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970B1 -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 Google Patents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970B1
KR101955970B1 KR1020160012786A KR20160012786A KR101955970B1 KR 101955970 B1 KR101955970 B1 KR 101955970B1 KR 1020160012786 A KR1020160012786 A KR 1020160012786A KR 20160012786 A KR20160012786 A KR 20160012786A KR 101955970 B1 KR101955970 B1 KR 10195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artition panel
screw
connecto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909A (ko
Inventor
정수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102016001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9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4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overlapping end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2001/6108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2001/619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slabs being connected at an angle, e.g. forming a co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 및 서브 커넥터에 제1나사 또는 상기 제2나사가 완전 체결되면 상기 제1파티션 패널 및 상기 제2파티션 패널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좁혀주는 유동방지 관통홀로 형성됨으로써,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Connector for partition assembly and Partition assembly for office room}
본 발명은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견고한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체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공간에서는 오픈된 분위기와 인테리어 감각을 유지하면서도 구성원이 창의성과 독창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인의 작업영역을 적절하게 확보하고 시선의 분산을 알맞게 차단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무실 내에 객개인의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고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파티션이 설치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한 파티션은 높이가 동일한 단위 파티션 패널 다수개를 조립하여 “―”자, “T”자, “X”자 및 경우에 따라서는 “Y”자, “V”자로 연결하게 되는데, 각 파티션 패널의 인접하는 단부에 상호 상하로 슬라이딩 조립하기 위하여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부를 통하여 조립한 후 각 단부를 마감 처리하는 공정으로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를 완성하게 된다.
관련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62968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는, 사용 기간이 지남에 따라 각 연결 부위의 높낮이가 변경되면서 일체성을 상실하게 되고, 슬라이딩 조립되는 연결 부위가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됨으로써 유동되어 쉽게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968호 (2004.09.13.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딩 조립 방식을 탈피하면서도, 인접하는 파티션 패널 간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좁혀주어 견고한 파티션 조립이 가능하게 하는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커넥팅 바디와, 상기 커넥팅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제1파티션 패널에 형성된 제1체결홀에 제1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과, 상기 커넥팅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제1파티션 패널에 대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제2파티션 패널에 형성된 제2체결홀에 제2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나사 또는 상기 제2나사가 완전 체결되면 상기 제1파티션 패널 및 상기 제2파티션 패널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좁혀주는 유동방지 관통홀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나사 및 상기 제2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와, 일자 또는 십자 형상의 공구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의 선단부에 일체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지 관통홀은, 상기 나사산부가 삽입되는 관통부와, 상기 머리부가 안착되는 머리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부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 수용부는 원형으로 가공되되, 상기 관통부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 수용부는,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1관통홀 또는 제2관통홀에 대하여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티션 패널에는, 상기 제1체결홀의 일측으로 상기 커넥터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가 형성된 제1마감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2파티션 패널에는, 상기 제2체결홀의 일측으로 상기 커넥터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된 제2마감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감 프레임의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마감 프레임의 제2수용부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제1파티션 패널 및 상기 제2파티션 패널의 이격방향으로 걸림되는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 중,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걸림부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유동방지 관통홀이 형성된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수직으로 바닥면에 거치되고, 제1나사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이 구비된 제1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1파티션 패널에 대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2나사가 체결되는 제2체결홀이 구비된 