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534B1 -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 Google Patents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534B1
KR102456534B1 KR1020210179371A KR20210179371A KR102456534B1 KR 102456534 B1 KR102456534 B1 KR 102456534B1 KR 1020210179371 A KR1020210179371 A KR 1020210179371A KR 20210179371 A KR20210179371 A KR 20210179371A KR 102456534 B1 KR102456534 B1 KR 10245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rotation
panel
panel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한주
장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본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본오
Priority to KR102021017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8Connections between partitions and structural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는, 패널의 결합 및 해체를 자유롭게 반복하여 다양한 벽체의 조성 및 해체, 재조립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재활용 효과도 우수한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는, 제1패널; 제2패널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2패널; 제1패널 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1회전결합부; 제1회전결합부에 대향되도록 제2패널 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2회전결합부; 및 제1 및 제2회전결합부의 접합면 상단에 장착되며 제1 및 제2패널과 결합되는 상단고정회전부;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회전결합부는, 각각의 접합면이 곡선화되어 반원형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결합본체; 제1 및 제2결합본체의 곡선화 접합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및 제2세레이션; 및 제1 및 제2결합본체의 제1 및 제2패널 접합면에 다수 구비되는 본체결합핀;을 더 포함하고, 상단고정회전부는, 일측 곡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두 개의 반원체가 상호 곡면이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1 및 제2상단회전단; 제1 및 제2상단회전단 각각의 타측 테두리가 ㄷ자 형상으로 연장되며 제1 및 제2패널의 측면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상단고정단; 제1 및 제2상단회전단의 타측 중심을 상호 연결하는 상단회전축; 및 제1 및 제2상단고정단 상면과 제1 및 제2패널 상면을 각각 결합 고정하는 제1 및 제2상단결합핀;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A Prefabricated Wall Easy to Combine and Dismantle}
본 발명은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패널을 연결하여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벽체를 형성하되 패널 간 접합면을 세레이션이 형성된 반원 형상으로 구성하고 패널 간 접합면 상단 및 하단에 반원형 세레이션 고정회전장치를 결합시키는 구조로 형성하여, 패널 간 결합력을 증대하면서 패널 결합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패널 간 결합면을 스크린으로 차단하여 인테리어 증진 효과도 도모할 수 있어서, 패널의 결합 및 해체를 자유롭게 반복하여 다양한 벽체의 조성 및 해체, 재조립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재활용 효과도 우수한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벽체는 사무실의 파티션, 주거공간의 분할 등은 물론 전시장, 박람회, 모델하우스 등에도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벽체로 고정 설치되는 벽체가 아닌 임시로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사용이 완료되거나 재설치가 필요한 경우 즉시 철거가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사용된다.
특히 전시장, 모델하우스, 박람회, 패션의류 매장 등에서 조립식 벽체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데, 주로 경량목재,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의 경량 재질을 이용하여 다수의 패널을 조립하여 벽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패널 조립 시에 못, 나사 등을 이용하여 패널 간 결합이 이뤄지고, 전시 종료 혹은 패션 매장의 인테리어 변경 시 못, 나사 등을 제거하면서 결합된 패널을 분리하면서 벽체를 해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벽체의 조립 및 해체 과정은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벽체가 아니므로 단지 경량 재질을 사용하여 임시로 설치하는 구조나 방법만 차이가 있을 뿐 패널을 이용한 조립과 해체는 기존 콘크리트 벽체와 같이 벽을 세우고 결합부재로 상호 고정을 한 후 사용이 완료되면 전량 철거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게 된다.
이는 수시로 설치와 철거를 반복하는 파티션, 부스, 쇼윈도우 등에 있어서 패널의 재사용이 어렵게 되는 방식으로써 무수히 많은 자재가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폐기 처리되므로 반 환경적일 뿐 아니라 비용이 증가하고 설치와 철거에 상당한 시간과 노동이 수반되어야 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의 해결을 위해 근래에 제시된 조립식 벽체는 패널 간 결합에 있어 단지 쉽게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부품으로써 제공될 뿐이어서 벽체의 형성은 빠르고 쉽게 이뤄질 수 있으나, 벽체 형성 후 결합력은 담보되지 않아 내구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벽체의 결합각도 조절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으므로, 향후 벽체 해체 후 해당 패널을 재 사용하여 다른 결합각도에 의한 벽체를 형성하고자 한다면 해당 체결부재와 패널을 적용할 수 없어서 무용지물이 되므로 폐기 처분되어야 하므로 일회성 조립에만 편의성을 제공할 뿐인 한계가 있다.
