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577B1 -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577B1
KR102456577B1 KR1020150189274A KR20150189274A KR102456577B1 KR 102456577 B1 KR102456577 B1 KR 102456577B1 KR 1020150189274 A KR1020150189274 A KR 1020150189274A KR 20150189274 A KR20150189274 A KR 20150189274A KR 102456577 B1 KR102456577 B1 KR 102456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ramp signal
replica
reference curr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091A (ko
Inventor
윤건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577B1/ko
Priority to US15/202,339 priority patent/US9894309B2/en
Priority to CN201610849436.7A priority patent/CN107017865B/zh
Publication of KR2017007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2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stepped portions, e.g. staircase waveform
    • H03K4/02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stepped portions, e.g. staircase waveform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 H03K4/0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05F3/262Current mirror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 H03K4/0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 H03K4/4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16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involving a correlated sampling function, e.g. 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 or triple sam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2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A/D, V/T, V/F, I/T or I/F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Abstract

본 기술은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기준 전류 생성부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출력단에 공급함으로써, 풀 코드 시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램프 신호 발생 장치는, 게인에 따른 기준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전류 생성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로부터의 기준 전류에 따라 램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램프 신호 발생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 및 상기 램프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램프 신호의 오프셋을 상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로부터의 레플리카 전류를 이용하여 보상하기 위한 오프셋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Ramp Signal Generator, and CMOS Image Sensor Using That}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CIS :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풀 코드(Full-code) 시의 출력 전압(즉, 램프 신호)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램프 신호 발생 장치(Ramp Signal Generator)의 일 예로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IDAC)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씨모스 이미지 센서(CIS)의 상호상관 이중 샘플링(CDS : Correlated Double Sampling) 동작은 커먼 모드(Common-mode) 전압에 따라서 그 특성이 크게 변하게 되고, 이러한 특성 변화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화질을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저면적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위한 "싱글-엔디드 교류-커플드 입력을 가지는 비교부(Comparator with single-endedly AC-coupled input)"에서는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램프 신호 발생 장치의 일종임)의 출력 전압(즉, 램프 신호)에 의해서 상호상관 이중 샘플링 동작의 커먼 모드 전압이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기준 전류 변화를 이용하여 램프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IDAC)의 경우, 게인(Gain)에 따른 기준 전류 값에 따라 램프 신호가 변경됨에 따라 상호상관 이중 샘플링 동작의 커먼 모드 전압(즉, 풀 코드(Full-code) 시의 전압)이 변경되며, 그에 따라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화질이 열화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준 전류 생성부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출력단에 공급함으로써, 풀 코드 시의 출력 전압(또는 출력 전류)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신호 발생 장치는, 게인에 따른 기준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전류 생성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로부터의 기준 전류에 따라 램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램프 신호 발생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 및 상기 램프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램프 신호의 오프셋(Offset)을 상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로부터의 레플리카 전류를 이용하여 보상하기 위한 오프셋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입사광에 상응하는 픽셀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픽셀 어레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픽셀 어레이 내의 픽셀을 로우 라인별로 선택하여 제어하기 위한 로우 디코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램프 신호를 발생하되, 기 존재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출력단에 공급하여 상기 생성된 램프 신호를 보상하기 위한 램프 신호 발생 장치; 상기 픽셀 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각 픽셀 신호와 상기 램프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램프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각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운팅부로부터의 카운팅 정보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로우 디코더와 상기 램프 신호 발생 장치와 상기 카운팅부와 상기 메모리부와 컬럼 리드아웃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컬럼 리드아웃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전류 생성부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출력단에 공급함으로써, 램프 신호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한 별도의 전류 미러 회로 추가 및 그에 따른 회로 면적의 증대 없이 풀 코드 시의 출력 전압(또는 출력 전류)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풀 코드 시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출력함으로써, 상호상관 이중 샘플링 동작의 커먼 모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아날로그 회로 특성의 항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한 컬럼의 비교부의 구성 및 그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출력 전압과 오프셋 보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의 기재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단수형으로 기재하였다고 해서, 본 발명이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구성요소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CIS)의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일반적인 컬럼 패러럴(Column Parallel) 구조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입사광에 상응하는 픽셀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픽셀 어레이(10)와, 제어부(80, 예를 들어, 타이밍 제너레이터)의 제어에 따라 픽셀 어레이(10) 내의 픽셀을 로우 라인별로 각각 선택하여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로우 디코더(20)와,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램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30)와, 픽셀 어레이(10)로부터 출력되는 각 픽셀 신호의 값과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30)로부터 인가되는 램프 신호의 값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40)와, 비교부(40)로부터의 각 출력 신호에 따라 제어부(80)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50)와,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카운팅부(50)로부터의 카운팅 정보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60)와, 로우 디코더(20)와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30)와 카운팅부(50)와 메모리부(60)와 컬럼 리드아웃 회로(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 및 메모리부(60)의 데이터를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픽셀 데이터(PXDATA)로 출력하기 위한 컬럼 리드아웃 회로(70)를 포함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씨모스 이미지 센서에서는 픽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오프셋(Offset) 값을 제거하기 위해 광신호가 입사되기 전과 후의 픽셀 신호(픽셀 출력 전압)를 비교하여 실제로 입사광에 의한 픽셀 신호만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기법을 상호상관 이중 샘플링(CDS : Correlated Double Sampling)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호상관 이중 샘플링 동작은 비교부(40)에서 수행된다.