제2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1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2파티션 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제1나사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2나사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나사 또는 상기 제2나사가 완전 체결되면 상기 제1파티션 패널 및 상기 제2파티션 패널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좁혀주는 유동방지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수직으로 바닥면에 거치되고, 제1나사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이 구비된 제1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1파티션 패널에 대하여 제1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2나사가 체결되는 제2체결홀이 구비된 제2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1파티션 패널에 대하여 제2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3나사가 체결되는 제3체결홀이 구비된 제3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1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2파티션 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제1나사가 관통하는 제1연결홀과 상기 제2나사가 관통하는 제2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홀 및 제2연결홀의 일측에 제3연결홀 및 제4연결홀이 형성된 메인 커넥터와, 상기 메인 커넥터와 상기 제3파티션 패널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상기 메인 커넥터의 상기 제3연결홀에 제1보조 연결 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과, 상기 제3파티션 패널의 상기 제3체결홀에 제3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이 형성된 서브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커넥터는,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보조 연결 나사 또는 상기 제3나사가 완전 체결되면 상기 메인 커넥터 및 상기 제3파티션 패널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좁혀주는 유동방지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티션 패널에 대하여 제3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제4파티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파티션 패널은, 상기 메인 커넥터의 상기 제4연결홀에 별도로 구비된 서브 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커넥터는, 상기 서브 커넥터 1개가 결합되면 상기 제1파티션 패널, 상기 제2파티션 패널 및 상기 제3파티션 패널이 “T”자 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서브 커넥터 2개가 결합되면 상기 제1파티션 패널, 상기 제2파티션 패널, 상기 제3파티션 패널 및 상기 제4파티션 패널이 “+”자 형으로 결합되는 제1메인 커넥터와, 상기 서브 커넥터 1개가 결합되면 상기 제1파티션 패널, 상기 제2파티션 패널 및 상기 제3파티션 패널이 “Y”자 형으로 결합되는 제2메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기존의 슬라이딩 결합 방식을 탈피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자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복수의 파티션을 조립하여“―”자, “T”자, “X”자 및 경우에 따라 “Y”자, “V”자 등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는 경우에도, 3가지의 유형으로 정형화된 메인 커넥터와 이에 결합되는 유동방지 관통홀이 구비된 서브 커넥터를 이용하여 조립이 가능한 바, 범용성이 향상되고, 부품수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단위 파티션 패널의 외관 및 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접하는 파티션 패널 간 일직선 방향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의 “가”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의 “나”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2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2의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c는 인접하는 단위 파티션 패널에 커넥터 조립을 위해 형성된 수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메인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실시예의 메인 커넥터로부터 인디케이터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제1실시예의 메인 커넥터와 서브 커넥터를 이용한 다양한 활용예를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8은 메인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실시예의 메인 커넥터로부터 인디케이터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제2실시예의 메인 커넥터와 서브 커넥터를 이용한 다양한 활용예를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11은 제1파티션 패널 및 제2파티션 패널을 ‘L’자 형으로 조립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12a 내지 도 12e는 제1파티션 패널 및 제2파티션 패널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단위 파티션 패널의 외관 및 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접하는 파티션 패널 간 일직선 방향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의 “가”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의 “나”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2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2의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c는 인접하는 단위 파티션 패널에 커넥터 조립을 위해 형성된 수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10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위 파티션 패널(10)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다른 단위 파티션 패널(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체이다.
따라서,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단위 파티션 패널(10)의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위 파티션 패널(10)이 개시된다. 단위 파티션 패널(10)은,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목재 각목(도면부호 미표기)을 ‘ㅁ’자 형태로 만들고, 목재 마감판(12)을 양면에 접착시켜 목재 프레임(11)을 제작한다. 목재 프레임(11)의 사각 단부는 마감 프레임(13)으로 마감한 후 코너 캡(14)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킨다. 마지막으로 패널 덮개(15)와 패널 다리(9)를 마감 프레임(13)의 정해진 위치에 끼워서 나사(미도시)로 조립한다.