이에 다수의 패널을 재사용하여 조립과 해체가 수월하고, 벽체 형성 시 결속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결합각도 조절이 자유로워서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벽체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며, 패널이 조립된 벽체임에도 결합부위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수려하여 얼마든지 재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벽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64648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복수의 패널을 연결하여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벽체를 형성하되 패널 간 접합면을 세레이션이 형성된 반원 형상으로 구성하고 패널 간 접합면 상단 및 하단에 반원형 세레이션 고정회전장치를 결합시키는 구조로 형성하여, 패널 간 결합력을 증대하면서 패널 결합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패널 간 결합면을 스크린으로 차단하여 인테리어 증진 효과도 도모할 수 있어서, 패널의 결합 및 해체를 자유롭게 반복하여 다양한 벽체의 조성 및 해체, 재조립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재활용 효과도 우수한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는, 제1패널; 제2패널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2패널; 제1패널 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1회전결합부; 제1회전결합부에 대향되도록 제2패널 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2회전결합부; 및 제1 및 제2회전결합부의 접합면 상단에 장착되며 제1 및 제2패널과 결합되는 상단고정회전부;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회전결합부는, 각각의 접합면이 곡선화되어 반원형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결합본체; 제1 및 제2결합본체의 곡선화 접합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및 제2세레이션; 및 제1 및 제2결합본체의 제1 및 제2패널 접합면에 다수 구비되는 본체결합핀;을 더 포함하고, 상단고정회전부는, 일측 곡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두 개의 반원체가 상호 곡면이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1 및 제2상단회전단; 제1 및 제2상단회전단 각각의 타측 테두리가 ㄷ자 형상으로 연장되며 제1 및 제2패널의 측면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상단고정단; 제1 및 제2상단회전단의 타측 중심을 상호 연결하는 상단회전축; 및 제1 및 제2상단고정단 상면과 제1 및 제2패널 상면을 각각 결합 고정하는 제1 및 제2상단결합핀;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회전결합부의 접합면 하단에 장착되며 제1 및 제2패널과 결합되는 하단고정회전부;를 포함하되, 하단고정회전부는, 일측 곡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두 개의 반원체가 상호 곡면이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1 및 제2하단회전단; 및 제1 및 제2하단회전단 각각의 타측 테두리가 ㄷ자 형상으로 연장되며 제1 및 제2패널의 측면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하단고정단;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고정회전부는, 제1 및 제2상단고정단의 측면을 관통하며 제1 및 제2패널에 결속되는 상단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회전결합부의 접합 부위를 스크린으로 가림 처리하는 롤링스크린부;를 더 포함하고, 롤링스크린부는, 제1결합본체의 측면 내부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스크린이 연결되어 감거나 풀 수 있는 제1회전롤러; 제1결합본체의 측면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스크린이 인출되는 제1슬릿; 제2결합본체의 측면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슬릿에서 인출된 스크린이 삽입되는 제2슬릿; 및 제2결합본체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며 제2슬릿에 삽입된 스크린을 감거나 풀도록 구비되는 제2고정롤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은, 제2슬릿에 삽입되는 선단에 종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끼움구멍;을 포함하고, 제2고정롤러는, 외주면을 따라 끼움구멍에 대향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패널의 측면에 회전결합부를 장착한 뒤 복수의 회전결합부를 톱니 결합 방식으로 설치하면 되므로 자유롭게 조립 및 해체, 재사용할 수 있고 그 과정이 편리하고 간단하며 친환경적이다.
둘째, 다수의 패널을 반복 사용하여 다양한 벽체를 형성하는 데 있어 결합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패널에 대한 별도의 가공 작업이 불필요하고 즉시 결합 후 사용할 수 있다.
셋째, 패널 접합면 상단과 하단에 복수 패널을 연결하고 각도 조절을 지원하는 상단고정회전부 및 하단고정회전부가 설치되어 패널 간 결합각도 조절의 수월성은 물론 패널 간 결속력을 증대하여 견고한 조립식 벽체를 제작할 수 있다.
넷째, 패널 간 접합면에 설치되는 회전결합부에는 스크린이 롤링 내장되고 벽체 완성 시 스크린을 인출하여 패널 간 접합면을 커버하게 되므로 외부에 회전결합부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스크린 설치로 수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가 가벽으로 적용될 수 있는 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b) 내지 (c)는 상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고정회전부와 하단고정회전부를 도시한 상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회전결합부 및 제2회전결합부에 롤링스크린부가 설치된 상면도이고, (b) 내지 (c)는 설치 전과 설치 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스크린부의 끼움구멍과 돌출부 결합 설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가 가벽으로 적용될 수 있는 예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b) 내지 (c)는 상면도이고,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고정회전부와 하단고정회전부를 도시한 상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회전결합부 및 제2회전결합부에 롤링스크린부가 설치된 상면도이고, (b) 내지 (c)는 설치 전과 설치 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스크린부의 끼움구멍과 돌출부 결합 설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10)는 가정, 사무실, 박람회 또는 전시회 등의 부스, 패션의류 매장의 데코레이션 파티션 등에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고 반복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으며 외관의 미적인 요소까지 고려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 내부에는 여러 벽체가 설치되어 공간을 구획하게 되는데, 이때 내부 벽체를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10)를 이용하여 가벽으로 설치하면 간편하고 쉬운 설치로 공간을 분리할 수 있고, 또 구조 변경이나 공간 확대를 원할 때는 간단하고 빠르게 해체할 수 있으며,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시 벽체의 위치와 결합 각도 및 길이를 변경해가면서 벽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얼마든지 사용자 필요에 따라 가벽을 설치하고 철거하는 작업을 편하게 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매우 높고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10)는 제1패널(100), 제2패널(200), 제1회전결합부(110), 제2회전결합부(210), 상단고정회전부(300) 및 하단고정회전부(400)를 포함한다.
