초코어(10) 및 복수의 연결코어(30)가 조립되어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가변코어(20), 복수의 제2 가변코어(40), 복수의 기초코어(10) 및 복수의 연결코어(30)가 조립되어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변코어(20) 2개, 상기 제2 가변코어(40) 3개로 상기 복수의 기초코어(10) 및 상기 복수의 연결코어(30)를 조립하여 오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변코어(20) 4개, 상기 제2 가변코어(40) 2개로 상기 복수의 기초코어(10) 및 상기 복수의 연결코어(30)를 조립하여 육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변코어(20) 6개, 상기 제2 가변코어(40) 1개로 상기 복수의 기초코어(10) 및 상기 복수의 연결코어(30)를 조립하여 칠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변코어(20) 및 상기 제2 가변코어(40)의 개수 조합에 따라 다양한 다각형을 형성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복수의 제1 가변코어(20), 복수의 제2 가변코어(40), 복수의 기초코어(10) 및 복수의 연결코어(30)가 조립되어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칠각기둥 또는 팔각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적에 맞게 상술한 각기둥의 형태를 형성하도록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를 조립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코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2)의 기초코어(10a)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기초관통홀(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본체부(3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연결관통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코어(30)는, 상기 연결본체부(31)가 상기 기초코어(10a)의 중공에 삽입된 채, 상기 기초관통홀(101)과 상기 연결관통홀(311)에 동시에 삽입된 체결부재(E)에 의해 상기 기초코어(10a)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3)의 기초코어(10b)는, 돌기부(10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02)는, 상기 기초코어(10b)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본체부(31)가 상기 기초코어(10b)의 중공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돌기부(102)가 상기 연결관통홀(311)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본체부(31)와 상기 기초코어(10b)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10: 기초코어
20: 제1 가변코어 21: 제1 가변본체부
23: 제1 가변날개부 30: 연결코어
31: 연결본체부 33: 날개대응부
40: 제2 가변코어 41: 제2 가변본체부
43: 제2 가변날개부

Claims (12)

  1. 조립 가능한 복수의 코어가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일정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중공관으로 형성된 기초코어;
    복수의 기초코어를 연결하되, 연결된 기초코어가 일정 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1 가변코어; 및
    상기 기초코어와 상기 제1 가변코어를 매개하는 연결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변코어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제1 가변본체부 및 상기 제1 가변본체부에 세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코어가 체결되는 제1 가변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변날개부는,
    상기 제1 가변본체부에 연결된 제1-1 가변날개부, 제1-2 가변날개부 및 제1-3 가변날개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가변날개부는,
    연결코어를 매개로 상이한 기초코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1 기초코어와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2 기초코어는, 제1 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각은, 135° 이며,
    상기 제1 기초코어와 상기 제2 기초코어 각각은,
    상기 제1-3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3 기초코어와 제2 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변본체부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제1 가변연결부 및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후면에 연결된 제1 가변공간제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의 제1 면은,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일측면에 연결된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와 "ㄱ" 자 형상을 형성한 채,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와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의 제2 면은,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타측면에 연결된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와 "ㄱ" 자 형상을 형성한 채,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와 제2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의 제3 면은,
    상기 가변연결부의 저면에 연결된 상기 제1-3 가변날개부와 "ㄱ" 자 형상을 형성한 채, 상기 제1-3 가변날개부와 제3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공간은, 조립되는 연결코어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2 공간은, 조립되는 연결코어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3 공간은, 조립되는 연결코어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연결코어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연결본체부 및
    상기 연결본체부의 일측에 연결된 날개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대응부는,
    상기 연결본체부에 고정되는 날개접촉부 및 상기 날개접촉부와 연결되되, 상기 날개접촉부와 "ㄴ" 자 형상을 형성하는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본체부는,
    기초코어의 중공에 삽입된 채, 체결되며,
    상기 날개대응부는,
    조립되는 상기 제1 가변코어의 안착공간에 상기 날개접촉부가 안착된 채, 인접한 가변날개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가변코어에 고정되고,
    상기 날개접촉부는,
    상기 제1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1 가변날개부는,
    전면을 관통하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1 날개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가변날개부는,
    전면을 관통하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2 날개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3 가변날개부는,
    전면을 관통하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3 날개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1 날개장착홀, 상기 제1-2 날개장착홀 및 상기 제1-3 날개장착홀은,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전면을 향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날개접촉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접촉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변코어는,
    제1 연결코어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와 상기 제1 연결코어의 제1 날개접촉부가 중첩되어 배치된 채, 상기 제1-1 날개장착홀과 상기 제1 날개접촉부의 접촉장착홀에 동시에 삽입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코어와 체결되며,
    상기 제1 가변공간제공부는,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후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사다리꼴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제3 각을 형성한 채, 배치되고,
    상기 제3 각은, 상기 제1 각과 하기 식 1을 만족하며,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전면은,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의 일측단과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의 일측단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며,
    상기 제1-1 가변날개부와 제4 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4 각은, 상기 제1 각과 하기 식 2를 만족하며,
    상기 제2 각은, 직각이며,
    상기 제1-3 가변날개부는,
    상기 제1 가변연결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1 가변날개부 및 상기 제1-2 가변날개부와 수직 관계에 배치되고,
    복수의 기초코어를 연결하되, 연결된 기초코어가 일정 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2 가변코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변코어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제2 가변본체부 및 상기 제2 가변본체부에 세방향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코어가 체결되는 제2 가변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변날개부는,
    상기 제2 가변본체부에 연결된 제2-1 가변날개부, 제2-2 가변날개부 및 제2-3 가변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가변날개부의 각각의 가변날개부는,
    연결코어를 매개로 상이한 기초코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2-1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4 기초코어와 상기 제2-2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5 기초코어는, 직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4 기초코어와 상기 제5 기초코어 각각은,
    상기 제2-3 가변날개부에 연결된 제6 기초코어와 직각을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단턱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본체부가 기초코어의 중공에 삽입되는 경우, 기초코어의 일측단 테두리와 접촉되고,
    상기 단턱의 높이는, 기초코어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기초코어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기초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본체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연결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코어는,
    상기 연결본체부가 상기 기초코어의 중공에 삽입된 채, 상기 기초관통홀과 상기 연결관통홀에 동시에 삽입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기초코어와 체결되며,
    상기 제2 각은, 90° 이고,
    복수의 제1 가변코어와 복수의 기초코어 및 복수의 연결코어가 조립되어, 팔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초코어의 길이가 상기 제1 가변코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식 1]
    A3 = 180° - A1
    여기서, A3는 상기 제3 각, A1은 상기 제1 각.
    [식 2]
    A4 = 90 + (0.5*A1)
    여기서, A4는 상기 제4 각, A1은 상기 제1 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008015A 2022-01-19 2022-01-19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KR102456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015A KR102456967B1 (ko) 2022-01-19 2022-01-19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015A KR102456967B1 (ko) 2022-01-19 2022-01-19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967B1 true KR102456967B1 (ko) 2022-10-21