이처럼, 단위 파티션 패널(10)은, 전체 재질을 목재가 아니라 부분 적인 목재 프레임(11)으로 제작함으로써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코너 캡(1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위 파티션 패널(10)에 인접하도록 다른 단위 파티션 패널(10)을 상호 연결시킬 때 일시적으로 탈거시켜서, 후술하는 커넥터(100)의 제1걸림부(104) 및 제2걸림부(105)가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마감 프레임(13)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16)를 노출시킨다. 이에 관한 설명은 뒤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접하게 결합되는 단위 파티션 패널(10) 중 하나를 ‘제1파티션 패널(10)’이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파티션 패널(20)’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은 메인 커넥터(200)의 다양한 활용예를 이용하여,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 외에 제3파티션 패널(미도시) 및 제4파티션 패널(미도시)이 상호 결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 내지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을 일직선(즉, ‘―’자 형)으로 상호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은 메인 커넥터(200)는 불필요하고, 오로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100)만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100)는, 도 2 내지 도 4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커넥팅 바디(101)와, 커넥팅 바디(10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제1파티션 패널(10)에 형성된 제1체결홀(17)에 제1나사(120A)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102)과, 커넥팅 바디(10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제1파티션 패널(10)에 대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제2파티션 패널(20)에 형성된 제2체결홀(27)에 제2나사(120B)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1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에 형성된 제1체결홀(17) 및 제2체결홀(27)은, 도 4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마감 프레임(13)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16)(이하, 제1파티션 패널(10)에 형성된 수용부는 ‘제1수용부(16)’라 칭하고, 제2파티션 패널(20)에 형성된 수용부는 ‘제2수용부(26)’라 칭한다)에 각각 제1나사(120A) 및 제2나사(120B)가 체결되도록 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체결홀(17) 및 제2체결홀(27)은, 도 4c에 참조된 바와 같이, 마감 프레임(13)의 수평 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경우, 제1파티션 패널(10)의 제1마감 프레임(13)과 제2파티션 패널(20)의 제2마감 프레임(23)이 상호 인접하는 면의 내측에 보스 형태로 형성되되 상호 반대 방향으로 트인 “C”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관통홀(102) 및 제2관통홀(103)은, 각각 제1나사(120A) 및 제2나사(120B)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써, 제1나사(120A)가 제1관통홀(102)을 관통한 후 제1체결홀(17)에 체결되고, 제2나사(120B)가 제2관통홀(103)을 관통한 후 제2체결홀(27)에 각각 체결되는 순간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2파티션 패널(20)이 상호 조립되게 된다.
여기서, 제1관통홀(102) 및 제2관통홀(103) 중 어느 하나는, 제1나사(120A) 또는 제2나사(120B) 중 어느 하나가 체결된 후 나머지 나사가 완전 체결되면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좁혀주는 유동방지 관통홀(103)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나사(120A) 및 제2나사(120B)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도면부호 미표기)와, 일자 또는 십자 형상의 공구 걸림홈이 형성되고 나사산부의 선단부에 일체 형성된 머리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고 할 때, 유동방지 관통홀(103)은, 나사산부가 삽입되는 관통부(106)와, 머리부가 안착되는 머리 수용부(107)를 포함하되, 관통부(106)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머리 수용부(107)는 원형으로 가공되되, 관통부(106)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가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머리 수용부(107)는, 일측에 구비된 제1관통홀(102) 또는 제2관통홀(103)에 대하여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가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부(106)에 대하여 머리 수용부(107)가 편심 형성되는 바, 제1나사(120A) 또는 제2나사(120B)의 머리부가 머리 수용부(107)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타원형인 관통부(106)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공구에 의하여 삽입되다가 머리 수용부(107)에 머리부가 도달되면 편심 형성된 머리 수용부(107)에 머리부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캠 방식으로 유동방지 관통홀(103) 측에 인접된 파티션 패널(제1파티션 