제1패널(100) 및 제2패널(200)은 벽체를 형성하는 기능을 하고, 제1회전결합부(110) 및 제2회전결합부(210)는 각각 제1 및 제2패널(100,200)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패널(100,200) 간 결합이 이뤄지고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단고정회전부(300) 및 하단고정회전부(400)는 제1 및 제2패널(100,200)과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를 각각 상부 및 하부에서 결합시키면서 각도 조절까지 가능하게 한다.
우선 제1패널(100) 및 제2패널(200)은 일반적인 조립식으로 사용되는 판상의 벽체로 형성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제1회전결합부(110)는 제1패널(100)이 제2패널(200)과 결합하게 될 측면을 따라 부착이 되며, 제1결합본체(111), 제1세레이션(112) 및 본체결합핀(113,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결합본체(111)는 제1회전결합부(110)의 몸통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써 횡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제1패널(10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데, 일측은 평면으로 제1패널(100)의 측면에 접하고, 타측은 반원형으로 곡선화 형성되고 제2패널(200)의 제2회전결합부(210)에 접한다.
제1결합본체(111)의 타측 곡선화 접합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세레이션(112)이 형성되며, 일측 평면에는 제1패널(100)을 향해 못, 쐐기 등의 형상인 다수의 본체결합핀(113)이 돌출 형성된다.
제1결합본체(111)의 일측 평면 너비는 제1패널(100)의 측면 너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제1결합본체(111)의 상하 길이는 제1패널(100)의 상하 길이보다 소정 길이 짧게 형성될 수 있는데 상하 길이의 차이는 상단고정회전부(300)의 제1상단회전단(310) 및 하단고정회전부(400)의 제1하단회전단(410)의 높이에 해당된다.
따라서 제1회전결합부(110)를 제1패널(100)에 결합시키게 되면, 본체결합핀(113)이 제1패널(100)의 측면에 박히면서 제1결합본체(111)의 일측이 제1패널(100)에 밀착되고, 제1패널(100)의 전면 및 후면이 그대로 제1결합본체(111)의 타측과 연결되면서 세레이션이 구비된 반원형 측면을 가지는 패널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
그리고 제1패널(100)과 제1회전결합부(110)가 결합되는 측면 상단과 하단 모서리는 제1상단회전단(310) 및 제1하단회전단(410)의 높이만큼 계단형으로 절곡된 모습을 갖추게 된다.
제2회전결합부(210)는 제2패널(200)이 제1패널(100)과 결합하게 될 측면을 따라 부착이 되며, 제2결합본체(211), 제2세레이션(212) 및 본체결합핀(2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형상은 제1회전결합부(110)와 동일하며 따라서 결합구조 또한 제1회전결합부(110)와 제1패널(100) 간의 결합구조와 동일하다.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에 각각 제1회전결합부(110)와 제2회전결합부(210)가 부착 완료되면 제1세레이션(112)과 제2세레이션(212)이 톱니 결합되면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패널(100)과 제1패널(100)은 연결이 되어 확장된 벽체를 이루게 되는데 제1세레이션(112)과 제2세레이션(212)이 톱니 결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벽체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데, 다만 상기 상태로는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이 상호 결속력이 유지되기 어려워 벽체 유지는 물론 각도 조절도 원활하게 이뤄질 수 없다.
상단고정회전부(300)는 제1패널(100), 제1회전결합부(110), 제2회전결합부(210), 제2패널(200)의 결합 상단부에 부착되는 단일체로써, 상단고정회전부(300)가 패널 간 접합부위에 부착되면 제1패널(100), 제1회전결합부(110), 제2회전결합부(210), 제2패널(200)을 한꺼번에 결속하게 되어 연달아 배치된 패널이 벽체를 유지하고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단고정회전부(300)는 제1상단회전단(310), 제1상단고정단(320), 제1상단결합핀(330), 제2상단회전단(340), 제2상단고정단(350), 제2상단결합핀(360) 및 상단회전축(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상단회전단(310,340)은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의 횡단면과 유사하게 세레이션이 형성된 반원형으로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세레이션을 맞닿아 톱니 결합된 채로 형성되며, 각 상단회전단(310,340)이 각 회전결합부(110,210) 위에 얹히며 부착이 되면, 패널 전체의 형상은 외측 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세레이션이 형성된 반원형의 몸체 2개가 서로 마주하며 맞닿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1 및 제2상단고정단(320,350)은 제1 및 제2상단회전단(310,340) 각각의 타측에서 연장되는데 패널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패널의 상단 및 양 측면을 소정 구간 커버하게 된다.