Family

ID=8380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015A KR102456967B1 (ko) 2022-01-19 2022-01-19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9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005A (ja) * 1994-03-30 1996-06-25 Uotani Seisakusho:Kk パイプ連結装置
KR200268616Y1 (ko) * 2001-11-27 2002-03-16 켄디시가구 주식회사 장식장 연결부재
KR102233593B1 (ko) 2019-04-22 2021-03-30 알루인터 주식회사 프레임 연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005A (ja) * 1994-03-30 1996-06-25 Uotani Seisakusho:Kk パイプ連結装置
KR200268616Y1 (ko) * 2001-11-27 2002-03-16 켄디시가구 주식회사 장식장 연결부재
KR102233593B1 (ko) 2019-04-22 2021-03-30 알루인터 주식회사 프레임 연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9747B (zh) 框架连接件
US3596880A (en) Railing system
US20110272541A1 (en) Outside wrap post coupler accommodating beam rivet
US20110272542A1 (en) Inside wrap post coupler accommodating beam rivet
US202104044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connecting structural panels
KR102456967B1 (ko)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US7419126B2 (en) Bracket
JPH0275509A (ja) 棚の連結部構造
US20070001073A1 (en) Bracket
KR101955970B1 (ko)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KR101308647B1 (ko) 가구용 프레임 다리구조
KR100518048B1 (ko) 가구의 포스트 및 그 연결구조
JP2016087260A (ja) デスクトップフレーム、カバー装置、及びデスクシステム
JPH0748951Y2 (ja) 面格子
EP1818495A1 (en) Method of fabricating a door or window frame for a boat and door or window for a boat
JP2817630B2 (ja) 間仕切パネルの支持装置
US4457442A (en) Wiring diagram pocket for a switchboard cabinet
JP6388177B1 (ja) 木造梁端接合金物及びこの木造梁端接合金物を用いた木造梁端接合構造
JPS6221617Y2 (ko)
JP4185630B2 (ja) 間仕切用支柱
KR200288878Y1 (ko) 가구의 포스트
JP2021183778A (ja) 木造建築物の構造躯体の接合構造。
JP3336983B2 (ja) 組立家具
CA2512120C (en) Bracket
JP2814476B2 (ja) 木造建築物の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