이때, 비교부(40)는 복수의 비교기를 포함하며, 카운팅부(50)는 복수의 카운터를 포함하고, 메모리부(60)는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즉, 비교기와 카운터와 메모리가 각 칼럼별로 구비된다.
다음으로, 하나의 비교기와 카운터와 메모리의 동작(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동작)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의 비교기(41)는 픽셀 어레이(10)의 제 1 컬럼으로부터 출력되는 픽셀 신호를 일측 단자로 입력받고,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30)로부터 인가되는 램프 신호(VRAMP)를 타측 단자로 입력받아 두 신호의 값을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램프 신호(VRAMP)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압 레벨이 감소하는 신호이기 때문에, 결국 각 비교기에 입력되는 두 신호의 값이 일치하는 시점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일치하는 시점을 지나게 되면서 각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비교 신호의 값에 반전이 일어난다.
그에 따라, 첫 번째의 카운터(51)는 램프 신호가 하강하는 시점부터 비교기(41)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신호가 반전되는 순간까지 제어부(80)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팅하여 카운팅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각각의 카운터는 제어부로부터의 리셋 신호에 따라 초기화된다.
그러면, 첫 번째의 메모리(61)는 제어부(80)로부터의 로드 신호에 따라 카운터(51)로부터의 카운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컬럼 리드아웃 회로(70)로 출력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한 컬럼의 비교부(40)의 구성 및 그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2a 및 도 2b는 하나의 컬럼에 위치하는 비교부(40)가 "차동 교류-커플드 입력을 가지는 비교부(Comparator with differentially AC-coupled input)"인 경우의 상호상관 이중 샘플링 동작 및 그 파형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2c 및 도 2d는 하나의 컬럼에 위치하는 비교부(40)가 "싱글-엔디드 교류-커플드 입력을 가지는 비교부"인 경우의 상호상관 이중 샘플링 동작 및 그 파형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부(40)가 차동 교류-커플드 입력을 가지는 비교부"인 경우 1단 비교기(1st stage Comparator)의 입력 노드(VA)의 입력 전압은 항상 동일한 상호상관 이중 샘플링 자체의 커먼 모드 전압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로우 게인(Low-gain)이나 하이 게인(High-gain)에서도 입력 노드의 입력 전압이 어느 정도 안정적인 동작 범위 내에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부(40)가 "싱글-엔디드 교류-커플드 입력을 가지는 비교부"인 경우 1단 비교기의 입력 노드(VA)의 입력 전압은 게인에 따라 변경되는 램프 신호(램프 전압)를 기준으로 하여 변경되는 상호상관 이중 샘플링 동작의 커먼 모드 전압으로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로우 게인에서는 입력 노드의 입력 전압이 어느 정도 안정적인 동작 범위 내에 들어갈 확률이 높지만, 하이 게인에서는 너무 낮은 전압을 갖게 되어 정상적인 상호상관 이중 샘플링 동작을 보증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IDAC)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30)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30)는, 게인에 따른 기준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전류 생성부(31), 기준 전류 생성부(31)로부터의 기준 전류에 따라 램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램프 신호 발생부(32), 및 램프 신호 발생부(32)에서 발생된 램프 신호의 오프셋(Offset)을 보상하기 위한 오프셋 보상부(33)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 전류 생성부(31)는 외부의 전류 공급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소스 전류를 공급받아 게인에 따라 변하는 기준 전류를 생성하여 램프 신호 발생부(32)로 전달한다. 이때, 기준 전류 생성부(31)는 일반적인 1:N 전류 미러(N은 자연수)를 통한 기준 전류 변화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램프 신호 발생부(32)는 기준 전류 생성부(31)로부터의 기준 전류에 따라 램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복수의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셀(IDAC Cell), 및 복수의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셀에서 발생된 램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저항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셀은 예를 들어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의 갯수를 조절하여 램프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전류 생성부(31)와 램프 신호 발생부(32)는 커런트 미러 방식으로 연동된다. 