제1 및 제2상단고정단(320,350)의 측면 상하 길이와 좌우 너비는 제1 및 제2상단회전단(310,340)의 상하 길이 및 좌우 너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및 제2상단고정단(320,350)이 패널의 상부와 접촉되는 면적이 제1 및 제2상단회전단(310,340)의 제1 및 제2결합본체(111,211) 접촉 면적보다 넓어서 상단고정회전부(300)는 각 패널에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단회전축(370)은 제1 및 제2상단회전단(310,340)이 세레이션 결합된 상태로 이격되지 않으면서 톱니 회전될 수 있도록 위치 고정과 제자리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데, 폐쇄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직각 회전된 ㄷ자 형상으로 양 단은 각각 제1상단회전단(310) 타측 중심과 제2상단회전단(340)의 타측 중심에 부착되고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비되어서 제1상단회전단(310)과 제2상단회전단(340)이 세레이션 결합 상태로 소정 각도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각 회전단이 세레이션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각도 조절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단회전축(370)이 제1상단회전단(310)과 제2상단회전단(340)의 결합관계 및 회전 기능을 가능하도록 한다면, 제1상단결합핀(330) 및 제2상단결합핀(360)은 각각 제1상단고정단(320)과 제2상단고정단(350)을 제1 및 제2패널(100,200)에 부착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상단결합핀(330) 및 제2상단결합핀(360)은 상단회전축(370)과 유사한 형상이며, 직각 회전된 ㄷ자의 양 단은 못, 쐐기 등의 형상으로 각 패널의 상면을 향하여 박히게 되는데, 일단은 상단고정단(320,250)의 상면을 뚫고 패널의 상면에 박히게 되며, 타단은 패널의 상면에 바로 박히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상단결합핀(330,360)이 제 1 및 제2상단고정단(320,350)과 제1 및 제2패널(100,200)에 체결이 되면 상단고정회전부(300)는 두 개의 상단결합핀(330,360)에 의해 각 패널과 결속이 이뤄져 고정된 상태가 된다.
제1 및 제2상단결합핀(330,360)은 상단고정회전부(300)를 상부 방향에서만 고정하는 것이므로 결속력 강화를 위해 제1 및 제2상단고정단(320,350)의 측면에는 상단체결부재(321,351)가 삽입될 수 있는데 상단체결부재(321,351)는 제1 및 제2상단고정단(320,35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외표면에서 관통하며 제1 및 제2패널(100,200)의 상부 측면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 및 제2상단결합핀(330,360)은 상단고정회전부(300)를 상부 방향에서 각 패널에 결속시키고, 상단체결부재(321,351)는 상단고정회전부(300)를 측면 방향에서 각 패널에 결속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단고정회전부(300)는 패널과 결합되는 각 면마다 체결부재가 장착되어 고정력이 증가하고 튼튼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하단고정회전부(400)는 제1패널(100), 제1회전결합부(110), 제2회전결합부(210), 제2패널(200)의 결합 하단부에 부착되는 단일체로써, 하단고정회전부(400)가 패널 간 접합부위에 부착되면 제1패널(100), 제1회전결합부(110), 제2회전결합부(210), 제2패널(200)을 한꺼번에 결속하게 되어 연달아 배치된 복수의 패널(100,200)이 벽체를 유지하고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하단고정회전부(400)는 상단고정회전부(300)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다만 상단고정회전부(300)와 달리 상단회전축(370)과 제1 및 제2상단결합핀(360)에 해당되는 회전축 및 결합핀을 포함하지 않는다.
하단고정회전부(400)는 제1하단회전단(410), 제1하단고정단(420), 제2하단회전단(430) 및 제2하단고정단(440)을 포함하고, 각 고정단은 상단체결부재(321,351)와 유사한 하단체결부재(421,441)에 의해 패널에 체결된다.
상기 구성요소에 의한 하단고정회전부(400)는 상단고정회전부(300)에서 상단회전축(370)과 제1 및 제2상단결합핀(330,360)을 제외한 것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며, 하단고정회전부(400)는 복수의 패널(100,20) 및 회전결합부(110,210)에 결합된 상태로 지면에 압박되기 때문에 분리될 염려가 없고, 복수의 패널(100,20) 및 회전결합부(110,210)는 상단고정회전부(300)에 의해 결속이 되어 분리가 방지된 상태이므로, 이로 인해 하단고정회전부(400)는 안정적으로 제1 및 제2패널(100,200),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와의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하단고정회전부(400)에 상단고정회전부(300)와 같이 회전축과 결합핀이 부착된다면 이로 인해 패널이 지면으로부터 들뜨게 되면서 제대로 직립될 수 없어 벽체를 유지하며 지탱할 수 없는데 따르는 것으로, 복수의 패널 및 회전결합부 간 결합은 상단고정회전부(300)에 의해 제공되므로 가능한 구조이다.
하단고정회전부(400)는 패널(100,200)과 회전결합부(110,210)의 하단에 결속되므로, 회전축과 결합핀이 제외된 상단고정회전부(300)와 동일한 형상이되 상단고정회전부(300)의 상하 방향을 뒤집은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하단고정회전부(400)는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의 접합면 하단에 장착되되, 제1하단회전단(410)과 제2하단회전단(430)이 일측 곡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두 개의 반원체가 상호 세레이션 형성 곡면이 맞닿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타측 평면에서 제1하단회전단(410)과 제2하단회전단(430)이 연장 형성되면서 뒤집어진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다만 상단고정회전부(300)와 달리 제1하단고정단(420)과 제2하단고정단(440)은 폐쇄면이 지면을 향하고 개방면이 상부를 향하며 제1 및 제2패널(100,200)의 하단을 ㄷ자로 감싸면서 끼움결합되고, 제1하단회전단(410)과 제2하단회전단(430)은 제1회전결합부(110)와 제2회전결합부(210)의 하면에 접하면서 장착이 된다.