패널(10) 또는 제2파티션 패널(2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음)을 상호 인접되도록 잡아 당기면서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좁혀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파티션 패널(10)의 제1마감 프레임(13)에 형성된 제1수용부(16) 및 제2파티션 패널(20)의 제2마감 프레임(23)에 형성된 제2수용부(26)에 각각 삽입되어 수용되고, 제1파티션 패널(10)의 제1수용부(16)에 수용되어 제2파티션 패널(20)의 이격방향으로 걸림되는 제1걸림부(104)와, 제2파티션 패널(20)의 제2수용부(26)에 수용되어 제1파티션 패널(10)의 이격방향으로 걸림되는 제2걸림부(10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걸림부(104) 및 제2걸림부(105)는 제1수용부(16) 및 제2수용부(26)에 수용되는 길이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3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104)가 제2걸림부(105)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 제1파티션 패널(10)의 하단부에 구비된 제1수용부(16)에 삽입되어 제1나사(120A)에 의해 커넥터(100)의 가결합을 완료한 다음, 제2파티션 패널(20)을 상측으로 약간 들어올려 제1걸림부(104)보다 길게 형성된 제2걸림부(105)에 하방으로 이동시켜 걸림시킨 후, 제2나사(120B)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종래 인접하는 단위 파티션 패널(10)끼리의 슬라이딩 결합 시 제2파티션 패널(20) 전체를 제1파티션 패널(10)보다 높은 위치로 들어올린 다음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조립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제1걸림부(104) 및 제2걸림부(105) 중,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걸림부는, 커넥터(100)의 유동방지 관통홀(103)이 형성된 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의 하단부가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100)에 의하여 조립이 완료되면,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의 상단부 높이를 동일하게 맞춘 다음에, 다른 커넥터(100)의 제1걸림부(104)와 제2걸림부(105)를 각각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에 구비된 제1수용부(16) 및 제2수용부(26)에 수용시켜 제1나사(120A) 및 제2나사(120B)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방지 관통홀(103)에 체결되는 제1나사(120A) 및 제2나사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의 상호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좁혀줌으로써 견고한 “―”자 형의 결합이 완료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메인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실시예의 메인 커넥터로부터 인디케이터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제1실시예의 메인 커넥터와 서브 커넥터를 이용한 다양한 활용예를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8은 메인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실시예의 메인 커넥터로부터 인디케이터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제2실시예의 메인 커넥터와 서브 커넥터를 이용한 다양한 활용예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커넥터(100)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브 커넥터로서 활용되고, 도 5 내지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은 메인 커넥터(200) 단독 또는 메인 커넥터(200)와 서브 커넥터(100)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가 서브 커넥터로서 활용되는 한도에서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바닥면에 거치되고, 제1나사(120A)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17)이 구비된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1파티션 패널(10)에 대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2나사(120B)가 체결되는 제2체결홀(27)이 구비된 제2파티션 패널(20)과,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2파티션 패널(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되, 제1나사(120A)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102)과 제2나사(120B)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103)이 형성된 커넥터(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넥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커넥터(100)와 동일한 구성임은 이미 상술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설명에서는, 상술했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커넥터(100)가 서브 커넥터(100)로서 정의되어 기술되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7c에 참조된 바와 같이, 2개의 파티션 패널(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을 ‘―’자 형이 아닌 ‘L’자 형으로 결합시키거나, 3개의 파티션 패널(제1파티션 패널 내지 제3파티션 패널)을 ‘T’자 형으로 결합시키거나, 또는 4개의 파티션 패널(제1파티션 패널 내지 제4파티션 패널)을 ‘+’자 