그 외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공지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오프셋 보상부(33)는 램프 신호 발생부(3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램프 신호 발생부(32)에서 발생된 램프 신호의 오프셋을 보상한다. 즉, 오프셋 보상부(33)는 램프 신호 발생부(32)에서 발생된 램프 신호(램프 전압)의 직류(DC) 레벨을 조절한다. 이때, 오프셋 보상부(33)는 기준 전류 생성부(31)와 같이 일반적인 1:N 전류 미러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30)에서는 램프 신호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류 미러 회로를 추가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회로 면적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준 전류 생성부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출력단에 공급함으로써, 램프 신호의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한 별도의 전류 미러 회로 추가 및 그에 따른 회로 면적의 증대 없이 풀 코드 시의 출력 전압(또는 출력 전류)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한다(후술되는 도 4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30)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30)는, 게인에 따른 기준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전류 생성부(31), 기준 전류 생성부(31)로부터의 기준 전류에 따라 램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램프 신호 발생부(32), 기준 전류 생성부(31)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 및 램프 신호 발생부(32)에서 발생된 램프 신호의 오프셋(Offset)을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로부터의 레플리카 전류를 이용하여 보상하기 위한 오프셋 보상부(33)를 포함한다.
이때,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는 기준 전류 생성부(31)가 전류 미러 경로(Path)를 선택하여 기준 전류를 생성할 시에 선택되지 않은 전류 미러 경로를 이용하여 레플리카 전류(오프셋 보상을 위한 기준 전류)를 오프셋 보상부(33)에 공급한다.
여기서, 기준 전류 생성부(31)와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는 각 전류 미러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각 스위치는 외부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전류 미러 경로를 기준 전류 생성 또는 레플리카 전류 공급용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는 기준 전류 생성부(31)가 선택한 전류 미러 경로에 대하여 기 설정된 오프셋 보상 비율에 따라 미선택 전류 미러 경로를 선택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오프셋 보상부(33)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기준 전류 생성부(31)가 전류 미러 경로 x1을 선택한 경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는 기 설정된 오프셋 보상 비율에 따라 미선택 전류 미러 경로를 이용하여 x7(즉, x1, x2, x3)을 선택하고, 기준 전류 생성부(31)가 전류 미러 경로 x2을 선택한 경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는 기 설정된 오프셋 보상 비율에 따라 미선택 전류 미러 경로를 이용하여 x6(즉, x2, x4)을 선택하며, 기준 전류 생성부(31)가 전류 미러 경로 x4을 선택한 경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는 기 설정된 오프셋 보상 비율에 따라 미선택 전류 미러 경로를 이용하여 x4를 선택하고, 기준 전류 생성부(31)가 전류 미러 경로 x8을 선택한 경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는 기 설정된 오프셋 보상 비율에 따라 미선택 전류 미러 경로를 선택하지 않는다.
이처럼,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에서 오프셋 보상부(33)로 공급된 레플리카 전류는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램프 전압(램프 신호)의 직류(DC) 레벨을 조절(보상)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출력 전압과 오프셋 보상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도면 번호 501 내지 504는 기준 전류에 따른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출력 전압 변화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505 내지 507은 기준 전류에 따른 오프셋 보상 값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는 피모스(PMOS) 전류원과 그라운드 전원과 연결된 임피던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준 전류에 비례하여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출력 전압의 최대값이 정해지고, 최소값은 0이 된다.