상기 구조로 하단고정회전부(400)가 제1 및 제2패널(100,200)과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 하단에 결합이 완료되면, 복수의 하단체결부재(421,441)가 각 패널의 수평 방향으로 제1하단고정단(420) 및 제2하단고정단(440)을 관통하면서 패널(100,200)에 삽입 장착되어 하단고정회전부(400)를 패널(100,200)에 고정시킨다.
롤링스크린부(500)는 제1회전결합부(110)와 제2회전결합부(210)를 스크린(510)으로 가리는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는 다수의 패널을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벽체를 형성할 때 패널에 체결시킨 뒤 세레이션 결합이 이뤄지고 각도 조절까지 가능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쇼윈도우나 박람회 등에 전시용 벽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회전결합부의 접합면 노출이 때에 따라서는 수려한 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이의 방지를 위해 제1 및 제2회전결합부(210)를 가리는 스크린(510)이 장착이 되는데, 이는 롤링스크린부(500)의 구성에 의해 가능하다.
롤링스크린부(500)는 스크린(510), 제1회전롤러(520), 제2고정롤러(530), 제1슬릿(540), 제2슬릿(5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린(510)은 감고 펼쳐질 수 있는 재질로써 구비된다.
스크린(510), 제1회전롤러(520), 제2고정롤러(530)는 제1 및 제2결합본체(111,211) 내측에 내장 구비되며, 제1회전롤러(520)에 스크린(510)이 권취된 상태로 준비되고 제1회전롤러(520)로부터 스크린(510)을 잡아당겨 제2고정롤러(530)에 부착한 후 감게 되면 스크린(510)은 제1 및 제2결합본체(111,211)를 커버하는 가림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회전롤러(520)와 제2고정롤러(530)는 각각 제1 및 제2결합본체(111,211) 내측 상단과 하단에 회전축으로 고정된 채 제자리 회전되도록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 및 제2결합본체(111,211) 내부에 각각 제1회전롤러(520)와 제2고정롤러(530)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령 제1결합본체(111)의 내측은 평면과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평면과 곡면이 접하는 양 단 중 일단에는 제1회전롤러(520)가 기둥과 같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고정롤러(530)가 기둥 형상으로 직립 설치된다.
그리고 제2결합본체(211)의 내측에는 평면과 곡면이 접하는 양단 중 일단에는 제2고정롤러(530)가, 타단에는 제1회전롤러(520)가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제1결합본체(111)와 제2결합본체(211)가 서로 제1세레이션(112)과 제2세레이션(212)을 맞닿은 상태에서, 제1결합본체(111)의 제1회전롤러(520)와 제2결합본체(211)의 제2고정롤러(530)가 직선 구간으로 대향 위치하고, 제2결합본체(211)의 제2고정롤러(530)와 제1회전롤러(520)가 직선 구간으로 대향 위치한다.
그리고 결합본체(111,211)의 일단과 타단, 즉 회전롤러(520)와 고정롤러(530)에 대향되는 지점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어 스크린(510)이 인출되고 삽입될 수 있는 입구를 제공하게 되는데, 회전롤러(520)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1슬릿(540)이, 고정롤러(30)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2슬릿(550)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 결합본체에는 일측단과 타측단에 제1슬릿(540)과 제2슬릿(550)이 각각 형성되면서 복수의 슬릿이 구성된다.
스크린(510)의 선단, 즉 결합본체 외측으로 인출되는 시작점이며 제2고정롤러(530)에 감기게 되는 부위로써 스크린(510)의 선단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끼움구멍(511)이 장공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고정롤러(530)의 외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출부(531)가 상기 끼움구멍(5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어서, 스크린(510)을 당겨 끼움구멍(511)을 돌출부(531)에 맞추면 다수의 돌출부(531)에 다수의 끼움구멍(511)이 끼워지면서 인출된 스크린(510)이 제2고정롤러(530)에 견고하게 장착이 되어 쉽게 풀리지 않는 상태가 된다.
가령 상면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에 제1결합본체(111), 우측에 제2결합본체(211)가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한다면, 제1결합본체(111) 내부에는 하부 방향에 제1회전롤러(520) 및 제1슬릿(540)이 구비되고 상부 방향에 제2고정롤러(530) 및 제2슬릿(550)이 구비되며, 제2결합본체(211) 내부에는 하부 방향에 제2고정롤러(530) 및 제2슬릿(550)이 구비되고 상부 방향에 제1회전롤러(520) 및 제1슬릿(540)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 제1회전롤러(520)에는 스크린(510)이 권취된 상태이다.