형으로 결합시키는 경우의 실시예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서브 커넥터(100)와 함께 후술하는 메인 커넥터(200)와의 결합을 통하여 구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수직으로 바닥면에 거치되고, 제1나사(120A)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17)이 구비된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1파티션 패널(10)에 대하여 제1각도(바람직하게는 직각)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2나사(120B)가 체결되는 제2체결홀(27)이 구비된 제2파티션 패널(20)과,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2파티션 패널(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되, 제1나사(120A)가 관통하는 제1연결홀(210)과 제2나사(120B)가 관통하는 제2연결홀(220)이 형성된 메인 커넥터(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중 메인 커넥터(200A)는, 후술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인 메인 커넥터(200B)와 그 명칭이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제1메인 커넥터(200A)’라 칭하기로 하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메인 커넥터(200B)’라 칭하기로 한다.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2파티션 패널(20) 및 제1메인 커넥터(200A)가 상호 결합되어, 도 7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L’자 형으로 2개의 파티션 패널의 결합을 완성하게 된다. 이 때에는 별도의 서브 커넥터(100)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서브 커넥터(100)를 더 구비한 형태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2파티션 패널(20)에 대하여 제2각도(바람직하게는 직각)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3나사(미도시)가 체결되는 제3체결홀(미도시)이 구비된 제3파티션 패널과, 제2메인 커넥터(200B)와 제3파티션 패널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제1메인 커넥터(200A)의 제1연결홀(210)의 일측에 공간으로 구비된 제1수용부(16)에 형성된 제3연결홀(250)에 제1보조 연결 나사(271)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102)과, 제3체결홀에 제3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103)이 형성된 서브 커넥터(100)를 더 포함한다.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2파티션 패널(20)과 제3파티션 패널과 제1메인 커넥터(200A) 및 서브 커넥터(100) 1개가 상호 결합되어,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T’자 형으로 3개의 파티션 패널의 결합을 완성하게 된다. 이 때에는 1개의 서브 커넥터(100)가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서브 커넥터(100)를 더 구비한 형태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파티션 패널(10)에 대하여 제3각도(바람직하게는 직각)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4나사가 체결되는 제4체결홀(미도시)이 구비된 제4파티션 패널과, 제1메인 커넥터(200A)의 제2연결홀(220)의 일측에 공간으로 구비된 제2수용부(26)에 형성된 제4연결홀(260)에 제2보조 연결 나사(272)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103) 및 제4체결홀에 제4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103)이 형성된 서브 커넥터(100)를 더 포함한다.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2파티션 패널(20)과 제3파티션 패널과 제4파티션 패널과 제1메인 커넥터(200A) 및 서브 커넥터(100) 2개가 상호 결합되어, 도 7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자 형으로 4개의 파티션 패널의 결합을 완성하게 된다. 이 때에는 2개의 서브 커넥터(100)가 제1메인 커넥터(200A)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제시된 제1메인 커넥터(200A)에는, 제1나사(120A)를 이용하여 제1파티션 패널(10)과 결합시키기 위한 제1체결홀(17)과, 제2나사(120B)를 이용하여 제2파티션 패널(20)과 결합시키기 위한 제2체결홀(27)과, 제1보조 연결 나사(271) 또는 제2보조 연결 나사(272)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커넥터(1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연결홀(210) 및 제2연결홀(220)이 형성된다. 또한, 제1메인 커넥터(200A)에는,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과 걸림되기 위한 제1연결 걸림부(230) 및 제2연결 걸림부(240)가 서브 커넥터(100)의 제1걸림부(104) 및 제2걸림부(105) 중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걸림부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a에 참조된 바와 같이, ‘L’자 형으로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별도의 서브 커넥터(100)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도 7b 및 도 7c에 참조된 바와 같이, ‘T’자 형 및 ‘+’자 형으로 제1파티션 패널(10) 내지 제4파티션 패널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1개 또는 2개의 서브 커넥터(100)의 제1걸림부(104)가 각각 메인 커넥터(200)의 제1연결홀(210) 및 제2연결홀(220)이 구비된 제1수용부(16) 및 제2수용부(26)에 수용되어 걸림 결합되게 된다.