이 경우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출력 전압을 전달받는 아날로그 회로(상호상관 이중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는 비교부)의 경우, 기준 전류가 작아지는 상황, 즉 게인(Gain)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입력 전압 레벨이 낮아져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때, 낮아지는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출력 전압 값을 보상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를 추가하면 추가된 레플리카 경로(Replica Path)를 통해 보상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출력 전압 레벨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기준 전류 생성부(31)가 선택한 전류 미러 경로에 대하여 기 설정된 오프셋 보상 비율에 따라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34)가 미선택 전류 미러 경로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출력 전압의 최대값이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의 기준 전류 변화가 1:N의 비율로 변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N:1, N:M 등의 다양한 비율로 기준 전류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준 전류의 변화로 인하여 변경되는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IDAC)의 특정 영역(일 예로, 풀 온(Full on), 풀 코드(Full-code))의 전압 또는 전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장치(IDAC)의 특정 영역에서의 출력 전압을 기준으로 삼는 아날로그 회로(상호상관 이중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는 비교부)의 동작의 항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1 : 기준 전류 생성부 32 : 램프 신호 발생부
33 : 오프셋 보상부 34 :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

Claims (9)

  1. 게인에 따른 기준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전류 생성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로부터의 기준 전류에 따라 램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램프 신호 발생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전류를 레플리카한 레플리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 및
    상기 램프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램프 신호의 오프셋(Offset)을 상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로부터의 레플리카 전류를 이용하여 보상하기 위한 오프셋 보상부
    를 포함하는 램프 신호 발생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는,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가 전류 미러 경로(Path)를 선택하여 기준 전류를 생성할 시에 선택되지 않은 전류 미러 경로를 이용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상기 오프셋 보상부로 공급하는, 램프 신호 발생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는,
    미선택 전류 미러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램프 신호 발생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는,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가 선택한 전류 미러 경로에 대하여 기 설정된 오프셋 보상 비율에 따라 미선택 전류 미러 경로를 선택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상기 오프셋 보상부로 공급하는, 램프 신호 발생 장치.
  5. 입사광에 상응하는 픽셀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픽셀 어레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픽셀 어레이 내의 픽셀을 로우 라인별로 선택하여 제어하기 위한 로우 디코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램프 신호를 발생하되, 기 존재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기준 전류를 레플리카한 레플리카 전류를 출력단에 공급하여 상기 생성된 램프 신호를 보상하기 위한 램프 신호 발생 장치;
    상기 픽셀 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각 픽셀 신호와 상기 램프 신호 발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램프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각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클럭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운팅부로부터의 카운팅 정보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로우 디코더와 상기 램프 신호 발생 장치와 상기 카운팅부와 상기 메모리부와 컬럼 리드아웃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컬럼 리드아웃 회로
    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신호 발생 장치는,
    게인에 따른 상기 기준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전류 생성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로부터의 기준 전류에 따라 램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램프 신호 발생부;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전류를 레플리카한 상기 레플리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 및
    상기 램프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램프 신호의 오프셋(Offset)을 상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로부터의 레플리카 전류를 이용하여 보상하기 위한 오프셋 보상부
    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는,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가 전류 미러 경로(Path)를 선택하여 기준 전류를 생성할 시에 선택되지 않은 전류 미러 경로를 이용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상기 오프셋 보상부로 공급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는,
    미선택 전류 미러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플리카 전류 공급부는,
    상기 기준 전류 생성부가 선택한 전류 미러 경로에 대하여 기 설정된 오프셋 보상 비율에 따라 미선택 전류 미러 경로를 선택하여 레플리카 전류를 상기 오프셋 보상부로 공급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20150189274A 2015-12-30 2015-12-30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2456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274A KR102456577B1 (ko) 2015-12-30 2015-12-30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US15/202,339 US9894309B2 (en) 2015-12-30 2016-07-05 Ramp signal generator, and CMOS image sensor using the same
CN201610849436.7A CN107017865B (zh) 2015-12-30 2016-09-23 斜坡信号发生器及使用其的cmos图像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274A KR102456577B1 (ko) 2015-12-30 2015-12-30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091A KR20170079091A (ko) 2017-07-10
KR102456577B1 true KR102456577B1 (ko) 2022-10-20

Family

ID=5922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274A KR102456577B1 (ko) 2015-12-30 2015-12-30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94309B2 (ko)
KR (1) KR102456577B1 (ko)
CN (1) CN1070178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586B1 (ko) * 2016-08-17 2023-03-14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바이어스 전류 생성회로 및 이를 이용한 오티피 메모리 소자 읽기 방법
KR102431230B1 (ko) * 2017-11-17 2022-08-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잡음 싱글-슬롭 비교 장치 및 그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와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2507188B1 (ko) * 2018-02-06 2023-03-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EP3598740B1 (en) 2018-02-27 2022-09-14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Image sensor and output compensation circuit of image sensor