이제 제1결합본체(111)의 하부방향에서 제1슬릿(540)을 통해 스크린(510)의 선단을 잡고 결합본체 외측으로 인출을 하면 제1회전롤러(520)가 회전하면서 권취된 스크린(510)이 외측으로 나오게 되는데, 스크린(510)의 선단을 하부 방향 제2슬릿(550)을 통해 제2결합본체(211)에 집어넣고 끼움구멍(511)을 돌출부(531)에 맞춰 결합을 시킨 후 제2고정롤러(530)를 회전시키면 스크린(510)은 끼움구멍(511)이 돌출부(531)에 걸린 채로 제2고정롤러(530)에 감기게 되면서 풀림이 방지되며, 이후 제2고정롤러(530)를 고정하면 스크린(510)의 가림막 설치가 완료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결합본체(211)의 상부 방향 제1슬릿(540)에서 스크린(510)을 인출하고 제1결합본체(111) 상부방향 제2슬릿(550)에 삽입하면서 스크린(510)을 설치하고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예시에 따르면 하부 방향 스크린(510)은 좌에서 우 방향으로 스크린(510)이 설치되고, 상부 방향 스크린(510)을 우에서 좌 방향으로 스크린(510)이 설치된다.
상술한 구조와 달리 복수의 회전롤러는 제1결합본체(111)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고정롤러는 제2결합본체(211)에 한 쌍으로 구비된 상태로 제1 및 제2결합본체(211)의 접합면을 가리는 스크린(510) 가림 기능을 할 수도 있는데, 다만 이 경우 스크린(510)을 인출하고 결합하는 방향이 사용자가 정면에서 바라본 관점에서는 매번 스크린(510)의 인출 및 설치 방향이 상이해지므로 회전롤러의 위치를 확인 후 작업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며, 회전롤러에 스크린(510)이 권취됨에 따라 부피와 무게가 고정롤러에 비해 커지기 때문에 특정 결합본체의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게다가 회전결합부(110,210)를 패널에 장착할 때 반드시 회전롤러와 고정롤러가 대응 설치될 수 있도록 확인한 후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결합본체(111,211)에 제1회전롤러(520)와 제2고정롤러(530)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야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를 패널(100,200)에 장착할 때 특정한 구별 절차 필요 없이 바로 패널(100,20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회전롤러(520)는 스크린(510)을 권취하고 스크린(510) 사용이 완료되면 되감아야 하므로 제2고정롤러(530)에 비해 직경이 크고 강한 회전력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제1슬릿(540)은 스크린(510)을 인출하도록 작업될 수 있어야 하므로 제2슬릿(550)에 비해 큰 너비로써 형성될 수 있어서 스크린(510) 인출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벽체를 형성하고자 하는 제1패널(100)과 제2패널(200)을 나란히 배치한다.
그리고 각 패널(100,200)이 서로 연결되는 접합면에 맞춰 제1패널(100)의 측면에 제1회전결합부(110)를 장착하는데 제1결합본체(111)의 평면부가 제1패널(100)의 측면에 접하고 제1세레이션(112)이 제2패널(200)을 향하도록 하며 본체결합핀(113)을 측면에 삽입하면서 결합시킨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패널(200)의 측면에 제2회전결합부(210)를 결합시킨다.
이때 제1회전결합부(110) 및 제2회전결합부(210)의 부착 위치는 제1 및 제2패널(100,200) 측면에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 및 제2상단회전단(310,340)과 제1 및 제2하단회전단(410,430)의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 내부에는 제1회전롤러(520)와 제2고정롤러(530), 스크린(510)이 내장된 상태이다.
이제 제1세레이션(112)과 제2세레이션(212)이 톱니 결합되도록 맞물리게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 상단에 제1상단회전단(310)과 제2상단회전단(340)이 대향되도록 하여 상단고정회전부(300)를 제1패널(100) 및 제2패널(200) 접합면 상단에 결합시키면 제1상단고정단(320)과 제2상단고정단(350)은 제1 및 제2패널(100,200)의 상단을 ㄷ자로 감싸면서 끼움 결합된다.
이제 제1상단결합핀(330)과 제2상단결합핀(360)을 상부에서 체결시키면 제1 및 제2상단결합핀(330,360)은 각각 제1상단고정단(320)과 제1패널(100), 제2상단고정단(350)과 제2패널(200)을 결합시키면서 상단고정회전부(300)를 패널의 상면 방향에서 결속한다. 그리고 복수의 상단체결부재(321,351)를 제1상단고정단(320) 및 제2상단고정단(350)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하면 상단체결부재(321,351)는 상단고정회전부(300)를 각각 제1 및 제2패널(100,200)의 측면 방향에 결속한다.
다음으로 하단고정회전부(400)를 제1 및 제2패널(200) 접합면 하단에 결합시키는데, 상단고정회전부(300)와 유사한 방식으로써 제1하단회전단(410)과 제2하단회전단(430)을 각각 제1결합본체(111)와 제2결합본체(211) 하단에 대향시킨 후 제1하단고정단(420)과 제2하단고정단(440)을 제1패널(100) 및 제2패널(200)의 하단면에 ㄷ자 방식으로 끼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하단체결부재(421,441)를 제1 및 제2하단고정단(420,440)의 측면으로부터 삽입하면서 체결시키면 하단고정회전부(400)는 제1 및 제2패널(100,200)의 측면 방향에서 결속된다.