제1메인 커넥터(200A)가 각각의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에 결합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커넥터(100)가 인접하는 파티션 패널끼리 결합시키는 방식과 동일한 바, 여기서는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2개의 파티션 패널(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을 ‘V’자 형으로 결합시키거나, 3개의 파티션 패널(제1파티션 패널(10) 내지 제3파티션 패널)을 ‘Y’자 형으로 결합시키는 경우의 실시예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제2메인 커넥터(200B)가 이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는, 수직으로 바닥면에 거치되고, 제1나사(120A)가 체결되는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1파티션 패널(10)에 대하여 제1각도(바람직하게는 예각)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2나사(120B)가 체결되는 제2체결홀(27)이 구비된 제2파티션 패널(20)과,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2파티션 패널(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되, 제1나사(120A)가 관통하는 제1연결홀(210)과 제2나사(120B)가 관통하는 제2연결홀(220)이 형성된 제2메인 커넥터(200B)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2파티션 패널(20) 및 제2메인 커넥터(200B)는 상호 결합되어, 도 10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V’자 형으로 2개의 파티션 패널의 결합을 완성하게 된다. 이 때에는 별도의 서브 커넥터(100)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파티션 패널(10)에 대하여 제2각도(바람직하게는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 전부에 대하여 예각)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3나사가 체결되는 제3체결홀이 구비된 제3파티션 패널(미도시)과, 메인 커넥터(200)와 제3파티션 패널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메인 커넥터(200)의 제2연결홀(220) 및 제2연결홀(220)의 일측에 공간으로 구비된 제1수용부(16) 및 제1수용부(16)에 형성된 제3연결홀(250)에 제1보조 연결 나사(271)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102)과, 제3체결홀에 제3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103)이 형성된 서브 커넥터(100)를 포함한다.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2파티션 패널(20)과 제3파티션 패널과 제2메인 커넥터(200B) 및 서브 커넥터(100)가 상호 결합되어,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Y’자 형으로 3개의 파티션 패널의 결합을 완성하게 된다. 이 때에는 오로지 서브 커넥터(100) 1개를 사용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서브 커넥터(100)는, 이미 상술했던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100) 및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서브 커넥터(100)와 동일한 구성임은 이미 밝힌 바 있다.
제2메인 커넥터(200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나사(120A)를 이용하여 제1파티션 패널(10)과 결합시키기 위한 제1체결홀(17)과 제2나사(120B)를 이용하여 제2파티션 패널(20)과 결합시키기 위한 제2체결홀(27)과, 제1보조 연결 나사(271) 또는 제2보조 연결 나사(272)를 이용하여 1개의 서브 커넥터(100)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메인 커넥터(200B)에는,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과 걸림되기 위한 제1연결 걸림부(230) 및 제2연결 걸림부(240)가 서브 커넥터(100)의 제1걸림부(104) 및 제2걸림부(105) 중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걸림부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실시예들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서브 커넥터(100)의 제1관통홀(102) 및 제2관통홀(103) 중 어느 하나는, 동일하게 상술한 유동방지 관통홀(103)로 구비되는 것이 본 발명의 공통적인 실시예의 기술적 요소 중 하나이다.
여기서의 머리 수용부(107)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보조 연결 나사(272) 및 제3나사의 머리부가 수용되어 체결되는 과정 동안 일측에 구비된 제1관통홀(102) 및 제2관통홀(103)에 대하여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100)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각 실시예들의 충분한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을 ‘L’자 형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제1파티션 패널 및 제2파티션 패널을 ‘L’자 형으로 조립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e는 제1파티션 패널 및 제2파티션 패널의 조립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12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파티션 패널(10)의 하부에 제1메인 커넥터(200A)의 제1연결 걸림부(230)를 제1파티션 패널(10)의 하부에 삽입하여 걸림시킨 다음, 제1나사(120A)를 이용하여 체결 조립한 후, 제2파티션 패널(20)을 공중으로 약간 들어올려 도 1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메인 커넥터(200A)의 제2연결 걸림부(240)가 삽입되도록 하방 이동시킨 다음, 제2나사(120B)를 이용하여 체결 조립한다.
다음으로, 도 12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의 상부에 제1메인 커넥터(200A)의 제1연결 걸림부(230)와 제2연결 걸림부(240)가 동시에 제1파티션 패널(10)과 제2파티션 패널(20)에 걸림되도록 거치한 후, 도 12d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나사(120A) 및 제2나사(120B)를 이용하여 체결 조립한다.