KR102469116B1 (ko) * 2018-03-13 2022-11-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US10862501B1 (en) * 2018-04-17 2020-12-08 Ali Tasdighi Far Compact high-speed multi-channel current-mode data-converters for artificial neural networks
KR102507628B1 (ko) * 2018-04-24 2023-03-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2473064B1 (ko) * 2018-04-30 2022-12-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2506833B1 (ko) * 2018-07-30 2023-03-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2510671B1 (ko) 2018-09-21 2023-03-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램프신호 생성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CN111385499B (zh) * 2018-12-27 2023-05-12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双转换增益图像传感器的实现方法
KR102576744B1 (ko) * 2018-12-28 2023-09-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램프신호 생성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10915298B1 (en) * 2019-10-08 2021-02-09 Ali Tasdighi Far Current mode multiply-accumulate for compute in memory binarized neural networks
CN113365005B (zh) * 2020-03-06 2023-06-09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图像传感器列处理模块隔直电容的实现方法
KR20220033550A (ko) * 2020-09-07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CN112383725B (zh) * 2020-11-13 2023-05-05 成都微光集电科技有限公司 斜坡信号发生电路和方法、cmos图像传感器及其读出电路
KR102489362B1 (ko) * 2021-04-12 2023-01-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접 센싱을 수행하는 반도체 장치
FR3124866B1 (fr) * 2021-06-30 2024-02-02 St Microelectronics Grenoble 2 Circuit Miroir de courant
CN114625207A (zh) * 2022-03-21 2022-06-14 四川创安微电子有限公司 一种dac电路及其增益调整方法
CN117311440B (zh) * 2023-11-27 2024-02-27 东莞市长工微电子有限公司 斜坡补偿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910B1 (ko) 1997-08-22 2006-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류보상기능을갖는비교기
KR20090117192A (ko) * 2008-05-09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로부터 유입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장치를 구비하는 이미지 촬상 장치
US8513935B2 (en) * 2010-12-16 2013-08-20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Combinations of current feedback for frequency compensation, overload detection, and super overload detection in switching power converters
CN102280993B (zh) * 2011-05-25 2013-06-05 无锡新硅微电子有限公司 用于消除电流模dc-dc变换器中斜坡补偿温度影响的电路结构
CN102412707B (zh) * 2011-12-05 2014-05-21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开关变换器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CN202435271U (zh) * 2012-01-20 2012-09-12 彩优微电子(昆山)有限公司 斜坡补偿电路
KR101934260B1 (ko) * 2012-03-19 2019-0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US9041363B2 (en) * 2012-09-21 2015-05-26 Analog Devices Global Windowless H-bridge buck-boost switching converter
KR102007386B1 (ko) 2013-05-30 2019-08-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그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싱 장치 및 이미지 센싱 장치의 구동방법
KR20150051422A (ko) * 2013-11-04 2015-05-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류 보상 및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가지는 비교기 및 그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
CN103685994B (zh) * 2014-01-03 2017-01-18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图像传感器像素阵列固定模式噪声消除电路
CN204205946U (zh) * 2014-06-26 2015-03-11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开关变换器及其控制电路
CN104506035B (zh) * 2014-12-10 2017-04-05 中山大学 一种自适应斜坡补偿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091A (ko) 2017-07-10
US20170195601A1 (en) 2017-07-06
CN107017865B (zh) 2020-09-08
CN107017865A (zh) 2017-08-04
US9894309B2 (en)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577B1 (ko)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2469080B1 (ko) 비교 장치 및 그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
TWI404411B (zh) 固態成像裝置、其控制方法及相機系統
US9681084B2 (en) Ramp signal generator and CMOS image sensor using the same
US9787926B2 (en) Solid-state image apparatus and image system
US10574919B2 (en) High-speed and low-power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CMOS image sensor using the same
CN111629161A (zh) 比较器及包括该比较器的图像感测装置
US11800252B2 (en) Image sensor, image-captur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0142559B2 (en) Pixel signal transfer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CMOS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US9584110B2 (en) Reference voltage generator having noise cancelling function and CMOS image sensor using the same
KR101984051B1 (ko) 전압 스케일링 장치 및 그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와 씨모스 이미지 센서
US11283460B2 (en) A/D converter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446289B1 (ko) 램프 그라운드 노이즈 제거를 위한 픽셀 바이어스 장치 및 그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
US10165214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US9749571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KR102507628B1 (ko)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2506833B1 (ko)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102473064B1 (ko)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KR20190125747A (ko) 비교 장치 및 그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
US20140070074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image sensor
KR102469116B1 (ko)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JP2017175565A (ja)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WO2015182361A1 (ja) 増幅回路及びイメージセンサ
US10931268B2 (en) Ramp signal generation device and CMOS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JP2005244355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