이때 패널 간 벽체 결합 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를 장착한 후 상단고정회전부(300), 하단고정회전부(400)의 순서로 진행할 수도 있고, 반대로 하단고정회전부(400)를 먼저 장착한 후에 상단고정회전부(300)를 장착하는 것으로 진행할 수도 있는데, 가령 패널의 무게가 무거워 일단 자리를 잡으면 이동하는 것이 쉽지 않다면 바닥에 하단고정회전부(400)를 놓은 후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가 장착된 제1 및 제2패널(100,200)을 하단고정회전부(400)에 맞춰 끼움 결합하여 위치를 잡고 나서 상단고정회전부(300)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도 진행할 수 있다.
상단고정회전부(300)와 하단고정회전부(400)까지 장착이 완료되면 만들고자 하는 벽체의 유형에 따라 패널 간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상단고정회전부(300) 및 하단고정회전부(400),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는 세레이션 결합된 상태이고, 상단고정회전부(300)는 회전축에 의해 양측의 제1상단회전단(310)과 제2상단회전단(340)이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절차로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벽체를 틀어 결합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 조절까지 완료되었다면 패널 간 접합면에 스크린(510)을 설치하여 제1 및 제2결합본체(111,211)를 가리도록 조치할 수 있다
제1결합본체(111)의 일측에서 제1슬릿(540)을 통해 스크린(510)을 잡고 인출시키면 제1회전롤러(520)가 회전하면서 권취된 스크린(510)이 풀려 나오게 되는데, 스크린(510)을 당겨 제2슬릿(550)에 대향 시킨 후 끼움구멍(511)을 제2고정롤러(530)의 돌출부(531)에 끼우고 나서 제2고정롤러(530)를 돌리고 고정시키면 스크린(510)의 설치가 완료된다.
마찬가지로 반대편 방향에서 제2결합본체(211)의 제1슬릿(540)을 통해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면 제1 및 제2결합본체(111,211)의 양 측면이 모두 스크린(510)을 가려지게 되어 미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박람회, 전시회, 패션의류 전시 등의 업무가 완료되면 상술한 결합 절차와 반대 순서로 본 발명의 조립식 벽체(10)를 해체할 수 있다.
즉 스크린(510)의 끼움구멍(511)을 돌출부(531)에서 분리하여 결합본체(111,211) 내부로 원위치 시키고, 상단체결부재(321,351)와 하단체결부재(421,441)를 분리한 후 제1 및 제2상단결합핀(330,360)을 분리하게 되면 상단고정회전부(300)와 하단고정회전부(400)가 분리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를 제1 및 제2패널(100,200)로부터 분리하면 전체 해체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해체된 복수의 패널과 본 발명의 제1 및 제2회전결합부(210), 상단 및 하단고정회전부(400)는 폐기 처분되지 않으며, 향후 다른 용도에 의해 조립식 벽체(10)를 설치하게 될 때 재활용될 수 있다.
만약 새로 설치할 벽체에 사용되는 패널이 변경되어 상하 높이와 두께가 다르다 하더라도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 상단 및 하단고정회전부(300,40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데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의 높이가 패널 높이보다 길지 않다면 상단 및 하단고정회전부(300,400)가 제1 및 제2회전결합부(110,210)에 상하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도 벽체의 형성 결합 및 회전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크린(510) 설치로 가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조립식 벽체(10)로써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해 진다.
상술한 설명과 같이 본원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10)는 복수의 패널을 조립식으로 결합시켜 벽체를 형성하면서 각도 조절까지 가능한 데다 스크린(510) 설치로 외관의 미적 요소를 향상시킨 특징이 있으며, 뿐만 아니라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방식이므로 얼마든지 재사용이 가능하고, 추후 사용 시 벽체의 결합 각도가 변경되더다로 이를 지원하여 조립될 수 있으므로 재사용에 전혀 문제가 없다.