마지막으로, 도 12e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파티션 패널(10)의 하부와 상부 사이에 다수의 커버 홀더를 장착한 후, 커버(300)를 커버 홀더(310)에 결합시켜 마감 처리하면 제1파티션 패널(10) 및 제2파티션 패널(20)의 ‘L’자 형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 제1파티션 패널 13: 마감 프레임
16: 수용부 17: 제1체결홀
20: 제2파티션 패널 100: 커넥터, 서브 커넥터
101: 커넥팅 바디 102: 제1관통홀
103: 제2관통홀(유동방지 관통홀) 104: 제1걸림부
105: 제2걸림부 106: 관통부
107: 머리 수용부 200: 메인 커넥터
210: 제1연결홀 220: 제2연결홀
230: 제1연결 걸림부 240: 제2연결 걸림부
250: 제3연결홀 260: 제4연결홀

Claims (9)

  1. 커넥팅 바디와;
    상기 커넥팅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제1파티션 패널에 형성된 제1체결홀에 제1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과;
    상기 커넥팅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제1파티션 패널에 대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제2파티션 패널에 형성된 제2체결홀에 제2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나사 또는 상기 제2나사가 완전 체결되면 상기 제1파티션 패널 및 상기 제2파티션 패널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좁혀주는 유동방지 관통홀로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 및 상기 제2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와, 일자 또는 십자 형상의 공구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의 선단부에 일체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지 관통홀은,
    상기 나사산부가 삽입되는 관통부와;
    상기 머리부가 안착되는 머리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부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 수용부는 원형으로 가공되되, 상기 관통부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가공되며,
    상기 머리 수용부는, 상기 제1나사 또는 제2나사의 머리부가 수용되어 체결되는 과정 동안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1관통홀 또는 제2관통홀에 대하여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가공된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파티션 패널에는, 상기 제1체결홀의 일측으로 상기 커넥터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가 형성된 제1마감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2파티션 패널에는, 상기 제2체결홀의 일측으로 상기 커넥터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된 제2마감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감 프레임의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마감 프레임의 제2수용부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제1파티션 패널 및 상기 제2파티션 패널의 이격방향으로 걸림되는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더 형성된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 중,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걸림부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유동방지 관통홀이 형성된 측에 구비된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7. 수직으로 바닥면에 거치되고, 제1나사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이 구비된 제1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1파티션 패널에 대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2나사가 체결되는 제2체결홀이 구비된 제2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1 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2파티션 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제1나사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2나사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나사 또는 상기 제2나사가 완전 체결되면 상기 제1파티션 패널 및 상기 제2파티션 패널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좁혀주는 유동방지 관통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1나사 및 상기 제2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와, 일자 또는 십자 형상의 공구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의 선단부에 일체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지 관통홀은,
    상기 나사산부가 삽입되는 관통부와;
    상기 머리부가 안착되는 머리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부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 수용부는 원형으로 가공되되, 상기 관통부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가공되며,
    상기 머리 수용부는, 상기 제1나사 또는 제2나사의 머리부가 수용되어 체결되는 과정 동안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1관통홀 또는 제2관통홀에 대하여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가공된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8. 수직으로 바닥면에 거치되고, 제1나사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이 구비된 제1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1파티션 패널에 대하여 제1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2나사가 체결되는 제2체결홀이 구비된 제2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1파티션 패널에 대하여 제2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제3나사가 체결되는 제3체결홀이 구비된 제3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1파티션 패널과 상기 제2파티션 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제1나사가 관통하는 제1연결홀과 상기 제2나사가 관통하는 제2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홀 및 제2연결홀의 일측에 제3연결홀 및 제4연결홀이 형성된 메인 커넥터와;
    상기 메인 커넥터와 상기 제3파티션 패널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상기 메인 커넥터의 상기 제3연결홀에 제1보조 연결 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과, 상기 제3파티션 패널의 상기 제3체결홀에 제3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이 형성된 서브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커넥터는,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보조 연결 나사 또는 상기 제3나사가 완전 체결되면 상기 메인 커넥터 및 상기 제3파티션 패널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를 좁혀주는 유동방지 관통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1보조 연결 나사 및 상기 제3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와, 일자 또는 십자 형상의 공구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의 선단부에 일체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지 관통홀은,
    상기 나사산부가 삽입되는 관통부와;
    상기 머리부가 안착되는 머리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부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 수용부는 원형으로 가공되되, 상기 관통부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가공되며,
    상기 머리 수용부는, 상기 제1보조 연결 나사 또는 제3나사의 머리부가 수용되어 체결되는 과정 동안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1관통홀 또는 제2관통홀에 대하여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가공된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파티션 패널에 대하여 제3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제4파티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파티션 패널은, 상기 메인 커넥터의 상기 제4연결홀에 별도로 구비된 서브 커넥터를 매개로 연결되는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KR1020160012786A 2016-02-02 2016-02-02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KR10195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86A KR101955970B1 (ko) 2016-02-02 2016-02-02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86A KR101955970B1 (ko) 2016-02-02 2016-02-02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909A KR20170091909A (ko) 2017-08-10
KR101955970B1 true KR101955970B1 (ko) 2019-03-12

Family

ID=5965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786A KR101955970B1 (ko) 2016-02-02 2016-02-02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201B1 (ko) * 2019-03-06 2019-09-06 (주)동연디자인 조립식 파티션
US11926420B2 (en) * 2020-05-08 2024-03-12 B/E Aerospace, Inc. Aircraft cabin parti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3443B2 (ja) * 2001-11-05 2007-06-2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フレキシブルパーテイションにおけるパネルの連結構造
JP2009091725A (ja) * 2007-10-04 2009-04-30 Edosaki Kyoei Kogyo Kk 間仕切ユニットの連結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68Y1 (ko) 2004-07-09 2004-09-22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파티션용 폴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3443B2 (ja) * 2001-11-05 2007-06-2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フレキシブルパーテイションにおけるパネルの連結構造
JP2009091725A (ja) * 2007-10-04 2009-04-30 Edosaki Kyoei Kogyo Kk 間仕切ユニットの連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909A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213B2 (en) Frame member for structure
US5305571A (en) Structural frame assembly
KR101727375B1 (ko) 플라스틱 구조물이 제공된 옷장을 구성하는 모듈식 장치
US8961060B2 (en) Corner assembly
KR101955970B1 (ko)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용 커넥터 및 사무용 파티션 조립체
CN101280581B (zh) 一种组合式框架的接驳组件
CN213235720U (zh) 一种用于滑动连接的弹片连接件及采用其的组装柜
JP4465317B2 (ja) ハウジング開口をカバーするフロントフレームを備えたハウジング
KR20170064690A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580743B1 (ko) 도어프레임의 조립시스템
KR101704590B1 (ko) 수직 관통형 연결구를 구비한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지지대 조립 방법
KR101672457B1 (ko) 도어 결합 구조
KR102456967B1 (ko) 가변 프레임 연결구조체
KR20210034472A (ko) 축사 건축용 골조 연결장치
KR20200001740U (ko) 조립식 다층선반
CN211473199U (zh) 一种装饰板用卡接件及装饰板系统
KR102177118B1 (ko) 빔부재 연결장치
KR200374442Y1 (ko) 가구용 장식부재의 코너 연결구
KR102562998B1 (ko) 파티션 연결장치
CN212837403U (zh) 一种带圆角进户门
JPH0234395Y2 (ko)
KR200384122Y1 (ko) 유리문 장식샤시 연결구조
KR100591560B1 (ko) 조립식 금속바의 연결기구
KR20220116950A (ko) 매립가능한 멀티탭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KR20210043383A (ko) 도어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