따라서 쉽고 편리하게 조립식 벽체(10)의 결합 및 해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안전한 사용은 물론 친환경적인 장점까지 가지는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100 : 제1패널
110 : 제1회전결합부
111 : 제1결합본체
112 : 제1세레이션
113 : 본체결합핀
200 : 제2패널
210 : 제2회전결합부
211 : 제2결합본체
212 : 제2세레이션
213 : 본체결합핀
300 : 상단고정회전부
310 : 제1상단회전단
320 : 제1상단고정단
321 : 상단체결부재
330 : 제1상단결합핀
340 : 제2상단회전단
350 : 제2상단고정단
351 : 상단체결부재
360 : 제2상단결합핀
370 : 상단회전축
400 : 하단고정회전부
410 : 제1하단회전단
420 : 제1하단고정단
421 : 하단체결부재
430 : 제2하단회전단
440 : 제2하단고정단
441 : 하단체결부재
500 : 롤링스크린부
510 : 스크린
511 : 끼움구멍
520 : 제1회전롤러
530 : 제2고정롤러
531 : 돌출부
540 : 제1슬릿
550 : 제2슬릿

Claims (5)

  1. 제1패널;
    제1패널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2패널;
    제1패널 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1회전결합부;
    제1회전결합부에 대향되도록 제2패널 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제2회전결합부; 및
    제1 및 제2회전결합부의 접합면 상단에 장착되며 제1 및 제2패널과 결합되는 상단고정회전부;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회전결합부는,
    각각의 접합면이 곡선화되어 반원형의 횡단면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결합본체;
    제1 및 제2결합본체의 곡선화 접합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및 제2세레이션; 및
    제1 및 제2결합본체의 제1 및 제2패널 접합면에 다수 구비되는 본체결합핀;을 더 포함하고,
    상단고정회전부는,
    일측 곡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두 개의 반원체가 상호 곡면이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1 및 제2상단회전단;
    제1 및 제2상단회전단 각각의 타측 테두리가 ㄷ자 형상으로 연장되며 제1 및 제2패널의 측면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상단고정단;
    제1 및 제2상단회전단의 타측 중심을 상호 연결하는 상단회전축; 및
    제1 및 제2상단고정단 상면과 제1 및 제2패널 상면을 각각 결합 고정하는 제1 및 제2상단결합핀;을 더 포함하는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회전결합부의 접합면 하단에 장착되며 제1 및 제2패널과 결합되는 하단고정회전부;를 포함하되,
    하단고정회전부는,
    일측 곡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두 개의 반원체가 상호 곡면이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1 및 제2하단회전단; 및
    제1 및 제2하단회전단 각각의 타측 테두리가 ㄷ자 형상으로 연장되며 제1 및 제2패널의 측면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및 제2하단고정단;을 더 포함하는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단고정회전부는,
    제1 및 제2상단고정단의 측면을 관통하며 제1 및 제2패널에 결속되는 상단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회전결합부의 접합 부위를 스크린으로 가림 처리하는 롤링스크린부;를 더 포함하고,
    롤링스크린부는,
    제1결합본체의 측면 내부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스크린이 연결되어 감거나 풀 수 있는 제1회전롤러;
    제1결합본체의 측면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스크린이 인출되는 제1슬릿;
    제2결합본체의 측면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슬릿에서 인출된 스크린이 삽입되는 제2슬릿; 및
    제2결합본체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며 제2슬릿에 삽입된 스크린을 감거나 풀도록 구비되는 제2고정롤러;를 더 포함하는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5. 제4항에 있어서,
    스크린은,
    제2슬릿에 삽입되는 선단에 종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끼움구멍;을 포함하고,
    제2고정롤러는,
    외주면을 따라 끼움구멍에 대향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KR1020210179371A 2021-12-15 2021-12-15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KR102456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371A KR102456534B1 (ko) 2021-12-15 2021-12-15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371A KR102456534B1 (ko) 2021-12-15 2021-12-15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534B1 true KR102456534B1 (ko) 2022-10-20

Family

ID=8380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371A KR102456534B1 (ko) 2021-12-15 2021-12-15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5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650A (ja) * 1997-11-02 1999-05-18 Kokuyo Co Ltd パネルの連結構造
JP2004176387A (ja) * 2002-11-27 2004-06-24 Yamazaki Corp 折畳遮蔽装置
JP2007107313A (ja) * 2005-10-14 2007-04-26 Sugita Ace Kk 蝶番およびドア
KR101864648B1 (ko) 2016-12-28 2018-06-07 장명관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조립식 벽체
JP2019532202A (ja) * 2016-11-04 2019-11-07 プラネット ゲーデーツェット アーゲー 指挟み防止器具及びその取付形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650A (ja) * 1997-11-02 1999-05-18 Kokuyo Co Ltd パネルの連結構造
JP2004176387A (ja) * 2002-11-27 2004-06-24 Yamazaki Corp 折畳遮蔽装置
JP2007107313A (ja) * 2005-10-14 2007-04-26 Sugita Ace Kk 蝶番およびドア
JP2019532202A (ja) * 2016-11-04 2019-11-07 プラネット ゲーデーツェット アーゲー 指挟み防止器具及びその取付形材
KR101864648B1 (ko) 2016-12-28 2018-06-07 장명관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조립식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7956B2 (en) Cladding assembly
US3436881A (en) Prefabricated structure and a joint assembly therefor
US4865111A (en) Display system
EP3655126B1 (en) Accordion fold play structure with easy-up assembly device
WO2009137417A1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US20110011025A1 (en) Expandable Panel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95048Y1 (ko) 방충창의 방충망 고정구조
US4149352A (en) Modular panel apparatus
EP4321709A1 (en) Assembly structure for canopy and outdoor canopy having various expansion configurations
KR102456534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벽체
JP2017012576A (ja) 組立式収納ボックス
EP3259421A1 (en) Modular hyperbolic trapezoid fabric structure
JP4284629B2 (ja) コーナーキャンバス巻取り軸とコーナーオーニング装置
KR100731346B1 (ko) 조립식 구조물
AU2008338247B2 (en) Interlocking assembly system and method
JP2654254B2 (ja) テント又は建物用の支持骨組
WO2007129320A2 (en) Snapped flexible panels
US6895722B1 (en) Folding structural panel unit
US8407946B1 (en) Closet liner
KR102429974B1 (ko) 망형벽체가 구비된 조립식 전시용 부스
KR20140070175A (ko) 조립식 칸막이
JP6758106B2 (ja) 骨格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屋
US11933043B2 (en) Modular wall system
KR200233993Y1 (ko) 조립식 가구
KR820000125B1 (ko) 옥내 및 옥외용 조립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